KR20100012918U - 유아용 장난감 젖꼭지 - Google Patents

유아용 장난감 젖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2918U
KR20100012918U KR2020090007947U KR20090007947U KR20100012918U KR 20100012918 U KR20100012918 U KR 20100012918U KR 2020090007947 U KR2020090007947 U KR 2020090007947U KR 20090007947 U KR20090007947 U KR 20090007947U KR 20100012918 U KR20100012918 U KR 201000129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ction body
nipple
infant
t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79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5728Y1 (ko
Inventor
이진영
Original Assignee
(주) 마마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마마치 filed Critical (주) 마마치
Priority to KR20200900079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728Y1/ko
Publication of KR201000129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9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7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7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10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35Teats having 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35Teats having 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 A61J11/0045Aesthetic properties
    • A61J11/0055Aesthetic properties for soothing, e.g. toy-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75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2Teats with means for supplying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10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7/105Nipple attach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10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7/113Protective covers therefor, e.g. for protecting during dis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난감 젖꼭지에 관한 것으로서, 유아가 입으로 물고 빨 수 있게 돌출 형성된 흡입본체 및 상기 흡입본체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지지체로 구성하되, 상기 지지체는 상기 흡입본체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흡입본체를 지지함과 동시에 흡입본체 전체를 감쌀 수 있도록 중공부를 형성하는 종 형상의 외주부를 구비함으로써, 보관이나 휴대시 유아의 구강 내에 유입되는 흡입본체의 오염을 방지할 뿐 아니라, 사용상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유연성이 있는 실리콘 소재로 흡입본체와 지지체를 일체 성형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유롭게 외형을 다양한 형태로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은 몰론 환경호르몬 발생을 방지하여 유아가 안전하게 가지고 놀 수 있는 유아용 장난감 젖꼭지에 관한 것이다.
젖꼭지, 실리콘

Description

유아용 장난감 젖꼭지{Pacifier for baby}
본 고안은 장난감 젖꼭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아가 입으로 물고 빨 수 있게 돌출 형성된 흡입본체 및 상기 흡입본체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구비하되, 상기 지지체를 탄성 변형이 가능한 유연성이 있는 실리콘 소재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흡입본체 전체를 감쌀 수 있게 함으로써, 유아의 구강 내에 유입되는 흡입본체의 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환경호르몬 발생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유아가 안전하게 가지고 놀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가 자유롭게 다양한 형태로 외형을 변형시킬 수 있어 사용상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아용 장난감 젖꼭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생아나 영유아에게 모유를 대신하여 분유를 수유하고자 할 때 젖병을 사용하게 되며, 이때 젖병 전방에 구비된 고무 젖꼭지를 유아가 물고 빨 수 있게 함으로써, 유아가 상기 고무 젖꼭지를 통해 분유액을 흡입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따라서 유아는 상기와 같은 고무 젖꼭지에 익숙해지게 되어 고무 젖꼭지를 입에 물고 있는 것에 친숙해짐으로써, 수유자는 유아를 달래거나 또는 유아의 빨려는 욕구를 충족시켜 심리적 안정을 주기 위해 분유액을 흡입시키기 위한 목적이 아닌 단지 유아가 입에 물고 가지고 놀 수 있는 노리개용 장난감 젖꼭지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장난감 젖꼭지(pacifier)는 유아의 구강 내에 유입되는 흡입본체와 상기 흡입본체를 지지하는 베이스판으로 구성된다.
흡입본체는 유아가 입에 물고 빠는 부분으로서,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며, 자유롭게 탄성 변형이 가능한 유연성이 있는 고무소재로 구비되며, 유아의 치아 발달 등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유아의 구강 구조에 적합한 형상으로 성형된다.
한편 베이스판은 흡입본체의 후방에 결합되어 흡입본체를 지지할 뿐 아니라, 손잡이 역할을 하게 되며, 또한 유아가 흡입본체를 흡입할 때 장난감 젖꼭지 전체가 유아의 구강 내로 유입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베이스판은 유아가 흡입본체를 입에 물고 빨 때 유아의 입술에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일반적으로 유아의 입술 형상에 적합하게 곡면이 형성된 원판 형상으로 구비되며, 흡입본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판의 후방에는 수유자가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고리 형상의 손잡이가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장난감 젖꼭지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있다.
첫째, 베이스판이 플라스틱류의 소재로 형성됨으로써, 환경호르몬이 발생될 수 있으며, 또한 베이스판이 유아의 입술에 접촉되는 것은 물론 유아가 베이스판을 빨 수 있는 특성상 유아가 환경호르몬에 직접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둘째, 보관이나 휴대시 흡입본체가 쉽게 오염될 수 있었으며, 셋째, 베이스판이 하나의 고정된 형상으로 구비됨으로써, 다양한 형태로 형상 변경이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유아가 쉽게 싫증을 낼 수 있을 뿐 아니라, 유아의 습관이나 선호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 적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고, 넷째, 단단한 소재의 베이스판에 의해 유아에게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었으며, 다섯째, 전체 구조의 특성상 보관시 정돈이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살균을 위해 삶는 경우에는 플라스틱 소재의 특성상 환경호르몬의 배출이 높아질 수 있어 세척 또한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첫째, 유아가 물고 빨 수 있는 흡입본체와 이를 지지함과 동시에 감쌀 수 있는 종 형상의 지지체를 탄성 변형이 가능한 유연성 소재로 일체 성형함으로써, 보관이나 휴대시 유아의 구강 내에 유입되는 흡입본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하고, 둘째, 수유자가 자유롭게 외형을 다양한 형태로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유아의 습관이나 선호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상의 변경 사용이 가능하게 하며, 셋째, 부드러운 실리콘 소재로 일체 성형하여 유아의 안전사고 방지는 물론 유아가 환경호르몬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유아가 입으로 물고 빨 수 있도록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된 유연성이 있는 흡입본체 및 상기 흡입본체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지지체로 구성하되,
상기 지지체는 상기 흡입본체의 후단부가 결합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흡입본체의 선단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흡입본체 전체가 감싸지도록 중공부를 형성하는 외주부로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흡입본체와 지지체는 실리콘 소재를 이용하여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또 상기 지지부는 상기 외주부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에는 공기가 출입할 수 있는 통기공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주부의 내측면에는 용이하게 접혀질 수 있도록 내측면을 따라 일정 깊이와 폭을 가지는 홈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주부는 종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 상기 지지부의 외측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손잡이가 돌출 형성되어 휴대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첫째, 유아의 구강 내에 유입되는 흡입본체의 오염을 방지하여 유아가 항상 깨끗한 젖꼭지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둘째, 사용자가 자유롭게 다양한 형태로 외형을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유아의 습관이나 선호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상을 변경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셋째, 부드러운 실리콘 소재로 일체 성형하여 유아의 안전사고 방지는 물론 유아가 환경호르몬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의 저면 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유아용 장난감 젖꼭지는 흡입본체(10) 및 지지체(30)로 구성된다.
흡입본체(10)와 지지체(30)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유연성을 가지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수지로 형성되며, 실리콘, 천연고무, PE, 폴리 우레탄 등의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 호르몬이 발생되지 않는 실리콘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리콘 소재에는 음이온 발생이나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는 다양한 친환경 소재나 기능성 세라믹 등을 첨가할 수 있으며, 또는 인체에 필요한 광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인체에 유용한 기를 발산하는 옥 등의 소재를 첨가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실리콘 소재는 탄성도(경도)가 과도하게 높은 경우에는 유아가 모체의 피부를 만지는 것 같은 부드러움을 느끼기 어렵고, 또한 필요 이상으로 낮은 경우에는 과도한 유연성으로 인해 도 3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므로, 유아가 심리적 안정감과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적정 경도의 소재를 사용하여 최적의 유연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흡입본체(10)는 유아가 입에 물고 빠는 부분으로서, 유아의 혀의 위치나 구강 구조에 적합하도록 자유단을 형성하는 젖꼭지 형상체로 구비되며, 지지체(30)에 구비되는 지지부(31)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흡입본체(10)와 지지체(30)는 유연성이 우수한 실리콘 소재로 일체 성형되기 때문에 흡입본체(10)는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하게 된다.
흡입본체(10)는 지지체(30)의 지지부(31)에 연결되어 돌출 형성되는 연결부(11)와 연결부(11)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유아가 혀를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빨게 되는 흡입부(15)로 구성된다.
연결부(11)는 외주면이 지지부(31)로부터 자연스럽게 곡면을 형성하면서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흡입부(15)는 연결부(11)의 외주면의 곡면과 연결되어 직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방울 형상체로 형성된다.
흡입본체(1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아의 혀의 위치나 구강 구조에 따라 유아의 치아 발달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통상적인 다양한 형태의 자유 형상체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흡입본체(10)의 연결부(11) 및 흡입부(15)의 직경이나 길이 또는 외주면의 형상은 유아의 구강 구조의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지지체(30)는 지지부(31)와 외주부(35)로 구성된다.
지지부(31)는 흡입본체(10)의 연결부(11)와 연결되어 흡입본체(10)를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외주부(35)에 비해 살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며, 흡입본체(10)가 중앙부에 돌출 형성된다.
한편 지지부(31)에는 복수의 통기공(32)이 관통 형성된다.
통기공(32)은 유아가 본 고안의 장난감 젖꼭지를 흡입할 때 호흡 장애를 일으키거나 또는 외주부가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공기가 자유롭게 유출입 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로 마주보도록 사각 형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능과 외관을 고려하여 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지지부(31)의 외측면 중앙부에는 일정 길이의 손잡이부(40)가 흡입본체(10)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손잡이부(40)는 사용자가 유아에게 장난감 젖꼭지를 물리거나 또는 세척 보관 등을 위해 휴대하기 간편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적정 두께로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관통공(4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부(40)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손잡이부(40)의 관통공(42)에 장식 고리나 끈 등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외주부(35)는 지지부(31)의 외주로부터 흡입본체(10)의 선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외주부(35)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중공부(50)가 형성되는 종 형상체를 형성하도록 지지부(31)로부터 자연스럽게 곡면을 형성하면서 외주면이 연장 형성되도록 하고, 선단부(38)는 두께가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외주부(35)는 본 고안의 장난감 젖꼭지가 종 형상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외관상으로는 보관시 장식품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선반이나 탁자 등에 안정적으로 놓여질 수 있게 하며, 또한 다수개를 순차적으로 적재시킬 수 있는 구조여서 보관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외주부(35)는 유아의 입 모양이나 크기를 고려하여 적정 내경을 형성하도록 한다.
한편 외주부(35)는 종 형상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아의 관심을 끌 수 있는 외형과 장식적인 면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외주부(35)는 흡입본체(10)가 중공부(50)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흡입본체(10) 전체가 감싸지도록 충분한 길이로 연장 형성된다.
한편 외주부(35)의 중앙부 내측면에는 둘레를 따라 일정 깊이와 폭을 가지는 홈부(37)가 형성된다.
홈부(37)의 저면은 외주부(35)의 살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홈부(37)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 고안의 사용 실시예에서와 같이 외주부(35)를 다양한 형상으로 접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홈부(37)는 중공부(50)의 중간 높이 정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흡입본체(10)의 크기나 위치를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에 형성되도록 선택하면 될 것이다.
한편 흡입본체(10)와 지지체(30)는 실리콘 소재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실리콘 소재 특성상 계면에너지가 낮아 점착성이 필요 이상으로 강하게 되므로, 유아가 피부와 같은 부드러운 촉감을 느끼기 쉽도록 점착성이 감소될 수 있는 특정 형상의 미세한 원형이나 사각형상 등의 요철부를 에칭이나 샌딩 가공 등을 통해 형성하거 나 슬립코팅 등 다양한 기능의 코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슬립코팅은 별도의 재료를 실리콘 표면에 코팅하여 용이하게 슬립이 발생될 수 있도록 점착성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인체에 무해한 메탈재료, 세라믹재료, 실리콘 화합물, 유기재료 또는 기타 유무기 혼합 재료 등을 이용하여 인쇄나 스프레이 등의 공법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사용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장난감 젖꼭지의 다양한 사용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외주부(35)를 홈부(37)를 기준으로 상방으로 접어 올린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부(35)는 홈부(37)에 의해 용이하게 상방으로 접혀질 수 있으며, 이때 외주부(35)의 선단부(38)는 상방을 향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모자 형상을 띠게 되며, 흡입본체(10)의 흡입부(15)는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유아는 외부에 노출된 흡입부(10)를 흡입할 수 있게 되며, 이때 유아의 입술은 중공부(50) 내로 유입되게 되고, 통기공(32)은 유아의 흡입으로 인해 중공부(50)가 진공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는 홈부(37) 상측부의 외주부(35)가 탄성 변형되어 한번 더 굴곡되도록 한 것으로서, 상부는 전체적으로 높이가 낮고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상을 띠게 되며, 흡입본체(10)는 외부에 완전히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유아는 흡입본체(10) 전체를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는 외주부(35)가 지지부(31)를 기준으로 완전히 후방으로 뒤집어진 상태로 사용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부(35)가 완전히 후방으로 뒤집어지게 되면, 깊이가 깊고 상부가 개방된 컵 형상을 띠게 되며, 흡입본체(10)는 전체가 외부에 노출됨으로써, 유아는 손쉽게 흡입본체(10)를 흡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은 도 5의 사용 실시예에서 외주부(35)를 홈부(37)를 기준으로 흡입본체(10) 방향으로 접혀지도록 한 것으로서, 흡입본체(10) 전체가 외부에 완전히 노출되게 함과 동시에 젖꼭지 전체 길이를 도 5에 비해 반으로 축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유아가 물고 빨 수 있는 흡입본체(10)와 이를 지지하는 지지체(30)를 탄성 변형이 가능한 유연성 소재의 실리콘으로 일체 성형함으로써, 보관이나 휴대시 흡입본체(1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하고, 사용자가 자유롭게 외형을 다양한 형태로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어 유아의 습관이나 선호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상의 변경 사용이 가능하게 되며, 부드러운 실리콘 소재의 특성상 유아의 안전사고 방지는 물론 유아가 환경호르몬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상, 상기의 실시 예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서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유아용 장난감 젖꼭지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저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유아용 장난감 젖꼭지의 사용 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유아용 장난감 젖꼭지의 다른 사용 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유아용 장난감 젖꼭지의 또 다른 사용 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유아용 장난감 젖꼭지의 또 다른 사용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흡입본체 11 : 연결부
15 : 흡입부 30 : 지지체
31 : 지지부 32 : 통기공
35 : 외주부 37 : 홈부
38 : 선단부 40 : 손잡이부
42 : 관통공 50 : 중공부

Claims (7)

  1. 유아가 입으로 물고 빨 수 있도록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된 유연성이 있는 흡입본체; 및
    상기 흡입본체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지지체로 구성하되,
    상기 지지체는 상기 흡입본체의 후단부가 결합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흡입본체의 선단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흡입본체 전체가 감싸지도록 중공부를 형성하는 외주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장난감 젖꼭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본체와 지지체는 실리콘 소재를 이용하여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장난감 젖꼭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외주부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장난감 젖꼭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공기가 출입할 수 있는 통기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장난감 젖꼭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부의 내측면에는 용이하게 접혀질 수 있도록 내측면을 따라 일정 깊이의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장난감 젖꼭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부는 종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장난감 젖꼭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외측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손잡이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장난감 젖꼭지.
KR2020090007947U 2009-06-19 2009-06-19 유아용 장난감 젖꼭지 KR2004557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947U KR200455728Y1 (ko) 2009-06-19 2009-06-19 유아용 장난감 젖꼭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947U KR200455728Y1 (ko) 2009-06-19 2009-06-19 유아용 장난감 젖꼭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918U true KR20100012918U (ko) 2010-12-29
KR200455728Y1 KR200455728Y1 (ko) 2011-09-21

Family

ID=44485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7947U KR200455728Y1 (ko) 2009-06-19 2009-06-19 유아용 장난감 젖꼭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7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9592A (ko) * 2018-02-19 2019-08-28 유지열 애완동물용 물병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879Y1 (ko) 2000-05-29 2000-11-01 김종성 모조젖꼭지
JP2003070882A (ja) 2001-09-03 2003-03-11 Tokutatsu Ko おしゃぶり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9592A (ko) * 2018-02-19 2019-08-28 유지열 애완동물용 물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5728Y1 (ko) 201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5494B2 (en) Oral stimulatory device for soothing gums
KR200482371Y1 (ko) 유아용 마스크
US10463578B2 (en) Flavor or scent carrying pacifier or teething ring
US20200093707A1 (en) Pacifier and Teether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20070288056A1 (en) Mitten teether/pacifier
US20020187719A1 (en) Stuffed toy with attached pacifier
US20130304121A1 (en) Teething Products
US6634919B2 (en) Pacifier toy
US20090030455A1 (en) Toy For Retaining Multiple Size Pacifiers
US7351251B2 (en) Simulated breast pacifying comfort aide system
US20170020788A1 (en) Lullaby Pacifier
JP4035574B2 (ja) 哺乳瓶用の吸口
US20200352828A1 (en) Apparatus Useful for Infant Teething and Suckling
JP3233220U (ja) 歯ブラシ
KR200455728Y1 (ko) 유아용 장난감 젖꼭지
CN110680754A (zh) 安抚奶嘴
KR101120646B1 (ko) 유연성을 갖는 유아용 젖병
US20210322281A1 (en) Pacifier cover and teether
KR20110008429A (ko) 수유용 젖병
KR20160046084A (ko) 손가락 빨기 방지 교정기
US20220151878A1 (en) Studded Pacifier
CN218589387U (zh) 防吃手磨牙安抚牙胶
KR102207474B1 (ko) 수유용 젖병
WO2011092706A1 (en) Firm grasp nipple
KR200301232Y1 (ko)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