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2756U - 집진 기능을 갖는 구두수선용 연삭장치 - Google Patents
집진 기능을 갖는 구두수선용 연삭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12756U KR20100012756U KR2020090007728U KR20090007728U KR20100012756U KR 20100012756 U KR20100012756 U KR 20100012756U KR 2020090007728 U KR2020090007728 U KR 2020090007728U KR 20090007728 U KR20090007728 U KR 20090007728U KR 20100012756 U KR20100012756 U KR 20100012756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st
- dust collecting
- chamber
- grinder
- collecting cha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95/00—Shoe-finishing machines
- A43D95/08—Machines or tools for scouring, abrading, or finishing, with or without dust-separating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8/00—Machines for cutting, ornamenting, marking or otherwise working up shoe part blanks
- A43D8/32—Working on edges or margins
- A43D8/36—Working on edges or margins by trimming the margins of sole blank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87/00—Edge or heel cutters; Machines for trimming the heel breast
Landscapes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Abstract
구두수선 연삭작업중에 발생되는 분진의 비산, 합성고무 타는 냄새 및 각종 이물질이 튀어나가는 것이 방지되고, 청소가 용이하며, 이동이 간편할 뿐만이 아니라, 연삭장치가 항상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 집진 기능을 갖는 구두수선용 연삭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집진 기능을 갖는 구두수선용 연삭장치는 전방에는 도어가 마련되고, 상면에는 흡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흡입공의 내측으로 분진유도덕트가 형성된 집진실과, 전방에는 도어가 마련되고, 상기 집진실의 하부에 마련되되 다수의 배기공이 형성된 구획판에 의해 상기 집진실과 서로 연통되게 구획되는 장치실과, 상기 집진실의 상면 중앙부분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상기 흡입공의 상측으로 설치되되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그라인더로 구성된 연삭기와, 상기 장치실 내부에 설치되고 팬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흡입공을 통해 상기 집진실 내부로 분진을 흡입되게 하는 흡입팬과, 상기 구획판의 상면에 거치되고 상기 분진유도덕트의 단부에 끼워져 상기 흡입팬에 의해 흡입되는 분진을 포집하는 백필터와, 전방은 개방되고 상기 집진실의 상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연삭기를 감싸게 설치되는 보호커버와, 상기 보호커버 전방에 상기 그라인더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그라인더의 원심력에 의해 전방으로 비산되는 분진 및 냄새를 흡착하는 탄소섬유흡착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집진실, 장치실, 연삭기, 흡입팬, 탄소섬유흡착포
Description
본 고안은 집진 기능을 갖는 구두수선용 연삭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두수선 연삭작업중에 발생되는 분진의 비산, 합성고무 타는 냄새 및 각종 이물질이 튀어나가는 것이 방지되고, 청소가 용이하며, 이동이 간편할 뿐만이 아니라, 연삭장치가 항상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 집진 기능을 갖는 구두수선용 연삭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구두굽이나 구두밑창을 교체하는 구두수선작업을 할 때에는 그라인더와 구동모터, 케이싱으로 이루어진 소형 연삭기를 이용하여 구두갑피의 사이즈에 맞게 그라인딩 및 연마작업을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소형 연삭기는 집진할 수 있는 기능이 부재하기 때문에 구두수선을 위한 그라인딩 및 연마작업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 합성고무 타는 냄새, 및 이물질이 공기속으로 비산되고, 각종 이물질이 주변으로 확산되어 작업장의 환경을 오염시키며,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용신안 등록 제302545호에는 작업도중에 발생되는 쇳가루와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도록 구성된 그라인더 집진기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그라인더 집진기는 모터의 회전축 상에 장착된 숯돌차를 외삽하는 호퍼를 포함하는 그라인더와, 중앙의 마련된 배출구의 외측에는 호퍼의 저부에 배설되는 덕트와 불꽃을 차단하는 차단판과 이물질을 함체로 공급하는 배출공이 형성된 유도부재가 부가된 상부체와; 내측에 격판을 수직선으로 고정하여 후측에는 이물질이 이동되는 공간부가 마련되고 전측에는 모터와 흡입휀 및 필터로 구성된 흡입수단이 부가되고 후측에는 이물질이 이동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저부에는 낙하하는 이물질을 집적하는 포집함과 전측에 개폐 가능한 도어가 일체로 장착된 함체로 구성된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그라인더 집진기는 샌딩작업시 쇳가루나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숯돌차에 침착되어 포집함에 흡입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회전하는 숯돌차의 원심력에 의해 전면으로 비산되는 분진과 숯돌차의 마찰열에 의해 발생되는 타는 냄새를 포집할 수 있는 기능이 부재하기 때문에 분진이나 타는 냄새를 완벽하게 포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그라인더 집진기는 함체 하부에 집진기 이동의 목적으로 부착된 소형바퀴가 보도블럭이나 경사면 등 열악한 노면 상태에서는 이동이 지극히 불편하고, 특히 구두수선부스 안으로의 진입이 혼자의 힘으로는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통상 그라인더 집진기는 협소한 실내 공간보다는 대부분의 실외에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실외는 대부분 바닥이 불규칙한 노면을 가지고 있어 집진기의 수평상태를 유지하기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그라인더는 연삭대상의 분진, 이물질만을 포집하는 기능만 수행할 뿐, 그라인더 자체나 구두수선부스 등의 구석 및 청소를 필요로 하는 장소에 대한 청소수단이 부재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구두수선 연삭작업중에 발생되는 분진의 비산, 합성고무 타는 냄새 및 각종 이물질이 튀어나가는 것이 방지되는 집진 기능을 갖는 구두수선용 연삭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청소가 용이하며, 이동이 간편할 뿐만이 아니라, 연삭장치가 항상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 집진 기능을 갖는 구두수선용 연삭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은, 전방에는 도어가 마련되고, 상면에는 흡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흡입공의 내측으로 분진유도덕트가 형성된 집진실과, 전방에는 도어가 마련되고, 상기 집진실의 하부에 마련되되 다수의 배기공이 형성된 구획판에 의해 상기 집진실과 서로 연통되게 구획되는 장치실과, 상기 집진실의 상면 중앙부분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상기 흡입공의 상측으로 설치되되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그라인더로 구성된 연삭기와, 상기 장치실 내부에 설치되고 팬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흡입공을 통해 상기 집진실 내부로 분진을 흡입되게 하는 흡입팬과, 상기 구획판의 상면에 거치되고 상기 분진유도덕트의 단부에 끼워져 상기 흡입팬에 의해 흡입되는 분진을 포집하는 백필터와, 전방은 개방되고 상기 집진실의 상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연삭기를 감싸게 설치되는 보호커버와, 상기 보호커버 전방에 상기 그라인더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그라인더의 원심력에 의해 전방으로 비산되는 분진을 흡착하는 탄소섬유흡착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기능을 갖는 구두수선용 연삭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집진 기능을 갖는 구두수선용 연삭장치는 그라인더 전방에 탄소섬유흡착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중에 분진의 흡착, 합성고무 타는 냄새의 침착 및 이물질이 튀어나가는 것이 방지되고, 청소호스를 연결시켜 연마장치 주변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평조절용 판넬의 고정설치를 통해 연삭장치가 항상 수평을 유지하면서 반복 사용될 수 있으며, 손잡이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킨 후 연삭장치 하부에 마련된 대형바퀴를 중심축으로 하여 연삭장치를 앞으로 기울여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집진 기능을 갖는 구두수선용 연삭장치를 나 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집진 기능을 갖는 구두수선용 연삭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집진 기능을 갖는 구두수선용 연삭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의 집진 기능을 갖는 구두수선용 연삭장치에서 보호커버 부분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집진 기능을 갖는 구두수선용 연삭장치는 전방에는 도어(11)가 마련되고, 상면에는 흡입공(12)이 형성되며, 상기 흡입공(12)의 내측으로는 분진유도덕트(13)가 형성된 집진실(10)을 포함한다. 즉, 상기 집진실(10)은 상기 흡입공(12)을 통해 분진을 흡수한 후 상기 분진유도덕트(13)을 통해 분진을 유도하여 포집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후술하는 연삭기의 그라인더의 갯수와 대응되게 상기 흡입공(12)은 집진실(10) 상단 양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11)의 내면에는 집진실(10)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흡음재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방에는 도어(21)가 마련되고, 상기 집진실(10)의 하부에 마련되되 다수의 배기공(22a)이 형성된 구획판(22)에 의해 상기 집진실(10)과 서로 연통되게 구획되는 장치실(20)이 구성된다. 즉, 상기 구획판의 배기공(22a)을 통해 후술하는 흡입팬이 작동되면, 상기 흡입공(12)을 통해 분진이 흡입되도록 외부공기를 빨아들이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획판(22)은 장치실(20)에 일체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실(20) 내측 벽면에 받침대(23)를 설치하여 이 받침대(23)에 구획판이 안착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어(21)의 내면에는 장치실(20)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흡음재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집진실(10)의 상면 중앙부분에는 구두굽이나 구두밑창을 구두 사이즈에 맞게 연삭가공하기 위한 연삭기(30)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삭기(30)는 상기 집진실(10)의 상면 중앙부분에 설치된 구동모터(31)와, 상기 흡입공(12)의 상측으로 설치되되 상기 구동모터(31)의 축(31a)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그라인더(32)로 구성된다. 즉, 상기 구동모터(31)의 회전에 의해 그라인더(32)는 회전하면서 구두굽이나 구두밑창을 연삭시키고, 이때 발생되는 분진은 그라인더(32)의 하부에 형성된 흡입공(12)으로 낙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그라인더(32)는 고무롤러 휠, 폴리싱 휠, 안창연삭용 콘(CONE)형 휠 등 다양한 종류가 설치되어 용도에 따라 연삭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치실(20) 내부에는 팬모터(4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흡입공(12)을 통해 상기 집진실(10) 내부로 분진을 흡입되게 하는 흡입팬(42)이 설치된다. 즉, 흡입팬(42)의 가동으로 인하여 장치실(20) 내에 진공이 발생하게 되어 장치실(20)과 연통된 집진실(20)상으로 진공이 작용하게 되고, 연마 작업 시 발생된 분진은 바로 흡입공(12) 및 분진유도덕트(13)를 통하여 집진실(10)로 흡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획판(22)의 상면에 거치되고 상측에는 투입공(51)이 형성되어 상기 분진유도덕트(13)의 단부에 끼워져 상기 흡입팬(42)에 의해 흡입되는 분진을 포집하는 백필터(50)가 마련된다. 즉, 백필터(50)는 상기 흡입팬(42)의 작동에 의해 흡입공(12) 및 분진유도덕트(13)를 통해 들어 오는 분진을 포집하도록 구성되는 부분이며, 여기서, 백필터(50)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백필터(50)를 개봉하기 위한 지퍼가 설치되어 용이하게 분진을 배출시켜 청소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흡입팬(42)은 고압 터보 팬을 적용하여 강력한 흡입력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방은 개방되고 상기 집진실의 상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연삭기를 감싸게 설치되는 보호커버(60)가 설치된다. 즉, 상기 보호커버(60)는 연삭기(30)를 통해 연삭작업을 할 때 발생되는 분진이 외부로 날리는 것을 방지하고, 그라인더(32) 하측에 형성된 흡입공(12)으로 분진을 유도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호커버(60) 전방에는 상기 그라인더(32)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그라인더(32)의 원심력에 의해 전방으로 비산되는 분진을 흡착하는 탄소섬유흡착포(70)가 설치된다. 즉, 연마기(30)를 통해 구두굽 등의 연마작업을 할 때, 그라인더(32)의 원심력에 의해 상기 보호커버(60)의 개방부를 통해 분진과 구두굽을 연마할 때 발생되는 합성고무 타는 냄새가 비산되는 데, 상기 보호 커버(60) 전방에 설치된 탄소섬유흡착포(70)에 비산되는 분진 및 합성고무 타는 냄새가 흡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탄소섬유흡착포(70)는 활성탄소 Cellulose계 원료를 탄화시킨 섬유상활성탄을 흡착포에 함유시켜 제조된다. 여기서, 상기 탄소섬유흡착포는 흡착표면적이 700~2000 m²/g 으로 대단히 크고, 세공직경은 5~100Å으로 매우 작은 세공을 가지고 있으며, 입상활성탄과 비교해서 약1.5~수배의 평균 흡착량을 가지고, 외표면적이 커 실질적으로 흡착에 관여하는 세공이 섬유표면에 노출되어 흡착속도가 빠르며, 흡착속도는 통상 입상활성탄과 비교하면 10~100배 정도이고, 흡탈착의 반복에 의한 성능열화가 적으며, 가공(성형)성이 용이하다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탄소섬유흡착포(70)는 보호커버(60)의 개방부로 비산되는 분진 및 합성고무 타는 냄새를 완벽하게 흡착하여 전방으로 비산되는 것이 방지되고 나아가 비산되는 분진 및 합성고무 타는 냄새가 작업자의 호흡기로 흡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탄소섬유흡착포(70)는 선택적으로 보호커버(60)에서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어 탄소섬유흡착포(70)에 부착된 분진 청소작업을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호커버(60)는 스틸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탄소섬유흡착포(70)의 전방 상단에는 자석(71)이 부착되어, 보호커버(60)에 탄소섬유흡착포(70)를 선택적으로 분리 또는 설치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보호커버(60)에 자석(71)을 통해 용이하게 설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호커버(60)는 상면과 측면이 연마하는 구두굽의 크기에 따라 설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연마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의 중앙 전후방향으로 고정슬릿(61a)이 형성된 커버본체(61)와, 상기 커버본체(61)의 상면에 설치되고 중앙부분에 고정공(62a)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본체(61)의 상면에 전후방향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고정공(62a)과 고정슬릿(61a)에 체결되는 근각볼트(B)를 통해 소정위치에서 고정되도록 구성된 상부커버(62)와, 상측은 상기 커버본체(61)의 측면에 힌지결합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커버본체(61)의 힌지점(H)을 중심으로 원호 상으로 가이드슬릿(63a)이 형성되되, 상기 커버본체(61)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슬릿(63a)에 끼워져 가이드되는 고정핀(61b)이 일정각도 회동된 상태에서 나비너트(61d)를 체결시킴으로써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커버본체(61)에 대해 설치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된 측면커버(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근각볼트(B)는 고정슬릿(61a)의 하부에서 삽입시켜 상부커버(62)의 외측에서 국화너트(N)를 체결시킴으로써 상부커버(62)가 커버본체(61)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본체(61)의 양단에는 보조 고정슬릿(61c)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62)의 양단에는 상기 보조 고정슬릿(61c)과 대응되는 위치에 보조 고정공(62b)이 형성되어, 이 보조 고정공(62b)과 보조 고정슬릿(61c)에 체결되는 볼트(B1) 및 너트(N1)를 통해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보호커버(60)는 구두굽의 크기에 따라 커버본체(61)에서 상부커버(62)를 슬라이딩시키거나 측면커버(63)를 회동시켜 설치위치를 조절한 다음 연마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집진실(10)의 흡입공(12) 상면에는 자석판(14)이 부착되고, 일측 단부에는 상기 자석판(14)에 선택적으로 부착 또는 분리가능한 부착판(81)이 결합된 청소호스(80)가 더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부착판(81)을 상기 자석판(14)에 부착시키고, 상기 장치실(20) 내부에 설치된 흡입팬(42)을 회전시켜, 상기 청소호스(80)를 통해 외부 먼지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구두굽 연마 작업시 분진을 포집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청소호스(80)를 통해 연마장치 주변의 먼지를 흡입하여 청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청소호수(80)의 끝단에는 다양한 청소도구(82)를 결합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집진실(10)의 전방 양단에는 손잡이봉(90)이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장치실(20)의 하부에는 바퀴(R)가 매립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봉(90)은 집진실(10) 전방 양단에 설치된 고정구(15)에 선택적으로 끼워지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연마장치의 이동이 필요할 때는 손잡이봉(90)을 끼워 연마장치를 이동시키고,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때는 손잡이봉(90)을 연마장치에서 분리하여 보관하면 된다. 또한, 상기 바퀴(R)는 장치실(20)의 하부 전방 양단과 후방 양단에 각각 한쌍씩 설치되고 장치실의 내측으로 매립설치되 는 것이 바람직하며, 손잡이봉(90)이 설치된 전방 양단의 바퀴(R)는 후방 양단 바퀴보다 큰 사이즈의 바퀴로 마련하여 문턱 등에 걸림됨이 없이 넘어갈 수 있도록 하여 연마장치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치실(10)의 하측으로는 수평조절용 판넬(91)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데, 이 수평조절용 판넬(91)은 하면에 조절좌(91a)가 설치되어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바닥의 높이가 불규칙적이더라도 조절좌(91)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본 고안의 연마장치가 수평을 유지하면서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수평조절용 판넬(91)의 일측은 승강판(91b)을 형성시켜 본 고안의 연마장치를 수평조절용 판넬 위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미설명 부호 92는 전원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전원스위치를 ON시키면 연삭기의 구동모터 및 흡입팬의 팬모터가 동시에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즉, 연삭기의 연마작업과 동시에 연마 작업시 발생되는 분진을 포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집진 기능을 갖는 구두수선용 연삭장치는 고압 터보 휀을 사용하여 구두굽 등의 연마작업 시 발생되는 분진을 용이하게 포집할 수 있으며, 보호커버의 전방에 설치되는 탄소섬유흡착포를 통해 그라인더에서 비산되는 분진을 부착시켜 포집할 수 있어, 연마장치 외부로 분진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작업자가 분진 및 냄새를 흡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집진 기능을 갖는 구두수선용 연삭장치는 연마기를 감싸 설치된 보호커버의 상면 및 측면을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구두굽 등 연마 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보호커버의 설치위치를 달리하여 연마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집진 기능을 갖는 구두수선용 연삭장치는 선택적으로 청소호수를 결합시켜 청소기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구두굽 연마 작업시 분진을 포집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청소호스를 통해 연마장치 주변의 먼지를 흡입하여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집진 기능을 갖는 구두수선용 연삭장치는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바닥판에 설치되기 때문에 바닥의 높이가 다른 울퉁불퉁한 곳에도 연마장치를 수평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손잡이봉을 결합시킬 수 있고, 연마장치 하부에 바퀴가 마련되어 있어 연마장치의 이동성이 월등히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집진 기능을 갖는 구두수선용 연삭장치는 구성이 간단 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방음효과가 월등하여 정숙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집진 기능을 갖는 구두수선용 연삭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집진 기능을 갖는 구두수선용 연삭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집진 기능을 갖는 구두수선용 연삭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의 집진 기능을 갖는 구두수선용 연삭장치에서 보호커버 부분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Claims (6)
- 전방에는 도어가 마련되고, 상면에는 흡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흡입공의 내측으로 분진유도덕트가 형성된 집진실과,전방에는 도어가 마련되고, 상기 집진실의 하부에 마련되되 다수의 배기공이 형성된 구획판에 의해 상기 집진실과 서로 연통되게 구획되는 장치실과,상기 집진실의 상면 중앙부분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상기 흡입공의 상측으로 설치되되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그라인더로 구성된 연삭기와,상기 장치실 내부에 설치되고 팬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흡입공을 통해 상기 집진실 내부로 분진을 흡입되게 하는 흡입팬과,상기 구획판의 상면에 거치되고 상기 분진유도덕트의 단부에 끼워져 상기 흡입팬에 의해 흡입되는 분진을 포집하는 백필터와,전방은 개방되고 상기 집진실의 상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연삭기를 감싸게 설치되는 보호커버와,상기 보호커버 전방에 상기 그라인더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그라인더의 원심력에 의해 전방으로 비산되는 분진 및 냄새를 흡착하는 탄소섬유흡착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기능을 갖는 구두수선용 연삭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보호커버는 스틸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탄소섬유흡착포의 전방에는 자석이 부착되어, 보호커버에 탄소섬유흡착포를 선택적으로 분리 또는 설치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기능을 갖는 구두수선용 연삭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상면의 중앙 전후방향으로 고정슬릿이 형성된 커버본체와,상기 커버본체의 상면에 설치되고 중앙부분에 고정공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본체의 상면에 전후방향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고정공과 가이드슬릿에 체결되는 근각볼트를 통해 소정위치에서 고정되도록 구성된 상부커버와,상측은 상기 커버본체의 측면에 힌지결합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커버본체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원호 상으로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되, 상기 커버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슬릿에 끼워져 가이드되는 고정핀이 일정각도 회동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커버본체에 대해 설치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된 측면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기능을 갖는 구두수선용 연삭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집진실의 흡입공 상면에는 자석판이 부착되고, 일측 단부에는 상기 자 석판에 선택적으로 부착 또는 분리가능한 부착판이 결합된 청소호스가 더 구성되어,상기 부착판을 상기 자석판에 부착하고, 상기 장치실 내부에 설치된 흡입팬을 회전시켜, 상기 청소호스를 통해 외부 먼지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기능을 갖는 구두수선용 연삭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집진실의 전방 양단에는 손잡이봉이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장치실의 하부에는 바퀴가 매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기능을 갖는 구두수선용 연삭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장치실의 하측으로는 수평조절용 판넬이 설치되되, 이 수평조절용 판넬은 하면에 조절좌가 설치되어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기능을 갖는 구두수선용 연삭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7728U KR200458981Y1 (ko) | 2009-06-16 | 2009-06-16 | 집진 기능을 갖는 구두수선용 연삭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7728U KR200458981Y1 (ko) | 2009-06-16 | 2009-06-16 | 집진 기능을 갖는 구두수선용 연삭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12756U true KR20100012756U (ko) | 2010-12-24 |
KR200458981Y1 KR200458981Y1 (ko) | 2012-03-21 |
Family
ID=44485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07728U KR200458981Y1 (ko) | 2009-06-16 | 2009-06-16 | 집진 기능을 갖는 구두수선용 연삭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8981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2781Y1 (ko) * | 2012-11-16 | 2014-05-22 | 이중백 | 그라인더 작업대 |
CN109998231A (zh) * | 2019-04-29 | 2019-07-12 | 台州市周芸鞋业有限公司 | 一种拖鞋加工鞋底修边装置 |
CN113770871A (zh) * | 2021-09-28 | 2021-12-10 | 海宁海橡鞋材有限公司 | 一种运动鞋底片生产用定型打磨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90943Y1 (ko) | 2000-03-08 | 2000-08-01 | 최원용 | 구두 수선용 집진장치 |
KR200302545Y1 (ko) | 2002-11-08 | 2003-01-29 | 이경옥 | 글라인더 집진기 |
KR200397193Y1 (ko) | 2005-06-01 | 2005-09-30 | 김상돈 | 제화용 그라인더 집진장치 |
KR20060033891A (ko) * | 2006-03-27 | 2006-04-20 | 김현동 | 그라인더 분진 포집장치 |
-
2009
- 2009-06-16 KR KR2020090007728U patent/KR20045898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2781Y1 (ko) * | 2012-11-16 | 2014-05-22 | 이중백 | 그라인더 작업대 |
CN109998231A (zh) * | 2019-04-29 | 2019-07-12 | 台州市周芸鞋业有限公司 | 一种拖鞋加工鞋底修边装置 |
CN113770871A (zh) * | 2021-09-28 | 2021-12-10 | 海宁海橡鞋材有限公司 | 一种运动鞋底片生产用定型打磨装置 |
CN113770871B (zh) * | 2021-09-28 | 2022-07-26 | 海宁海橡鞋材有限公司 | 一种运动鞋底片生产用定型打磨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58981Y1 (ko) | 2012-03-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887959C (en) | Upright vacuum cleaner | |
US8393050B2 (en) | Portable cyclonic dust collector/vacuum cleaner | |
CN102949146A (zh) | 用于清洁表面的真空吸尘器 | |
US8528160B2 (en) | Suction motor and fan assembly housing construction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 |
CN107072453B (zh) | 手持式真空吸尘器 | |
US8646149B2 (en) | Filter housing construction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 |
US7377010B2 (en) | Dirt collecting system for a floor care appliance | |
US20120222262A1 (en) | Cyclone chamber and dirt collection assembly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 |
US20120222244A1 (en) | Cyclone chamber and dirt collection assembly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 |
GB2489266A (en) | Suction cleaner | |
US20120222248A1 (en) | Configuration of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 |
US8973212B2 (en) | Filter housing construction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 |
US8813306B2 (en) | Openable side compartments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 |
KR200458981Y1 (ko) | 집진 기능을 갖는 구두수선용 연삭장치 | |
US8739357B2 (en) | Filter construction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 |
US20120222246A1 (en) | Configuration of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 |
KR20120031446A (ko) | 전기 청소기 | |
US20120222232A1 (en) | Stabilizer wheel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 |
KR20130002643A (ko) | 싸이클론을 활용한 포터블 진공집진 스탠딩 그라인더 | |
EP3525646B1 (en) | Surface cleaning apparatus | |
KR20200109487A (ko) | 스팀물걸레 진공청소기 | |
KR20110052032A (ko) | 다관절 로봇 진공청소기 | |
KR100773980B1 (ko) | 진공 청소기 겸용 로봇 공기 청정기 및 이에 연결되는진공청소기용 헤드 | |
JPH08158337A (ja) | スイーパー | |
CN213353009U (zh) | 一种装修用防尘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