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2684U - 안테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2684U
KR20100012684U KR2020090007633U KR20090007633U KR20100012684U KR 20100012684 U KR20100012684 U KR 20100012684U KR 2020090007633 U KR2020090007633 U KR 2020090007633U KR 20090007633 U KR20090007633 U KR 20090007633U KR 20100012684 U KR20100012684 U KR 201000126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fixing device
connecting member
connection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76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승규
Original Assignee
안승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승규 filed Critical 안승규
Priority to KR20200900076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2684U/ko
Publication of KR201000126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68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5Means for positioning
    • H01Q1/1264Adjusting different parts or elements of an aerial un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0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 H01Q3/0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for varying one co-ordinate of the orientation
    • H01Q3/0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for varying one co-ordinate of the orientation over a restricted angle

Landscapes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테나 고정장치에 관한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테나가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장치는 안테나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와, 일단은 구조물에 연 결되고 타단은 제1연결부재에 피봇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부재와,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를 상호 회동가능하게 2차적으로 결속하는 결합부를 포함함으로서, 상기 2개의 연결부재가 피봇회동가능하게 함으로서 안테나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어 최적의 통화품질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연결부재와 일체 또는 분리되어 형성하여 상기 결속된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간의 견고한 결속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안테나의 기울기가 외란에 의해 변동되지 아니하여 최적의 통신환경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회전부의 일측에는 일정 각도를 표시하는 눈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안테나가 필요로 하는 기울기를 쉽고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안테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고정부, 연결부재, 결합부

Description

안테나 고정장치{Antenna Fixing Apparatus}
본 고안은 안테나 고정장치에 관한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테나가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장치는 안테나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와, 일단은 구조물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연결부재에 피봇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부재와,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를 상호 회동가능하게 2차적으로 결속하는 결합부를 포함함으로서, 상기 2개의 연결부재가 피봇회동가능하게 함으로서 안테나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어 최적의 통화품질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연결부재와 일체 또는 분리되어 형성하여 상기 결속된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간의 견고한 결속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안테나의 기울기가 외란에 의해 변동되지 아니하여 최적의 통신환경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회전부의 일측에는 일정 각도를 표시하는 눈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안테나가 필요로 하는 기울기를 쉽고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안테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조물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안테나가 방향성 및 방사각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최상의 통화품질을 구현하여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하며, 안테나 의 유지, 보완이 합리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하는 안테나 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안테나 고정장치의 측면도, 도 2는 종래에 따른 안테나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종래의 안테나 고정장치를 살펴보면, 도1 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테나의 배면에 고정되는 고정부(1)와, 상기 고정부(1)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2)와, 상기 제1연결부재(2)와 힌지로 결합되는 제2연결부재(3)와, 상기 제2연결부재(3)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는 고정부(4)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부재(2)와 제2연결부재(3)는 측면에서 볼때 긴 막대형상으로 끝단부가 둥근형태를 띄는 것으로 상기 제1연결부재(2)와 제2연결부재(3)의 통공에 축(5)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고정장치는 상기 제1연결부재(2)와 제2연결부재(3)의 고정시 안테나 설치에 필요한 각도를 맞추어 힌지로 고정시키는데 처음 설치시에는 타이트하게 힌지를 고정시켜 놓음으로서 최적의 통신환경을 구현할 수 있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안테나의 무게나 바람과 같은 외부로부터 미치는 영향으로 인해 힌지의 고정력이 감소하게 되면 초기에 설정된 제1연결부재(2)와 제2연결부재(3)의 각도가 변경되어 일정 시간이 지난 후부터는 통화품질이 나빠져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을 초래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별도의 장비를 가지고 다니며 기울기각 및 힌지의 고 정력 상태를 수시로 체크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인력낭비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의 하중지지점을 여러개 설치함으로서 상기 연결부재간의 결속력을 향상시키고 연결부재 일측에 눈금을 형성함으로서 별도의 도구없이 손쉽게 기울기각을 조절할 수 있어 안테나로 하여금 최적의 통신환경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안테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의 연결 및 고정하는 중심점이 상호결합된 제1연결부재와 제1연결부재의 끝단부에 하나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끝단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곳에서 한번더 고정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바람이나 눈, 비와 같은 주변 환경에 의해 한쪽의 힌지가 풀리더라도 다른 힌지가 상기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의 고정력 감소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1연결부재의 일측에 가이드홈의 내측에는 눈금을 형성함으로서 안테나가 최적의 통화품질을 얻고자 하는 기울기각을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초보자도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안테나의 기울기를 구현함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 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따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최상의 통화품질을 구현할 수 있음으로서 사용자의 사용상 편의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효율적인 안테나 운용과 합리적인 유지보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결합관계 또한 쉽게 형성되므로서 안테나를 설치하는 과정이나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고정부나 연결바 등의 일부 구성요소는 동일한 구조 및 형상을 가지므로 동일한 금형에서 다수개 생산하여 상부 및 하부에 함께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고정장치의 구성요소를 생산하는 과정이 간단해짐으로서 생산기간 및 소요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와 구조물 사이에 위치하여 안테나의 방향각을 조절하고 안테나를 구조물에 고정지지하는 상부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안테나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장치는 안테나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와, 인단은 구조물에 연결되는 타단은 제1연결부재에 피봇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부재와,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를 상호 회동가능하게 2차적으로 결속하는 결합부를 포함함으로서, 상기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 간에 견고한 결속력이 확보되어 안테나의 기울기가 외란에 의해 변동되지 아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는 제1연결부재에 형성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2연결부재에 형성되는 제2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상호 견고하게 결속시키는 제3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연결부재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이드판이고, 상기 제2연결부재는 상기 가이드판에 결속되는 가이드연결통공이며, 상기 제3결하부는 상기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연결통공을 상호 결속하는 결합축과 결합너트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연결통공을 관통해 상호 견고하게 회동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판은 호형상의 가이드홈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상기 결합축이 회전할 수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간의 회전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형성되는 눈금을 추가로 가져서 안테나의 기울기를 별도의 기구를 사용할 필요없이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는 길이방향으로 긴 막대형상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슬롯된 가이드홈을 가지고, 상기 결합부의 양단부는 상기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에 상호 결속되며,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에 결합된 축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안내됨으로서 상기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간의 회전각도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안테나 고정장치에 있어서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의 연결 및 고정하는 중심점이 상호결합된 제1연결부재와 제1연결부재의 끝단부에 하나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끝단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곳에서 한번더 고정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바람이나 눈, 비와 같은 주변 환경에 의해 한쪽의 힌지가 풀리더라도 다른 힌지가 상기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의 고정력 감소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안테나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의 일측에 가이드홈의 내측에는 눈금을 형성함으로서 안테나가 최적의 통화품질을 얻고자 하는 기울기각을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초보자도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지닌다.
본 고안에 따른 안테나 고정장치에 있어서 안테나의 기울기를 구현함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따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최상의 통화품질을 구현할 수 있음으로서 사용자의 사용상 편의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효율적인 안테나 운용과 합리적인 유지보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안테나 고정장치에 있어서 구조가 간단하고 결합관계 또한 쉽게 형성되므로서 안테나를 설치하는 과정이나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고정부나 연결바 등의 일부 구성요소는 동일한 구조 및 형상을 가지므로 동일한 금형에서 다수개 생산하여 상부 및 하부에 함께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고정장치의 구성요소를 생산하는 과정이 간단해짐으로서 생산기간 및 소요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안테나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핵심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고정장치의 측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5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 따른 안테나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 도6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 따른 안테나 고정장치의 연결부재에 관한 측면도, 도6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 따른 안테나 고정장치의 연결부재에 관한 사시도, 도7a 내지 도7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 나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도, 도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3 내지 도7c를 살펴보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고정장치는 안테나(10)와 구조물(20) 사이에 위치하여 구조물(20)에 안테나(1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안테나(10)의 배면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고정장치(30)와, 상기 안테나의 배면 하부에 고정되는 하부고정장치(4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고정장치(30)는 안테나(10) 배면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31)와, 상기 제1고정부(31)의 일측에 연결 및 고정되는 제1연결부재(32)와, 상기 제1연결부재의 다른 일측에 연결 및 고정되어 피봇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부재(33)와, 상기 제2연결부재(33)의 다른 일측에 위치하여 고정되는 제2고정부(34)와,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를 상호 회동가능하세 2차적으로 결속하는 결합부(35)와, 상기 제2고정부(34)의 배면에 고정되며 안테나 고정장치가 상기 구조물(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바(36)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31,34)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동일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그로인한 효과도 동일함으로서 상기 제1고정부(31)와 제2고정부(34)에 대해 상호 중복기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31,34)의 기재는 한번만 하였다.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31,34)는 각각 상기 안 테나(10)와 후술되는 상기 연결바(36)의 일면에 접촉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31,34)는 안테나(10)의 배면 또는 연결바(36)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고정되는 제1 내지 제2 고정판재(311,341)와, 상기 제1 내지 제2 고정판재(311,341)의 좌우측면에 형성되는 제1 내지 제2 고정연결판재(313,34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2 고정판재(311,341)는 안테나의 배면에 직접 고정되거나 상기 구조물(20)에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바(36)의 일면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를 가진 판재형상을 가지며 내측에 일정간격 이격된 고정판재통공(3111,3411)을 형성하고 있어서 통공을 통해 나사못이나 볼트 등을 삽입하여 안테나나 연결바의 일측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내지 제2 고정연결판재(313,343)는 상기 제1 내지 제2 고정판재(311,341)의 좌우측면에 형성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것으로서 후술되는 제1 내지 제2연결부재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2 고정연결판재(313,343)의 일측에는 고정연결판재통공(3131,3431)이 형성되어 있어, 연결하고자 하는 상기 제1 내지 제2연결부재(32,33)가 연결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이때 상기 고정연결판재통공(3131,3431)은 후술되는 제1 내지 제2연결부재(32,33)의 일측에 형성되는 연결부재통공(3211, 3311) 과 일치할 수 있도록 위치시킨 후 일체된 통공의 내측으로 연결부(37)가 관통하여 고정함으로서 상기 제1 내지 제2고정연결판재와 상기 제1 내지 제2 연결부재가 상호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내지 제2연결부재(32,33)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31,34)에 각각 연결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제1 내지 제2연결부재(32,33)는 도6a 내지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소정의 넓이의 긴 막대형상을 가진 2개의 연결판재(321,331)와, 상기 두개의 연결판재(321,331) 사이에 형성되는 이음판재(322,332)를 포함하므로 상기 제1 내지 제2연결부재(32,33)의 단면이 "ㄷ"과 같은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판재(321,331)는 소정의 넓이를 가지는 긴 막대형상을 이루며 일단부는 양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때 상기 돌출된 양끝단부에는 연결통공(3211,3311)을 포함하고 있어서 각 연결부재를 상호 결합시키거나, 연결부재와 고정부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연결부재(32 )와 제2연결부재(33)의 연결판재(321,331) 길이는 같게 형성하거나 달리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편리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연결통공(3211,3311)은 상기 연결판재(321,331)의 양끝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에 형성되는 연결통공(3211,3311)은 상기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31,34)의 제1 및 제2고정연결판재(313,343)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연결판재통공(3131,3431)과 일치되도록 하고, 타단의 연결통공(3211,3311)은 상호 일치될 수 있도록 위치시킨 후 상기 일치된 제1 내지 제2연결부재(32,33)의 연결통공(3211,3311)에 관통될 수 있도록 축(50)를 삽입하고, 연결부재(32,33)의 외측으로 돌출된 축(50)의 양끝단부에 너트(60)을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통공(321)의 넓이는 상기 축(5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충분한 직경을 가지 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에는 상기 축에 너트만 결속하여 제1연결부재 및 제2연결부재를 결합하다보니, 사용과정에서 너트가 풀려 연결부재간의 각도가 변동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상기 이음판재(322,332)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상기 연결판재(321,331)를 연결해주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내지 제2연결부재(32,33)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음판재(322,332)는 하나의 판재로 형성되거나 다수개로 형성하여 내구성 및 외관상의 미려함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합부(35)는 상기 제1연결부재(32)와 제2연결부재(33)의 고정으로 인해 형성되는 하중지지점을 추가로 형성되게 함에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제2연결부재(32,33)의 상호간에 발생하는 결속력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결합부(35)는 상기 제1연결부재(32) 또는 제2연결부재(33)의 일측에 일체화되어 형성되거나 분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5 내지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35)가 상기 제1연결부재(32)의 일측에 일체화되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연결판재(321)의 타단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35)는 상기 제1연결부재(32)에 형성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2연결부재(33)에 형성되는 제2결합부와,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상호 결속하는 제3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연결부재(32)의 연결판재(321)의 타단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판재형상을 가지는 가이드판이며, 상기 제1연결부재(3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 형성되는 가이드홈(351)과, 상기 가이드홈(351)를 따라 형성되는 눈금(353)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홈(351)은 상기 제1결합부의 내측에 포함되며, 상기 제1연결부재(32) 또는 제2연결부재(33)에 형성된 연결통공(3211,3311)과 같이 상기 제1연결부재(32)와 제2연결부재(33)가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나 다만 그 형상의 호 형상으로 하여 상기 연결부재(32,33)가 상호 회동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351)이 일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연결부재(33)의 내측에 가이드연결통공(3312)을 추가로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홈(351)과 상기 가이드연결통공(3312)을 일치되도록 위치시킨후, 내측을 관통할 수 있도록 결합축(51)을 삽입한 다음, 관통된 결합축(51)의 양끝단에 결합너트(61)를 체결함에 따라 하중지지점이 추가 생성됨으로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홈(351)은 상기 연결부재(32,33)이 회전하고자 하는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므로 상기 가이드홈(351)의 길이는 상기 제1연결부재(32)와 제2연결부재(33)가 이루는 각도가 0°에서 180°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안테나가 구현할 수 있는 최적의 통화품질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눈금(353)은 상기 가이드홈(351)의 외주면을 따라 내측에 또는 외측에 형성하는데 안테나가 필요로 하는 기울기를 맞추기 위하여 별도의 기구를 사용할 필요없이 상기 눈금(353)을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2연결부재(33)의 연결판재(331)에 형성되는데 상기 제1결합부와 상호 결속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관통된 구멍의 형태인 가이드연결 통공(3312)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연결통공(3312)은 상기 제2연결부재(33)의 중간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홈(351)과 일치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며, 후술되는 제3결합부와 삽입될 수 있도록 충분한 직경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연결통공(3312)과 가이드홈(351)의 위치를 맞춰 후술되는 결합축(51)이 관통될 수 있도록 하여 결합너트(61)를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3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상호 견고하게 결속시키는 부분으로 상기 제1결합부의 가이드홈과 상기 제2결합부의 가이드연결통공을 관통하는 결합축(51)과 상기 결합축(51)의 양단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너트(61)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며, 상기 제1결합부가 제2연결부재(33)에 그리고 제2결합부가 제1연결부재(32)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35')의 또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32,33)와 분리되어 형성된 것으로 긴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 가이드홈(351')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35')의 양단은 고정부(31,34)와 연결부재(32,33)가 연결된 부분에 각각 고정하게 되는데 이때 고정하는 방법은 상기 제1또는 제2 고정부(31,34)와 제1 또는 제2 연결부재(32,33)를 관통하는 축(50)의 양끝단에 상기 결합부(35')의 일단을 위치시킨 후 너트(60)로 고정시킨다.
상기 결합부(35,35')는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일체 또는 분리되어 형성되므로서 그 형상이 달리 형성되나 결속된 제1연결부재(32)와 제2연결부재(33)가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이 동일하고 그로인한 효과도 동일하며, 상기 결합부 내측에 포함하는 구성요소 또한 동일하므로 일실시예와 다른 실시예를 구분하기 위해 도면부호에 (')를 추가 표시하고 결합부의 하위구성인 가이드홈과 눈금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중복 기재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다른 실시예에서는 자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상기 연결바(36)는 상기 제2고정부(34)의 배면에 연결되는데 이는 상기 구조물(20)을 앞뒤로 가압함으로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바(36)는 전후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 일측에는 내측으로 홈(미도시)이 형성함으로서 상기 구조물(20)에 더욱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연결바(36)의 양측에는 일정간격이격되어 형성된 연결바통공(361)을 형성하여 상기 구조물(20)의 앞뒤로 가압하고 있는 2개의 연결바(36)을 상기 연결바통공(361)에 삽입되는 볼트 및 너트(363)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부고정장치(40)는 안테나(10) 배면의 하부에 고정되는 제3고정부(41)와, 상기 제3고정부(41)의 일측에 연결 및 고정되는 제4고정부(43)와, 상기 제4고 정부(43)의 배면에 고정되며 안테나 고정장치가 상기 구조물(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바(45)를 포함한다.
상기 제3 및 제4고정부(41,43)는 상기 상부고정장치(30)의 제1 및 제2고정부(31,34)와 동일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그로인한 효과도 동일함으로서 상기 제3고정부(41)와 제4고정부(43)에 대해 상호 중복기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세한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본 고안인 안테나 고정장치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안테나(10)의 배면 상하부에 제1고정부(31)와 제3고정부(41)설치하는데, 상기 제1고정부(31)은 제1연결부재(32)와 연결 및 고정되고, 상기 제3고정부(41)은 제4고정부(43)과 연결 및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1고정부(31) 및 제3고정부(41)는 고정판재(311,411)가 상기 안테나(10)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하여 상기 고정판재(311,411)에 형성된 고정판재통공(3111,4111)에 볼트 또는 못 등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고정부(31)는 제1결합부재(32)와 결합하게 되는데 상기 제1고정부(31)의 고정연결판재통공(3131)과 제1연결부재(32)의 일단에 형성된 연결통공(3211)을 일치되도록 위치 시켜, 통공내로 축(50)을 관통하여 너트(60)로 고정시킨 다음, 제1고정부(31)에 고정된 제1연결부재(32)의 타단은 제2연결부재(33)와 연결하게 되며 상기 두개의 연결부재(32,33)의 고정방식은 축(50)과 너트(60)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상기 제2연결부재(33)의 타단은 제2고정부(34)와 고정하며, 상기 제2고정부(34) 및 제4고정부(43)는 연결바(36)와 고정한다. 이때, 상기 연결바(36)은 내측에 둥근 홈(미도시)이 형성되므로 구조물(20)을 앞뒤로 가압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연결부재(32)와 제2연결부재(33)는 여러개의 하중 지지점을 형성하기 위해 2번 고정하게 되는데 첫번째는 제1연결부재(32)의 타단에 형성된 연결통공(3211)과 제2연결부재(33)의 일단에 형성된 연결통공(3311)이 일치되도록 하여 축(50)과 너트(60)으로 고정하고, 두번째는 결합부(35)를 형성하여 상기 제1연결부재(32)와 제2연결부재(33)을 고정한다. 이때, 상기 결합부(35)는 상기 연결부재(32,33)와 일체화하여 형성되거나 분리되어 형성되는데, 일체화된 결합부(35)를 살펴보면, 상기 제1연결부재(32)의 연결판재(321)의 타단에서 돌출된 가이드판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홈(351)과, 상기 제2연결부재(33)의 연결판재(331)에 형성된 가이드연결통공(3312)을 일치시킨 후, 일치된 가이드홈(351)과 가이드연결통공(3312)에 결합축(51)을 관통시켜 결합너트(61)로 고정한다. 결속된 연결부재(32,33)이 회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결합너트(61)를 풀고 상기 가이드홈(351)의 경로에 따라 각도를 조절한 뒤 사용자가 지정하는 위치에 도달하게되면, 상기 결합너트(61)를 다시 조여준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2,33)과 분리된 결합부(35')는 길이방향으로 긴 막대형상을 가지며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슬롯된 가이드홈(351')을 가지므로, 상기 가이드홈의 일단은 상기 제1고정부(31)와 제1연결부재(32)를 고정시킨 축(50)에 연결 및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타단은 상기 제2연결부재(33)와 제2고정부(34)를 고정시킨 축에 연결 및 고정되어 너트(60)로 고정된다. 고정된 연결부재(32,33)의 각도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고정된 너트(60)중 한 쪽의 너트(60)만 풀은 후 상기 가이드홈(351')을 따라 각도를 조절한 다음 풀렀던 너트(60)로 다시 조여주면 된다.
따라서, 연결된 제1결합부재(32)와 제2결합부재(33)의 회전각도를 도7a내지 도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어 지역에 따라 주변 환경에 따라 안테나의 방향각을 달리 설정하여 최적의 통화품질을 구현함으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안테나를 사용하는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결속된 상기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는 하중 지지점을 하나가 아닌 둘로 형성되게 함으로서 바람과 같은 외부환경에도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추후 시간이 지나 고정된 한쪽 힌지가 느슨하게 풀린다고 하여도 다른 한쪽이 상기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 사이에 존재하는 내구성을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결합부에는 눈금을 포함하는데 도7a 내지 도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가 최적의 감도를 얻고자 하는 기울기를 별도의 장치없이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는 결합관계 및 구조가 단순하게 형성되어 있어 초보자들도 쉽게 안테나 설치가 가능하다. 한편, 고정부나 연결바 등의 일부 구성요소는 동일한 구조 및 형상을 가지므로 동일한 금형에서 다수개 생산하여 상부 및 하부에 함께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고정장치의 구성요소를 생산하는 과정이 간단해짐으로서 생산기간 및 소요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 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안테나 고정장치의 측면도
도 2는 종래에 따른 안테나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고정장치의 측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5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 따른 안테나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
도6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 따른 안테나 고정장치의 연결부재에 관한 측면도
도6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 따른 안테나 고정장치의 연결부재에 관한 사시도
도7a 내지 도7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도
도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안테나 20 : 구조물
30 : 상부고정장치 40 : 하부고정장치
31 : 제1고정부 32 : 제1연결부재
33 : 제2연결부재 34 : 제2고정부
35 : 결합부 36 : 연결바
41 : 제3고정부 43 : 제4고정부
50 : 축 60 : 너트
311,341,411,431 : 제1,제2,제3,제4고정판재
313,343,413,433 : 제1,제2,제3,제4고정연결판재
321,331 : 연결판재 322,332 : 이음판재
351 : 가이드홈 353 : 눈금
361 : 연결바통공 363 : 볼트 및 너트
3111,3411,4111,4311 : 제1,제2,제3,제4고정판재통공
3131,3431,4131,4331 : 제1,제2,제3,제4고정연결판재통공
3211,3311 : 제1,제2연결통공

Claims (6)

  1. 안테나와 구조물 사이에 위치하여 안테나의 방향각을 조절하고 안테나를 구조물에 고정지지하는 상부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안테나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장치는 안테나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와, 인단은 구조물에 연결되는 타단은 제1연결부재에 피봇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부재와,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를 상호 회동가능하게 2차적으로 결속하는 결합부를 포함함으로서, 상기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 간에 견고한 결속력이 확보되어 안테나의 기울기가 외란에 의해 변동되지 아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제1연결부재에 형성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2연결부재에 형성되는 제2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상호 견고하게 결속시키는 제3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연결부재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이드판이고, 상기 제2연결부재는 상기 가이드판에 결속되는 가이드연결통공이며, 상기 제3결하부는 상기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연결통공을 상호 결속하는 결합축과 결합너트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연결통공을 관통해 상호 견고하게 회동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고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은 호형상의 가이드홈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상기 결합축이 회전할 수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간의 회전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고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형성되는 눈금을 추가로 가져서 안테나의 기울기를 별도의 기구를 사용할 필요없이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고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길이방향으로 긴 막대형상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슬롯된 가이드홈을 가지고, 상기 결합부의 양단부는 상기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에 상호 결속되며,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에 결합된 축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안내됨으로서 상기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간의 회전각도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고정장치.
KR2020090007633U 2009-06-12 2009-06-12 안테나 고정장치 KR2010001268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633U KR20100012684U (ko) 2009-06-12 2009-06-12 안테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633U KR20100012684U (ko) 2009-06-12 2009-06-12 안테나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684U true KR20100012684U (ko) 2010-12-22

Family

ID=44485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7633U KR20100012684U (ko) 2009-06-12 2009-06-12 안테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2684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552B1 (ko) * 2014-05-23 2014-11-12 주식회사 선우커뮤니케이션 안테나 홀더 및 이를 이용한 지지장치
WO2015028913A1 (en) * 2013-08-30 2015-03-05 Alcatel-Lucent Shanghai Bell Co.,Ltd Antenna system
KR101503236B1 (ko) * 2014-08-04 2015-03-18 주식회사 케이에스정보통신 이동통신 중계기용 안테나 각도 조절장치
KR101665056B1 (ko) * 2015-05-28 2016-10-11 (주)하이게인안테나 고각도용 안테나 체결 장치
KR102025583B1 (ko) * 2019-02-07 2019-09-27 (주)금성계전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
US20220140465A1 (en) * 2020-11-03 2022-05-05 Commscope Technologies Llc Antenna mounting assembly of base station antenna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8913A1 (en) * 2013-08-30 2015-03-05 Alcatel-Lucent Shanghai Bell Co.,Ltd Antenna system
US9748630B2 (en) 2013-08-30 2017-08-29 Alcatel Lucent Antenna system
KR101457552B1 (ko) * 2014-05-23 2014-11-12 주식회사 선우커뮤니케이션 안테나 홀더 및 이를 이용한 지지장치
KR101503236B1 (ko) * 2014-08-04 2015-03-18 주식회사 케이에스정보통신 이동통신 중계기용 안테나 각도 조절장치
KR101665056B1 (ko) * 2015-05-28 2016-10-11 (주)하이게인안테나 고각도용 안테나 체결 장치
KR102025583B1 (ko) * 2019-02-07 2019-09-27 (주)금성계전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
US20220140465A1 (en) * 2020-11-03 2022-05-05 Commscope Technologies Llc Antenna mounting assembly of base station antenna
US11658383B2 (en) * 2020-11-03 2023-05-23 Commscope Technologies Llc Antenna mounting assembly of base station antenn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2684U (ko) 안테나 고정장치
US7408526B2 (en) Adjustable antenna assembly
KR920009225B1 (ko) 휴대용 위성 수신 안테나 장치
US7574806B2 (en) Adjustment structure of garden shears
CN103526827A (zh) 一种立柱与建筑主体连接结构
CN210536195U (zh) 一种新型可调式电缆桥架
CN209979626U (zh) 一种便于固定且监测角度可调的水土保持水蚀监测装置
CN114335979B (zh) 一种用于通信基站的5g天线
CN210195411U (zh) 一种用于野外电力勘测的连接装置
CN204483456U (zh) 壁挂式画架
CN201378714Y (zh) 电缆架设张紧金具
CN201144313Y (zh) 折叠式定幅筘装置
CN216773498U (zh) 一种室外天线的安装支架
CN211825099U (zh) 一种用于地基基础检测的多功能取样装置
CN217874883U (zh) 支撑装置
CN215680934U (zh) 一种用于gps与5g天线组合型的支撑组件
CN202039650U (zh) 一种帐篷交叉杆连接机构
CN201126708Y (zh) 一种可旋转角度的显示器支架
CN205839554U (zh) 一种自带连接装置的钢模
CN214621340U (zh) 一种水表安装用固紧工具
KR200468874Y1 (ko) 스키용 보겐 연습기
CN219090974U (zh) 用于调节健身器械的连接机构
CN218292528U (zh) 一种环保建筑外墙排水管连接结构
CN109577549A (zh) 一种桁架连接结构及其使用方法
CN215171285U (zh) 一种便于拆装的通信塔用链式抱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