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2598A - The method of transmitting file and the apparatus thereof - Google Patents

The method of transmitting file and the apparatu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2598A
KR20100012598A KR1020080074082A KR20080074082A KR20100012598A KR 20100012598 A KR20100012598 A KR 20100012598A KR 1020080074082 A KR1020080074082 A KR 1020080074082A KR 20080074082 A KR20080074082 A KR 20080074082A KR 20100012598 A KR20100012598 A KR 20100012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mode
transmission
stopped
chan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40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4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2598A/en
Publication of KR20100012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59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2Systems in which the television signal is transmitted via one channel or a plurality of parallel channels, the bandwidth of each channel being less than the bandwidth of the television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of transmitting a file and an apparatus thereof are provided to transmit the remaining part of files parts which are have not been transmitted even though a separate user command is not inputted, thereby improving user providing convenience to a user. CONSTITUTION: If a mode of a broadcasting receiving device is changed, the first file processing unit(230) applies processes the remaining part of files file parts which are not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changed mode to the third interface unit(226). If a file transfer is temporarily stopped, the first file processor sets transmission stop information in a packet. The first file processor applies the set information to the third interface unit.

Description

파일 전송방법 및 이를 적용한 기기{The method of transmitting file and the apparatus thereof}The method of transmitting file and the apparatus

본 발명은 파일을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transmitting a file and a device to which the same is applied.

영상기기라 함은 방송, 기록매체에 기록된 영상, 외부에서 전송되는 영상 등을 재생 또는 기록하는 장치이다. 상기한 영상기기의 대표적인 예가 방송수신장치이다. An image device is a device for reproducing or recording a broadcast, an image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an image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nd the like.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video device is a broadcast receiving device.

종래의 방송수신장치는 클라이언트(client)로서, 업데이트를 위해 외부로부터 정보를 다운로드받거나, 방송신호를 포함하는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수신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Convention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is a client (client), it was common to perform a role as a receiving end to download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for updating, or to receive and reproduce the image including the broadcast signal.

그러나, 방송수신장치의 새로운 기능들이 개발되면서 방송수신장치가 외부기기에 영상 등의 파일을 전송하는 송신단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이러한 환경에서 다른 영상기기에 비해 리소스가 부족한 방송수신장치가 파일 전송에 많은 시간과 메모리를 할당하게 되면, 방송수신장치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as new functions of the broadcast receiving device have been developed, the broadcast receiving device has a role of transmitting end for transmitting a file such as an image to an external device. In such an environment, when a broadcast receiving device that has insufficient resources as compared to other video apparatuses allocates a lot of time and memory to file transmission, a problem occurs that the function of the broadcast receiving device is degraded.

또한, 파일이 전송되고 있는 동안, 사용자는 방송수신장치의 다른 기능을 이 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일의 전송이 완료되기 전에 사용자가 방송수신장치의 다른 기능을 이용하게 되면 파일 전송이 실패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while the file is being transmitted, the user may not only be able to use other functions of the broadcast receiving device, but also when the user uses other functions of the broadcast receiving device before the file transmission is completed. The file transfer may also fai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기기의 기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파일을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transmitting a file without degrading the function of the image device and an image device to which the same is appli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의 파일 전송방법은, 파일이 외부기기로 전송되는 도중 상기 기기의 모드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기기의 모드가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파일의 전송을 계속할 것인지 또는 상기 파일의 전송을 중지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파일의 전송을 계속하는 것으로 선택되면, 상기 파일의 미전송분을 계속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le transfer method of a device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a mode of the device is changed while a file is transferred to an external devic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de of the device has been changed, selecting whether to continue the transmission of the file or to stop the transmission of the file; And if it is selected to continue the transmission of the file, continuing to transmit the untransmitted portion of the file.

그리고, 상기 선택단계는, 상기 기기의 모드가 방송 모드, 대기 모드 및 전원-오프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파일의 전송을 계속하는 것으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electing step,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ode of the device is changed to one of a broadcast mode, a standby mode, and a power-off mode, it is preferable to select to continue transmission of the file.

또한, 상기 기기의 모드가 전원-오프 모드로 변경된 경우, 상기 파일의 전송이 완료된 후 상기 기기의 전원이 오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mode of the device is changed to the power-off mod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wer of the device is turned off after the file transfer is completed.

그리고, 상기 기기의 모드가 방송 모드 및 대기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된 경우, 상기 파일이 전송되는 동안 상기 기기는 상기 변경된 모드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device mode is changed to one of a broadcast mode and a standby mode, the device may perform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mode while the file is being transmitted.

또한, 상기 선택단계는, 상기 기기의 모드가 파일 재생 모드 및 정보 제공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파일의 전송을 중지하는 것으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electing step,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ode of the device is changed to one of a file reproduction mode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mode, the transmission of the file is preferably selected.

그리고, 상기 파일의 전송을 중지하는 것으로 선택되면, 상기 파일의 전송을 중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중지된 파일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if it is selected to stop the transmission of the file, stopping the transmission of the file; And generating information about the file at which the transmission was stopped.

또한, 상기 전송 중지된 파일에 대한 정보는, 전송 중지된 파일 명 및 마지막으로 전송된 파일의 패킷 넘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formation on the file of which transmission has been stoppe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ile name of the file that has been stopped and the packet number of the file that was last transmitted.

그리고, 파일을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송 중지된 파일의 미전송분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le can be transferred to an external device,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untransmitted portion of the file that has been stopped is transmitted.

또한, 상기 파일을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상태는, 상기 기기의 모드가 전송 모드, 방송 모드 및 대기 모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tate in which the file can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is preferably one of a transmission mode, a broadcast mode, and a standby mode.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기기의 파일 전송 방법은, 파일이 외부기기로 전송되는 도중 상기 기기의 모드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기기의 모드가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파일의 전송을 중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중지된 파일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le transmission method of another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the mode of the device is changed while the file is transferred to an external devic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de of the device has been changed, stopping the transmission of the file; And generating information on the file at which the transmission has been stopped.

그리고, 상기 전송 중지된 파일에 대한 정보는, 전송 중지된 파일 명 및 마지막으로 전송된 파일의 패킷 넘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formation on the file of which transmission has been stoppe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ile name of the file which has been stopped and a packet number of the file which was last transmitted.

또한, 상기 파일의 전송을 중지하는 단계는, 상기 기기의 모드가 파일 재생 모드, 정보 제공 모드 및 전원-오프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tep of stopping the transmission of the file is preferably perform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de of the device is changed to any one of a file play mode, an information providing mode and a power-off mode.

그리고, 파일을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송 중지된 파일의 미전송분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le can be transferred to an external device,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untransmitted portion of the file that has been stopped is transmitted.

또한, 상기 파일을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상태는, 상기 기기의 모드가 전송 모드, 방송 모드 및 대기 모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tate in which the file can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is preferably one of a transmission mode, a broadcast mode, and a standby mode.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 전송이 가능한 기기는, 파일을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파일 처리부; 및 파일이 외부기기로 전송되는 도중 상기 기기의 모드가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파일의 전송을 계속할 것인지 또는 상기 파일의 전송을 중지할 것인지를 선택하고, 상기 파일의 전송을 계속하는 것으로 선택하면, 상기 파일의 미전송분이계속하여 전송되도록 상기 파일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a device capable of file transf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ile processing unit for transmitting a file to an external devic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de of the device is changed while the file is being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selecting whether to continue the file transfer or stop the transfer of the file, and selecting to continue the file transfer.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file processing unit so that untransmitted portions of the file are continuously transmitted.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기의 모드가 방송 모드, 대기 모드 및 전원-오프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파일의 전송을 계속하는 것으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de of the device is changed to one of a broadcast mode, a standby mode, and a power-off mode, the controller may select to continue the file transmission.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기의 모드가 전원-오프 모드로 변경된 경우, 상기 파일의 전송이 완료된 후 상기 기기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상기 기기를 제어하 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mode of the device is changed to the power-off mode, the control unit preferably controls the device so that the power of the device is turned off after the transmission of the file is completed.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기의 모드가 방송 모드 및 대기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된 경우, 상기 파일이 전송되는 동안 상기 기기는 상기 변경된 모드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기기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device to perform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mode while the file is transmitted when the mode of the device is changed to one of a broadcast mode and a standby mod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기의 모드가 파일 재생 모드 및 정보 제공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파일의 전송을 중지하는 것으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ode of the device is changed to one of a file reproduction mode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mode, the controller selects to stop the transmission of the file.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일의 전송을 중지하는 것으로 선택하면, 상기 파일의 전송을 중지하고,상기 전송 중지된 파일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도록 상기 파일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control unit selects to stop the transmission of the file, the control unit stops the transmission of the file, and preferably controls the file processing unit to generate information on the stopped file.

또한, 상기 전송 중지된 파일에 대한 정보는, 전송 중지된 파일 명 및 마지막으로 전송된 파일의 패킷 넘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formation on the file of which transmission has been stoppe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ile name of the file that has been stopped and the packet number of the file that was last transmitted.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기가 파일을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송 중지된 파일의 미전송분을 전송하도록 상기 파일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vice is in a state capable of transmitting a file to an external device, the controller preferably controls the file processor to transmit an untransmitted portion of the stopped file.

또한, 상기 파일을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상태는, 상기 기기의 모드가 전송 모드, 방송 모드 및 대기 모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tate in which the file can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is preferably one of a transmission mode, a broadcast mode, and a standby mode.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파일 전송이 가능한 기기는, 파일을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파일 처리부; 및 파일이 외부기기로 전송되는 도중 상기 기기의 모드가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파일의 전송을 중지하고 상기 전송 중지된 파일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도록 상기 파일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other file transfer possible device, File processing unit for transmitting a file to an external devic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file processor to stop transmission of the file and to generate information about the stopped fi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ode of the device is changed while the file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그리고, 상기 전송 중지된 파일에 대한 정보는, 전송 중지된 파일 명 및 마지막으로 전송된 파일의 패킷 넘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formation on the file of which transmission has been stoppe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ile name of the file which has been stopped and a packet number of the file which was last transmitted.

또한, 상기 제어부는,상기 기기가 파일을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송 중지된 파일의 미전송분을 전송하도록 상기 파일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vice is in a state capable of transmitting a file to an external device, the controller preferably controls the file processor to transmit an untransmitted portion of the file that has been stopped.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기의 기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파일을 성공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uccessfully transmit a file without degrading the function of the device.

또한, 파일 전송이 중지된 경우, 기기가 파일을 전송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별도의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지 않더라도 전송되지 않은 파일의 나머지 부분을 전송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file transfer is stopped, when the device is able to transfer the file, the rest of the untransmitted file may be transmitted even if a separate user command is not input,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user.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시스템의 제1 방송수신장치(10)는 메일서버(20), 웹서버(30), PC(personal computer)(40) 및 제2 방송수신장치(50) 등의 외부기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 방송수신장치(10)는 내장 메모리가 없는 카메라(12) 또는 캠코더(14), 메모리 스틱(16) 등의 외부 저장매체와 유무선으로 연결 되어 있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ima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first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10 of the video system includes a mail server 20, a web server 30, a personal computer (PC) 40, a seco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50, and the like. It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of the network. In addition, the first broadcast receiving device 1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storage medium such as a camera 12 or a camcorder 14, a memory stick 16, or the like without a built-in memory by wire or wireless.

그리하여 제1 방송수신장치(10)는 외부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을 수신하여 메일 서버(20) 등의 수신단에 전송할 수 있고, 카메라(12)에서 촬영된 영상 파일을 수신단에 전송할 수도 있다. 제1 방송수신장치(10)가 수신단에 파일을 전송하는 경우,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을 직접 전송할 수도 있지만, 파일 서버(60) 등의 중간 매체를 통해 수신단에 파일을 전송할 수도 있다.Thus, the first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10 may receive a file stored in an external storage medium and transmit the file to the receiving end of the mail server 20 or the like, and may transmit the image fil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2 to the receiving end. When the first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10 transmits a file to the receiver, the file may be directly transmitted through the network, but the file may be transmitted to the receiver through an intermediate medium such as the file server 60.

이와 같이 방송수신장치가 파일을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경우, 방송수신장치의 기능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파일을 성공적으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way, when the broadcast receiving device transmits a file to an external devic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e is successfully transmitted while minimizing the degradation of the function of the broadcast receiving device.

도 2는 송신단 또는 수신단에 해당하는 방송수신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수신장치는, 방송수신부(210), 인터페이스부(220), 제1 파일 처리부(230), 제1 저장부(240), 스위칭부(250), 신호 처리부(260), 신호 출력부(270), 제1 제어부(280) 및 조작부(290)를 포함한다.2 is a block diagram of a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corresponding to a transmitting end or a receiving end. As shown in FIG. 1,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includes a broadcast receiver 210, an interface unit 220, a first file processor 230, a first storage unit 240, a switching unit 250, and a signal processor ( 260, a signal output unit 270, a first control unit 280, and an operation unit 290.

방송수신부(210)는 TV방송을 선국하여 복조한다.The broadcast receiver 210 tunes and demodulates the TV broadcast.

인터페이스부(220)는 방송수신장치가 외부기기와 통신가능하도록 하는 소자로서, 제1 인터페이스부(222), 제2 인터페이스부(224) 및 제3 인터페이스부(226)를 포함한다.The interface unit 220 is a device that enables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and includes a first interface unit 222, a second interface unit 224, and a third interface unit 226.

제1 인터페이스부(222)는 영상 등 파일을 기록하는 기록매체를 내장한 외부 저장매체로부터 파일을 수신하거나, 상기한 외부 저장매체에 파일을 전송한다. 상기한 외부 저장매체는 PC, USB 메모리 스틱, 메모리카드, PVR 등이 있다. The first interface unit 222 receives a file from an external storage medium having a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 file such as an image, or transmits the file to the external storage medium. The external storage medium may be a PC, a USB memory stick, a memory card, a PVR, or the like.

제2 인터페이스부(224)는 기록매체가 내장되어 있지 않은 외부기기로부터 파 일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2 인터페이스부(224)는 내장 메모리가 없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수신한다.The second interface unit 224 receives a file from an external device that does not have a recording medium. For example, the second interface unit 224 receives an image captured by a camera without an internal memory.

제3 인터페이스부(226)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외부기기로 파일을 전송하거나 상기한 외부기기로부터 파일을 수신한다. 네트워크와 연결된 외부기기로는 메일 서버, 메신저 서버, 웹서버, UCC 서버, PC, 방송수신장치 등이 있다.The third interface unit 226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network to transmit a file to or receive a file from the external device.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network include a mail server, a messenger server, a web server, a UCC server, a PC, and a broadcast receiving device.

제1 파일 처리부(230)는 파일을 송신하는 경우 스위칭부(250)로부터 인가받은 파일을 패킷 단위로 제3 인터페이스부(226)로 인가하고, 파일을 수신하는 경우 제3 인터페이스부(226)로부터 인가받은 파일을 패킷 단위로 스위칭부(250)로 인가할 수 있다. When the file is transmitted, the first file processor 230 applies the file, which is received from the switching unit 250, to the third interface unit 226 in packet units, and from the third interface unit 226 when receiving the file. The authorized file may be applied to the switching unit 250 in packet units.

구체적으로, 파일을 송신하는 경우, 제1 파일 처리부(230)는 방송수신장치의 모드가 전송모드인 경우, 파일을 제3 인터페이스부(226)로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방송수신장치의 모드가 변경되는 경우, 제1 파일 처리부(230)는 변경된 모드에 따라 전송되지 않은 파일의 나머지 부분(즉, 미전송분)을 전송 중지 없이 제3 인터페이스부(226)로 인가하거나, 파일 전송을 일시적으로 중지하고 추후 방송수신장치가 파일을 전송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전송되지 않은 파일의 나머지 부분을 전송한다.Specifically, when transmitting a file, when the mode of the broadcast receiving device is a transmission mode, the first file processing unit 230 preferably applies the file to the third interface unit 226. However, when the mode of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is changed, the first file processor 230 transfers the remaining portion (ie, untransmitted) of the untransmitted file to the third interface unit 226 without stopping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changed mode. If it is authorized or temporarily stops file transmission and the broadcast receiving device is able to transmit the file later, the remaining part of the untransmitted file is transmitted.

파일 전송이 일시적으로 중지되는 경우, 제1 파일 처리부(230)는 전송 중지 정보를 패킷에 셋팅하여 제3 인터페이스부(226)로 인가할 뿐만 아니라, 전송 중지된 파일의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한다. 전송 중지 정보는 전송 중지 전 마지막으로 전송되는 패킷의 헤더 영역 중 reservation영역에 특정 플래그(flag)로 기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송 중지 정보는 파일의 패킷을 전송한 후 새롭게 생성된 패킷에 기록될 수 있다. 전송 중지 정보에는 파일의 전송이 중지되었다는 정보 및 전송 중지된 파일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송 중지된 파일의 정보는 파일명 및 마지막 전송된 패킷에 대한 넘버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file transmission is temporarily stopped, the first file processing unit 230 not only sets the transmission stop information in the packet to apply to the third interface unit 226 but also stores the information of the file that has been stopped in the storage unit. . The transmission stop information is preferably recorded as a specific flag in the reservation area of the header area of the last packet transmitted before the transmission stop. In addition, the transmission stop information may be recorded in a newly generated packet after transmitting the packet of the file. Preferably, the transmission stop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transmission of the file is stopped and information about the file that has been stopped. In addition, the information of the file that has been suspended may include a file name and a number of the last transmitted packet.

또한, 파일 전송이 재개되는 경우, 제1 파일 처리부(230)는 전송된 패킷의 다음 패킷에 전송 재개 정보를 셋팅하거나, 전송 재개 전 새롭게 생성된 패킷에 셋팅할 수 있다. 전송 재개 정보는 전송이 재개되었다는 정보 및 전송 중지된 파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file transmission is resumed, the first file processor 230 may set the transmission resumption information in the next packet of the transmitted packet or may set the newly generated packet before resuming transmission. The transmission resume information preferably includes information that the transmission has been resumed and information about the file that has stopped transmission.

본 발명과 관련하여, 방송수신장치의 모드는 방송 모드, 대기 모드, 전원-오프 모드, 와이즈링크(wiselink) 모드, 인포링크(infolink) 모드 등이 있다. 방송 모드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모드이고, 대기 모드는 방송수신장치의 전원이 온되어 있는 상태이나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명령을 받지 않은 상태이며, 전원-오프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전원-오프 명령을 받아 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모드이다.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de of a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includes a broadcast mode, a standby mode, a power-off mode, a wiselink mode, an infolink mode, and the like. The broadcast mode is a mode for receiving and reproducing broadcast signals. The standby mode is a state in which the broadcast receiver is powered on or has not received a separate command from the user. The power-off mode is a power-off command by the user. This mode is to receive and perform the function accordingly.

그리고, 와이즈링크 모드는 메모리 카드 등 외부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음악 등의 파일을 방송수신장치가 수신하여 재생하는 모드이며, 인포링크 모드는 인터넷을 통해 뉴스, 일기예보, 증시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모드이다. 방송수신장치의 모드는 방송 모드, 대기 모드, 전원-오프 모드, 와이즈링크 모드, 인포 링크 모드 이외의 다양한 모드들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한 모드들에 한정하여 설명한다. The WiseLink mode is a mode in which a broadcast receiving device receives and plays a file such as a video or music stored in an external storage medium such as a memory card, and the Infolink mode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news, weather forecast, and stock market via the Internet. It is a mode to provide. Modes of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may include various modes other than the broadcast mode, the standby mode, the power-off mode, the wise link mode, and the info link mod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mode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또한, 파일을 수신하는 경우, 제1 파일 처리부(230)는 제3 인터페이스부(226)로부터 인가받은 파일을 패킷 단위로 제1 저장부(240)에 저장하거나 스위칭부(250)로 인가한다. 파일을 수신하는 동안 파일 수신이 중지되는 경우, 제1 파일 처리부(230)는 파일 수신이 중지된 파일의 정보를 제1 저장부(240)에 저장하고, 파일 수신이 다시 재개되면, 마지막으로 수신된 패킷의 다음 패킷부터 수신하여 제1 저장부(240)에 저장하거나 스위칭부(250)로 인가한다. In addition, when receiving a file, the first file processor 230 stores the file received from the third interface unit 226 in the first storage unit 240 in a packet unit or applies it to the switching unit 250. When the file reception is stopped while receiving the file, the first file processing unit 230 stores the information of the file from which the file reception has been stopped in the first storage unit 240, and when the file reception is resumed, finally receiving the file. The first packet is received from the next packet and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240 or applied to the switching unit 250.

스위칭부(250)는 방송수신부(210), 인터페이스부(220)의 출력들 중 어느 하나가 신호 처리부(260)로 인가되도록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거나, 방송수신부(210)가 수신한 신호를 신호 처리부(260)로 인가하면서 제1 인터페이스부(222) 또는 제2 인터페이스부(224)가 수신한 신호를 제1 파일 처리부(230)로 인가되도록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스위칭부(250)의 스위칭동작은 제1 제어부(280)의 제어에 따른다.The switching unit 250 performs a switching operation so that any one of the outputs of the broadcast receiving unit 210 and the interface unit 220 is applied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260, or the signal processing unit receives the signal received by the broadcast receiving unit 210. In operation 260, the switching operation is performed to apply the signal received by the first interface unit 222 or the second interface unit 224 to the first file processor 230.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ing unit 250 is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control unit 280.

신호 처리부(260)는 스위칭부(250)로부터 인가받은 오디오 신호를 출력가능하도록 신호처리하는 오디오 처리부(262) 및 스위칭부(250)로부터 인가받은 비디오 신호를 출력가능하도록 신호처리하는 비디오 처리부(264)를 포함한다.The signal processor 260 may signal the audio processor 262 for processing the audio signal received from the switching unit 250 and the video processor 264 for signal processing the video signal received from the switching unit 250. ).

또한, 신호 출력부(270)는 오디오 처리부(262)를 통해 신호 처리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272) 및 비디오 처리부(264)를 통해 신호 처리된 비디오 신호를 표시하는 비디오 출력부(274)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ignal output unit 270 may include an audio output unit 272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signal processed through the audio processor 262 and a video output unit for displaying a video signal processed through the video processor 264. 274).

제1 제어부(280)는 후술할 조작부(290)로부터 인가받은 사용자 명령을 판단 하여 방송수신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1 제어부(280)는 조작부(29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기초하여 본 방송수신장치의 모드를 판단한다. 방송수신장치의 모드가 전송모드인 경우, 제1 제어부(280)는 파일이 외부기기로 전송되도록 방송수신장치의 여러 기능블럭들을 제어한다. 그러나 파일이 전송되고 있는 도중 방송수신장치의 모드를 변경시키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1 제어부(280)는 변경된 모드의 종류를 판단하여, 변경된 모드에 따라 파일 전송방식을 다르게 하여 파일이 전송되도록 제1 파일 처리부(230)를 제어한다.The first control unit 280 determines the user command received from the operation unit 290 to be described lat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In particular, the first controller 280 determines the mode of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based on a user command input through the manipulation unit 290. When the mode of the broadcast receiving device is a transmission mode, the first controller 280 controls various functional blocks of the broadcast receiving device so that a file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However, when a user command to change the mode of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is input while the file is being transmitted, the first controller 280 determines the type of the changed mode, so that the file is transmitted by changing the file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the changed mode. The first file processor 230 is controlled.

조작부(290)는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받아 제1 제어부(280)로 전달하는 장치로서, 방송수신장치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조작은 메뉴화면을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조작부(290)는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리모컨과 리모컨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제1 제어부(280)로 전달하는 수광부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operation unit 290 is a device that receives a user's operation command and transmits it to the first control unit 280, and may be provided as an integrated type or a separate type from the broadcast receiving device. In addition, the operation may be implemented as a user interface for inputting a user command through a menu screen. In addition, the operation unit 290 may be implemented as a light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the remote control for inputting the user's operation command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remote control to the first control unit 280.

이하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방송수신장치의 모드에 따라 파일을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transmitting a file according to the mode of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shown in FIG.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이 전송되는 도중, 송신단인 방송수신장치의 모드가 변경된 경우, 파일의 미전송분을 전송하는 과정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provided in a process of transmitting an untransmitted portion of a file when a mode of a broadcast receiving device, which is a transmitting end, is changed while a file is being transmit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제1 제어부(280)는 방송수신장치의 모드가 전송모드인지 판단한다(S305). First, the first controller 280 determines whether the mode of the broadcast receiving device is a transmission mode (S305).

전송모드에서(S305-Y), 사용자는 조작부(290)를 통해 전송할 파일 및 파일을 전송할 외부기기를 선택한다(S310).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방송수신장치의 표시부를 보면서 전송할 파일 및 파일을 전송할 외부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In the transmission mode (S305-Y), the user selects a file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operation unit 290 and an external device to transmit the file (S310). In more detail, the user may select a file to be transmitted and an external device to which the file is to be transmitted while viewing the display unit of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제1 제어부(280)는 전송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다(S315). 사용자는 전송할 파일 및 파일을 전송할 외부기기를 선택한 후 조작부(290)에 마련되어 있는 확인 버튼 또는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확인 또는 전송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전송 명령을 입력한다.The first controller 280 determines whether a transmission command has been input (S315). The user selects a file to be transmitted and an external device to which the file is to be transmitted, and then inputs a transmission command by selecting a confirmation button provided on the operation unit 290 or a confirmation or transmission butt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전송 명령에 따라 방송수신장치는 파일을 외부기기로 전송한다(S320).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command, the broadcast receiving device transmits a file to an external device (S320).

한편, 제1 제어부(280)는 전송이 완료되기 전에 즉, 파일이 전송되고 있는 도중(S325-N), 방송수신장치의 모드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한다(S330). 사용자는 파일의 전송이 완료된 후 방송수신장치의 모드를 변경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사용자는 파일이 전송되는 도중 방송을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 방송수신장치의 모드를 방송모드로 변경할 수도 있고, 방송수신장치의 전원을 끄는 전원-오프 모드로 변경할 수도 있으며, 외부기기에 저장된 다른 파일을 재생하는 와이즈링크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control unit 280 determines whether the mode of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is changed before transmission is completed, that is, while the file is being transmitted (S325-N) (S330). It is common for a user to change a mode of a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fter file transmission is completed. However, when a user wants to watch a broadcast while a file is being transmitted, the user may change the mode of the broadcast receiving device to the broadcast mode, or may change the power to a power-off mode in which the broadcast receiving device is turned off. You can change to the wise link mode to play the.

방송수신장치의 모드가 전원-오프 모드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S335-Y), 제1 제어부(280)는 전송중인 파일을 중지없이 연속하여 전송하도록 방송수신장치의 여러 기능블럭들을 제어한다(S34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de of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is changed to the power-off mode (S335-Y), the first control unit 280 controls various functional blocks of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to continuously transmit the file being transmitted without interruption (S340). ).

그리고, 전송이 완료되면(S354-Y), 제1 제어부(280)는 방송수신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킨다(S350). 이때 방송수신장치는 '파일 전송 후 자동으로 전원이 오프된 다'는 메시지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파일이 전송되고 있음을 인지하게 할 수 있다. When the transmission is completed (S354-Y), the first control unit 280 turns off the power of the broadcast receiving device (S350). In this case, the broadcast receiving device may provide a message that the power is automatically turned off after the file is transmitted, so that the user may recognize that the file is being transmitted.

방송수신장치의 모드가 방송 모드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S355-Y), 제1 제어부(280)는 방송을 수신하여 재생하면서 파일을 중지없이 연속하여 전송하도록 방송수신장치의 여러 기능블럭들을 제어한다(S360). 실질적으로, 방송을 재생하는 경우 방송수신장치의 로드(load)가 적게 발생하기 때문에, 방송수신장치는 방송을 재생하면서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스위칭부(250)는 방송수신부(210)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를 신호 처리부(260)로 인가하면서 동시에 제1 또는 제2 인터페이스부(222)(224)로부터 수신된 파일을 제1 파일 처리부(230)로 인가한다. 그리고, 제1 파일 처리부(230)는 파일을 끊김없이 패킷단위로 제3 인터페이스부(226)로 인가하고, 제3 인터페이스부(226)는 선택된 외부기기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de of the broadcast receiver is changed to the broadcast mode (S355-Y), the first control unit 280 controls various functional blocks of the broadcast receiver to continuously transmit files without stopping while receiving and playing the broadcast. (S360). Substantially, since a load of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is less generated when playing a broadcast,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can transmit a file while playing the broadcast. In this case, the switching unit 250 applies the broadcast signal received from the broadcast receiving unit 210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260 and simultaneously receives the file received from the first or second interface unit 222 and 224. Apply to the file processing unit 230. The first file processor 230 applies the file to the third interface unit 226 without a packet, and the third interface unit 226 transmits the file to the selected external device through the network.

그리고, 파일 전송이 완료되면(S365-Y), 방송수신장치는 방송만을 수신하여 재생한다(S370). When the file transfer is completed (S365-Y), the broadcast receiving device receives and plays only the broadcast (S370).

또한, 방송수신장치의 모드가 대기 모드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S375-Y), 제1 제어부(280)는 파일을 중지없이 전송하도록 방송수신장치를 제어한다(S380). 대기 모드는 전원이 온되어 있으나, 방송수신장치가 특정 기능을 수행하지 않은 상태에 있기 때문에 제1 제어부(280)는 파일 전송이 완료될 때까지 파일이 연속적으로 전송한다. 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de of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is changed to the standby mode (S375-Y), the first controller 280 controls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to transmit the file without stopping (S380). In the standby mode, the power is on. However, since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does not perform a specific function, the first controller 280 continuously transmits the files until the file transfer is completed.

그리고, 파일 전송이 완료되면(S385-Y), 방송수신장치는 어떠한 기능도 수행 하지 않은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S390).When the file transfer is completed (S385-Y),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maintains a standby state in which no function is performed (S390).

한편, 방송수신장치의 모드가 전원-오프 모드, 방송 모드, 대기 모드가 아닌 기타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S395-Y), 파일 전송을 일시 중지하고, 추후 파일 전송을 재개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de of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is a power-off mode, a broadcast mode, or any other mode other than the standby mode (S395-Y), the file transmission is paused and file transmission is resumed later.

도 3에서는, 전송 모드내에서 파일을 전송한다고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파일 전송 명령을 입력하면 전송 모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In FIG. 3, the file is transferred in the transfer mo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f a file transfer command is input,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file is in the transfer mod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 전송을 일시 중지하고, 전송을 재개하는 과정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provided in a process of pausing a file transmission and resuming the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기타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S395-Y), 제1 제어부(280)는 파일 전송을 일시 중지할 것을 제1 파일 처리부(230)에 요청하고, 제1 파일 처리부(230)는 파일 중 마지막으로 전송되는 패킷 이후에 전송 중지 정보를 셋팅한 패킷을 전송한다(S410). 전송 중지 정보는 파일의 전송이 완료되지 않았다는 정보 및 파일 명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송 중지 정보는 파일 중 마지막으로 전송되는 파일의 패킷의 헤더영역 중 reservation 영역에 특정 플래그로 기록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If it is determined in the other mode (S395-Y), the first controller 280 requests the first file processor 230 to suspend file transfer, and the first file processor 230 transmits the last of the files. After the packet is transmitted, a packet in which transmission stop information is set is transmitted (S410). The transfer stop information preferably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file transfer is not completed, a file nam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transmission stop information may be recorded as a specific flag in the reservation area of the header area of the packet of the file transmitted last of the file.

그리고, 제1 파일 처리부(230)는 전송 중지된 파일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한다(S420). 전송 중지된 파일에 대한 정보에는 파일명 및 마지막으로 전송된 패킷의 넘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peration S420, the first file processor 230 stores information about a file whose transmission has been stopped. The information on the file that has been stopped is preferably included in the file name and the number of the last packet transmitted.

한편, 제1 제어부(280)는 방송수신장치의 모드가 전송 모드, 방송 모드, 전원-오프 모드 및 대기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되었는지 판단한다(S430). 사용자 는 와이즈링크 모드를 통해 외부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을 재생시켜 보다가 전원-오프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제1 제어부(280)는 방송수신장치의 모드가 전원-오프 모드로 변경되었다고 판단한다.Meanwhile, the first controller 280 determines whether the mode of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is changed to one of a transmission mode, a broadcast mode, a power-off mode, and a standby mode (S430). The user can enter a power-off command by playing a file stored in an external storage medium through the wise link mode. At this time, the first controller 280 determines that the mode of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is changed to the power-off mode.

방송수신장치의 모드가 전송 모드, 방송 모드, 전원-오프 모드 및 대기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되면(S430-Y), 제1 제어부(280)는 기존에 파일을 수신받았던 외부기기의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3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한다(S440). When the mode of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is changed to any one of a transmission mode, a broadcasting mode, a power-off mode, and a standby mode (S430-Y), the first controller 280 checks the state of an external device that has previously received a file. Data is transmitted through the third interface (S440).

외부기기가 수신 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S450-Y), 제1 제어부(280)는 제1 파일 처리부(230)가 전송을 재개할 것을 요청하고, 제1 파일 처리부(230)는 전송 재개 정보를 셋팅한 패킷을 생성하여 제3 인터페이스부(226)를 통해 외부기기로 전송한다(S460). 이때, 전송 재개 정보는 전송 완료되지 않은 파일의 나머지 부분을 전송한다는 정보 및 파일 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xternal device is in a reception possible state (S450-Y), the first control unit 280 requests the first file processing unit 230 to resume transmission, and the first file processing unit 230 transmits information on resuming transmission. Generates the packet set and transmits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third interface unit 226 (S460). At this time, the transmission resumption information preferably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the transmission of the remaining part of the file which has not been transmitted and the file name.

그후, 제1 파일 처리부(230)는 전송 완료되지 않은 파일의 나머지 부분을 전송하는데, 중지 전 마지막으로 전송된 패킷의 다음 패킷부터 순차적으로 전송한다(S470). 이때, 전송 재개 정보는 마지막으로 전송된 패킷의 다음 패킷에 셋팅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 Thereafter, the first file processor 230 transmits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file that has not been transmitted, and sequentially transmits the next packet of the last transmitted packet before stopping (S470). At this time, the transmission resume information may also be set to the next packet of the last transmitted packet.

이와 같이, 방송수신장치는 와이즈링크 모드나 인포링크 모드 등의 모드를 수행하면 로드가 크게 발생하게 된다. 그리하여, 방송수신장치는 파일 전송을 일시적으로 중지하고 와이즈링크 모드나 인포링크 모드에 따른 기능을 우선 수행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러나, 대기 모드, 방송 모드, 전원-오 프 모드인 경우 로드가 적게 발생하기 때문에, 방송수신장치는 파일 전송과 함께 방송을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파일 전송을 우선적으로 수행한 후 변경된 모드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여, 파일 전송이 중지됨으로써 파일을 재전송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시킨다.As such, when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performs a mode such as a wise link mode or an info link mode, a load is greatly generated. Thus,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temporarily stops file transmission and first performs a function according to the wise link mode or the info link mode, thereby efficiently performing the function. However, in the standby mode, the broadcast mode, and the power-off mode, since the load is less generated,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performs a function of playing a broadcast together with the file transfer, or preferentially performs a file transfer to the changed mode. By performing the function,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retransmit the file is eliminated by stopping the file transfer.

본 실시예에서는 전송 모드, 대기 모드, 방송 모드 및 전원-오프 모드인 경우, 파일을 연속하여 전송할 수 있고, 이외의 모드에서는 파일을 일시 중지한 다음 전송이 가능한 모드로 방송수신장치의 모드가 변경된 경우, 파일의 미전송분을 전송한다고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파일의 계속 전송은 방송수신장치가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로드가 적게 발생하는 경우에는 어떠한 모드에서도 가능한다. 뿐만 아니라, 전원-오프 모드인 경우, 파일 전송을 중지하고, 추후 방송수신장치가 전원-온이 되면 파일의 미전송분을 전송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transmission mode, the standby mode, the broadcast mode, and the power-off mode, the file can be continuously transmitted. In other modes, the mode of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is changed to a mode in which the file is paused and then transmitted. In this case, the untransmitted portion of the file is transmit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continuous transmission of the file can be performed in any mode when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performs a function and there is less load. In addition, in the power-off mode, the file transfer may be stopped, and the untransmitted portion of the file may be transmitted when the broadcast receiver is powered on later.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단인 방송수신장치가 파일을 수신 도중, 파일 전송이 일시 중지되었다가 재개되는 과정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provided to a process in which a file transmission is paused and resumed while a broadcast receiving device as a receiving end receives a f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방송수신장치는 파일의 패킷을 수신받는다(S510). 그리고, 수신된 패킷을 방송수신장치내의 저장부 또는 방송수신장치와 연결된 외부 저장매체에 저장한다.First, the broadcast receiving device receives a packet of a file (S510). The received packet is stored in a storage unit in a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or an external storage medium connected to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한편, 방송수신장치는 수신된 패킷에 전송 중지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520). 구체적으로, 제1 파일 처리부(230)는 제3 인터페이스가 수신한 패킷을 파싱하여 전송 중지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broadcast receiving device determines whether transmission stop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received packet (S520). In detail, the first file processor 230 parses a packet received by the third interface and determines whether transmission stop information is included.

전송 중지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되면(S520-Y), 제1 파일 처리부(230) 는 수신 중지된 파일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한다(S530). 수신 중지된 파일에 대한 정보는 파일 명 및 마지막으로 수신받은 패킷에 대한 넘버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mission stop information is included (S520-Y), the first file processor 230 stores information about the file that has been stopped in the storage unit (S530). The information on the file that has been stopped is preferably included in the file name and the number of the last received packet.

파일 전송이 중지된 후 방송수신장치는 다시 패킷을 수신받고, 수신된 패킷에 전송 재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540).After the file transmission is stopped, the broadcast receiving device receives the packet again, and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ed packet includes resumption of transmission information (S540).

전송 재개 정보가 포함되었다고 판단되면(S540-Y), 그 다음 수신된 패킷을 전송이 중지되기 전 마지막으로 수신된 패킷의 다음 패킷으로 인식하고, 수신된 패킷을 중지되기 전 마지막으로 수신된 패킷에 연속하여 수신한다(S550).If it is determined that transmission resume information is included (S540-Y), the next received packet is recognized as the next packet of the last received packet before the transmission is stopped, and the received packet is included in the last received packet before the transmission is stopped. Receive continuously (S550).

이와 같이, 수신단인 방송수신장치는 파일 전송 중에 전송이 중지되었다 하더라도 수신받은 파일을 삭제하지 않고 저장하며, 전송이 재개될 때 마지막으로 수신된 패킷의 다음 패킷부터 수신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기전송된 패킷을 반복적으로 수신할 필요가 없다. As such,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s a receiving end stores the received file without deleting the received file even if the transmission is stopped during the file transmission, and when the transmission is resumed, it receives and stores the next packet after the last received packet. There is no need to receive it repeatedly.

송신단으로부터 수신단으로 파일이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 전송될 수도 있다. 그러나, 파일은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에 중간 매체인 파일 서버(60)를 통해 전송되는 경우도 상정할 수 있다. 송신단으로부터 수신단으로 파일이 중지되지 않고 전송되는 경우, 파일 서버(60)는 단순히 파일을 수신받아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수신단이 전송 중지 정보 및 전송 재개 정보를 처리하여 중지된 파일을 연결하여 수신하는 기능(이하 '이어 수신 기능'이라고 한다)을 가지는 경우에도 파일 서버(60)는 단순히 파일을 수신받아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여도 무방하다.The file may be sent directly from the transmitting end to the receiving end over the network. However, it can also be assumed that the file is transmitted through the file server 60 which is an intermediate medium between the transmitting end and the receiving end. When the file is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end to the receiving end without stopping, the file server 60 may simply perform the function of receiving and transmitting the file. In addition, even when the receiving end has a function of processing the transmission stop information and the transmission resumption information to connect and stop the suspended fi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ar reception function'), the file server 60 simply receives and transmits the file. You may also perform a function.

그러나, 전송 중지 정보 및 전송 재개 정보를 처리하여 중지된 파일을 연결하여 송신하는 기능(이하 '이어 송신 기능'이라고 한다)을 갖지 않은 송신단이 파일의 패킷 전송을 중지하거나, 이어 수신 기능을 갖지 않은 수신단이 파일을 수신받는 경우, 파일 서버(60)는 파일을 적절한 방법으로 송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a transmitting end that does not have the function of processing the transmission stop information and the transmission resumption information to connect and transmit the stopped fi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ar transmission function') stops packet transmission of the file or subsequently does not have a reception function. When the receiving end receives the file, the file server 60 preferably transmits and receives the file in an appropriate manner.

이하에서는, 파일 서버(60)가 파일을 적절한 방법으로 송수신하는 방법에 대해,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in which the file server 60 transmits and receives a file in an appropriate mann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 서버(60)의 블럭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서버(60)는 수신부(610), 송신부(620), 제2 저장부(630), 제2 파일 처리부(640) 및 제2 제어부(650)를 포함한다.6 is a block diagram of a file server 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FIG. 6, the file server 60 includes a receiver 610, a transmitter 620, a second storage unit 630, a second file processor 640, and a second controller 650.

수신부(610)는 송신단으로부터 파일을 패킷 단위로 수신하여 제2 파일 처리부(640)로 인가하고, 송신부(620)는 제2 파일 처리부(640)에서 인가받는 파일을 패킷 단위로 수신단으로 송신한다.The receiver 610 receives a file from the transmitter in a packet unit and applies it to the second file processor 640, and the transmitter 620 transmits a file received from the second file processor 640 to the receiver in a packet unit.

제2 파일 처리부(640)는 후술할 제2 제어부(650)의 제어에 따라, 수신된 파일을 송신부(620)로 인가하거나 제2 저장부(630)에 저장한다. 또한, 파일의 수신 중에 파일 전송이 중지되는 경우, 제2 파일 처리부(640)는 전송 중지 정보가 포함된 패킷을 생성하여 송신부(620)로 인가하고 전송 중지된 파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파일이 재개된 경우, 제2 파일 처리부(640)는 전송 재개 정보를 포함한 패킷을 생성하여 송신부(620)로 인가한다. 뿐만 아니라, 제2 파일 처리부(640)는 파일 전체가 수신될 때까지 파일을 수신하여 제2 저장부(630)에 저장하였다가 파일 전체가 수신되면, 다시 제2 저장부(630)에 저장된 파일을 독출하여 송 신부(620)로 인가할 수도 있다.The second file processor 640 applies the received file to the transmitter 620 or stores the received file under the control of the second controller 650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when the file transfer is stopped while receiving the file, the second file processor 640 generates a packet including the transfer stop information, applies the packet to the transmitter 620, and stores information about the file that has been stopped. When the file is resumed, the second file processor 640 generates a packet including the transmission resume information and applies the packet to the transmitter 620. In addition, the second file processing unit 640 receives the file until the entire file is received and stores the file in the second storage unit 630, and when the entire file is received, the file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630 again. This may be read and applied to the bride 620.

제2 제어부(650)는 파일 서버(6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특히, 송신단 또는 수신단의 이어 송신 또는 수신 기능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한 이어 송신 또는 수신 기능을 판단함에 있어서, 파일 서버(60)에 등록된 외부기기의 스팩을 참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스팩은 기기의 시리얼 번호, 제품명에 기기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는 외부기기에 이어 송신 또는 수신 기능을 갖추고 있는지 문의할 수 있다. 그 밖에 다른 방식으로 이어 송신 또는 수신 기능을 판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second control unit 650 controls the overall function of the file server 60. In particular, it is checked whether there is a function of subsequently transmitting or receiving the transmitting end or the receiving end. In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or reception function, the specification of the external device registered in the file server 60 may be referred to. The above specification preferably includes the function of the device in the serial number and product name of the device. 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inquire whether a transmission or reception function is provided after the external device. Of course, the transmission or reception function may be determined in other ways.

송신단 및 수신단이 각각 이어 송신 및 수신 기능이 있다고 판단되면, 제2 제어부(650)는 송신단으로부터 수신된 파일을 별도의 처리없이 수신단에 전달하도록 기능블럭들을 제어한다. 그러나, 이어 송신 또는 수신 기능이 없다고 판단되면, 제2 제어부(650)는 제2 파일 처리부(640)가 적응적으로 파일을 처리하도록 제어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mitting end and the receiving end have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nctions, respectively, the second control unit 650 controls the function blocks to deliver the file received from the transmitting end to the receiving end without any additional processing. 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transmission or reception function, the second control unit 650 controls the second file processing unit 640 to process the file adaptively.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단이 이어 송신 기능이 없는 경우, 파일 서버(60)가 파일을 송수신하는 과정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7 is a flowchart provided to a file server 60 in a process of transmitting / receiving a file when a transmitter has no transmiss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파일 서버(60)는 송신단으로부터 파일을 패킷 단위로 수신하여 수신단으로 송신한다(S710).First, the file server 60 receives a file from the transmitter in packet units and transmits the file to the receiver (S710).

한편, 파일 수신 완료 전에 파일 수신이 중지되었는지 판단한다(S720). 일반적으로 파일 종료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패킷을 수신받으면 파일 서버(60)는 파일 수신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한다. 그러나, 파일 종료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패 킷을 수신받았으나 일정 시간 경과 후 다음 패킷을 수신받지 못한 경우, 제2 제어부(650)는 파일 수신이 중지되었다고 판단한다.On the other h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ile reception is stopped before the file reception is completed (S720). In general, upon receiving a packet including file termination information, the file server 60 determines that the file reception is completed. However, when a packet is received that does not include the file termination information but the next packet is not received after a certain time, the second controller 650 determines that the file reception is stopped.

파일 수신이 중지되었다고 판단되면(S730-Y), 제2 제어부(650)는 중지된 파일에 대한 정보가 생성되어 제2 저장부(630)에 저장되도록 제2 파일 처리부(640)를 제어한다(S740). 중지된 파일에 대한 정보는 파일 명 및 마지막으로 수신된 패킷에 대한 넘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 파일 처리부(640)는 전송 중지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송 중지 정보는 수신단으로 송신된다.If it is determined that file reception is stopped (S730-Y), the second control unit 650 controls the second file processing unit 640 to generate information about the stopped file and store the information in the second storage unit 630 ( S740). The information about the suspended file preferably includes the file name and the number for the last received packet. In this case, the second file processor 640 generates the transmission stop information, and the generated transmission stop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end.

한편, 파일 수신이 가능하면(S750), 제2 제어부(650)는 송신단에 중지된 파일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면서 파일 중 마지막으로 수신된 패킷의 다음 패킷에 대한 전송을 요청한다(S760).On the other hand, if the file can be received (S750), the second control unit 650 transmits the information about the suspended file to the transmitting end and requests transmission of the next packet of the last received packet among the files (S760).

그리고, 제2 파일 처리부(640)는 상기한 다음 패킷부터 수신하여 송신단으로 송신한다(S770). 상기한 다음 패킷을 송신하기에 앞서, 제2 파일 처리부(640)는 전송 재개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단으로 송신한다. In operation S770, the second file processor 640 receives the next packet and transmits it to the transmitter. Prior to transmitting the next packet, the second file processing unit 640 generates the transmission resump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transmitter.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단이 이어 수신 기능이 없는 경우, 파일 서버(60)가 파일을 송수신하는 과정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8 is a flowchart provided to a file server 60 in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file when the receiving end has no receiv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파일 서버(60)는 송신단으로부터 파일을 패킷 단위로 수신하여 제2 저장부(630)에 저장한다(S810).First, the file server 60 receives a file from the transmitter in a packet unit and stores it in the second storage unit 630 (S810).

파일 수신 완료 전에 파일 수신이 중지되었다고 판단되면(S820-N, S830-Y), 제2 제어부(650)는 중지된 파일에 대한 정보가 생성되어 제2 저장부(630)에 저장되도록 제2 파일 처리부(640)를 제어한다(S835). If it is determined that file reception is stopped before the file reception is completed (S820-N, S830-Y), the second controller 650 generates information about the stopped file and stores the second file so that the second file is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630. The processor 640 is controlled (S835).

파일 수신이 가능하면(S840-Y), 제2 제어부(650)는 마지막으로 수신된 패킷의 다음 패킷을 수신하여 저장한다(S845).If the file reception is possible (S840-Y), the second control unit 650 receives and stores the next packet of the last received packet (S845).

그리고, 파일 수신이 완료되면(S850-Y), 제2 파일 처리부(640)는 제2 저장부(630)에 저장되어 있는 패킷을 독출하여 수신단으로 송신하며(S855), 파일 송신이 완료되면(S860), 제2 저장부(630)에 저장된 파일을 삭제한다(S865). When the file reception is completed (S850-Y), the second file processing unit 640 reads the packet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630 and transmits the packet to the receiving end (S855). In operation S860, the file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630 is deleted (S865).

이와 같이, 파일 서버(60)는 파일이 송수신되는 도중 파일 전송이 중지된다 하더라도, 사용자의 추가적인 명령이 없어도, 송수신단의 파일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에 있게 되면, 파일 전송을 완료시키기 때문에 파일이 성공적으로 전송된다.As such, even if the file transfer is stopped while the file is being transmitted or received, the file server 60 completes the file transfer if the file is transmitted / received by the transmitter / receiver even without an additional command from the user. Is sent.

도 8에서, 수신단이 이어 수신 기능이 없는 경우, 파일 서버(60)는 송신단으로 파일을 수신완료한 후 수신단으로 파일을 전송한다고 하였는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파일 서버(60)는 송신단으로부터 파일을 수신하여 저장과 동시에 수신단으로 파일을 전송한다. 파일 전송 중 파일 전송이 중지되면, 파일 서버(60)는 수신받은 파일의 일부를 저장하지만, 수신단은 상기한 파일의 일부를 삭제한다. 그리고, 파일 전송이 재개되면, 파일 서버(60)는 마지막으로 수신된 패킷의 다음 패킷부터 수신하면서 파일의 첫번째 패킷부터 수신단에 송신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In FIG. 8, when the receiving end has no receiving function, the file server 60 transmits the file to the receiving end after receiving the file to the transmitting en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le server 60 receives the file from the transmitting end and simultaneously stores the file and transmits the file to the receiving end. If the file transfer is stopped during the file transfer, the file server 60 stores a part of the received file, but the receiver deletes the part of the file. When the file transfer is resumed, the file server 60 may transmit the first packet of the file to the receiving end while receiving the next packet of the last received packet.

또한, 송신단 및 수신단이 모두 이어 송신 및 수신 기능이 없는 경우, 파일 서버(6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을 송수신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In addition, when both the transmitting end and the receiving end have no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nctions, the file server 60 may also transmit and receive files as shown in FIGS. 7 and 8.

실시예에서 파일 서버(60)를 방송수신장치와 별도의 기기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방송수신장치는 방송수신장치에 내장된 저장부로부터 파일 을 독출하여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도 있고, 외부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 수신받아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한 파일 서버(60)의 기능은 방송수신장치의 기능일 수도 있다. In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file server 60 is described as a separate device from the broadcast receiving dev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broadcast receiving device may read a file from a storage unit built in the broadcast receiving device and transmit the file to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 a file stored in an external recording medium and transmit the file to an external device. In this case, the function of the file server 60 may be a function of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지금까지, 파일 전송이 중지된 경우, 기기의 모드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파일 전송을 완료하는 방법 및 송수신단의 이어 전송 기능 여부에 따라 파일 전송을 완료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그리고, 이 방법이 적용되는 기기로서, 방송수신이 가능한 영상기기를 언급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기는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기기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따라서, 기기에는 TV, 셋탑박스, DVD재생기기, DVD기록기기, VCR(Video Cassette Recorder), 멀티미디어 재생기기, 동영상 재생기기, CD(Compact Disk) 재생기기, CD 기록기기, MP3플레이어, 모바일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오디오시스템과 같은 기기와 이들을 선택적으로 통합한 복합(Combination) 기기의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Until now, when the file transfer is stopped, the method of completing the file transfer in a different manner according to the mode of the device, the method of completing the file transfer according to whether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terminal, and the video device to which the same has been described. As a device to which the method is applied, a video device capable of receiving broadcasts is mentioned. However, such a device is only an example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re is no limitation in the kind of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refore, the apparatus includes a TV, a set-top box, a DVD player, a DVD recorder, a VCR (Video Cassette Recorder), a multimedia player, a video player, a CD (Compact Disk) player, a CD recorder, an MP3 player, a mobile phone,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devices such as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nd audio systems, and combination devices that selectively integrate them.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시스템의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of an ima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송신단 또는 수신단에 해당하는 방송수신장치의 블럭도,2 is a block diagram of a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corresponding to a transmitting end or a receiving en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단 측에서, 파일이 전송되는 도중 방송수신장치의 모드가 변경된 경우, 파일의 미전송분을 전송하는 과정에 제공되는 흐름도,3 is a flowchart provided in a process of transmitting an untransmitted portion of a file when a mode of a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is changed while a file is being transmitted at the transmitting e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단 측에서, 파일 전송을 일시 중지하고, 전송을 재개하는 과정에 제공되는 흐름도,4 is a flowchart provided in a process of pausing a file transmission and resuming the transmission at the transmitting e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단인 방송수신장치가 파일을 수신 도중, 파일 전송이 일시 중지되었다고 재개되는 과정에 제공되는 흐름도,5 is a flowchart provided in a process of resuming that a file transmission is paused while a broadcast receiving device as a receiving end receives a f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 서버의 블럭도, 6 is a block diagram of a fil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단이 이어 송신 기능이 없는 경우, 파일 서버가 파일을 송수신하는 과정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7 is a flowchart provided in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file by a file server when a transmitting end has no transmiss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단이 이어 수신 기능이 없는 경우, 파일 서버가 파일을 송수신하는 과정에 제공되는 흐름도.8 is a flowchart provided in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file by a file server when the receiving end has no receiv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210: 방송수신부 220: 인터페이스부210: broadcast receiving unit 220: interface unit

230: 제1 파일 처리부 240: 제1 저장부230: First file processing unit 240: First storage unit

250: 스위칭부 260: 신호 처리부250: switching unit 260: signal processing unit

270: 신호 출력부 280: 제1 제어부 270: signal output unit 280: first control unit

610: 수신부 620: 송신부 610: receiver 620: transmitter

630: 제2 저장부 640: 제2 파일 처리부 630: second storage unit 640: second file processing unit

650: 제2 제어부 650: second control unit

Claims (26)

기기의 파일 전송방법에 있어서,In the file transfer method of the device, 파일이 외부기기로 전송되는 도중 상기 기기의 모드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whether a mode of the device is changed while a file is being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상기 기기의 모드가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파일의 전송을 계속할 것인지 또는 상기 파일의 전송을 중지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단계; 및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de of the device has been changed, selecting whether to continue the transmission of the file or to stop the transmission of the file; And 상기 파일의 전송을 계속하는 것으로 선택되면, 상기 파일의 미전송분을 계속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파일 전송방법. And continuing to transmit the untransmitted portion of the file if it is selected to continue the transmission of the fil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선택단계는,The selection step, 상기 기기의 모드가 방송 모드, 대기 모드 및 전원-오프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파일의 전송을 계속하는 것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파일 전송방법.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de of the device is changed to one of a broadcast mode, a standby mode, and a power-off mode, selecting to continue the file transfer.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기기의 모드가 전원-오프 모드로 변경된 경우, 상기 파일의 전송이 완료된 후 상기 기기의 전원이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파일 전송방법. When the mode of the device is changed to a power-off mode, the device is powered off after the file transfer is completed.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기기의 모드가 방송 모드 및 대기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된 경우, 상기 파일이 전송되는 동안 상기 기기는 상기 변경된 모드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파일 전송방법.And when the device mode is changed to one of a broadcast mode and a standby mode, while the file is being transmitted, the device perform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mod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선택단계는, The selection step, 상기 기기의 모드가 파일 재생 모드 및 정보 제공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파일의 전송을 중지하는 것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파일 전송방법.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de of the device is changed to one of a file play mode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mode, selecting to stop the file transmission.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파일의 전송을 중지하는 것으로 선택되면, 상기 파일의 전송을 중지하는 단계; 및 If selected to stop the transfer of the file, stopping the transfer of the file; And 상기 전송 중지된 파일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파일 전송방법.And generating information about the file at which the transfer has been stopped.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전송 중지된 파일에 대한 정보는,Information about the file is stopped, 전송 중지된 파일 명 및 마지막으로 전송된 파일의 패킷 넘버 중 적어도 하 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파일 전송방법.And at least one of a file name of a file that has been stopped and a packet number of a file that was last transmitted.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파일을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송 중지된 파일의 미전송분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파일 전송방법.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le can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transmitting the untransmitted portion of the file that has been stopped.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파일을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상태는,The state in which the file can be transferred to an external device, 상기 기기의 모드가 전송 모드, 방송 모드 및 대기 모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파일 전송방법. And a mode of the device is one of a transmission mode, a broadcast mode, and a standby mode. 기기의 파일 전송방법에 있어서,In the file transfer method of the device, 파일이 외부기기로 전송되는 도중 상기 기기의 모드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whether a mode of the device is changed while a file is being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상기 기기의 모드가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파일의 전송을 중지하는 단계; 및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de of the device has been changed, stopping the transmission of the file; And 상기 전송 중지된 파일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파일 전송방법.And generating information about the file at which the transfer has been stopped.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전송 중지된 파일에 대한 정보는,Information about the file is stopped, 전송 중지된 파일 명 및 마지막으로 전송된 파일의 패킷 넘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파일 전송방법.And at least one of a file name of a file that has been stopped and a packet number of a file that was last transmitted.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파일의 전송을 중지하는 단계는,Stopping the transmission of the file, 상기 기기의 모드가 파일 재생 모드, 정보 제공 모드 및 전원-오프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파일 전송방법.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de of the device is changed to one of a file play mode, an information providing mode, and a power-off mode. 제 10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파일을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송 중지된 파일의 미전송분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파일 전송방법.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le can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transmitting a non-transmitted portion of the file that has been stopped transmission; File transfer method of a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 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파일을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상태는,The state in which the file can be transferred to an external device, 상기 기기의 모드가 전송 모드, 방송 모드 및 대기 모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파일 전송방법. And a mode of the device is one of a transmission mode, a broadcast mode, and a standby mode. 파일 전송이 가능한 기기에 있어서,In a device capable of file transfer, 파일을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파일 처리부; 및 A file processor for transmitting a file to an external device; And 파일이 외부기기로 전송되는 도중 상기 기기의 모드가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파일의 전송을 계속할 것인지 또는 상기 파일의 전송을 중지할 것인지를 선택하고, 상기 파일의 전송을 계속하는 것으로 선택하면, 상기 파일의 미전송분이계속하여 전송되도록 상기 파일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de of the device is changed while the file is being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the user may select whether to continue the file transfer or stop the transfer of the file.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file processor to continuously transmit untransmitted portions of a file. 제 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제어부는, The control unit, 상기 기기의 모드가 방송 모드, 대기 모드 및 전원-오프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파일의 전송을 계속하는 것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de of the device has been changed to any one of a broadcast mode, a standby mode, and a power-off mode, selecting to continue transmitting the file. 제 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기기의 모드가 전원-오프 모드로 변경된 경우, 상기 파일의 전송이 완료된 후 상기 기기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상기 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And when the mode of the device is changed to a power-off mode, controlling the device to turn off the device after the file transfer is completed. 제 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제어부는, The control unit, 상기 기기의 모드가 방송 모드 및 대기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된 경우, 상기 파일이 전송되는 동안 상기 기기는 상기 변경된 모드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And when the mode of the device is changed to one of a broadcast mode and a standby mode, the device controls the device to perform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mode while the file is being transmitted. 제 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제어부는, The control unit, 상기 기기의 모드가 파일 재생 모드 및 정보 제공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파일의 전송을 중지하는 것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de of the device is changed to one of a file play mode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mode, the device is selected to stop transmitting the file. 제 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제어부는, The control unit, 상기 파일의 전송을 중지하는 것으로 선택하면, 상기 파일의 전송을 중지하고,상기 전송 중지된 파일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도록 상기 파일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If the transmission is selected to stop the transmission of the file, th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stopping the transmission of the file, and controlling the file processing unit to generate information about the file that has stopped transmission. 제 2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전송 중지된 파일에 대한 정보는,Information about the file is stopped, 전송 중지된 파일 명 및 마지막으로 전송된 파일의 패킷 넘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And at least one of a file name of a file that has been stopped and a packet number of a file that was last transmitted. 제 2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제어부는 The control unit 상기 기기가 파일을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송 중지된 파일의 미전송분을 전송하도록 상기 파일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And determining that the device is in a state capable of transmitting a file to an external device, and controlling the file processor to transmit an untransmitted portion of the file that has been stopped. 제 2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파일을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상태는,The state in which the file can be transferred to an external device, 상기 기기의 모드가 전송 모드, 방송 모드 및 대기 모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The device is one of a transmission mode, a broadcast mode and a standby mode 파일 전송이 가능한 기기에 있어서,In a device capable of file transfer, 파일을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파일 처리부; 및 A file processor for transmitting a file to an external device; And 파일이 외부기기로 전송되는 도중 상기 기기의 모드가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파일의 전송을 중지하고 상기 전송 중지된 파일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도록 상기 파일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de of the device is changed while the file is being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le processing unit to stop the transmission of the file and to generate information about the stopped file; Device. 제 2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전송 중지된 파일에 대한 정보는,Information about the file is stopped, 전송 중지된 파일 명 및 마지막으로 전송된 파일의 패킷 넘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And at least one of a file name of a file that has been stopped and a packet number of a file that was last transmitted. 제 2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기기가 파일을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송 중지된 파일의 미전송분을 전송하도록 상기 파일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And determining that the device is in a state capable of transmitting a file to an external device, and controlling the file processor to transmit an untransmitted portion of the file that has been stopped.
KR1020080074082A 2008-07-29 2008-07-29 The method of transmitting file and the apparatus thereof KR2010001259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082A KR20100012598A (en) 2008-07-29 2008-07-29 The method of transmitting file and the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082A KR20100012598A (en) 2008-07-29 2008-07-29 The method of transmitting file and the apparatus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598A true KR20100012598A (en) 2010-02-08

Family

ID=42086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4082A KR20100012598A (en) 2008-07-29 2008-07-29 The method of transmitting file and the apparatu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259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23535B (en) Techniuqes to consume content and metadata
JP4984907B2 (en) Network system, direct access management server, event notification method, network home appliance, and computer program
TWI406570B (en) Personal video recorder functionality for placeshifting
US20060233519A1 (en) Content playback system, content playback apparatus, and content playback method
US9277267B2 (en) Content output system,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content output apparatus, and content information display method
US891446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2012005115A (en) Reproducing device, display device, television receiver, system, recognition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2004080765A (en) Amusement system for vehicle
US2015018900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700003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recording streaming data in a storage device
US20020066113A1 (en) Method for sending information on a network, and electronic information equipment
JP2002281569A (en) Remote control system, reproducing device, information storage device, reproduced data transmitting method and remote controller
KR20100053300A (en) Broadcast receiving device for providing broadcast supplement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JP2008118469A (en) Discontinued program viewing system
JP2006294100A (en) Recording controller and recording control method
KR20100012598A (en) The method of transmitting file and the apparatus thereof
JP5285138B2 (en) Source device, system,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2008167251A (en) Content reproduction device and content guide method
JP6271169B2 (en) Program related programs
US20080152320A1 (en) Received-data recording system, receiver, receiver control method, recorder, data recording method, and program
JP2003224801A (en) Reproduction apparatus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2009124433A (en) Stream supplying device, content reproducing device, and content reproducing method
KR100608630B1 (en) Smart display system
KR20090061264A (en)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 data transmission based on dlna network
JP2014123918A (en) Reproduction apparatus, reproduction system, and process execution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