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2584A -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2584A
KR20100012584A KR1020080074067A KR20080074067A KR20100012584A KR 20100012584 A KR20100012584 A KR 20100012584A KR 1020080074067 A KR1020080074067 A KR 1020080074067A KR 20080074067 A KR20080074067 A KR 20080074067A KR 20100012584 A KR20100012584 A KR 20100012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er
main body
display main
display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40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진동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4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2584A/en
Publication of KR20100012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58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Abstract

PURPOSE: A display device is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recognize a display body and a supporter as a single structure accordingly as the supporter is combined with a front side of the display body. CONSTITUTION: A cabinet forms the appearance of a display body. The first combining unit is formed in the cabinet. The display body is selectively mounted in a supporter(2). The second combining unit(22) is formed in the supporter. The second combining unit is combined with the first combining unit.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body corresponds to with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er.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기{Display device}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디스플레이 기기는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는 안정적인 작동과 영상이 표시되는 위치의 확보를 위하여, 일례로 테이블 또는 장식장과 같은 별도의 부재에 안착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is a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The display device may be mounted on a separate member such as a table or a cabinet, for example, in order to ensure stable operation and to secure a position where an image is displayed.

본 실시예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본체를 지지하는 서포터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is embodiment to propose a display device in which a supporter for supporting a display body is selectively coupled with the display body.

본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와 서포터가 결합된 상태에서 외관이 수려해지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o propose a display apparatus whose appearance is beautiful in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main body and the supporter are coupled to each other.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는, 디스플레이 본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형성되는 제1결합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가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서포터; 및 상기 서포터에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한다.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the display body; A cabinet forming an appearance of the display main body; A first coupling part formed in the cabinet; A supporter on which the display main body is selectively seated; And a second coupling part formed on the supporter and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art.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서포터에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서포터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전면에 결합되므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가 상기 서포터에 안착되어 결합되었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및 상기 서포터가 단일의 구조물로 사용자에게 인식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전체적인 미감이 증가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oposed embodiment, since the supporter is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main body while the display main body is seated on the supporter, when the display main body is seated and coupled to the supporter, the display main body and the supporter As a single structure is recognized by the user, the overall aesthetics of the display device is increased.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제1결합부와 상기 서포터의 제2결합부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므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전체적인 미감이 증가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coupling portion of the display main body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of the supporter ar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overall aesthetics of the display apparatus is increas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본체(1)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를 지지하는 서포터(2)를 포함한다.First, referring to FIG. 1,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main body 1 displaying an image and a supporter 2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display main body 1 to support the display main body 1. ).

상기 서포터(2)의 상측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의 하측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서포터(2)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서포터(2)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터(2)의 전면에는 물건의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수납부(21)가 형성된다.The upper side of the supporter 2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main body 1, and when the supporter 2 and the display main body 1 are coupled, the supporter 2 is the display main body. It is made continuously with (1). And the front of the supporter 2 is formed with an accommodating portion 21 for providing a storage space of the object.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 및 상기 서포터(2)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한다.Hereinafter, detailed configurations of the display main body 1 and the supporter 2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본체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에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과, 상기 캐비닛(11)에 구비되어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2) 및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가 서포터(2)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제1결합부(1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display main body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abinet 11 forming a front appearance, a display unit 12 provided in the cabinet 11, and an image displayed thereon, and the display. The main body 1 includes a first coupling part 13 to be coupled to the supporter 2.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는 그 내부에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위한 내부 부품을 포함하고 있으며, 일례로 프로젝션 텔레비전, 브라운관 텔레비전, LCD 또는 PDP가 될 수 있다.In detail, the display body 1 includes an internal component for receiving a signal therein and display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signal, and may be, for example, a projection television, a CRT television, an LCD, or a PDP.

상기 캐비닛(11)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의 외관을 형성하며, 그 내부의 공간에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의 내부 부품들이 수용된다.The cabinet 11 forms an appearance of the display main body 1, and internal parts of the display main body 1 are accommodated in a space therein.

상기 캐비닛(11)의 전면 하측에는 상기 서포터(2)와 결합되기 위한 제1결합부(13)가 형성된다.A first coupling part 13 is formed on the front lower side of the cabinet 11 to be coupled to the supporter 2.

상기 제1결합부(13)는 상기 캐비닛(11)의 전면에서 상기 캐비닛(11)의 후방으로 함몰형성되며, 상기 캐비닛(11)의 전면 하부에 상기 캐비닛(11)의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부(13)는, 다수의 후크수용부(131)과 다수의 보스수용부(132)를 포함한다.The first coupling part 13 is recessed from the front of the cabinet 11 to the rear of the cabinet 11, and is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cabinet 11 at the bottom of the front of the cabinet 11. In addition, the first coupling part 13 includes a plurality of hook accommodation parts 131 and a plurality of boss accommodation parts 132.

상기 후크수용부(131)는 상기 서포터(2)와 후크결합되며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후크수용부(131)는 상측열과 하측열로 배치된다. 각 열에는 다수의 후크수용부(131)가 배치되며, 상측열의 후크수용부(131)와 하측열의 후크수용부(131)가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치된다.The hook receiving portion 131 is hooked with the supporter 2 and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In addition, the hook receiving portion 131 is arranged in an upper row and a lower row. A plurality of hook accommodation portions 131 are disposed in each row, and the hook accommodation portion 131 of the upper row and the hook accommodation portion 131 of the lower row are arranged in a zigzag manner.

또한, 상기 보스수용부(132)도 상측열과 하측열로 배치되며, 각 열에는 다수의 보스수용부(132)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측열의 보스수용부(132)와 하측열의 보스수용부(132)가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치되며, 상기 보스수용부(132)는 인접하는 두개의 상기 후크수용부(131) 사이에 위치된다.In addition, the boss receiving portion 132 is also arranged in an upper row and a lower row, a plurality of boss receiving portion 132 is disposed in each row. The boss receiving part 132 of the upper row and the boss receiving part 132 of the lower row are arranged in a zigzag manner, and the boss receiving part 132 is positioned between two adjacent hook receiving parts 131.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에는, 상기 제1결합부(13)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재(15)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커버부재(15)는 상기 제1결합부(13)의 형상에 대응되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부(13)가 함몰 깊이와 대응되는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15)의 배면에는 상 기 후크수용부(131)의 형상 및 위치에 대응되도록 복수개의 후크가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재(15)가 상기 제1결합부(13)에 찰탁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커버부재(15)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가 상기 서포터(2)와 결합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1결합부(13)에 결합되어 상기 제1결합부(13)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반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가 상기 서포터(2)와 결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커버부재(15)가 상기 제1결합부(13)에서 분리되어, 상기 제1결합부(13)에 상기 서포터(2)가 결합된다.In addition, a cover member 15 for covering the first coupling part 13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display main body 1. In detail, the cover member 15 is formed in a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3,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13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depth of depression. In addition, a plurality of hooks are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15 to correspond to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hook accommodation portion 131, so that the cover member 15 may be stuck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13. To be combined. The cover member 15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13 when the display body 1 is not coupled with the supporter 2 so that the first coupling portion 13 is external. Do not expose to. 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play main body 1 is to be coupled with the supporter 2, the cover member 15 is separated from the first coupling part 13, and thus the first coupling part 13 is attached to the first coupling part 13. The supporter 2 is coupled.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의 하측면에는 캐스터(14)가 구비된다. 상기 캐스터(14)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의 하측면의 각 모서리부에 각각 구비된다.In addition, a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main body 1 is provided with a caster 14. The caster 14 is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display main body 1, and is provided at each corner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main body 1, respectively.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서포터(2)는 외형을 형성하는 바디부(20) 및 상기 바디부(20)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와의 결합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2결합부(2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supporter 2 is formed on a body portion 20 forming an outer shape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body portion 20 to perform a coupling with the display body 1. 22).

상세히, 상기 바디부(20)는 물건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납부(2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20)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의 하부의 형상과 연속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바디부(20)의 상측에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 가 안착되면, 상기 바디부(20)의 상측 및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의 하측은 연속되는 평면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20)의 전면 즉,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의 정면과 대응되는 측에는 상기 수납부(21)에 물건이 수납되도 록 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다.In detail, the body portion 20 includes an accommodating portion 21 that provides a space in which an object can be stored. The body portion 20 is formed in a shape that is continuous with the shap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main body 1. Therefore, when the display main body 1 is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20, the upper side of the body 20 and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main body 1 form a continuous plane. In addition, an opening is formed at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20, that is, the side corresponding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main body 2, to accommodate an object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21.

상기 수납부(21)는 상기 바디부(20)의 내측 공간에 형성되어, 물건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바디부(20)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와 연결된다. 상기 수납부(21)는 일례로 단일의 공간 또는 복수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공간은 사용 상태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The accommodating part 21 is form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part 20 to provide a space in which an object can be stored, and is connected to an opening formed in the front of the body part 20. For example, the accommodating part 21 may be formed as a single space or a plurality of spaces, and the space may be formed differently according to a use state.

상기 제2결합부(22)는 상기 서포터(2)의 상면 전단측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2결합부(22)는 상기 제1결합부(13)(도 2참조)의 형상에 대응되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부(13)가 함몰형성된 두께만큼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결합부(13)에 상기 제2결합부(22)가 결합된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와 상기 서포터(2)의 전면은 연속된 평면을 이루게 된다.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 extends upward from the front end side of the supporter 2. The second coupling part 22 is formed in a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coupling part 13 (refer to FIG. 2), and the first coupling part 13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equal to that of the recessed thickness. do. Therefore, when the second coupling part 22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art 13,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main body 1 and the supporter 2 forms a continuous plane.

상기 제2결합부(22)의 배면에는, 상기 제1결합부(13)의 후크수용부(131) 및 보스수용부(132)의 형상 및 위치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후크(221) 및 보스(222)가 구비된다. 상기 후크(221)는 연질 부재로서, 상기 제2결합부(22)에 접합된다. 한편, 상기 보스(222)는 상기 제2결합부(222)와 일체로 형성된다.On the back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 a plurality of hooks (221) and boss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hook receiving portion 131 and the boss receiving portion 132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3 ( 222 is provided. The hook 221 is a soft member and is bonded to the second coupling part 22. On the other hand, the boss 222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2.

상기 서포터(2)의 상측면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테두리부(24)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의 캐스터(14)가 안착되는 캐스터 안착부(241)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의 하면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4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242)의 후측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와 상기 서포터(2)의 결합과정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의 이동이 제한되는 걸림단(243)이 형성된다.The edge portion 24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eft sides of the supporter 2 guides the caster seating portion 241 on which the caster 14 of the display main body 1 is seated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main body 1. Guide portion 242 is formed. A rear end of the guide part 242 is provided with a locking end 243 in which the movement of the display main body 1 is restricted during the coupling process of the display main body 1 and the supporter 2.

상세히, 상기 캐스터 안착부(241)는 상기 캐스터(14)의 너비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캐스터 안착부(241)의 전후방향 길이는 상기 캐스터(14)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된다.In detail, the caster seating portion 241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caster 14, the front and rear length of the caster seating portion 241 is formed lon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aster (14).

상기 가이드부(242)는 상기 테두리부(24)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의 하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가 상기 서포터(2)의 상측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와 상기 서포터(2)의 결합을 가이드한다.The guide part 242 is form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n the edge part 24, and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main body 1, so that the display main body 1 is formed of the supporter 2. When seated on the upper side, the display body 1 and the supporter 2 are guided.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와 상기 서포터(2)의 결합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mbination of the display main body 1 and the supporter 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의 하측면과 상기 서포터(2)의 상측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정렬한다.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가 상기 서포터(2)에 대해서 소정 거리만큼 상기 서포터(2)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소정 거리는 상기 캐스터 안착부(241)의 전후방향의 길이와, 상기 캐스터(14)의 전후방향의 길이의 차이 만큼에 대응된다.1 to 3, first, the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main body 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er 2 are aligned to face each other. At this time, the display main body 1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of the supporter 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supporter 2. The predetermined distance corresponds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ng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caster seating portion 241 and the leng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caster 14.

그 다음,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를 상기 서포터(2)의 상측면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제1결합부(13)는 상기 제2결합부(22)와 상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가 상기 서포터(2)의 상측면에 안착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의 제1결합부(13)와 상기 서포터(2)의 제2결합부(22)는 상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게 위치된다.Then, the display main body 1 is to be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er (2). At this time, the first coupling part 13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coupling part 22 by the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display main body 1 is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er 2, the first coupling part 13 of the display main body 1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22 of the supporter 2 are the predetermined. They are spaced apart to face each other.

그 다음,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를 상기 서포터(2)의 전방으로 상기 소정 거리만큼 이동시킨다. 이 때, 상기 서포터(2)의 테두리부(24)에 형성된 상기 가이 드부(242)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의 하면과 맞닿아,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의 이동을 가이드한다.Next, the display main body 1 is moved forward of the supporter 2 by the predetermined distance. At this time, the guide part 242 formed on the edge portion 24 of the supporter 2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main body 1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display main body 1.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가 상기 서포터(2)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의 하측이 상기 걸림단(243)에 걸리게 되어, 그 이동이 정지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2결합부(22)에 형성된 복수 개의 후크(221) 및 보스(222)가, 상기 제1결합부(13)에 형성된 복수 개의 후크수용부(131) 및 보스수용부(132)에 인입되어, 상기 제1결합부(13)와 상기 제2결합부(22)의 결합이 수행된다. When the display main body 1 is moved forward with respect to the supporter 2,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main body 1 is caught by the locking end 243, and the movement thereof is stopped. At the same time, the plurality of hooks 221 and the boss 222 formed o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 the plurality of hook accommodation portion 131 and the boss accommodation portion 132 formed o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3 ), The coupling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 is performed.

상기 보스(222)는 상기 제1결합부(13)와 상기 제2결합부(22)의 정합위치가 보다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후크(221)는, 상기 제2결합부(22)가 상기 제1결합부(13)에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한다.The boss 222 allows the mating position of the first coupling part 13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22 to be more firmly maintained. The hook 221 allows the second coupling part 22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coupling part 13.

도 4는 디스플레이 본체가 서포터에 결합되었을 때, 도 1의 B-B 선도에 따른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1 when the display body is coupled to the supporter.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후크(221)는 상기 후크수용부(131)에 인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후크수용부(131)의 배면에는 걸림단(135)이 형성되어, 상기 후크수용부(131)을 관통하여 인입된 상기 후크(221)가 상기 걸림단(135)에 걸리게 된다.Referring to FIG. 4, the hook 221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hook accommodation portion 131. A hooking end 135 is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hook accommodating part 131 so that the hook 221 introduced through the hook accommodating part 131 is caught by the hooking end 135.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결합부(13)와 상기 제2결합부(22)의 결합이 수행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와 상기 서포터(2) 간의 결합은 완료된다. 이 때, 상기 서포터(2)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와 연속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와 상기 서포터(2)는 전체적으로 연속적인 형상으로 결합된다.Referring back to FIG. 1, when the first coupling part 13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22 are combined, the coupling between the display main body 1 and the supporter 2 is completed. At this time, the supporter 2 is formed in a continuous shape with the display main body 1, and the display main body 1 and the supporter 2 are combined in a continuous shape as a whole.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와 상기 서포터(2)의 분해과정은 이상에서 설명한 결합과정과 역순으로 수행된다. 이 때, 상기 후크(221)는 연성 재질로 형성되므로, 상기 후크수용부(131)와의 결합이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다.The disassembling process of the display main body 1 and the supporter 2 is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combining proces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since the hook 221 is formed of a soft material, the coupling with the hook receiving portion 131 can be easily released.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서포터(2)에 디스플레이 본체(1)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서포터(2)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의 전면에 결합되므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가 상기 서포터(2)에 안착되어 결합되었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 및 상기 서포터(2)가 단일의 구조물로 사용자에게 인식되어 전체적인 미감이 증가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oposed embodiment, since the supporter 2 is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main body 1 while the display main body 1 is seated on the supporter 2, the display main body 1 is When seated and coupled to the supporter 2, the display body 1 and the supporter 2 are recognized by the user as a single structure, and thus the overall aesthetics are increased.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의 제1결합부(13)와 상기 서포터(2)의 제2결합부(22)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므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전체적인 미감이 증가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3 of the display main body 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 of the supporter 2 are formed in a corresponding shape to be coupled to each other, the overall aesthetics of the display device is increased. There is an advantage.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본체와 서포터가 결합된 디스플레이 기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apparatus combined with a display main body and a suppo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본체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4는 디스플레이 본체가 서포터에 결합되었을 때, 도 1의 B-B 선도에 따른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B-B diagram of FIG. 1 when the display body is coupled to the supporter;

Claims (7)

디스플레이 본체;Display main body;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A cabinet forming an appearance of the display main body; 상기 캐비닛에 형성되는 제1결합부;A first coupling part formed in the cabinet;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가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서포터; 및A supporter on which the display main body is selectively seated; And 상기 서포터에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And a second coupling part formed on the supporter and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ar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하측은 상기 서포터의 상측과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main body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캐비닛의 전면 하측에 형성되고,The first coupling portion is formed on the front lower side of the cabinet,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서포터의 전면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부를 커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supporter,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a display device to cover the first coupl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결합부에는, 복수개의 후크 수용부가 형성되고,The first coupling portion, a plurality of hook receiving portion is formed, 상기 제2결합부에는, 상기 후크 수용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복수개의 후크가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And a plurality of hooks are formed i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ook receiv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결합부에는, 복수개의 보스 수용부가 형성되고,The first coupling portion, a plurality of boss receiving portion is formed, 상기 제2결합부에는, 상기 보스 수용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복수개의 보스가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And a plurality of bosses formed in the second coupling part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oss accommodating par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결합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재가 더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And a cover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ar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하측에는 캐스터가 구비되고,A caster is provided below the display main body, 상기 서포터의 상측에는 상기 캐스터가 안착되기 위한 캐스터 안착부가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A display device having a caster sea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caster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er.
KR1020080074067A 2008-07-29 2008-07-29 Display device KR2010001258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067A KR20100012584A (en) 2008-07-29 2008-07-29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067A KR20100012584A (en) 2008-07-29 2008-07-29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584A true KR20100012584A (en) 2010-02-08

Family

ID=42086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4067A KR20100012584A (en) 2008-07-29 2008-07-29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258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84957B2 (en) Television receiver
US11450241B2 (en) Electronic label device holder
JP4964919B2 (en) Game machine
JP5166613B1 (en)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JP5327930B2 (en) Display device
KR20100012584A (en) Display device
US20200078124A1 (en) Cover for blood pressure meter, and blood pressure meter
JP5198640B2 (en) Television receiver and electronic device
JP6355201B2 (en) Skin fixing structure and armrest
JP3211457U (en) Display plate
JP6034683B2 (en) desk
JP3209779U (en) Game machine information display
KR101470643B1 (en) Display device
JP5688386B2 (en) Game machine
JP3135800U (en) Shelf board price display device
JP6616458B2 (en) Showcase
JP4213300B2 (en) Information input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20180050895A (en) Display device
JP2022073184A (en) Furniture structure
JP2022168428A (en) Display tool
JP6172629B2 (en) Storage device
JP6172628B2 (en) Wiring tray
KR20100027312A (en) Display device
JP3191365U (en) Hook lock
JP5185800B2 (en) Vehicl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