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2574U - Mask - Google Patents

Mas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2574U
KR20100012574U KR2020090007492U KR20090007492U KR20100012574U KR 20100012574 U KR20100012574 U KR 20100012574U KR 2020090007492 U KR2020090007492 U KR 2020090007492U KR 20090007492 U KR20090007492 U KR 20090007492U KR 20100012574 U KR20100012574 U KR 2010001257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fabric
nose
wearer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749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56585Y1 (en
Inventor
나우주
김남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엠에스
Priority to KR20200900074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585Y1/en
Publication of KR201000125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574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5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58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2Hygroscopic; Water retain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8Anti-misting means, e.g. ventilating, heating; Wi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입 또는 코에서 나오는 바람에 의해 착용자의 안경에 김이 서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김 서림 방지용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fog mask that can prevent the phenomenon of steaming in the wearer's glasses by the wind from the mouth or nose.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착용자 안면의 코와 입을 가리도록 적절한 크기의 원단으로 이루어진 마스크본체와, 상기 마스크본체의 양측 단부에 연결되어 귀에 거는 귀걸이밴드로 구성된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코의 비공에서 내보내는 바람이 직접 배기되도록 마스크본체에 천공된 적어도 하나의 호흡공; 상기 호흡공을 통한 먼지 등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마스크원단에 개폐가능하게 봉제된 개폐원단; 상기 마스크원단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횡방향으로 봉제되며, 코 또는 입에서 내보내는 바람이 착용자의 코와 볼 사이의 공간을 통한 상승을 차폐시키도록 형성된 차폐원단;을 포함하는 것이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ask consisting of a mask body made of a fabric of the appropriate size to cover the nose and mouth of the wearer's face, and earring band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mask body to the ear, the wind from the nose of the nose At least one breathing hole perforated in the mask body to directly exhaust the gas; An opening and closing fabric sewn to be opened and closed to the mask fabric to block inflow of dust and the like through the breathing hole; And a shielding fabric sewn in a transverse direction along the upper edge of the mask fabric, the shielding fabric being formed to shield the rise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nose and the ball of the wearer's nose or mouth.

마스크, 김, 서림, 호흡공, 개폐원단, 차폐원단, 유지수단. Mask, steaming, frost, breathing ball, opening and closing fabric, shielding fabric, holding means.

Description

김 서림 방지용 마스크{MASK}Anti-fog mask {MASK}

본 고안은 김 서림 방지용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입 또는 코에서 나오는 바람에 의해 착용자의 안경에 김이 서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김 서림 방지용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fog mask,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nti-fog mask that can prevent the phenomenon of steaming on the wearer's glasses due to wind from the mouth or nose.

주지된 바와 같이, 마스크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병균을 차단하기 위해 코와 입을 가리는 것으로서, 이러한 마스크는 코와 입을 가리도록 적절한 크기의 원단으로 이루어진 마스크본체와, 상기 마스크본체의 양측 단부에 연결되어 귀에 거는 걸이밴드로 구성된다.As is well known, the mask covers the nose and mouth to block the fine dust or germs contained in the air, and the mask includes a mask body made of a fabric of appropriate size to cover the nose and mouth, and both ends of the mask body. It consists of a hook band which is connected to the ear.

이와 같이 구성된 마스크는 마스크본체를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양측 걸이밴드를 귀에 걸어주면, 착용자의 코와 입을 가린 상태로 고정된다.The mask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fixed in a state in which the wearer's nose and mouth are covered by hooking both hook bands to the ears while the mask bod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earer's fac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마스크는 착용자가 착용한 안경의 렌즈에 김이 서리게 되고, 이로 인해 착용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mask is frosted on the lens of the glasses worn by the wearer, this has a problem that can not secure the wearer's field of view.

즉, 종래의 마스크는 원단으로 이루어진 마스크본체가 안면의 윤곽을 따라 완만히 만곡되기는 하지만, 돌출된 코와 볼 사이의 공간을 완전히 가려서 막을 수 없음에 따라, 착용자의 코와 입에서 내보내는 바람이 상기 공간을 통해 착용자의 안경으로 이동하게 되면, 온도 차이에 의해 안경의 렌즈 표면에 김이 서리게 되고, 이에 의해 착용자는 시야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게 되어 불편함으로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mask, although the mask body made of fabric is gently curved along the contour of the face, it cannot completely block the space between the protruding nose and the ball, so the wind from the wearer's nose and mouth is prevented. When moving to the wearer's eyeglasses through, the surface of the lens of the glasses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is frost, whereby the wearer will not be able to sufficiently secure the field of view will lead to inconvenienc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입 또는 코에서 나오는 바람에 의해 착용자의 안경에 김이 서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김 서림 방지용 마스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anti-fog mask to prevent the frost on the wearer's glasses by the wind coming from the mouth or nose. To prov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착용자 안면의 코와 입을 가리도록 적절한 크기의 원단으로 이루어진 마스크본체와, 상기 마스크본체의 양측 단부에 연결되어 귀에 거는 귀걸이밴드로 구성된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코의 비공에서 내보내는 바람이 직접 배기되도록 마스크본체에 천공된 적어도 하나의 호흡공; 상기 호흡공을 통한 먼지 등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마스크원단에 개폐가능하게 봉제된 개폐원단; 상기 마스크원단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횡방향으로 봉제되며, 코 또는 입에서 내보내는 바람이 착용자의 코와 볼 사이의 공간을 통한 상승을 차폐시키도록 형성된 차폐원단;을 포함하는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sk body consisting of a fabric of the appropriate size to cover the nose and mouth of the wearer face, and a mask consisting of earring band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mask body to the ear, At least one breathing hole perforated in the mask body to directly exhaust wind from the nostrils; An opening and closing fabric sewn to be opened and closed to the mask fabric to block inflow of dust and the like through the breathing hole; And a shielding fabric sewn in a transverse direction along the upper edge of the mask fabric, the shielding fabric being formed to shield the rise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nose and the ball of the wearer's nose or mouth.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차폐원단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형상을 유지시키는 유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olding means for maintaining the shape to prevent the sagging of the shielding fabric,

이러한 유지수단은, 상기 착용자의 코와 볼 사이의 공간을 차폐시키도록 형성된 와이어가, 차폐원단에 고정되는 것으로 구현되거나,Such holding means is implemented by fixing a wire to the shielding fabric, the wire formed to shield the space between the wearer's nose and the ball,

상기 안면의 굴곡에 따라 탄력적으로 변형되도록 형성된 코일스프링이, 신축 성을 갖는 차폐원단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고정되어 착용자의 코와 볼 사이의 공간을 차폐시키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coil springs formed to be elastically deformed according to the curvature of the face may be implemented along the outer edge of the shielding fabric having elasticity to shield the space between the wearer's nose and the ball.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호흡공을 통해 유입되는 미세 먼지 등을 여과하도록 마스크본체에 봉제되는 필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member sewn into the mask body to filter the fine dust and the like introduced through the breathing hole.

아울러, 상기 호흡공은 착용자의 비공에 인접되도록 마스크원단에 천공되거나, 상기 착용자의 콧등 양측에 인접되도록 마스크원단에 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eathing hole may be perforated in the mask fabric to be adjacent to the wearer's nostrils, or may be perforated in the mask fabric to be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wearer's nose.

상기와 같은 수단으로 구현된 본 고안에 따르면, 코에서 내보내는 바람이 호흡공을 통해 직접 대기로 배기될 뿐만 아니라, 호흡공을 통해 완전히 배기되지 못한 바람 또는 입에서 내보내는 바람이 차폐원단에 의해 차폐됨으로 착용자의 안경에 김이 서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ed by the above means, not only the wind emitted from the nose is directly exhausted to the atmosphere through the breathing hole, but also the wind from the mouth or wind that is not completely exhausted through the breathing hole is shielded by the shielding fabric The wearer's glasses have a very useful effect that can prevent the frosting in advance.

또한, 본 고안은 다양한 유지수단에 의해 차폐원단이 하부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phenomenon of the shielding fabric sagging downward by a variety of holding means.

아울러, 본 고안은 유지수단으로 구현된 코일스프링이 탄력적으로 변형되므로, 상이한 형상 및 크기의 안면으로 형성된 착용자 모두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because the coil spring implemented by the holding means is elastically deform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eet all of the wearer formed in the face of different shapes and sizes.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 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마스크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마스크의 정면도이다.First,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earing state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착용자(10) 안면의 코(11)와 입(12)을 가리도록 적절한 크기의 원단으로 이루어진 마스크본체(20), 상기 마스크본체(20)의 양측 단부에 연결되어 착용자(10)의 귀(13)에 거는 귀걸이밴드(30), 상기 코(11)의 비공(11a)에서 내보내는 바람이 직접 배기되도록 마스크본체(20)에 천공된 적어도 하나의 호흡공(22), 상기 호흡공(22)을 통한 먼지 등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마스크원단(20)에 개폐가능하게 봉제된 개폐원단(40), 상기 마스크원단(20)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횡방향으로 봉제되며, 코(11) 또는 입(12)에서 내보내는 바람이 착용자(10)의 코(11)와 뺨(14) 사이의 공간을 통한 상승을 차폐시키도록 형성된 차폐원단(50), 상기 차폐원단(50)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형상을 유지시키는 유지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기술적인 사상으로 한다.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subject innovation is a mask body 20 made of a fabric of a suitable size to cover the nose 11 and mouth 12 of the face of the wearer 10, the mask body ( 20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earring band 30 hanging on the ear 13 of the wearer 10, the perforated in the mask body 20 so that the wind from the nostril 11a of the nose 11 is directly exhausted At least one breathing hole 22, opening and closing fabric 40 is sewn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to the mask fabric 20 to block the inflow of dust and the like through the breathing hole 22, the upper edge of the mask fabric 20 Sew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long the shielding fabric 50 formed to shield the rise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nose 11 and the cheeks 14 of the wearer 10, the wind from the nose 11 or mouth 12 ), The technical idea that it is composed of a holding means for maintaining the shape to prevent sagging of the shielding fabric (50) Shall be.

마스크본체(20)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병균을 차단하면서 호흡이 가능한 원단으로 이루어져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그 상단 및 하단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만히 만곡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마스크본체(20)는 도 3의 좌측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10)의 안면이 접촉되는 부드러운 안감(20a)과, 먼지나 병균을 차단하는 겉감(20b)으로 이루어지며, 그 사이에는 미세먼지 등을 여과할 수 있는 필터층(도시생략)이 개재될 수 있다.The mask body 20 is formed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made of a fabric capable of breathing while blocking fine dust or germs contained in the air,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are formed to be gently curved as shown in FIGS. 1 and 2. And the mask body 20 is composed of a soft lining (20a) that the face of the wearer 10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20b) to block dust or germs, as shown on the left side of FIG. A filter layer (not shown) capable of filtering fine dust or the like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그리고 마스크본체(20)의 양측 단부에는 귀걸이밴드(30)가 봉제로 연결되어 착용자(10)의 귀(13)에 걸리게 되며, 이에 의해 마스크본체(20)는 착용자(10)의 코(11)와 입(12)을 가린 상태로 고정된다.In addition, the earring band 30 is sewn to both ends of the mask body 20 to be sewn on the ear 13 of the wearer 10, whereby the mask body 20 is the nose 11 of the wearer 10. The mouth 12 is fixed in a closed state.

호흡공(22)은 마스크본체(20)에 천공되어 코(11)의 비공(11a)에서 내보내는 바람을 직접적으로 대기로 배기시키는데, 이러한 호흡공(22)은 마스크본체(20)를 착용자(10)의 안면에 위치시켰을 때, 코(11)의 양측 비공(11a)에 인접된 부분에 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호흡공(2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비공(11a)에 부합되도록 두 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세 개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The breathing holes 22 are perforated in the mask body 20 to directly exhaust the wind from the nostrils 11a of the nose 11 to the atmosphere. The breathing holes 22 wear the mask body 20 to the wearer 10. When placed on the face of the head), it is preferable to be drilled in a portion adjacent to both side nostrils 11a of the nose 11. And, as shown in Figure 2, as shown in Figure 2, it is preferable to be made of two so as to match the two nostrils (11a),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made of one or three or more if necessary.

따라서, 착용자(10)의 코(11)에서 내보내는 바람은 호흡공(22)을 통해 직접 대기로 배기되므로, 착용자(10)의 돌출된 코(11)와 이 코(11)에 인접된 뺨(14) 사이의 움푹한 공간을 통해 상부로 상승되지 않는다.Therefore, the wind from the nose 11 of the wearer 10 is exhausted directly into the atmosphere through the breathing hole 22, so that the protruding nose 11 of the wearer 10 and the cheek adjacent to the nose 11 ( 14) It does not rise to the top through the hollow space between.

이러한 호흡공(2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으로 형성되었으나, 그 형상은 제한하지 않는다. 예컨대, 호흡공(22)은 사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형 또는 타원형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is breathing hole 22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as shown in Figure 2, but the shape is not limited. For example, the breathing hole 22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or elliptical shape such as a quadrangle or a pentagon.

또한, 마스크본체에는 도 3의 좌측 원 내부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재(F)가 봉제되어 호흡공을 통해 유입되는 미세 먼지 등을 여과시킨다.In addition, the mask body is enlarged inside the left circle of Figure 3, the filter member (F) is sewn to filter the fine dust and the like introduced through the breathing hole.

선택적으로 Optionally 호흡공(22)은Breathing ball 22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콧등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As shown in Figure 10, to b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nose 마스크본체(20)에On the mask body 20 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11)의  Can be perforated. Accordingly, the nose 11 비공(11a)에서In nostril 11a 내보내는 바람은 콧등을 따라 상부로  The wind that goes out along the top of the nose 상승되면서Ascending 콧등의 양측 부근에 천공된  Perforated near both sides of the nose 호흡 공(22)을Breathing ball (22) 통해 대기로 직접배출된다. Through the atmosphere directly.

개폐원단(40)은 호흡공(22)의 개폐를 단속하여 호흡공(22)을 통한 병균, 먼지 등의 유입을 차단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개폐원단(40)의 상단부는 마스크본체(20)의 외면에 봉제선(L)로 연결되며, 이 봉제선(L)을 중심으로 휘어지면서 호흡공(22)을 개방하거나 폐쇄하게 된다. 그리고 개폐원단(4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으로 형성되었으나 그 형상은 제한하지 않으며, 호흡공(22)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적절한 크기로 형성되어 호흡공(22)으로 관통되면서 호흡공(22)을 막거나 호흡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Opening and closing fabric 40 is to interrup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breathing hole 22 to block the inflow of germs, dust, etc. through the breathing hole 22,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fabric 40, the outer surface of the mask body 20 Is connected to the seam (L), the seam bent around the seam (L) while opening or closing the breathing hole (22). And the opening and closing fabric 40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as shown in Figures 1 and 2, but the shape is not limited, is formed in a suitable size to have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breathing hole 22 breathing hole 22 As it penetrates into the breathing hole 22 or does not interfere with breathing.

첨부된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개폐원단(40)의 작동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작동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and FIG. 4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fabric 40.

즉, 개폐원단(40)은 상술한 도 4의 (a)에서와 같이, 코(11)에서 바람이 나올 때-도 4(a)의 큰 화살표-는 봉제선(L)을 중심으로 휘어지면서 호흡공(22)을 개방하고, 코(11)로 숨을 들이마실 때는 개폐원단(40)이 자중에 의해 그리고 들이쉬는 호흡-도 4(b)의 큰 화살표-에 의해 도 4의 (b)에서와 같이, 호흡공(22)을 폐쇄하게 된다.That is, the opening and closing fabric 40 is breathed while bending the wind around the seam (L)-when the wind comes out of the nose (11), as shown in Figure 4 (a) described above. When opening the ball 22 and breathing through the nose 11, the opening and closing fabric 40 is self-weighted and inhaled by the inhalation-the large arrow in FIG. 4 (b)-in FIG. As described above, the breathing hole 22 is closed.

여기서, 개폐원단(40)은 마스크본체(20)의 재질과 같이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병균을 차단하면서 호흡이 가능한 원단으로 이루어져, 코로 숨을 들이마실 때 원활한 호흡을 도모하게 된다.Here, the opening and closing fabric 40 is made of a fabric capable of breathing while blocking the fine dust or germs contained in the air, such as the material of the mask body 20, to facilitate smooth breathing when inhaling the nose.

첨부된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평면도를 도시하였으며, 도 6은 도 5의 C-C선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5 is a plan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원단(50)은 코(11) 또는/및 입(12)에서 내보내는 바람이 착용자(10)의 코(11)와 뺨(14)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승되는 작용을 차폐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차폐원단(50)은 도 5에서와 같이 착용자의 안면 굴곡에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차폐원단(50)은 유연성을 갖는 매우 얇은 합성수지 또는 공기가 유통되는 원단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5 and 6, the shielding fabric 50 has a space between the nose 11 and the cheek 14 of the wearer 10 due to the wind from the nose 11 or / and the mouth 12. As shielding the action that is raised through, the shielding fabric 50 is preferably formed according to the face of the wearer as shown in FIG. And the shielding fabric 50 may be implemented with a very thin synthetic resin having flexibility or a fabric in which air is circulated.

도 7은 도 6의 D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으로서, 차폐원단(50)은 하나의 합성수지 또는 원단을 접어서 양측 단부가 접힌 부분은 마스크본체(20)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봉제로 연결하고, 중앙이 접힌 절첩부에는 와이어고정부(52)가 구비되어 후술하는 와이어(62)를 고정시키게 된다.7 is an enlarged view of part D of FIG. 6, the shielding fabric 50 is folded one synthetic resin or fabric, and both ends of the folded portion are connected by sewing along the upper edge of the mask body 20, the center is The folded folded portion is provided with a wire fixing portion 52 to fix the wire 62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유지수단은 차폐원단(50)의 형상을 유지하여 하부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유지수단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10)의 안면 형상에 부합되도록 형성된 와이어(62)로 구현된다. 이러한 와이어(62)는 적절한 경도 및 강도를 갖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와이어(62)는 착용자(10)의 안면을 자극하지 않도록 약간의 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olding means is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sagging downward by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shielding fabric 50, the holding means is a wire formed so as to match the face shape of the wearer 10, as shown in Figs. Implemented by 62. The wire 62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or metal material having an appropriate hardness and strength. And the wire 62 preferably has a slight elasticity so as not to stimulate the face of the wearer 10.

첨부된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유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및 작동도로서, 유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는, 안면의 굴곡에 따라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코일스프링(64)이, 신축성을 갖는 차폐원단(50)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고정되는 것으로 구현된다.8 is a plan view and an operatio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old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holding means, the coil spring 64 is elastically deformed according to the curvature of the face, elasticity It is implemented to be fixed along the outer edge of the shielding fabric (50) having.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 코일스프링(64)은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특성이 있으므로, 직경이 작으면서 적절한 탄성을 갖도록 제조하여 차폐원단(50)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고정시킨다. 이때 차폐원단(50)은 도 5에서와 같이 외측 단부가 안면의 굴곡에 따라 형성되지 않고, 도 8의 (a)에서와 같이 외측 단부가 완만히 만곡된 형상을 유지해도 좋다. 단, 차폐원단(50)은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야 한다. 도 8의 (b)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차폐원단(50)의 외측 테두리에 고정된 코일스프링(64)은 착용자의 안면 굴곡에 따라 자유롭게 변형되어, 코(11)와 이 코()에 인접된 뺨(14) 사이에 움푹 들어간 공간을 가려서 덮게 된다. 따라서 코(11) 또는 입(12)에서 바람은 착용자(10)의 상부로 상승되지 않고 차폐원단(50)에 의해 차폐되는 것이다.Since the coil spring 64 formed as shown in FIG. 9 has a property of being elastically deformed, the coil spring 64 may be manufactured to have a small and appropriate elasticity and fixed along the outer edge of the shielding fabric 50. At this time, the shielding fabric 50 may not be formed by the outer end of the face as shown in FIG. 5, but may maintain a shape in which the outer end is gently curved as shown in FIG. However, the shielding fabric 50 should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s can be seen from (b) of Figure 8, the coil spring 64 fixed to the outer edge of the shielding fabric 50 is freely deformed according to the wearer's face bending, adjacent to the nose 11 and the nose (). Covered with a recessed space between the cheeks (14). Therefore, the wind in the nose 11 or mouth 12 is shielded by the shielding fabric 50 without being raised to the top of the wearer 10.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코(11)에서 내보내는 바람이 호흡공(22)을 통해 직접 대기로 배기되므로, 바람의 상승에 의해 착용자(10)의 안경에 김이 서리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물론, 개폐원단(50)의 폐쇄에 의해, 코(11)로 숨을 들이마실 경우에도 먼지 등은 호흡공(22)을 통해 유입되지 않는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ind emitted from the nose 11 is directly exhausted to the atmosphere through the breathing hole 22, so as to prevent the steam of the wearer 10 to frost due to the rise of the wind in advance. do. Of course, even when the breathing through the nose 11 by the clos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fabric 50, dust and the like does not flow through the breathing hole (22).

그리고 호흡공(22)을 통해 완전히 배기되지 못한 바람 또는 입에서 내보내는 바람은, 차폐원단(50)에 의해 상부로 상승되는 현상이 차폐되며, 이에 의해 착용 자(10)의 안경에 김이 서리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And the wind that is not completely exhausted through the breathing hole 22 or the wind emitted from the mouth, the phenomenon that the upward rise by the shielding fabric 50 is shielded, thereby steaming the glasses of the wearer 10 The phenomenon is prevented.

즉, 본 고안은 호흡공(22)과 차폐원단(50)에 의해 이중으로 바람이 상승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함에 따라, 착용자(10)의 안경에 김이 서리지 않게 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wind rises by the breathing hole 22 and the shielding fabric 50 in advance, so that the glasses of the wearer 10 are not steamed.

또한, 본 고안은 유지수단, 예컨대 와이어(62) 또는 코일스프링(64)에 의해 코(11)와 뺨(14) 사이의 움푹한 공간으로 차폐원단(50)이 하부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코일스프링(64)으로 구현되는 유지수단은 적절히 탄력적으로 변형되므로, 상이한 안면의 착용자 모두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shielding fabric 50 from sagging downward into a recessed space between the nose 11 and the cheek 14 by a holding means, such as a wire 62 or a coil spring 64. . In particular, the holding means implemented by the coil spring 64 is appropriately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it is possible to meet all of the wearers of different faces.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 대체, 부가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고안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can be easily modified, changed, replaced, add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ose skilled in the art. I can understand. If such improvement, change, replacement, or addition is carried out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it is obvious that the technical idea also belongs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정면도.2 is a front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개폐원단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Figure 4 is an operation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평면도.5 is a plan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C-C선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도 7은 도 6의 ‘D’부분 확대도.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D” of FIG. 6.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유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및 작동도.Figure 8 is a plan view and an operation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old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8의 코일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il spring of FIG.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호흡공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10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reathing 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20 : 마스크본체 22 : 호흡공20: mask body 22: breathing ball

30 : 귀걸이밴드 40 : 개폐원단30: earring band 40: opening and closing fabric

50 : 차폐원단 62 : 와이어50: shielding fabric 62: wire

64 : 코일스프링64: coil spring

Claims (7)

착용자 안면의 코와 입을 가리도록 적절한 크기의 원단으로 이루어진 마스크본체와, 상기 마스크본체의 양측 단부에 연결되어 귀에 거는 귀걸이밴드로 구성된 마스크에 있어서,In the mask consisting of a mask body made of a fabric of the appropriate size to cover the nose and mouth of the wearer's face, and earring band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mask body to the ear, 상기 코의 비공에서 내보내는 바람이 직접 배기되도록 마스크본체에 천공된 적어도 하나의 호흡공;At least one breathing hole perforated in the mask body so that the wind from the nostrils of the nose is directly exhausted; 상기 호흡공을 통한 먼지 등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마스크원단에 개폐가능하게 봉제된 개폐원단;An opening and closing fabric sewn to be opened and closed to the mask fabric to block inflow of dust and the like through the breathing hole; 상기 마스크원단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횡방향으로 봉제되며, 코 또는 입에서 내보내는 바람이 착용자의 코와 볼 사이의 공간을 통한 상승을 차폐시키도록 형성된 차폐원단;A shielding fabric sewn in a transverse direction along the upper edge of the mask fabric, the shielding fabric being formed so that wind from the nose or mouth shields the rise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wearer's nose and the ball;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서림 방지용 마스크.Anti-fog mas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차폐원단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형상을 유지시키는 유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서림 방지용 마스크.Anti-fog mask further comprises a holding means for maintaining the shape to prevent sagging of the shielding fabric.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유지수단은,The holding means, 상기 착용자의 코와 볼 사이의 공간을 차폐시키도록 형성된 와이어가, 차폐원단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서림 방지용 마스크.Anti-fog mask,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formed to shield the space between the wearer's nose and the ball is fixed to the shielding fabric.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유지수단은,The holding means, 상기 안면의 굴곡에 따라 탄력적으로 변형되도록 형성된 코일스프링이, 신축성을 갖는 차폐원단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고정되어 착용자의 코와 볼 사이의 공간을 차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서림 방지용 마스크.The coil spring formed to elastically deform according to the curvature of the face is fixed along the outer edge of the shielding fabric having elasticity to shield the space between the wearer's nose and ball mask.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호흡공을 통해 유입되는 미세 먼지 등을 여과하도록 마스크본체에 봉제되는 필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서림 방지용 마스크.Anti-fog mask,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a filter member sewn on the mask body to filter the fine dust flowing through the breathing hol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호흡공은 착용자의 비공에 인접되도록 마스크원단에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서림 방지용 마스크.The breathing ball is anti-fog mask, characterized in that perforated in the mask fabric so as to be adjacent to the wearer's nostrils.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6, 상기 호흡공은 착용자의 콧등 양측에 인접되도록 마스크원단에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서림 방지용 마스크.The breathing ball is anti-fog mask, characterized in that perforated in the mask fabric so as to be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wearer's nose.
KR2020090007492U 2009-06-10 2009-06-10 Mask KR20045658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492U KR200456585Y1 (en) 2009-06-10 2009-06-10 Mas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492U KR200456585Y1 (en) 2009-06-10 2009-06-10 Mas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574U true KR20100012574U (en) 2010-12-20
KR200456585Y1 KR200456585Y1 (en) 2011-11-08

Family

ID=44485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7492U KR200456585Y1 (en) 2009-06-10 2009-06-10 Mas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585Y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969Y1 (en) * 2017-09-04 2018-03-16 박동관 A tight mask for face
KR102265308B1 (en) * 2020-11-10 2021-06-15 지한준 Mask having functional nose support
KR20220037079A (en) * 2020-09-17 2022-03-24 신호태 Anti-fog mask
KR102557110B1 (en) * 2022-08-23 2023-07-19 정성훈 Anti-fog mas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85563A1 (en) * 2013-05-14 2014-11-20 주식회사 나루씨이엠 Anti-fogging mask
KR101539947B1 (en) * 2014-12-01 2015-07-29 박장근 Face protect device
KR101723626B1 (en) 2015-03-26 2017-04-18 주식회사 인텍 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028304B1 (en) 2019-05-10 2019-10-02 신윤익 Mask with enhanced adhes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362Y1 (en) * 2005-04-04 2005-07-14 이건 Facial mask for preventing moisture
KR200428284Y1 (en) * 2006-07-21 2006-10-11 구회석 a mask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969Y1 (en) * 2017-09-04 2018-03-16 박동관 A tight mask for face
KR20220037079A (en) * 2020-09-17 2022-03-24 신호태 Anti-fog mask
KR102265308B1 (en) * 2020-11-10 2021-06-15 지한준 Mask having functional nose support
KR102557110B1 (en) * 2022-08-23 2023-07-19 정성훈 Anti-fog mas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6585Y1 (en) 201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6585Y1 (en) Mask
KR20200000600U (en) A mask having a fixed part that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moisture control frame, fine dust filtering fabric and outside skin fabric
KR200460804Y1 (en) A winter mask
US20170113076A1 (en) Clothing with built-in respiratory filter
KR102415360B1 (en) Mask
KR101710046B1 (en) A Mask Unit Having Defensing of a Glass Steam Removing
KR101854270B1 (en) Dust respirator
KR200470717Y1 (en) Non-slip means with anti-fog mask
KR20130064189A (en) A mask
KR101283551B1 (en) Mask for against cold
KR101083435B1 (en) Anti-fog mask
KR20090030017A (en) Mask
KR20160133635A (en) A Mask Unit Having Defensing of a Glass Steam Removing
KR20190072304A (en) Antifog structure of mask window
JP3177389U (en) mask
KR102078959B1 (en) A Face mask
KR20090012049U (en) Double layer mask
CN205378875U (en) Expired gas that can discharge fast is abluent gauze mask
KR20190002556U (en) Mask for blocking fine dust
KR200485495Y1 (en) Sport-mask
US20220134141A1 (en) Sealable face mask
KR102244875B1 (en) Health mask
KR20210107233A (en) Mask
JP2016195653A (en) Eye mask
KR20110004613U (en) Contact type fashion-ma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