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2304A -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2304A
KR20100012304A KR1020080073621A KR20080073621A KR20100012304A KR 20100012304 A KR20100012304 A KR 20100012304A KR 1020080073621 A KR1020080073621 A KR 1020080073621A KR 20080073621 A KR20080073621 A KR 20080073621A KR 20100012304 A KR20100012304 A KR 20100012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uver
unit
air
discharge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36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82118B1 (en
Inventor
김강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73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2118B1/en
Publication of KR20100012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3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1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1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more than one tilting member, e.g. with several pivoting bl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PURPOSE: An air-condition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increase the distance travelled by air discharged through an air outlet by projecting a louver formed on an air outlet. CONSTITUTION: An air-conditioner comprises a main body, an elevation outlet unit(100), an elevating mechanism, a louver, and a mechanism for moving a louver forward and backward. The main body comprises an air inlet. An opening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The elevation outlet rises through the opening. The elevating mechanism raises the elevation outlet. The louver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of the elevation outlet unit or is inserted into the elevation outlet unit.

Description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조화기 작동시 본체의 공기토출부에 형성된 루버를 전진시켜서 공기를 보다 멀리 토출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discharging air farther by advancing a louver formed in an air discharge portion of a main body during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 시키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으로, 크게 분리형과 일체형으로 구분된다.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is used to cool or heat a room or purify the air by using a refrigeration cycle of a refrigerant consisting of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mechanism, and an evaporator to create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for a user. .

상기한 분리형과 일체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분리형은 실내측에 냉각/방열 기능의 실내기를 설치하고 실외측에 방열/냉각 및 압축 기능의 실외기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간을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고, 일체형은 냉각 방열 압축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한 것이다.The separate type and the integrated type are functionally the same, but the separate type installs the indoor unit of cooling / heating function on the indoor side and the outdoor unit of heat dissipation / cooling and compression function on the outdoor side to connect the two separated devices with refrigerant piping. The one-piece type integrates the function of cooling heat dissipation compression, and is directly installed by drilling a hole in the wall of the house or hanging the device on the window.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캐비닛의 전면부 하부에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부가 형성되고, 캐비닛의 전면부 상부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어 실내의 공기를 전면 하부를 통해 흡입한 후 내부에서 공조한 후 전면 상부를 통해 토출한다. In general, the air conditioner is formed with an air intake portion through which the indoor air is sucked in the lower part of the front part of the cabinet, and an air discharge port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front part of the cabinet. Discharge through the top.

그러나 종래의 공기조화기에서 공조된 공기가 본체에 형성된 공기토출부의 면상에서 외부로 토출시킴으로써, 토출되는 공기가 도달할 수 있는 거리가 짧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istance that the discharged air can reach is shortened by discharging the air that is air-conditioned in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to the outside on the surface of the air discharge portion formed in the main body.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에 형성된 공기 토출부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이동 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that can increase the moving distanc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portion formed in the main bod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실내의 냉방 상태에 따라 공기 토출부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이동 거리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variously adjust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unit according to the cooling state of the room desired by the user.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흡입부가 형성되고,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승강되게 배치되고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승강 토출구 유닛, 상기 승강 토출구 유닛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 상기 승강 토출구 유닛의 공기 토출구 통해 돌출되거나 상기 승강 토출구 유닛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승강 토출구 유닛에 배치된 루버 및 상기 루버를 진퇴시키는 루버 진퇴기구를 포함한다.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air suction unit is formed, the main body is formed with an opening on the upper surface, the elevating discharge port unit is disposed to be elevated through the opening and formed with an air discharge port, elevating the elevating discharge unit And a louver disposed in the lift discharge unit so as to protrude through the air discharge port of the lift discharge unit, or to be inserted into the lift discharge unit.

그리고 상기 루버 진퇴기구는 상기 승강 토출구 유닛에 설치된 구동원, 상기 구동원에 연결된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루버의 진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루버에 설치되는 종동기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루버의 진퇴를 안내하도록 상기 승강 토출구 유닛에 형성된 루버 진퇴 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기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기구와 루버 진퇴기구를 제 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The louver retracting mechanism includes a driving source installed in the elevating discharge unit, a driving gear connected to the driving source, and a driven gear meshed with the driving gear and formed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louver to be installed in the louver. And a louver retraction guide formed in the lifting discharge port unit to guide the retraction of the louver. And a control unit installed in the air conditioner to control the lifting mechanism and the louver retracting mechanism.

한편 공기조화기는 상기 루버의 돌출 길이를 입력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루버의 돌출길이가 가변되게 상기 루버 진퇴기구를 구동시킨다. Meanwhile, the air conditioner further includes an operation unit for inputting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louver, and the control unit drives the louver retracting mechanism so that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louver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그리고 상기 루버는 풍향을 상하방향으로 안내하는 수평루버와 풍향을 좌우방향으로 안내하는 수직루버를 포함한다. The louver includes a horizontal louver for guiding the wind direction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vertical louver for guiding the wind direction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상기 수직루버는 상기 공기토출부와 상기 수평루버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루버진퇴기구는 상기 수직루버를 공기토출부의 전, 후방으로 진퇴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루버는 상기 공기토출부와 상기 수직루버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루버진퇴기구는 상기 수평루버를 공기토출부의 전, 후방으로 진퇴시킬 수도 있다.The vertical louver is located in a space between the air discharge portion and the horizontal louver, and the louver retraction mechanism may advance the vertical louver forward and backward of the air discharge portion. The horizontal louver may be located in a space between the air discharge portion and the vertical louver, and the louver retraction mechanism may advance the horizontal louver forward and backward of the air discharge portion.

또한 상기 수평루버는 상기 공기토출부와 상기 수직루버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루버진퇴기구는 상기 수평루버를 공기토출부의 전, 후방으로 진퇴시키는 수평루버진퇴기구와 상기 수직루버를 전, 후방으로 진퇴시키는 수직루버진퇴기구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horizontal louver is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air discharge portion and the vertical louver, the louver retraction mechanism is a horizontal louver retraction mechanism for advancing the horizontal louver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air discharge portion, and the vertical louver forward and backward And a vertical louver retraction mechanism for advancing and retracting.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수직루버를 회전시키는 수직루버 회전 기구 및 수평루버를 회전시키는 수평루버 회전기구를 더 포함하고, 공기조화기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기구, 상기 루버 진퇴기구, 상기 수직루버 회전 기구 및 상기 수평루버 회전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air conditioner further comprises a vertical louver rotating mechanism for rotating the vertical louver and a horizontal louver rotating mechanism for rotating the horizontal louver, is installed in the air conditioner, the lifting mechanism, the louver retracting mechanism, the vertical louver rotat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echanism and the horizontal louver rotation mechanism.

그리고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부 및 공기 토출부가 형성된 본 체, 상기 공기 토출부를 통해 진퇴하게 배치되는 루버 및 상기 루버를 진퇴 동작시키는 루버 진퇴기구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air intake unit and an air discharge unit, a louver disposed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through the air discharge unit, and a louver retraction mechanism for moving the louver forward and backward.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본체에 승강되게 배치된 승강 토출구 유닛을 상승시키는 승강 토출부 유닛 상승단계, 상기 승강 토출구 유닛 상승단계 이후에 상기 승강 토출구 유닛에 전방으로 진퇴되게 배치된 루버를 승강 토출구 유닛의 전방으로 전진시켜 돌출시키는 루버 진전단계를 포함한다.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uver disposed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to the lift discharge unit after the lift discharge unit unit raising step of elevating the lift discharge unit disposed to be lifted on the main body, and the lifting discharge unit unit rising step. And a louver advancing step of advancing and projecting forward of the elevating discharge unit.

그리고 상기 승강 토출구 유닛 상승단계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시 실시되고, 상기 루버 전진단계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이 원거리 토출 모드이면 실시된다. In addition, the elevating discharge unit unit raising step is performed when the air conditioner is in operation, and the louver forward step is performed when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is in the remote discharge mode.

또한 상기 루버 전진단계 이후에 상기 루버를 승강 토출구 유닛 내부로 후퇴시켜 삽입시키는 루버 후퇴 단계와 상기 루버 후퇴 단계 이후에 상기 승강 토출구 유닛을 상기 본체의 내부로 하강시키는 승강 토출구 유닛 하강단계를 더 포함한다.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louver retreat step of retracting and inserting the louver into the elevating discharge unit after the louver advance step, and a lowering elevating discharge unit unit lowering step of lowering the elevating discharge unit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fter the louver retracting step. .

그리고 상기 루버 전진 단계 도중에 상기 원거리 토출 모드가 완료되면 상기 루버 후퇴단계가 실시된다. 그리고 상기 루버 전진 단계의 도중에 상기 공기조화기가 정지되면, 상기 루버 후퇴단계와 상기 승강 토출구 유닛 하강단계가 순차적으로 실시된다. The louver withdrawal step is performed when the distant discharge mode is completed during the louver advance step. When the air conditioner is stopped in the middle of the louver advance step, the louver retreat step and the lift discharge unit lowering step are sequentially performed.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공기조화기 작동시 본체에 형성된 공기 토출부에 형성된 루버를 상기 공기토출부가 형성하는 면상에서 돌출시킨다. 따라서 공기 토출부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이동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다 First, the louver formed in the air discharge portion formed in the body dur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protrudes on the surface formed by the air discharge portion. Therefore, the moving distance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air discharge portion can be increased.

둘째, 사용자가 원하는 실내 냉방 상태에 따라 상기 루버가 돌출되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다양한 냉방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Second, the distance that the louver protrudes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a desired indoor cooling stat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various cooling modes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the same n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정지시의사시도이고, 도2는 제1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작동시의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고, 도 3 은 제1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집중토출모드에서의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 conditioner when the air conditioner stops operat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 conditioner when the air conditioner of the first embodiment operates. Fig. 3 is a first embodiment. The perspective view in the concentrated discharge mode of the air conditioner of an example.

도 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본체(2)에는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부(106)와 본체(2)의 내부에서 공조된 실내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부(104)가 좌, 우에 형성된다. 그리고 공기 흡입부(106)과 공기 토출부(104)은 좌, 우 패널(108,110)에 의해서 개방 또는 밀폐된다. 1 to 3, the main body 2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air intake unit 106 through which indoor air is sucked in and an air discharge unit through which air conditioned indoor air is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2. 104 is formed at left and right. The air intake unit 106 and the air discharge unit 104 are opened or closed by the left and right panels 108 and 110.

구체적으로 공기조화기 작동시에는 좌, 우 패널(108,110)이 개방되어 공기 흡입부(106)와 공기토출부(104)를 개방하고, 운전이 정지되면 좌, 우 패널(108,110)은 공기 흡입부(106)와 공기토출부(104)를 밀폐한다. 따라서 공기조화기의 미작동시 상기 공기 흡입부(106)와 공기 토출부(108)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 미작동시 외관의 일체감을 형성할 수 있다. Specifically, during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the left and right panels 108 and 110 are opened to open the air intake unit 106 and the air discharge unit 104. When the operation is stopped, the left and right panels 108 and 110 are air intake units. And the air discharge unit 104 is sealed. Therefore, when the air conditioner is not operated, foreign matters such as dust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air intake unit 106 and the air discharge unit 108. In addition, it may form a sense of unity of appearance when the air conditioner is not in operation.

한편, 공기 토출부(104)에는 토출 베인(112)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토출 베인(112)은 공기 토출부(104)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역할과 그리고 후술할 집중토출모드의 운전시 공기 토출부(104)를 막는 역할을 한다. Meanwhile, the discharge vanes 112 are rotatably formed in the air discharge units 104, respectively. The discharge vane 112 serves to control th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unit 104 and to block the air discharge unit 104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oncentrated discharge mode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본체(2)의 상면은 개구되고, 개구면을 통하여 승강 토출구 유닛이(100)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 토출구 유닛(100)의 전면에는 공기 토출부(102)가 형성되고, 본체(2)의 내부에서 공조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된다. 즉 승강 토출구 유닛(100)은 공기조화기 미작동시 본체(2)의 상면에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구성되고, 공기조화기 작동시 본체(2)의 상면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승을 하여 공기 토출부(102)를 통하여 공조된 공기를 배출한다. On the other h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 is opened, and the elevating discharge port unit 100 is provided to be movable up and down through the opening surface. In addition, an air discharge part 102 is formed on a front surface of the elevating discharge unit 100, and air that is air-conditioned inside the main body 2 is discharged into the room. That is, the lift discharge unit 100 is configured to seal the open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 when the air conditioner is not in operation, and ascends through the opening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 when the air conditioner is in operation. The air conditioned air is discharged through 102).

그리고 후술할 원거리 토출 모드시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직루버(20)가 돌출되어 공조된 공기를 더 멀리 보낸다. In the remote discharge mod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vertical louver 20 protrudes as described later to send the air conditioned farther.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승강 토출구 유닛(100)의 사시도이고, 도5는 제1실시예의 승강 토출구 유닛(1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가 일반 모드로 작동중일 때 승강 토출구 유닛의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가 원거리 토출 모드로 작동중일 때 승강 토출구 유닛의 측단면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ft discharge unit 100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ift discharge unit 100 of the first embodiment, Figure 6 is an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normal mode Fig. 7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elevating discharge unit when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operating in the remote discharge mode when it is in operation.

도4 내지 도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승강 토출구 유닛(100)은 캐비닛(11), 승강기구(10), 수평루버(20), 수직루버(30) 및 루버 고정부(40)를 포함한다. 4 to 7, the elevating outlet unit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abinet 11, an elevating mechanism 10, a horizontal louver 20, a vertical louver 30 and a louver fixing part 40. do.

캐비닛(11)은 승강 토출부 유닛(100)의 외관을 형성하고, 전면에 공기 토출부(102)가 개구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2)의 상면에 개구면을 통하여,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개구면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저면에 개구 형성되어, 본체(2)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유입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고정기어(15)가 삽입되는 홈(16)이 형성된다. The cabinet 11 forms an external appearance of the lift discharge unit 100, and the air discharge unit 102 is formed on the front thereof with an opening.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 is formed smaller than the opening surface so that a vertical movement is possible through an opening surface. An opening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and the air sucked into the main body 2 flows in. A groove 16 into which the fixed gear 15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s formed.

승강기구(10)는 승강 토출구 유닛(10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본실시예에서는 캐비닛(11)의 좌우 측면에 한 쌍이 구비되지만, 승강기구(10)의 개수 및 위치는 승강 토출구 유닛(100)의 무게 및 구조 등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다. The lifting mechanism 10 moves the lifting discharge unit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 this embodiment, a pair i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binet 11,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elevating mechanism 10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weight and structure of the elevating discharge unit 100.

승강기구(10)는 승강모터(18), 모터 커버(12), 무빙 기어(14) 및 고정 기어(15)를 포함한다.The lifting mechanism 10 includes a lifting motor 18, a motor cover 12, a moving gear 14, and a fixed gear 15.

승강모터(18)는 캐비닛(11)의 좌, 우측의 하부에 설치되고, 모터 커버(12)가 각 모터를 덮도록 위치한다. 그리고 각 승강모터(18)에는 무빙 기어(14)가 각각 설치된다. 무빙 기어(14)는 고정 기어(15)와 치합된다. 한편 고정 기어(15)는 본체(2)의 상부 내벽에 체결부재로 체결된다. Lifting motor 18 is installed on the lower left and right of the cabinet 11, the motor cover 12 is positioned so as to cover each motor. And each lifting motor 18 is provided with a moving gear 14, respectively. The moving gear 14 is meshed with the fixed gear 15. Meanwhile, the fixed gear 15 is fastened to the upper inner wall of the main body 2 by a fastening member.

따라서 공기 조화기가 작동을 하지 않는 경우 캐비닛(11)은 본체(2)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 기어(15)는 캐비닛(11)의 측면에 형성된 홈(16)에 삽입되어 있다. Therefore, when the air conditioner does not operate, the cabinet 11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2. And the fixed gear 15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6 form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cabinet 11.

한편, 공기조화기가 작동되면 승강 모터(18)가 회전을 하고 승강 모터와 결합되어 있는 무빙 기어(14)도 회전을 하게 된다. 그리고 무빙 기어(14)는 회전을 하면서 본체(2)의 상부 내벽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 기어(15)를 따라 상부로 이동을 하게 된다. 결국 승강 토출구 유닛(100)이 본체(2)의 상부로 이동을 하게 된다. Meanwhile, when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ed, the lifting motor 18 rotates, and the moving gear 14 coupled with the lifting motor 14 also rotates. The moving gear 14 rotates upward along the fixed gear 15 fixed to the upper inner wall of the main body 2 while rotating. As a result, the lifting discharge unit 100 is mov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2).

루버(20,30)는 공기 토출부(102)를 통하여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면서, 원거리 토출 모드시에는 공기 토출부(102)를 통해 돌출되도록 이동된다. 따라서 원거리 토출 모드시, 루버(20,30)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이동거리를 크게 할 수 있다. The louvers 20 and 30 are moved to protrude through the air discharge unit 102 in the remote discharge mode while adjusting the wind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the air discharge unit 102. Therefore, in the remote discharge mode, the moving distance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louvers 20 and 30 can be increased.

여기서 원거리 토출 모드란 본 실시예의 본체(2)에 형성된 공기 토출부(104)를 토출 베인(112)으로 막고, 승강 토출구 유닛(100)에 형성된 공기 토출부(102)로만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여 공기조화기 전면에 형성된 공간을 집중적으로 냉방하는 운전 모드이다. 즉 원거리 토출 모드시에는 공기흡입부(102)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이동거리를 멀리할수록 냉방될 수 있는 공간이 커지게 된다. In the remote discharge mode, the air discharge unit 104 formed in the main body 2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blocked by the discharge vanes 112, and the air-conditioned air discharge unit 102 formed in the lift discharge unit 100 is discharged to discharge air-conditioned air. It is an operation mode that intensively cools the space formed in front of the air conditioner. That is, in the remote discharge mode, the space that can be cooled becomes larger as the moving distance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air suction unit 102 increases.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원거리 토출 모드시 루버(20,30)가 공기토출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이동시켜서 토출되는 공기가 보다 먼 거리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uvers 20 and 30 are moved to protrude in front of the air discharge unit in the remote discharge mode so that the discharged air can be moved to a farther distance.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루버(20,30)는 공기의 풍향을 상하방향으로 조절하는 수평루버(20)와 좌우방향으로 조절하는 수직루버(30)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louvers (20, 30) in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orizontal louver 20 for adjusting the wind direction of the ai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vertical louver 30 for adjust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수평루버(20)와 수직루버(30)의 위치는 수직루버(30)가 공기 토출부(102)와 수평루버(20)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루버(20)가 공기 토출부(102)와 수직루버(30)사이에 위치한다. The position of the horizontal louver 20 and the vertical louver 30 may be located between the vertical louver 30 and the air discharge part 102 and the horizontal louver 20. 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horizontal louver 20 is air. It is located between the discharge part 102 and the vertical louver 30.

그리고 원거리 토출 모드시에 수평루버(20)와 수직루버(30) 모두가 전방으 로 이동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루버(30)보다 전방에 위치한 수평 루버(20)만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In addition, although the horizontal louver 20 and the vertical louver 30 may both move forward in the long discharge mode, in this embodiment, only the horizontal louver 20 located in front of the vertical louver 30 moves forward. do.

한편, 수평루버(20)와 수직루버(30)는 캐비닛(11)에 회전가능하면서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의 승강 토출부 유닛(100)은 수평루버(20)와 수직루버(3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루버 서포터(40)를 포함한다. Meanwhile, the horizontal louver 20 and the vertical louver 30 may be installed in the cabinet 11 so as to be rotatable and move forward. However, the lifting discharge unit 100 in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louver supporter 40 in which the horizontal louver 20 and the vertical louver 30 can be rotatably installed.

수직루버(30)는 공기 토출부(102)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좌우방향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수직 루버(30)는 복수개가 좌, 우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으나, 복수개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vertical louver 30 adjusts the wind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unit 102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urality of vertical louvers 30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but a plurality of vertical louvers 30 may be integrally formed.

수직루버(30)는 토출공기의 풍향을 좌, 우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있는 날개부(33), 날개부(33)의 상측에 형성되어 루버 서포터(40)의 상면에 형성된 홀(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회전축(34)을 포함한다.The vertical louver 30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wing part 33 and the wing part 33 which are er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adjust the wind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uver supporter 40. It includes a rotating shaft 34 rotatably fitted to (not shown).

그리고 수직 루버(30)은 날개부(33)의 하부에 전, 후방향으로 2개의 회전축(31), (32)을 더 포함한다. 전방에 위치한 회전축(31)은 루버 서포터(40)에 형성된 홈(42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후방에 위치한 회전축(32)은 연동부재(36)에 형성된 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In addition, the vertical louver 30 further includes two rotation shafts 31 and 32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t the lower portion of the wing portion 33. The rotating shaft 31 located at the front sid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groove 42a formed in the louver supporter 40. And the rotating shaft 32 located in the rea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groove formed in the linking member (36).

한편, 상기 복수개의 수직 루버(30)를 회전시키는 구동기구는 각 수직 루버(30)에 각각 구비되어 각 수직 루버(30)를 개별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수직 루버(30) 중 하나에 연결된 구동모터(35)를 포함하 고, 구동 모터(35)의 회전에 의한 회전력이 연동부재(36)에 의해 구동 모터(35)가 연결되지 않은 수직 루버(35)에 전달된다. 결국 하나의 구동 모터(35)는 복수개의 수직 루버(30) 중 어느 하나의 날개부(33) 상측에 형성된 회전축(34)과 연결된다. On the other hand, the driving mechanism for rotating the plurality of vertical louvers 30 are provided in each vertical louver 30 may drive each vertical louver 30 individually.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rive motor 35 connect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louvers 30, and the rotational force by th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35 is driven by the interlocking member 36 to drive the motor 35. It is delivered to a vertical louver 35 that is not connected. As a result, one driving motor 35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34 formed above one of the wings 33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louvers 30.

그리고 루버 서포터(40)의 상부면에는 상기 구동 모터(35)가 관통될 수 있는 모터홀(44)이 형성된다. 즉 구동 모터(35)는 캐비닛 내부에 공간에 설치가 되게 되고, 상기 모터홀(44)을 통하여 루버 서포터(40) 내부에 위치하는 수직 루버(3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uver supporter 40 has a motor hole 44 through which the driving motor 35 can pass. That is, the drive motor 35 is installed in the space inside the cabinet,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vertical louver 30 positioned in the louver supporter 40 through the motor hole 44.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수직 루버(30)가 하나의 구동 모터(35)와 연동부재(36)에 의해 연동하여 회전을 한다. 하지만 복수개의 수직 루버(30) 각각에 모터가 설치되고 설치된 모터에 의해 복수개의 수직 루버(30)를 각각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원거리 토출 모드시 복수개의 수직 루버(30)들이 형성하는 각도를 조절하여 토출거리를 증대할 수도 있게 된다. 즉 복수개의 수직 루버(30)들이 형성하는 유로가 실내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으로 점점 작아지게 수직 루버(30)간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면 토출공기의 이동거리가 증대되게 된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urality of vertical louvers 30 rotate by interlocking with one driving motor 35 and the interlocking member 36. However, a plurality of vertical louvers 30 may be controlled by a motor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louvers 30. In this case, the discharge distance may be increased by adjusting an angle formed by the plurality of vertical louvers 30 in the remote discharge mode. That is, if the flow path formed by the plurality of vertical louvers 30 is adjus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door air is discharged and the rotation angle between the vertical louvers 30 is adjusted, the moving distance of the discharge air is increased.

수평 루버(20)는 공기 토출부(102)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상하방향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수평 루버(20)는 수직 루버(30)와 같이 복수개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수평 루버(20)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일체형으로 형성된 수평 루버(20)의 개수는 공기 토출부(102)의 크기 및 공기 조화기 전체의 송풍량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horizontal louver 20 serves to adjust the wind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unit 102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horizontal louvers 20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like the vertical louver 30, but in this embodiment, a pair of horizontal louvers 20 may be integrally formed. However, the number of horizontal louvers 20 formed integrally may be variously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air discharge unit 102 and the air blowing amount of the entire air conditioner.

수평 루버(20)의 양측에는 회전축(21)(22)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루버 서포터(40)의 일측면에는 수평 루버(20)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축(22)이 회전가능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홈(41)이 형성된다. Rotating shafts 21 and 22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louver 20, respectively. In addition, a groove 4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louver supporter 40 so that the rotation shaft 22 formed at one side of the horizontal louver 20 is rotatable and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그리고 루버 서포터(40)의 타측면에는 수평 루버(20)의 타측에 형성된 회전축(21)이 회전가능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홀(43)이 형성된다. 즉 수평 루버(20)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23)와 상기 수평 루버(20)의 타측에 형성된 회전축(21)은 루버 서포터(40)의 타측에 형성된 홀(43)을 관통하여 연결된다. And the other side of the louver supporter 40 is formed with a hole 43 to which the rotary shaft 21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rizontal louver 20 is rotatable and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at is, the drive motor 23 for rotating the horizontal louver 2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rotation shaft 21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rizontal louver 20 are connected through the hole 43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uver supporter 40. do.

한편 구동 모터(23)는 캐비닛(11) 내부에 위치하게 되고, 수평 루버(2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모터(23)가 위치하는 캐비닛(11) 내부에는 구동모터(23)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홈(11a)이 형성된다. Meanwhile, the drive motor 23 is positioned inside the cabinet 11 and moves as the horizontal louver 20 mov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refore, the groove 11a is formed in the cabinet 11 in which the drive motor 23 is located so that the drive motor 23 can move in the front-rear direction.

그리고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 루버(20)만이 진퇴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의 루버 진퇴 기구는 수평 루버 진퇴 기구에 해당한다. 따라서 수평 루버 진퇴 기구는 수평루버(20)에 설치된 종동기어(25), 승강토출구 유닛(100)에 설치된 구동원 및 상기 구동원에 연결된 구동기어(24)를 포함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since only the horizontal louver 20 is configured to advance and retreat, the louver retraction mechanism in this embodiment corresponds to the horizontal louver retraction mechanism. Therefore, the horizontal louver retracting mechanism includes a driven gear 25 installed in the horizontal louver 20, a driving source installed in the elevating discharge unit 100, and a driving gear 24 connected to the driving source.

상기 구동원은 다양한 형태의 구동원이 구비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모터(2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구동모터(24)에는 구동기어(26)가 결합된다. The drive source may be provided with a drive source of various forms,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composed of a drive motor (24). The drive gear 26 is coupled to the drive motor 24.

종동기어(25)는 수평 루버(20)의 진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구동기어(26)과 치합된다. 그리고 종동 기어(25)는 수평 루버(20)에 설치되어 구동모터(24) 및 구동 기어(26)의 회전에 따라 수평 루버(2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The driven gear 25 is formed long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horizontal louver 20 and meshes with the drive gear 26. And the driven gear 25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louver 20 to move the horizontal louver 2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24 and the drive gear 26.

한편, 수평 루버 진퇴 기구의 개수는 루버의 크기,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수평 루버 진퇴 기구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수평 루버(20)의 양 측면 하단에 수평루버(20)의 진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종동 기어(25)가 형성되고, 여기에 구동기어(16)가 치합된다. 그리고 구동모터(24)는 루버 서포터(40)의 양측 하단에 고정된다.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horizontal louver retractor mechanism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size, shape, etc. of the louver, in 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pair of horizontal louver retractor mechanism. Specifically, driven gears 25 formed long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horizontal louvers 20 are formed at lower ends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horizontal louvers 20, and the drive gears 16 are engaged thereto. In addition, the driving motor 24 is fixed to both lower ends of the louver supporter 40.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루버(20)은 한 쌍이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각 수평루버(20)의 전단부는 공기의 토출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20a)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20a)는 수평 루버(2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로를 수평 루버(20)의 전방의 일정거리까지 연장하여, 토출공기의 이동거리를 증대시킨다. 그리고 한 쌍의 돌출부(20a)는 돌출부(20a)사이에 형성하는 유로가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으로 좁아지게 형성되어 토출거리를 증대시킬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ir of horizontal louvers 20 is provided as a pair. The front end of each horizontal louver 20 includes a protrusion 20a which protrudes in the discharge direction of air. The protrusion 20a extends a flow path of air discharged from the horizontal louver 20 to a predetermined distance in front of the horizontal louver 20, thereby increas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discharged air. In addition, the pair of protrusions 20a may be formed to narrow the flow path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s 20a in the direction in which air is discharged, thereby increasing the discharge distance.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수평 루버(20)은 복수개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의 수직 루버(30)처럼 복수개의 수평 루버(20)가 이격되어 배치되고, 수평 루버(20)가 독립된 구동원에 의해 각각 제어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원거리 토출 모드시 복수개의 수평 루버(2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복수개의 수평 루버(20)가 형성하는 유로가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할 수 있 다. 따라서 원거리 토출 모드시 토출 공기의 이동거리를 더 크게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louvers 20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integrally, but a plurality of horizontal louvers 20 are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like the vertical louver 3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rizontal louvers 20 are independent Each may be controlled by a driving source. In this case, by adjusting the rotation angles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louvers 20 in the remote discharge mode, the flow path formed by the plurality of horizontal louvers 20 may be made smaller in the air discharge direc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moving distance of the discharge air in the remote discharge mode.

루버 서포터(40)는 수평 루버(20) 및 수직 루버(30)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수평 루버(20) 및 수직 루버(30)은 캐비닛(11)의 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의 승강토출구 유닛(100)은 캐비닛(11)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루버 서포터(40)를 포함하고, 루버 서포터(40)에 수평 루버(20)와 수직 루버(30)가 회전가능하게 또는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The louver supporter 40 serves to secure the horizontal louver 20 and the vertical louver 30 to be rotatable. The horizontal louvers 20 and the vertical louvers 3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abinet 11 or movably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However, the lifting and discharging unit 100 in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louver supporter 40 inserted into the cabinet 11 and installed, and the horizontal louver 20 and the vertical louver 30 to the louver supporter 40. Is rotatably or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루버 서포터(40)는 캐비닛(11)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캐비닛(11)에 형성된 공기토출부(102)에 대응하여 전면이 개구되고, 캐비닛(11)의 개구 형성된 저면부에 대응하여 저면이 개구 형성된다.  The louver supporter 40 is formed to have a siz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cabinet 11, the front surface thereof is opened to correspond to the air discharge portion 102 formed in the cabinet 11, and the bottom portion having the opening of the cabinet 11 is formed. Correspondingly, the bottom face is formed with an opening.

루버 서포터(40)의 상면에는 수직 루버(30)를 구동하는 구동모터(35)와 수직루버(30)의 날개부(33)의 상측에 형성된 회전축이 연결될 수 있도록 모터홀(44)이 형성된다.  The motor hole 44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uver supporter 40 so that the driving motor 35 driving the vertical louver 30 and the rotation shaft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wing 33 of the vertical louver 30 can be connected. .

그리고 양 측면에 수평루버(20)의 일측 회전축(22)이 회전가능하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홈(41)이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수평루버(20)의 타측 회전축(21)이 수평 루버(20) 구동 모터(23)과 연결될 수 있도록 홀(43)이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In addition, grooves 41 are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rizontal shaft 20 of the horizontal louver 20 so as to be rotatable and move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addition, the hole 43 is formed lo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that the other rotation shaft 21 of the horizontal louver 20 can be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23 of the horizontal louver 20.

루버 서포터(40)의 전면 개구면의 하단에는 수직루버(30)의 하부 전방에 위치한 회전축(3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수직루버 결합부(42)가 개구면에서 공기진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수직 루버 결합부(42)에는 수직 루버의 상기 회전축(31)이 결합되는 홈(42a)이 형성된다.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opening surface of the louver supporter 40, a vertical louver coupling portion 42, to which the rotational shaft 31 located at the lower front of the vertical louver 30, can be rotatably coupled, is opposite to the air moving direction in the opening surface. It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The vertical louver coupling portion 42 is formed with a groove 42a to which the rotation shaft 31 of the vertical louver is coupled.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승강 기구(10) 및 수평 루버 진퇴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즉 승강 기구(10)를 상승 하강 시키는 승강모터(18)와 수평 루버(20)를 진퇴시키는 구동 모터(24)의 작동여부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수직 루버 회전 기구 및 수평 루버 회전 기구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수평 루버(20)를 회전 시키는 구동모터(23)과 수직 루버(30)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35)를 제어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elevating mechanism 10 and the horizontal louver retracting mechanism. That is, it controls whether the elevating motor 18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elevating mechanism 10 and the driving motor 24 for advancing and retracting the horizontal louver 20. The controller may also control the vertical louver rotating mechanism and the horizontal louver rotating mechanism. That is,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driving motor 23 for rotating the horizontal louver 20 and the driving motor 35 for rotating the vertical louver 30.

한편,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사용자가 상기 수평 루버 진퇴 기구, 승강 기구, 수직 루버 회전 기구 및 수평 루버 회전 기구의 작동을 입력할 수 있는 조작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승강 토출부 유닛(100)의 상승과 하강, 수평 루버(20)의 회전 및 진퇴 및 수직 루버(30)의 회전을 외부에서 입력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수평 루버(20)의 진퇴 거리 또한 상기 조작부에서 입력을 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수평 루버(20)의 돌출 거리가 가변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operation unit (not shown) that allows a user to input the operation of the horizontal louver retracting mechanism, the lifting mechanism, the vertical louver rotating mechanism and the horizontal louver rotating mechanism. Therefore, the user may externally input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elevating discharge unit 100, the rotation and the retraction of the horizontal louver 20, and the rotation of the vertical louver 30. In addition, the user may input the retreat distance of the horizontal louver 20 in the manipulation unit, and thus, the protrusion distance of the horizontal louver 20 may vary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승강 토출구 유닛의 작동과 관련된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dure for a control method associated with the operation of the lift discharge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상기 조작부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부의 판단에 따라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승강 토출부 유닛의 작동과 관련된 제어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12, a control method associated with operation of the lift discharge unit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the controller in response to an input of the manipulation unit by the user.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조작부를 통하여 입력을 하면 상기 승강 기 구의 승강 모터(18)가 구동을 하여 승강 토출구 유닛(100)이 본체의 상부로 상승을 하게 된다(승강 토출구 유닛 상승 단계: S10). 즉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의 조작부를 통하여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입력하였을 경우 좌, 우측 패널(108)(110)의 개방과 동시에 승강 토출구 유닛(100)이 상승하게 된다. When the user inputs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through the operation unit, the elevating motor 18 of the elevating mechanism is driven to raise the elevating discharge unit 10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 That is, when the user inputs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through the operation unit of the air conditioner, the lifting outlet unit 100 is raised at the same time as the left and right panels 108 and 110 are opened.

한편, 승강 토출구 유닛 상승단계(S10) 후, 사용자가 외부의 조작부를 통하여 원거리 토출 모드를 선택적으로 입력을 할 수 있고, 그러면 제어부(미도시)는 원거리 토출 모드가 온(On) 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0).On the other hand, after the elevating discharge unit unit raising step (S10), the user can selectively enter the remote discharge mode through the external control unit, and then the controller (not shown) determines whether the remote discharge mode is On (On). (S20).

그리고 원거리 토출 모드가 온(On) 된 경우, 루버(20)(30)를 승강 토출부 유닛(100)의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루버 전진 단계(S30)를 포함한다. 즉 수평루버(20)와 수직 루버(30)가 다 승강 토출구 유닛(10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 루버(20)만이 전진을 하게 된다. And when the remote discharge mode is On (On), includes a louver advance step (S30) for projecting the louvers (20, 30) to the front of the elevating discharge unit unit 100. That is, the horizontal louver 20 and the vertical louver 30 may protrude forward in front of the elevating discharge unit 100, but in this embodiment, only the horizontal louver 20 moves forward.

또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수평 루버(20)가 전진된 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수평 루버(20)의 돌출 길이는 가변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horizontal louver 20 is advanced,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horizontal louver 20 may vary according to a user input.

한편, 원거리 토출 모드 작동중 사용자는 외부의 조작부(미도시)를 통하여 원거리 토출 모드의 오프(Off)를 선택적으로 입력을 할 수 있고, 제어부(미도시)는 원거리 토출 모드가 오프(Off) 되었는지를 판단한다(S40). On the other hand, during the remote discharge mode operation, the user can selectively input the off of the remote discharge mode through an external control panel (not shown), the control unit (not shown) whether the remote discharge mode is off (Off) Determine (S40).

그리고 원거리 토출 모드가 오프(Off) 된 경우, 루버(20)(30)를 승강 토출부 유닛(100)의 전방에서 후퇴하여 공기 토출부(120) 내부로 삽입시키는 루버 후퇴 단계(S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루버 전진 단계(S30)에서 전진된 수평 루버(20)만이 후퇴를 하게 된다. And a louver retraction step S50 for retracting the louvers 20 and 30 in front of the elevating discharge unit 100 to insert the louvers 20 and 30 into the air discharge unit 120 when the remote discharge mode is turned off. do. In the present embodiment, only the horizontal louver 20 advanced in the louver forward step S30 is retracted.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 제어 방법은 상기 루버 후퇴 단계(S50) 후에 상기 승강 토출구 유닛(100)을 본체(2)의 내부로 하강시키는 승강 토출구 유닛 하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강 토출구 유닛의 하강 단계는 승강 토출구 유닛(100)이 하강되어 본체(2)의 상부 개구면을 밀폐한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air conditioner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lifting discharge unit lowering step for lowering the lifting discharge unit 100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2 after the louver retraction step (S50). Can be. In the descending step of the elevating discharge unit, the elevating discharge unit 100 is lowered to seal the upper opening surface of the main body 2.

한편, 도12의 순서도에는 승강 토출구 유닛 상승단계(S10)는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조작부를 통하여 입력한 경우에 작동을 하도록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좌, 우측 패널(108)(110)만 개방되어 작동을 하고 있는 중, 사용자가 원거리 토출 모드를 선택하면, 좌, 우측 패널(108)(110)은 닫히고, 승강 토출부 유닛(100)만이 상승을 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조화기 미작동시 사용자가 작동과 동시에 원거리 토출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좌, 우 패널(108)(110)의 개방 없이 승강 토출부 유닛(100)만이 승강을 한다. 그리고 이 경우 승강 토출구 유닛 상승단계(S10)과 루버 전진 단계(S30)은 순차적으로 작동을 하게 된다. Meanwhile, in the flowchart of FIG. 12, the elevating discharge unit unit raising step S10 is illustrated to operate when the user inputs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through the operation unit. However, if only the left and right panels 108 and 110 are open and operating, and the user selects the remote discharge mode, the left and right panels 108 and 110 are closed and the lift discharge unit 100 is closed. Only can climb. When the user selects the remote discharge mode at the same time when the air conditioner is not operated, only the lift discharge unit 100 is lifted without opening the left and right panels 108 and 110. In this case, the elevating discharge unit unit raising step S10 and the louver advancing step S30 operate sequentially.

또한 도 12의 순서도상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한편, 상기 원거리 토출 모드 진행 중 공기조화기가 정지가 되면 상기 루버 후퇴 단계(S50)와 승강 토출구 유닛 하강 단계는 순차적으로 진행을 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flowchart of FIG. 12, on the other hand, when the air conditioner is stopped while the remote discharge mode is in progress, the louver retreat step S50 and the lift discharge unit lowering step may be sequentially performed.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8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승강 토출구 유닛(1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은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가 일반 모드로 작동중일 때 승강 토출구 유닛의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가 원거리 토출 모드로 작동중일 때 승강 토출구 유닛의 측단면도이다.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levating discharge unit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vating discharge unit when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operating in the normal mode, and FIG.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vating discharge port unit when the air conditioner of this embodiment is operating in the remote discharge mode.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0.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승강 토출구 유닛(100')은 제1실시예의 승강 토출구 유닛(100)과 유사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나, 원거리 토출 모드시 수평 루버(20)의 전진과 함께 수직 루버(30)도 전진을 하게 된다. The lifting discharge unit 100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at of the lifting discharge unit 100 of the first embodiment, but with the advance of the horizontal louver 20 in the long discharge mode, the vertical louver 30 Will also move forward.

따라서 본 실시예의 승강 토출구 유닛(100')은 수직 루버(30) 진퇴 기구를 더 포함한다. 수직 루버 진퇴 기구는 연동 부재(36)에 설치된 종동기어(55), 승강토출구 유닛(100')에 설치된 구동원 및 상기 구동원에 연결된 구동기어(56)를 포함한다. Therefore, the elevating discharge port unit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vertical louver 30 advancing mechanism. The vertical louver retraction mechanism includes a driven gear 55 provided in the interlocking member 36, a drive source provided in the lifting discharge unit 100 ', and a drive gear 56 connected to the drive source.

상기 구동원은 다양한 형태의 구동원이 구비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모터(5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구동모터(54)에는 구동기어(56)가 결합된다. The drive source may be provided with a drive source of various forms,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composed of a drive motor (54). The drive gear 56 is coupled to the drive motor 54.

종동기어(55)는 수직 루버(30)의 진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구동기어(56)과 치합된다. 그리고 종동 기어(55)는 연동 부재(20)에 설치되어 구동모터(54) 및 구동 기어(56)의 회전에 따라 연동 부재(36) 및 복수개의 수직 루버(3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The driven gear 55 is formed long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vertical louver 30 and meshes with the drive gear 56. In addition, the driven gear 55 is installed in the interlocking member 20 to move the interlocking member 36 and the plurality of vertical louvers 30 back and forth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54 and the driving gear 56.

한편, 수직 루버 진퇴 기구의 개수는 루버의 크기,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수평 루버 진퇴 기구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연동 부재(36)의 양 측면 하단에 수직루버(30)의 진퇴방향으로 길게 형 성된 종동 기어(55)가 형성되고, 여기에 구동기어(56)가 치합된다. 그리고 구동모터(54)는 루버 서포터(40')의 양측 하단에 고정된다.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vertical louver retractor mechanism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size, shape, etc. of the louver, in 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pair of horizontal louver retractor mechanism. Specifically, driven gears 55 formed long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vertical louver 30 are formed at the lower ends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interlocking member 36, and the drive gears 56 are engaged therewith. The driving motor 54 is fixed to both lower ends of the louver supporter 40 '.

루버 서포터(40')에 형성되어 수직루버(30)의 회전축(31)(34)와 결합되는 루버 서포터(40')의 상부면에 형성된 홈(미도시), 수직 루버 결합부(42')에 형성된 홀(42a')은 제 1실시예와 달리 수직루버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수직루버(30)는 루버 서포터(40')에 회전가능하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게 된다. Grooves (not shown)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louver supporter 40 ', which is formed in the louver supporter 40' and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s 31 and 34 of the vertical louver 30, and the vertical louver coupling part 42 '. The holes 42a 'formed in the grooves are elongated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vertical louver, 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refore, the vertical louver 3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uver supporter 40 ′ and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그리고 루버 서포터(40')에 형성된 모터홀(44') 역시 수직 루버(30)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motor hole 44 ′ formed in the louver supporter 40 ′ is also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vertical louver 30.

한편, 수직 루버(30)를 회전 시키는 구동 모터(35)는 캐비닛(11)의 내부 상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캐비닛(11)의 상부면에도 측면에 형성된 홈(11a)와 유사한 형태의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수직 루버(30)에 따른 구동 모터(35)의 이동을 안내한다. On the other hand, the drive motor 35 for rotating the vertical louver 30 is installed on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1). Therefore, although not shown, a groove (not shown) similar to the groove 11a formed on the side surfac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1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driving motor 35 along the vertical louver 30.

그리고 제어부(미도시)는 수직 루버 진퇴 기구도 제어를 할 수 있고, 조작부(미도시)를 통하여 사용자는 수직 루버(30)의 이동거리를 입력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입력에 따라 수직 루버(30)의 돌출거리가 가변되게 제어할 수 있다. And the control unit (not shown) can also control the vertical louver retraction mechanism, the user can input the moving distance of the vertical louver 30 through the operation unit (not shown), the control unit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of the operation unit The protrusion distance of the vertical louver 30 can be controlled to be variable.

그리고 제2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의한 승강토출부 유닛(100')의 동작은 제1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의한 승강 토출부 유닛(100)과 유사하나, 루버 전진 단계에서 수평 루버(20)와 수직 루버(30)가 동시에 전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And the operation of the lift discharge unit 100 'by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second embodiment is similar to the lift discharge unit 100 by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first embodiment, but the louver advance step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horizontal louver 20 and the vertical louver 30 advance simultaneously.

즉 원거리 토출 모드시 수직 루버(30)는 수평 루버(20)가 이동하여 빈 공간으로 전진을 하게 된다. 따라서 공기 토출부(102)를 통하여 토출된는 공기의 토출 거리를 증대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long distance discharge mode, the vertical louver 30 moves to the empty space by moving the horizontal louver 20. Therefore, the discharge distance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air discharge unit 102 can be increased.

그리고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ince the other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are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11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원거리 토출 모드시의 사시도이다.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mote discharge mode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승강 토출부 유닛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공기 토출부(102")가 본체(2")의 전면에 개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공기 토출부의 내부 공간에 수평 루버(20) 및 수직 루버(3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원거리 토출 모드가 입력이 되는 경우 상기 수평 루버(20) 및 수직 루버(30)가 공기 토출부 전면으로 돌출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이동거리를 크게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include a lift discharge unit separately, and the air discharge unit 102 "is formed in the front of the main body 2". The horizontal louver 20 and the vertical louver 30 are rotatably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air discharge part. When the remote discharge mode is input, the horizontal louver 20 and the vertical louver 30 protrude toward the front of the air discharge unit, thereby increas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discharged air.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의한 동작에 있어서 제1 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서의 공기조화기의 동작단계에서 승강 토출부 유닛(100)의 상승 단계가 없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동작을 하게 된다. The operation by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of this embodiment is the same except that there is no rising step of the lift discharge unit 100 in the operation step of the air conditioner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t will work.

그리고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 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And since the other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are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above technical scop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정지시의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at the time of stopping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제1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작동시의 공기조화기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in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first embodiment;

도 3은 제1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집중토출모드에서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in a concentrated discharge mode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first embodiment;

도 4는 제1실시예의 승강 토출구 유닛(100)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ft discharge unit 100 of the first embodiment;

도5 는 제1실시예의 승강 토출구 유닛(100)의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ift discharge unit 100 of the first embodiment;

도6은 제1 실시예의 공기조화기가 일반 모드로 작동중일 때 승강 토출구 유닛의 측단면도;Fig. 6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elevating discharge port unit when the air conditioner of the first embodiment is operating in the normal mode;

도 7은 제1 실시예의 공기조화기가 원거리 토출 모드로 작동중일 때 승강 토출구 유닛의 측단면도; Fig. 7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elevating discharge port unit when the air conditioner of the first embodiment is operating in the remote discharge mode;

도 8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승강 토출구 유닛(100')의 분해 사시도;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ift discharge unit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은 제2 실시예의 공기조화기가 일반 모드로 작동중일 때 승강 토출구 유닛의 측단면도;Fig. 9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elevating discharge port unit when the air conditioner of the second embodiment is operating in the normal mode;

도 10은 제 2 실시예의 공기조화기가 원거리 토출 모드로 작동중일 때 승강 토출구 유닛의 측단면도; Fig. 10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elevating discharge port unit when the air conditioner of the second embodiment is operating in the remote discharge mode;

도 11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원거리 토출 모드시의 사시도;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n a remote discharge mod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승강 토출구 유닛의 작동과 관련된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dure for a control method associated with the operation of the lift discharge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본체 10: 승강 기구2: body 10: lifting mechanism

11: 캐비닛 11a: 홈11: cabinet 11a: groove

12: 모터 커버 14: 무빙 기어12: motor cover 14: moving gear

15: 고정 기어 16: 홈15: fixed gear 16: groove

18: 승강 모터 20: 수평 루버18: lifting motor 20: horizontal louver

20a: 돌출부 21,22: 회전축20a: protrusion 21, 22: axis of rotation

23: 구동 모터 24: 구동 모터23: drive motor 24: drive motor

25: 종동 기어 26: 구동 기어25: driven gear 26: drive gear

30: 수직 루버 31,32,34: 회전축30: vertical louver 31,32,34: axis of rotation

33: 날개부 35: 구동 모터33: wing 35: drive motor

36: 연동 부재 40: 루버 서포터36: linkage member 40: louver supporter

41: 홈 42: 루버 결합부41: groove 42: louver coupling

42a: 홈 43: 홀42a: home 43: hall

44: 모터홀 54: 구동 모터44: motor hole 54: drive motor

55: 종동 기어 56: 구동 기어55: driven gear 56: drive gear

100: 승강 토출구 유닛 102,104: 공기 토출부100: lifting and lowering discharge unit 102,104: air discharge

106: 공기 흡입부 108,110: 좌우 패널106: air intake 108,110: left and right panels

112: 토출 베인112: discharge vane

Claims (17)

공기흡입부가 형성되고,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A main body having an air suction unit and an opening formed at an upper surface thereof; 상기 개구부를 통해 승강되게 배치되고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승강 토출구 유닛;An elevating discharge unit configured to be elevated through the opening and having an air discharge port; 상기 승강 토출구 유닛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An elevating mechanism for elevating the elevating discharge unit; 상기 승강 토출구 유닛의 공기 토출구 통해 돌출되거나 상기 승강 토출구 유닛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승강 토출구 유닛에 배치된 루버; 및A louver disposed in the lift discharge unit so as to protrude through the air discharge port of the lift discharge unit or be inserted into the lift discharge unit; And 상기 루버를 진퇴시키는 루버 진퇴기구;A louver retracting mechanism for retracting the louver; 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Including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루버 진퇴기구는 상기 승강 토출구 유닛에 설치된 구동원, 상기 구동원에 연결된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루버의 진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루버에 설치되는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The louver retracting mechanism includes a drive source installed in the lifting discharge port unit, a drive gear connected to the drive source, and a driven gear meshed with the drive gear and formed long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louver and installed in the louver.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루버의 진퇴를 안내하도록 상기 승강 토출구 유닛에 형성된 루버 진퇴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And a louver retreat guide formed in the elevating discharge port unit to guide the retreat of the louver.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공기조화기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기구와 루버 진퇴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And a control unit installed in the air conditioner to control the lifting mechanism and the louver retracting mechanism. 청구항 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상기 루버의 돌출 길이를 입력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inputting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louv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루버의 돌출길이가 가변되게 상기 루버 진퇴기구를 구동시키는 공기조화기.And the control unit drives the louver retracting mechanism to vary the protrusion length of the louver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루버는 풍향을 상하방향으로 안내하는 수평루버와 풍향을 좌우방향으로 안내하는 수직루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The louver includes a horizontal louver for guiding the wind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vertical louver for guiding the wind direc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수직루버는 상기 공기토출부와 상기 수평루버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고, The vertical louver is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air discharge portion and the horizontal louver, 상기 루버진퇴기구는 상기 수직루버를 공기토출부의 전, 후방으로 진퇴시키는 공기조화기.The louver retraction mechanism is an air conditioner for advancing and retreating the vertical louver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air discharge portion.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수평루버는 상기 공기토출부와 상기 수직루버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고, The horizontal louver is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air discharge portion and the vertical louver, 상기 루버진퇴기구는 상기 수평루버를 공기토출부의 전, 후방으로 진퇴시키는 공기조화기.The louver retraction mechanism is an air conditioner for advancing and retreating the horizontal louver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air discharge portion.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수평루버는 상기 공기토출부와 상기 수직루버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고, The horizontal louver is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air discharge portion and the vertical louver, 상기 루버진퇴기구는 상기 수평루버를 공기토출부의 전, 후방으로 진퇴시키는 수평루버진퇴기구와 상기 수직루버를 전, 후방으로 진퇴시키는 수직루버진퇴기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And the louver retraction mechanism includes a horizontal louver retraction mechanism for advancing and retreating the horizontal louver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air discharge unit, and a vertical louver retraction mechanism for advancing and retreating the vertical louver to the rear.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9, 상기 수직루버를 회전시키는 수직루버 회전 기구 및 수평루버를 회전시키는 수평루버 회전기구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And a vertical louver rotating mechanism for rotating the vertical louver and a horizontal louver rotating mechanism for rotating the horizontal louver. 청구항 10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상기 공기조화기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기구, 상기 루버 진퇴기구, 상기 수직루버 회전 기구 및 상기 수평루버 회전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Th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in the air conditioner, the air conditioner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ifting mechanism, the louver retracting mechanism, the vertical louver rotating mechanism and the horizontal louver rotating mechanism. 공기 흡입부 및 공기 토출부가 형성된 본체;A main body having an air suction unit and an air discharge unit; 상기 공기 토출부를 통해 진퇴하게 배치되는 루버;A louver disposed to retreat through the air discharge portion; 상기 루버를 진퇴 동작시키는 루버 진퇴기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And a louver retracting mechanism for retracting and operating the louver. 본체에 승강되게 배치된 승강 토출구 유닛을 상승시키는 승강 토출부 유닛 상승단계;An elevating discharge unit unit elevating step of elevating the elevating discharge unit arranged to be elevated on the main body; 상기 승강 토출구 유닛 상승단계 이후에 상기 승강 토출구 유닛에 전방으로 진퇴하도록 배치된 루버를 승강 토출구 유닛의 전방으로 전진시켜 돌출시키는 루버 진전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And a louver advancing step of advancing and forwarding the louver arranged to advance forward to the lifting discharge port unit after the lifting discharge port unit raising step. 청구항 1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상기 승강 토출구 유닛 상승단계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시 실시되고, The elevating discharge unit unit raising step is carried out dur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상기 루버 전진단계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이 원거리 토출 모드이면 실시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The louver advance step is performed when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is a remote discharge mode. 청구항 1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상기 루버 전진단계 이후에 상기 루버를 승강 토출구 유닛 내부로 후퇴시켜 삽입시키는 루버 후퇴 단계; 및A louver retracting step of retracting and inserting the louver into the lifting discharge unit after the louver forwarding step; And 상기 루버 후퇴 단계 이후에 상기 승강 토출구 유닛을 상기 본체의 내부로 하강시키는 승강 토출구 유닛 하강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And a lowering and lowering discharge unit unit lowering step for lowering and lifting the elevating discharge unit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fter the louver retracting step. 청구항 1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상기 루버 전진 단계 도중에 상기 원거리 토출 모드가 완료되면 상기 루버 후퇴단계가 실시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And the louver withdrawal step is performed when the distant discharge mode is completed during the louver advance step. 청구항 1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상기 루버 전진 단계의 도중에 상기 공기조화기가 정지되면, 상기 루버 후퇴단계와 상기 승강 토출구 유닛 하강단계가 순차적으로 실시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And if the air conditioner is stopped in the middle of the louver advance step, the louver retreat step and the lift discharge unit lowering step are sequentially performed.
KR20080073621A 2008-07-28 2008-07-28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1014821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3621A KR101482118B1 (en) 2008-07-28 2008-07-28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3621A KR101482118B1 (en) 2008-07-28 2008-07-28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304A true KR20100012304A (en) 2010-02-08
KR101482118B1 KR101482118B1 (en) 2015-01-22

Family

ID=42086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73621A KR101482118B1 (en) 2008-07-28 2008-07-28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211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6446A (en) * 2015-12-24 2017-07-04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Air-conditioner
KR20210007728A (en) *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3323U (en) * 1984-02-16 1985-09-0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air conditioner
KR200164654Y1 (en) * 1999-09-01 2000-02-15 대우전자주식회사 Opening and shutting module of outlet for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KR100904309B1 (en) * 2009-02-25 2009-06-25 고선용 Locking apparatus of air outlet lid for airconditio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6446A (en) * 2015-12-24 2017-07-04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Air-conditioner
KR20210007728A (en) *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2118B1 (en) 2015-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1413B1 (en) Multi-way discharge type air conditioner
KR101065830B1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101045380B1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101919775B1 (en) Air-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ir-conditioner
KR20080042396A (en) An outlet-guide apparatus and air-conditioner equipped with the same
KR20100025357A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process of the same
KR20090098514A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100025352A (en) Air conditioner
KR20130054038A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multi-outlet port of air conditioner
KR101482126B1 (en) Air Conditioner
KR20090093600A (en)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1672211B1 (en) Air conditioner
KR20100012304A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101191415B1 (en) Multi-way discharge type air conditioner
KR20090042524A (en) Air conditioner
KR100453240B1 (en) A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2086376B1 (en) Air conditioner
KR101346829B1 (e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KR20100050312A (en) Air conditioner
KR100947612B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090042523A (en) Air conditioner
KR100895074B1 (en) Air conditioner
KR101479345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140046669A (en) An air conditioner
KR20090029075A (e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