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1825A -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1825A
KR20100011825A KR1020080073203A KR20080073203A KR20100011825A KR 20100011825 A KR20100011825 A KR 20100011825A KR 1020080073203 A KR1020080073203 A KR 1020080073203A KR 20080073203 A KR20080073203 A KR 20080073203A KR 20100011825 A KR20100011825 A KR 20100011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input value
input
information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3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2169B1 (ko
Inventor
김태형
박종화
이성훈
권제근
조수안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73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2169B1/ko
Priority to PCT/KR2008/006901 priority patent/WO2010010992A1/en
Publication of KR20100011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2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2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6Visual data mining; Browsing structured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5Vehicle, aircraft or watercraft desig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7Mechanical parametric or variational desig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8Network design, e.g. design based on topological or interconnect aspects of utility systems, piping, 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HVAC] or cab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30Arrangements for executing machine instructions, e.g. instruction decode
    • G06F9/38Concurrent instruction execution, e.g. pipeline or look ahead
    • G06F9/3885Concurrent instruction execution, e.g. pipeline or look ahead using a plurality of independent parallel functional units
    • G06F9/3893Concurrent instruction execution, e.g. pipeline or look ahead using a plurality of independent parallel functional units controlled in tandem, e.g. multiplier-accumulator
    • G06F9/3895Concurrent instruction execution, e.g. pipeline or look ahead using a plurality of independent parallel functional units controlled in tandem, e.g. multiplier-accumulator for complex operations, e.g. multidimensional or interleaved address generators, macro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30Arrangements for executing machine instructions, e.g. instruction decode
    • G06F9/38Concurrent instruction execution, e.g. pipeline or look ahead
    • G06F9/3885Concurrent instruction execution, e.g. pipeline or look ahead using a plurality of independent parallel functional units
    • G06F9/3893Concurrent instruction execution, e.g. pipeline or look ahead using a plurality of independent parallel functional units controlled in tandem, e.g. multiplier-accumulator
    • G06F9/3895Concurrent instruction execution, e.g. pipeline or look ahead using a plurality of independent parallel functional units controlled in tandem, e.g. multiplier-accumulator for complex operations, e.g. multidimensional or interleaved address generators, macros
    • G06F9/3897Concurrent instruction execution, e.g. pipeline or look ahead using a plurality of independent parallel functional units controlled in tandem, e.g. multiplier-accumulator for complex operations, e.g. multidimensional or interleaved address generators, macros with adaptable data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정보분석을 위한 정보처리 파이프라인을 자동으로 생성함에 있어서 필요한 펑션 및 입출력값 정보들을 추천하여 이를 선택할 경우에 자동으로 파이프 라인을 생성하여 생물학관련종사자들이 프로그래밍 작업을 수행할 필요없이 손쉽게 생명정보학적 도구를 활용할 수 있는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시스템은,
입출력값을 정의하여 펑션 및 각 펑션의 입력값과 출력값의 속성을 저장하여 보관하는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와;
정보분석프로세스를 설계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분석할 입력값 정보를 지정하기 위한 입력값지정수단과;
상기 입력값지정수단의 입력값 정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펑션을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하기 위한 펑션나열수단과;
사용자가 선택한 펑션을 표시하기 위한 펑션표시수단과;
상기 펑션표시수단에 의하여 표시된 펑션의 입력값 정보를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하는 입력값나열수단과;
상기 입력값나열수단에 의해 제시된 하나 이상의 입력값 정보에서 사용자가 분석할 입력값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시하는 입력값선택수단과;
상기 펑션표시수단에 의하여 표시된 펑션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도시하는 파이프라인도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다양한 정보분석을 위한 정보처리 파이프라인을 자동으로 생성함에 있어서 필요한 펑션 및 입출력값 정보들을 추천하여 이를 선택할 경우에 자동으로 파이프 라인을 생성하여 분석 프로세스 구축을 위한 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정보분석, 펑션, 입출력, 파이프라인, 방향 제시.

Description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시스템 및 방법{bio information analysis process auto design system and thereof.}
본 발명은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정보분석을 위한 정보처리 파이프라인을 자동으로 생성함에 있어서 필요한 펑션 및 입출력값 정보들을 추천하여 이를 선택할 경우에 자동으로 파이프 라인을 생성하여 생물학관련종사자들이 프로그래밍 작업을 수행할 필요없이 손쉽게 생명정보학적 도구를 활용할 수 있는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수많은 정보 데이터 분석 프로세스를 미리 구성하여 놓아야 하므로 이에 따른 분석 프로세스를 구축하기 위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어서 빠른 시간 내에 원하는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없었으며, 데이터 분석방법을 모르는 일반 사용자는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어 아무나 출력 데이터를 획득할 수 없어 데이터 분석의 효율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생명정보 처리 기술의 발전과 대량 데이터 생산으로 분석 방법들의 정보 공유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언제 어디서든 이를 실행하기 위한 방법들이 공유되어야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분석 방법 및 프로세스들은 생물학관련종사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생물학관련종사자들이 해당 프로세스들에 관한 응용 지식이 필요하므로 이에 따른 프로그래밍 작업이 생명정보 연구보다 더 많은 시간 및 노력이 필요한 문제점을 야기시킬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생물학관련종사자들이 프로그래밍 작업을 수행할 필요없이 손쉽게 생명정보학적 도구를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새로운 정보를 예측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관련 시스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정보분석을 위한 정보처리 파이프라인을 자동으로 생성함에 있어서 필요한 펑션 및 입출력값 정보들을 추천하여 이를 선택할 경우에 자동으로 파이프 라인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펑션 및 각 펑션의 입력값과 출력값의 정보를 하나의 단위로 저장하여 축적하며, 입출력값 정보에 의하여 파이프라인을 형성하여 형성된 파이프라인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펑션나열수단에서 나열되는 각각의 펑션에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펑션의 가중치를 추출하여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시스템은,
입출력값을 정의하여 펑션 및 각 펑션의 입력값과 출력값의 속성을 저장하여 보관하는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와;
정보분석프로세스를 설계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분석할 입력값 정보를 지정하기 위한 입력값지정수단과;
상기 입력값지정수단의 입력값 정보 혹은 출력값선택수단의 출력값 정보를 입력값 정보로 하여 입력값 정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펑션을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하기 위한 펑션나열수단과;
사용자가 선택한 펑션을 표시하기 위한 펑션표시수단과;
상기 펑션표시수단에 의하여 표시된 펑션의 입력값 정보를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하는 입력값나열수단과;
상기 입력값나열수단에 의해 제시된 하나 이상의 입력값 정보에서 사용자가 분석할 입력값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시하는 입력값선택수단과;
상기 펑션표시수단에 의하여 표시된 펑션의 출력값 정보를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하는 출력값나열수단과;
상기 출력값나열수단에 의해 제시된 하나 이상의 출력값에서 사용자가 분석할 출력값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시하는 입력값선택수단과;
상기 펑션표시수단에 의하여 표시된 펑션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도시하는 파이프라인도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시스템 및 방법은,
다양한 정보분석을 위한 정보처리 파이프라인을 자동으로 생성함에 있어서 필요한 펑션 및 입출력값 정보들을 추천하여 이를 선택할 경우에 자동으로 파이프 라인을 생성하여 분석 프로세스 구축을 위한 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나열되는 각각의 펑션에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펑션의 가중치를 추출하여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최상의 펑션 선택을 제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시스템은,
입출력값을 정의하여 펑션 및 각 펑션의 입력값과 출력값의 속성을 저장하여 보관하는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와;
정보분석프로세스를 설계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분석할 입력값 정보를 지정하기 위한 입력값지정수단과;
상기 입력값지정수단의 입력값 정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펑션을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하기 위한 펑션나열수단과;
사용자가 선택한 펑션을 표시하기 위한 펑션표시수단과;
상기 펑션표시수단에 의하여 표시된 펑션의 입력값 정보를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하는 입력값나열수단과;
상기 입력값나열수단에 의해 제시된 하나 이상의 입력값 정보에서 사용자가 분석할 입력값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시하는 입력값선택수단과;
상기 펑션표시수단에 의하여 표시된 펑션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도시하는 파이프라인도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시스템은,
입출력값을 정의하여 펑션 및 각 펑션의 입력값과 출력값의 속성을 저장하여 보관하는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와;
정보분석프로세스를 설계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분석할 입력값 정보를 지정하기 위한 입력값지정수단과;
상기 입력값지정수단의 입력값 정보혹은 출력값선택수단의 출력값 정보를 입력값 정보로 하여 입력값 정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펑션을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하기 위한 펑션나열수단과;
사용자가 선택한 펑션을 표시하기 위한 펑션표시수단과;
상기 펑션표시수단에 의하여 표시된 펑션의 입력값 정보를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하는 입력값나열수단과;
상기 입력값나열수단에 의해 제시된 하나 이상의 입력값 정보에서 사용자가 분석할 입력값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시하는 입력값선택수단과;
상기 펑션표시수단에 의하여 표시된 펑션의 출력값 정보를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하는 출력값나열수단과;
상기 출력값나열수단에 의해 제시된 하나 이상의 출력값 정보에서 사용자가 분석할 출력값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시하는 출력값선택수단과;
상기 펑션표시수단에 의하여 표시된 펑션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도시하는 파이프라인도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 또는 다른 일실시예의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시스템은,
상기 펑션나열수단에서 나열되는 각각의 펑션에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펑션의 가중치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가중치표시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시스템은,
사용자가 선택한 펑션이 다른 입력값을 요구하는 경우에 다른 입력값을 사용자에게 요구하기 위한 입력값요구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는,
펑션에 따른 입출력 정보를 하나의 레코드로 저장되어 있는 펑션레코드와,
하나의 입력값 정보에 관련된 펑션과 해당 펑션 각각에 가중치가 부여되어 저장되어 있는 입력값가중치레코드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 방법은,
정보분석프로세스를 설계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분석할 입력값 정보를 지정하기 위한 입력값지정단계와;
상기 입력값지정단계의 입력값 정보 혹은 출력값선택단계의 출력값 정보를 입력값 정보로 하여 입력값 정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펑션을 펑션입출력데이터베 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하기 위한 펑션나열단계와;
사용자가 선택한 펑션을 표시하기 위한 펑션표시단계와;
상기 펑션표시단계에 의하여 표시된 펑션의 입력값 정보를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하는 입력값나열단계와;
상기 입력값나열단계에 의해 제시된 하나 이상의 입력값 정보에서 사용자가 분석할 입력값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시하는 입력값선택제시단계와;
상기 펑션표시단계에 의하여 표시된 펑션의 출력값 정보를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하는 출력값나열단계와;
상기 출력값나열단계에 의해 제시된 하나 이상의 출력값 정보에서 사용자가 분석할 출력값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시하는 출력값선택제시단계와;
상기 펑션표시단계에 의하여 표시된 펑션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도시하는 파이프라인도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펑션나열단계에서 나열되는 각각의 펑션에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펑션의 가중치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가중치표시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시스템의 전체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시스템은,
입출력값을 정의하여 펑션 및 각 펑션의 입력값과 출력값의 속성을 저장하여 보관하는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140)와;
정보분석프로세스를 설계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분석할 입력값 정보를 지정하기 위한 입력값지정수단(110)과;
상기 입력값지정수단의 입력값 정보혹은 출력값선택수단의 출력값 정보를 입력값 정보로 하여 입력값 정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펑션을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하기 위한 펑션나열수단(120)과;
사용자가 선택한 펑션을 표시하기 위한 펑션표시수단(130)과;
상기 펑션표시수단에 의하여 표시된 펑션의 입력값 정보를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하는 입력값나열수단(150)과;
상기 입력값나열수단에 의해 제시된 하나 이상의 입력값 정보에서 사용자가 분석할 입력값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시하는 입력값선택수단(160)과;
상기 펑션표시수단에 의하여 표시된 펑션의 출력값 정보를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하는 출력값나열수단(170)과;
상기 출력값나열수단에 의해 제시된 하나 이상의 출력값에서 사용자가 분석할 출력값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시하는 출력값선택수단(180)과;
상기 펑션표시수단에 의하여 표시된 펑션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도시하는 파이프라인도시수단(19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펑션입출력속성저장수단(미도시)에 의해 입출력값을 정의하여 펑션과 다수의 입력값과 출력값 및 입력값과 출력값의 속성을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펑션입출력속 성저장수단에 의해 정의한 펑션 및 입출력값 및 속성을 저장하여야 한다.
사용자가 수행하고 싶은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분석할 입력값 정보를 입력값지정수단(110)을 통해 지정하게 된다.
상기 입력된 입력값 정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펑션들을 펑션나열수단(120)을 통해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하게 된다.
또한, 출력값선택수단의 출력값 정보를 입력값 정보로 하여 입력값 정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펑션들을 펑션나열수단(120)을 통해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하게 되는데, 이는 특정 펑션의 출력값 정보가 어느 특정 펑션의 입력값 정보가 되어야 펑션과 펑션간의 파이프 라인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며, 이러한 내용은 하기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펑션을 펑션표시수단(130)에 의해 표시하게 되며, 상기 펑션표시수단에 의하여 표시된 펑션의 입력값 정보를 입력값나열수단(150)을 통해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하며, 상기 입력값나열수단에 의해 제시된 하나 이상의 입력값 정보에서 입력값선택수단(160)을 통해 사용자가 분석할 입력값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펑션표시수단에 의하여 표시된 펑션의 출력값 정보를 출력값나열수단(170)을 통해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하며, 상기 출력값나열수단에 의해 제시된 하나 이상의 출력값 정보에서 출력값선택수단(180)을 통해 사용자가 분석할 출력값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펑션 및 입출력값 및 속성에 따른 결과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파이프라인도시수단(190)를 통해 도 10과 같이 도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정의된 입출력값 및 속성에 의하여 도시되는 파이프라인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펑션 및 펑션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펑션과 펑션 간의 입출력값 정보는 사용자에게 도시하지 않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이를 도시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시스템의 펑션입출력속성저장수단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설명에 앞서 용어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정의하도록 한다.
펑션이란 이미 검증된 모듈로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며, 프로그램에 의하여 작성되어 진다.
본 발명의 파이프라인을 형성하는 최소의 단위이며, 하나 이상의 펑션들에 의하여 파이프라인이 구성된다.
파이프라인이란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지칭하며, 하나 이상의 펑션들에 의하여 구성되고 사용자가 바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입력값 정보란 펑션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의미하며, 출력값 정보란 펑션에 의하여 출력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도 2를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입력값 정보는 부호 10, 40을 의미하며, 펑션이란 부호 20, 50을 의미하며 출력값 정보란 부호 30, 60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펑션(20)의 펑션명이 'GetFASTA'이며, 수행하는 기 능은 쥐의 유전자 아이디를 입력받아 해당하는 서열을 Genbank 데이터베이스(생명정보제공데이터베이스의 일종임)에서 추출하는 기능이라고 한다면, GetFASTA(20)의 입력값(10) 정보는 쥐의 유전자 아이디이며 출력값(30) 정보는 입력값(10) 정보에 해당하는 쥐의 유전자 서열이 된다.
상기와 같이 정의되는 다른 하나의 펑션의 예는 'RunBlastToRefseq(50)'로서 이의 기능으로는 쥐의 유전자 서열을 입력받아 Refseq 데이터베이스(생명정보제공데이터베이스의 일종임)에서 인간의 유사한 유전자 서열을 출력하는 기능으로서 입력값(40) 정보는 쥐의 유전자 서열이 되며, 출력값(60) 정보는 해당 입력값 정보에 해당하는 인간의 유전자 서열이 된다.
상기와 같이 펑션입출력속성저장수단에 의해 특정 펑션에 해당하는 입력값과 출력값 및 입력값과 출력값의 속성을 정의하여 이를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좀 더 쉽게 설명하자면, 친구의 이름을 찾아주는 펑션이 있다고 가정할 때 해당 펑션(20)의 입력값(10)의 속성은 '사람이름, 한 명'이고, 출력값(30)의 속성은 '사람이름, 여러명'이라 정의하고, 사람의 주소를 찾아주는 펑션이 있다고 가정할 때 해당 펑션(50)의 입력값(40)의 속성은 '사람이름, 여러명'이고, 출력값(60)의 속성은 '주소, 여러개'라 정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입출력값 속성을 참조하여 상기 파이프라인도시수단을 통해 펑션(20)의 출력값(30)과 펑션(50)의 입력값(40)의 속성이 동일하므로 상기 펑션(20)과 펑션(50)을 연결하는 파이프라인이 형성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입출력값을 정의하여 펑션과 다수의 입력값과 출력값 및 입 력값과 출력값의 속성을 저장하여 축적하는 기능을 상기 펑션입출력속성저장수단에서 수행하게 되며, 수행된 결과가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관리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 있는 정보란 시스템 설계자에 의하여 정의된 정형화된 형태의 정보를 의미하며, 정보는 입력값과 출력값 및 입력값과 출력값의 속성을 포함하고 있다.
정보의 예를 들자면, "명함"이란 정보에는 속성으로 " 이름, 전화번호, 주소, 이메일" 등이 있을 수 있으며, 각 데이터 값으로 " 홍길동, 02-222-1111,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111번지, honggd@abc.co.kr"을 포함하게 되는 것이다.
사용자의 컴퓨터 단말기에 사용자가 파이프라인을 확인할 수 있도록 파이프라인도시수단에 의해 디스플레이하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시스템의 펑션입출력속성저장수단의 처리에 의해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레코드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펑션과 입출력값 및 입출력값속성의 레코드 형태를 알 수 있으며, 입력값과 출력값 및 입출력값속성은 각각 적어도 한 개 이상이 존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시스템의 펑션입출력속성저장수단의 처리에 의해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다른 레코드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값 정보 및 펑션의 레코드 형태를 알 수 있으며, 하나의 입력값 정보에 따른 펑션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이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펑션입출력속성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펑션 레코드의 형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펑션입출력속성저장수단의 처리에 의해 저장된 펑션 레코드의 형태를 알 수 있다.
상기 파이프라인도시수단은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에 의하여 다수의 펑션들 및 입출력값 및 입출력값속성의 데이터가 축적되게 되면 입출력값 정보에 의하여 파이프라인을 형성하게 된다.
앞에서 예를 든 것과 같이, 'GetFASTA'의 출력값 정보가 쥐의 유전자 서열이고, 'RunBlastToRefseq'의 입력값 정보가 쥐의 유전자 서열이므로 'GetFASTA'의 출력값 정보는 'RunBlastToRefseq'의 입력값 정보가 될 수 있으므로 즉, 'GetFASTA'의 후행 펑션이 'RunBlastToRefseq'가 되고, 'GetFASTA'와 'RunBlastToRefseq'는 상기 파이프라인도시수단에 의하여 하나의 파이프라인으로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시스템의 입력값과 출력값을 처리하는 펑션의 관계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의 도 5의 개념을 도 6의 "B"와 같이 도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파이프라인도시수단이라 정의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정보제공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펑션 레코드의 형 태를 파이프라인도시수단에 의하여 파이프라인을 형성한 결과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펑션입출력속성저장수단의 처리에 의해 저장된 펑션 레코드를 상기 파이프라인형성수단에 의하여 파이프라인으로 형성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시스템의 가중치표시수단의 가중치 부여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펑션의 입출력값 정보를 중심으로 레코드를 구성하게 된다.
도 8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입출력값 정보(80 : 펑션1의 출력값 정보이며 펑션3 및 4의 입력값 정보가 된다.)을 중심으로 관련된 펑션이 선행펑션(70)과 후행펑션(90,95)이 존재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가중치표시수단에 의해 펑션 및 입출력값 정보로 형성된 파이프라인 중 다수의 선행 펑션이 존재할 경우에 입출력값 정보와 선행 펑션간의 가중치를 부여하게 된다.
즉, 상기 펑션나열수단에서 나열되는 각각의 펑션에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펑션의 가중치를 추출하여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즉, 입출력값(85) 정보의 선행 펑션이 부호 70 및 75가 존재하게 될 경우에 가중치표시수단을 통해 입출력값 정보(85: 펑션1 및 2의 출력값 정보이며, 펑션4의 입력값 정보가 된다.)와 펑션1간에는 '가중치 30'을 입출력값(85) 정보와 펑션2간 에는 '가중치 500'이 부여되고 있다.
도 8의 세번째 도면을 참조하여 쉽게 설명하자면, 펑션1 및 펑션2의 입력값(A) 정보라면 사용자가 펑션 1 및 펑션 2 중 어느 펑션을 선택할 지를 참고할 수 있도록 상기 가중치표시수단에 의해 가중치를 추출하여 사용빈도가 높은 펑션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시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중치를 참조하여 사용빈도가 높은 펑션을 선택하거나 아니면 낮은 펑션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중치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사용자가 이용하면서 발생되는 사용빈도수를 의미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중요도에 따라 임의로 정의할 수도 있다.
또한, 가중치를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으나, 가중치를 활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인터랙티브(대화식으로)하게 사용자에게 제시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가중치의 성격은 본 발명의 예에서는 가중치가 가장 높은 펑션을 자동으로 선택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그 외에 최근 제작된 펑션, 최단거리, 가중치가 없을 경우에 해당 펑션들을 나열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펑션이 다른 입력값을 요구하는 경우에 다른 입력값을 사용자에게 요구하기 위한 입력값요구수단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즉, 해당 펑션의 입력값이 다수가 존재할 경우에 분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에 사용자에게 다른 입력값을 요구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한 개 펑션을 실행하기 위하여 2개 이상의 입력값이 필요하다면 2개 이상의 입력값이 모두 있어야 실행되기 때문이다.
또한, 분기가 발생할 경우에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중 파이프 라인이 생성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결국 입력값요구수단을 통해 분기점이 발생할 경우에 2 개 이상의 입력 값을 사용자에게 요구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입력 값을 제공받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 방법은,
정보분석프로세스를 설계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분석할 입력값 정보를 지정하기 위한 입력값지정단계와;
상기 입력값지정단계의 입력값 정보 혹은 출력값선택단계의 출력값 정보를 입력값 정보로 하여 입력값 정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펑션을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하기 위한 펑션나열단계와;
사용자가 선택한 펑션을 표시하기 위한 펑션표시단계와;
상기 펑션표시단계에 의하여 표시된 펑션의 입력값 정보를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하는 입력값나열단계와;
상기 입력값나열단계에 의해 제시된 하나 이상의 입력값 정보에서 사용자가 분석할 입력값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시하는 입력값선택제시단계와;
상기 펑션표시단계에 의하여 표시된 펑션의 출력값 정보를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하는 출력값나열단계와;
상기 출력값나열단계에 의해 제시된 하나 이상의 출력값 정보에서 사용자가 분석할 출력값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시하는 출력값선택제시단계와;
상기 펑션표시단계에 의하여 표시된 펑션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도시하는 파이프라인도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펑션입출력속성저장수단을 통해 입출력값 및 입출력값 속성을 정의하여 펑션과 입력값과 출력값 및 입출력값의 속성을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축적하며, 다수의 펑션들 및 입출력값 및 입출력값의 속성의 데이터가 축적되게 되면 입출력값 정보에 의하여 파이프라인도시수단에 의하여 파이프라인을 도시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분석할 입력값 정보를 지정하게 되면, 상기 입력값지정단계의 입력값 정보 혹은 출력값선택단계의 출력값 정보를 입력값 정보로 하여 입력값 정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펑션을 펑션나열수단에 의하여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하게 되는데 이를 펑션표시수단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파이프라인도시수단에 의해 도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펑션표시단계에 의하여 표시된 펑션의 입력값 정보를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하게 되며, 상기 입력값나열단계에 의해 제시된 하나 이상의 입력값 정보에서 사용자가 분석할 입력값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시하게 되며, 상기 펑션표시단계에 의하여 표시된 펑션의 출력값 정보를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하게 되며, 상기 출력값나열단계에 의해 제시된 하나 이상의 출력값 정보에서 사용자가 분석할 출력값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시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펑션표시단계에 의하여 표시된 펑션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파이프라인을 도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 구현방법은,
펑션나열단계에서 나열되는 각각의 펑션에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펑션의 가중치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가중치표시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가중치표시단계는 가중치표시수단으로 통해 펑션 및 입출력값 정보로 형성된 파이프라인 중 다수의 선행 펑션이 존재할 경우에 입력값 혹은 출력값 정보와 선행 펑션간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펑션입출력속성저장수단을 통해 정보 분야에서 획득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이를 이용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으며, 생명정보 분야 이외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고 있는 다른 분야에서도 당업자라면 누구나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한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인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시스템 및 방법은,
다양한 정보분석을 위한 정보처리 파이프라인을 자동으로 생성함에 있어서 필요한 펑션 및 입출력값들을 추천하여 이를 선택할 경우에 자동으로 파이프 라인을 생성하여 분석 프로세스 구축을 위한 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어 정보분석 분야 및 생물학정보 활용 분야에 널리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시스템의 전체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시스템의 펑션입출력속성저장수단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시스템의 펑션입출력속성저장수단의 처리에 의해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레코드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시스템의 펑션입출력속성저장수단의 처리에 의해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다른 레코드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펑션입출력속성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펑션 레코드의 형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시스템의 입력값과 출력값 정보를 처리하는 펑션의 관계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정보제공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펑션 레코드의 형태를 파이프라인도시수단에 의하여 파이프라인을 형성한 결과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시스템의 가중치표시수단의 가중치 부여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시스템의 정의된 입출력값 및 속성에 의하여 펑션 및 펑션으로 도시되는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시스템의 파이프라인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Claims (7)

  1. 입출력값을 정의하여 펑션 및 각 펑션의 입력값과 출력값의 속성을 저장하여 보관하는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와;
    정보분석프로세스를 설계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분석할 입력값 정보를 지정하기 위한 입력값지정수단과;
    상기 입력값지정수단의 입력값 정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펑션을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하기 위한 펑션나열수단과;
    사용자가 선택한 펑션을 표시하기 위한 펑션표시수단과;
    상기 펑션표시수단에 의하여 표시된 펑션의 입력값 정보를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하는 입력값나열수단과;
    상기 입력값나열수단에 의해 제시된 하나 이상의 입력값 정보에서 사용자가 분석할 입력값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시하는 입력값선택수단과;
    상기 펑션표시수단에 의하여 표시된 펑션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도시하는 파이프라인도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시스템.
  2. 입출력값을 정의하여 펑션 및 각 펑션의 입력값과 출력값의 속성을 저장하여 보관하는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와;
    정보분석프로세스를 설계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분석할 입력값 정보를 지정하기 위한 입력값지정수단과;
    상기 입력값지정수단의 입력값 정보혹은 출력값선택수단의 출력값 정보를 입력값 정보로 하여 입력값 정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펑션을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하기 위한 펑션나열수단과;
    사용자가 선택한 펑션을 표시하기 위한 펑션표시수단과;
    상기 펑션표시수단에 의하여 표시된 펑션의 입력값 정보를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하는 입력값나열수단과;
    상기 입력값나열수단에 의해 제시된 하나 이상의 입력값 정보에서 사용자가 분석할 입력값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시하는 입력값선택수단과;
    상기 펑션표시수단에 의하여 표시된 펑션의 출력값 정보를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하는 출력값나열수단과;
    상기 출력값나열수단에 의해 제시된 하나 이상의 출력값 정보에서 사용자가 분석할 출력값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시하는 출력값선택수단과;
    상기 펑션표시수단에 의하여 표시된 펑션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도시하는 파이프라인도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펑션나열수단에서 나열되는 각각의 펑션에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펑션의 가중치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가중치표시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택한 펑션이 다른 입력값을 요구하는 경우에 다른 입력값을 사용자에게 요구하기 위한 입력값요구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시스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는,
    펑션에 따른 입출력 정보를 하나의 레코드로 저장되어 있는 펑션레코드와,
    하나의 입력값 정보에 관련된 펑션과 해당 펑션 각각에 가중치가 부여되어 저장되어 있는 입력값가중치레코드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시스템.
  6. 정보분석프로세스를 설계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분석할 입력값 정보를 지정하 기 위한 입력값지정단계와;
    상기 입력값지정단계의 입력값 정보 혹은 출력값선택단계의 출력값 정보를 입력값 정보로 하여 입력값 정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펑션을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하기 위한 펑션나열단계와;
    사용자가 선택한 펑션을 표시하기 위한 펑션표시단계와;
    상기 펑션표시단계에 의하여 표시된 펑션의 입력값 정보를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하는 입력값나열단계와;
    상기 입력값나열단계에 의해 제시된 하나 이상의 입력값 정보에서 사용자가 분석할 입력값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시하는 입력값선택제시단계와;
    상기 펑션표시단계에 의하여 표시된 펑션의 출력값 정보를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하는 출력값나열단계와;
    상기 출력값나열단계에 의해 제시된 하나 이상의 출력값 정보에서 사용자가 분석할 출력값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시하는 출력값선택제시단계와;
    상기 펑션표시단계에 의하여 표시된 펑션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도시하는 파이프라인도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펑션나열단계에서 나열되는 각각의 펑션에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펑션의 가중치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가중치표시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 방법.
KR1020080073203A 2008-07-25 2008-07-25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시스템 및 방법 KR100992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203A KR100992169B1 (ko) 2008-07-25 2008-07-25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시스템 및 방법
PCT/KR2008/006901 WO2010010992A1 (en) 2008-07-25 2008-11-21 Bio information analysis process auto design system an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203A KR100992169B1 (ko) 2008-07-25 2008-07-25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825A true KR20100011825A (ko) 2010-02-03
KR100992169B1 KR100992169B1 (ko) 2010-11-04

Family

ID=41570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3203A KR100992169B1 (ko) 2008-07-25 2008-07-25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92169B1 (ko)
WO (1) WO201001099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5904A1 (ko) * 2011-09-08 2013-03-1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생명 정보 분석 파이프라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82798B1 (ko) * 2011-09-08 2013-07-0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생명 정보 분석 파이프라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79392B1 (ko) * 2011-09-08 2013-07-0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생명 정보 분석 파이프라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98575B2 (en) 2013-08-21 2018-02-20 Seven Bridges Genomic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ligning sequences
US9116866B2 (en) 2013-08-21 2015-08-25 Seven Bridges Genomic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ng sequence variants
AU2014337093B2 (en) 2013-10-18 2020-07-30 Seven Bridges Genomic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identifying disease-induced mutations
US10078724B2 (en) 2013-10-18 2018-09-18 Seven Bridges Genomic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genotyping genetic samples
US10832797B2 (en) 2013-10-18 2020-11-10 Seven Bridges Genomics Inc. Method and system for quantifying sequence alignment
WO2015058120A1 (en) 2013-10-18 2015-04-23 Seven Bridges Genomic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ligning sequences in the presence of repeating elements
US9063914B2 (en) 2013-10-21 2015-06-23 Seven Bridges Genom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criptome analysis
WO2016060910A1 (en) * 2014-10-14 2016-04-21 Seven Bridges Genom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mart tools in sequence pipelines
US10275567B2 (en) 2015-05-22 2019-04-30 Seven Bridges Genom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aplotyping
US10793895B2 (en) 2015-08-24 2020-10-06 Seven Bridges Genom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pigenetic analysis
US10584380B2 (en) 2015-09-01 2020-03-10 Seven Bridges Genom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itochondrial analysis
US10724110B2 (en) 2015-09-01 2020-07-28 Seven Bridges Genom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viral nucleic acids
US11347704B2 (en) 2015-10-16 2022-05-31 Seven Bridges Genomics Inc. Biological graph or sequence serialization
US10364468B2 (en) 2016-01-13 2019-07-30 Seven Bridges Genom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circulating tumor DNA
US10460829B2 (en) 2016-01-26 2019-10-29 Seven Bridges Genom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coding genetic variation for a population
US10262102B2 (en) 2016-02-24 2019-04-16 Seven Bridges Genom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otyping with graph reference
US10672156B2 (en) 2016-08-19 2020-06-02 Seven Bridges Genom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computational workflows
US11250931B2 (en) 2016-09-01 2022-02-15 Seven Bridges Genom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recombination
US10545792B2 (en) 2016-09-12 2020-01-28 Seven Bridges Genomics Inc. Hashing data-processing steps in workflow environments
US11055135B2 (en) 2017-06-02 2021-07-06 Seven Bridges Genom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cheduling jobs from computational workflows
US10678613B2 (en) 2017-10-31 2020-06-09 Seven Bridges Genom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control of workflow execu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3897A (ja) 1996-11-21 2001-03-21 モルフォメトリックス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ク. 医学的および生物学的画像分析のためのパイプラインプロセッサー
US7225324B2 (en) * 2002-10-31 2007-05-29 Src Computers, Inc. Multi-adaptive processing systems and techniques for enhancing parallelism and performance of computational function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5904A1 (ko) * 2011-09-08 2013-03-1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생명 정보 분석 파이프라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82798B1 (ko) * 2011-09-08 2013-07-0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생명 정보 분석 파이프라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79392B1 (ko) * 2011-09-08 2013-07-0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생명 정보 분석 파이프라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10992A1 (en) 2010-01-28
KR100992169B1 (ko) 201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2169B1 (ko)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시스템 및 방법
EP3244312B1 (en)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EP3559819B1 (en) Visual blockchain browser
US87997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graphical dashboards with drill down navigation
US117340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cross-application dependency mapping
TW201923675A (zh) 資訊推薦方法及裝置、設備
CN113011400A (zh) 对数据的自动识别和洞察
US10599760B2 (en) Intelligent form creation
US10802698B1 (en) Diagrams for structured data
CN104115145A (zh) 生成表示满足搜索准则的对象中的内容实例的标签的显示组的可视化
US11537496B2 (en) Audit logging database system and user interface
EP2530610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searching and visualizing instance path
US20240028585A1 (en) Multi-source data suggestion management
US20210286705A1 (en) Dynamically linking social media reactions to actions performed by remote applications
JP2009116638A (ja) 業務仕様理解支援システム及び方法
CN101918941A (zh) 右脑智能的以个人为中心的组网
Liu et al. The dominance of big teams in China’s scientific output
US20150170068A1 (en) Determining analysis recommendations based on data analysis context
KR101261411B1 (ko) 기관의 기술 연관관계정보 표출 장치, 기술 연관관계정보 표출 방법 및 기술 연관관계정보를 표시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저장매체
US20140344250A1 (en) Enhanced search refinement for personal information services
US20150149962A1 (en) User interface techniques for condensed display of data
KR20090123688A (ko) 정보 분석프로세스 자동 설계 구현시스템 및 방법
CN105190549A (zh) 程序设置设备和程序设置方法
WO2023238503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220066818A1 (en) Multiple task execu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