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1523A - 듀얼 히트 전기 보일러 - Google Patents

듀얼 히트 전기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1523A
KR20100011523A KR1020080072775A KR20080072775A KR20100011523A KR 20100011523 A KR20100011523 A KR 20100011523A KR 1020080072775 A KR1020080072775 A KR 1020080072775A KR 20080072775 A KR20080072775 A KR 20080072775A KR 20100011523 A KR20100011523 A KR 20100011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eating
tube
electric boiler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2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호종
이병기
Original Assignee
(주)올젠엔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올젠엔뉴 filed Critical (주)올젠엔뉴
Priority to KR1020080072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1523A/ko
Publication of KR20100011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5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01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1/10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resist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20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 F24H1/201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1/202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resist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18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2Resi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히트 전기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일러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 되는 가열부로 포함하여 구성되어 온수를 공급하는 전기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선 형상으로 전기가 인가되면 열이 발생되는 전열선과, 관 형상으로 상기 전열선에 물이 접촉되지 않도록 감싸는 발열관과, 관 형상으로 내부에 물이 흐르도록 상기 발열관을 감싸는 반사관;으로 구성되어, 적은 전력을 사용하여 빛과 열로 물을 가열하고, 물의 효율적 순환으로 2번 가열할 수 있어 낭비되는 전력이 없어지고, 다수개의 가열부를 구비하여 한개의 가열부가 고장 나더라도 전기 보일러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가열부, 전열선, 반사관, 발열관, 제1격벽, 제2격벽

Description

듀얼 히트 전기 보일러{An electric boiler with dual heat system}
본 발명은 듀얼 히트 전기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보일러의 몸체에 내장된 가열부를 빛과 열을 동시에 사용하여 물을 가열할 수 있으며, 1차적으로 가열된 물을 한번 더 가열 할 수 있도록 제작하여, 적은 전력으로 큰 효율적인 온수를 공급하는 듀얼 히트 전기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보일러는 전기 저항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더운 물이나 증기를 만들어 내는 보일러를 지칭한다.
도 1은 종래의 보일러의 사시도로서, 이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보일러(10)는 가스 또는 기름 등을 연료로 하여 불을 발생하는 가열부(20)와 가열부(20)에 의하여 가열되는 피가열부(30)를 가진다.
피가열부(30)는 케이스 형상의 본체(31), 본체(31)의 외면 및 내부에 벤딩되어 설치되며 유입공(33a) 및 토출구(33b)를 가지는 피가열관(33), 피가열관(33)의 외면에 접촉 설치된 열전달핀(35)을 가진다.
그리하여, 가열부(20)에서 발생된 불에 의하여 열전달핀(35) 및 피가열 관(33)이 가열되면, 유입공(33a)를 통하여 피가열관(33)의 내부로 유입된 물이 토출구(33b)측으로 이동하는 도중 데워진 후, 토출구(33b)를 통하여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일러(10)는, 소비량에 맞추기 위하여, 피가열관(33)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13㎜ 정도로 마련되고, 피가열관(33)에 저장된 물을 신속하게 데우기 위하여 피가열관(33)의 외면에 복수의 열전달핀(35)을 설치한다. 이로인해, 보일러(10)의 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열전달핀(35)으로 인하여 피가열관(33)과 피가열관(33) 사이에 가열부(20)를 설치하지 못하고, 피가열부(30)의 일측, 즉 피가열부(30)의 하측에 가열부(20)를 설치한다. 이로인해, 가열부(20)의 열이 피가열부(30)로 균일하게 전달되지 못하여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0402473'에서는 전술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첫째, 물이 저장되어 가열되는 피가열관군의 직경이 작게 제작하여 피가열관군에 저장된 물이 신속하게 데워지게 구성하며,
둘째, 피가열관군의 중앙부측에 가열부가 위치하게 제작하여 피가열군이 균일하게 가열되게 하여, 기존의 열전달핀이 없게 하였다.
그러나, 가열부의 가열온도에 의해서만 물이 가열되므로, 물이 데워지는데 많은 전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중앙의 가열부에 가열에 의해서만 가열되므로, 가열부의 가장 먼 측 의 피가열군의 물은 상대적으로 적게 가열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가열부를 선 형상으로 전기가 인가되면 열이 발생되는 전열선과 관 형상으로 상기 전열선에 물이 접촉되지 않도록 감싸는 발열관과 관 형상으로 내부에 물이 흐르도록 상기 발열관을 감싸는 반사관으로 이루어져,
발열관의 열에 의해 일차적으로 가열하고 반사관 외주면에 의해 이차적으로 가열되어 적은 전력에 의해 물이 가열되게 하고, 가열부를 다수개 제작하여 먼 측으 물도 균일하게 데워지는 듀얼 히트 전기 보일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보일러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 되는 가열부로 포함하여 구성되어 온수를 공급하는 전기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선 형상으로 전기가 인가되면 열이 발생되는 전열선과, 관 형상으로 상기 전열선에 물이 접촉되지 않도록 감싸는 발열관과, 관 형상으로 내부에 물이 흐르도록 상기 발열관을 감싸는 반사관;으로 구성되되, 상기 가열부는 한 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는 일측으로 물을 유입받아, 상기 반사관 내부로 물이 통과하여 타측으로 물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는 내부에 다수개의 제1관통공이 형성된 제1격벽과 다수개의 제2관통공이 형성된 제2격벽이 형성되어, 상기 제1격벽 좌측은 좌챔버, 상기 제 1격벽과 상기 제2격벽사이에는 중간챔버, 상기 제2격벽 우측에는 우챔버가 형성되되, 좌챔버는 좌결합공이 형성되고 우챔버는 우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발열관의 양측이 상기 좌결합공과 상기 우결합공으로 결합되고 상기 반사관의 상기 제1관통공과 상기 제2관통공에 결합되고 상기 발열관은 상기 좌챔버와 상기 우챔버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좌챔버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격벽는 상측에는 물이 이동하는 통로인 이동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우챔버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격벽는 상측에는 물이 이동하는 통로인 이동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좌결합공과 상기 우결합공은 상기 발열관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발열관과 상기 반사관에 물이 통과하며 외부로 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방수소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반사관은 외주면이 나선형상으로 함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반사관은 외주면에 방열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는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발열관은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열부를 선 형상으로 전기가 인가되면 열이 발생되는 전열선과 관 형상으로 상기 전열선에 물이 접촉되지 않도록 감싸 는 발열관과 관 형상으로 내부에 물이 흐르도록 상기 발열관을 감싸는 반사관으로 이루어져,
첫째, 적은 전력을 사용하여 빛과 열로 물을 가열하고, 물의 효율적 순환으로 2번 가열할 수 있어 낭비되는 전력이 없어 진다.
둘째, 다수개의 가열부를 구비하여 한개의 가열부가 고장 나더라도 전기 보일러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히트 전기 보일러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히트 전기 보일러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얼 히트 전기 보일러는 가열부(100)부에 포함하는 몸체(50)와, 상기 가열부(100)를 가열하는 전원수단(미도시)와 상기 몸체(50)에 물을 공급하는 유입관(42)과, 상기 몸체(50)로부터 온수를 배출하는 배출관(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수단(미도시)에 따라 가스, 석유, 전기보일러로 구분되며, 여타의 전기 보일러를 구동하는 원리와 수단은 선행된 기술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부를 도시하는 다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부(100)는 선 형상으로 전기가 인가되면 열이 발생되는 전열선(110)과, 관 형상으로 상기 전열선(110)에 물이 접촉되지 않도록 감싸는 발열관(120)과, 관 형상으로 내부에 물이 흐르도록 상기 발열관(120)을 감싸는 반사관(130)으로 구성되어, 후술하는 몸체(50) 내부에 상기 가열부(100)는 한 개 이상으로 구성되게 이루어진다.
상기 전열선(110)은 상기 전원수단(미도시)에 의해 전기를 인가 받아 열을 발생하는 것으로, 상기 전원수단(미도시)에 의해 전기를 인가받도록 상기 몸체 양측 끝단에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열선(110)은 할로겐히터 또는 카본히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하는 발열관(120)이 투명하므로, 할로겐히터 또는 카본히터로 구성하여 빛과 열을 동시에 전달할 수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발열관(120)은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열선(110)에서 발생 되는 열을 발산시킨다. 그리고, 상기 발열관(120)은 상기 몸체(50) 내부의 일측 끝단에서 타측 끝단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50) 내부로 공급되는 물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전열선(110)을 감싼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열관(120)을 투명하게 하는 것이 좋다. 이는, 전술한 상기 전열선(110)의 열 뿐만 아니라 빛에 의해서도 물을 가열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반사관(130)은 내부에 공간이 발생하도록 상기 발열관(120)을 감싸여, 내부의 공간으로 유입관을 통하여 상기 몸체(50)로 공급되는 물이 후술하는 좌챔버(57) 또는 우챔버(58)를 거쳐 통과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반사관(130)은 상기 발열관(120)보다 길이가 적게 형성되며, 내부의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반사관(130) 끝단에는 방수소켓(132)에 구비되어 상기 발열관(120)을 상기 반사관(130) 내부에서 이격되게 형성되도록 지지한다.
즉, 상기 방수소켓(132)은 상기 발열관(120)을 상기 반사관(130) 내부에서 이격되게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일측이 상기 반사관(130)의 내주경에 접촉되며, 물이 통과하도록 다수개의 물의 이동통로인 공간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사관(130)은 내부에 광택이 형성되기 쉬운 스테인레스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전열선(110)에서 발생 되는 빛이 상기 발열관(120)을 통과하여 상기 반사관(130) 내주경에 반사되어 재가열 시키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사관(130)은 외주면이 나선형상(134)으로 함몰되는 것이 좋다. 이는, 나선형상(134)으로 되어 있지 않다면 물의 일측부분만 가열되지만, 나선형상으로 되어 있어 반사관(130)의 내부로 회전하면서 물이 통과하여, 물의 모든면이 가열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사관(130) 외주면은 열을 발생하는 발열판(미도시)을 구비하여 상기 반사관(130) 외주에 물이 접촉시 물을 데워주는데 효과적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몸체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몸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몸체가 1개 구비된 듀얼 히트 전기 보일러를 도시하는 실시도이다.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50)는 내부에 상기 가열부(100)를 내장하고, 물을 공급하도록 유입관(42)과 결합하는 유입공(52)과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된 물을 배출하도록 배출관(40)과 결합하는 배출공(54)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몸체(50)는 상기 가열부(100)를 내장하되, 상기 몸체에 한개 이상으로 구비하며, 상기 전원수단(미도시)에 의해 전기가 인가되도록 상기 전열선(110)은 상기 몸체(50) 양끝단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50) 내부에 위치하는 전열선(110)은 물이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발열관(120)에 의해 감싸진다.
여기서, 상기 발열관(120)은 상기 몸체(50)의 길이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상기 몸체(50)의 양측 내부에 결합 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당업자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반사관(130)은 상기 유입공(52)로 유입된 물이 내부로 통과하기 위해서, 상기 몸체(50)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는 내부에 다수개의 제1관통공(62)이 형성된 제1격벽(55)과 다수개의 제2관통공(64)이 형성된 제2격벽(56)이 형성되어, 상기 제1격 벽(55) 좌측은 좌챔버(57), 상기 제1격벽(55)과 상기 제2격벽(56)사이에는 중간챔버(59), 상기 제2격벽(56) 우측에는 우챔버(58)가 형성되게 구성되는 것이 좋다. 그래서, 상기 좌챔버(57)는 좌결합공(66)이 형성되고 우챔버(58)는 우결합공(68)이 형성되어, 상기 발열관(120)의 양측이 상기 좌결합공(66)과 상기 우결합공(68)으로 결합되고, 상기 반사관(130)은 상기 제1관통공(62)과 상기 제2관통공(64)에 결합되고, 상기 발열관(120)은 상기 좌챔버(57)와 상기 우챔버(58)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단, 상기 반사관(130)과 상기 발열관(120)이 결합된 부분에는 물의 침투가 가능하지 않도록 기밀을 유지해야함은 필수적이다.
여기서, 상기 제1격벽(55)과 상기 제2격벽(56)은 일차적으로 상기 반사관(130)으로 유입되어 가열된 물을 다시 재유입 받아 상기 제1격벽(55)과 상기 제2격벽(56) 사이로 이차적으로 가열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격벽(55)과 상기 제2격벽(56)은 상기 몸체의 길이를 10으로 가정했을때, 상기 제1격벽(55)은 1~2위치, 상기 제2격벽(56)은 8~9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몸체(50) 1이하 9이상의 위치에 상기 유입공(52)이 형성되므로, 전술한 위치에 형성되지 않으면 효율적이지 못하다. 가령 1이하, 9이상으로 상기 제1격벽(55)과 상기 제2격벽(56)을 형성되면 물이 유입되는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며, 2이상 7이하로 상기 제1격벽(55)과 상기 제2격벽(56)이 형성되면 가열되는 범위가 축소된다. 단, 당업자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좌챔버(57)는 물을 유입받는 챔버이고, 상기 우챔버(58)는 상기 반사관(130)을 통과하여 1차적으로 가열된 물을 저장하는 챔버이고, 상기 중간 챔버(59)는 1차적으로 가열된 물을 유입받는 챔버이다. 단, 상기 좌챔버(57)와 상기 우챔버(58)의 위치는 바뀌어도 무방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좌챔버(57)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공(52)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격벽(56)는 상측에는 물이 이동하는 통로인 이동공(53)이 형성된다.
이는, 상기 좌챔버(57)에는 물을 유입 받기 위해서는 상기 유입관(42)과 연동되는 상기 유입공(52)이 형성되어야 하고, 상기 우챔버(58)의 저장된 물이 상기 중간챔버(59)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2격벽(56)의 상측에 물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인 상기 이동공(53)이 필요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우챔버(58)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공(52)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격벽(55)은 상측에는 물이 이동하는 통로인 이동공(53)이 형성된다.
이는, 상기 우챔버(58)에는 물을 유입받기 위해서는 상기 유입관(42)과 연동되는 상기 유입공(52)이 형성되어야 하고, 상기 좌챔버(57)의 저장된 물이 상기 중간챔버(59)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격벽(55)의 상측에 물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인 상기 이동공(53)이 필요하다.
그리고, 상기 제1격벽(55)의 제1관통공(62)과 상기 제2격벽(56)의 제2관통공(64)의 갯수와 상기 좌결합공(66)과 상기 우결합공(68)의 갯수는 대응되어야 하며, 그 갯수에 따라 상기 가열부(100)의 갯수도 결정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공(52)으로 유입된 물은 상기 우챔버(58)에 저장된다. 계속 물이 유입됨에 따라 상기 반사관(130) 일측 끝단에 형성된 방수소켓(132)의 관통된 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면 상기 발열관(120)의 외주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반사관(130)의 내부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전열선(110)은 상기 전원수단(미도시)에 의해 열을 발생하여, 물을 데워 온수가 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반사관(130)은 외주면의 나선형상으로 함몰되어 있어, 물이 회전하면서 통과하게 된다.
상기 반사관(130) 내부를 통과한 온수는 상기 좌챔버(57)에 1차적으로 저장되게 되고, 물이 계속 상기 유입공(52)을 통해 유입되면, 점차적으로 상측의 반사관(130)으로 물이 통과하게 되어 결국 상기 우챔버(58)의 이동공(53)까지 1차적으로 가열된 온수가 채워지게 된다.
상기 우챔버(58)에서 포화가 된 온수는 상기 이동공(53)을 통하여 상기 중간챔버(59)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반사관(130)은 내부로 가열되는 물이 통과했기 때문에 외주면 또한 가열된 상태이므로, 상기 우챔버(58)에 유입되는 물을 2차적으로 가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반사관(130)은 외주에 발열판(미도시)을 구비하므로, 2차적으로 가열하는데 더욱 효과적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중간챔버(59)에 물이 하측으로 채워져 포화가 되면 상기 배출공(54)을 통하여 배출되어 상기 배출관(40)을 따라 필요한 위치에 공급되게 된 다.
여기서, 상기 발열관(120)은 투명하며, 상기 반사관(130)은 스테인레스로 되어 있어, 상기 전열선(110)에서 발생되는 빛과 열을 모두 이용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몸체가 다수개 구비된 듀얼 히트 전기 보일러을 도시하는 실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공(52)으로 유입된 물이 상기 배출공(54)으로 온수로 배출되는 것은 전술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나, 상기 배출공(54)으로 배출된 온수는 다시 다른 몸체의 유입공을 통해 유입되어 한번 더 가열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은 물의 흐름이 형성될 수도 있고, 당업자에 따라 다양하게 유입공, 이동공, 배출공을 형성하여 물의 흐름을 다양하게 하여도 무방하다.
이는, 일차적으로 차가운 물을 가열하게 되어 소비자가 원하는 정도의 온수로 데워지지 못할 경우 재차 가열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몸체를 형성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빛과 열을 발생하는 보일러의 가열부를 제작하여 1,2차적으로 물을 순환시켜 온수를 공급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며,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인바,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보일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히트 전기 보일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부를 도시하는 다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몸체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몸체가 1개 구비된 듀얼 히트 전기 보일러를 도시하는 실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몸체가 다수개 구비된 듀얼 히트 전기 보일러을 도시하는 실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보일러 20: 가열부
30: 피가열부 31: 본체
33: 피가열관 33a: 유입공
33b: 토출구 35: 열전달핀
40: 배출관 42: 유입관
50: 몸체 52: 유입공
54: 배출공 53: 이동공
55: 제1격벽 56: 제2격벽
57: 좌챔버 58: 중간챔버
59: 우챔버 62: 제1관통공
64: 제2관통공 66: 좌결합공
68: 우결합공 100: 가열부
110: 전열선 120: 발열관
130: 반사관 132: 방수소켓
134: 나선형상

Claims (10)

  1. 보일러 몸체(50)와 상기 몸체(50) 내부에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 되는 가열부(100)로 포함하여 구성되어 온수를 공급하는 전기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100)는,
    선 형상으로 전기가 인가되면 열이 발생되는 전열선(110)과,
    관 형상으로 상기 전열선(110)에 물이 접촉되지 않도록 감싸는 발열관(120)과,
    관 형상으로 내부에 물이 흐르도록 상기 발열관(120)을 감싸는 반사관(130);으로 구성되되,
    상기 가열부(100)는 한 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히트 전기 보일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50)는,
    일측으로 물을 유입받아, 상기 반사관(130) 내부로 물이 통과하여 타측으로 물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히트 전기 보일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50)는,
    내부에 다수개의 제1관통공(62)이 형성된 제1격벽(55)과 다수개의 제2관통공(64)이 형성된 제2격벽(56)이 형성되어, 상기 제1격벽(55) 좌측은 좌챔버(57), 상기 제1격벽(55)과 상기 제2격벽(56)사이에는 중간챔버(59), 상기 제2격벽(56) 우측에는 우챔버(58)가 형성되되,
    좌챔버(57)는 좌결합공(66)이 형성되고 우챔버(58)는 우결합공(68)이 형성되어, 상기 발열관(120)의 양측이 상기 좌결합공(66)과 상기 우결합공(68)으로 결합되고,
    상기 반사관(130)은 상기 제1관통공(62)과 상기 제2관통공(64)에 결합되고,
    상기 발열관(120)은 상기 좌챔버(57)와 상기 우챔버(58)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히트 전기 보일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좌챔버(57)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공(52)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격벽(56)은,
    상측에는 물이 이동하는 통로인 이동공(5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히트 전기 보일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우챔버(58)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공(52)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격벽(55)은,
    상측에는 물이 이동하는 통로인 이동공(5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히트 전기 보일러.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좌결합공(66)과 상기 우결합공(68)은,
    상기 발열관(120)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발열관(120)과 상기 반사관(130)에 물이 통과하며 외부로 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방수소켓(13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히트 전기 보일러.
  7.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관(130)은,
    외주면이 나선형상(134)으로 함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히트 전기 보일러.
  8.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관(130)은,
    외주면에 방열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히트 전기 보일러.
  9.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50)는,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히트 전기 보일러.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관(120)은,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히트 전기 보일러.
KR1020080072775A 2008-07-25 2008-07-25 듀얼 히트 전기 보일러 KR201000115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775A KR20100011523A (ko) 2008-07-25 2008-07-25 듀얼 히트 전기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775A KR20100011523A (ko) 2008-07-25 2008-07-25 듀얼 히트 전기 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523A true KR20100011523A (ko) 2010-02-03

Family

ID=42085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2775A KR20100011523A (ko) 2008-07-25 2008-07-25 듀얼 히트 전기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15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350B1 (ko) * 2016-07-28 2017-01-17 임현종 열교환탱크를 갖춘 직렬형 전기 보일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350B1 (ko) * 2016-07-28 2017-01-17 임현종 열교환탱크를 갖춘 직렬형 전기 보일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078577A1 (en) Boiler for improving heat exchanging property
KR100949609B1 (ko) 다중 순간가열 저탕식 보일러
KR101515880B1 (ko) 전기보일러용 열교환기
KR101281697B1 (ko) 전기 온수/스팀 보일러
KR20110024746A (ko) 열매체를 이용한 온수보일러
KR100626540B1 (ko) 열매체유 보일러와 온수기를 하나로 결합한 열매체온수저장식 보일러
KR20100011523A (ko) 듀얼 히트 전기 보일러
KR100393917B1 (ko) 열매체유를 이용한 전기보일러
KR102081174B1 (ko) 전기 온수 보일러
KR101152661B1 (ko) 전열식 코일형 열교환기를 이용한 보일러
US8687951B2 (en) Halogen water heater
KR200446980Y1 (ko) 난방장치
KR20120001443A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전자보일러
KR100690278B1 (ko) 이중관 구조를 갖는 온수 및 난방 겸용 보일러
KR20110030035A (ko) 전기보일러의 온수가열관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전기보일러
KR100696168B1 (ko) 열매체를 이용한 전기 보일러
KR100285813B1 (ko) 전기가열식 온수보일러
KR101876260B1 (ko) 다순환 비접촉 가열방식의 순간보일러
KR100553350B1 (ko) 유체 가열장치
KR200389884Y1 (ko) 전기 온수기
KR20090086818A (ko) 전기보일러
KR200402473Y1 (ko) 보일러
KR100958693B1 (ko) 축열식 보일러
KR102245139B1 (ko) 공기 축열식 보일러
KR200219771Y1 (ko) 열매체유를 이용한 전기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