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0808U - Portable Cookware Being Made of Paper - Google Patents
Portable Cookware Being Made of Pap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10808U KR20100010808U KR2020090004988U KR20090004988U KR20100010808U KR 20100010808 U KR20100010808 U KR 20100010808U KR 2020090004988 U KR2020090004988 U KR 2020090004988U KR 20090004988 U KR20090004988 U KR 20090004988U KR 20100010808 U KR20100010808 U KR 20100010808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d
- portable
- container
- paper
- coating lay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3/00—Camp cooking devices without integral heat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2—Cooking- or baking-vessels or supports thereof for using only onc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5—Vessels with non-stick features, e.g. coating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6—Linings or internal coatings, e.g. pre-formed trays provided with a blow- or thermoformed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이를 원자재로 한 휴대용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내열성 코팅액으로 코팅하거나 혹은 금속성 판지와 합지한 종이를 사용하여 휴대시에는 얇게 접은 몇 겹의 판지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시에는 육각 기둥 형태의 조리기구로 간단하게 변형시킬 수 있는 몸체부와 안전한 조리를 위한 보조기구를 설치할 수 있도록 고안된 뚜껑부와 요리 재료 및 방법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취한 안전보조용기를 포함하되, 평면의 용지를 입체화하는 과정에서 결합부를 안정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이중 고정 장치 및 보강용 접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ooking utensil using paper as a raw material, which is coated with a heat-resistant coating liquid or paper laminated with a metallic cardboard to keep several layers of cardboard folded when carrying, and a hexagonal cooker when used. It includes a body that can be easily transformed into a sphere, a lid designed to install an auxiliary device for safe cooking, and a safety auxiliary container that has a height-adjustable structure depending on the cooking material and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further comprises a double fixing device and a reinforcing ground that can reliably configure the coupling portion in the process.
종이냄비, 조리기구, 휴대용 Paper pot, cookware, portable
Description
본 고안은 종이를 원자재로 한 휴대용 조리 용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ooking container based on paper.
국물 요리 비중이 큰 문화권에서 야외 조리를 할 경우 이에 수반되는 다양한 크기의 조리용기가 필요한 바, 다수의 조리 기구 세트의 부피를 줄여서 보관하거나 이동하기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 상품이 개발되고 있다. When cooking outdoors in a culture that has a high proportion of broth dishes, various sizes of cooking vessels are required, and various idea products for reducing or storing a plurality of cooking utensil sets have been developed.
가장 보편적인 휴대용 조리 기구로 코펠을 들 수 있는데, 이는 용기의 크기를 다양하게 제작하여 가장 큰 용기 속에 나머지 작은 용기들을 크기 순서대로 포개어 넣는 식으로 하여 부피를 최소화한 제품이다. 그러나 코펠의 무게가 2~3kg으로 장시간 여행시에는 부담되는 무게이고, 사용 후에는 매 번 세척을 해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One of the most common portable cooking utensils is Coppel, which minimizes the volume by making various sizes of containers and placing the remaining small containers in the largest order. However, the weight of the Coppell is 2-3kg, which is a burden when traveling for a long time, and after use, it has to be washed every time.
최근 들어 종이를 사용하여 냄비를 만든 제품이 출시되어 무게가 가벼워지고 사용 후 버릴 수 있어서 세척의 부담을 없앨 수 있게 됐다(출원번호 20-2007-0016949). In recent years, products made of pots using paper have been released, which makes it lighter and can be discarded after use, eliminating the burden of washing (Application No. 20-2007-0016949).
그러나, 본 종이냄비가 불에 타지 않는 원리는 종이가 발화점에 이르기 전에 물이 열을 뺏어가는 현상인 바, 이는 계란과 같은 점액질 음식물이 바닥에 달라 붙는 경우에는 물과 종이냄비 사이를 차단하여 더 이상 종이의 열을 뺏어가지 못하게 되고 결국 냄비 바닥이 타게 되는데, 이런 식으로 미처 예상치 못한 변수로 인해 바닥이 탈 경우에 재질이 종이이므로 즉시 구멍이 나서 음식물이 새게 돼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However, the principle that this paper pot does not burn is the phenomenon that water loses heat before the paper reaches its ignition point, which blocks more water and paper pots when a mucus-like food such as eggs sticks to the floor. It is impossible to take away the heat of the paper and eventually the bottom of the pot burns. In this way, the bottom is burned due to an unexpected variable, so the material is paper, so there is a limitation that food is leaked immediately.
점착성이 강한 음식 재료로 인해 바닥이 탈 경우에는 코팅액에도 문제가 발생하는데, 종래의 종이냄비는 폴리에틸렌을 코팅액으로 사용하는바, 폴리에틸렌은 융점이 106℃ 이므로 물의 끓는점 보다 높아서 정상적으로 사용할 때는 코팅액이 음식물로 용출될 가능성이 없으나, 일단 바닥이 탈 정도가 되면 폴리에틸렌이 음식과 섞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When the bottom burns out due to the strong sticky food material, problems occur in the coating liquid. Conventional paper pots use polyethylene as the coating liquid. Because the melting point of polyethylene is 106 ℃, the coating liquid is higher than the boiling point of water. It is unlikely to elute, but once the floor is burned, the possibility of polyethylene mixing with food cannot be ruled out.
이렇게 안전성에 결함이 있을 경우, 개인적으로 사용하거나 학교 등에서 실험용으로 사용할 때는 큰 문제가 없어도, 음식의 재료를 다양하게 사용하는 식당이나 기타 대량으로 제품을 유통하는 시장에서는 사용하기 힘들어져 판매 시장이 크게 축소되는 문제가 있다.In case of such a safety defect, even if it is not a big problem when used for personal use or for experimentation in schools, it is difficult to use in a restaurant that uses a variety of food ingredients or in a market that distributes products in large quantities, and thus the sales market is large. There is a problem of shrinking.
또한 종래의 종이냄비는 평면 종이를 접어서 사각 기둥 모양을 형성하도록 돼 있는바, 냄비를 크게 제작하여 물을 많이 담으면 냄비 모양 형성을 위해 옆면을 고정시키는 부분이 네 곳밖에 없다는 한계점으로 인해 냄비가 모양을 유지하지 못하고 비틀리는 현상이 생긴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aper pot is to form a square pillar by folding a flat paper bar, if the pot is made large and contains a lot of water, the pot is limited due to the limitation that there are only four parts fixed to the side to form the pot shape It can't keep its shape and twists.
그리고, 통상적으로 가열기구는 불꽃이 원형을 형성하는 바, 사각형 모양의 냄비는 꼭지점 부분부터 불꽃까지의 거리가 모서리부터 불꽃의 거리와 차이가 많이 나서 고른 가열이 어려울 뿐 아니라, 냄비의 바닥 크기를 줄일 경우 불꽃이 옆면으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변의 크기를 정할 때 모서리를 기준으로 해야 하는데, 이렇게 되면 중심으로부터 꼭지점까지의 거리에서 모서리까지 거리를 뺀 부분 만큼 필요이상으로 크게 만들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a heating device has a circular flame shape, and in a rectangular pot, the distance from the vertex portion to the flame is different from the edge distance from the flame so that it is difficult to evenly heat the plate and reduce the size of the bottom of the pot. In order to reduce the size of the sides to prevent the flame from rising to the side, the corners should be referred to as the base, which makes the problem larger than necessary by subtracting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to the corner to the edge. have.
냄비를 크게 만들 경우에는 4개의 냄비 받침대가 냄비의 바닥에 압력을 가하게 되는 상황에서 바닥이 종이재질이므로 경도가 약하기 때문에 물의 무게가 더해지면 받침대가 닿지 않는 쪽으로 바닥이 처지거나 냄비가 놓이는 위치와 각도에 따라 전체적으로 비틀림 현상이 생기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받침대가 3개인 경우에는 그 불안정함이 더욱 커진다.If the pot is made large, the bottom of the paper is made of four pot holders pressurizing the bottom of the pot, so the hardness is weak, so when the weight of the water is added, the bottom falls or the position and angle of the pot is not reached.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orsion phenomenon as a whole. In the case of three pedestals, the instability becomes greater.
그리고, 종래의 종이 냄비는 평면의 종이를 접어서 입체화하는 과정에서 안으로 꺾어 넣어서 고정시키는 부분이 너무 커서 그 끝 부분이 바닥과 가까운데, 이런 경우 물이 끓으면, 종이와 종이 사이의 틈을 타고 물이 바깥으로 새는 문제점도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aper pot is too large to be folded and fixed in the process of folding and flattening the paper of the plane so that the end portion is close to the bottom. In this case, when the water boils, the water between the paper and the paper There is also a problem leaking out.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본 고안의 주목적은 휴대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중량과 부피를 줄이면서도, 불에 약한 종이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발생할 수 밖에 없는 한계를 최대한 극복하고, 경도가 약한 재질을 사용하여 사각 기둥 모양으로 제작할 때 발생하는 구조적인 불안정함을 해결하는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developed to solve such a problem is to reduce the weight and volume to maximize portability, while overcoming the limitations inevitably caused by using a weak paper material, and using a weak hardness material. This is to solve the structural instability that occurs when manufacturing a square pillar shap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제안하는 본 종이냄비는 코팅층을 형성함에 있어 용기의 안쪽에는 일차로 폴리에틸렌 코팅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다시 내열성이 강한 실리콘 , PET, 알루미늄박 등의 코팅층을 하나 더 형성함으로써,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바닥이 타더라도 고열로 인해 코팅액이 음식물에 섞일 가능성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paper pot propos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forming a coating layer by first forming a polyethylene coating layer on the inside of the container, and by further forming a coating layer of heat resistant silicone, PET, aluminum foil, etc., Even if the floor burns in an unexpected situation, it is characterized by blocking the possibility of coating liquid mixed with food due to high heat.
또한 안전보조용기를 별도로 고안하여 뚜껑 부위에 장착하거나 뚜껑을 겸할 수 있는 안전보조용기를 고안하여 계란과 같은 점착성이 강한 음식 재료의 경우 본 보조용기를 통해 냄비에 유입되는 과정에서 가늘 줄기 모양으로 변형되어 첨가되거나 혹은 보조용기에 담은 채로 가열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이 물과 냄비 바닥을 차단하여 바닥이 불에 타게 될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by designing a safety auxiliary container separately, attached to the lid portion or devised a safety auxiliary container that can also function as a lid, and in the case of sticky food materials such as eggs, it transforms into a thin stem shape in the process of entering the pot through this auxiliary container. It is added, or by heating while holding in the auxiliary container, the food is characterized by blocking the bottom of the fire and the bottom of the food by blocking the bottom of the water and pot.
상기 안전보조용기는 원통형으로 제작하되 바닥이나 옆 부분은 물이나 수증기 혹은 열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멍을 내고 옆 면의 일부를 돌출시켜서 이 돌출 부분이 뚜껑측 구멍의 요철 부분에 끼워지도록 하여 상하로 이동하거나 혹은 정적 높이에서 좌우로 회전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afety auxiliary container is made of cylindrical shape, but the bottom or side part is made to make a hole for water, water vapor or heat to pass through and protrudes a part of the side surface so that the protrud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uneven part of the hole on the lid si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fixed by moving to the left or right at a static height.
상기 안전보조용기는 육각으로도 제작하여 상단의 6개 날개부분의 크기를 확대하여 뚜껑의 역할을 겸하도록 하거나, 음식을 담는 용기 부분을 키워서 찜기, 퐁듀, 중탕기 등으로 기능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afety auxiliary container is also made of a hexagon to enlarge the size of the six wings at the top to serve as a lid, or to expand the function to steamer, fondue, water bath, etc. by growing the container portion containing food.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몸체의 모양을 육각기둥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을 기본 아이디어로 하되, 평면의 종이를 입체화하는 방법으로 각 꼭지점에서 안으로 꺾여 올라오는 접지면을 내각이 30°, 60°, 90° 인 직각삼각형 모양으로 형성함으로써 옆면과 바닥이 직각을 이루도록 하고, 접지면의 상단 부분을 적정 모양으로 돌출시켜 이 돌출 부분을 옆면의 고정용 구멍에 삽입하거나 옆면을 감싸안음으로써 각각의 옆면을 고정하는 장치로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꼭지점의 내각을 30°보다 늘이거나 줄임으로써 측면의 세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ic idea is to form the shape of the body into a hexagonal column shape, and the ground plane that is bent inward at each vertex by the method of three-dimensional paper of the plane into a right triangle with the angle of 30 °, 60 °, 90 °. By forming the side and bottom at right angles, protruding the upper part of the ground plane into a proper shape and inserting the protrusion into the fixing hole of the side, or enclosing the side to be used as a device for fixing each side. It features. At this time, the vertical angle of the side can be adjust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inner angle of the vertex by 30 °.
상기 몸체의 옆면은 그 상단의 일부를 일차 밖으로 꺾은 상태에서 육각형 조립으로 들어감으로 해서 꺾여서 형성된 이중벽 부분이 옆면의 강도를 보강하고 면과 면을 연결해 주는 고정 장치나 밀착 장치를 끼워넣어 고정시켜주는 공간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ide of the body is a space in which a double wall portion formed by bending a hexagonal assembly in a state in which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is folded out of the primary portion reinforces the strength of the side surface and inserts a fixing device or a close contact device to connect the surface to the surface. It is characterized by using as.
용기의 모양을 6각으로 하는 것 이외에도 평면종이의 옆면에 주름을 형성하면서 형압기로 사출하거나, 펄프를 직접 형압기에 넣어 사출하여 일반 냄비 모양으로 제작한 몸체에 상기 안전보조용기를 결합한 뚜껑을 설치하여 새로운 기능의 일회용 종이냄비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o the hexagonal shape of the container, it is injected into the mold press while forming a pleat on the side of the flat paper, or the pulp is directly injected into the mold press, and the lid made by combining the safety auxiliary container with the body made of a general pot shap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version to a disposable paper pot of a new function.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휴대용종이냄비는 내열성 및 강도가 강화된 코팅을 보강함으로써 유사시 음식물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ortable paper po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rovides an effect of protecting food more safely in case of emergency by reinforcing a coating having enhanced heat resistance and strength.
사각에서 육각으로 용기 모양을 변형하고 뚜껑의 활용 범위를 확장함에 따라 안전보조용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폭넓은 음식 종류를 조리할 수 있게 됐다.By changing the shape of the container from square to hexagon and expanding the range of application of the lid, it is possible to use the safety aid container to cook a wider variety of food.
사각에서 육각으로 용기 모양을 변형하고, 옆면을 고정하는 장치를 향상시킴에 따라 보다 튼튼한 용기가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By transforming the shape of the container from square to hexagon and improving the device to fix the side, it provides a stronger container effect.
활용도 높은 기능성 뚜껑을 고안함에 따라 기존 일회용 제품에 적용하여 그 기능을 확장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By devising a versatile functional lid, it can be applied to existing disposable products to extend its function.
상기와 같이 기존의 종이냄비를 보다 안정적이고 다양하게 활용하게 됨에 따라 일회용 종이냄비의 시장을 크게 확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existing paper pots are more stably and variously utilized,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greatly expanding the market of disposable paper pots.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ttach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휴대용종이냄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ortable paper po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설명에 앞서,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동일한 참조부호로나타내거나 각 다른 실시예에서 기능이나 요소가 중복될 경우에는 각 자릿수별로 동일한 숫자를 사용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게할 경우에는 생략하기로 한다.Before the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or parts in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used the same number for each digit when the functions or elements are duplicated in different embodiments.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if it obscures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종이냄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종이냄비의 뚜껑을 닫은 사시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종이냄비의 '입체화 결합부'를 확대하여 설명한 것이고,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보조용기'를 휴대용종이냄비의 뚜껑에 설치하는 과정도이며,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보조용기의 사시도이고,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보조용기를 아랫쪽에서 본 하측 사시도이며,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종이냄비의 전개도이고, 제8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보조용기의 전개도이고, 제9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종이냄비 사시도이고, 제10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로 휴대용종이냄비의 부품 결합을 나타낸 것이고, 제1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안전보조용기를 겸한 뚜껑의 사시도이며, 제1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휴대용종이냄비 몸체 사시도이고, 제1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휴대용종이냄비 전개도이고, 제1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안전보조용기 겸용 뚜껑의 전개도이고, 제1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의 휴대용종이냄비 사시도이고, 제1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의 '찜기' 기능을 겸한 안전보조용기 전개도이 고, 제17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4실시예의 휴대용종이냄비 사시도이고, 제18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세4실시예의 휴대용종이냄비 전개도이고, 제19도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종이냄비를 접어서 보관할 경우의 접지 예시도이며, 제20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5실시예의 성형식 종이냄비의 사시도이고, 제2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성형식 종이냄비의 부품인 안전보조용기 사시도이고, 제2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성형식 종이냄비의 부품인 뚜껑의 사시도이며, 제2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보조용기와 뚜껑의 제1결합방식을 설명한 구성도이고, 제2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보조용기와 뚜껑의 제2결합방식을 설명한 구성도이고, 제2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1결합방식에서 안전보조용기를 걸치는 방법을 나타낸 확대도이며, 제2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종이냄비 코팅 유형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paper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osed lid of the portable paper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stereoscopic coupling portion' of the portable paper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rocess diagram of installing a 'safety ai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lid of a portable paper pot,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afety ai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The lower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safety auxiliary container from the bottom, Figure 7 is an exploded view of a portable paper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xploded view of the safety auxiliary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paper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llustrates a combination of parts of a portable paper pot a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also serves as a safety auxiliary container of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lid,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paper pot body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developed view of a portable paper pot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second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xploded view of the lid of the safety auxiliary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paper pan of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 development view of the safety auxiliary container having a 'steamer' function of the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paper pot of the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 development of portable paper pot of thre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 is a portable paper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folded and stored Fig. 20 is a perspective view, and Fig. 20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lded paper po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afety aid container which is a part of a molded paper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d which is a part of a molded paper p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coupling method of the safety auxiliary container and the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second coupling method of the safety auxiliary container and the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5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applying the safety auxiliary container in the first coupl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6 is a paper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oating type section.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휴대용 종이냄비(100)는 뚜껑(110)과 몸체(120)로 구분되며, 도7의 전개도를 접어서 6개 모서리 부분을 고정시키면 도1과 같은 입체형 냄비를 형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몸체(120)를 형성함에 있어서 종이의 안쪽을 폴리프로필렌 만으로 코팅할 경우에는 입체화접지부(126)의 상단부분에서 코팅층이 상호 마주보는 곳(126a)에 열을 가함으로써 간단하게 융착하여 벽면을 고정할 수 있으나, 실리콘, PET, 알루미늄박의 경우 열에 의한 접착을 시도할 수 없으므로 다음의 방법으로 결합을 한다.In forming the
도1의 결합부(121)을 확대한 그림이 도3이므로 도7의 전개도와 함께 벽을 세워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전개도에서 6개의 보강용접지부(127)는 역삼각형을 이루어 두 삼각형의 공통변인 입체화접지부 외측꺾임선(126b)을 기준으로 두 삼각 형 부분을 접어서 용기의 안쪽 방향으로 접어 세우는데 이 때 바닥꺾임선(126c)도 함께 꺾어서 옆면을 세우고, 입체와접지부 내측꺾임선(126c)도 함께 안쪽으로 꺾어주며 도3과에서 보는 것처럼 직각삼각형 모양의 입체화 접지부(126)를 바로 세운다. 이때 입체화 접지부(126)는 용기의 안쪽으로 꺾인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이어서 도7의 꺾음형 밀착장치(125)를 도3에서 보는 것 처럼 입체화접지부(126)를 감싸며 안으로 접고, 두 개의 삽입형고정장치(123)을 옆면의 고정구멍(122)에 밀어 넣는다. 용기의 바깥으로 나온 삽입형고정장치(123)는 밖으로 접힌 보강용접지부(127)의 밑으로 넣는다(127a)3 is an enlarged view of the
도1과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뚜껑(110)에는 6개의 사다리꼴 모양의 날개를 정육각형 형태로 둥글게 배열하고 절단선을 만들어 제작한 보조물설치구멍(111)이 있으며 보조물을 설치할 때는 보조물설치구멍마개(112)의 각 날개를 밑으로 밀어서 커다란 육각 구멍을 만든다. 뚜껑을 닫기 전에는 뚜껑이 곧 한 쪽의 손잡이 역할을 하다가 뚜껑을 닫을 때는 다른 한 쪽의 손잡이(128)가 손잡이통과구멍(113)을 통과하도록 돼 있으며 뚜껑을 고정시키고 싶을 때는 손잡이를 바깥으로 꺾어준다. As shown in Figure 1 and Figure 2, the
도4는 안전보조용기(130)를 뚜껑의 보조물설치구멍(111)에 장착하는 그림이다. 4 is a view of mounting the safety
도5, 도6, 도8은 안전보조용기(130)의 구조와 구성 방법을 나타내 주는 도식이다. 여기서 안전보조용기 입체화접지부(136)를 접고 꺾어 올려 옆면을 수직으로 세워주면서 삽입형고정장치(133)를 고정구멍(132)에 끼워주는 것은 냄비의 몸체를 만들 때와 비슷하지만,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체화접지부(136)가 용기의 바깥 으로 접히는 것이 다른 점이다. 또한 삽입형고정장치(133)를 고정 구멍(132)에 끼워주는 과정에서 용기걸이(137)는 바깥 직각 방향으로 꺾이게 되어 도5와 같은 모양을 형성하게 된다.5, 6, and 8 are diagrams showing th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fety
본 안전보조용기(130)는 주로 계란과 같은 점성이 강한 단백질 식품을 위해 고안된 것으로 용기의 바닥에는 구멍(139)이 뚫려있는 것이 특징이다. 계란을 예로 든다면, 라면 등을 끓일 때 계란을 통째로 깨 넣으면 비록 물이 끓는 중이라 해도 덩어리채로 바닥에 가라앉아서 냄비의 바닥에 붙은 채로 열에 의해 굳어짐으로써 물과 냄비 바닥을 차단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물이 끓을 때, 본 안전보조용기(130)에 계란을 넣고 풀면서 저어주면 구멍을 통해 계란이 가는 줄기 모양으로 떨어지면서 바닥에 닿기 전에 열에 의해 굳어져서 냄비 바닥을 보호할 수 있다.This safety
도9는 휴대용종이냄비의 두번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10은 각 부품의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냄비의 몸체(220)에는 삽입형 고정보조장치(224)가 위로 돌출되어 있고 여기에 만든 고정구멍(222)에 삽입형고정장치(223)가 삽입되어 일차로 냄비의 벽면을 연결해 주고, 여기에 다시 보조틀(210)을 끼워 넣음으로써 냄비의 형태를 보다 튼튼하게 잡아준 후에 최종적으로 안전보조용기 겸용 뚜껑(230)을 끼워 넣어서 완성하는 것을 보여준다.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portable paper pot,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rocess of coupling each component, the
보조틀(210)에는 삽입형 고정장치(223)을 통과시킬 수 있는 보조틀-몸체결합구(211)와 손잡이(228)를 통과시킬 수 있는 손잡이 통과구멍(213)이 만들어져 있다.
도11은 안전보조용기 겸용 뚜껑(230)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14는 전개도를 나타낸 것인 바, 그 구조와 성형 과정이 안전보조용기(130)와 대동소이하나 덮개(231) 부분이 크게 확장되어 냄비 전체를 덮을 수 있음과 동시에 뚜껑-몸체 결합구(237)와 뚜껑-손잡이 결합구(238)가 만들어져 있는 것이 차이점이다.Figure 1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d for the safety
도12의 몸체(220) 사시도와 도13의 전개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입체화 접지부(226)를 안쪽으로 꺾어 올려 사입형 고정 장치(223)를 손잡이(228)의 고정구멍(222)과 삽입형 고정장치(233)의 고정구멍(222)에 삽입함으로써 간단하게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perspective view of the
도15는 휴대용 종이냄비의 세 번째 실시예의 사시도인 바, 두 번째 실시예에서 보여 준 몸체(220)와 보조틀(210)에 찜기-안전보조용기(310)를 설치한 것이다.Figure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a portable paper pot, with the steamer-
도15의 사시도와 도16의 전개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찜기-안전보조용기(310)는 두 번째 실시예의 안전보조용기 겸용 뚜껑(230)에서 내용물을 담는 공간을 확장하면서 덮개(231) 부분을 보조틀(210) 형태로 변형시킴과 동시에 별도의 뚜껑(311)을 장착하고, 뚜껑의 주변에는 뚜껑고정날개(312)를 달아서 뚜껑을 닫을 때는 이를 직각으로 꺾어서 용기에 삽입함으로써 뚜껑을 용기에 고정시켜 주며, 찜기 뚜껑 손잡이(313)을 별도로 달아서 내부 증기압이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겸하게 한다. 또한 구멍을 바닥(239)과 옆 벽면(239a)에 만들어서 증기 및 열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다.As shown in the perspective view of Figure 15 and the exploded view of Figure 16, the steamer-
도17은 휴대용 종이냄비의 네 번째 실시예(400)의 사시도인 바, 전반적인 구조는 첫 번째 실시예(100)와 비슷하나 결합부(421)에서 또 다른 결합 방식을 보여 주고 있다. 도18의 전개도와 함께 결합 방식을 살펴보면, 입체화 접지부(126) 상단에 연결된 삽입형 고정장치(423)는 고정구멍A(422a)를 통과해서 고정구멍B(422b)로 나오고, 꺾음형 밀착장치(425)는 고정구멍B(422b) 밖으로 나온 삽입형고정장치(423)의 상단 부분을 감싸고 돌려서 보강용 접지부(427)의 하단부로부터 틈새로 밀어 넣어 고정한다.FIG. 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도19는 6각 모양의 휴대용종이냄비를 납작하게 접는 원리를 설명한 것으로, 400a는 몸체 부분의 6개 측벽을 안으로 접어 넣고 그 위로 뚜껑을 덮는 모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400b의 도면을 중심으로 평면의 전개도로 입체화 한 후에 이를 다시 용기의 안쪽으로 꺾어 접어서 납작한 모양으로 부피를 최소화하는 과정에서 가급적 측벽(426)을 꺾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9 is a view illustrating a principle of flat folding a hexagonal portable paper pot, wherein 400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x sidewalls of a body part being folded in and a lid over it, and the plane of FIG. After the three-dimensionalized in the development of the folding back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to explain the principle of minimizing the folding of the
400b의 도면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입체화접지부 측 모서리(426a) 선과 측벽 측 모서리(b) 선을 분리해서 그렸으나 본래 이 부분은 상호 붙어있는 모서리 부분이다. 용기를 입체화하는 과정에서는 상호 연결된 두 개의 입체화 접지부(126)가 마주보고 밀착되야 하나, 용기를 평면으로 접기 위해서는 두 입체화 접지부(126)를 나란히 펼친 상태로 측벽A(426a)로 붙여야 한다. 이렇게 측벽으로 붙인 상태에서 두 개의 측벽(426a, 426b)을 동시에 안으로 꺾어 넣으면, 두 측벽이 바닥 쪽으로 거의 90°가량 접히는 되는데 그 과정에서 그 어느 측벽도 접는 부분을 만들 필요가 없다. 이렇게 되는 원리는, 입체화접지부 측 모서리(426a)와 바닥 측 모서리(426c) 사이의 각도(426d)와 측벽 측 모서리(426b)와 바닥 측 모서리(426c) 사이의 각도가 모두 30°로 동일하기 때문이다. 즉, 두 측벽을 동시에 안으로 꺾어 넣으면 입체화접지부 측 모서리(426a)와 측벽 측 모서리(426b)가 하나의 모서리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로도 납작한 모양으로 접을 수 있다는 의미가 된다. 그리하여 휴대용 종이냄비의 6개 측벽을 모두 안으로 꺾어 넣으면서 단 하나의 접는 선도 만들지 않고 400c와 같은 모양으로 납작하게 만들 수 있다. 단, 사용자 편의를 위해 두 입체화 접지부(126)을 펼치지 않고 접어 넣으면 6개 측벽 중 2개의 측벽에만 접는 선을 만들면 된다. 이런 현상은 용기의 바닥 모양을 정6각형으로 만들었을 때에만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 In the drawing of 400b, the line of the three-dimensional
도20은 다섯 번째 실시예의 사시도인 바, 용기의 몸체(520)는 손잡이가 달린 모양으로 금형을 사용해 한 번에 사출하는 방식으로 성형을 하고, 뚜껑(510)을 특수한 구조로 제작하여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보조용기(530)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gure 2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fth embodiment, the body of the
안전보조용기(530)는 용기를 뚜껑에 걸치면서 동시에 손잡이 역할을 하는 거치대(531)와 바닥에 구멍(534)이 뚫린 몸체(533)와 이 둘을 연결하면서 동시에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하는 연결다리(532)의 세 부분으로 구성돼 있다.Safety
뚜껑(510)은 중앙에 안전보조용기 결합구(511)가 있고, 이 결합구는 요철 모양으로 되어 있어서 안전보조용기의(530)의 연결다리(512)가 끼워지는 유도홈(512)이 있고, 그 외에 증기배출구(513)와 뚜껑-손잡이 결합구(514)로 구성돼 있다.The
도23은 안전보조용기(530)를 최대한 위로 올려서 뚜껑(510)에 결합하는 모양을, 도24는 안전보조용기를 아래로 내려서 뚜껑에 결합하는 모양을 위(543)와 아래(544)에서 시선을 잡아 보여주고 있다.FIG. 23 shows the shape of the
도25는 안전보조용기가 높은 위치에서 뚜껑에 걸치는 원리를 보여주고 있는데, 안전보조용기의 연결 다리(532) 부분이 뚜껑에 걸치는 부분(546)을 확대하여 살펴보면(546a, 546b), 먼저 안전보조용기를 연결다리(532)의 층진 부분이 보일 때까지 위로 올린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30도 정도 회전시키면(546a) 층진 부분이 유도홈(512)를 벗어나 뚜껑에 걸치게 됨을 알 수 있다(546b). Figure 25 shows the principle that the safety container is put on the lid in a high position, when looking at the
이 때, 안전보조용기를 높이 설치하면 계란을 풀어 넣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낮게 설치하면 각 종 해물이나 기타 점착성 식재료를 담아 익히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안전보조용기를 물에 담그는 이유로 인해 알루미늄과 같은 인체에 무해한 금속성 재질을 사용하거나 만일 종이로 만들 경우에는 실리콘으로 코팅을 하도록 한다. 또한 연결 다리 부분의 중간에 홈을 추가로 만들면 보다 다양한 높이 조절도 가능하다.At this time, if the safety auxiliary container is installed high can be used for unpacking eggs, and if it is installed low, it can be used for cooking to contain various seafood or other sticky ingredients. For this reason, use a metal material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such as aluminum, or, if it is made of paper, coat it with silicon. In addition, additional grooves in the middle of the connecting legs allow for more height adjustment.
도26은 본 고안에 따른 코팅 방법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코팅액은 열에 강하고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601)을 사용하되, 실리콘을 천연 종이에 직접 접착할 수 없으므로, 일차로 종이면에 폴리에틸렌(LDPE)(602)으로 코팅을 한 다음에 이어서 그 위에 실리콘(601) 코팅을 하도록 한다.Figure 26 shows an example of a coa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ating solution uses
실리콘 이외에도 인체에 무해하면서 동시에 강도가 우수한 제품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603)이 있다. PET는 직접 종이(604)에 열융착하거나 혹은 이미 판지로 생산된 PET를 일차 LDPE로 코팅(602)한 용지(604) 위에 얹어 열을 가하여 합지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o silicon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603 is a product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has excellent strength. PET is directly heat-sealed onto
종이에 코팅을 하는 방법 이외에도 열과 압력에 강한 알류미늄과 인장 강도 가 강한 종이를 합지하여 두 재료의 장점을 모두 취한 휴대용 냄비를 제안한다. 이렇게 50~80μm 두께의 알루미늄과 종이를 LDPE를 매개로 하여 합지를 하면,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휴대용 종이냄비를 만들 수 있음과 동시에 식재료가 다양한 부대찌개, 해물탕, 전골 종류나 수프를 보다 안정적으로 조리할 수 있게 되어 제품의 활용 범위가 넓어지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coating on paper, we propose a portable pot that combines heat and pressure resistant aluminum with high tensile strength paper to take advantage of both materials. By laminating 50 ~ 80μm-thick aluminum and paper using LDPE, it is possible to make portable paper pots that can be folded and unfolded while cooking more stably with various kinds of ingredients such as bag stew, seafood soup, hot pot and soup. As a result, the range of application of the product can be expanded.
알류미늄 코팅은 종이의 안쪽 만 하거나 안과 밖 모두 할 수도 있는데, 알루미늄을 바깥쪽에도 코팅할 경우에는 알루미늄의 빠른 열전도 효과로 인해 종이냄비 바닥이 고르게 데워져서 용기 내부 가열 효율도 향상되고, 종이를 보다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luminum coating can be done on the inside of the paper or both inside and outside. When the aluminum is coated on the outside, the fast heat conduction effect of aluminum also warms the bottom of the paper pan evenly, improving the heating efficiency inside the container and making the paper more stable. There is an advantage to protect.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종이냄비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paper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종이냄비의 뚜껑을 닫은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d of the portable paper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종이냄비의 입체화 결합부 확대도Figure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three-dimensional coupling portion of the portable paper p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보조용기를 휴대용종이냄비의 뚜껑에 설치하는 과정도4 is a process of installing the safety ai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lid of the portable paper pot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정망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bility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보조용기의 하측 사시도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safety auxiliary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종이냄비의 전개도7 is an exploded view of a portable paper p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8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보조용기의 전개도8 is an exploded view of the safety auxiliary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9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종이냄비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paper po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0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 휴대용종이냄비 부품 결합도10 is a second embodiment portable paper pot parts coupling dia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안전보조용기 겸용 뚜껑의 사시도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d for a safety auxiliary container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휴대용종이냄비 몸체 사시도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paper pot body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휴대용종이냄비 전개도13 is a development view of a portable paper pot of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안전보조용기 겸용 뚜껑의 전개도14 is an exploded view of the lid of the safety auxiliary container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의 휴대용종이냄비 사시도Figure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paper pot of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의 찜기 안전보조용기 전개도16 is a development view of the steamer safety auxiliary container of the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7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4실시예의 휴대용종이냄비 사시도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paper pan of a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8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세4실시예의 휴대용종이냄비 전개도18 is a development view of a portable paper pan of thre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9도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종이냄비의 접지 예시도19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grounding of a portable paper p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0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5실시예의 성형식 종이냄비의 사시도20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aped paper pot of the fif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성형식 종이냄비의 부품인 안전보조용기 사시도2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afety auxiliary container that is a part of a molded paper p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성형식 종이냄비의 부품인 뚜껑 사시도Figure 2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d which is a part of a molded paper p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보조용기와 뚜껑의 제1결합방식을 설명한 구성도Figure 2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coupling method of the safety auxiliary container and the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보조용기와 뚜껑의 제2결합방식을 설명한 구성도24 is a view illustrating a second coupling method of the safety auxiliary container and the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1결합방식에서 안전보조용기를 걸치는 방법을 나타낸 확대도Figure 2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how to fasten the safety auxiliary container in the first coupl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종이냄비 코팅 유형 단면도Figure 26 is a paper pan coating type cross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 및 제품도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and product drawings-
100 : 접이식 종이냄비< 1 > 110 : 뚜껑100: folding paper pot <1> 110: lid
111 : 보조물 설치 구멍 112 : 보조물 설치 구멍 마개111: auxiliary installation hole 112: auxiliary installation hole plug
113 : 손잡이 통과 구멍 120 : 몸체 113: handle passage hole 120: body
121 : 결합부 122 : 고정 구멍 121: coupling portion 122: fixing hole
123 : 삽입형 고정 장치 125 : 꺾음형 밀착 장치 123: insertion type fixing device 125: angle contact device
126 : 입체화 접지부 126a: 입체화접지부 가열융착지점126: three-
126b: 입체화접지부 외측꺾임선 126c: 입체화접지부 내측 꺾임선126b: Stereoscopic Grounding Part
126d: 바닥 꺾임선 127 : 보강용 접지부 126d: bottom line 127: reinforcement ground
127a: 보강용 접지부 꺾임측 127b: 보강용 접지부 꺾임측 127a: reinforcing ground part
128 : 손잡이 130 : 안전보조용기< 1 > 128: handle 130: safety auxiliary container <1>
132 : 안전보조용기 고정 구멍 133 : 삽입형 고정 장치 132: fixing hole for safety auxiliary container 133: insert type fixing device
136 : 안전보조용기 입체화 접지부 136b: 안전보조용기입체화 외측꺾임선136: three-dimensional grounding of the safety
136c: 안전보조용기입체와 내측꺾임선 137 : 용기 걸이 136c: Safety Aid Container and medial fold 137: Container hanger
139 : 안전보조용기 구멍 150 : 접지선139: safety auxiliary container hole 150: ground wire
200 : 접이식 종이냄비 < 2 > 210 : 보조틀200: folding paper pot <2> 210: auxiliary frame
211 : 보조틀-몸체 결합구 213 : 손잡이 통과 구멍211: auxiliary frame-body coupler 213: handle through hole
220 : 몸체 222 : 고정 구멍 220: body 222: fixing hole
223 : 삽입형 고정 장치 224 : 삽입형 고정 보조 장치 223: insertion fixing device 224: insertion fixing device
226 : 입체화 접지부 228 : 손잡이226: three-dimensional ground portion 228: handle
230 : 안전보조용기 겸용 뚜껑 231 : 덮개230: lid for safety supplement container 231: cover
232 : 고정 구멍 233 : 삽입형 고정 장치 232: fixing hole 233: insertion type fixing device
236 : 입체화 접지부 237 : 뚜껑-몸체 결합구 236: three-dimensional ground portion 237: lid-body coupling
238 : 뚜껑-손잡이 결합구 239 : 안전보조용기 구멍 238: lid-handle coupler 239: safety auxiliary container hole
239a: 안전보조용기 옆구멍 250 : 접지선239a: side hole of the safety auxiliary container 250: ground wire
300 : 접이식 찜기 310 : 찜기 안전보조용기 300: folding steamer 310: steamer safety auxiliary container
311 : 뚜껑 312 : 뚜껑고정 날개 311: lid 312: lid fixing wings
313 : 찜기 뚜껑 손잡이 322 : 뚜껑 손잡이313: steamer lid handle 322: lid handle
400 : 접이식 종이냄비 < 3 > 400a: 종이냄비 접지 사시도400: folding paper pot <3> 400a: a paper pan ground perspective view
400b: 접지 원리 도면 400c: 접지 평면도400b:
410 : 뚜껑 420 : 몸체 410: lid 420: body
421 : 결합부 422a : 고정구멍A 421:
422b: 고정구멍B 423 : 삽입형 고정장치422b: fixing hole B 423: insertion type fixing device
425 : 꺾음형 밀착장치 426a: 측벽A425:
426b: 측벽B426b: sidewall B
426a: 입체화접지부 측 모서리 426b: 측벽 측 모서리426a: three-dimensional ground
426c: 바닥 측 모서리 426d: 입체화접지부-바닥 사잇각426c:
426e: 측벽-바닥 사잇각 427 : 보강용 접지부426e: side wall to bottom angle 427: reinforcing ground
427a: 보강용 접지부 꺾임측 427b: 보강용 접지부 꺾임측427a: bending side of reinforcing
500 : 성형식 종이냄비< 1 >500: Molded paper pots <1>
510 : 뚜껑 511 : 안전보조용기 결합구510: lid 511: safety auxiliary container coupler
512 : 안전보조용기 유도홈 513 : 증기 배출구512: guideway for safety auxiliary container 513: steam outlet
514 : 뚜껑-손잡이 결합구 520 : 몸체514: lid-handle coupler 520: body
521 : 손잡이 530 : 안전보조용기521: handle 530: safety auxiliary container
531 : 거치대 532 : 연결 다리531: holder 532: connecting bridge
533 : 안전보조용기 몸체 534 : 구멍533: safety auxiliary container body 534: hole
541 : 안전보조용기결합1 상단 542 : 안전보조용기결합1 하단541: Safety auxiliary container combination 1 upper 542: Safety auxiliary container combination 1 lower
543 : 안전보조용기결합2 상단 544 : 안전보조용기결합2 하단543: Safety
545 : 성형식 종이냄비 조립도 546 : 안전보조용기 장착 부위545: assembled paper pot assembly drawing 546: mounting portion of the safety auxiliary container
546a: 안전보조용기 장착부위 확대도 546 : 안전보조용기 장착위치 확대도546a: Enlarged view of the safety auxiliary container mounting position 546: Enlarged view of the safety auxiliary container mounting position
601 : 실리콘 601: Silicone
602 : Low Density Polyethylene(LDPE)602: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603 : Polyethylene Terephthalate(PET)603: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604 : 고밀도 종이 605 : 알미늄604: high density paper 605: aluminum
Claims (1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4988U KR200459025Y1 (en) | 2009-04-25 | 2009-04-25 | Portable Cookware Being Made of Pap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4988U KR200459025Y1 (en) | 2009-04-25 | 2009-04-25 | Portable Cookware Being Made of Pap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10808U true KR20100010808U (en) | 2010-11-03 |
KR200459025Y1 KR200459025Y1 (en) | 2012-03-23 |
Family
ID=44203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04988U KR200459025Y1 (en) | 2009-04-25 | 2009-04-25 | Portable Cookware Being Made of Pap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9025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161523A2 (en) * | 2011-05-24 | 2012-11-29 | You Suk Gyeong | Portable heating container |
KR102000610B1 (en) * | 2018-01-17 | 2019-07-16 |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 Expandable foldable disposable container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2348Y1 (en) * | 2013-09-04 | 2014-04-18 | 송상근 | Self-Assembly Cooking Container Made of Paper |
KR200490800Y1 (en) * | 2018-04-09 | 2020-01-07 | (주)느루 | Paper receptacl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4164Y1 (en) * | 2007-07-24 | 2009-04-17 | 이성태 | Paper pot |
KR20090035260A (en) * | 2007-10-05 | 2009-04-09 | 이성태 | Manufacturing method of molding type paper pot |
-
2009
- 2009-04-25 KR KR2020090004988U patent/KR200459025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161523A2 (en) * | 2011-05-24 | 2012-11-29 | You Suk Gyeong | Portable heating container |
WO2012161523A3 (en) * | 2011-05-24 | 2013-01-31 | You Suk Gyeong | Portable heating container |
KR102000610B1 (en) * | 2018-01-17 | 2019-07-16 |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 Expandable foldable disposable container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59025Y1 (en) | 2012-03-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5433337U (en) | But collapsible heating fluid body container | |
US5582854A (en) | Cooking with the use of microwave | |
KR200459025Y1 (en) | Portable Cookware Being Made of Paper | |
EP2654520B1 (en) | Heated liquid vessels and electrical appliances | |
KR102269413B1 (en) | Packing container to wrap some foods with heating means | |
NZ524951A (en) | bowl structure | |
KR20140028474A (en) | Paper pot | |
US20140193560A1 (en) | Overboil ring apparatus and cooking and heating system | |
KR200475771Y1 (en) | Structure of instant food double spaced bowl having water hole | |
KR20140055045A (en) | Heating vessel | |
KR200393367Y1 (en) | The quick food hiting bag | |
CN201432935Y (en) | Instant food box | |
CN208371516U (en) | Pot component and cooking apparatus | |
KR20210033231A (en) | Food packaging container with cooking container | |
CN201036497Y (en) | Convection kitchenware and container with the same | |
CN205649392U (en) | A food steamer and cooking utensil for cooking utensil | |
KR200477897Y1 (en) | Self-assembly paper pot without sticking | |
CN106419479A (en) | Steaming-cooking dual-purpose electric steamer | |
CN215077470U (en) | Liftable and have spacing non return structure's multi-purpose combination pot | |
JP3017348U (en) | Simple set for carrying food | |
CN209031878U (en) | Steam-boiler cooker and its sealing ring | |
CN216651581U (en) | Large-volume thickened constant-temperature aluminum foil lunch box container | |
CN206612562U (en) | Cook component | |
CN217397360U (en) | Self-heating food packaging can | |
CN209121881U (en) | A kind of health-promotion kettle with externally embedded type stew cu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6 Year of fee payment: 5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