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0519A - 등산용 지팡이의 이물질 자동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등산용 지팡이의 이물질 자동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0519A
KR20100010519A KR1020100001479A KR20100001479A KR20100010519A KR 20100010519 A KR20100010519 A KR 20100010519A KR 1020100001479 A KR1020100001479 A KR 1020100001479A KR 20100001479 A KR20100001479 A KR 20100001479A KR 20100010519 A KR20100010519 A KR 20100010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e
climbing
tip
spring
st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1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준
Original Assignee
전병준
전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준, 전한수 filed Critical 전병준
Priority to KR1020100001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0519A/ko
Publication of KR20100010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5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4Ferrules or ti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8Hand equipment for clim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산용 지팡이에 관한 것이다. 지팡이의 형태에 상관없이 등산용 지팡이를 사용시 지팡이의 끝단의 팁을 통해 나뭇잎이나 기타 이물질이 붙게 된다. 이때 스프링의 반작용 힘을 응용한 이 자동분리장치를 이용하게 된다. 등산용 지팡이 끝단에 붙거나 적층 이물질을 자동 적으로 제거해주게 된다. 특히 가을이나 눈이 내린 산에서 산행시 나뭇잎과 눈이 함께 지팡이의 끝단을 통해서 이물질이 적층 된다. 이는 장시간 산행시 팔에 피로감과 함께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장치를 활용함으로써 지팡이에 불필요한 이물질이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어 상쾌한 산행을 즐길 수 있다.

Description

등산용 지팡이의 이물질 자동분리 장치 {Automatic separation of alien substance for a hiking stick}
본 발명은 등산용 지팡이에 관한 사항으로 산행시 지팡이의 끝단에 낙엽이나 눈 등 기타 이물질이 지팡이 끝단을 통해서 쌓이게 된다. 사용자는 지팡이 끝단의 적층 이물질로 지팡이 무게 외에 무게감을 느끼고 심적 불쾌감을 준다. 특히 장시간 산행시 피로감과 함께 불쾌감을 유발시킬 수 있다. 산행시 반복적으로 지팡이 끝단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지팡이의 끝단 부문과 보호 캡 사이에 완충용 스프링을 삽입하여 산행시 지팡이의 끝단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는 메커니즘이다.
최근에는 건강 생활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고조되는 가운데 일반적으로 등산의 경중에 관계없이 등산용 지팡이 사용이 보편화 되어 있다. 특히 지팡이를 사용함으로써 하산시 무릅 관절에 무리를 감소할 수 있어 지팡이의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이전까지 산악인의 전유물로만 여겨졌던 등산용 지팡이가 지팡이를 사용함으로써 적절한 힘의 분산으로 산행의 즐거움을 더해주고 있다. 특히 하산시 지팡이의 효과는 증대되고 있어 현재는 근교의 산에서도 등산용 지팡이를 사용하는 등산객이 늘고 있다.
본 발명에서 활용하는 기본적인 기술은 스프링의 작용과 반작용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산용 지팡이는 등산시 지면과 접하는 끝단에 내마모성이 강한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바위 흙 등 다양한 자연환경에서도 충분히 지팡이의 역할을 다할 수가 있다. 특히 지면과 접하는 지팡이 끝단은 항상 낙엽이나 흙과 혼합된 이물질이 적층 될 수 있는 구조이다. 특히 끝단의 팁은 내마모성이 강한 소재로서 지면과 접하는 대부분의 물질보다 강한 소재이기 때문에 대부분 관통할 수 있을 정도이며 아울러 끝단의 팁이 뾰쪽한 구조로 이물질이 적층 하기 쉬운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적인 사항에서 낙엽이나 눈 등이 많은 가을이나 겨울철 등산시 끝단 팁을 통해서 이물질이 적층 하기 때문이다. 장시간 지팡이를 사용하는 경우 지속적으로 끝단에 이물질이 쌓이고 이 물질을 지팡이의 끝단과 보호 캡 사이의 공간에 적층 되거나 아니면 적층 이물질의 무게로 스스로 떨어질 때까지 끝단에 붙어 있게 된다. 이 경우 지팡이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상대적인 무게감을 느끼고 의식적으로 이물질을 떨어뜨리거나 바위 등 자연물에 지팡이 끝단을 부딪쳐서 이물질을 제거하려는 행동을 반복적으로 하게 된다.
현재까지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등산용 지팡이는 끝단에 붙거나 적층 이물질을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는 기능이 전혀 없다. 가을철이나 겨울철에 낙엽이 많은 곳에 눈이 있을 경우에는 이물질이 지속적으로 적층 함으로써 지팡이를 사용하는 데 불편함이 많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의 주요 요지이다.
비나 눈이 오거나 낙엽이 많은 가을 등 계절에 따라 등산시 지팡이 사용에 불편함이 존재한다. 특히 갑작스럽게 산행중 궂은 날씨에 등산시 지팡이 끝단을 통해 흙과 혼합된 이물질이 적층 지팡이 끝단에 무게감을 느끼게 된다. 본 발명에서 기술적인 과제는 끝단에 적층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을 정도의 힘을 만드는 것이다. 이 힘은 사용자가 지팡이를 사용시 지면에 강하게 누르게 되는 과정에서 활용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팡이는 경사면을 올라갈 때 효과성이 증대되며 대부분 지팡이를 지면에 강하게 누르면서 동시에 사용자가 올라가게 된다. 이 과정에 스프링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힘을 활용하는 것이다. 다음은 스프링의 힘을 어느 정도로 할 것이 나가 문제이다. 이는 사용자의 체격조건 이물질의 형태 등 변수가 존재한다. 하지만 이론적으로 계산이나 실험적인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지만 여러 종류의 스프링 종류 중 원형 단면을 가진 스프링을 활용하여 시행착오 방식으로도 적절한 강성을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분리장치는 사용자가 지팡이를 지면과 접촉시 끝단의 팁을 통해서 낙엽이나 흙과 혼합물질 등이 적층 된다. 이와 동시에 지팡이가 지면과 맞 닫는 순간 사용자 손을 통한 누르는 힘에 의해 스프링은 순간적으로 압축상태로 들어가게 된다. 사용자가 지팡이를 다음 순간으로 옮기는 순간에 이 물질들은 이미 적층된 상태이고, 이때 압축된 스프링 힘이 적층 이물질들을 끝단 팁 밖으로 밀어내게 된다. 특히 끝단과 보호 캡 사이의 지팡이 단면은 끝단에 가까울수록 단면이 작아 적은 힘으로도 적층 이물질이 쉽게 밀려날 수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힘에 의해 적층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스프링의 강성을 고려해야 한다. 이때 너무 강한 스프링을 사용하면 사용자 힘에 의해 전혀 압축되지 않음으로써 이물질 제거 효과를 발휘할 수 없음으로 적정한 스프링 강성 설계가 필요하다.
더불어 적정한 스프링을 사용함으로써 지팡이를 다음 순간으로 옮기는 순간 내재된 스프링 반발력의 힘으로 상대적으로 쉽게 다음 단계로 이동하는 데 도움을 줄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자동분리 장치의 직접적인 효과는 반복적으로 지팡이 끝단을 통해 적층 이물질을 자동 적으로 제거해 주는 것이다.
본 발명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끝단에 적층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직접 손으로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아니면 자연지형을 활용하여 지팡이 끝단을 부딪쳐서 이물질을 탈취하는 행동을 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지팡이의 무게를 항상 동일하게 느낌으로서 산행의 즐거움에 방해요소가 제거된다.
아울러 사용자가 지팡이를 지면에 접촉함과 동시에 압축된 스프링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됨과 동시에 반발력으로 지팡이를 상대적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등산용 지팡이의 이물질 자동분리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 은 등산용 지팡이의 이물질 자동분리 장치의 구성도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등산용 지팡이의 연결관 최하단부에 팁(106)과 팁 결합부(105) 가 있는 등산용 지팡이에 대해서
상기 연결관(100)으로 결합한 보호 캡 고정부(101)와 보호 캡(102)
상기 연결관(100)과 결합한 보호 캡(102) 과 최하단부 끝단의 팁(101) 사이에 있는 스프링(103) 과
스프링(103)의 상단은 보호 캡(102) 의 하단부와 압입 혹은 공업용 본드로 고정하게 되며, 스프링(103)의 하단은 스프링 받침대(104)의 상단과 압입 하거나 공업용 본드로 고정되게 된다.
등산용 지팡이의 연결관(100)과 결합한 보호 캡 고정부(101)와 보호 캡(102), 보호 캡(102) 과 결합한 스프링(103) 상단과 스프링(103) 하단과 결합한 스프링 받침대(104)와 팁 결합부(105)와 팁(106)으로 구성된다.
사용자가 지팡이를 지면에 사용함으로써 지팡이의 연결관으로 이어진 팁(106)이 지면과 맞 닫을 때, 사용자의 힘에 의해 끝단의 팁(106)을 통해 이물질이 스프링 받침대(104)를 밀어 올리면서 그 공간에 이물질이 적층 된다. 이와 동시에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지팡이를 옮기는 순간 압축된 스프링(103) 힘에 의해 스프링 받침대(104)를 원래 위치로 되돌아 가게 되며 이 과정에서 적층 이물질을 분리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등산용 지팡이의 이물질 자동분리 장치는 기존의 등산용 지팡이에 부가적인 부품만 추가하면 산업적으로 활용 가능하다. 특히 구조가 단순하고 스프링과 스프링 받침대만 추가되는 것으로 기존의 등산용 지팡이에 부분적으로 추가하면 된다.
100 : 등산용 지팡이 연결관
101 : 등산용 지팡이 보호 캡 고정부
102 : 등산용 지팡이 보호 캡
103 : 등산용 지팡이 스프링
104 : 등산용 지팡이 스프링 받침대
105 : 등산용 지팡이 팁 결합부
106 : 등산용 지팡이 팁

Claims (2)

  1. 등산용 지팡이의 끝단에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스프링을 활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자동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스프링의 힘을 이용하는 대신 유압장치 혹은 전기장치 등 기타장치를 활용하여 등산용 지팡이 끝단의 이물질을 자동으로 분리하는 장치
KR1020100001479A 2010-01-07 2010-01-07 등산용 지팡이의 이물질 자동분리 장치 KR201000105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479A KR20100010519A (ko) 2010-01-07 2010-01-07 등산용 지팡이의 이물질 자동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479A KR20100010519A (ko) 2010-01-07 2010-01-07 등산용 지팡이의 이물질 자동분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519A true KR20100010519A (ko) 2010-02-01

Family

ID=42085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1479A KR20100010519A (ko) 2010-01-07 2010-01-07 등산용 지팡이의 이물질 자동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05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5831A1 (ko) 2012-02-20 2013-08-2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밴드갭 적층형 태양전지 및 다중 밴드갭 적층형 태양전지 형성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5831A1 (ko) 2012-02-20 2013-08-2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밴드갭 적층형 태양전지 및 다중 밴드갭 적층형 태양전지 형성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250845A1 (en) Walking stick with flexure mechanism to store and release energy
US9592175B2 (en) Mobile crutch
US20080121260A1 (en) Self-orienting adjustable length fitness pole
JP4524766B1 (ja) ウォーキング用の杖
US4676521A (en) Kneeling skis with handles
KR20100010519A (ko) 등산용 지팡이의 이물질 자동분리 장치
KR20100010518A (ko) 등산용 지팡이의 이물질 자동분리 장치
CN201905343U (zh) 一种用于登山鞋的鞋底
US7837232B2 (en) Protective ski appliance
US20100006129A1 (en) Two-headed walking stick
US20120326425A1 (en) Skate Board Spike
US20130061894A1 (en) Ferrule for Ambulatory Aids
KR100690192B1 (ko) 운동용 지팡이
US6772542B2 (en) Ski system
CN111493465A (zh) 一种基于力的作用原理为基础的抓地式户外登山手杖
CN205884876U (zh) 高度可调的手杖
CN207306266U (zh) 一种登山杖
US20070051019A1 (en) Apparatus facilitating walking in ski boots.
CN2935884Y (zh) 便携式旅游鞋
CN104397942A (zh) 登山杖
CN210882456U (zh) 一种多功能滑板车
CN211850488U (zh) 一种林区行径防滑架
CN213128285U (zh) 一种登山助力鞋
CA2651682A1 (en) Propel walkers
JP3151868U (ja) 傘や杖に設ける滑り止め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