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0396A - 터치스크린상의 문자입력장치 및 필기인식시스템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상의 문자입력장치 및 필기인식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0396A
KR20100010396A KR1020080071345A KR20080071345A KR20100010396A KR 20100010396 A KR20100010396 A KR 20100010396A KR 1020080071345 A KR1020080071345 A KR 1020080071345A KR 20080071345 A KR20080071345 A KR 20080071345A KR 20100010396 A KR20100010396 A KR 20100010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tment
input
strokes
horizontal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1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근우
Original Assignee
조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근우 filed Critical 조근우
Priority to KR1020080071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0396A/ko
Publication of KR20100010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3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등에서 필기로 한글을 입력한 경우 필기문자의 인식률을 좋게 하기 위하여 자소별로 입력할 수 있는 입력 틀의 제공과 각 자소별로 필기문자를 한글코드문자로의 변환에 필요한 알고리즘에 관한 사항이다.
입력 틀로서는 초성구획, 중성 중 수평모음구획, 중성 중 수직모음구획, 종성구획 중 단자음구획, 종성구획중 복자음구획의 5개의 구획으로 나눈 입력 틀을 가진 필기입력장치와 상기의 입력장치 등을 통하여 입력된 자소를 분석하여 점획, 세로획, 가로획, 폐곡선획, 사선획으로 구분하여 획의 갯 수와 자소의 특징을 바탕으로 필기 된 문자를 한글코드문자로 변환하는 문자인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문자인식, 한글인식, 한글입력, 필기입력, 터치스크린, 휴대폰, 자소, 필기인식

Description

터치스크린상의 문자입력장치 및 필기인식시스템 {Inputting appartus and handwriting character recognition system on touch screen}
통신장치를 통하여 메시지를 교환하거나 기타 장치 등에 명령을 하고자 할 때 기존에는 키보드나 마우스로서 그 표현을 하였지만 통신장치 등의 소형화와 터치스크린이 범용으로 사용됨에 따라 터치스크린에 직접 필기를 통한 의사의 전달을 하여야 할 필요성의 커지게 되었다.
이에 정확한 필기인식을 통한 정보전달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필기인식률을 높이기 위한 필기입력 틀을 가진 한글입력장치와 입력된 필기데이터를 분석하여 한글코드문자로 변환시키는 필기인식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입력장치로 쓰이는 터치스크린은 정전용량식, 저항막식, 표면초음파방식, 적외선방식이 널리 쓰이고 있는데 어떠한 방식을 사용하던지 손가락 또는 필기구의 터치입력부분의 위치를 x-y 좌표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입력된 위치에 해당되는 곳에 LCD로 출력하면 입력과 동시에 출력이 이루어지는 터치스크린의 기능을 하며 이 스크린 위에 한글을 쓰는 경우에 그 입력된 변위조합을 인식하여 한글문자코드로 변환시키는 기술로서 문자인식기술은 통상 필터링과 샘플비교를 통하여 이루어지며 정교한 인식을 위해서는 고난도의 연산과 대량의 샘플데이터를 비교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문자코드화 할 수 있다.
한글은 자음과 모음 자소가 연속하여 아래쪽 또는 오른쪽으로 조합하여 표현하는 관계로 동일한 글자도 사람에 따라서 현저히 다른 형태로 표출되곤 한다.
따라서 한글을 입력할 때 입력자로 하여금 또박또박 쓰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자소별 또는 음절별로 필기문자를 인식하려 할 때 기존의 인식방법으로는 복잡한 연산식과 많은 샘플데이터를 가지고 비교하여 판별하는 관계로 인식률이 떨어지고 인식속도도 늦어지게 되어 실질적으로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러한 문제를 필기입력시에 입력 틀을 적용하고 인식하여 변환시키는 알고리즘을 단순화하여 인식률의 제고는 물론 신속한 연산이 이루어지게 하고자한다.
입력 틀을 적용함에 있어서 한글의 구조에 맞추어 초성, 중성, 종성으로 나누고 중성은 가로모음과 세로모음으로 나눌 수 있으며 종성은 하나 또는 두 개의 자음을 갖게 되므로 이들을 각각 구획하여 구획된 틀 안에 각 자소를 쓰도록 유도하여 글자입력형태가 인식이 쉬운 형태로 입력하도록 유도한다.
글자체의 인식에 있어서는 각 자획의 특성을 정리하여 각 자소가 가지고 있는 가로획과 세로획의 형태 및 갯 수 그리고 폐곡선의 형상 등을 절대비교하여 자소를 인식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한글문자를 터치스크린에 입력할 때 입력 틀을 제공함으로써 글자체의 정형화를 유도함으로써 인식률을 높일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고 단순화된 연산에 의한 자소인식 및 자소조합을 통하여 신속하면서도 유효하고 한글문자코드로 변환시켜서 편리한 입력장치로서 기능 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과 같이 터치스크린의 입력부에 얇은 실선으로 5개의 구획으로 나누고 각각의 구획에 필요한 자소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구획(가)에서는 자음 및 쌍 자음(겹 자음)이 올 수 있으며 (나)구획에는 수평모음(ㅗ,ㅛ,ㅜ,ㅠ,ㅡ)이 오도록 하고 (다)구획에는 수직자음이 올 있으며 (라)구획에는 자음 또는 쌍 자음이 올 수 있고 (마)구획에는 복자음의 뒤 자음이 올 수 있다.
어느 구획에 입력을 하든지 입력된 값으로만 입력을 종료하려는 경우에는(예를 들면 "ㄱ"만을 입력하는 경우) 입력구획의 외부를 태핑하거나 짧게 드래그하면 음절입력의 종료를 의미한다.
정상적인 음절을 입력하려는 경우에는 (가)구획의 입력종료시점은 (나)구획이나 (다)구획에 입력이 시작된 시점이고, (나)구획의 입력종료 또는 입력생략을 확인하는 시점은 (다)구획에 입력이 시작된 시점이며, (다)구획의 입력종료시점은 필기획선을 끌어 구획의 하단이나 우측경계선이 드래그 된 때이고 (라)구획과 (마)구획의 입력종료시점은 (다)구획과 마찬가지로 아래 또는 우측의 경계선에 드래그 되거나 경계선 외부를 태핑한 경우이다.
(가)구획과 (나)구획 또는 (가)구획과 (다)구획을 연결하여 드래그한 경우에는 (가)구획에 일정한 길이 이하가 걸쳐있을 때는 (가)구획의 획을 무시하고 상당한 길이인 경우에는 (가)구획에 자소의 입력을 종료한 것으로 본다.
이러한 입력 틀에 입력된 자소는 (가), (라), (마)의 구획에 입력된 값은 자음 자소로 (나), (다)의 구획에 입력된 값은 모음 자소로 간주하여 조합하여 문자로 나타내게 된다.
모음 자소는 (나), (다)구획에 입력데이터는 가로방향의 스트로크(가로획), 세로방향의 스트로크(세로획)와 점획으로 나눌 수 있는데 가로 및 세로획이 씌어진 위치에 따라 획을 조합하여 모음 자소를 만든다. 다만 점획이 있는 경우에는 (나)구획에서는 세로획으로 (다)구획에서는 가로획으로 인식한다.
자음 자소는 (가), (라), (마) 구획에 입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야 하는데 모음자소의 구성요소인 가로획, 세로획 및 점획에 추가하여 사선방향과 폐곡선획으로 나눌 수 있다.
터치스크린의 감도와 해상도를 감안하여 지정한 작은 범위의 획은 점획으로 보며, 드래그하여 나타난 곡선의 시점 노드에서 종점 노드까지의 좌표를 읽었을 때 세로변위가 가로변위 30%이내인 경우에는 가로획으로 보며 그 이상이면 세로변위로 본다, 즉 사선도 세로변위로 보는 것이다.
또한 곡선이 인접 좌표 셀에 연속하여 위치하여 루프를 형성하거나 2개소 이하가 떨어져 있으면서 개구부의 최단거리를 기준으로 폐곡선에 필요한 길이의 1/20 이하가 벌어져 있는 경우 이를 페곡선획으로 본다.
점획은 가로획의 상단에 있으면 가로획으로 인식하고 가로획의 하단에 있으면 세로획으로 인식한다.
자음 자소의 가로획 및 세로획의 갯 수에 따른 구별방법은 아래의 표와 같다.
자획 구분 자소구분 세부 구분 기준
수직 1 수평 1 수직이 수평보다 오른쪽
수직이 수평보다 왼쪽
수직 1 수평 2 수직이 수평보다 왼쪽
수직이 수평보다 오른쪽
수직 1 수평 3 구분 불요
수직 2 구분 불요
수직 2 수평 1 구분 불요
수직 2 수평 2 돌출부위가 1변 이하 (우상귀에 돌출 없음)
상부로 돌출부위 2개 (우상귀에 돌출 있음)
측면으로 돌출부위 2개이상
폐곡선 형성부분 없음/수평 획이 중층구조
폐곡선 형성부분 없음 / 수평 획이 단일평면
수직 2 수평 3 구분 불요
수직 2 수평 4 구분 불요
수직 3 수평 2 막힌 부분 없음
막힌 부분 있음
수직 4 구분 불요
수직 4 수평 2 구분 불요
수직 4 수평 4 구분 불요
폐곡 한 번의 드래그로 표현되며 수직수평 요소 없음
폐곡 + 수평 구분 불요
처음에 세로획과 가로획의 갯수를 판별하여 각각의 자소를 정하고 동일한 갯 수를 갖는 자소가 복수인 경우에 가로 또는 세로획의 상대위치 및 폐곡선 형성 유무 및 폐곡선이 형성된 경우의 돌출위치 및 돌출 갯 수를 비교하여 판별함.
도 1 터치스크린의 문자입력 틀 구획도

Claims (2)

  1. 터치스크린에 입력함에 있어서 [도1]과 같이 초성구획, 중성가로획 구획, 중성세로획 구획, 종성 단자음구획, 종성 복자음구획으로 나누어 입력하게 하고 각 구획의 입력종료시점을 타 구획의 입력시작시점 또는 경계선에 드래그 연결입력시점과 구획 외부지점의 태핑시점 등으로 정하여 자소 및 음절별로 명확한 입력결과치를 확보하여 필기문서 인식률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장치.
  2. 자음 및 모음의 자소를 생성하는 자획을 점획, 가로획, 세로획, 사선획, 폐곡선획으로 나누고 각 획의 성격을 필기인식장치의 특성에 부합되게 지정한 뒤, 입력장치에 입력된 각각의 자소에 대하여 모음은 가로획과 세로획의 위치에 따라 일정한 모음으로 조합된 값으로 모음 자소를 알아내고, 자음은 입력된 자소를 읽어서 가로획과 세로획이 몇 개씩 포함되었는지를 판별하고 [표1]과 같은 자소별 갯 수 테이블을 이용하여 판별한다. 이때 동일한 갯 수를 가진 자소는 그 형상에 대한 특징값을 주어서 2차 판별 및 3차 판별을 통하여 자음 자소를 알아낸 뒤 각 자소를 조합하여 문자 코드값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특징을 같은 한글인식장치.
KR1020080071345A 2008-07-22 2008-07-22 터치스크린상의 문자입력장치 및 필기인식시스템 KR201000103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345A KR20100010396A (ko) 2008-07-22 2008-07-22 터치스크린상의 문자입력장치 및 필기인식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345A KR20100010396A (ko) 2008-07-22 2008-07-22 터치스크린상의 문자입력장치 및 필기인식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396A true KR20100010396A (ko) 2010-02-01

Family

ID=42085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345A KR20100010396A (ko) 2008-07-22 2008-07-22 터치스크린상의 문자입력장치 및 필기인식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039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300B1 (ko) * 2012-07-20 2013-01-11 김희재 한글입력수정방법
CN109460701A (zh) * 2018-09-10 2019-03-12 昆明理工大学 一种基于纵横直方图的字体识别方法
US11030473B2 (en) * 2017-10-16 2021-06-08 Fujifilm Business Innovation Corp.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300B1 (ko) * 2012-07-20 2013-01-11 김희재 한글입력수정방법
US11030473B2 (en) * 2017-10-16 2021-06-08 Fujifilm Business Innovation Corp.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CN109460701A (zh) * 2018-09-10 2019-03-12 昆明理工大学 一种基于纵横直方图的字体识别方法
CN109460701B (zh) * 2018-09-10 2020-09-25 昆明理工大学 一种基于纵横直方图的字体识别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73350B (zh) 用于管理数字墨水排版的系统和方法
CN109614944B (zh) 一种数学公式识别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03729087B (zh) 一种多点触摸手势识别的输入法
JP6914260B2 (ja) デジタルインクを美しく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2937837A (zh) 基于非完整识别的词语快速输入方法
JP3761937B2 (ja) パターン認識方法及び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制御装置
CN103995600A (zh) 一种盲文汉字转换装置及其方法
US113932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ext line extraction
KR20220103102A (ko) 터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에서의 제스처 스트로크 인식
EP3491580B1 (en) System and method for beautifying superimposed digital ink
KR20100010396A (ko) 터치스크린상의 문자입력장치 및 필기인식시스템
CN101354749A (zh) 字典制作方法、手写输入方法和设备
JPWO2015040740A1 (ja) 電子機器および方法
CN100501656C (zh) 一种音形结合的向电子设备中手写汉字的输入法
ITRM930179A1 (it) Apparecchio e procedimento per il riconoscimento di caratteri manoscritti.
KR101159323B1 (ko) 아시아 언어들을 위한 수기 입력
JP2012108893A (ja) 手描き入力方法
JPH09319828A (ja) オンライン文字認識装置
KR101667910B1 (ko) 디지털 인공 필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1438271B1 (ko) 필기형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276281B1 (ko) 터치스크린을 가진 전자기기의 한글 인식 장치 및 한글 인식 방법
KR101176409B1 (ko) 사용자 영문 필기체 필적 구현 시스템
JP2956094B2 (ja) 手書き文字認識装置
Kamal et al. Bangla vowel sign recognition by extracting the fuzzy features
WO2024110354A1 (en) Setting font size in an unconstrained canv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