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0011A - 영상 센서 터치스크린의 이중 터치 판별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센서 터치스크린의 이중 터치 판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0011A
KR20100010011A KR1020080092955A KR20080092955A KR20100010011A KR 20100010011 A KR20100010011 A KR 20100010011A KR 1020080092955 A KR1020080092955 A KR 1020080092955A KR 20080092955 A KR20080092955 A KR 20080092955A KR 20100010011 A KR20100010011 A KR 20100010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image
labeling
candidate region
coordi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2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준
김동우
안재형
남 김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00010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0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age Analysi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영상 센서 터치스크린의 이중 터치 판별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센서 터치스크린의 이중 터치 판별 방법은, 다수의 영상 센서로부터 영상을 입력받는 영상 입력 단계; 상기 영상 입력 단계를 통해 입력된 센서영상의 터치 후보 영역으로부터 얻어진 기하학적 모양의 투영 영상 좌표 위치에 따라 좌표점을 계산하여 좌표 후보 영역을 도출하는 좌표 후보 영역 도출 단계; 상기 좌표 후보 영역 도출 단계를 통해 도출된 각각의 좌표 후보 영역에 대해 레이블링 하는 레이블링 단계; 상기 레이블링 단계를 통해 레이블링 된 개수에 따라 단일 터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일 터치 판단 단계; 및 상기 레이블링 단계를 통해 레이블링 된 개수가 2 이상일 경우, 상기 센서영상의 터치 후보 영역이 터치 입력 장치 단면 보다 작은지 여부에 따라 이중 터치 여부를 판단하는 이중 터치 판단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센서 터치스크린의 이중 터치 판별 방법은, 상기 레이블링 단계를 통해 레이블링 된 개수가 2 미만일 경우 해당 터치영역을 유효 터치 위치로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중 터치 판단 단계는, 상기 센서영상의 터치 후보 영역이 터치 입력 장치 단면 보다 작을 경우 레이블링 후보 영역을 유효 터치 위치로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 센서영상의 터치 후보 영역이 터치 입력 장치 단면 보다 클 경우 레이블링 후보 영역을 이중 터치로 간주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중 터치, 영상 센서, 터치 스크린, 레이블링, 영역 제한

Description

영상 센서 터치스크린의 이중 터치 판별 방법{Method for detecting double touch of the image sensor touch screen}
본 발명은 영상 센서 터치스크린의 이중 터치 판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을 이용한 터치 좌표 인식 방법에 있어서 이중 터치가 발생할 경우 이를 레이블링과 영역 제한 방법에 의해 정확한 터치 좌표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영상 센서 터치스크린의 이중 터치 판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4각형의 스크린 3개 변 이상에 부착된 3개 이상의 영상 센서(라인 스캐너)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으로부터 좌표점을 계산하여 2차원 평면 좌표 영역을 구성하고, 구성된 영역들을 레이블링하여 2개 이상의 영역이 존재할 경우 이를 터치 입력에 사용되는 도구에 따라 터치 영역 크기를 제한하여 단일 터치인지 이중 터치인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 센서를 이용한 터치 좌표 인식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기존의 터치 좌표 인식 방법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라인 영상센서(S1), 제 2 라인 영상센서(S2), 제 3 라인 영상센서(S3) 및 제 4 라인 영상센서(S4)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장치(100)를 통해 이루어진다.
네 모서리 각각에 설치된 제 1 내지 제 4 라인 영상 센서들(S1~S4)은 터치 순간의 영상을 포착하여 이를 영상처리 하고, 처리된 영상 신호를 기초로 터치의 위치를 산출한다.
즉, 상기 제 1 내지 제 4 라인 영상 센서들(S1~S4)에 의해 실제 화면 위의 영역을 계속 촬영하며, 상기 화면상에 터치가 이루어지는 순간 터치 영상을 처리하여 터치 위치를 정확히 알아낸다.
다시 말해, 기존의 터치 좌표 인식 방법은 도 1과 같이 4개의 영상 센서로부터 받은 값으로부터 터치 좌표를 계산한다. 4개의 영상 센서들은 각각 45도 이내의 영상들을 촬영하게 되고 영상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을 거친다.
전처리 과정은 영상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프레임 영상들 중에서 하나의 영상을 추출하는 과정을 의미하게 되고, 하나의 영상에서 이중 터치에 대한 해결책은 언급되지 않았다.
예를 들어, 손가락과 손바닥이 동시에 터치될 경우 기존의 방법에 의한 터치스크린의 경우 2개의 터치 위치를 검출하게 되고 2 개의 포인트로서 스크린에 표시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3개 이상의 영상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으로부터 형성되는 2개 이상의 좌표 후보 영역에 대해 레이블링을 하고, 초기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에 대한 사전 정보에 의해 터치 영역 크기를 제한하여 정확한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영상 센서 터치스크린의 이중 터치 판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영상을 이용한 터치 좌표 인식 방법에 있어서 이중 터치가 발생할 경우 이를 레이블링과 영역 제한 방법에 의해 정확한 터치 좌표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영상 센서 터치스크린의 이중 터치 판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센서 터치스크린의 이중 터치 판별 방법은, 다수의 영상 센서로부터 영상을 입력받는 영상 입력 단계; 상기 영상 입력 단계를 통해 입력된 센서영상의 터치 후보 영역으로부터 얻어진 기하학적 모양의 투영 영상 좌표 위치에 따라 좌표점을 계산하여 좌표 후보 영역을 도출하는 좌표 후보 영역 도출 단계; 상기 좌표 후보 영역 도출 단계를 통해 도출된 각각의 좌표 후보 영역에 대해 레이블링 하는 레이블링 단계; 상기 레이블링 단계를 통해 레이블링 된 개수에 따라 단일 터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일 터치 판단 단계; 및 상기 레이블링 단계를 통해 레이블링 된 개수가 2 이상일 경우, 상기 센서영상의 터치 후보 영역이 터치 입력 장치 단면 보다 작은지 여부에 따라 이중 터치 여부를 판단하는 이중 터치 판단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센서 터치스크린의 이중 터치 판별 방법은, 상기 레이블링 단계를 통해 레이블링 된 개수가 2 미만일 경우 해당 터치영역을 유효 터치 위치로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중 터치 판단 단계는, 상기 센서영상의 터치 후보 영역이 터치 입력 장치 단면 보다 작을 경우 레이블링 후보 영역을 유효 터치 위치로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 센서영상의 터치 후보 영역이 터치 입력 장치 단면 보다 클 경우 레이블링 후보 영역을 이중 터치로 간주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영상 센서 터치스크린의 이중 터치 판별 방법에 따르면, 2개 이상의 연속적인 터치에 의한 이중 터치가 발생함으로 정확한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어려운 문제를, 레이블링 방법과 영역 제한 방법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터 치 입력 장치에 따라 이중 터치에 대해 정확한 사용자 터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통한 보다 정밀한 입력 인터페이스의 구현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는 등의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센서 터치스크린의 이중 터치 판별 방법은, 다수의 영상 센서로부터 영상을 입력받는 영상 입력 단계; 상기 영상 입력 단계를 통해 입력된 센서영상의 터치 후보 영역으로부터 얻어진 기하학적 모양의 투영 영상 좌표 위치에 따라 좌표점을 계산하여 좌표 후보 영역을 도출하는 좌표 후보 영역 도출 단계; 상기 좌표 후보 영역 도출 단계를 통해 도출된 각각의 좌표 후보 영역에 대해 레이블링 하는 레이블링 단계; 상기 레이블링 단계를 통해 레이블링 된 개수에 따라 단일 터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일 터치 판단 단계; 및 상기 레이블링 단계를 통해 레이블링 된 개수가 2 이상일 경우, 상기 센서영상의 터치 후보 영역이 터치 입력 장치 단면 보다 작은지 여부에 따라 이중 터치 여부를 판단하는 이중 터치 판단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센서 터치스크린의 이중 터치 판별 방법은, 상기 레이블링 단계를 통해 레이블링 된 개수가 2 미만일 경우 해당 터치영역을 유효 터치 위치로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중 터치 판단 단계는, 상기 센서영상의 터치 후보 영역이 터치 입력 장치 단면 보다 작을 경우 레이블링 후보 영역을 유효 터치 위치로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 센서영상의 터치 후보 영역이 터치 입력 장치 단면 보다 클 경우 레이블링 후보 영역을 이중 터치로 간주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이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그리고, "A 또는 B"는 A, B, A 및 B를 의미한다. 또, 이하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 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센서 터치스크린의 이중 터치 판별 방법에 있어, 이중 터치가 발생되는 입력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센서 터치스크린의 이중 터치 판별 방법에 있어, 레이블링과 영역 제한을 이용한 입력 위치 검출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첨부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는 이중 터치가 되는 입력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손가락 또는 터치펜을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200)의 표면을 터치하게 되면 손가락(또는 터치펜) 영역(S9)와 다른 접촉 영역(S10)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다른 접촉 영역(S10)의 발생은 영상 센서에 의해 정확한 터치 좌표를 계산하는 데에 있어 혼란을 야기시킬 수 있다.
즉, 이러한 혼란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터치로 계산되어 손가락 또는 터치펜의 정확한 위치(S11) 또는 손바닥과 같은 이중 터치 부분(S12)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경우들과 같이 이중터치로 나타난 영역들을 각각 레이블링 처리한 후, 각 레이블의 크기를 비교하고 터치 입력 장치와 가장 근접한 크기의 영역을 사용자가 의도한 터치 위치로 간주하게 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사항은 다음의 도 4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센서 터치스크린의 이중 터치 판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센서 터치스크린의 이중 터치 판별 방법은, 먼저 다수의 영상 센서로부터 영상을 입력받는 영상 입력 단 계(S110)로부터 시작됨을 알 수 있다.
상기 영상 입력 단계(S110)를 통해 다수의 영상 센서로부터 영상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된 센서영상의 터치 후보 영역으로부터 얻어진 기하학적 모양의 투영 영상 좌표 위치에 따라 좌표점을 계산하여 좌표 후보 영역을 도출하는 좌표 후보 영역 도출 단계(S111)가 수행된다. 상기 좌표 후보 영역 도출 단계(S111)는 각 센서영상의 터치 후보 영역으로부터 삼각형 또는 사각형의 기하학적 모양의 투영 영상 좌표 위치를 얻은 다음, 세 지점 또는 네 지점의 좌표점을 계산하여 좌표 후보 영역을 도출하는 과정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 상기 좌표 후보 영역 도출 단계(S111)를 통해 도출된 각각의 좌표 후보 영역에 대해 레이블링을 수행하는 레이블링 단계(S112)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레이블링 된 각각은 스크린에 접촉이 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이어서, 상기 레이블링 단계(S112)를 통해 레이블링 된 개수에 따라 단일 터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일 터치 판단 단계(S113)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레이블링 단계(S112)를 통해 레이블링 된 개수가 2 이상일 경우, 상기 센서영상의 터치 후보 영역이 터치 입력 장치 단면 보다 작은지 여부에 따라(S115) 이중 터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터치 위치를 선택(S114)하거나 이중 터치로 간주(S116)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레이블링 개수가 2보다 작으면(S113) 이중 터치가 아닌 단일 터치로 간주되므로 해당 위치를 터치 위치로 선택(S114)한 후 종료한다.
단, 상기 센서영상의 터치 후보 영역이 터치 입력 장치 단면 보다 작을 경 우(S115) 레이블링 후보 영역을 유효 터치 위치로 선택(S114)하고, 센서영상의 터치 후보 영역이 터치 입력 장치 단면 보다 클 경우(S115) 레이블링 후보 영역을 이중 터치로 간주(S116)하는 추가적인 판단 과정을 1회 더 수행하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 센서를 이용한 터치 좌표 인식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센서 터치스크린의 이중 터치 판별 방법에 있어, 이중 터치가 발생되는 입력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센서 터치스크린의 이중 터치 판별 방법에 있어, 레이블링과 영역 제한을 이용한 입력 위치 검출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센서 터치스크린의 이중 터치 판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Claims (4)

  1. 다수의 영상 센서로부터 영상을 입력받는 영상 입력 단계;
    상기 영상 입력 단계를 통해 입력된 센서영상의 터치 후보 영역으로부터 얻어진 기하학적 모양의 투영 영상 좌표 위치에 따라 좌표점을 계산하여 좌표 후보 영역을 도출하는 좌표 후보 영역 도출 단계;
    상기 좌표 후보 영역 도출 단계를 통해 도출된 각각의 좌표 후보 영역에 대해 레이블링 하는 레이블링 단계;
    상기 레이블링 단계를 통해 레이블링 된 개수에 따라 단일 터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일 터치 판단 단계; 및
    상기 레이블링 단계를 통해 레이블링 된 개수가 2 이상일 경우, 상기 센서영상의 터치 후보 영역이 터치 입력 장치 단면 보다 작은지 여부에 따라 이중 터치 여부를 판단하는 이중 터치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센서 터치스크린의 이중 터치 판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블링 단계를 통해 레이블링 된 개수가 2 미만일 경우 해당 터치영역을 유효 터치 위치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센서 터치스크린의 이중 터치 판별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터치 판단 단계는, 상기 센서영상의 터치 후보 영역이 터치 입력 장치 단면 보다 작을 경우 레이블링 후보 영역을 유효 터치 위치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센서 터치스크린의 이중 터치 판별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터치 판단 단계는, 상기 센서영상의 터치 후보 영역이 터치 입력 장치 단면 보다 클 경우 레이블링 후보 영역을 이중 터치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센서 터치스크린의 이중 터치 판별 방법.
KR1020080092955A 2008-07-21 2008-09-22 영상 센서 터치스크린의 이중 터치 판별 방법 KR201000100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0817 2008-07-21
KR1020080070817 2008-07-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011A true KR20100010011A (ko) 2010-01-29

Family

ID=41818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2955A KR20100010011A (ko) 2008-07-21 2008-09-22 영상 센서 터치스크린의 이중 터치 판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001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7374A (ko) * 2012-12-28 2014-07-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좌표 산출방법과 이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
KR20210057943A (ko) * 2019-11-13 2021-05-24 주식회사 라이드플럭스 자율 주행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블링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US11526237B1 (en) 2021-10-19 2022-12-13 Lx Semicon Co., Ltd Touch sensing apparatus, touch sensing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touch sensing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7374A (ko) * 2012-12-28 2014-07-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좌표 산출방법과 이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
KR20210057943A (ko) * 2019-11-13 2021-05-24 주식회사 라이드플럭스 자율 주행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블링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US11526237B1 (en) 2021-10-19 2022-12-13 Lx Semicon Co., Ltd Touch sensing apparatus, touch sensing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touch sensing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1954B1 (ko) 실시간으로 피사체의 손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118408B1 (ko) 터치 감지 디바이스에서 터치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CN107958458B (zh) 图像分割方法、图像分割系统及包括其的设备
CN102063618B (zh) 互动系统中的动态手势识别方法
JP5802247B2 (ja) 情報処理装置
CN106020436A (zh) 图像分析装置及图像分析方法
KR102347248B1 (ko) 터치 제스쳐 인식 방법 및 장치
US9348466B2 (en) Touch discrimination using fisheye lens
CA2481396A1 (en) Gesture recognition method and touch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KR101436050B1 (ko) 손모양 깊이영상 데이터베이스 구축방법, 손모양 인식방법 및 손모양 인식 장치
US784003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mputer control,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computer data signal
CN108027656B (zh) 输入设备、输入方法和程序
WO2019119361A1 (zh) 边缘防误触方法、触摸控制设备以及存储介质
TWI431538B (zh) 基於影像之動作手勢辨識方法及系統
TW201023011A (en) Detecting method for photo sensor touch panel and touch control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559502B1 (ko) 실시간 손 포즈 인식을 통한 비접촉식 입력 인터페이스 방법 및 기록 매체
US9977546B2 (en) Determining finger separation through groove analysis in a touch screen device
JP2017117341A (ja) 物体検出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EP2672363A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using a plurality of display panels
JP2016071546A (ja) 情報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13149228A (ja) 位置検出装置、および位置検出プログラム
KR101404018B1 (ko) 손동작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10011A (ko) 영상 센서 터치스크린의 이중 터치 판별 방법
JP6786015B1 (ja) 動作分析システムおよび動作分析プログラム
KR20150059423A (ko) 깊이 정보를 이용한 가상의 터치 센서 및 그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