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9949A - 드럼 교육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드럼 교육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9949A
KR20100009949A KR1020080070792A KR20080070792A KR20100009949A KR 20100009949 A KR20100009949 A KR 20100009949A KR 1020080070792 A KR1020080070792 A KR 1020080070792A KR 20080070792 A KR20080070792 A KR 20080070792A KR 20100009949 A KR20100009949 A KR 20100009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training
drum
service serv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0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덕환
Original Assignee
장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덕환 filed Critical 장덕환
Priority to KR1020080070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9949A/ko
Publication of KR20100009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9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8Practice key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 교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신망을 통해 교육 자료를 수신하고 연습 결과를 저장하여 동시다수의 사람들에게 효과적인 드럼 학습이 가능하도록, 본 발명에 따른 드럼 교육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되며, 연습 장치로 드럼 교육 자료를 전송하고, 연습 장치로부터 연습 결과를 수신하는 서비스 서버; 드럼 교육 자료와 연습 결과를 저장하는 DB; 및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된 드럼 교육 자료를 재생하고, 연습 결과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연습 장치;를 포함한다.
드럼, 교육, 학습, 대회, UCC, 인터넷

Description

드럼 교육 시스템 및 방법{An education system for electric drum and an education method thereby}
본 발명은 드럼 교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 망을 통해 교육 자료를 수신하고 연습 결과를 저장하여 동시다수의 사람들에게 효과적인 드럼 학습이 가능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드럼(또는 드럼 셋)은 여러 개의 북과 심벌즈 등으로 이루어진 타악기의 일종이다. 드럼의 연주는 육체적, 정신적 피로 회복과 긴장 해소, 스트레스 완화 작용, 행복한 감정 증폭, 우울증 해소, 통증과 근육통의 완화, 명석한 두뇌 사고, 인간 관계의 향상, 사회성 향상, 사회 관계에서의 자신감 증대 및 협동성을 증진시켜, 암환자, 파킨슨병 환자, 치매 환자, 사회복귀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학습장애가 있는 학생, 핸디캡을 안고 있는 사람, 노인, 학생 및 회사에서의 의사결정자에 도움을 준다.
이러한 드럼은 다양한 사람들에게 다양한 운동 효과와 치료 효과를 가져다주지만, 현재 일반 학원으로 국한 돼있는 드럼의 교습시스템으로 보아 강사의 부족과 시설의 부족함으로 동시다수에게 보급이 활발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자가 학습 시스템 및 전자 드럼 그리고 스포츠드럼이란 새로운 환경이 제안되었다. 전자 드럼은 어쿠스틱 드럼이 갖는 소음과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방음벽을 설치해 사용자로 하여금 답답한 환경을 줄 수밖에 없는 등 이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PC와 연계하여 다양한 엔터테인먼트적 요소를 가미할 수 있어 많은 사람이 접하기 용이하다.
한편, 드럼을 학습하기 위해서는, 학원 등을 통해 강사의 지도를 받게 된다.그러나, 특히 음악이라는 부담감과 강사와의 1:1레슨으로만 이루어져 동시다수의 사람들이 배울 수 없기 때문에 학원의 운영자는 수익을 창출하기 어렵다. 이런 이유로 자가학습이 가능한 드럼트레이너란 시스템이 제안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적은 수의 강사에 의한 도움으로 동시다수의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드럼을 학습할 수 있는 기술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체계적인 교육 자료의 제공 및 학습 진도의 저장을 통해 효율적인 드럼 학습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학습자의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드럼 교육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포츠 센터와 같이, 쾌적한 환경에서 드럼을 즐기거나 학습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드럼 교육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되며, 연습 장치로 드럼 교육 자료를 전송하고, 연습 장치로부터 연습 결과를 수신하는 서비스 서버; 드럼 교육 자료와 연습 결과를 저장하는 DB; 및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된 드럼 교육 자료를 재생하고, 연습 결과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연습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연습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 정보 를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부; 상기 DB를 관리하는 DB 관리부; 및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연습 장치에서 촬영된 UCC를 관리하는 UCC 관리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복수개의 연습 장치를 통해 동일한 교육 자료에 대한 학습 정확도를 비교하여 점수를 부여하는 이벤트 관리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DB는: 상기 연습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저장 영역; 상기 연습 장치를 통한 학습 진도 정보를 저장하는 학습 진도 정보 저장 영역; 및 상기 연습 장치로 제공될 교육 자료를 저장하는 교육 자료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DB는: 상기 연습 장치에서 촬영된 UCC를 저장하는 UCC 저장 영역;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DB는: 상기 이벤트 관리부에서 부여된 점수, 사용된 교육 자료 및 참여자 정보를 저장하는 이벤트 정보 저장 영역;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습 장치는: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교육 자료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 전자 드럼; 상기 전자 드럼의 동작에 따른 음향을 재생하는 음향부; 및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습 장치는: 상기 연습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 및 전자 드럼을 촬영하는 촬영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교육 자료,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UCC 및 사용자의 학습 진도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습 장치는: 사용자 정보와 학습 진도가 저장된 카드를 판독하는 카드 리더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드럼 교육 방법은,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된 서비스 서버, DB 및 연습 장치를 포함하는 드럼 교육 시스템을 통한 드럼 교육 방법으로서, 상기 연습 장치가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학습 자료를 수신하고, 학습 자료에 따라 전자 드럼을 연습하는 학습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학습 단계는: 학습 진도를 호출할 것인지 조사하는 학습1단계; 상기 학습1단계의 조사에서 학습 진도를 호출할 경우, 진도에 따른 교육 자료를 호출하는 학습2단계; 및 호출된 교육 자료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전자 드럼을 조작하는 학습3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학습 단계는: 상기 학습1단계의 조사에서 학습 진도를 호출하지 않을 경우, 최초 교육 자료를 호출한 뒤 학습3단계로 이동하는 학습2-1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학습 단계는: 학습 진도를 저장할 것인지 조사하는 학습4단계; 및 상기 학습4단계의 조사에서 학습 진도를 저장할 경우, 학습 진도를 저장 하는 학습5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학습5단계는 촬영부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UCC로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학습 장치가 서비스 서버에서 생성한 이벤트에 참여하는 참여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참여 단계는: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참여1단계; 상기 참여1단계에서 수신된 이벤트에 참여할 것인지 조사하는 참여2단계; 및 상기 참여2단계의 조사에서 이벤트에 참여할 경우, 이벤트에 참여하는 참여3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참여 단계는: 참여 결과를 저장하는 참여4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참여4단계는 촬영부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UCC로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망을 통해 체계적인 교육 자료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드럼 교육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대회 등을 통해 다른 사용자와 실력을 비교할 수 있어 사용자의 학습 의욕을 높이고 지속적으로 흥미를 유도할 수 있는 드럼 교육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수의 강사에 의한 지도만으로, 많은 사람들이 드 럼의 학습 및 연주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쾌적한 환경에서 드럼을 학습 및 연주가 가능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기술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교육 시스템)
먼저 첨부된 도면 도1 내지 도4를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 교육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육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2는 도1에서 서비스 서버의 내부 블록도이고, 도3은 도1에서 DB의 내부 블록도이고, 도4는 도1에서 연습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드럼 교육 시스템(100: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드럼 교육 시스템'은 간략히 '교육 시스템'이라 한다)은 통신망(130)을 통해 상호 연결된 서비스 서버(110), DB(120: DataBase) 및 연습 장치(140,150,160)를 포함한다.
서비스 서버(110)는 연습 장치(140)로 드럼 교육 자료를 전송하고, 연습 결과를 수신한다. 첨부된 도면 도2를 참조로 서비스 서버(110)를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 관리부(111)는 연습 장치(140)를 사용하는 사용자 정보를 관리한다.
DB 관리부(112)는 DB(120)를 관리한다.
UCC 관리부(113)는 연습 장치(140)에서 촬영된 UCC(User Created Contents)를 관리한다.
이벤트 관리부(114)는 복수개의 연습 장치를 통해 동일한 교육 자료에 대한 학습 정확도를 비교하여 점수를 부여한다. 이를 이용하여, 다수의 연습 장치(140,150, 160)로부터 학습 정확도의 비교를 통해 대회 등의 개최가 가능해진다.
통신부(115)는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DB(120)는 드럼 교육 자료와 연습 결과를 저장한다. 첨부된 도면 도3을 참조로 DB(120)를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 정보 저장 영역(121)은 연습 장치(140)를 사용하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저장되는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사용자의 접속 계정, 연락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학습 진도 정보 저장 영역(122)은 연습 장치(140)를 통한 학습 진도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저장되는 학습 진도 정보는, 학습 시각, 학습 시간, 진도, 성취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UCC 저장 영역(123)은 연습 장치(140)에서 촬영된 UCC를 저장한다.
교육 자료 저장 영역(124)은 연습 장치(140)로 제공될 교육 자료를 저장한 다.
이벤트 정보 저장 영역(125)은 이벤트 관리부(114)에서 부여된 점수, 사용된 교육 자료 및 참여자 정보를 저장한다.
연습 장치(140)는 서비스 서버(110)로부터 전송된 드럼 교육 자료를 재생하고, 연습 결과를 서비스 서버(110)로 전송한다. 첨부된 도면 도4를 참조로 연습 장치(140)를 상세히 설명하면, 통신부(141)는 통신을 수행한다.
표시부(142)는 교육 자료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저장부(143)는 통신부(141)를 통해 수신된 교육 자료, 촬영부(147)에서 촬영된 UCC 및 사용자의 학습 진도를 저장한다.
전자 드럼(144)은 드럼 스틱을 사용하여 전자 드럼(144)을 타격하면,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타격 여부가 나타나게 한다.
음향부는 전자 드럼(144)의 동작에 따른 음향을 재생한다. 음향부는 스피커(145) 및/또는 헤드폰(146)이 사용될 수 있다.
촬영부(147)는 연습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 및 전자 드럼 등을 촬영한다. 촬영된 동영상은 학습 진도의 파악, UCC 생성 등에 사용된다.
카드 리더부(148)는 사용자 정보와 학습 진도가 저장된 카드를 판독한다. 즉, 사용자는 발급된 카드를 카드 리더부(148)에서 판독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확인이나 진도를 수작업으로 입력할 필요가 없게 된다.
제어부(149)는 각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교육 방법)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5 내지 도7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 교육 방법을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육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6은 도5에서 학습 단계의 세부 흐름도이고, 도7은 도5에서 참여 단계의 세부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드럼 교육 방법(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드럼 교육 방법'은 간략히 '교육 방법'이라 한다)은 접속 단계(S100), 학습 단계(S200), 참여 단계(S300)를 포함한다.
접속 단계(S100)는 사용자가 교육 장치를 사용하여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서버에 회원 가입 및 로그인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학습 단계(S200)는 연습 장치가 서비스 서버로부터 학습 자료를 수신하고, 학습 자료에 따라 전자 드럼을 연습하는 단계이다. 첨부된 도면 도6을 참조로 학습 단계(S200)를 상세히 설명하면, 학습1단계, 학습 진도를 호출할 것인지 조사한다(S210).
학습2단계, 학습1단계의 조사에서 학습 진도를 호출할 경우, 진도에 따른 교육 자료를 호출한다(S220). 이때 사용되는 학습 진도는 사용자가 가진 카드 또는 접속 단계(S100)의 로그인에 의한 사용자 확인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특별히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진도를 직접 선택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학습3단계, 학습1단계의 조사에서 학습 진도를 호출하지 않을 경우, 최초 교 육 자료를 호출한 뒤 학습3단계로 이동한다(S215).
학습4단계, 호출된 교육 자료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전자 드럼을 조작한다(S230).
학습5단계, 학습 진도를 저장할 것인지 조사한다(S240).
학습6단계, 학습5단계의 조사에서 학습 진도를 저장할 경우, 학습 진도를 저장한다(S250). 이때 저장된 학습 진도는 전술된 학습2단계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학습6단계의 수행 장면은 촬영부에서 동영상으로 촬영되어 UCC로 저장될 수도 있다.
참여 단계(S300)는 학습 장치가 서비스 서버에서 생성한 이벤트에 참여하는 단계이다. 첨부된 도면 도7을 참조로 참여 단계(S300)를 상세히 설명하면, 참여1단계, 이벤트 정보를 수신한다(S310).
참여2단계, 참여1단계에서 수신된 이벤트에 참여할 것인지 조사한다(S320).
참여3단계, 참여2단계의 조사에서 이벤트에 참여할 경우, 이벤트에 참여한다(S330).
참여4단계, 참여 결과를 저장한다(S340). 이때, 촬영부를 통해 참여 장면을 동영상으로 촬영할 수 있으며, 촬영된 동영상은 UCC로 저장될 수 있다.
(적용예)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적용예를 설명한다. 본 적용예의 설명에 앞서, 연습 장치는 드럼 연주방이란 영업소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드럼 연주방에 방문하여 드럼 을 학습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특별히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사용자의 가정내에 연습 장치가 설치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제1단계, 사용자가 서비스 서버에 회원 가입을 하고 드럼 연주방을 방문한 뒤, 연습 장치를 통해 로그인한다. 연습 장치를 통한 로그인은 사용자에게 발급된 회원 카드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2단계,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의 수준에 맞는 교육 자료를 준비하여 연습 장치로 전송하고, 사용자는 연습 장치를 통해 드럼 연주를 학습한다.
제3단계, 사용자가 수행한 드럼 연주 학습 진도 내용은 DB에 저장되고, 이후 사용자가 연습 장치를 통해 다시 로그인 하면 저장된 진도를 호출하여 이어서 진도를 나가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최초 진도부터 새로 학습하거나 이전에 수행한 진도를 복습할 수도 있다.
제4단계,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드럼 연주 대회를 주최하는 이벤트를 생성한다.
제5단계, 서비스 서버에서 생성된 이벤트에 사용자가 참가를 원하면, 주최 시간에 맞춰 드럼 연주방의 연습 장치로 이동한다.
제6단계, 서비스 서버는 다수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특정 교육 자료를 연습 장치로 배포하고, 사용자들은 이를 연주한다. 한편, 이와 같은 연주는 반드시 동일한 시간에 이루어질 필요는 없다. 또한 사용자들의 연주 장면은 촬영부에 의해 촬영되고, 서비스 서버에 의해 인터넷망을 통해 UCC의 형태로 배포될 수 있다.
제7단계,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들의 연주 결과(정확도 등)를 수집하여 점수 를 측정하거나 순위를 부여하고, 시상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예에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첨부된 청구범위의 정신과 사상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육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2는 도1에서 서비스 서버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3은 도1에서 DB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4는 도1에서 연습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6은 도5에서 학습 단계의 세부 흐름도이다.
도7은 도5에서 참여 단계의 세부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교육 시스템 110: 서비스 서버
120: DB 130: 통신망
140,150,160: 연습 장치

Claims (14)

  1.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되며,
    연습 장치로 드럼 교육 자료를 전송하고, 연습 장치로부터 연습 결과를 수신하는 서비스 서버;
    드럼 교육 자료와 연습 결과를 저장하는 DB; 및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된 드럼 교육 자료를 재생하고, 연습 결과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연습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교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연습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부;
    상기 DB를 관리하는 DB 관리부; 및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교육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연습 장치에서 촬영된 UCC를 관리하는 UCC 관리부, 또는
    복수개의 연습 장치를 통해 동일한 교육 자료에 대한 학습 정확도를 비교하여 점수를 부여하는 이벤트 관리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교육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B는:
    상기 연습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저장 영역;
    상기 연습 장치를 통한 학습 진도 정보를 저장하는 학습 진도 정보 저장 영역; 및
    상기 연습 장치로 제공될 교육 자료를 저장하는 교육 자료 저장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교육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DB는:
    연습 장치에서 촬영된 UCC를 저장하는 UCC 저장 영역; 또는
    이벤트 관리부에서 부여된 점수, 사용된 교육 자료 및 참여자 정보를 저장하는 이벤트 정보 저장 영역;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교육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습 장치는: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교육 자료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
    전자 드럼;
    상기 전자 드럼의 동작에 따른 음향을 재생하는 음향부; 및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교육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습 장치는:
    상기 연습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 및 전자 드럼을 촬영하는 촬영부; 또는 사용자 정보와 학습 진도가 저장된 카드를 판독하는 카드 리더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교육 시스템.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교육 자료,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UCC 및 사용자의 학습 진도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교육 시스템.
  9.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된 서비스 서버, DB 및 연습 장치를 포함하는 드럼 교육 시스템을 통한 드럼 교육 방법으로서,
    상기 연습 장치가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학습 자료를 수신하고, 학습 자료에 따라 전자 드럼을 연습하는 학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교육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단계는:
    학습 진도를 호출할 것인지 조사하는 학습1단계;
    상기 학습1단계의 조사에서 학습 진도를 호출할 경우, 진도에 따른 교육 자료를 호출하는 학습2단계; 및
    호출된 교육 자료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전자 드럼을 조작하는 학습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교육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단계는:
    상기 학습1단계의 조사에서 학습 진도를 호출하지 않을 경우, 최초 교육 자료를 호출한 뒤 학습3단계로 이동하는 학습2-1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교육 방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단계는:
    학습 진도를 저장할 것인지 조사하는 학습4단계; 및
    상기 학습4단계의 조사에서 학습 진도를 저장할 경우, 학습 진도를 저장하는 학습5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교육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5단계는 촬영부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UCC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교육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장치가 서비스 서버에서 생성한 이벤트에 참여하는 참여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참여 단계는: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참여1단계;
    상기 참여1단계에서 수신된 이벤트에 참여할 것인지 조사하는 참여2단계; 및
    상기 참여2단계의 조사에서 이벤트에 참여할 경우, 이벤트에 참여하는 참여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교육 방법.
KR1020080070792A 2008-07-21 2008-07-21 드럼 교육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099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792A KR20100009949A (ko) 2008-07-21 2008-07-21 드럼 교육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792A KR20100009949A (ko) 2008-07-21 2008-07-21 드럼 교육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949A true KR20100009949A (ko) 2010-01-29

Family

ID=41818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0792A KR20100009949A (ko) 2008-07-21 2008-07-21 드럼 교육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99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56959A (zh) * 2014-08-22 2016-05-04 Cjcgv株式会社 在多投射放映环境下基于关于主内容的信息集成和重放子内容的设备和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56959A (zh) * 2014-08-22 2016-05-04 Cjcgv株式会社 在多投射放映环境下基于关于主内容的信息集成和重放子内容的设备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edelius et al. Communicating aims and learning goals in physical education: Part of a subject for learning?
Dandashi et al. Enhancing the cognitive and learning skill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rough physical activity and edutainment games
Harvey et al. A season long investigation into coaching behaviours as a function of practice state: The case of three collegiate coaches
Levac et al. Usual and virtual reality video game-based physiotherapy for children and youth with acquired brain injuries
Stonebridge et al. An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background and the coaching behaviours and practice activities of professional youth soccer coaches
Tsikinas et al. Designing effective serious games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lavnick A practical strategy for teaching a child with autism to attend to and imitate a portable video model
Dalwood et al. Preparing physiotherapy students for clinical placement: student perceptions of low-cost peer simulation. A mixed-methods study
Fanfarelli et al. Adapting UX to the design of healthcare games and applications
Kao et al. The study on designed gamified mobile learning model to assess students’ learning outcome of accounting education
Otundo et al. Effect of Situational Interest and Social Support on College Students' Physical Activity Motivation: A Mixed Methods Analysis
Shohieb et al. Dynamic difficulty adjustment technique-based mobile vocabulary learning game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Yuksel Experiences of prospectiv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on active gaming within the context of school-based physical activity
Elder et al. CyberEx internet-based group exercise for rural older adults: a pilot study
Löllgen et al. Avatar and distance simulation as a learning tool–virtual simulation technology as a facilitator or barrier? A questionnaire-based study on behalf of Netzwerk Kindersimulation eV
Ashtari et al. Winning Together: Using Game-Based Response Systems to Boost Perception of Learning.
Callary et al. Coach development and education for the Masters coach
Raza Teaching listening to EFL students
KR20100009949A (ko) 드럼 교육 시스템 및 방법
Williams et al. Training psychiatry residents in mentalization‐based therapy
Johnson The athlete's experience of being coached: an existential-phenomenological investigation
Chan et al. Understand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fundamental movement skills in the primary physical education setting: a qualitative study
Herliana et al. Development of Table Tennis Learning Media Based on Android Applications
Wiemeye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enhanced learning and training
KR20120088247A (ko) 훈련일지를 이용한 소리영어 학습방법 및 온라인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