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9150U - 장신구용 밴드 - Google Patents
장신구용 밴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09150U KR20100009150U KR2020090002697U KR20090002697U KR20100009150U KR 20100009150 U KR20100009150 U KR 20100009150U KR 2020090002697 U KR2020090002697 U KR 2020090002697U KR 20090002697 U KR20090002697 U KR 20090002697U KR 20100009150 U KR20100009150 U KR 20100009150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jewelry
- ornament
- present
- ornaments
- ban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84—Bracelets in the form of a ring, band or tube of rigid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4—Setting gems in jewellery; Setting-tool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팔찌, 목걸이, 반지, 귀걸이 등으로 주로 사용되는 장신구용 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부위에 착용하기 적합하도록 이어진 주장신구와 상기 주장신구에 부착된 보조장신구가 찰랑거리면서 생동감을 주어 장식성은 물론 장신구로서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본 고안은, 보석(J)을 가지는 단일 주장신구(10)들을 소정의 연결수단에 의해 반복적으로 연결 구성한 장신구에 있어서, 상기 주장신구 몸체(12)의 일측 또는 양측에 걸림부(19)를 가지는 유동구멍(18)을 형성하고, 상기 주장신구 몸체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구비되는 보조장신구(20)는 보조장신구 몸체(22)의 일측 고리(26)를 상기 걸림부에 끼워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장신구, 주장신구, 보조장신구, 유동구멍, 고리.
Description
본 고안은 팔찌, 목걸이, 반지, 귀걸이 등으로 주로 사용되는 장신구용 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부위에 착용하기 적합하도록 이어진 주장신구와 상기 주장신구에 부착된 보조장신구가 찰랑거리면서 생동감을 주어 장식성은 물론 장신구로서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장신구용 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신구는 팔찌, 목걸이, 반지, 귀걸이, 브럿치 등의 용도로 널러 사용되고, 금, 은 등의 귀금속으로 목, 팔목, 귀 등의 신체부위에 착용하여 장식하거나, 화려한 보석 등으로 미려하게 장식한 것이다.
상기의 장신구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는 체인형태의 연결고리로 서로 연결하는 체인형 장신구 또는, 볼형태의 연결줄로 서로 연결하여서 된 체인볼 등이 있다.
이러한 체인형 장신구는 체인으로 연결되어 신체부위에 착용하기 적절하지라도 시각적인 장식미는 제한되어 있어 장식적인 효과에 한계가 있으며, 소비자는 쉽 게 싫증을 느끼게 되고 사용하지 않고 보관해두거나 새로운 디자인의 다른 상품으로 교체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또는 체인형 장신구를 수리보수시에는 장신구의 길이조절 및 연결부위의 분리 및 재연결하는 등의 작업이 난해할 뿐만 아니라, 장신구의 전문가에 의해 별도로 의뢰해야하는 번거로움과, 장신구의 원형이 쉽게 손상되거나 파손될 우려가 높음으로 취급상 각별한 주의를 필요로 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비용이 상승하게 됨으로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장신구용 밴드를 구성하는 주장신구의 양측 보조장신구가 자연스럽게 움직이면서 찰랑거리는 생동감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 있다.
본 고안은 주장신구들이 자연스러운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서로 견고하게 연결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보석(J)을 가지는 단일 주장신구(10)들을 소정의 연결수단에 의해 반복적으로 연결 구성한 장신구에 있어서, 상기 주장신구 몸체(12)의 일측 또는 양측에 걸림부(19)를 가지는 유동구멍(18)을 형성하고, 상기 주장신구 몸체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구비되는 보조장신구(20)는 보조장신구 몸체(22)의 일측 고리(26)를 상기 걸림부에 끼워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를 제안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주장신구 몸체의 일측에 연결구멍(17)을 형성하고 타측부에는 연결부(14)를 절곡 형성하여, 상기 주장신구 몸체의 연결부를 다른 주장신구 몸체의 연결구멍에 끼운 후 내측으로 다시 절곡하여 연결된 구성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장신구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보조장신구가 자연스럽게 움직이면서 변화함에 따라 다양한 변화 및 연출효과를 가지게 되며, 동적인 생동감으로 시각적인 장식효과를 향상시키게 되는 장점이 있다. 물론 사용자는 장신구가 찰랑거리는 느낌이나 보석들이 움직임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빛을 반사시켜 미려함을 배가시키는 등 여러가지 장식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각 주장신구들이 소정의 연결수단에 의해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있어서, 장신구를 둥글게 말거나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연출할 수 있는 장점과, 장신구의 길이 즉, 주장신구의 연결 개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어서, 예컨대 팔찌, 목걸이 등과 같이 신체의 착용부위에 따라 주장신구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장신구가 착용부위로부터 너무 헐겁거나 과도하게 쪼이는 등 착용감의 불편함을 간편하게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본 고안은 장신구의 연결부위가 견고하게 이어져 있어서 쉽게 끊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가의 장신구를 분실하지 않도록 방지함은 물론 오래 도록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고안의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고안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장신구용 밴드의 구성을 부분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용 밴드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상기 도 3의 "B"-"B"선 단면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상기의 도면에 따른 본 고안의 장신구용 밴드는, 보석(J)을 가지는 단일 주장신구(10)들을 소정의 연결수단에 의해 반복적으로 연결 구성한 장신구에 있어서, 상기 주장신구 몸체(12)의 일측 또는 양측에 걸림부(19)를 가지는 유동구멍(18)을 형성하고, 상기 주장신구 몸체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구비되는 보조장신구(20)는 보조장신구 몸체(22)의 일측 고리(26)를 상기 걸림부에 끼워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장신구용 밴드를 다음과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장신구용 밴드(1)는 주장신구(10)와, 상기 주장신구 일측의 보조장신구(20)와, 보석(J)으로 단일 구성체를 이루며, 상기의 보조장신구를 가지는 주 장신구들은 소정의 연결수단에 의해 반복적으로 연결 구성된다.
상기 주장신구(10)의 몸체(12)는 중공의 링부재로 이루어지며, 상부 내측에는 안착부(11)를 형성고 보석(J)이 걸쳐지도록 하여 위로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보석은 안착부에 안정적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몸체 상단부의 일부분을 내측으로 오므린 고정턱(11a)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고정턱은 도면에서처럼 4개소로 형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주장신구 몸체의 일측에 연결구멍(17)을 형성하고 타측부에는 연결부(14)를 절곡 형성하여, 상기 주장신구 몸체의 연결부를 다른 주장신구 몸체의 연결구멍에 끼운 후 내측으로 다시 절곡하여 연결된 구성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장신구 몸체(12)는 주장신구 몸체를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일측에 연결부(14)를 돌출 형성하고 타측부에는 연결구멍(16)이 마련된다. 즉, 상기 주장신구의 일측 연결바를 다른 주장신구의 연결구멍으로 삽입한 후 이탈되지 않도록 절곡하여 고정함으로써 주장신구가 자연스럽게 유동하도록 반복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14)는 도 3을 참조하면, 하향 절곡되어 있어서 연결구멍(16)에 삽입한 후, 상향 절곡시키면 'ㅁ'형태의 연결부(14a)로 구부려져 완전히 결속되며, 이때 상기의 주장신구들이 적절하게 유동 가능하도록 간격을 주어 자연스러운 동작이 연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와 연결구멍의 하단부 및 내측부에 제1, 제2 요홈(15)과 삽입홈(15a,17a)을 형성하고 상기와 같이 절곡되는 연결부(14a)가 삽입되도록 함으 로써, 보다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연결부가 몸체 내·외측으로 불필요하게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장신구를 착용시 간섭되지 않도록 하며, 외관상 미려함을 부가한다.
상기 주장신구 몸체(12)의 일측 또는 양측 중간부에 걸림부(19)를 가지는 유동구멍(18)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장신구(20)는 주장신구 보다 다소 작고 오목한 몸체(22)의 내측으로 보석(J)이 삽입되며, 상부에는 일정간격의 절개홈(25)으로 분할된 다수개의 고정부(24)를 내측으로 오므려 보석이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상기 보조장신구(20)의 일측부에는 주장신구와 연결하는 고리(26)가 형성되며, 상기 고리(26)는 링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측이 몸체로부터 개통되어 있어서 상기의 도 4에서처럼, 유동구멍(18)으로 삽입하여 걸림부(19)에 걸친 후 몸체 쪽으로 구부려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고리의 단부는 고리홈(27)에 삽입하여 임의대로 분리되지 않도록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보석(J)은 다이아몬드, 비취, 에메랄드, 사파이어, 루비, 큐빅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장신용 보석(寶石)을 포함한다. 상기 도면의 미설명부호 28번은 '통공'이다.
이처럼, 본 고안의 장신구용 밴드는 팔찌, 목걸이, 반지용으로 매우 적합하고 귀걸이, 브럿치 등과 같은 장신구로서의 용도로도 매우 유용하며, 상기와 같은 장신구의 용도에 따라 자연스럽게 움직이면서 변화됨으로 다양한 연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착용감이 뛰어나고 미려함을 준다. 특히, 상기 보조장신구는 신체부위의 착용위치에 따라 자중에 의해 가지런하게 늘어짐으로 시각적인 장식효과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주장신구와 함께 자연스럽게 찰랑거리면서 착용감은 물론 생동감을 주어 장신구로서의 미려함을 배가시키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장신구용 밴드를 팔찌로 구현한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장신구용 밴드(1)는 상기 도 5에서처럼, 팔찌(1a)로 구현 가능한데 이는 상기 주장신구를 다수개로 연결하고 양단부에 파스너(100a,100b: Fastener)를 구비하여 팔목에 감아 착용할 수 있는 팔찌의 용도로 적합하게 된다. 물론 상기 장신구(1)의 길이를 조절하여 목걸이, 반지 등의 다양한 장신구로서의 용도로 적절하게 디자인할 수도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들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당업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설명하려는 것이며, 치환, 변경, 개량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장신구용 밴드의 구성을 부분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용 밴드의 평면도.
도 3은 상기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상기의 도 3의 "B"-"B"선 단면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장신구용 밴드를 팔찌로 구현한 사용상태도.
Claims (2)
- 보석(J)을 가지는 단일 주장신구(10)들을 소정의 연결수단에 의해 반복적으로 연결 구성한 장신구에 있어서,상기 주장신구 몸체(12)의 일측 또는 양측에 걸림부(19)를 가지는 유동구멍(18)을 형성하고, 상기 주장신구 몸체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구비되는 보조장신구(20)는 보조장신구 몸체(22)의 일측 고리(26)를 상기 걸림부에 끼워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밴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상기 주장신구 몸체의 일측에 연결구멍(17)을 형성하고 타측부에는 연결부(14)를 절곡 형성하여, 상기 주장신구 몸체의 연결부를 다른 주장신구 몸체의 연결구멍에 끼운 후 내측으로 다시 절곡하여 연결된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밴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2697U KR20100009150U (ko) | 2009-03-10 | 2009-03-10 | 장신구용 밴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2697U KR20100009150U (ko) | 2009-03-10 | 2009-03-10 | 장신구용 밴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9150U true KR20100009150U (ko) | 2010-09-20 |
Family
ID=49294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02697U KR20100009150U (ko) | 2009-03-10 | 2009-03-10 | 장신구용 밴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09150U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6048Y1 (ko) * | 2014-02-18 | 2015-01-22 | 백효정 | 유동형 보석이 구비된 묵주반지 |
-
2009
- 2009-03-10 KR KR2020090002697U patent/KR20100009150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6048Y1 (ko) * | 2014-02-18 | 2015-01-22 | 백효정 | 유동형 보석이 구비된 묵주반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479536B2 (en) | Jewelry method and system | |
USD556620S1 (en) | Item of jewelry for use as a pendant, earring, ring, brooch, bracelet, hair pin, cuff link or tiepin | |
US8763357B1 (en) | Interchangeable jewelry method using individual beaded links | |
US20180317618A1 (en) | Ornament with sliding movable article | |
JP2006522667A (ja) | 磁気的に引き付け可能な宝飾品用構成部品 | |
US10016028B2 (en) | Substantially annular-shaped accessory | |
US20150027166A1 (en) | Interchangeable Jewelry Assembly | |
US6006547A (en) | Jewelry assembly with dropped stone | |
US11109653B2 (en) | Jewelry ornament with clasp mechanism | |
JP2002282020A (ja) | 装身具用ペンダント | |
US6014871A (en) | Jewelry system | |
KR200418686Y1 (ko) | 귀고리 | |
KR200474073Y1 (ko) | 장식체의 교체 및 위치 조절이 용이한 장신구. | |
US6055802A (en) | Fishhook jewelry | |
JP3177051U (ja) | チェーンを利用したアクセサリーカップリング | |
KR20100009150U (ko) | 장신구용 밴드 | |
US6415483B1 (en) | Jewelry clasp | |
JP2018505011A (ja) | パームブレスレット | |
KR101241052B1 (ko) | 팔찌 겸용 목걸이 | |
US20200154836A1 (en) | Apparatus used with a stud earring | |
US20110120187A1 (en) | Jewelry Kit, Articles of Jewelry, and Associated Devices and Methods Thereof | |
JP3109530U (ja) | 頭飾品 | |
KR100760470B1 (ko) | 팔찌, 등찌 및 반지가 일체화된 장신구 | |
US20240225213A1 (en) | Jewelry chain with movable alphanumeric character links | |
KR200494237Y1 (ko) | 탄성이 있는 장신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