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9137A -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서 채널의 전력 차 적용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서 채널의 전력 차 적용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9137A
KR20100009137A KR1020080069868A KR20080069868A KR20100009137A KR 20100009137 A KR20100009137 A KR 20100009137A KR 1020080069868 A KR1020080069868 A KR 1020080069868A KR 20080069868 A KR20080069868 A KR 20080069868A KR 20100009137 A KR20100009137 A KR 20100009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power
received
cells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9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준상
여수복
강신우
김헌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9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9137A/ko
Publication of KR20100009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1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7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04B1/711Interference-related aspects the interference being multi-path interference
    • H04B1/7115Constructive combining of multi-path signals, i.e. RAK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서 채널의 전력 차 적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각 셀별로 수신된 신호에 셀간 채널의 전력차를 고려하여 가중치를 적용하는 전력차 보상기와, 상기 가중치가 적용된 셀별 수신신호를 결합하는 결합기와, 상기 결합된 수신신호를 셀간 지연 시간만큼 저장하는 버퍼와, 상기 버퍼로부터의 수신신호를 복호하는 채널 디코더를 포함하여 물리채널 S-CCPCH에 대한 셀간 전력 차를 보상하여 각 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결합함으로써, 종래보다 높은 수신 성능을 얻을 수 있다.
MBMS,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S-CCPCH, 결합(combining) 방식, 파워 오프셋

Description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서 채널의 전력 차 적용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THE CHANNEL POWER OFFSET IN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YSTEM}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서 채널의 전력 차 적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시스템에서 셀간 채널 전력 차이를 고려하여 각 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결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광대역(Wide-band) 부호분할 다중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종래의 음성 서비스뿐만 아니라,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패킷 서비스 통신과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전송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방송/통신으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상기 멀티미디어 방송/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하나 혹은 다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소스에서 다수의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멀티미디어 방 송 서비스(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이하 'MBMS'라 칭함)가 논의되고 있다. 상기 MBMS는 실시간 영상 및 음성, 정지 영상, 문자 등 멀티미디어 전송 형태를 지원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전송형태에 따라 음성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로서, 대량의 전송 자원을 요구한다.
도 1은 MBMS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MBMS 시스템을 살펴보면, 무선망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이하 'RNC'라 칭함)(100)는 상기 다수의 셀들을 제어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특정 셀로 선별적으로 전송하고, MBMS 제공을 위해 설정된 무선 채널을 제어한다. 그리고, 셀 1의 기지국(Node B Cell 1)(110)과 셀 2의 기지국(Node B Cell 2)(112), 셀 3의 기지국(Nmnode B Cell 3)(114)은 가입자들에게 MBMS 관련 데이터를 무선채널을 통해 상기 UE(User Eqipment; 이하 '사용자 단말'이라 칭함)들(120, 122, 124, 126, 128)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RNC(100)와 사용자 단말들(120, 122, 124, 126, 128) 사이의 접속은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이하 'RRC'라 칭함.) 인터페이스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MBMS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들이 위치하고 있는 다수의 셀들로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여야 하므로, 각 셀별로 사용자들의 수에 따라 일대일(Point to Point) 또는 일대다(Point to Multiple) 접속이 이루어진다.
종래에는 상기 각 셀들로 전달된 MBMS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들로 성공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여러 MBMS 전용 논리 채널들이 정의되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단말이 MBMS를 성공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각 셀에서 제공되는 MBMS관 련 서비스의 종류와 채널 정보, 그리고 인접한 셀에서의 MBMS 전송 정보 등을 포함하는 MCCH(MBMS Control Channel)와, 실제 MBMS 데이터가 실리는 논리 채널인 또한 MTCH(MBMS Traffic Channel)가 정의되었다. 이때, 상기 MCCH와 MTCH는 PtM으로 전송될 경우 각각 전송 채널(transport channel)의 일종인 FACH(Forward Access Channel)에 매핑되고, 상기 FACH는 다시 S-CCPCH (secondary 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에 매핑되어 물리적으로 전송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MBMS 시스템은 기존 WCDMA 시스템 위에서 구현하고자 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제약사항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상기 MBMS는 방송의 특성상 여러 사용자에게 동일한 정보를 전송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 각자에게 할당된 전용 채널을 사용하지 못하고 공통 채널인 상기 S-CCPCH를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통 채널의 특성으로 인해 사용자 각각에 대한 전력 제어를 수행하지 못하여 특정 사용자 단말은 좋은 채널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나, 셀 가장자리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좋은 채널을 받을 수 없게 된다. 즉, 종래의 MBMS 시스템에서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을 고려하지 않고 동일한 송신전력으로 MBMS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단말이 상기 MBMS 신호를 제대로 수신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서 채널의 전력 차를 이용하여 수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시스템에서 셀간 채널 전력 차이를 고려하여 각 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결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MBMS 시스템에서 상위 시그널링의 추가 없이 물리채널 S-CCPCH의 셀간 전력 차를 보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서 채널의 전력 차 적용 장치는, 각 셀별로 수신된 신호에 셀간 채널의 전력차를 고려하여 가중치를 적용하는 전력차 보상기와, 상기 가중치가 적용된 셀별 수신신호를 결합하는 결합기와, 상기 결합된 수신신호를 셀간 지연 시간만큼 저장하는 버퍼와, 상기 버퍼로부터의 수신신호를 복호하는 채널 디코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서 채널의 전력 차 적용 방법은, 각 셀별로 수신된 신호에 셀 간 채널의 전력차를 고려하여 가중치를 적용하는 과정과, 상기 가중치가 적용된 셀별 수신신호를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결합된 수신신호를 셀간 지연 시간만큼 저장한 후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버퍼로부터의 수신신호를 복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시스템에서 물리채널 S-CCPCH에 대한 셀간 전력 차를 보상하여 각 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결합함으로써, 종래보다 높은 수신 성능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시스템에서 물리채널 S-CCPCH에 대한 셀간 전력차를 보상하여 각 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결합하는 기술에 관해 설명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각 셀로부터 수신되는 S-CCPCH에 대한 결합 방식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결합 방식은 단말이 여러 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물리계층에서 결합하는 소프트 결합(soft combining) 방식과 무선링크제어(Radio Link Control) 계층에서 결합하는 선택적 결합(selective combining) 방식이 있다. 상기 소프트 결합 방식을 위해서는 결합할 각 셀의 S-CCPCH의 슬롯 포맷(slot format)이 동일해야 하며 포함하고 있는 전송 데이터 역시 동일해야 한다. 또한 지원해야 하는 셀 간의 최대 지연은 1TTI + 1slot 으로, 최대 TTI를 80ms라고 했을 경우 최대 지연은 80.67ms가 되기에 이를 지원할 수 있는 버퍼가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선택적 결합 방식은 물리 계층에서 각각의 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모두 디코딩하여 상위 계층으로 보내고, 상기 무선 링크 제어 계층에서 오류 없이 올라온 데이터들을 결합하는 방식으로서, N 개의 셀로부터 수신된 S-CCPCH를 복조해야 할 경우, MBMS를 위해서만 N 개의 CCTrCH 경로(path)가 필요하다.
그러면, 하기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소프트 결합 방식과 선택적 결합 방식을 수행하는 단말의 블록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는, 세 개의 셀로부터 수신되는 S-CCPCH를 복조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BMS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은 제 1, 2 및 3 심볼 결합기(Symbol combiner)(201, 211, 221), 제 1, 2 및 3 송신 다이버시티 복호기(Tx diversity decoder)(203, 213, 223), 가산기(Adder)(205), 제 1 및 제 2 다중화기(multiplexor)(215, 225), 제 1, 2 및 3 비트 선택기(Bit selector)(207, 217, 227), 소프트 결합기(soft combiner)(209), 채널 복호기(channel Decoder)(2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2 및 3 심볼 결합기(201, 211, 221)는 각각이 하나의 셀로부터 수신되는 다중 경로(multi path) 신호들을 제공받아 상기 다중 경로 신호의 심볼들을 결합한 후, 상기 제 1, 2 및 3 송신 다이버시티 복호기(203, 213, 223)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 1, 2 및 3 심볼 결합기(201, 211, 221)는 핑거(finger) 블록으로부터 셀별로 수신된 다중 경로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제 1, 2 및 3 송신 다이버시티 복호기(203, 213, 223)는 입력되는 신호에 대해 다이버시티 복호를 수행한 후 출력한다. 이때 출력되는 신호는 MBMS의 결합 방식에 따라 상기 가산기(205)를 통해 소프트 결합기(209)로 제공되거나 상기 가산기(205)를 바이패스하여 채널 복호기(219)로 제공된다.
상기 가산기(205)는 소프트 결합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SOFT_COMB_EN)에 따라 상기 제 1 심볼 결합기(201)로부터 제공되는 특정 셀의 수신 신호를 바이패스시켜 상기 제 1 비트 선택기(207)로 제공하거나, 상기 제 1, 2 및 3 심볼 결합기(201, 211, 221)로부터 제공되는 각 셀별 수신 신호를 결합하여 제 1 비트 선택기(207)로 제공한다. 즉, 상기 제 1 비트 선택기(207)는 소프트 결합 방식을 알리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 1, 2 및 3 심볼 결합기(201, 211, 221)로부터 제공되는 각 셀별 수신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제 1 비트 선택기(207)로 제공하고, 선 택적 결합 방식을 알리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 1 심볼 결합기(201)로부터 제공되는 특정 셀의 수신 신호를 바이패스시켜 상기 제 1 비트 선택기(207)로 제공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다중화기(215, 225)는 상기 선택적 결합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SOFT_COMB_EN)에 따라 상기 제 2 및 제 3 심볼 결합기(211)로부터 제공되는 셀의 수신 신호를 상기 가산기(205)로 제공하거나 상기 제 2 및 제 3 비트 선택기(217, 227)로 제공한다. 즉, 상기 제 1 및 제 2 다중화기(215, 225)는 상기 소프트 결합 방식을 알리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 2 및 제 3 심볼 결합기(211)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상기 가산기(205)로 제공하고, 상기 선택적 결합 방식을 알리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 2 및 제 3 심볼 결합기(211)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상기 제 2 및 제 3 비트 선택기(217, 227)로 제공한다.
상기 제 1, 2 및 3 비트 선택기(207, 217, 227)는 소정 개수의 비트만을 선택하여 상기 소프트 결합기(209) 혹은 채널 복호기(219)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비트 선택기(207)는 상기 MBMS의 동작 방식에 따라 소프트 결합 방식으로 동작할 경우 상기 가산기(205)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상기 소프트 결합기(209)로 제공하며, 선택적 결합 방식으로 동작할 경우, 상기 가산기(205)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상기 채널 복호기(219)로 제공한다. 반면, 상기 제 2 및 3 비트 선택기(217, 227)는 상기 선택적 결합 방식으로 동작할 경우에만 상기 제 1 및 제 2 다중화기(215, 225)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채널 복호기(219)로 제공한다.
상기 소프트 결합기(209)는 셀 간의 지연을 보장하기 위한 버퍼로서, 상기 소프트 결합 방식으로 동작할 시에 상기 제 1 비트 선택기(207)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소정 시간 동안 지연시킨 후 상기 채널 복호기(219)로 출력한다. 이때, 셀 간의 최대 지연은 1TTI + 1slot 으로, 상기 소프트 결합기(209)는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1TTI + 1slot 구간 동안 저장한 후, 상기 채널 복호기(219)로 출력한다.
상기 채널 복호기(219)는 상기 소프트 결합기(209) 혹은 상기 제 1, 제 2, 제 3 비트 선택기(207, 217, 227)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채널 복호하여 출력한다.
즉, 상기 도 2를 살펴보면, 상기 소프트 결합 방식의 경우에는 각 셀로부터 수신된 다중 경로 신호가 상기 가산기(205)에서 결합된 후, 소프트 결합기(209)에 소정 시간 동안 저장되어 상기 채널 복호기(219)로 전달되는 반면, 상기 선택적 결합 방식의 경우에는 각 셀로부터 수신되는 다중 경로 신호가 셀별로 독립적인 경로를 가지고 채널 복호기(219)로 전송되어 독립적으로 복호된다.
상기와 같은 MBMS 데이터 흐름 중에서 소프트 결합 방식과 같이 물리 계층에서 직접 여러 셀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결합하는 경우 각 셀마다의 채널 전력 크기가 결합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즉, 낮은 전력을 갖는 채널보다는 높은 전력을 갖는 채널에 가중치를 두어 각 채널을 결합시키는 것이 성능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하지만 상기 물리 채널인 S-CCPCH에서 MBMS용으로 사용되는 슬롯 형태에는 파일롯(pilot) 영역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채널 전력을 추정하기가 어렵다. 또한, 파일롯 채널인 P-CPICH(Primary Common Pilot Channel)와 S-CCPCH의 전력차는 상이하기 때문에 상기 P-CPICH를 통해 추정된 셀의 전력 크기를 이용하여 셀간 S-CCPCH의 전력차를 보상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자원제어 시그널링(RRC signaling)을 통해 수신되는 인접 셀의 MBMS S-CCPCH 전력차 정보를 이용하여 셀간 S-CCPCH 전력차를 보상하는 기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하기 표 1은 각 셀에서 RRC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되는 정보를 나타낸다.
Element/Group name Need Multi Type and refernece Semantics description Version
Neighbouring cell’s S-CCPCH list MP 1 to <maxSCCPCH> REL-6
>CHOICE PhyCh MP REL-7
>>By reference REL-7
>>>Secondary CCPCH info MP MBMS Common PhyCh identity 10.3.9a.2 S-CCPCH configuration used in neighbouring cell. Refers to a configuration in the common RB info of the current cell REL-6
>>Extended FDD only REL-7
>>>Secondary CCPCH info OP MBMS Common PhyCh identity 10.3.9a.2 Referenced S-CCPCH configuration used in neighbouring cell. Refers to a configuration in the common RB info of the current cell REL-7
>>>Secondary CCPCH info MBMS Diff MP Secondary CCPCH info MBMS Diff 10.3.6.71b Differential S-CCPCH configuration. Physical configuration parameters in this IE replace the corresponding parameters in the referenced S-CCPCH configuration. If the referenced S-CCPCH configuration is absent, the full set of parameters is needed. REL-7
> Secondary CCPCH Power Offset Difference MP Integer (-6, -3, 3, 6) Difference (Pn - Of) between the S-CCPCH power offset (Pn) of the neighboring cell S-CCPCH and the S-CCPCH power offset (Of) of the serving cell that is going to be combined to this neighbour cell S-CCPCH, in dB. Default value is 0. Note 3 and 4. REL-6
NOTE 3: For FDD, an S-CCPCH power offset is defined as the offset between the transmitted power of the data part of one S-CCPCH and the transmitted power of the P-CPICH of a given cell (Ps-ccpch - Pp-cpich). For TDD, an S-CCPCH power offset is defined as the offset between one S-CCPCH and the P-CCPCH of a given cell (Ps-ccpch - Pp-ccpch).
NOTE 4: The Secondary CCPCH Power Offset Difference IE gives the UE an indication of the S-CCPCH power on the neighbouring cells that may be used to complete the neighbouring cell ranking based on P-CPICH power for FDD or P-CCPCH for TDD.
상기 "NOTE 4"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S-CCPCH power offset difference IE는 각 셀에서의 P-CPICH와 S-CCPCH의 전력차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셀간 S-CCPCH의 전력차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특히, 상기 S-CCPCH power offset difference IE는 단말에서 측정된 P-CPICH의 전력을 바탕으로 결합에 참여시킬 셀의 순위를 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셀간 S-CCPCH의 전력차를 이용하여 단말이 채널 전력을 추정 및 계산하고, 계산된 값을 통해 각 채널의 이득을 조절하여 성능 이득을 얻기 위한 기술을 제공한다.
상기 표 1에서 S-CCPCH power offset difference IE는 상기한 바와 같이 그 자체로 셀간 S-CCPCH의 전력차를 나타낸다. 즉, 상기 S-CCPCH power offset difference IE는 인접 셀의 S-CCPCH 전력 차 값에서 서빙 셀의 S-CCPCH 전력 차 값을 차감한 것이기 때문에 전달되는 파라미터 값이 음수인 경우에는 인접 셀의 채널 전력 값이 작다는 의미이며 양수인 경우에는 인접 셀의 채널 전력 값이 크다는 의미이다. 이때 상기 S-CCPCH power offset difference IE로 전달되는 파라미터는 -6, -3, 3, 6의 값만을 갖게 되고, 상기 S-CCPCH power offset difference IE에 아무런 정보가 없을 경우에는 0dB로 서빙 셀과 인접 셀 간의 전력 차가 없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이는 각 셀에서의 P-CPICH 전력을 dB 단위로 일정하다고 가정한 경우이다.
그러면, 하기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S-CCPCH power offset difference IE를 이용하여 셀간 S-CCPCH의 전력차를 보상하여 각 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결합을 수행하는 단말의 블록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MBMS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은 제 1, 2 및 3 심볼 결합기(Symbol combiner)(301, 311, 321), 제 1, 2 및 3 송신 다이버시티 복호기(Tx diversity decoder)(303, 313, 323), 가산기(Adder)(307), 제 1, 2 및 3 채널 전력차 보상기(305, 315, 325), 제 1 및 제 2 다중화기(multiplexor)(317, 327), 제 1, 2 및 3 비트 선택기(Bit selector)(309, 319, 327), 소프트 결합기(soft combiner)(331), 채널 복호기(channel Decoder)(3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2 및 3 심볼 결합기(301, 311, 321)는 각각이 하나의 셀로부터 수신되는 다중 경로(multi path) 신호들을 제공받아 상기 다중 경로 신호의 심볼들을 결합한 후, 상기 제 1, 2 및 3 송신 다이버시티 복호기(303, 313, 323)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 1, 2 및 3 심볼 결합기(301, 311, 321)는 핑거(finger) 블록으로부터 셀별로 수신된 다중 경로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제 1, 2 및 3 송신 다이버시티 복호기(303, 313, 323)는 입력되는 신호에 대해 다이버시티 복호를 수행한 후 상기 제 1, 2 및 3 채널 전력차 보상기(305, 315, 325)로 출력한다.
제 1, 2 및 3 채널 전력차 보상기(305, 315, 325)는 상기 RRC 시그널링을 통해 해당 셀로부터 수신된 S-CCPCH power offset difference IE에 따라 해당 셀의 전력차에 가중치를 두어 셀 간의 전력차를 보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가중치는 인접 셀로부터 수신된 S-CCPCH power offset difference IE의 값이 -6dB인 경우, 상기 인접 셀의 전력 값이 서빙 셀의 전력 값보다 4배 적게 반영되도록 설정되고, -3dB인 경우에는 상기 인접 셀의 전력 값이 상기 서빙 셀의 전력 값보다 2배 적게 반영되도록 설정된다. 반대로 6dB인 경우 상기 인접 셀의 전력 값이 서빙 셀의 전력 값보다 4배 크게 반영되도록 되고, 3dB인 경우에는 상기 인접 셀의 전력 값이 서빙 셀의 전력 값보다 2배 크게 반영되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S-CCPCH power offset difference IE 값이 6인 경우 상기 가중치는 2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CCPCH power offset difference IE 값이 3인 경우
Figure 112008051650492-PAT00001
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2 및 3 채널 전력차 보상기(305, 315, 325)에서 출력되는 각 셀별 신호는 MBMS의 결합 방식에 따라 상기 가산기(307)를 통해 소프트 결합기(331)로 제공되거나 상기 가산기(307)를 바이패스하여 채널 복호기(331)로 제공된다.
상기 가산기(307)는 소프트 결합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SOFT_COMB_EN)에 따라 상기 제 1 채널 전력차 보상기(305)에서 보상된 특정 셀의 수신 신호를 바이패스시켜 상기 제 1 비트 선택기(309)로 제공하거나, 상기 제 1, 2 및 3 채널 전력차 보상기(305, 315, 325)에서 보상된 각 셀별 수신 신호를 결합하여 제 1 비트 선택기(309)로 제공한다. 즉, 상기 제 1 비트 선택기(309)는 소프트 결합 방식을 알리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 1, 2 및 3 채널 전력차 보상기(305, 315, 325)에서 보상된 각 셀별 수신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제 1 비트 선택기(309)로 제공하고, 선택적 결합 방식을 알리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 1 채널 전력차 보상기(305)에서 보상된 특정 셀의 수신 신호를 바이패스시켜 상기 제 1 비트 선택기(309)로 제공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다중화기(317, 327)는 상기 선택적 결합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SOFT_COMB_EN)에 따라 상기 2 및 3 채널 전력차 보상기(315, 325)에서 보상된 셀별 수신 신호를 상기 가산기(307)로 제공하거나 상기 제 2 및 제 3 비트 선택기(319, 329)로 제공한다. 즉, 상기 제 1 및 제 2 다중화기(315, 325)는 상기 소프트 결합 방식을 알리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상기 2 및 3 채널 전력차 보상기(315, 325)에서 보상된 신호를 상기 가산기(307)로 제공하고, 상기 선택적 결합 방식을 알리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2 및 3 채널 전력차 보상기(315, 325)에서 보상된 신호를 상기 제 2 및 제 3 비트 선택기(319, 329)로 제공한다.
상기 제 1, 2 및 3 비트 선택기(309, 319, 329)는 입력되는 신호의 비트열에서 소정 개수의 비트만을 선택하여 상기 소프트 결합기(331) 혹은 채널 복호기(333)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비트 선택기(309)는 상기 MBMS의 동작 방식에 따라 소프트 결합 방식으로 동작할 경우 상기 가산기(307)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상기 소프트 결합기(331)로 제공하며, 선택적 결합 방식으로 동작할 경우, 상기 가산기(307)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상기 채널 복호기(333)로 제공한다. 반면, 상기 제 2 및 3 비트 선택기(319, 329)는 상기 선택적 결합 방식으로 동작할 경우에만 상기 제 1 및 제 2 다중화기(317, 327)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채널 복호기(333)로 제공한다.
상기 소프트 결합기(331)는 셀 간의 지연을 보장하기 위한 버퍼로서, 상기 소프트 결합 방식으로 동작할 시에 상기 제 1 비트 선택기(309)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소정 시간 동안 지연시킨 후 상기 채널 복호기(333)로 출력한다. 이때, 셀 간의 최대 지연은 1TTI + 1slot 으로, 상기 소프트 결합기(331)는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1TTI + 1slot 구간 동안 저장한 후, 상기 채널 복호기(333)로 출력한다.
상기 채널 복호기(333)는 상기 소프트 결합기(331) 혹은 상기 제 1, 제 2, 제 3 비트 선택기(309, 319, 329)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채널 복호하여 출력한다.
즉, 상기 도 3을 살펴보면, 각 셀로부터 수신되는 다중 경로 신호는 각 셀의 S-CCPCH의 전력에 따라 보상되어 소프트 결합 방식에 의해 결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BMS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단말은 401단계에서 MBMS 방송 서비스 시작 이벤트가 발생되면, 403단계로 진행하여 각 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전력을 파일롯 채널인 P-CPICH를 통해 측정한 후 각 셀의 전력 크기에 대한 순위를 계산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405단계에서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RRC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되는 정보에서 셀간 S-CCPCH의 파워 오프셋 차이를 획득하고, 407단계에서 상기 측정된 각 셀의 전력 크기에 대한 순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접 셀들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여 MBMS 수신을 위한 소정 수의 셀을 선택한 후, 4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된 소정 수의 셀들을 레이크 수신기의 핑거에 각각 할당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411단계에서 상기 RRC 시그널링을 통해 획득한 셀간 S-CCPCH의 파워 오프셋 차이를 바탕으로 상기 선택된 셀들을 결합하기 위한 가중치를 설정한다. 즉, 높은 전력을 갖는 셀이 낮은 전력을 갖는 셀보다 높은 비중을 갖고 각 셀별 신호들이 결합되도록 각 셀에 대한 가중치를 설정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413단계에서 상기 설정된 가중치를 이용하여 각 셀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소프트 결합을 수행한 후, 415단계로 진행하여 MBMS 방송 수신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달한 후,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BMS 시스템의 성능 그래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는 서로 다른 상기 두 셀의 P-CPICH 전력(Ec/Ior)을 동일하게 하고, 상기 두 셀간 S-CCPCH의 파워 오프셋이 각각 3dB인 경우(a)와 6dB인 경우(a)에 채널 전력차를 보상하는 보상기의 적용 여부에 따른 성능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빙 셀과 인접 셀간의 파워 차이가 크지 않을 시에는 상기 보상기를 적용하는 경우와 적용하지 않는 경우의 성능 차이가 크지 않으나, 상기 서빙 셀과 인접 셀간의 파워 차이가 클 시에는 상기 보상기를 적용하는 경우가 적용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서 높은 성능 이득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MBMS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BMS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MBMS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BMS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BMS 시스템의 성능 그래프를 도시하는 도면.

Claims (8)

  1.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서 채널의 전력 차 적용 장치에 있어서,
    각 셀별로 수신된 신호에 셀간 채널의 전력차를 고려하여 가중치를 적용하는 전력차 보상기와,
    상기 가중치가 적용된 셀별 수신신호를 결합하는 결합기와,
    상기 결합된 수신신호를 셀간 지연 시간만큼 저장하는 버퍼와,
    상기 버퍼로부터의 수신신호를 복호하는 채널 디코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무선자원제어 시그널링(RRC signaling)을 통해 수신되는 셀간 S-CCPCH의 전력차 정보를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 보상기는,
    상기 셀간 전력차가 음수인 경우, 해당 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전력이 서 빙 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전력보다 적은 비율로 결합되도록 하는 가중치를 적용하고, 상기 셀간 전력차가 양수인 경우, 해당 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전력이 서빙 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전력보다 큰 비율로 결합되도록 하는 가중치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셀별로 수신되는 다중 경로 신호를 결합하여 출력하는 복수의 심볼 결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서 채널의 전력 차 적용 방법에 있어서,
    각 셀별로 수신된 신호에 셀간 채널의 전력차를 고려하여 가중치를 적용하는 과정과,
    상기 가중치가 적용된 셀별 수신신호를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결합된 수신신호를 셀간 지연 시간만큼 저장한 후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버퍼로부터의 수신신호를 복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무선자원제어 시그널링(RRC signaling)을 통해 수신되는 셀간 S-CCPCH의 전력차 정보를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상기 셀간 전력차가 음수인 경우, 해당 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전력이 서빙 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전력보다 적은 비율로 결합되도록 하는 가중치를 적용하고, 상기 셀간 전력차가 양수인 경우, 해당 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전력이 서빙 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전력보다 큰 비율로 결합되도록 하는 가중치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각 셀별로 수신된 신호는,
    상기 각 셀별로 수신되는 다중 경로 신호를 셀별로 결합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80069868A 2008-07-18 2008-07-18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서 채널의 전력 차 적용방법 및 장치 KR201000091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868A KR20100009137A (ko) 2008-07-18 2008-07-18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서 채널의 전력 차 적용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868A KR20100009137A (ko) 2008-07-18 2008-07-18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서 채널의 전력 차 적용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137A true KR20100009137A (ko) 2010-01-27

Family

ID=41817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9868A KR20100009137A (ko) 2008-07-18 2008-07-18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서 채널의 전력 차 적용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913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9985C2 (ru) Терминал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и система радиосвязи
CN101156397B (zh) 广播和多播通信环境下的小区选择方法和装置
CN100477817C (zh) 用于为组播内容提供选择分集的系统和方法
US9137779B2 (en) Dedicated carrier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and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transmission method
US20060083191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 cation method
CN101034921B (zh) 一种多媒体广播和组播业务传输的方法、网络及装置
US7835329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station, and radio control device
JP201250666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ブロードキャスティング通信
EP2101510B1 (en) A method,system and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broadcast services data over a single frequency network
KR20090032184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일 주파수 망 방송 서비스 수행 장치및 방법
KR20100118515A (ko) Mbms 서비스 지원을 위한 제어 시스템
EP2001252A1 (en) Wireless network for a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US80502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configuration mode of service carrier frequency time slots
US8730888B2 (en) Handling discontinuous transmission indication bits
KR20100009137A (ko)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서 채널의 전력 차 적용방법 및 장치
RU2328825C1 (ru) Терминал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и система радиосвязи
KR20060082378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데이터의 컴바이닝 방법 및 장치
Raschellà et al. SINR-Based transport channel selection for mbms applications
Xu Chinese cellular telecommunications in the past and the 21st century
EP2247000A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terminal for receiving data of a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JP2014239503A (ja) マルチキャステイング・コンテントのための選択ダイバーシチを提供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0226748A (ja) マルチキャステイング・コンテントのための選択ダイバーシチを提供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