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6424A - 이동통신 중계기의 트래픽 감시 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통신 중계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중계기의 트래픽 감시 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통신 중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6424A
KR20100006424A KR1020080066644A KR20080066644A KR20100006424A KR 20100006424 A KR20100006424 A KR 20100006424A KR 1020080066644 A KR1020080066644 A KR 1020080066644A KR 20080066644 A KR20080066644 A KR 20080066644A KR 20100006424 A KR20100006424 A KR 20100006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repeater
information
mode
ac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6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4989B1 (ko
Inventor
이명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066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4989B1/ko
Publication of KR20100006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4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4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42Selecting at relay station its transmit and receive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40Monitoring; Testing of relay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중계기의 트래픽 감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중계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에서 모드 전환을 이용하여 트래픽을 감시하는 방법은 단말의 트래픽 신호 유입에 따라 슬립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트래픽 신호 중단에 따라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모드 전환 정보를 토대로 트래픽 발생 현황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중계기, 트래픽 감시 서버, 트래픽 정보, 트래픽 발생 현황, 슬립 모드, 활성화 모드

Description

이동통신 중계기의 트래픽 감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중계기{METHOD FOR MONITORING TRAFFIC OF WIRELESS REPEATER AND WIRELESS REPEATER THEREFOR}
본 발명은 이동통신 중계기의 트래픽을 감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중계기의 활성화 주기에 기초하여 그 중계기 트래픽을 감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중계기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단말이 널리 보급되고 이동통신시스템의 발전으로 인하여, 사용자들은 이동 중에 타 사용자와 통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은 무선통신단말을 이용하여 증권, 날씨, 노래방, 메신저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다.
이런 무선통신단말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최상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사업자들은 음영지역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한다. 여기서 음영 지역은 기지국과 무선통신단말 간의 전파통로가 단절된 지역을 의미하며, 상기 음영지역에 기지국 또는 중계기가 추가 설치됨으로써 전파단절이 해소될 수 있다.
그런데 기지국은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건물의 지하 및 주차장 등과 같은 협소한 장소에 설치되기도 어렵다. 따라서, 이동통신 사업자들은 건물 지하 등의 음영지역에 중계기를 설치하여 사용자에게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하지만 이동통신 사업자들은 통화품질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수의 음영지역에 중계기를 설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중계기가 얼마나 자주 사용자에 의해 이용되고 있는지 알지 못한다. 즉, 이동통신 사업자는 중계기를 설치만 할 뿐, 상기 중계기에서 발생하는 트래픽 정보를 인지하지 못한다.
그러나 이동통신 사업자가 각 장소(예를 들어, 지하 노래방)에 설치된 중계기의 트래픽 발생 현황을 인지한다면, 상기 중계기의 트래픽 발생 현황을 토대로 보다 자주 이용되는 중계기를 중점적으로 관리하여 보다 나은 통화품질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중계기의 트래픽을 감시하고 산출하는 이동통신 중계기의 트래픽 감시 방법 및 이를 위한 중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중계기에서 모드 전환을 이용하여 트래픽을 감시하는 방법은, (a) 단말의 트래픽 신호 유입에 따라 슬립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b) 상기 단말의 트래픽 신호 중단에 따라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c) 상기 모드 전환 정보를 토대로 트래픽 발생 현황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트래픽 감시 서버에서 중계기의 트래픽을 감시하는 방법은, (a) 단말의 트래픽 신호 유입에 따른 모드 전환 정보를 상기 중계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단말의 트래픽 신호 중단에 따른 모드 전환 정보를 상기 중계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신된 모드 전환 정보를 토대로 트래픽 발생 현황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모드 전환 정보를 근거로 단말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유입되는 트래픽양을 산출하는 중계기는, 무선통신단말 및 이동통신망의 기지국과 통신하며, 트래픽 신호가 유입되면 슬립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트래픽 신호가 유입되지 않으면 활성화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의 모드 전환 정보를 토대로 트래픽 발생 현황을 산출하여 저장하는 트래픽 정보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측면에 따른 단말의 트래픽에 따른 모드 전환 정보를 송신하는 중계기와 연동하여 상기 중계기의 트래픽을 감시하는 트래픽 감시 장치는, 상기 중계기로부터 모드 전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중계기의 모드 전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된 모드 전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중계기의 트래픽 발생 현황을 산출하는 트래픽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각 중계기에서 발생하는 트래픽 현황 정보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사업자는 트래픽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중계기를 파악하고, 그 중계기를 중점적으로 관리하여 이동통신 서비스의 통화품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계기의 트래픽 발생 현황을 참조한 이동통신 사업자에게 중계기 설치에 관한 투자 기준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트래픽을 감시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트래픽을 감시하는 시스템은 중계기(100) 및 트래픽 감시 서버(200)를 포함한다. 상기 중계기(100)와 트래픽 감시 서버(200)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네트워크(300)는 유무선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일 수 있다.
중계기(100)는 전파 차단 지역이나 음영지역에 설치되어 무선통신단말과 기지국의 무선 신호를 중계하고, 모드 전환에 따른 트래픽 정보를 트래픽 감시 서버(200)로 전송한다. 상기 중계기(100)는 RF 모듈(110), LED부(120), 상태 감지부(130) 및 트래픽 정보 송신부(140a)를 포함한다.
RF 모듈(110)은 서비스 안테나(150)를 통해 무선통신단말과 통신하며, 링크 안테나(160)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한다. 상기 RF 모듈(110)은 듀플렉서(Duplexer),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필터, 고출력 증폭기(High Power Amplifier)를 포함하고, RF 신호가 수신되면 저잡음 증폭하여, 그 RF 신호 중에 요구되는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켜 고출력 증폭하여 출력한다. 즉, 링크 안테나(160)가 기지국으로부터 순방향 RF 신호를 수신하면, 저잡음 증폭기는 상기 RF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중간 주파수 필터는 저잡음 증폭된 RF 신호 중에 요구되는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키며, 고출력 증폭기는 필터링된 RF 신호를 증폭하여 서비스 안테나(150)를 통해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RF 모듈(110)은 무선통신단말로부터 역방향 RF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저잡음 증폭하고 요구된 주파수 대역이 통과된 RF 신호를 증폭하여 링크 안테나(160)를 통해 출력한다.
한편, RF 모듈(110)은 역방향 RF 신호 또는 순방향 RF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슬립 모드로 작동하여 상기 저잡음 증폭, 주파수 대역 필터링 및 RF 신호 증폭에 따른 전원 소모를 절약한다. 반면, RF 모듈(110)은 슬립 모드에서 역방향 RF 신호 또는 순방향 RF 신호가 감지되면, 슬립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RF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요구된 주파수 대역이 통과된 RF 신호를 고출력 증폭하여 서비스 안테나(150) 또는 링크 안테나(160)를 통해 출력한다.
LED부(120)는 슬립 모드 LED, 활성화 모드 LED, 전원 LED 등을 포함하고, 전원 ON/OFF 및 모드 전환에 해당하는 LED를 점등한다.
상태 감지부(130)는 RF 모듈(110)의 모드 전환을 감지한다. 즉, 상태 감지부(130)는 RF 모듈(110)이 슬립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면, 그 활성화 모드로의 전환을 인지한다. 마찬가지로, 상태 감지부(130)는 RF 모듈(110)이 활성화 모 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하면, 상기 RF 모듈(110)의 슬립 모드 전환을 인지한다.
트래픽 정보 송신부(140a)는 트래픽 감시 서버(200)와 통신하며, 상태 감지부(130)에서 RF 모듈(110)의 모드 전환을 감지하면, 그 감지된 모드(즉, 슬립 모드 또는 활성화 모드) 정보에 중계기 식별자를 부가하여 트래픽 감시 서버(200)로 전송한다. 상기 트래픽 정보 송신부(140a)는 유선 케이블을 통해 유선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트래픽 감시 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으며, RF 신호를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함으로써 트래픽 감시 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다.
트래픽 감시 서버(200)는 중계기(100)로부터 수신한 트래픽 정보를 기초로 상기 중계기(100)의 트래픽 발생 현황을 환산한다. 상기 트래픽 감시 서버(200)는 통신부(210a), 저장부(220a), 트래픽 분석부(230) 및 검색부(24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a)는 중계기(100)로부터 중계기 식별자가 부가된 모드 전환 정보를 수신한다. 즉, 통신부(210a)는 식별자가 부가된 활성화 모드 정보 또는 슬립 모드 정보를 중계기(100)로부터 수신한다.
저장부(220a)는 중계기 식별자, 활성화 모드 정보의 수신 시각, 슬립 모드 정보의 수신 시각 및 1주기의 활성화 시간이 매핑된 중계기(100)의 트래픽 정보를 저장한다(도 3 참조). 여기서, 활성화 주기는 활성화 모드 전환 시점부터 슬립 모드의 전환 시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중계기(100)는 상기 활성화 주기를 반복하여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1주기의 활성화 시간은 중계기(100)의 활성화 주기가 시작되는 시점(즉, 활성화 모드 전환 시점)부터 활성화 주기가 종료되는 시점(슬립 모드 전환 시점)까지의 소요시간을 나타낸다.
트래픽 분석부(230)는 통신부(210a)에서 활성화 모드 정보가 수신되면, 중계기 식별자와 상기 활성화 모드 정보의 수신 시각을 저장부(220a)에 저장한다. 또한, 트래픽 분석부(230)는 통신부(210a)에서 슬립 모드 정보가 수신되면, 중계기 식별자에 대응하여 슬립 모드 정보의 수신 시각 및 그 주기의 활성화 시간을 저장부(220a)에 저장한다. 상기 주기의 활성화 시간은 활성화 모드 정보의 수신 시각과 슬립 모드 정보의 수신 시각 차로 계산된다. 또한, 트래픽 분석부(230)는 저장부(220a)의 트래픽 정보를 근거로, 각 중계기가 활성화된 횟수와 중계기의 활성화된 점유시간(즉, 활성화 총 시간)을 산출한다(도 4 참조).
검색부(240)는 중계기 식별자, 활성화 시간 등이 조합된 트래픽 검색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검색 조건에 해당하는 트래픽 정보를 저장부(220)에서 추출하여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트래픽을 감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감시 서버에 저장된 트래픽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감시 서버에서 도 3의 트래픽 정보를 기초로 산출한 각 중계기의 트래픽 발생 현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중계기(100)는 관할 권역에 위치한 무선통신단말로부터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S201). 아울러, 중계기(100)는 역방향 RF 신호(즉, 호 연결 요청 신호)가 감지되었음을 확인하여, 슬립 모드에서 활성화 모 드로 전환하고, 상기 호 연결 요청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203). 그리고 중계기(100)는 중계기 식별자가 부가된 활성화 모드 정보를 트래픽 감시 서버(200)로 전송한다(S205).
그러면, 트래픽 감시 서버(200)는 상기 중계기 식별자와 활성화 모드 정보가 수신된 시각을 저장한다(S207).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래픽 감시 서버(200)는 활성화 모드 정보가 수신되면, 중계기 식별자를 저장하고, 그 중계기 식별자에 대응하여 활성화 모드 정보의 수신 시각(즉, 활성화 모드 시각)을 저장한다.
이어서, 중계기(110)는 무선통신단말로부터 호 해제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209). 상기 호 연결 해제에 따라, 중계기(100)는 역방향 RF 신호가 감지되지 않음을 인지하여 활성화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하여 전원 소모를 절약한다(S211). 그리고 중계기(100)는 중계기 식별자가 부가된 슬립 모드 정보를 트래픽 감시 서버(200)로 전송한다(S213).
상기 슬립 모드 정보를 수신한 트래픽 감시 서버(200)는 S207 단계에 저장한 활성화 모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슬립 모드 정보의 수신 시각을 저장한다(S215). 이어서, 중계기(100)는 상기 활성화 모드 정보의 수신 시각 및 슬립 모드 정보의 수신 시각을 참조하여, 활성화 1주기의 시간을 계산하여 저장한다(S217). 예를 들어, 활성화 모드 정보의 수신 시각이 18시13분00초이고 슬립 모드 정보의 수신 시각이 18시17분00초이면, 중계기의 활성화 1주기 시간은 5분00초이다.
이어서, 트래픽 감시 서버(200)는 저장된 트래픽 정보를 토대로, 각 중계기(100)의 트래픽 발생 현황을 산출한다(S219). 즉, 트래픽 감시 서버(200)는 저장 된 트래픽 정보를 기초로, 각 중계기(100)의 활성화 점유시간 및 활성화 횟수를 산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트래픽 감시 서버(200)는 중계기 식별자별로 트래픽 정보를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트래픽 정보에 기록된 주기당 활성화 시간을 합하여 활성화 총 시간을 산출한다. 또한, 트래픽 감시 서버(200)는 분류된 트래픽 정보에 기록된 데이터의 행(line) 수를 그 중계기(100)의 활성화 총 횟수로서 환산한다.
도 4는 도 3의 트래픽 정보를 기초로 산출한 각 중계기의 트래픽 발생 현황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래픽 감시 서버(220)는 상기 트래픽 정보에 중계기 식별자가 PICB002K인 데이터의 행(line) 수가 2임을 인지하여 PICB002K 중계기의 활성화 총 횟수를 2로 환산하고, 상기 PICB002 중계기의 주기당 활성화시간 1분과 2분을 합하여 활성화 점유시간 3분으로 환산한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상기 트래픽 발생 현황을 토대로 중계기별 트래픽양을 인지할 수 있다. 한편, 트래픽 감시 서버(200)는 중계기(100)의 모드 전환 신호가 수신된 경우, 실시간으로 해당 중계기(100)의 트래픽 발생 현황을 산출할 수 있으며, 관리자가 요청한 특정 중계기의 트래픽 발생 현황만을 산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트래픽을 감시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서 도 1과 동일한 참조 부호를 나타내는 각 구성 요소는 상기 도 1을 참조한 설명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도 5를 참조한 설명에서는 도 1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중계기(100)는 RF 모듈(110), LED부(120), 상태 감지 부(130), 트래픽 정보 송신부(140b), 트래픽 정보 산출부(170), 메모리(180) 및 트래픽 출력부(190)를 포함하고, 트래픽 감시 서버(200)는 통신부(210b), 저장부(220b) 및 검색부(240)를 포함한다.
메모리(180)는 활성화 모드 횟수 및 활성화 점유시간을 저장한다.
트래픽 정보 산출부(170)는 상기 상태 감지부(130)에서 활성화 모드를 감지하면 그 주기의 활성화 시간을 카운트하기 시작하고, 상태 감지부(130)에서 슬립 모드를 감지하면 상기 활성화 시간 카운트를 중지하여, 메모리(180)에 활성화 점유시간을 저장한다. 또한, 트래픽 정보 산출부(170)는 상태 감지부(130)에서 활성화 모드를 감지하면, 메모리(180)에 활성화 모드 횟수를 카운트하여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트래픽 정보 산출부(170)는 시간대별로 활성화 모드 횟수와 활성화 시간을 분류하여 상기 메모리(180)에 저장하고, 상기 시간대별 활성화 모드 횟수와 활성화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트래픽 정보 송신부(140b)는 상기 메모리(180)에 저장된 활성화 점유시간 및 활성화 모드 횟수에 중계기 식별자를 부가하여 트래픽 감시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때, 트래픽 정보 송신부(140b)는 일정 시간 간격(예를 들어, 24시간마다)으로 상기 메모리(180)에 저장된 정보를 트래픽 감시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트래픽 감시 서버(200)의 요청에 따라 메모리(180)에 저장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트래픽 출력부(190)는 외부 스크린 또는 범용 컴퓨터와 연결되어, 메모리(180)의 트래픽 정보를 상기 외부 스크린 또는 범용 컴퓨터에 디스플레이한다.
저장부(220b)는 중계기 식별자에 대응하여 활성화 점유시간, 활성화 모드 횟 수를 포함한 트래픽 발생 현황 정보를 저장한다. 즉, 저장부(220b)는 도 4의 각 중계기의 트래픽 발생 현황 정보를 저장한다.
통신부(210b)는 중계기(100)로부터 수신한 트래픽 정보(즉, 활성화 점유시간 및 활성화 모드 횟수)를 수신하여, 중계기 식별자에 대응하는 트래픽 발생 현황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트래픽을 감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중계기(100)는 관할 권역에 속하는 무선통신단말로부터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601). 아울러, 중계기(100)는 역방향 RF 신호(즉, 호 연결 요청 신호)가 감지되었음을 확인하여, 슬립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고 그 주기의 활성화 모드 시간을 카운트하기 시작한다(S603, S605). 아울러, 중계기(100)는 전환된 활성화 모드 횟수를 카운트한다.
그리고 중계기(100)는 무선통신단말로부터 호 연결 해제 신호를 수신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607). 무선통신단말의 호 연결 해제에 따라, 중계기(100)는 역방향 RF 신호가 감지되지 않음을 인지하고 활성화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동시에 S603 단계의 활성화 시간의 카운트를 중지한다(S609). 이어서, 중계기(100)는 카운트한 활성화 시간 및 활성화 모드 횟수를 저장한다(S611).
다음으로, 중계기(100)는 트래픽 감시 서버(200)로부터 트래픽 정보 전송이 요청되거나 사전에 입력된 트래픽 전송 시점에 이르면, 중계기 식별자가 부가된 상기 트래픽 정보(즉, 활성화 점유시간 및 활성화 모드 횟수)를 트래픽 감시 서 버(200)로 전송한다(S613). 상기 트래픽 정보를 수신한 트래픽 감시 서버(200)는 중계기(100) 식별자에 대응하는 트래픽 발생 현황 정보를 저장한다(S615). 즉, 트래픽 감시 서버(200)는 상기 중계기(100)의 활성화 점유시간 및 활성화 모드 횟수를 상기 중계기(100)로부터 수신한 활성화 점유시간 및 활성화 모드 횟수로 업데이트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사업자는 트래픽 감시 서버(200)를 통해 각 중계기의 트래픽 발생 현황을 확인하여, 트래픽이 자주 발생하는 중계기를 중점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사업자는 트래픽이 자주 발생하는 중계기 설치 상가 또는 장소에 투자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우선 순위가 높은 상가 또는 장소에 중계기를 우선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한 실시예와 도 5 및 도 6을 참조한 실시예를 구분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두 실시예의 조합에 의해서 동작될 수 있음을 분명히 해 둔다. 예를 들어, 중계기(100)는 모드 전환 정보(즉, 슬립 모드 정보 또는 활성화 모드 정보)를 토대로, 도 3의 트래픽 정보를 생성하여 메모리(180)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중계기(100)는 활성화 모드 시각, 슬립 모드 시각, 해당 활성화 주기의 시간이 매핑된 트래픽 정보를 메모리(180)에 저장하고 그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트래픽 발생 현황을 산출하여, 상기 트래픽 정보와 상기 트래픽 발생 현황 정보를 트래픽 감시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 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트래픽을 감시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트래픽을 감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감시 서버에 저장된 트래픽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감시 서버에서 도 3의 트래픽 정보를 기초로 산출한 각 중계기의 트래픽 발생 현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트래픽을 감시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트래픽을 감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중계기 110 : RF 모듈
120 : LED부 130 : 상태 감지부
140a, 140b : 트래픽 정보 송신부 150 : 서비스 안테나
160 : 링크 안테나 170 : 트래픽 정보 산출부
180 : 메모리 190 : 트래픽 출력부
200 : 트래픽 감시 서버 210a, 210b : 통신부
220a, 220b : 저장부 230 : 트래픽 분석부
240 : 검색부

Claims (14)

  1. 중계기에서 모드 전환을 이용하여 트래픽을 감시하는 방법으로서,
    (a) 단말의 트래픽 신호 유입에 따라 슬립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b) 상기 단말의 트래픽 신호 중단에 따라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c) 상기 모드 전환 정보를 토대로 트래픽 발생 현황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계기에서의 트래픽 감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활성화 모드 전환 횟수를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에서의 트래픽 감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트래픽 신호 유입에 따른 활성화 모드의 점유시간을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에서의 트래픽 감시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산출된 트래픽 발생 현황을 트래픽 감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중계기에서의 트래픽 감시 방법.
  5. 트래픽 감시 서버에서 중계기의 트래픽을 감시하는 방법으로서,
    (a) 단말의 트래픽 신호 유입에 따른 모드 전환 정보를 상기 중계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단말의 트래픽 신호 중단에 따른 모드 전환 정보를 상기 중계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신된 모드 전환 정보를 토대로 트래픽 발생 현황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트래픽 감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활성화 모드 전환 횟수를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감시 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트래픽 신호 유입에 따른 중계기 활성화 모드의 점유시간을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감시 방법.
  8. 모드 전환 정보를 근거로 단말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유입되는 트래픽양을 산출하는 중계기로서,
    무선통신단말 및 이동통신망의 기지국과 통신하며, 트래픽 신호가 유입되면 슬립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트래픽 신호가 유입되지 않으면 활성화 모드에서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의 모드 전환 정보를 토대로 트래픽 발생 현황을 산출하여 저장하는 트래픽 정보 산출부;를 포함하는 중계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정보 산출부는,
    활성화 모드 전환 횟수를 카운트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정보 산출부는,
    트래픽 신호 유입에 따른 활성화 모드의 점유시간을 카운트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트래픽 발생 현황 정보를 트래픽 감시 서버로 전송하는 트래픽 정보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12. 단말의 트래픽에 따른 모드 전환 정보를 송신하는 중계기와 연동하여 상기 중계기의 트래픽을 감시하는 트래픽 감시 장치로서,
    상기 중계기로부터 모드 전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중계기의 모드 전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된 모드 전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중계기의 트래픽 발생 현황을 산출하는 트래픽 분석부;를 포함하는 트래픽 감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분석부는,
    상기 중계기의 활성화 모드 전환 횟수를 카운트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감시 장치.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픽 분석부는,
    상기 중계기의 활성화 점유시간을 카운트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감시 장치.
KR1020080066644A 2008-07-09 2008-07-09 이동통신 중계기의 트래픽 감시 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통신 중계기 KR101014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644A KR101014989B1 (ko) 2008-07-09 2008-07-09 이동통신 중계기의 트래픽 감시 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통신 중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644A KR101014989B1 (ko) 2008-07-09 2008-07-09 이동통신 중계기의 트래픽 감시 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통신 중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424A true KR20100006424A (ko) 2010-01-19
KR101014989B1 KR101014989B1 (ko) 2011-02-16

Family

ID=41815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6644A KR101014989B1 (ko) 2008-07-09 2008-07-09 이동통신 중계기의 트래픽 감시 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통신 중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49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490B1 (ko) * 2010-03-30 2012-01-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홉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중계기 온/오프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986B1 (ko) * 2006-12-01 2014-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수면 모드 관리 장치 및 그방법
KR20080069092A (ko) * 2007-01-22 2008-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홉 네트워크에서 슬립 모드를 운용하기 위한 장치 및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490B1 (ko) * 2010-03-30 2012-01-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홉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중계기 온/오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4989B1 (ko) 2011-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8475B2 (en) Communication network
EP1511193A2 (en) System and method for boosting and monitoring
CN102542746A (zh) 现场优化的可配置无线火灾系统
JPWO2006134642A1 (ja) 無線基地局システム
US20120243477A1 (en) Wireless base st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communication
KR101888141B1 (ko) 터널 라디오 방송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US9571197B2 (en)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integrated monitor device, and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relay and information provision
KR101014989B1 (ko) 이동통신 중계기의 트래픽 감시 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통신 중계기
CA2719198C (en) Dual mode multi-network amr system endpoint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KR101103638B1 (ko) 인지 무선 통신을 위한 시스템 및 스펙트럼 센서
KR100915205B1 (ko) 통신 모뎀을 구비하는 무선 중계기 및 상기 무선 중계기의운영 방법
JP6410414B2 (ja) 光回線終端装置及び光送信機
CN102017480A (zh) 通过电网测量能耗模式的装置及其方法
KR101458355B1 (ko) 상향링크 잡음감소 방법
KR101058667B1 (ko) Rf중계기 시스템에서의 피드백 분포를 그래프로 제공하는장치 및 방법
KR20060124529A (ko) 그룹 디스패치 기능을 이용한 환경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N102547828A (zh) 一种测试移动通信网络性能的装置及方法
KR20060071206A (ko) 시분할 무선 중계기의 동기 제어 장치
KR101765789B1 (ko) 원거리 전원단을 무선으로 제어하는 원격 전원 온오프 장치
KR100674703B1 (ko) 무선중계기 관리시스템 및 운용방법
JP5241534B2 (ja) 移動無線システム
KR20170055574A (ko) 중계기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22633A (ko) 광중계기의 원격감시장치
KR100698297B1 (ko) 방송 신호 처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와 기지국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100079494A (ko) 위성신호를 이용한 무선통신 중계기 및 그 중계기의 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