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6366U - 차량용 조향장치의 센서 - Google Patents

차량용 조향장치의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6366U
KR20100006366U KR2020080016585U KR20080016585U KR20100006366U KR 20100006366 U KR20100006366 U KR 20100006366U KR 2020080016585 U KR2020080016585 U KR 2020080016585U KR 20080016585 U KR20080016585 U KR 20080016585U KR 20100006366 U KR20100006366 U KR 201000063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ensor
sub
gea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65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0310Y1 (ko
Inventor
이창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165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310Y1/ko
Publication of KR201000063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3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3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3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1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 B62D15/0215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by measuring on the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8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 B62D6/1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nsing or determining torq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3/00Measuring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in general
    • G01L3/02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 G01L3/04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 G01L3/10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 G01L3/101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involving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 G01L3/104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involving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involving permanent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7Torqu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조향장치의 센서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장치의 센서는 포켓부가 형성되는 제1 커버; 상기 제1 커버와 결합되는 제2 커버; 상기 포켓부 내에 배치되어 조향 작동에 따라 회전되는 메인 기어 및 제1,2 서브 기어; 상기 제1,2 서브 기어에 결합된 제1,2 마그네트; 상기 제1 커버 또는 제2 커버에 결합된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설치되어 상기 제1,2 마그네트에 대향하는 제1,2 로터리 홀 집적회로를 포함한다.
센서

Description

차량용 조향장치의 센서{SENSOR OF STEERING APPARATUS FOR A CAR}
본 고안은 차량용 조향장치의 센서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사용되는 조향장치는 주행중인 차량의 진행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조향핸들을 통해 조향륜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장치이다.
차량의 조향장치에는 조향각 측정 센서와 토크 측정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조향각 측정 센서는 주행 중인 차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조향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이고, 토크 측정 센서는 조향 핸들을 원활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보조 조작력을 제공하기 위해 토션바에 걸리는 토크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이다.
실시예는 소음이 감소된 차량용 조향장치의 센서를 제공한다.
실시예는 윤활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조향장치의 센서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장치의 센서는 포켓부가 형성되는 제1 커버; 상기 제1 커버와 결합되는 제2 커버; 상기 포켓부 내에 배치되어 조향 작동에 따라 회전되는 메인 기어 및 제1,2 서브 기어; 상기 제1,2 서브 기어에 결합된 제1,2 마그네트; 상기 제1 커버 또는 제2 커버에 결합된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설치되어 상기 제1,2 마그네트에 대향하는 제1,2 로터리 홀 집적회로를 포함한다.
실시예는 소음이 감소된 차량용 조향장치의 센서를 제공한다.
실시예는 윤활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조향장치의 센서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장치의 센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과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센서와 하우징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센서 장치는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20)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센서(100)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100)는 조향 핸들(미도시)과 연결된 입력축(30) 및 상기 입력축(30)에 토션바(미도시)를 매체로 연결되고 조향륜(미도시)과 연결된 출력축(40)의 주위에 배치되어 조향각 및/또는 토크를 측정한다.
상기 제1 하우징(10)에는 내주면에 결합 홈(11)이 형성되고, 상기 센서(100)에는 측면으로 돌출된 결합 돌기(111)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 돌기(111)가 상기 결합 홈(11)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상기 결합 돌기(111)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바 형태로 돌출된 두개의 돌기가 집게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111)는 하면, 상면, 측면 및 단부가 상기 하우징과 접촉하여 상기 센서(100)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센서(100)에는 접촉 돌기(1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 돌기(112)는 상기 제1 하우징(10)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상기 센서(100)가 상기 제1 하우징(10) 내에서 상기 센서(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반경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비틀리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접촉 돌기(112)는 반경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 돌기(112)는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 돌기(112)에 의해 상기 센서(100)가 상기 하우징 내에서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센서(100)는 조향각 측정 센서 또는 토크 측정 센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100)는 조향각 측정 센서와 토크 측정 센서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조향각 측정 센서와 토크 측정 센서가 모두 포함된 센서(100)를 예시하였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센서(100)는 제1 커버(110), 제2 커버(120) 및 제3 커버(1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커버(110)는 상기 제2 커버(120)와 제3 커버(13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커버(110)에는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체결 돌기(116)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커버(120)와 제3 커버(130)에 형성된 제2 체결부(123)와 제3 체결부(133)가 상기 체결 돌기(116)와 체결되어 상기 제1 커버(110), 제2 커버(120) 및 제3 커버(130)가 견고히 결합된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커버(110)와 제3 커버(130) 사이에는 토크 측정 센서가 배치되고, 상기 제1 커버(110)와 제2 커버(120) 사이에는 조향각 측정 센서가 배치된 것이 예시되어 있다.
먼저, 토크 측정 센서에 대해 설명하면, 마그네트 홀더(150)는 상기 제1 커버(110)와 제3 커버(13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입력축(30)은 상기 제3 커버(130)의 제3 관통공(131)을 지나 상기 마그네트 홀더(150)와 결합된다.
상기 마그네트 홀더(150)의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복수의 극이 교대로 착자된 링 형상의 마그네트(151)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마그네트(151)는 상기 입력축(30)과 동일하게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출력축(40)에 스테이터 홀더(160)가 결합되고, 상기 스테이터 홀더(160)에는 스테이터(161)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스테이터(161)는 상기 출력축(40)과 동일하게 회전된다.
상기 마그네트(151)는 상기 스테이터(161)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테이터 홀더(160)의 일측은 상기 제1 커버(110)의 중앙부에 형성된 제1 관통공(113)을 지나 상기 제2 커버(120)의 제2 관통공(121)을 관통한 상기 출력축(40)과 결합된다.
상기 입력축(30)과 출력축(40)은 토션바(미도시)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상기 출력축(40)은 노면과 접촉된 조향륜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외력을 가하여 조향 핸들을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조향 핸들과 연결된 입력축(30)과 상기 조향륜과 연결된 출력축(40)의 회전 각도는 상이하다. 따라서, 상기 마그네트(151)와 스테이터(161)의 회전 각도는 상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커버(110)와 제3 커버(130) 사이에 제1,2 컬렉터(191,192) 및 센싱 소자(172)가 배치된다. 상기 제1 컬렉터(191)는 상기 제3 커버(130)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컬렉터(192)는 상기 제2 커버(120)에 고정되어 상기 스테이터(161)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센싱 소자(172)는 링 형상의 메인 기판(170)에 설치된 서브 기판(171)에 결합되어 상기 제1,2 컬렉터(191,192)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2 컬렉터(192) 및 상기 센싱 소자(172)는 상기 제1 커버(110)에 형성된 연통홀(115)을 통해 상기 제1 커버(110)와 제3 커버(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 다.
상기 제1,2 컬렉터(191,192)는 상기 스테이터(161)와 마그네트(151) 사이에 형성되는 자기장을 집중하고, 상기 센싱 소자(172)는 상기 제1,2 컬렉터(191,192)에 집중된 자기장을 감지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마그네트(151)와 상기 스테이터(161)는 회전 각도가 상이하고, 상기 회전 각도의 차이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151)와 상기 스테이터(161) 사이에 형성되는 자기장은 변화되므로 상기 센싱 소자(172)는 상기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센싱 소자(172)는 감지한 자기장 값을 상기 서브 기판(171), 메인 기판(170) 및 연결 단자(140)를 통해 차량의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연결 단자(140)는 상기 제1 커버(110)에 형성된 제1 개구(114)와 제3 커버(130)에 형성된 제3 개구(13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 소자(172)로부터 전송된 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하여 토크를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토크에 따라 차량의 조향에 필요한 보조 조작력을 결정하여 모터를 구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조향각 측정 센서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제1 커버(110)와 제2 커버(120) 사이에는 메인 기어(180)와 제1,2 서브 기어(181,182)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2 서브 기어(181,182)에는 각각 제1,2 마그네트(185,186)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커버(110)와 상기 제1,2 서브 기어(181,182) 사이에는 제1,2 백 요 크(183,184)가 배치된다.
상기 제1,2 서브 기어(181,182)에 설치된 상기 제1,2 마그네트(185,186)에 대향하는 상기 메인 기판(170)에는 제1,2 로터리 홀 집적회로(187,188)가 설치된다.
상기 메인 기어(180)는 상기 스테이터 홀더(16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출력축(40)과 함께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제1,2 서브 기어(181,182)는 상기 메인 기어(180)와 맞물려 회전되는데, 상기 제1 서브 기어(181)와 제2 서브 기어(182)는 서로 기어비가 다르게 형성되어 상기 메인 기어(180)가 회전됨에 따라 각각 상이한 회전수로 회전된다.
상기 제1,2 서브 기어(181,182)에는 각각 제1,2 마그네트(185,186)가 설치되어 상기 제1,2 서브 기어(181,182)와 함께 회전된다.
한편, 상기 메인 기판(170)에 설치된 제1,2 로터리 홀 집적회로(187,188)는 상기 제1,2 마그네트(185,186)의 회전에 따른 자속의 변화를 감지하여 그 값을 디지털 신호로 출력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는 상기 메인 기판(170) 및 연결 단자(140)를 통해 차량의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2 로터리 홀 집적회로(187,188)로부터 전송된 값을 이용하여 차량의 조향 정도를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하거나, 필요한 다른 구동 제어를 할 수 있다.
도 6은 제1 커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제1 커버에 메인 기어 및 제1,2 서브 기어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커버(110)에는 상기 메인 기어(180) 및 제1,2 서브 기어(181,182)가 설치되는 위치에 상기 메인 기어(180) 및 제1,2 서브 기어(181,182)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의 포켓부(117)가 형성된다. 상기 포켓부(117)는 상기 메인 기어(180) 및 제1,2 서브 기어(181,182)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돌출된 장벽부(118)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켓부(117)는 상기 메인 기어(180) 및 제1,2 서브 기어(181,182)의 두께보다 깊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포켓부(117) 내에 상기 메인 기어(180) 및 제1,2 서브 기어(181,182)가 설치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장벽부(118)는 상기 메인 기어(180) 및 제1,2 서브 기어(181,182)의 두께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기어(180) 및 제1,2 서브 기어(181,182)에는 마찰 소음 및 치차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그리스(Grease)와 같은 윤활제(미도시)가 도포되는데, 윤활제의 도포량에 따라 상기 윤활제가 흘러내려 다른 부품에 악영향을 주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장치는 상기 메인 기어(180) 및 제1,2 서브 기어(181,182)가 설치되는 제1 기판(110) 상에 윤활제의 이탈을 방지하는 포켓부(117)가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윤활제의 이탈 또는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 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과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센서와 센서 하우징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제1 커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제1 커버에 메인 기어 및 제1,2 서브 기어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도면.

Claims (4)

  1. 포켓부가 형성되는 제1 커버;
    상기 제1 커버와 결합되는 제2 커버;
    상기 포켓부 내에 배치되어 조향 작동에 따라 회전되는 메인 기어 및 제1,2 서브 기어;
    상기 제1,2 서브 기어에 결합된 제1,2 마그네트;
    상기 제1 커버 또는 제2 커버에 결합된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설치되어 상기 제1,2 마그네트에 대향하는 제1,2 로터리 홀 집적회로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향장치의 센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부는 상기 메인 기어 및 제1,2 서브 기어보다 깊게 형성된 차량용 조향장치의 센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기어는 상기 메인 기어와 결합되어 상기 메인 기어와 함께 회전되고, 상기 제2 서브 기어는 상기 제1 서브 기어와 결합되어 상기 제1 서브 기어와 함게 회전되며, 상기 제1 서브 기어와 제2 서브 기어는 기어비가 다르게 형성된 차량용 조향장치의 센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부는 상기 메인 기어 및 제1,2 서브 기어와 이격되어 돌출된 장벽부에 의해 형성되는 차량용 조향장치의 센서.
KR2020080016585U 2008-12-15 2008-12-15 차량용 조향장치의 센서 KR2004703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585U KR200470310Y1 (ko) 2008-12-15 2008-12-15 차량용 조향장치의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585U KR200470310Y1 (ko) 2008-12-15 2008-12-15 차량용 조향장치의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366U true KR20100006366U (ko) 2010-06-24
KR200470310Y1 KR200470310Y1 (ko) 2013-12-06

Family

ID=44451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6585U KR200470310Y1 (ko) 2008-12-15 2008-12-15 차량용 조향장치의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31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7461A (ko) * 2014-08-29 2016-03-10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토크 센서 장치
KR20190086149A (ko) * 2018-01-12 2019-07-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회전 센싱 장치
KR20190087821A (ko) * 2018-01-17 2019-07-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회전 센싱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204B1 (ko) 2014-12-29 2021-10-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클러치 액츄에이터
EP3460434B1 (en) * 2016-05-17 2021-07-07 LG Innotek Co., Ltd. Torque sensor and torque angle sensor, and steer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KR102485023B1 (ko) * 2016-05-17 2023-01-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 센서, 토크 앵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5581A (ja) * 2004-03-18 2005-09-29 Favess Co Ltd トルク検出装置
KR100845242B1 (ko) * 2006-10-18 2008-07-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향각 센싱장치, 조향각 센싱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향용복합센서
JP2008051668A (ja) * 2006-08-25 2008-03-06 Niles Co Ltd 回転角度検出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7461A (ko) * 2014-08-29 2016-03-10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토크 센서 장치
KR20190086149A (ko) * 2018-01-12 2019-07-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회전 센싱 장치
KR20190087821A (ko) * 2018-01-17 2019-07-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회전 센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310Y1 (ko) 201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045Y1 (ko) 일렉트릭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KR200470310Y1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센서
US6367337B1 (en) Non-contacting sensor for measuring relative displacement between two rotating shafts
JP5580427B2 (ja) 操向トルク及び操向角測定装置並びにこれを備えた車両用操向装置
EP2181314B1 (en) Stator assembly and torque measuring device
EP2314498B1 (en) Manifold sensing apparatus for steering
KR102288523B1 (ko) 토크센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각 센싱장치
KR20120117292A (ko) 앵글센서
KR20180119340A (ko) 스테이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토크 센서
KR101180562B1 (ko) 조향용 복합센싱장치
KR101730547B1 (ko) 토크 앵글 센서모듈
KR101234457B1 (ko) 센서
KR200470312Y1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센서
JP2009192248A (ja) トルク検出装置
KR101640945B1 (ko) 조향각 센싱 장치
KR101882550B1 (ko) 토크 센서 장치
KR20120133404A (ko) 토크앵글센서
JP6129276B1 (ja) 非接触式回転角度検出装置
KR200470046Y1 (ko) 일렉트릭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KR102068187B1 (ko) 토크앵글센서
KR101932820B1 (ko) 토크 검출 디바이스
US20210239551A1 (en) Sensing device
KR102293351B1 (ko) 토크센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각 센싱장치
JP2010243284A (ja) 回転トルク検出装置
JP2012122982A (ja) 回転角度検出装置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