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6338U - 인공와우용 음향처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와우 - Google Patents
인공와우용 음향처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와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06338U KR20100006338U KR2020100002717U KR20100002717U KR20100006338U KR 20100006338 U KR20100006338 U KR 20100006338U KR 2020100002717 U KR2020100002717 U KR 2020100002717U KR 20100002717 U KR20100002717 U KR 20100002717U KR 20100006338 U KR20100006338 U KR 20100006338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cochlear
- signal
- sound processor
- process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4—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acoustic or vibrational transducers
- H04R25/606—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acoustic or vibrational transducers acting directly on the eardrum, the ossicles or the skull, e.g. mastoid, tooth, maxillary or mandibular bone, or mechanically stimulating the cochlea, e.g. at the oval window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40—Arrangements for obtaining a desired directivity characteristic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4—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using a wireless connection, e.g. between microphone and amplifier or using Tcoi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6—External connectors, e.g. plugs or modul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2—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batter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55—Communication between hearing aids and external devices via a network for data exchang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61—Aspects relating to 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e.g. function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부의 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신호처리부와, 변환된 전기 신호를 인체 내에 이식된 전기적 자극 발생 장치에 전달하는 송신부와, 상기 신호처리부 및 송신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내부 일측에 배터리 수용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인공와우용 음향처리기를 제공한다. 상기 케이스의 배터리 수용 공간 외측으로 결합되는 배터리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인공와우용 음향처리기의 구성이 간단하고 저렴하여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음향처리기의 외관이 심플하고 미려하며 착용성이 향상되어 난청환자의 활동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심리적 안정에도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인공달팽이관장치(이하, 인공와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체내이식이 용이하고 청력 보조 성능이 개선된 인공와우 및 인공와우용 음향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귀는 외이, 중이, 내이로 구성된다. 소리는 공기의 진동을 통해 외이로부터 중이의 고막에 전달된 후 이소골(auditory ossicles)의 진동으로 와우의 난원창(oval window)에 전달되며, 와우 내의 유체의 진동을 통해 코티(corti) 기관에서 전기 신호를 만들어 낸다.
코티 기저막(tectorial membrane)의 움직임은 유모세포(hair cell)에서 수용기 전위(receptor potential)를 발생시키고 이 전위가 수상돌기(dendrite)를 통해 나선신경절(spiral ganglion)에 전달된다. 나선신경절의 신호는 청신경의 뉴런을 자극하여 최종적으로 대뇌에 전달된다. 청각 손실이 되는 경우 와우 내의 유모세포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유모 세포가 발생시키는 전기 신호를 외부에서 제공하면 소리를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체내 이식 가능한 인공와우(인공달팽이관장치)가 개발되었다.
인공와우이식은 고도 난청 환자에게 전기자극을 이용하여 잔존하는 청신경을 자극함으로써 소리를 감지할 수 있게 해주는 와우이식기를 환자의 와우에 이식하는 것이다. 인공와우는 보청기를 써도 도움을 받지 못하는 양측 고도 난청 환자들에게 유용한 청력을 제공하며, 현재까지 개발된 신경보조장치중 가장 성공적인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인공와우는 1984년 미국식품의약청(FDA)에 의해 승인된 이래 최근 전세계적으로 그 적용범위가 확대되고 있으며 다중 채널(multi-channel)형 인공와우가 제안된 바 있다. 다중 채널형 인공와우는 와우의 특정 위치에 맵핑(mapping)되어 있는 특정 주파수 신호를 개별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복수의 전극을 필요로 한다. 손상된 유모 세포 아래에 있는 수상돌기들에 각 주파수 성분에 맞는 전극 신호를 개별적으로 전달한다.
인공와우는 체내이식장치와 외부 장치로 구성될 수 있는데, 외부 장치는 피부에 근접하여 배치시킴으로써 체내이식장치에 소리 신호를 전달한다. 인공와우의 특성은 음향처리기의 성능에 크게 좌우될 수 있는데, 체내이식장치와 달리, 음향처리기는 난청환자의 피부에 접촉되거나 귀나 옷에 거는 방식으로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환자에게 심리적으로 부담을 주며, 착용 상태 등에 따라 환자의 활동성을 제약할 수 있다.
또한, 음향처리기는 별도의 전원 공급부를 필요로 하여 전체적인 시스템이 복잡해지고 인공와우의 제조 단가 및 가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한편, 근래에 다양한 전자기기로부터 사운드를 즐기는 새로운 문화가 형성되고 있지만, 인공와우에는 이러한 전자기기와의 호환성이 결여되어 난청환자의 삶의 만족도를 제한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난청환자의 청력을 보조할 뿐만 아니라 그 사용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인공와우의 체내이식장치 뿐만 아니라 외부 장치인 음향처리기의 성능 개선, 구조 개선, 제품 다변화가 크게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은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한 새로운 인공와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인공와우의 음향처리기 성능을 개선하여 인공와우의 사용 가치를 극대화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난청환자의 인공와우 착용성 및 심리적 부담감을 개선하는 것이다.
기타,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은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외부의 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신호처리부와, 변환된 전기 신호를 인체 내에 이식된 전기적 자극 발생 장치에 전달하는 송신부와, 상기 신호처리부 및 송신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내부 일측에 배터리 수용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인공와우용 음향처리기를 제공한다.
상기 케이스의 배터리 수용 공간 외측으로 결합되는 배터리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배터리 하우징은 배터리의 일면에 접촉되어 배터리를 상기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터리 하우징은 일측에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에 끼움 결합되거나, 배터리 하우징의 일단이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외부 표면 중 인체의 피부와 접촉하는 면은 유동하는 액체가 배출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음향처리기는 인체 내에 이식된 전기적 자극 발생 장치와의 비접촉식 결합을 위한 마그넷을 상기 케이스 내에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은 또한, 외부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활성전극 및 기준전극을 포함하는 체내이식장치와; 외부의 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체내이식장치에 전자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송신부와, 상기 신호처리부 및 송신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내부 일측에 배터리 수용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음향처리기;를 포함하는 인공와우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구성이 간단하고 저렴하며, 시술이 용이한 인공와우를 제공한다. 특히, 음향처리기에 전원공급부가 내장되어 있어 외관상 심플하고 미려하며 인공와우 착용성이 향상되어 난청환자의 활동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심리적 안정에도 기여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외부 소음으로부터 원하는 소리만을 식별하여 감지하기에 용이하고, 사람이나 자연의 소리 뿐만 아니라 전자 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소리를 청취하기에 적당하다.
도 1은 인공와우가 이식된 상태를 보인 모식도.
도 2는 인공와우의 체내이식장치의 일례를 보인 모식도.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도.
도 4는 인공와우의 체내이식장치의 다른 예를 보인 모식도.
도 5는 도 4의 장치의 평면도.
도 6은 인공와우의 구성 요소간의 신호 처리 상태를 보인 모식도.
도 7 및 8은 본 고안의 인공와우용 음향처리기의 평면도 및 배면도.
도 9는 배터리 하우징이 결합된 배터리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음향처리기 케이스 일측의 배터리 장착 공간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음향처리기 내부에 장착되는 신호처리 부품을 보인 사시도.
도 12 및 13은 음향처리기 케이스 외면의 각 구성 부품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인공와우의 체내이식장치의 일례를 보인 모식도.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도.
도 4는 인공와우의 체내이식장치의 다른 예를 보인 모식도.
도 5는 도 4의 장치의 평면도.
도 6은 인공와우의 구성 요소간의 신호 처리 상태를 보인 모식도.
도 7 및 8은 본 고안의 인공와우용 음향처리기의 평면도 및 배면도.
도 9는 배터리 하우징이 결합된 배터리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음향처리기 케이스 일측의 배터리 장착 공간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음향처리기 내부에 장착되는 신호처리 부품을 보인 사시도.
도 12 및 13은 음향처리기 케이스 외면의 각 구성 부품을 보인 사시도.
본 고안에 따른 음향처리기를 포함하는 인공와우는 심도 이상의 감음성 난청인들에게 청각능력을 재구성하여 향상된 언어구사와 청각을 통한 의사소통능력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인공와우는 체외에 부착되어 신호를 처리하는 음향처리기(sound processing unit)와 더불어 체내에 이식되어 신호를 수신하는 체내이식장치(internal receiving unit)를 포함한다. 음향처리기의 동작을 위한 전원으로서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음향처리기의 케이스 내에 탈착 가능하도록 내장할 수 있다.
상기 음향처리기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외부 소리를 음성신호 프로세서에 전달하고, 프로세서는 전달된 소리를 처리하여 출력한다. 처리된 신호는 변조(modulation)되어 코일을 통하여 사용자의 몸 안으로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사용자는 볼륨을 조절하여 체내로 전달되는 신호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다. 체내에 이식된 코일이 송신된 신호에 반응하여 수신하며, 수신된 신호는 전극을 통하여 달팽이관에 전달된다. 달팽이관에 전달된 신호는 뇌로 전달되어 최종적으로 소리를 인식하게 된다.
상기 음향처리기는 사용자의 측두 관자놀이 부분의 외피에 부착되어 체내이식장치와 자기력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 주변에서 발생되는 음성 신호를 전자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체내이식장치에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구성 요소로는 마이크, 볼륨 조절부, 코일, 자석, 전자회로(예를 들어, PCB 기판) 등으로 구성된다.
도 1은 시술된 인공와우를 보인 모식도이다. 외이(300) 안의 이도(310) 내부에 체내이식장치(100)가 이식되어 있다. 체내이식장치의 기준전극(120b)은 수신부(110)에 인접하여 이도 피부(330)에 삽입되어 있고, 활성전극(120a)은 이도 피부(330)와 귀뼈(320) 사이의 미세 틈을 통하여 중이(350)의 고막(340)을 거쳐 와우(360)에 까지 연장되어 있다. 상기 활성전극(120a)의 끝단은 와우(360)의 나선신경절(365)과 접촉하도록 연결된다.
도 2는 다중 전극을 포함하는 인공와우의 체내이식장치(10)를 보인 모식도이다. 하나의 활성전극(10a)과 하나의 기준전극(10b)을 포함하며, 활성전극의 끝단(A)은 와우 내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활성 전극 끝단(A)을 확대한 도 3을 참조하면, 다수의 전극(15)이 분포되어 있으며, 각각의 전극은 해당 주파수의 전기 자극을 와우 내의 특정 위치에 제공한다.
도 4는 또 다른 체내이식장치(internal receiving unit)를 보인 모식도이다. 체내이식장치는(100)는 외부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수신부(110)와 전극부로 구성되며, 전극부는 단일 전극으로된 활성전극(120a)과 기준전극(120b)으로 구성된다. 상기 활성전극(120a)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가 서로 다른 세 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수신부(110)에 인접한 제1영역(I), 제1영역 보다 두께가 작은 제2영역(II)과, 제2영역 보다 두께가 작은 제3영역(III)을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시된 바와 달리 제2영역과 제3영역을 동일한 두께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영역(I)은 두께가 가장 크며 활성전극이 체내에 삽입될 때 소정의 강성을 제공한다. 반면, 상기 제2영역(II)과 제3영역(III)은 활성전극이 (유양골(mastoid bone)을 갈아내어 삽입 공간을 만들지 않고도) 귀뼈와 이도 피부 사이의 미세 틈으로 이식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활성전극(120a)은 수신부에 인접한 제1영역의 길이가 가장 길고, 제2영역과 제3영역으로 갈수록 점점 짧아진다. 제3영역(III)은 최종적으로 전기적 자극을 와우에 전달하는 접점에 해당한다.
상기 활성전극 및 기준전극의 적어도 일부분, 바람직하게는 끝단을 제외한 모든 부분에 생체친화적 재료(예를 들어 실리콘 또는 실리콘 화합물)가 피막되는 것이 적절하다. 이 경우 생체 친화성 피막의 두께를 조절하여 상기 제1영역(I), 제2영역(II) 및 제3영역(III)의 두께를 다르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생체 친화성 피막 내부에는 동일한 두께의 와이어가 삽입되도록 하고 제1영역은 소정 두께로 코팅하며, 제2영역은 이 보다 작은 두께로 코팅하고, 제3영역에는 코팅을 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활성전극의 두께를 점차적으로 작게 함으로써 귀뼈와 이도 피부 사이에 활성전극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며, 활성전극이 얇은 이도 피부를 찢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감염 위험이 발생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기준전극(120b)은 활성전극 보다 길이가 짧으며, 귀 후방 피부 속에 삽입된다. 상기 활성전극(120a)과 기준전극(120b)의 끝단은 생체 친화성 피막이 코팅되지 않은 채로 접점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신부(110)는 생체 친화성 재질(예를 들어 실리콘)의 케이스 내부에 외부로부터 전기 자극 신호를 수신하는 코일(112)과, 외부 장치와 비접촉식 고정을 위한 자석(114)을 포함한다. 상기 코일(112)은 외부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하며 예를 들어 구리선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인공와우의 구성 요소간의 신호 처리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음향처리기(200)와 체내이식장치(100)는 마그넷(260, 114)에 의하여 비접촉으로 결합되며, 상호 간에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한다(I). 반면, 체내이식장치(100)는 와우에 직접적으로 전기적 자극을 전달한다(II).
도 7 및 8은 본 고안의 음향처리기(200)를 도시한 것이다. 케이스는 크게 외부의 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며 변환된 전기 신호를 인체 내에 이식된 전기적 자극 발생 장치에 전달하는 음향처리부(210)와, 내부에 배터리 수용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배터리 수용부(21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는 예를 들어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별도로 제조한 후 각 케이스를 일체적으로 결합할 수도 있고, 최초에 하나의 몸체로 형성된 케이스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케이스의 배터리 수용부(212)에는 케이스 외측으로부터 내부로 결합되는 배터리 하우징(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배터리 하우징(22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221)의 일면에 접촉되어 배터리를 상기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배터리 하우징은 일측에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 공간(도 10의 213)에 끼움 결합될 수도 있고, 케이스 내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배터리 하우징을 케이스로부터 탈착시키기 위하여 배터리 하우징의 일면에 제거 돌기(22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된 바와 달리 별도의 배터리 하우징 없이 케이스 내부에 배터리 안착 공간이 마련되고 케이스의 일부분이 배터리 덮개로 작용하도록 개폐식으로 케이스의 일부분을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인공와우의 외부 장치인 음향처리기에 배터리를 탈착 가능하게 내장시킴으로써 별도의 전원 공급 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인공 와우 외부 장치의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외부 장치의 디자인에 대한 자유도가 커져 미려한 외관을 갖는 외부 장치를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장치의 착용감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은 인공와우 이용자의 심리적인 안정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공와우 (외부 장치) 착용시 부담하게 되는 활동성의 제약이 극복되는 부가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배터리는 충전식 타입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비충전식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을 제한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인공와우용 음향처리기 내부의 음향처리부(210)에 내장되는 구성품들을 도시한 것이다. PCB 형태의 전자회로부(224)에는 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화시키고 이 신호를 변조하거나 볼륨 및 음성 모드를 변경하는 회로들이 구성될 수 있다. 신호 송신용 코일(225)은 전자회로부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체내이식장치와의 비접촉식 결합을 위한 마그넷(226)이 코일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음향처리기의 케이스 외부에는 마이크가 배치되어 있다. 이 마이크는 지향성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외부 표면에 형성된 돌출부(234)는 측면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마이크 노출공(234a, 234b)이 형성되어 지향성 마이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지향성 마이크 배치를 통하여 인공와우 착용자가 외부 소음에 대해 덜 민감하면서도 원하는 소리에 집중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케이스의 외부 표면 일측에는 볼륨 on/off 및 볼륨 조절을 위한 스위치(232)가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케이스의 외부 표면의 다른 일측에는 외부의 유무선 전자기기의 신호를 수신하는 연결 단자(236)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폰, 휴대용 음향기기(MP3 플레이어, 라디오 등)와 와이어 등의 전기 전달 수단으로 직접 음향처리기를 연결하여 난청환자에게 소리를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외부 표면에는 신호처리 모드를 변경하는 전환 스위치(238)가 될 수 있다.
한편, 인공와우 외부 장치인 음향처리기는 체내이식장치와 자기력에 의한 비접촉식 고정에 의하여 난청환자의 (예를 들어 귀 뒷 부분 등의) 피부 표면에 접촉된 상태로 착용되는데, 장시간 착용에 따른 피부 손상이 문제될 수 있다. 또한, 피부 접촉으로 인하여 피부로부터 발생되는 땀이 원활히 배출되지 못하고 음향처리기와 피부 사이에 막을 형성하여 음향처리기의 안정적인 접촉을 방해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음향처리기의 케이스 외부 표면 중 인체의 피부와 접촉하는 면에서 (땀 등의) 액체 유동이 원활하고 액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였다. 앞서 설명한 도 8을 참조하면, 케이스의 음향처리부(210) 배면(피부 접촉면)에 나선형 내지 방사상 유로 패턴이 형성된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유로 패턴은 예를 들어 케이스 표면의 일부(211a)를 돌출되도록 형성하거나 또는 케이스 표면의 일부(211b)를 만입되도록 형성하여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음향처리기가 피부와 접촉된 상태에서도 피부에서 발생되는 땀이 상기 유로 패턴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어 음향처리기의 착용성을 향상시키고 인공와우 사용자의 착용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인공와우용 음향처리기는 예를 들어 난청환자의 귀 후방, 관자놀이 부분의 피부에 부착될 수 있지만, 그 부착 위치가 반드시 한정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또한, 자기력에 의한 비접촉식 결합 이외에 (또는 이와 더불어) 별도의 보조 기구를 연결하여 귀에 착용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인공와우용 음향처리기는 난청환자의 체내에 이식되는 전기 자극 장치의 종류에 상관없이 다양한 모델에 적용될 수 있으며, 케이스 형태를 변화시킴으로써 패션성이 뛰어난 장신구 기능을 더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100:체내이식장치 200:음향처리기
210:신호처리부 212:배터리 수용부
220:배터리 하우징 224:전자회로부
225:코일 226:마그넷
210:신호처리부 212:배터리 수용부
220:배터리 하우징 224:전자회로부
225:코일 226:마그넷
Claims (17)
- 외부의 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신호처리부와,
변환된 전기 신호를 인체 내에 이식된 전기적 자극 발생 장치에 전달하는 송신부와,
상기 신호처리부 및 송신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내부 일측에 배터리 수용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인공와우용 음향처리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배터리 수용 공간 외측으로 결합되는 배터리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인공와우용 음향처리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하우징은 배터리의 일면에 접촉되어 배터리를 상기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인공와우용 음향처리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하우징은 일측에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와우용 음향처리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하우징의 일단은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와우용 음향처리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충전식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와우용 음향처리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부 표면에는 지향성 마이크가 배치되어 있는 인공와우용 음향처리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외부 표면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지향성 마이크는 상기 돌출부의 측면으로 노출되어 있는 인공와우용 음향처리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부 표면에는 외부의 유무선 전자기기의 신호를 수신하는 연결 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인공와우용 음향처리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부 표면에는 볼륨 on/off 및 볼륨 조절 스위치가 배치되어 있는 인공와우용 음향처리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부 표면에는 신호처리 모드를 변경하는 전환 스위치가 배치되어 있는 인공와우용 음향처리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부 표면 중 인체의 피부와 접촉하는 면은 유동하는 액체가 배출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인공와우용 음향처리기.
- 제1항에 있어서, 인체 내에 이식된 전기적 자극 발생 장치와의 비접촉식 결합을 위한 마그넷을 상기 케이스 내에 더 포함하는 인공와우용 음향처리기.
- 외부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활성전극 및 기준전극을 포함하는 체내이식장치와;
외부의 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체내이식장치에 전자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송신부와, 상기 신호처리부 및 송신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내부 일측에 배터리 수용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음향처리기;를 포함하는
인공와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전극은 단일 전극 와이어로서 두께가 다른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인공와우.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전극은 두께가 서로 다른 세 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수신부에 인접한 제1영역, 제1영역 보다 두께가 작은 제2영역과, 제2영역 보다 두께가 작은 제3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와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체내이식장치와 음향처리기는 각각 내부에 마그넷을 더 포함하며, 자기적 인력에 의하여 피부를 매개로 비접촉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와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2717U KR20100006338U (ko) | 2010-03-16 | 2010-03-16 | 인공와우용 음향처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와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2717U KR20100006338U (ko) | 2010-03-16 | 2010-03-16 | 인공와우용 음향처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와우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44420A Division KR20090118558A (ko) | 2008-05-14 | 2008-05-14 | 인공와우용 음향처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와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6338U true KR20100006338U (ko) | 2010-06-22 |
Family
ID=44451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02717U KR20100006338U (ko) | 2010-03-16 | 2010-03-16 | 인공와우용 음향처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와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06338U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44596A (ko) * | 2019-10-15 | 2021-04-23 | 주식회사 토닥 | 체내 통신을 이용한 인공와우 시스템 |
-
2010
- 2010-03-16 KR KR2020100002717U patent/KR20100006338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44596A (ko) * | 2019-10-15 | 2021-04-23 | 주식회사 토닥 | 체내 통신을 이용한 인공와우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35078B1 (ko) | 인공와우 | |
US8641596B2 (en) | Wireless communication in a multimodal auditory prosthesis | |
EP2191663B1 (en) | Bone conduction hearing device with open-ear microphone | |
US7266208B2 (en) | Auditory aid device for the rehabilitation of patients suffering from partial neurosensory hearing loss | |
US9630006B2 (en) | Wearable alarm system for a prosthetic hearing implant | |
US20120041515A1 (en) | Wireless remote device for a hearing prosthesis | |
US7512448B2 (en) | Electrode placement for wireless intrabody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of a hearing system | |
US20050033384A1 (en) | Cochlear ear implant | |
US9119010B2 (en) | Implantable sound transmission device for magnetic hearing aid, and corresponding systems, devices and components | |
AU2007257859A1 (en) | Button processor for cochlear implants | |
US11878168B2 (en) | Microphone assembly for use with an off-the-ear sound processor | |
US10238871B2 (en) | Implantable medical device arrangements | |
CN204521064U (zh) | 人耳赝复体 | |
KR20090118558A (ko) | 인공와우용 음향처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와우 | |
KR20100006338U (ko) | 인공와우용 음향처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와우 | |
US20070053534A1 (en) | Behind-the-ear speech processor for cochlear implant systems | |
KR200449559Y1 (ko) | 인공와우용 음향처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와우 | |
US20240205621A1 (en) | System and method for bilateral bone conduction coordination and balancing | |
WO2005007049A1 (en) | Behind-the-ear speech processor for cochlear implant systems | |
WO2016130095A1 (en) | Wireless implantable bone conduction energy harvesting hearing aid device | |
CN101849871A (zh) | 耳蜗植入物 | |
JP2006508567A (ja) | 埋込まれた外耳管補聴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