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6241A - 시각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시각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6241A
KR20100006241A KR1020080066385A KR20080066385A KR20100006241A KR 20100006241 A KR20100006241 A KR 20100006241A KR 1020080066385 A KR1020080066385 A KR 1020080066385A KR 20080066385 A KR20080066385 A KR 20080066385A KR 20100006241 A KR20100006241 A KR 20100006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information
terminal
received
visual information
management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6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수호
김영식
최용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066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6241A/ko
Publication of KR20100006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241A/ko

Links

Images

Landscapes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복수의 관리대상기기의 시각정보를 관리하는 시각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각정보를 관리하는 서버가 단말을 이용하여 복수의 관리대상기기의 시각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은, (a) 복수의 관리대상기기 각각으로부터 시각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수신한 시각정보가 동기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단말로 시각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시각정보를 상기 복수의 관리대상기기로 전송하며 시각정보 업데이트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홈 네트워크, 이동통신 단말, 시각정보

Description

시각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MANAGEMENT METHOD OF TIME INFORMATION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복수의 관리대상기기의 시각정보를 관리하는 시각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biquitous Sensor Network, USN)란, 센서 노드를 통해 감지된 사물 인식 정보 또는 주변 환경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즉,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는 궁극적으로 모든 사물에 컴퓨팅 및 통신 기능을 부여하여 언제(anytime), 어디서나(anywhere) 정보의 교환이 가능한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홈 네트워크(Home Network)란,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 기술이 가정에 적용된 것으로, 가정 내부의 기기들이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통신하고 외부에서는 무선 또는 인터넷을 통해 가정 내부의 기기에 접속 가능한 환경을 구축하는 것을 의미한다. 외부에서도 가정 내부의 냉장고, 에어컨, 전자레인지, TV 등의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기술에서는, 가정 내부의 기기 사이에 유기적인 통신 환경이 구축된다.
그런데, 가정 내부의 기기들은 각각 시각정보를 관리하고 있으며, 이러한 개별적인 시각정보 관리는 전체 홈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에 문제를 일으킨다. 구체적으로, 각 기기들의 상이한 시각정보는 예약관련 서비스의 실행 오차, 사용시간에 따라 과금되는 서비스의 오과금 발생, 문제 발생시 정확한 오류 분석 불가, 장비간 시각정보 차이로 인한 연동 서비스 오류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복수의 관리대상기기의 시각정보를 관리하는 시각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시각정보를 관리하는 서버가 단말을 이용하여 복수의 관리대상기기의 시각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시각정보를 관리하는 서버가 단말을 이용하여 복수의 관리대상기기의 시각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은, (a) 복수의 관리대상기기 각각으로부터 시각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수신한 시각정보가 동기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단말로 시각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시각정보를 상기 복수의 관리대상기기로 전송하며 시각정보 업데이트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단말을 이용하여 복수의 관리대상기기의 시각정보를 관리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단말을 이용하여 복수의 관리대상기기의 시각정보를 관리하는 장치는, 복수의 관리대상기기 각각으로부터 시각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수신한 시각정보가 동기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에서 수신한 시각정보가 동기화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단말로부터 수신한 시각정보를 상기 복수의 관리대상기기로 전송하며 시각정보 업데이트를 요청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복수의 관리대상기기의 시각정보를 관리하는 시각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각정보"란, 시간의 어느 한 시점에 대한 정보를 말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 네트워크는 단말(100), 관리서버(200) 및 복수의 관리대상기기(300-1, 300-2, …, 300-n)를 포함한다. 도 1의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단말(100)은 이동통신 단말로서, 기지국(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현재 시각에 대한 시각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관리서버(200)로부터 시각정보를 요청 받으면, 단말(100)은 단말(100)의 시각정보를 파악하여 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
관리서버(200)는 송수신부(210), 제어부(220) 및 판단부(230)를 포함하며, 복수의 관리대상기기(300-1, 300-2, …, 300-n)의 시각정보가 동기화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단말(100)로 시각정보를 요청한다. 관리서버(2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송수신부(210)는 복수의 관리대상기기(300-1, 300-2, …, 300-n)의 시각정보 및 단말(100)의 시각정보를 수신하고, 복수의 관리대상기기(300-1, 300-2, …, 300-n)로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시각정보를 전송하며 업데이트를 요청한다.
판단부(230)는 복수의 관리대상기기(300-1, 300-2, …, 300-n)의 시각정보가 동기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220)는 송수신부(210) 및 판단부(230)의 동작을 제어한다.
복수의 관리대상기기(300-1, 300-2, …, 300-n)는 복수의 관리대상기기(300-1, 300-2, …, 300-n)의 시각정보를 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 또한, 관리서버(200)로부터 단말(100)의 시각정보가 포함된 업데이트 요청을 받으면, 복수의 관 리대상기기(300-1, 300-2, …, 300-n)는 수신한 단말(100)의 시각정보를 기초로 시각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정보 관리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정보 관리 방법의 제어 흐름도이다.
복수의 관리대상기기(300-1, 300-2, …, 300-n)는 각 관리대상기기(300-1, 300-2, …, 300-n)의 시각정보를 파악하여, 관리서버(200)로 전송(S101)한다. 이때, 관리대상기기(300-1, 300-2, …, 300-n)의 시각정보의 전송(S101)은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복수의 관리대상기기(300-1, 300-2, …, 300-n)의 시각정보를 수신한 관리서버(200)는, 복수의 관리대상기기(300-1, 300-2, …, 300-n)의 시각정보가 동기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2).
시각정보가 동기화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단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복수의 관리대상기기(300-1, 300-2, …, 300-n)의 시각정보가 동기화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단은, 복수의 관리대상기기(300-1, 300-2, …, 300-n)로부터 수신한 시각정보가 모두 동일한지 여부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복수의 관리대상기기(300-1, 300-2, …, 300-n)의 시각정보가 동기화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단은, 복수의 관리대상기기(300-1, 300-2, …, 300-n)로부터 수신한 시각정보가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시각정보"와 동일한지 여부로 판 단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관리서버(200)는 주기적으로 단말(100)로부터 시각정보를 수신하여야 한다.
복수의 관리대상기기(300-1, 300-2, …, 300-n)의 시각정보가 동기화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관리서버(200)는 "시각정보가 동기화되어 있다는 응답"을 복수의 관리대상기기(300-1, 300-2, …, 300-n)로 전송한다(S103).
반면, 복수의 관리대상기기(300-1, 300-2, …, 300-n)의 시각정보가 동기화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관리서버(200)는 단말(100)로 시각정보를 요청한다(S104).
시각정보를 요청 받은 단말(100)은, 현재 시각에 대한 시각정보를 파악(S105)하고, 파악된 시각정보를 관리서버(200)로 전송(S106)한다.
단말(100)로부터 단말(100)의 시각정보를 수신한 관리서버(200)는 복수의 관리대상기기(300-1, 300-2, …, 300-n)로 단말(100)의 시각정보를 전송하며, 시각정보 업데이트를 요청한다(S107).
업데이트 요청을 받은 복수의 관리대상기기(300-1, 300-2, …, 300-n)는 수신한 단말(100)의 시각정보를 기초로 업데이트를 수행(S108)하고, 업데이트 완료 응답을 관리서버(200)로 전송(S109)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복수의 관리대상기기(300-1, 300-2, …, 300-n)의 시각정보가 동기화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단말(100)로 시각정보를 요청하여 복수의 관리대상기기(300-1, 300-2, …, 300-n)의 시각정보를 동기화하는 내용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복수의 관리대상기기(300-1, 300-2, …, 300-n)의 시각정보 동기 화 여부와 무관하게, 단말(100)이 주기적으로 단말(100)의 시각정보를 관리서버(200)를 통해 복수의 관리대상기기(300-1, 300-2, …, 300-n)로 전송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시각정보는 동기화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정보 관리 방법의 제어 흐름도이다.

Claims (7)

  1. 시각정보를 관리하는 서버가 단말을 이용하여 복수의 관리대상기기의 시각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복수의 관리대상기기 각각으로부터 시각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수신한 시각정보가 동기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단말로 시각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시각정보를 상기 복수의 관리대상기기로 전송하며 시각정보 업데이트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각 정보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i) 수신한 시각정보가 동기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ii) 수신한 시각정보가 동기화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단말로 시각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각 정보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i) 단계의 판단은,
    상기 수신한 시각정보가 동일한지 여부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정보 관리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i) 단계의 판단은,
    상기 수신한 시각정보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시각정보와 동일한지 여부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정보 관리 방법.
  5. 단말을 이용하여 복수의 관리대상기기의 시각정보를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관리대상기기 각각으로부터 시각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수신한 시각정보가 동기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에서 수신한 시각정보가 동기화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단말로부터 수신한 시각정보를 상기 복수의 관리대상기기로 전송하며 시각정보 업데이트를 요청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시각 정보 관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에서의 판단은,
    상기 복수의 관리대상기기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시각정보가 동일한지 여부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정보 관리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에서의 판단은,
    상기 복수의 관리대상기기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시각정보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시각정보와 동일한지 여부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정보 관리 장치.
KR1020080066385A 2008-07-09 2008-07-09 시각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000062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385A KR20100006241A (ko) 2008-07-09 2008-07-09 시각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385A KR20100006241A (ko) 2008-07-09 2008-07-09 시각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241A true KR20100006241A (ko) 2010-01-19

Family

ID=41815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6385A KR20100006241A (ko) 2008-07-09 2008-07-09 시각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624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814A (ko) * 2019-10-24 2021-05-04 (주)에이텍티앤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를 이용한 시각 동기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814A (ko) * 2019-10-24 2021-05-04 (주)에이텍티앤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를 이용한 시각 동기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95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ccess between home device and external server in home network system
US9008519B2 (en) Wireless network system, wireless device, and network registration medthod of the wireless device
CN100518104C (zh) 用于网络测速系统的测速资源动态分配方法及系统
US20060212136A1 (en) Method of controlling plurality of home devices using single controller and system thereof
US20130067544A1 (en) System for authentication management of a sensor node having a subscription processing function,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ystem
US94177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rolled device included in network
CN102106120B (zh) 用于在接入点中注册装置的方法和设备
JP5622322B2 (ja) 通信共存システムによる通信共存方法
CN103003809A (zh) 用于管理远程用户界面的设备和方法及系统
KR20100006241A (ko) 시각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JP2005303669A (ja) 無線lanシステム、送信電力制御方法、位置管理方法および送信電力制御プログラム
CN102281299A (zh) 互动业务处理方法及业务控制层服务器
KR20170042946A (ko) 버퍼 크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824641B2 (en) Access to a service
KR101744858B1 (ko) 보안키 관리장치 및 그 방법
CN103716368A (zh) 利用具备wifi模块的可视电话的远程控制装置
KR20170025550A (ko) 게이트웨이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60139141A (ko) 전자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이용 방법.
KR100912537B1 (ko) Iptv 단말의 원격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804022B1 (ko) LTE 단말기를 이용하여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46747B1 (ko) 전력 관리 시스템
KR20150019152A (ko) 펌웨어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30057638A (ko) 통신망 관리 시스템 및 통신망 관리 방법
KR101368010B1 (ko) 개인환경서비스를 위한 인프라 시스템
KR102379865B1 (ko) IoT 허브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