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839U - 실내용 분리수거 휴지통 - Google Patents

실내용 분리수거 휴지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839U
KR20100005839U KR2020080015923U KR20080015923U KR20100005839U KR 20100005839 U KR20100005839 U KR 20100005839U KR 2020080015923 U KR2020080015923 U KR 2020080015923U KR 20080015923 U KR20080015923 U KR 20080015923U KR 20100005839 U KR20100005839 U KR 201000058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indoor
waste
cover
garb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59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협
Original Assignee
(주)은혜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은혜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은혜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20200800159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5839U/ko
Publication of KR201000058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83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65F1/0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the receptacles being divided in compartments by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65F1/065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with means aiding the insertion of the flexible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반 가정집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에서 발생하는 소규모 쓰레기 즉, 실내바닥을 비로 쓸어서 만들어진 머리카락 등의 쓰레기와 화장할 때 발생하는 클렌징 휴지 등의 쓰레기 및 작은 약병 등을 버릴 때, 재활용 쓰레기와 폐기용 쓰레기를 분리해서 버릴 수 있도록 안출된 실내용 분리수거 휴지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내용 분리수거 휴지통은, 휴지통을 구성하는 외부 몸통과 이 몸통 내부 중앙에 수직간으로 결합되어 두 개의 공간을 형성하는 격판 및 두 개의 비닐봉투를 몸통 안에 장착하는 홀더 링과 두 개의 투입구를 구성하는 회전뚜껑이 결합된 덮개가 결합 구성되어,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한다.
휴지통, 분리수거, 덮개

Description

실내용 분리수거 휴지통{The interior separate collection wastebasket}
본 고안은 일반 가정집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에서 발생하는 소규모 쓰레기 즉, 실내바닥을 비로 쓸어서 만들어진 머리카락 등의 쓰레기와 화장할 때 발생하는 클렌징 휴지 등의 쓰레기 및 작은 약병 등을 버릴 때, 재활용 쓰레기와 폐기용 쓰레기를 분리해서 버릴 수 있도록 안출된 실내용 분리수거 휴지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내용 분리수거 휴지통은,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재를 원료로 하여 금형으로 사출성형 하는 것으로서, 휴지통을 구성하는 외부 몸통과 이 몸통 내부 중앙에 수직간으로 결합되어 두 개의 공간을 형성하는 격판 및 두 개의 비닐봉투를 몸통 안에 장착하는 홀더 링과 두 개의 투입구를 구성하는 회전뚜껑이 결합되는 실내용 분리수거 휴지통을 제공하는 것을 배경기술로 한다.
선행기술로는, 국내실용신안 공고번호 제1996-2886호 분리수거 형 조립식 휴지통(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 을 비롯하여, 국내실용신안 공고번호 제1997-885호 분리수거 휴지통(이하 선행기술 2”라 함), 국내실용신안 등록번호 제314361호 서랍 형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이라 선행기술 3”이라 함), 국내실용신안 등록번호 제389915호 휴지통(이하 “선행기술 4”라 함)이 공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선행기술 1의 핵심 내용인 청구의 범위를 살펴보면, “휴지통 전체의 부분품으로 분리하여 주입구가 두 개에 가장자리 이중협지체가 형성된 상부판과 가장자리 이중협지 테가 형성된 하부 판 그리고 직사각형 네 주벽을 대각선 방향으로 이등분 시킨 크기로 코나 일 측에 종으로 수 개의 경첩 식 힌지가 형성되고 장 측 주벽의 상부단의 양쪽으로 두 개의 걸고리가 형성되고 하부단체로 다수개의 돌출 단이 형성 된 계단 형 장, 단 측 주벽으로 각각 분리시켜서 된 분리수거 형 조립식 휴지통.” 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 요소와 상이한 고안임을 알 수 있고;
선행기술 2의 핵심 내용인 청구의 범위를 살펴보면, “「청구 항 1」 용기의 전면이 반원호로 만곡 되어 최소 2개 이상의 뚜껑프레임과 결합되며, 전후로 개폐되는 뚜껑과 개폐 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수거 휴지통. 「청구 항 2」 용기에 결합되는 뚜껑프레임을 회동자재 되는 링크로 연결하여 일 측의 뚜껑프레임이 타 측의 뚜껑프레임 상측으로 이동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수거 휴지통.”인 것으로 볼 때 역시 본 고안의 구성요소와는 전혀 상이한 고안임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선행기술 3은, 서랍이 적층으로 구성되는 서랍형의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 인 것으로 볼 때, 본 고안과 비교할 필요도 없이 전혀 다른 고안임을 알 수 있으며;
선행기술 4에 기재된 청구범위를 살펴보면, “「청구 항 1」 상부가 개구되는 내부 공간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간부를 좌우로 구획하기 위한 격벽을 설치하며 상기 격벽에 의해 좌우로 구획된 공간부의 전방으로는 인출이 형성된 본체; 상기 인출공을 통해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게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된 각각의 공간부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쓰레기를 수용할 수 있게 상부만이 개구된 수용부를 갖는 수거함들;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격벽에 의해 좌우로 구획된 각각의 공간부를 개폐할 수 있게 시이소 작동되게 힌지로 결합되어 상기 수거함들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휴지통.
「청구 항 2」상기 본체의 양측 벽면에는 제1손잡이가 설치되고 상기 수거함의 전방에는 제2손잡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통. 「청구 항 3」상기 본체의 바닥판에 상하부를 관통하는 제1바퀴들을 설치하며 상기 본체의 바닥판 중앙부에는 전방으로 개구되는 안내홈을 형성하고 이 안내홈을 따라 삽입될 수 있는 제2바퀴들을 상기 수납함의 저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통. 에 관한 것 으로서, 상기의 선행기술 4를 본 고안과 비교해 볼 수는 있으나, 본 고안은 격벽도 서랍도 복잡하게 형성하지 않고 하나의 통 안에 링을 이용하여 두 개의 봉투를 넣어서 쓰레기를 분리수거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서, 고안의 목적에서부터 물품을 구성하는 요소들과 작용효과 면에 있어서 비교될 수 없는 상이한 고안임을 알 수 있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선행기술들로 얻지 못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일반 가정집의 방이나 거실, 주방, 화장실 및 사무실과 같이 실내 생활에서 발생하는 재활용 불가 쓰레기 및 재활용이 가능한 작은 약병, 식품포장지, 휴지 등을 버릴 때, 효과적으로 분리해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상부가 다소 넓고 상부에 비해 하부가 다소 좁은 상광 하협 형으로 몸통을 형성하고 이 몸통의 상부 내측에는 지지날개와 고정 돌기와 직각상의 단 턱을 형성한다.
이 단 턱에는 고정 돌기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부테두리가 마치 성벽처럼 다소 높게 형성되어 내부 중앙에는 수직간 내실격벽을 장치하여 그 상부 양쪽에 두 개의 홀더 링을 장치하며 이 홀더 링에는 쓰레기를 분리하여 담을 수 있도록 하는 비닐봉투를 장치하고 상부에는 앞뒤 어느 방향으로든지 360° 회전이 자유로운 두 개의 덮개를 가진 덮개하우징을 결합 구성함으로서 분리배출이 용이하도록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내용 분리수거 휴지통은, 도면 및 설명으로 알 수 있게 되는 바와 같이, 하나의 몸통으로 형성하는 휴지통 내부에 내실격벽을 결합하는 수단으로 두 개의 공간을 형성한 후, 두 개의 홀더 링으로 두 개의 비닐봉투를 장치하여 실내에서 발생하는 휴지 등의 쓰레기를 쉽고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휴지통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휴지통이 결합된 상태의 내부 및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서 덮개하우징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a는 본 고안의 실시상태 내부를 설명하는 횡 방향 단면도이며, 3b는 상기 도 3a의 A부 점선원내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4는 두 개의 덮개 중 한 개의 덮개가 열려진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휴지통 전체 구조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로서, 도 5를 통하여 살펴보면, 상부에는 둘레 면을 따라 일정한 높이의 상부테두리(10')와 단 턱(10b)이 형성되고 고정 돌기(10a)(10a')와 지지날개(10c)가 형성된다.
이때의 고정 돌기(10a)(10a')는 도 5에서 일 측에만 표시되어 있지만 그와 대향한 맞은편에도 동일하게 형성되어, 하기의 내실격벽(20)을 장치하는 고정고리기능을 제공하며, 지지날개(10b)는 하기의 홀더 링(30)(30')을 고정시켜주는 고정고리기능을 제공한다.
이어서 상기 내실격판(20)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구멍을 가진 얇은 판 체 테두리에 보강용 리브(20a)가 형성하는 한편 상면 리브(20a')의 길이방향 중앙에 리브격벽(20c)을 형성하고 또 상기 리브격벽(20c) 양쪽 난간에는 상기의 지지날개(20b)를 형성하며 또한 양쪽 끝에는 직각상의 걸림부(20d)를 형성하여 상기 몸통(10) 내부 중앙에 수직으로 결합한다.
몸통(10) 내부에 결합할 때는 내실격판(20)의 상단부분 양쪽 끝에 형성한 걸림부(20d)를 상기 몸통(10)의 난간에 형성한 고정 돌기(10a)(10b)사이에 끼워서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결합하게 되면, 도 3a에 예시한 바와 같이 몸통(10)은 하나이지만 내실격판(20)이 끼워지면서 하나의 공간을 양쪽으로 나누어서 두 개의 공간 이 형성된다.
아울러서 홀더 링(30)(30')을 사용하여 비닐봉투(50)를 두 개의 공간에 하나씩 장치하게 되면 폐기용과 재활용 쓰레기를 분리해서 배출할 수 있게 되는 실내용 분리수거 휴지통이 제공된다.
한편, 비닐봉투(50)를 장치하는 홀더 링(30) (30')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바깥둘레는 수직상의 벽면으로 형성하되, 내측 면에는 홀더 링(30)(30')이 휨 또는 구부러짐 등으로 훼손 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비닐봉투(50)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수직상의 벽면과 직각을 이루는 리브 링(30a)(30a')을 형성한다.홀더 링(30)(30')에 비닐봉투(50)를 장치할 때는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비닐봉투(50)의 입구를 벌린 상태에서 개구부 끝부분을 홀더 링(30)(30')전체에 감고 홀더 링(30)(30') 밑 둘레 면이 몸통(10)의 단 턱(10b)과 내실격판(20)의 상면 리브(20a')에 얹혀 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실시하게 되면, 비닐봉투(50)의 개구부가 감겨져있는 홀더 링(30)(30')이 내실격판(20)의 리브격벽(20c)과 지지날개(20b)사이 밑 몸통(10) 상부 내측에 형성한 지지날개(10c)와 상부테두리(10a) 사이에 끼워져서 비닐봉투(50)는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덮개하우징(40)은, 양쪽으로 투입구를 형성하고 밑 둘레 면을 따라 끼움 부(40a)와 태두리 날개(40b)를 형성하며, 상기 형성한 덮개하우징(40)의 투입구에는 각각의 덮개(41a)(41b)를 형성하여 360°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한다.
이어서 상기 형성한 덮개하우징(40)을 몸통(10)에 결합한다.
상기의 덮개(41a)(41b)는 힌지를 중심으로 360°회전하여 어느 방향에서든지 쓰레기 투입이 가능하게 되고, 채워진 쓰레기를 배출할 때에는 몸통(10)으로부터 덮개하우징(40)을 분리한 후 홀더 링(30)(30')에 감겨져 있는 비닐봉투(50)를 풀어서 배출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휴지통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휴지통이 결합된 상태의 내부 및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서 덮개하우징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의 실시상태 내부를 설명하는 횡 방향 단면도
3b는 상기 도 3a의 A부 점선원내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두 개의 덮개 중 한 개의 덮개가 열려진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휴지통 전체 구조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통 20 : 내실격판
30, 30' : 홀더 링 40 : 덮개하우징
41a, 41b : 덮개

Claims (1)

  1. 폐기용 쓰레기와 재활용 쓰레기를 분리해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윗부분이 다소 넓은 상광하협 형의 몸통(10)과;
    하나의 몸통(10) 공간을 두 개의 공간으로 형성하고 양쪽의 홀더 링(30)(30')을 지지하는 받침대 역할을 하며 필요할 때 언제든지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리브격판(20)과;
    분리수거하는 비닐봉투(50)(50')의 개구부를 감아서 양쪽으로 장치하는 홀더 링(30)(30')과;
    하나의 덮개하우징(40)에 두 개의 투입구를 마련해서 양 방향으로 360° 회전이 가능하게 한 각각의 덮개(41a)(41b)를 결합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분리수거 휴지통.
KR2020080015923U 2008-11-29 2008-11-29 실내용 분리수거 휴지통 KR2010000583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923U KR20100005839U (ko) 2008-11-29 2008-11-29 실내용 분리수거 휴지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923U KR20100005839U (ko) 2008-11-29 2008-11-29 실내용 분리수거 휴지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839U true KR20100005839U (ko) 2010-06-08

Family

ID=44451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5923U KR20100005839U (ko) 2008-11-29 2008-11-29 실내용 분리수거 휴지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583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0729A (ko) * 2019-09-10 2021-03-18 창신리빙(주) 다양한 크기의 쓰레기봉투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쓰레기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0729A (ko) * 2019-09-10 2021-03-18 창신리빙(주) 다양한 크기의 쓰레기봉투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쓰레기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16999A1 (en) Secure trash container assembly
US4940159A (en) Compartmented refuse container
KR100900781B1 (ko) 주방가구에 장착되는 쓰레기 수거함
KR20160018189A (ko) 쓰레기 분리 수거함
KR101639476B1 (ko) 분리수거함
KR20100005839U (ko) 실내용 분리수거 휴지통
US5269435A (en) Garbage pail
KR200468598Y1 (ko) 인출식 비닐봉지가 수납된 쓰레기통
KR20180069163A (ko) 가정용 분리수거형 쓰레기통
RU195106U1 (ru) Многосекционная емкость для отдельного сбора мусора
WO2013056860A1 (en) Vented receptacle for storing a plurality of waste types
KR200417407Y1 (ko) 쓰레기통
KR100943293B1 (ko) 가정용 분리수거 쓰레기통
CN210437846U (zh) 多功能组合式垃圾桶
CN211593759U (zh) 一种垃圾分类桶
KR20100001516U (ko) 분리수거용 쓰레기함
KR200492276Y1 (ko) 위생용품 수거함
KR101727667B1 (ko) 다기능 보관 용기
JP3210784U (ja) ごみ仕分け収納箱
KR950006524Y1 (ko)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CN215247161U (zh) 除臭分类垃圾桶
CN210913883U (zh) 一种方便垃圾分类存放的垃圾桶
CN210479738U (zh) 一种组装式垃圾桶
CN210456076U (zh) 一种分类垃圾桶
CN215363062U (zh) 具有分类功能的堆叠式家用垃圾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