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425A - 한우 정육 및 부산물의 이력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한우 정육 및 부산물의 이력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425A
KR20100005425A KR1020080065454A KR20080065454A KR20100005425A KR 20100005425 A KR20100005425 A KR 20100005425A KR 1020080065454 A KR1020080065454 A KR 1020080065454A KR 20080065454 A KR20080065454 A KR 20080065454A KR 20100005425 A KR20100005425 A KR 20100005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laughter
cattle
meat
produ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5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순년
Original Assignee
유순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순년 filed Critical 유순년
Priority to KR1020080065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5425A/ko
Publication of KR20100005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4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10/0875Itemisation or classification of parts, supplies or services, e.g. bill of materi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우의 정육 및 부산물들에 대하여 소비자가 안심하고 소비할 수 있도록 한우의 사육, 도축, 가공, 판매의 각 단계별로 정보를 기록하여, 소비자가 자신이 구입한 정육 또는 부산물의 이력을 온라인상에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우 정육 및 부산물의 이력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한우의 출생시 고유코드를 부여하고 사육, 도축, 가공, 유통 단계에서 해당 한우의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관리서버에서 입력받은 해당 한우의 사육정보, 도축정보, 가공정보, 유통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해당 한우의 출생지, 출생년월일, 사육장정보, 사육자정보, 사료의 성분, 예방접종 내역, 병력을 포함하는 사육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사육장 단말기와; 해당 한우의 도축년월일, 도축장정보, 도축자정보, 정육의 종류 및 수량, 부산물의 종류 및 수량, 각 유통업체 별로 제공된 정육 및 부산물의 수량을 포함하는 도축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도축장 단말기와; 가공된 제품의 고유번호, 판매한 제품의 수량 및 판매자 정보를 포함하는 유통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유통업체 단말기와; 소비자에 의해 입력된 제품 고유번호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해당 제품의 이력을 수신하는 소비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한우 정육 및 부산물의 이력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Korean beef cattle past record tracking system and the method}
본 발명은 한우 정육 및 부산물의 이력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우의 사육, 도축, 가공, 판매의 각 단계별로 정보를 기록하고 소비자가 원하는 경우에 그 이력을 공개함으로써 한우의 정육 및 부산물들에 대하여 소비자가 안심하고 소비할 수 있도록 하는 한우 정육 및 부산물의 이력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한우의 도축과정에서 나오는 안심, 등심, 채끝, 목심, 앞다리, 우둔, 설도, 양지, 사태, 및 갈비 등의 정육을 포함하여 적용이 가능하며, 뼈, 내장, 신경조직, 뇌, 머리, 가죽, 피, 위, 곱창 등의 모든 부산물을 포함하여 적용이 가능하다.
최근 광우병에 대한 위험요소 때문에 소고기 소비가 위축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소고기 소비의 위축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고기에 대한, 그리고 소고 기의 부산물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소고기의 소비를 촉진하고, 신뢰감을 주고자 한다.
먼저, 광우병에 대하여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광우병의 정확한 병리학 명칭은 우뇌해면증(牛腦海綿症, Bovine Spongiform Ecephalopathy)이고, 4~5세의 소에서 주로 발생하는 전염성 뇌질환으로서, 소의 뇌조직이 해면처럼 구멍이 뚫리는 치명적인 질병이다.
이 병은 프리온 단백질의 화학구조에 의해 발생하며, 증상은 근육이 위축되어 아무 데나 들이받고 잘 걷거나 서지 못하며, 갑자기 미친 듯이 포악해지고 정신이상과 거동불안, 그리고 난폭해지는 등의 행동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1986년 영국에서 16마리의 소가 이 병에 걸린 것이 처음 발견되었으며, 이후 매년 발병률이 급격히 증가해 1996년에는 영국 젖소의 55%인 16만 마리가 이 병에 걸렸다고 알려졌다.
1996년 3월 영국의 보건부장관이 광우병의 원인이 되는 프리온 단백질의 화학구조가 야곱병을 일으키는 원인물질과 비슷하다는 연구결과를 받아들여, 광우병이 인간에게 감염될 가능성을 인정함으로써 세계의 육류업계에 커다란 타격을 입혔다.
이 무렵 영국의 의학전문가위원회는 광우병과의 접촉으로 인간에게 감염될 가능성이 있는 야곱병은, 종래에는 고령자에게 나타나는 병이라고 생각되어왔으나 새로운 종은 젊은이에게도 걸릴 우려가 있다고 경고하였다. 사실 이 무렵 신종의 야곱병에 걸린 환자는, 60세 이상이 많았던 과거와는 달리 18~41세까지의 비교적 젊은 연령층이었다. 또 병에서 사망까지의 기간이 종래의 4개월보다 긴 1년이며, 병원체로 보이는 프리온이 뇌 전체에 퍼져 있는 것이 고령의 환자와는 뇌파의 패턴이 다르다는 것이다.
영국은 광우병에 대한 조사 보고와 함께 1996년 3월 소고기의 일시 판매중지를 선언하고 유럽연합도 영국산 소고기에 대한 전면 금수조치를 취하였다. 그후 유럽의 소고기 소비량은 40%나 감소하고 수많은 소가 떼죽음을 당하여 유럽 전역의 육류시장과 농가에 커다란 피해를 입혔다.
광우병이 본격적인 관심을 끈 이유는 1996년 3월 영국 정부가 광우병에 걸린 소를 먹으면 사람도 비슷한 병에 걸릴 수 있다고 발표했기 때문이다. 영국 정부는 광우병의 증세가 사람에게 나타나는 악성 치매질환인 크로이츠펠트-야콥병(CJD)의 증세와 유사하다는 점에 주목했다. 하지만 명확한 인과관계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광우병에 걸린 소를 먹은 사람이 크로이츠펠트-야콥병과 유사한 변종 크로이츠펠트-야콥병(vCJD) 증세로 사망하는 사고가 영국을 비롯한 스페인ㅇ독일 등에서 발생하면서 광우병이 사람에게 전염될 가능성이 더욱 높아졌으며 이에 따라 전세계가 광우병 예방 대책을 서두르고 있다.
광우병(우뇌해면증)의 발병 원인은 소의 사료에 있다. 1980년대 초부터 영국은 젖소의 우유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양과 소의 장기, 뼈, 살코기를 소의 사료 원료로 사용했다. 소에게 단백질을 충분히 공급하기 위해서였다.
양에게는 광우병과 같은 증상을 일으키는 스크래피(scrapie)라는 병이 있다. 스크래피는 200여 년 전 스페인에서 처음 발견되었는데, 주로 영국에서 발견되는 풍토병으로 알려졌다. 이 병에 걸린 양은 자신의 몸을 긁거나 비비기 때문에(긁는다는 뜻의 scratch에서 병명이 유래했다) 털이 빠지고, 광우병에 걸린 소처럼 신경마비 증세를 보인다.
현재 광우병(우뇌해면증)을 일으키는 원인 물질은 프리온(prion)으로 밝혀졌다. 프리온은 핵산을 포함하지 않는 단백질로 정상적인 동물이나 사람의 뇌에 존재하는 물질이다. 그런데 스크래피에 걸린 양, 광우병에 걸린 소, 크로이츠펠트-야콥병 환자의 뇌에서 프리온이 변질된 형태로 발견되었다. 또한 변질된 프리온이 전염력을 가지고 있음이 입증되었다. 과학자들은 이 변형된 프리온을 먹을 경우 그것이 소화기에서 뇌까지 도달하여 정상적인 프리온을 질병 프리온으로 변화시키며 증식한다는 사실을 발견해냈다.
상기와 같은 광우병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는 소의 월령이 30개월이 되기 전에 도축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현재 한우에 대해서는 30개월이 되기 전에 도축이 되기 때문에 이런 위험요소가 거의 없는 걸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종래의 유통구조에서는 미국이나 호주에서 수입된 소고기가 국내산 한우 고기로 둔갑되어 유통되기도 하여, 소비자들의 신뢰성을 상실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해 소고기 이력제가 일부 실시되기도 하는데, 고급 식당에 한하여 극히 일부분 만 이루어지고 있으며, 정육에 대하여만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뼈, 내장, 신경조직, 뇌, 머리, 가죽, 피, 위, 곱창 등의 부산물에 대하여는 이력제가 전혀 실시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재의 상황이다.
그러나, 곰탕, 설렁탕, 갈비탕, 육개장, 곱창구이 등 부산물을 즐겨먹는 한 국인의 특성상 부산물의 이력제가 더욱 절실히 필요하다.
이에 본 출원인은 정육 뿐 만 아니라 도축과정에서 나오는 모든 부산물에 대하여도 이력제를 실시하고 온라인 상에서 소비자가 직접 그 이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의 필요성을 느끼고 본 발명을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우의 사육, 도축, 가공, 판매의 각 단계별로 정보를 기록하여, 소비자가 자신이 구입한 정육 또는 부산물의 이력을 온라인상에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우 정육 및 부산물의 이력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입 쇠고기가 한우로 둔갑되어 판매되는 것을 방지하여 한우의 정육 및 부산물들에 대하여 소비자가 안심하고 소비할 수 있도록 하는 한우 정육 및 부산물의 이력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한우 정육 및 부산물의 이력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우 정육 및 부산물의 이력추적 시스템은,
한우의 출생시 고유코드를 부여하고 사육, 도축, 가공, 유통 단계에서 해당 한우의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관리서버에서 입력받은 해당 한우의 사육정보, 도축정보, 가공정보, 유 통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사육자에 의해 입력된 해당 한우의 출생지, 출생년월일, 사육장정보, 사육자정보, 사료의 성분, 예방접종 내역, 병력을 포함하는 사육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사육장 단말기와,
도축자에 의해 입력된 해당 한우의 도축년월일, 도축장정보, 도축자정보, 정육의 종류 및 수량, 부산물의 종류 및 수량, 각 유통업체 별로 제공된 정육 및 부산물의 수량을 포함하는 도축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도축장 단말기와,
유통업자에 의해 입력된 가공된 제품의 고유번호, 판매한 제품의 수량 및 판매자 정보를 포함하는 유통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유통업체 단말기와,
소비자에 의해 입력된 제품 고유번호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해당 제품의 이력을 수신하는 소비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우 정육 및 부산물의 이력추적 방법은,
특정의 사육장에서 한우가 출생되면 해당 한우에 대하여 고유번호를 부여하고 해당 한우의 정보입력 페이지를 생성시키는 제1 과정;
해당 한우의 사육이 이루어지는 기간 동안 해당 한우의 출생지, 출생년월일, 사육장정보, 사육자정보, 거세정보, 사료의 성분, 예방접종 내역, 병력을 포함하는 사육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제2 과정;
도축이 이루어지면 해당 한우의 도축년월일, 도축장정보, 도축자정보, 정육의 종류 및 수량, 부산물의 종류 및 수량, 각 유통업체 별로 제공된 정육 및 부산 물의 수량을 포함하는 도축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제3 과정;
정육 및 부산물의 유통이 이루어지는 중에 제품의 가공이 이루어지면 가공된 제품의 고유번호, 판매한 제품의 수량 및 판매자 정보를 포함하는 유통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제4 과정; 및
가공된 제품 고유번호와 이력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기 저장된 해당 한우의 모든 이력을 제공하는 제5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한우 정육 및 부산물의 이력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한우의 사육, 도축, 가공, 판매의 각 단계별로 정보를 기록하여, 소비자가 자신이 구입한 정육 또는 부산물의 이력을 온라인상에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수입 쇠고기가 한우로 둔갑되어 판매되는 것을 방지하고, 한우의 정육 및 부산물들에 대하여 소비자가 안심하고 소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10은 한우의 출생시 고유코드를 부여하고 사육, 도축, 가공, 유통 단계에서 해당 한우의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관리서버를 나타내고,
참조번호 15는 상기 관리서버(10)에서 입력받은 해당 한우의 사육정보, 도축정보, 가공정보, 유통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내고,
참조번호 20은 상기 관리서버(10)에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이 가능하며, 사육자에 의해 입력된 해당 한우의 출생지, 출생년월일, 사육장정보, 사육자정보, 거세정보, 사료의 성분, 예방접종 내역, 병력을 포함하는 사육정보를 상기 관리서버(10)에 전송하는 사육장 단말기를 나타내고,
참조번호 30은 상기 관리서버(10)에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이 가능하며, 도축자에 의해 입력된 해당 한우의 도축년월일, 도축장정보 및 도축자정보와, 해체과정에서 발생된 안심, 등심, 채끝, 목심, 앞다리, 우둔, 설도, 양지, 사태, 및 갈비 등의 정육의 수량과, 뼈, 내장, 신경조직, 뇌, 머리, 가죽, 피, 위, 곱창 등의 모든 부산물의 수량, 각 유통업체 별로 제공된 정육 및 부산물의 수량을 포함하는 도축정보를 상기 관리서버(10)에 전송하는 도축장 단말기를 나타내고,
참조번호 40은 상기 관리서버(10)에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이 가능하며, 유통업자에 의해 입력된 가공된 제품의 고유번호, 판매한 제품의 수량 및 판매자 정보를 포함하는 유통정보를 상기 관리서버(10)에 전송하는 유통업체 단말기를 나타내고,
참조번호 50은 상기 관리서버(10)에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이 가능하며, 소비자에 의해 입력된 제품 고유번호를 상기 관리서버(10)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 버(10)로부터 해당 제품의 이력을 수신하는 소비자 단말기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한우의 정육 및 부산물의 이력을 추적하는 과정을 첨부도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특정의 사육장에서 한우가 출생되면 사육자는 상기 사육장 단말기(20)를 조작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관리서버(10)에 접속하여 한우의 출생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관리서버(10)에서는 한우의 출생신호를 수신한 후 해당 한우에 대하여 고유번호를 부여하고 해당 한우의 정보입력 페이지를 생성시킨다.(S10 과정 참조)
이때, 사육자는 해당 한우의 고유번호가 새겨진 식별표를 만들어 한우의 귀 등에 부착하여 사육기간 동안 언제 어디서나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사육자가 사육장 단말기(20)를 통해 해당 한우의 출생지, 출생년월일, 사육장정보, 사육자정보를 입력하면 그 내용이 정보입력 페이지에 옮겨지고, 상기 데이터베이스(15)에 저장되어 관리가 이루어지게 된다.(S20 과정 참조) 결국, 이 정보를 통해 해당 한우가 언제 어디서 출생되었고 누구에 의해 어디에서 사육되었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추후, 해당 한우의 사육이 이루어지는 기간 동안 사육자는 사육정보의 특이사항이 발생되는 경우마다 그 정보를 상기 사육장 단말기(20)를 통해 정보입력 페이지에 입력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15)에 저장되도록 한다.(S20 과정 참조) 이때, 사육정보는 해당 한우의 거세정보를 포함하며, 해당 한우에게 제공된 사료의 성분, 예방접종 내역, 병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거세정보에는 거세여부, 거세시기, 거세방법 등이 포함된다. 일반적으 로 참고문헌 농림부. 2002. 한우사육 길잡이, 1998. 한우고급육 생산기술, 축산기술연구소. 2000. 한우사육 새기술, 농촌진흥청. 2001. 한우 표준영농교본 등에 의하면 거세(Castration)란 수컷의 정소를 제거하는 것을 일컫는데, 그 목적은 축산분야에서 사역 및 사양관리의 편의성을 높이고, 임의교배를 방지하며, 육질을 개선할 목적으로 이용하고, 수의분야에서는 음낭수종, 잠복정소, 정소염 및 정소종양과 같은 질병치료를 위해 이용된다.
거세는 가급적 조기에 하는 것이 발육과 육질개선효과가 높다고 일반적으로 언급되고 있으나 최근 거세시기에 대한 논란이 활발해지고 있다. 초기에는 송아지가 받는 스트레스로 인한 증체량감소를 감안하여 가급적 조기에 실시할 것을 권장하였지만, 일당증체량 및 육질자료를 바탕으로 할 때 3 내지 8개월령까지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이야기하고 있다. 최근에는 너무 일찍 거세를 하면 증체가 나쁘고 요결석증의 피해를 입을 수 있어 시기를 다소 늦추는 경향이 있지만 거세시기가 12개월령 이상으로 너무 늦어지면 일당증체량에는 유리한 효과가 있으나 육질이 나빠지고 등급이 낮아질 가능성이 높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송아지 거래가 4 내지 6개월령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송아지를 구입할 때가 거세적기에 해당된다고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송아지 구입시 수송스트레스를 없애고 건강을 회복시킨 후 적당한 시기에 거세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특정 기간의 사육과정이 이루어진 후 도축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도축자가 도축장 단말기(30)를 통해 해당 한우의 도축년월일, 도축장정보, 도축자정보를 입력하면 그 내용이 정보입력 페이지에 옮겨지고, 상기 데이터베이스(15)에 저 장되어 관리가 이루어지게 된다.(S30 과정 참조) 결국, 이 정보를 통해 해당 한우가 언제 어디서 누구에 의해 도축되었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축과정에서 도축자는 다양한 도축정보를 도축장 단말기(30)를 통해 정보입력 페이지에 입력하게 된다.(S30 과정 참조) 예를 들어, 해체과정에서 발생된 안심, 등심, 채끝, 목심, 앞다리, 우둔, 설도, 양지, 사태, 및 갈비 등의 정육의 수량과, 뼈, 내장, 신경조직, 뇌, 머리, 가죽, 피, 위, 곱창 등의 모든 부산물의 수량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정육 및 부산물은 판매가능한 상태의 제품으로 가공이 이루어지는데, 각 제품마다 고유번호가 부여되고 그 고유번호는 다시 도축장 단말기(30)를 통해 정보입력 페이지에 입력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15)에 저장된다.(S40 과정 참조) 이 과정을 통해 도축장에서 어느 유통업체에 제공한 정육 및 부산물의 수량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제품으로의 가공은 도축장에서 이루어지지 않고 유통업체에서 이루어질 수 도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도축장에서는 각 유통업체 별로 제공된 정육 및 부산물의 수량 만 입력하게 되고, 유통업체에서 가공된 제품의 고유번호 등을 유통업체 단말기(40)를 통해 정보입력 페이지에 입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유통업체 단말기(40)에서는 각 유통업체에서 판매한 제품의 수량 및 판매자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S40 과정 참조)이 과정을 통해 유통업체에서 언제 누구에 의해 누구에게 판매되었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유통업체에서 판매하는 제품을 구매한 소비자는 해당 제품의 이 력을 알고자 하는 경우에 소비자 단말기(50)를 조작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관리서버(10)에 접속하고, 이력추적 페이지에서 제품의 고유번호를 입력시키게 된다.(S50 과정 참조)
상기 제품의 고유번호를 입력받은 관리서버(10)는 데이터베이스(15)로부터 해당 제품의 이력에 대한 정보를 모두 호출하여 제공함으로써 소비자 단말기(5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다.(S50 과정 참조) 결국, 이를 통해 소비자는 자신이 구매한 제품의 모든 이력을 알 수 있게 된다. 즉, 언제 어느 사육장에서 누구에 의해 어떤 사료를 먹이면서 사육되었는지, 언제 어느 도축장에서 누구에 의해 도축되어 정육 및 부산물의 수량은 얼마인지, 언제 어느 유통업체에서 제품으로 가공되었는지 등을 모두 알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한우 정육 및 부산물의 이력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소비자들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게 된다.
상기 도면과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한우의 사육, 도축, 가공, 판매의 각 단계별로 정보를 기록하여, 소비자가 자신이 구입한 정육 또는 부산물의 이력을 온라인상에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하면 수입 쇠고기가 한우로 둔갑되어 판매되는 것을 방지하여 한우의 정육 및 부산물들에 대하여 소비자가 안심하고 소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하여 한우 정육 및 부산물의 이력을 추적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관리서버 15 : 데이터베이스
20 : 사육장 단말기 30 : 도축장 단말기
40 : 유통업체 단말기 50 : 소비자 단말기

Claims (2)

  1. 한우의 출생시 고유코드를 부여하고 사육, 도축, 가공, 유통 단계에서 해당 한우의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관리서버에서 입력받은 해당 한우의 사육정보, 도축정보, 가공정보, 유통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사육자에 의해 입력된 해당 한우의 출생지, 출생년월일, 사육장정보, 사육자정보, 거세정보, 사료의 성분, 예방접종 내역, 병력을 포함하는 사육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사육장 단말기와,
    도축자에 의해 입력된 해당 한우의 도축년월일, 도축장정보, 도축자정보, 정육의 종류 및 수량, 부산물의 종류 및 수량, 각 유통업체 별로 제공된 정육 및 부산물의 수량을 포함하는 도축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도축장 단말기와,
    유통업자에 의해 입력된 가공된 제품의 고유번호, 판매한 제품의 수량 및 판매자 정보를 포함하는 유통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유통업체 단말기와,
    소비자에 의해 입력된 제품 고유번호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해당 제품의 이력을 수신하는 소비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우 정육 및 부산물의 이력추적 시스템.
  2. 특정의 사육장에서 한우가 출생되면 해당 한우에 대하여 고유번호를 부여하 고 해당 한우의 정보입력 페이지를 생성시키는 제1 과정;
    해당 한우의 사육이 이루어지는 기간 동안 해당 한우의 출생지, 출생년월일, 사육장정보, 사육자정보, 사료의 성분, 예방접종 내역, 병력을 포함하는 사육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제2 과정;
    도축이 이루어지면 해당 한우의 도축년월일, 도축장정보, 도축자정보, 정육의 종류 및 수량, 부산물의 종류 및 수량, 각 유통업체 별로 제공된 정육 및 부산물의 수량을 포함하는 도축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제3 과정;
    정육 및 부산물의 유통이 이루어지는 중에 제품의 가공이 이루어지면 가공된 제품의 고유번호, 판매한 제품의 수량 및 판매자 정보를 포함하는 유통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제4 과정;
    가공된 제품 고유번호와 이력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기 저장된 해당 한우의 모든 이력을 제공하는 제5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우 정육 및 부산물의 이력추적 방법.
KR1020080065454A 2008-07-07 2008-07-07 한우 정육 및 부산물의 이력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054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454A KR20100005425A (ko) 2008-07-07 2008-07-07 한우 정육 및 부산물의 이력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454A KR20100005425A (ko) 2008-07-07 2008-07-07 한우 정육 및 부산물의 이력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425A true KR20100005425A (ko) 2010-01-15

Family

ID=41814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5454A KR20100005425A (ko) 2008-07-07 2008-07-07 한우 정육 및 부산물의 이력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542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0398A (ko) 2020-12-07 2022-06-14 나영준 Ai 기반의 우시장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20129810A (ko) 2021-03-17 2022-09-26 주식회사 미트피플 인터넷을 이용한 식육 주문 및 배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0398A (ko) 2020-12-07 2022-06-14 나영준 Ai 기반의 우시장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20129810A (ko) 2021-03-17 2022-09-26 주식회사 미트피플 인터넷을 이용한 식육 주문 및 배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llee et al. BSE: a decade on—part I
Fraser Animal welfare assurance programs in food production: a framework for assessing the options
Boaitey et al. Who are farm animal welfare conscious consumers?
Avery Red meat and poultry production and consumption in Ethiopia and distribution in Addis Ababa
Arita et al. Sanitary and phytosanitary measures and tariff-rate quotas for US meat exports to the European Union
Packer The politics of BSE
Narrod et al. Private investment in livestock breeding with implications for public research policy
AU2005209587B2 (en) Method of monitoring the production history of consumable animal primal cuts
González et al. Nephrotoxicosis in Iberian piglets subsequent to exposure to melamine and derivatives in Spain between 2003 and 2006
KR20100005425A (ko) 한우 정육 및 부산물의 이력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Ugwu et al. Indiscriminate slaughter of pregnant goats for meat in Enugu, Nigeria: Causes, prevalence, implications and ways-out
Cunningham After BSE-a future for the European livestock sector
Islam et al. Usage of meat and bone meal in animal, poultry and fish feeds: A survey and risk analysis for the occurrence of 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 in Bangladesh
Hahn et al. Market integration of the North American animal products complex
Amos et al. The Business Benchmark on Farm Animal Welfare Methodology Report 2018
Alarcon et al. Classical BSE in Great Britain: Review of its epidemic, risk factors, policy and impact
Gadisa et al. Assessment of beef cattle production, slaughtering and marketing practice in Haramaya University, Ethiopia
Nardone Impact of BSE on livestock production system
Prinsloo et al. The role of the Namibian livestock traceability systems in containing the recent foot-and-mouth disease outbreak: case study from the northern parts of Namibia
Narrod Technology, policies, and the role of the private sector in the global poultry revolution
de Castro Burbarelli et al. Economic evaluation of cleaning and disinfection of facilities from broiler chickens challenged with Campylobacter jejuni
Kumar Trend and Composition of Export of Livestock Products in the Context of the WTO Regime
Gadekar et al. Indian meat industry: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Biden et al. Impacts of an African Swine Fever Outbreak on Ontario’s Pork Industry
Islam et al. Risk analysis for the occurrence of 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 through animal importation in Bangladesh. 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