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396A - Valve - Google Patents

Val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396A
KR20100005396A KR1020080065415A KR20080065415A KR20100005396A KR 20100005396 A KR20100005396 A KR 20100005396A KR 1020080065415 A KR1020080065415 A KR 1020080065415A KR 20080065415 A KR20080065415 A KR 20080065415A KR 20100005396 A KR20100005396 A KR 20100005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valve
seat
disk
outle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54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성언
양재철
Original Assignee
이성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언 filed Critical 이성언
Priority to KR1020080065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5396A/en
Publication of KR20100005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39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0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 F16K1/06Special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flow, e.g. special shape of passages or casings
    • F16K1/08Special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flow, e.g. special shape of passages or casings in which the spindle is perpendicular to the general direction of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Abstract

PURPOSE: A valve is provided to lengthen the service life by preventing the abrasion due to friction between the plug and the seat or damage resulting from cracking. CONSTITUTION: In a body(10), a seat(13) is formed in a flow path. A plug(33) is fitted to move on the exterior of the seat. One or more flow holes(34) through which fluid passes is formed in the plug. A handle part(20) rotates/moves up and down the plu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t so as to regulate the flow rate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low holes. When the plug moves up, the area of the flow holes becomes greater.

Description

밸브{Valve}Valve {Valve}

본 발명은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밸브의 개도에 따라 토출되는 유체의 유량을 정비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글로브 밸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lve, and more particularly to a globe valve that can directly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fluid discharged according to the opening degree of the valve.

일반적으로 밸브(Valve)는 관 속을 흐르는 유체의 유량,유속,압력 등을 제어하는 장치로써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밸브는 유체의 차단을 주목적으로 하는 게이트 밸브(Gate Valve)와,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목적의 글로브 밸브(Globe Valve)로 구별할 수 있다.In general, the valve (Valve) is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flow rate, pressure, etc. of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pipe has been developed and used in various kinds. Such a valve may be classified into a gate valve whose main purpose is to block the fluid, and a globe valve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fluid.

게이트 밸브는 유입구와 유출구가 일직선 상에 형성된 유체의 통로를 디스크(Disk)가 수직으로 개폐하는 밸브로 유체의 흐름이 일직선 상의 유로를 통해 이루어진다. 반면에, 글로브 밸브는 공모양의 몸체에 유입구와 유출구의 중심선이 일직선 상에 있으나 유체의 흐름은 S자 모양의 유로를 통해 이루어진다.The gate valve is a valve in which the disk vertically opens and closes a passage of the fluid in which the inlet and the outlet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and the flow of the fluid is made through the straight channel. On the other hand, in the globe valve, the center line of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ball-shaped body is in a straight line, but the fluid flows through the S-shaped flow path.

도 1은 종래의 글로브 밸브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로브 밸브(101)는 내측에 S자 모양의 통로를 구성하는 유로(111, 117, 115)가 형성된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유로상에 설치되어 유체를 제어하는 디스크(130)와, 디스크(13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하(Z방향) 이동하는 스템(120) 과, 스템(120)의 상부에 연결되어 몸체(110)의 외부에서 디스크(130)의 이동을 조절하도록 하는 핸들(미도시)을 구비한다.FIG. 1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globe valve, and as shown therein, the globe valve 101 has a body 110 having flow paths 111, 117, and 115 forming an S-shaped passage therein. And a disk 130 installed on the flow path of the body 110 to control the fluid, a stem 120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disk 130 to move up and down (Z direction), and the stem 120. Is connected to the top of the handle 110 (not shown) to adjust the movement of the disk 130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110).

여기서, 디스크(130)의 단부에는 플러그(133)가 결합되는데 플러그(133)는 스템(120)이 Z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몸체(110)에 형성된 시트(113)에 안착되거나 이격되면서 유로를 개폐하게 된다. 즉, 플러그(133)가 시트(113)에 밀착될 때 제1유로(111)와 제2유로(113)는 서로 막히게 되고 플러그(133)가 시트(113)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제1유로(111)와 제2유로(133)는 서로 연통된다.Here, the plug 133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disk 130, the plug 133 opens and closes the flow path while being seated or spaced in the seat 113 formed in the body 110 as the stem 120 moves in the Z direction. Done. That is, when the plug 13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at 113, the first flow path 111 and the second flow path 113 are blocked from each other and the plug 133 is spaced apart from the seat 113. ) And the second flow path 133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이와 같은 구성의 글로브 밸브(101)는 유로가 개방될 때 유체의 흐름은 A방향에서 유로(111->117->115)를 따라 B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When the flow path is opened, the globe valve 10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oves the fluid flow in the B direction along the flow path 111-> 117-> 115 in the A direction.

한편, 이와 같은 글로브 밸브는 몸체(110)에 형성된 시트(113)와 디스크(130)의 플러그(133)간의 이격된 정도에 따라 밸브의 개도율이 조절된다. 이때 밸브의 개도율과 유출되는 유체의 유량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B 그래프와 같이 개도가 점점 이루어지면서 이에 대응하도록 유량이 많아질 것(정비례)이라고 생각되기 쉽다.On the other hand, in such a globe valve, the opening degree of the valv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separation between the seat 113 formed in the body 110 and the plug 133 of the disk 130. At this time, when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pening degree of the valve and the flow rate of the outflowing fluid, it is easy to think that the flow rate will be increased (proportional) to correspond to the opening degree as the B graph shown in FIG.

그러나 실제 글로브 밸브의 사용시에는 디스크(130)의 플러그(133)가 유로를 개방할 때 A 그래프와 같이 정비례 관계를 보이다가 개도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면 유량이 급증하는 양태를 보인다. 즉, 순간적으로 토출되는 유체가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한다.However, when the globe valve is actually used, when the plug 133 of the disc 130 opens the flow path, it shows a proportional relationship as shown in the A graph, but when the opening degree is made to some extent, the flow rate increases rapidly. That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fluid discharged instantaneously increases.

이러한 현상은 글로브 밸브로부터 토출되는 유체의 급격한 손실량이 발생하여 에너지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는 종래의 글로브 밸브가 토출되는 유체 의 유량을 미세하게 제어하지 못한다는 근본적인 문제를 시사한다. This phenomenon has a problem that energy is wasted due to the rapid loss of fluid discharged from the globe valve, which suggests a fundamental problem that the conventional globe valve does not finely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fluid discharged.

또한, 종래의 밸브는 플러그(133)의 외주면이 시트(113)의 내측 벽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할 경우 플러그(133)와 시트(113)의 내벽간의 마찰로 인한 마모 또는 균열이 발생하여 밸브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valve is made in such a way th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lug 133 is inserted into the inner wall of the seat 113, so that wear or cracks caused by friction between the plug 133 and the inner wall of the seat 113 are prevented when used for a long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ife of the valve is shorten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밸브의 개도에 따라 유량을 실질적으로 정비례하게 제어할 수 있는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lve capable of controlling the flow rate substantially directly in proportion to the opening degree of the valv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밸브의 마모 또는 균열 발생을 억제하여 밸브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lve that can increase the life of the valve by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wear or cracking of the valv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로의 사이에 시트가 형성된 몸체부; 내주면이 상기 시트의 외주면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플러그; 상기 플러그에 형성되며 유체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출공; 그리고 상기 플러그를 상기 시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 및 승하강 이동시키며 상기 유출공으로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밸브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ody portion formed between the flow path; A plug havi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movably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eet; At least one outlet hole formed in the plug and through which the fluid passes; And it provides a valve including a handle portion for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outlet and rotates and moves the plu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t.

여기서 상기 유출공은 그 면적이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점점 증가하는 것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outlet hole may be one whose area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상기 플러그가 상기 시트로부터 승강할 때 상기 유출공의 면적은 점점 커지는 것일 수 있다.When the plug is lifted from the seat, the area of the outlet hole may be increased.

상기 플러그의 상부에 연장되는 디스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크는 상기 핸들부에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 disk extending on top of the plug, the disk may be coupled to the handle portion.

상기 플러그는 하부가 개구된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통공은 상기 플러그의 양측에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lug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 lower opening, and the communication hole may be formed to face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plug.

본 발명의 다른 형태로서, 유로의 사이에 시트가 형성된 몸체부; 내주면이 상기 시트의 외주면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플러그; 상기 플러그의 양측에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출공; 그리고 상기 플러그를 상기 시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 및 승하강 이동시키는 핸들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출공은 그 면적이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점점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ody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passage; A plug havi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movably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eet; At least one outlet hol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lug to face each other; And a handle portion for rotating and elevating the plu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t, wherein the outlet hole provides a valve, the area of which gradually increases from top to bottom.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effect of the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첫째, 밸브의 개도에 따라 유량을 실질적으로 정비례하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만큼의 유량을 정량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에너지 절감효과가 있다.First, since the flow rate can be controlled substantially in direct proportion to the opening degree of the valve, it is possible to quantitatively adjust the flow rate as necessary, thereby saving energy.

둘째, 플러그의 내주면과 시트외 외주면이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플러그가 시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방식으로 밸브의 개폐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플러그와 시트의 마찰로 인한 마모 또는 균열에 의한 밸브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밸브의 수명을 현저하게 연장시킬 수 있다.Second, since the valve is opened and closed in a manner in which the plug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t whil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ug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 are spaced from each other, damage to the valve due to abrasion or cracking caused by friction between the plug and the seat. This can significantly prevent the valve's life.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specifically realize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밸브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밸브에 대한 작동 상태도들이며, 도 6은 디스크부의 양측면도이다.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and 5 are operating state diagrams for the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view of the disk por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1)는 유로(11, 15, 17)와 시트(13)가 형성된 몸체부(10)와, 상기 시트(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유로(11, 15, 17)를 개폐하는 디스크부(30)와, 디스크부(30)를 이동시키는 핸들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valv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ody portion 10 in which the flow paths 11, 15, and 17 and the seat 13 are formed,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t 13. It comprises a disk portion 3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ath (11, 15, 17) while moving along, and the handle portion 20 for moving the disk portion 30.

몸체부(10)는 그 일단과 타단이 배관(미도시)에 연결되어 사용되도록 개구되어 있는데, 내측에는 유체가 이동하는 S자 모양의 유로(11, 15, 17)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유로(11, 15, 17)는, 배관으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A 방향에 위치한 유입로(11)와, 유체가 토출되는 B 방향에 위치한 유출로(15)와, 유입로(11)와 유출로(15)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로(17)로 이루어진다.The body portion 10 is open so that one end and the other end thereof are connected to a pipe (not shown) for use, and an S-shaped flow path 11, 15, 17 through which a fluid moves is formed inside. In more detail, the flow paths 11, 15, and 17 are the inflow path 11 located in the A direction which fluid flows in from the piping, the outflow path 15 located in the B direction which fluid is discharged, and the inflow path 11 And a central path 17 located between the outflow path 15.

여기서, 중앙로(17)는 연통공(14)을 통해 유출로(15)와 상호 연통될 뿐만 아니라 후술할 디스크부(30)와 핸들부(20)를 결합시키도록 몸체부(10)의 상부까지 개구되도록 구성된다. Here, the central path 17 is not only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let passage 15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14 but also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 to couple the disk portion 30 and the handle portion 20 to be described later. And to be open.

몸체부(10)의 내측에는 시트(13)가 마련된다. 시트(13)는 유입로(11)와 유출로(15)의 사이에서 중앙로(17)까지 연장되도록 위치한다. 보다 상세하게 시트(13)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개구된 저부가 유입로(11)와 연통되고, 개구된 상부는 중앙로(17)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즉, 유입로(11)와 중앙로(17)는 시트(13)의 개구된 통로를 통해서만 상호 연통되도록 막혀 있으며, 중앙로(17)와 유출로(15)는 연통공(14)을 통해 상호 연통되어 있다.The sheet 13 is provided inside the body portion 10. The seat 13 is positioned to extend to the central path 17 between the inflow path 11 and the outflow path 15. In more detail, the seat 13 is configured to have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the opened bottom portion communicates with the inflow passage 11, and the open upper portion communicates with the central passage 17. That is, the inflow passage 11 and the central passage 17 are block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nly through the open passage of the sheet 13, and the central passage 17 and the outlet passage 15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14. have.

디스크부(30)는 몸체부(10)에 형성된 시트(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유로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즉, 디스크부(30)는 유입로(11), 유출로(15) 및 중앙로(17)의 유로가 모두 연통되거나 연통되지 않도록 연통되는 정도를 조절한다.The disk portion 30 serves to open and close the flow path while mov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eet 13 formed in the body portion 10. That is, the disk unit 30 adjusts the degree of communication so that all of the flow paths of the inflow passage 11, the outflow passage 15, and the central passage 17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r not.

이러한 디스크부(30)는 보다 상세하게는 핸들부(20)와 결합되는 디스크(31)와, 디스크(31)에서 연장되며 내주면이 시트(13)의 외주면에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플러그(33)와, 플러그(33)에 형성되어 유체가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유출공(34, 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disk part 30 includes a disk 31 coupled to the handle part 20, a plug 33 extending from the disk 31 and coupled so that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spaced apart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 13. And outlet holes 34 and 35 formed in the plug 33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fluid moves.

디스크(31)는 원기둥 형태를 가지며 몸체부(10)에 형성된 중앙로(17) 내부에 삽입되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Z 방향처럼 수직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디스크(31)의 지름은 몸체부(10) 내부에 형성된 중앙로(17)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k 31 has a cylindrical shape and is inserted into the central path 17 formed in the body portion 10 to vertically move as shown in FIGS. 4 and 5. Therefore, the diameter of the disk 31 is preferably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entral path 17 formed in the body portion 10.

디스크(31)의 하부에는 플러그(33)가 연장된다. 플러그(33)는 디스크(31)와 별도로 제작되어 접착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크(31)와 일체로 형성된다.The plug 33 extends under the disk 31. The plug 33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disk 31 and combined by an adhesive means, 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ug 33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disk 31.

이러한 플러그(33)는 상기 디스크(31)의 지름보다 작은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플러그(33)는 전술한 시트(13)의 외주에 삽입되어, 디스크(31)의 이동에 따라 시트(13)의 외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플러그(33)의 안지름은 상시 시트(13)의 바깥지름보다 크게 이루어져서 시트(13)의 외주면을 따라 플러그(33)가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시트(13)의 외주면과 플러그(33)의 내주면은 미세한 간격을 갖도록 이격되어 있다.The plug 33 is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disk 31 and the plug 33 is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above-described sheet 13, the sheet 13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disk 31 Will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fore, the inner diameter of the plug 33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heet 13 so that the plug 33 smoothly move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eet 13.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eet 13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ug 3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minute intervals.

그리고 플러그(3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길이(H)를 갖는다. 여기서 플러그(33)의 길이(H)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33)가 Z 방향(상방 향)으로 최대한 상승할 때 상기 시트(13)의 상부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적절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And the plug 33 has a constant length (H) as shown in FIG. Here, the length H of the plug 33 may have an appropriate length that does not separate from the top of the sheet 13 when the plug 33 ascends in the Z direction (upward) as shown in FIG. 5. have.

플러그(33)에 형성되는 유출공은 플러그(33)의 일면에 적어도 1개가 형성될 수 있다. 유출공은 유체가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데, 본 실시예에서 유출공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대향되게 한 쌍이 형성된다. 도 6의 (a)에 형성된 제1유출공(34)은 플러그(33)의 길이(H)가 시작되는 부분부터 하부로 갈수록 폭이 점점 증가하는 형태를 보이며 비교적 긴 길이(H1)를 갖는다. At least one outlet hole formed in the plug 33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lug 33. Outflow holes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fluid flows. In this embodiment, the outflow holes are paired to face each other as shown in FIG. 6. The first outlet hole 34 formed in (a) of FIG. 6 shows a form in which the width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portion where the length H of the plug 33 starts to the lower portion thereof, and has a relatively long length H1.

그리고 도 6의 (b)에 형성된 제2유출공(35)은 플러그(33)의 전체 길이(H)의 중간 영역에 완만한 경사를 갖는 사다리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1유출공(34)에 비해 짧은 길이(H2)를 갖는다. 여기서 제1유출공(34)의 하부 폭의 길이(L1)와 제2유출공(35)의 하부 폭의 길이(L2)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And the second outlet hole 35 formed in (b) of Figure 6 is formed to have a trapezoidal shape having a gentle slope in the middle region of the entire length (H) of the plug 33 is formed in the first outlet hole 34 Have a shorter length (H2). The length L1 of the lower width of the first outlet hole 34 and the length L2 of the lower width of the second outlet hole 35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이와 같이 플러그(33)에 형성된 유출공들(34, 35)은 유입로(11)를 따라 이동하는 유체가 중앙로(17)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유출공들(34, 35)은 플러그(33)가 시트(13)로부터 이동되는 정도에 따라 그 개구된 크기가 달라지면서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할 때 자세히 후술한다.As such, the outlet holes 34 and 35 formed in the plug 33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the fluid moving along the inflow passage 11 can move to the central passage 17. The outlet holes 34 and 35 ) Serves to adjust the flow rate of the fluid while the opening size varies depending on the extent to which the plug 33 is moved from the seat 13.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hen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핸들부(20)는 디스크부(30)의 상부에 연결되어 몸체(110)의 외부에서 디스크부(30)의 이동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handle portion 20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isk portion 30 serves to adjust the movement of the disk portion 30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110.

보다 상세하게 핸들부(20)는 사용자가 손으로 좌우방향(θ방향)으로 돌려가면서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량조절나사(21)와, 유량조절나사(21)의 이동을 제한 하는 나사스토퍼(22)와, 몸체부(10)의 상부에 결합되어 몸체부(10)의 개구된 상부공간, 즉 중앙로(17)의 상부영역을 밀폐하는 조임쇠(23)와, 몸체부(10)의 상부 내벽과 나사결합되는 몸체결합나사(24)와, 유량조절나사(2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Z축 방향으로 승하강하도록 이동하는 회전승강축(25)을 포함한다.In more detail, the handle part 20 includes a flow rate adjustment screw 21 capable of adjusting the flow rate while the user rotates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θ direction) by hand, and a screw stopper 22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flow rate adjustment screw 21. And a fastener 23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 to seal an open upper space of the body portion 10, that is, an upper region of the central passage 17, and an upper inner wall of the body portion 10. Body coupled screw 24 to be coupled to the screw, and a rotary lifting shaft 25 which moves to move up and down in the Z-axis direction while rotating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flow adjustment screw 21.

이러한 핸들부(20)는 디스크부(30)와 결합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핸들부(20)의 회전승강축(25)과 디스크부(30)의 디스크(31)가 볼트(38)로 결합된다. 물론, 디스크부(30)와 핸들부(20)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핸들부(20)에 결합된 디스크부(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 및 승하강되면서 몸체부(10)의 시트(13)와 접촉될 수 있게 된다.The handle portion 20 is coupled to the disk portion 30, in this embodiment, the rotary lifting shaft 25 of the handle portion 20 and the disk 31 of the disk portion 30 is coupled to the bolt (38). do. Of course, the disk unit 30 and the handle unit 20 may be integrally formed. Therefore, the disk unit 30 coupled to the handle unit 20 may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eat 13 of the body unit 10 while being rotated and lifte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에 의한 작용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by the val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 핸들부(20) 및 디스크부(30)가 상호 조립된 밸브(1)에서, 사용자가 핸들부(20)의 유량조절나사(21)를 우측방향(θ)으로 돌려서 점점 회전시킨다.First, as shown in FIG. 4, in the valve 1 in which the body portion 10, the handle portion 20, and the disc portion 30 are assembled to each other, a user adjusts the flow rate adjusting screw 21 of the handle portion 20. Rotate in the right direction (θ).

이에 따라 핸들부(20)의 회전승강축(25)은 우측방향(θ)으로 회전하면서 하방(Z방향)으로 수직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승강축(25)에 결합된 디스크부(30) 역시 우측으로 회전 및 하방으로 수직이동하면서 시트(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Accordingly, the rotation lifting shaft 25 of the handle portion 20 is vertically moved downward (Z direction) while rotating in the right direction (θ). In addition, the disk unit 30 coupled to the rotary lifting shaft 25 also moves down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t 13 while vertically moving downwardly and vertically.

이때, 핸들부(20)의 나사스토퍼(22)는 유량조절나사(21)의 하부와 접촉되면서 더 이상 유량조절나사(21)가 회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데, 이 경우는 시 트(13)의 상부면이 디스크부(30)와 밀착되는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screw stopper 22 of the handle portion 20 can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flow adjusting screw 21 so that the flow adjusting screw 21 no longer rotates, in this case the sheet 13 The upper surface is to maintain the posi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disk 30.

다시말해, 사용자가 핸들부(20)를 최대한 어느 한 방향(예를들어 우회전)으로 회전시키면, 디스크부(30)의 플러그(33)가 이동하여 시트(13)의 상부와 밀착되면서 유입로(11)와 중앙로(17)는 서로 막히게 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user rotates the handle part 20 in any one direction (for example, a right turn), the plug 33 of the disc part 30 moves to closely contact the upper part of the seat 13 and thus the inflow path ( 11 and the central path 17 is blocked.

그리고 플러그(33)에 형성된 유출공(34,35)은 시트(13)의 외주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유입로(11)에 있던 유체가 유출공(34, 35)을 통해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즉, 지금까지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의 밸브가 유로를 폐쇄한 경우이다.Since the outlet holes 34 and 35 formed in the plug 33 are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 13, the fluid in the inflow passage 11 cannot move through the outlet holes 34 and 35. do. That is, what was described so far is the case where the valve of this invention closed the flow path.

다음으로 사용자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20)의 유량조절나사(21)를 좌측방향(θ)으로 돌려서 점점 회전시킨다.Next, as shown in FIG. 5, the user gradually rotates the flow rate adjusting screw 21 of the handle part 20 in the left direction θ.

이에 따라 핸들부(20)의 회전승강축(25)은 좌측방향(θ)으로 회전하면서 상방(Z방향)으로 수직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승강축(25)에 결합된 디스크부(30) 역시 좌측으로 회전 및 상방으로 수직이동하면서 시트(13)의 상부면과 이격되면서 점점 위로 이동하게 된다.Accordingly, the rotation lifting shaft 25 of the handle portion 20 is vertically moved upward (Z direction) while rotating in the left direction (θ). In addition, the disk unit 30 coupled to the rotary lifting shaft 25 is also moved upwards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13 while vertically moving upward and vertically to the left.

이에 따라 시트(13)의 상부면과 밀착되었던 디스크부(30)의 디스크(31)의 저면은 시트(13)의 상부면과 점점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시트(13)의 개구된 상부와 플러그(33)의 내주면 사이에 점차적으로 공간이 형성되면서, 그 공간으로 유체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k 31 of the disk portion 30,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heet 13, gradually moves awa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heet 13. Therefore, while a space is gradually formed between the opened upper part of the sheet 13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ug 33, the fluid can move into the space.

그리고 플러그(33)에 형성된 유출공(34,35)은 시트(13)의 외주면과 접촉된 상태가 변화되면서, 점차적으로 유출공(34, 35)의 개구된 면적은 증가하게 된다. 이에 유입로(11)에 위치한 유체는 시트(13)의 개구된 상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플러그(33)의 유출공(34, 35)을 통해 중앙로(17)로 이동하게 된다. 중앙로(17)로 이동하게 된 유체는 연통공(14)을 따라 유출로(15)로 이동하게 된다.In addition, as the state in which the outlet holes 34 and 35 formed in the plug 33 are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eet 13 is changed, the open areas of the outlet holes 34 and 35 gradually increase. Accordingly, the fluid located in the inflow path 11 moves along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seat 13 to the central path 17 through the outlet holes 34 and 35 of the plug 33. The fluid moved to the central path 17 is moved to the outflow path 15 along the communication hole (14).

다시 말해, 사용자가 핸들부(20)를 최대한 어느 한 방향(예를들어 좌회전)으로 회전시키면, 디스크부(30)의 플러그(33)가 이동하여 시트(13)의 상부와 이격되면서 유입로(11)는 플러그(33)의 유출공(34, 35)과 연통되고, 이에 따라 3개의 유로(11, 15, 17)는 서로 연통되게 된다. 즉, 지금까지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의 밸브가 유로를 개방하면서 사용되는 경우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user rotates the handle part 20 in any one direction (for example, left turn) as much as possible, the plug 33 of the disc part 30 move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art of the seat 13 to enter the inflow path ( 11 communicates with the outlet holes 34 and 35 of the plug 33, whereby the three flow passages 11, 15 and 17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at is, what was described so far is the case where the valve of this invention is used, opening a flow path.

한편, 본 발명의 밸브가 개방되어 사용될 때에는 전술한 과정처럼 유출공(34, 35)이 점점 그 크기가 증가되도록 개방되면서 이동할 수 있는 유량도 순차적으로 비례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and used, the flow rate that can move while the outlet holes 34 and 35 are opened to increase in size as described above can be sequentially proportional to each other.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밸브가 사용시에는 유로를 개방할 때 정비례 관계를 보이다가 개도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면 A 그래프와 같이 유량이 급증하는 양태를 보이고, 순간적으로 토출되는 유체가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하던 문제점을 해결하여, 본 발명의 밸브는 B 그래프와 같이 개도율과 유량이 정비례하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2, when a conventional valve is used, the flow rate increases rapidly as shown in the A graph when the flow path is opened, but the flow rate rapidly increases as shown in the A graph. Solving the problem that the increasing phenomenon occurs, the opening ratio and the flow rate of the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B graph.

또한, 본 발명의 밸브는 시트의 외주면과 플러그의 내주면이 이격되어 이동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플러그와 시트와의 마찰로 인한 마모 또는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밸브의 수명을 현격하게 연장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in such a way th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at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lug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life of the valve is significantly extended by preventing wear or cracks from occurring due to friction between the plug and the seat. You can.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밸브는 보일러의 분배기 등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분배기는 다수의 방에 각각 연결된 온수배관에 공급되는 온수가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하면서 각 방마다 보온되는 온도를 조절한다.On the other hand, the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installed and used in the distributor of the boiler. The distributor adjusts the temperature maintained in each room while allowing the hot water supplied to the hot water pipe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rooms to be individually controlled.

여기서, 본 발명의 밸브는 각 방으로 연결된 온수배관에 설치되면서 밸브의 개폐에 따라 유량을 정량적으로 미세하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온도 조절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밸브가 설치된 보일러에서 불필요하게 많은 양의 온수가 공급되면서 에너지를 낭비하던 문제점을 개선시켜 에너지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Here, since the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the hot water pipes connected to each room, the flow rate can be finely controlled quantitatively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thereby effectivel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refore, the boiler was installed in a conventional valve is provided with a large amount of unneeded hot water to improve the problem of wasting energy to achieve an energy saving effec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처럼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의 글로브 밸브의 정단면도.1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globe valve.

도 2는 글로브 밸브의 개도율과 유량과의 상관관계를 도시한 그래프.2 is a graph show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pening rate and the flow rate of a globe valve.

도 3은 본 발명의 밸브에 대한 분해 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밸브에 대한 작동 상태도들.4 and 5 are operational state diagrams for the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디스크부의 양측면도.6 is a side view of the disk por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밸브 10 : 몸체부 1 valve 10 body part

11 : 유입로 13 : 시트11: inflow passage 13: sheet

15 : 유출로 17 : 중앙로 15: runoff 17: central road

20 : 핸들부 21 : 유량조절나사20: handle portion 21: flow adjustment screw

22 : 나사스토퍼 23 : 조임쇠22: screw stopper 23: fastener

24 : 몸체결합나사 25 : 회전승강축24: body coupling screw 25: rotary lifting shaft

30 : 디스크부 31 : 디스크30: disk portion 31: disk

33 : 플러그 34 : 제1유출공33: plug 34: the first outflow hole

35 : 제2유출공 38 : 볼트35: second outflow hole 38: bolt

Claims (6)

유로의 사이에 시트가 형성된 몸체부;A body portion having a sheet formed between the flow paths; 상기 시트의 외주면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플러그;A plug movably inserted in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eet; 상기 플러그에 형성되며 유체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출공; 그리고At least one outlet hole formed in the plug and through which the fluid passes; And 상기 플러그를 상기 시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 및 승하강 이동시키며 상기 유출공으로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밸브.And a handle part for rotating and elevating the plug along a length direction of the seat and adjusting a flow rate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outlet ho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유출공은 그 면적이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점점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And the outlet hole is gradually increased in area from top to bottom.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플러그가 상기 시트로부터 승강할 때 상기 유출공의 면적은 점점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And the area of the outlet hole becomes larger when the plug is elevated from the se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플러그의 상부에 연장되는 디스크를 더 포함하며, Further comprising a disk extending on top of the plug, 상기 디스크는 상기 핸들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And the disk is coupled to the handle portion.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플러그는 하부가 개구된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The plug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 lower opening, 상기 연통공은 상기 플러그의 양측에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The communication hole is a valv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lug to face each other. 유로의 사이에 시트가 형성된 몸체부;A body portion having a sheet formed between the flow paths; 상기 시트의 외주면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플러그;A plug movably inserted in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eet; 상기 플러그의 양측에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출공; 그리고At least one outlet hol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lug to face each other; And 상기 플러그를 상기 시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 및 승하강 이동시키는 핸들부를 포함하며,A handle part for rotating and elevating the plu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t; 상기 유출공은 그 면적이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점점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And the outlet hole is gradually increased in area from top to bottom.
KR1020080065415A 2008-07-07 2008-07-07 Valve KR2010000539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415A KR20100005396A (en) 2008-07-07 2008-07-07 Val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415A KR20100005396A (en) 2008-07-07 2008-07-07 Valv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396A true KR20100005396A (en) 2010-01-15

Family

ID=41814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5415A KR20100005396A (en) 2008-07-07 2008-07-07 Valv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5396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3876A (en) * 2017-12-19 2019-06-27 주식회사 포스코 Flow control apparatus for coke duct
KR102550915B1 (en) * 2022-12-26 2023-07-03 허만영 Globe valve enabling to be checked the flow rate with the naked ey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3876A (en) * 2017-12-19 2019-06-27 주식회사 포스코 Flow control apparatus for coke duct
KR102550915B1 (en) * 2022-12-26 2023-07-03 허만영 Globe valve enabling to be checked the flow rate with the naked ey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71359A1 (en) Mixing valve
RU2437017C2 (en) Valve and gate of valve
CN204784862U (en) Large -traffic two accuse constant temperature case
KR20100005396A (en) Valve
KR101365463B1 (en) Automatic control valve for heating
KR100738973B1 (en) The minuteness flux control valve
CN102549518A (en) Water-saving mixing faucet
KR101131122B1 (en) Leak control trim and valve
KR101663070B1 (en) Flow control valve and hot water distributor
KR100782900B1 (en) Ball valve and valve open-close system with it
KR100891102B1 (en) Cartridge for control of flow
KR20050091237A (en) Bib cock
KR20110092727A (en) Fluid controlling valve
JPH0743047B2 (en) Electric 3-way valve
KR20090008310U (en) A valve for folw and temperature controlling
RU2276752C2 (en) Actuator valve
KR200444965Y1 (en) Device for controlling water pressure of control valve in bidet
KR102591802B1 (en) Super-heating-steam conditioning valve
EP1201978B1 (en) Valve for regulating the flowrate of a fluid for panel radiators and the like
KR200389113Y1 (en) Balancing valve
KR101384749B1 (en) Cartridge for cold water and hot water
KR200474811Y1 (en) Shower
KR20110092726A (en) Valve assembly
KR200226696Y1 (en) Water flow control valve
KR20110007710A (en) Valv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