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333A - 영상표시기기 및 영상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기기 및 영상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333A
KR20100005333A KR1020080065325A KR20080065325A KR20100005333A KR 20100005333 A KR20100005333 A KR 20100005333A KR 1020080065325 A KR1020080065325 A KR 1020080065325A KR 20080065325 A KR20080065325 A KR 20080065325A KR 20100005333 A KR20100005333 A KR 20100005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image
screen
screen imag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5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선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5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5333A/ko
Publication of KR20100005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3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을 이용하여 다른 채널을 통해 방송되는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 및 영상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신호 수신부를 통해 주화면 영상 및 부화면 영상을 입력받아 각각의 화면 크기에 맞게 처리하여 출력하는 영상신호 처리부;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를 통해 신호처리된 주화면 영상 및 부화면 영상을 소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부화면 디스플레이 조건에 기인하여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부화면 영상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화면 영상, 변경

Description

영상표시기기 및 영상표시 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을 이용하여 다른 채널을 통해 방송되는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 및 영상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기기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아날로그 방식의 방송이 위성방송 및 디지털 방송으로 변모하고 있으며, 영상표시기기의 관련 기술이 양적/질적으로 급속히 발전해 가고 있다.
디지털 방식은 아날로그 방식에 비하여 훨씬 많은 채널의 운용이 가능하고 화질도 보다 선명한 고화질의 방송 수신이 가능하다.
최근 들어, 사용자의 욕구에 따라 가정용 영상표시기기가 슬림화되고 대화면화되는 추세이고, 복수의 영상신호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이 제공된다.
상기 PIP 기능은 영상신호를 수평 및 수직으로 압축한 부화면(sub-picture) 을 주화면(main-picture)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서, 부화면과 주화면은 동일한 채널의 방송신호이거나, 서로 다른 채널의 방송신호 일 수 있다.
이와 같이, PIP 기능은 다수의 사용자가 각각 다른 채널을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PIP의 기본적인 기능은 주화면을 보면서 다른 채널을 통해 방영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동시에 보기 위함이다.
그러나, 상기 PIP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부화면에 표시할 입력 모드 또는 채널을 계속적으로 변경해야하는 불편함이 존재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영상표시기기에 PIP 기능이 구비되어 있어도 이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현재 구현되는 PIP 기능은 사용자가 시청중인 주화면 위에 별도의 부화면이 디스플레이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른 입력이나 다른 채널의 정보를 PIP를 통해 검색하기 위해서는 주화면 시청에 방해를 받는 피해를 감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에게 현재 주화면의 영상 시청에 최대한 영향을 주지 않고, 다른 채널 또는 다른 입력의 영상을 제공해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현재 주화면의 영상 시청에 방해를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입력, 다른 채널을 통해 방영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탐색하여 해당 특정 채널 또는 입력으로 상기 주화면의 영상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신호 수신부를 통해 주화면 영상 및 부화면 영상을 입력받아 각각의 화면 크기에 맞게 처리하여 출력하는 영상신호 처리부;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를 통해 신호처리된 주화면 영상 및 부화면 영상을 소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부화면 디스플레이 조건에 기인하여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부화면 영상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영상표시방법은 동시화면(PIP)이 선택되면 주화면 영상과 적어도 하나의 부화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기 설정된 부화면 디스플레이 조건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부화면 디스플레이 조건에 기인하여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부화면 영상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및 영상표시방법은 메인 화면의 영상 시청에 방해를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채널이나 외부 입력을 통해 방영되는 영상을 주기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동작 없이 현재 다른 외부 입력 또는 채널의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조 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다른 채널이나 외부 입력의 영상을 토대로 메인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변경함으로써, 특정 채널 또는 외부 입력의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검색 및 시청할 수 있는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 두고자 한 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에서 PIP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돈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영상표시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튜너를 통해 특정 채널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10)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해 외부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외부 입력부(20)와, 상기 방송 수신부(10) 및 외부 입력부(20)를 통해 수신된 영상신호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30)와, 상기 방송 수신부(10) 및 외부 입력부(20)를 통해 주화면 영상 및 부화면 영상을 입력받아 각각의 화면 크기에 맞게 처리하여 출력하는 영상신호 처리부(40)와,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40)를 통해 신호처리된 주화면 영상 및 부화면 영상을 소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50)와, 사용자로부터 요구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키입력부(60)와, 상기 키입력부(60)를 통해 기 설정된 부화면 디스플레이 조건을 저장하는 메모리부(70)와,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부화면 디스플레이 조건에 기인하여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5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부화면 영상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방송 수신부(10)는 제 1 튜너(12), 제 1 영상 처리부(14), 제 2 튜너(16) 및 제 2 영상 처리부(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40)는 주화면 처리부(42), 부화면 처리부(44) 및 합성부(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상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송 수신부(10)는 안테나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주화면 영상신호 및 부화면 영상신호를 각각 선국하여 신호처리한다.
즉, 상기 방송 수신부(10)는 주화면 영상신호를 선국하는 제 1 튜너(12)와, 상기 제 1 튜너(12)를 통해 선국된 영상신호를 신호처리하는 제 1 영상 처리부(14)와, 부화면 영상신호를 선국하는 제 2 튜너(16)와, 상기 제 2 튜너(16)를 통해 선국된 영상신호를 신호처리하는 제 2 영상 처리부(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영상 처리부(14) 및 제 2 영상 처리부(18)는 상기 각 튜너를 통해 수신된 영상신호를 복조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튜너(12,16)는 각각 아날로그 튜너와 디지털 튜너 일 수도 있고, 둘 다 아날로그 튜너이거나 둘 다 디지털 튜너일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채널을 수신하거나 같은 채널을 수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튜너(12, 16)는 각각 고정적인 주화면 영상 및 부화면 영상을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이는 서로 바뀔 수도 있다.
외부 입력부(20)는 S 비디오, DVI, 콤포넌트, D-SUB 등의 외부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영상을 입력받아 스위칭부(30)로 출력한다.
스위칭부(30)는 상기 제 1 튜너(12), 제 2 튜너(16) 및 외부 입력부(2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스위칭한다.
즉, 상기 스위칭부(30)는 동시 화면이 선택된 경우에는 제 1 및 제 2 튜너(12, 16), 및 외부 입력부(20)를 통해 적어도 복수 개 이상의 영상을 입력받는다.
그러면 후술할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주화면 용 영상을 선택하여 주화면 처리부(42)로 출력하고, 부화면용 영상을 선택하여 부화면 처리부(44)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주화면 영상으로 채널 11을 선택하고, 부화면 영상으로 DVD 입력을 선택하였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제 1 튜너(12)는 채널 11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선국하고, 상기 제 1 영상 처리부(14)는 상기 선국된 신호를 복조한 후 스위칭부(30)로 출력하고, 상기 스위칭부(30)는 제1 튜너(12)의 출력을 주화면 처리부(42)로 출력하고, 외부 입력부(20)를 통해 출력되는 DVD 영상이 입력되면 이를 선택하여 부화면 처리부(44)로 출력한다.
상기 주화면 처리부(42)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주화면 크기에 맞게 처리하여 합성부(46)로 출력하고, 부화면 처리부(44)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부화면 크기에 맞게 처리하여 합성부(46)로 출력한다.
상기 합성부(46)는 디스플레이부(50)의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주화면 영상 신호와 부화면 영상 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한다.
키입력부(60)는 사용자로부터 요구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으로써, 예를 들어, 리모컨을 통해 전송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부와,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에 구비된 로컬 입력부가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부(70)는 각종 부가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으로써, EEPROM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각종 부가정보에는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설정된 부화면 디스플레이 조건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부화면 디스플레이 조건은 상기 부화면 영상이 변경되는 시간 정보 및 상기 부화면 영상의 변경 조건이 포함된다.
상기 부화면 영상이 변경되는 시간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50)의 부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부화면 영상의 디스플레이 주기를 의미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주기가 15초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부화면 영상이 15초 간격으로 변경되어 출력된다
또한, 상기 부화면 영상의 변경 조건은 상기 디스플레이부(50)의 부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부화면 영상을 변경하기 위한 기존 조건 정보이며, 여기에는 특정 채널의 영상, 채널 변경 및 입력 변경이 존재한다.
즉, 상기 부화면 영상의 변경 조건이 특정 채널의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설정된 특정 채널의 영상만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부화면을 통해 일정 시간 간격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부화면 영상의 변경 조건이 채널 변경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주화면 채널의 영상을 제외한 다른 채널의 영상신호로 상기 부화면 영상이 순차적으로 변경되며, 상기 부화면 영상의 변경 조건이 입력 변경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외부 입력부(20)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 모드 별 외부 영상신호로 상기 부화면 영상을 순차적으로 변경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50)의 부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상기 입력 모드 별 외부 영상신호로 상기 부화면 영상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경우에는 상기 입력 모드 중 현재 실제로 입력되는 싱크가 존재하는 입력모드에 따른 영상신호로 상기 부화면 영상을 순차적으로 변경한다.
이하, 후술할 제어부(80)의 동작에 의거하여 상기 부화면 디스플레이 조건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80)는 상기 키입력부(60)로부터의 키 입력에 따라 각 부를 제어하는데, 제어 라인의 일부는 생략하였다.
예를 들어, 키입력부(60)에 의해 동시 화면이 선택되면 제1,제2 튜너(11,12)의 선국을 제어하고, 또한 상기 외부 입력부(20)의 입력을 제어하여, 그에 따른 주화면 영상과 부화면 영상이 선택되어 출력되도록 스위칭부(30)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부화면 디스플레이 조건을 분석하고, 그에 따라 상기 부화면 영상이 순차적으로 변경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키입력부(60)를 통해 동시 화면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부(70)에 기 저장된 부화면 디스플레이 분석을 분석하고, 그에 따라 일정 시간 디스플레이 후 사라지는 점멸 방식의 형태로 상기 부화면 영상이 계속적으로 변경되어 출력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일반적으로 현재 구현되는 부화면 영상은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영상이 계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형태이며, 이에 따라 주화면 영상의 시청에 방해를 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부화면 영상을 일정시간(예를 들어 2초) 동안만 디스플레이시킨 후 사라지게 하고, 또한 일정 시간 후 다음 부화면 영 상을 일정 시간 동안만 디스플레이시킨 후 사라지게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분석된 부화면 디스플레이 조건에 따라 상기 부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부화면 영상이 일정 시간 간격으로 변경되어 출력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설정된 부화면 디스플레이 조건이 채널 변경일 경우, 상기 제 1 튜너(12)를 통해서는 사용자가 원래 시청중인 주화면 채널의 영상이 선국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튜너(16)를 통해서는 상기 제 1 튜너(12)를 통해 선국된 채널을 제외한 나머지 채널들을 순차적으로 변경해가면서 선국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에서 상기 변경되는 채널은 사용자가 기 설정한 선호 채널만이 될 수도 있으며, 또한 기 저장된 채널 맵 상의 모든 채널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설정된 부화면 디스플레이 조건이 입력 변경 일 경우, 상기 외부 입력부(20)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영상신호에 따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부화면 영상을 계속적으로 변경한다.
즉, 현재 연결된 외부 입력단자의 종류가 S 비디오, DVI, 콤포넌트, D-SUB일 경우, 처음에는 S 비디오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부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DVI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그에 따라 순차적으로 콤포넌트, D-SUB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상기 다양한 입력 모드 중 실제 입력되는 싱크가 존재하는 입력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한 입력 모드에 따른 영상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부화면 영상을 순차적으로 변경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80)는 사용자로부터 기설정된 부화면 투명 조건을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5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부화면 영상의 투명도를 조절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최대한 주화면 시청에 방해를 받지않고, 다른 채널 또는 입력모드의 상태를 부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PIP 기능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100)을 주 화면(110)과 부 화면(120)으로 나누고, 각각 상이한 채널의 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동일한 채널의 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외부 입력(예를 들어, PC)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주 화면(110) 또는 부 화면(12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부화면(12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은 사용자가 설정한 조건에 따라 계속적으로 변경되면서, 일정시간 디스플레이 후 사라지는 점멸 방식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상기 부화면 영상에 대한 투명도도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조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8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순차적으로 변경되며 디스플레이되는 특정 부화면 영상을 주화면 영상으로 변경한다.
즉, 사용자로부터 상기 부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중 자신이 원하는 영상이 현재 방영중임에 따른 확인키가 입력되면, 상기 확인키가 입력된 시점에 서 상기 부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주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상기 부화면은 점멸 방식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되기 때문에 부화면 영상이 사라지고 난 후 다음 부화면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기 이전 시점에 상기 확인키가 입력되면, 상기 사라진 부화면 영상을 주화면 영상으로 변경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주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메인 화면의 영상 시청에 방해를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채널이나 외부 입력을 통해 방영되는 영상을 주기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동작 없이 현재 다른 외부 입력 또는 채널의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보조 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다른 채널이나 외부 입력의 영상을 토대로 메인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변경함으로써, 특정 채널 또는 외부 입력의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검색 및 시청할 수 있는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영상표시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외부로부터 파워 온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
이어서 상기 판단결과(S10) 외부로부터 파워 온 명령이 입력되면 현재 수신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S20).
그리고, 외부로부터 동시화면 구현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
이어서, 상기 판단결과(S30) 외부로부터 동시 화면 구현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부화면 디스플레이조건을 분석한다(S40). 즉,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부화면 영상이 변경되는 시간 정보 및 상기 부화면 영상의 변경 조건 정보를 분석한다.
그리고,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초기 디스플레이될 부화면 영상을 선택한다(S50).
이어서, 상기 수신되는 영상(주화면 영상) 및 상기 선택된 부화면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S60). 이때 상기 부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부화면 영상은 일정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된 후 사라지는 점멸 방식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며, 또한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투명도가 조절되어 출력된다.
그리고, 일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0). 즉, 기설정된 상기 부화면 영상이 변경되는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어서, 상기 판단결과(S70) 일정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상기 단계(S50)로 복귀하여 다음 출력될 부화면 영상을 선택한다. 즉, 상기 설정된 부화면 영상의 변경조건이 채널 변경이면, 상기 이전에 출력된 채널의 다음 채널을 상기 부화면 영상으로 선택하고, 상기 설정된 부화면 영상의 변경 조건이 입력 변경이면, 상기 이전에 출력된 입력의 다음 입력 모드에 따른 외부 영상 신호를 상기 부화면 영상으로 선택한다.
또한, 상기 판단결과(S70) 상기 일정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외부로부터 동시 화면 종료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80).
이어서, 상기 판단결과(S80) 동시화면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종료하고, 아니 면 일정 시간 동안 대기한 후 상기 단계(S70)로 복귀한다(S90).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및 영상표시방법은 메인 화면의 영상 시청에 방해를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채널이나 외부 입력을 통해 방영되는 영상을 주기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동작 없이 현재 다른 외부 입력 또는 채널의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보조 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다른 채널이나 외부 입력의 영상을 토대로 메인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변경함으로써, 특정 채널 또는 외부 입력의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검색 및 시청할 수 있는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에서 PIP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돈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영상표시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방송 수신부 20: 외부 입력부
30: 스위칭부 40: 영상신호 처리부
50: 디스플레이부 60: 키입력부
70: 메모리부 80: 제어부

Claims (16)

  1.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신호 수신부를 통해 주화면 영상 및 부화면 영상을 입력받아 각각의 화면 크기에 맞게 처리하여 출력하는 영상신호 처리부;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를 통해 신호처리된 주화면 영상 및 부화면 영상을 소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부화면 디스플레이 조건에 기인하여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부화면 영상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영상표시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수신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특정 채널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외부 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영상표시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면 영상은 일정시간 디스플레이 후 사라지는 점멸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 중 주화면 채널의 영상을 제외한 다른 채널의 영상신호로 상기 부화면 영상이 순차적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 모드 별 외부 영상신호로 상기 부화면 영상이 순차적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실제 입력되는 싱크가 존재하는 입력모드의 영상신호로 상기 부화면 영상이 순차적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영상표시기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부화면 투명 조건을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부화면 영상의 투명도를 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8. 제 4항 및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부화면 영상 중 외부로부터 선택된 특정 부화면 영상을 주화면 영상으로 변경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9. 동시화면(PIP)이 선택되면 주화면 영상과 적어도 하나의 부화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기 설정된 부화면 디스플레이 조건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부화면 디스플레이 조건에 기인하여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부화면 영상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영상표시기기의 영상표시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화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일정시간 디스플레이 후 사라지는 점멸 방식의 형태로 상기 부화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영상표시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조건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부화면 영상이 변경되는 시간 정보 및 상기 부화면 영상의 변경 조건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영상표시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면 영상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부화면 영상의 변경 조건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주화면 영상을 제외한 다른 채널의 영상으로 상기 부화면 영상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영상표시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면 영상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부화면 영상의 변경 조건 정보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외부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 모드 별 외부 영상으로 상기 부화면 영상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영상표시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모드 별 외부 영상으로 상기 부화면 영상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단계는 실제 입력되는 싱크가 존재하는 입력모드의 영상신호로 상기 부화면 영상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영상표시방법.
  15. 제 9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기설정된 부화면 투명 조건을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부화면 영상의 투명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영상표시방법.
  16. 제 12 항 및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부화면 영상 중 외부로부터 선택된 특정 부화면 영상을 주화면 영상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영상표시방법.
KR1020080065325A 2008-07-07 2008-07-07 영상표시기기 및 영상표시 방법 KR201000053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325A KR20100005333A (ko) 2008-07-07 2008-07-07 영상표시기기 및 영상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325A KR20100005333A (ko) 2008-07-07 2008-07-07 영상표시기기 및 영상표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333A true KR20100005333A (ko) 2010-01-15

Family

ID=41814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5325A KR20100005333A (ko) 2008-07-07 2008-07-07 영상표시기기 및 영상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533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28295A (ko) 타 방송 채널 확인 방법
US8763040B2 (en) Method of processing transmit streams independently to display multiple broadcasts at the same time and a receiver for implementing the same
KR100744186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80201745A1 (en) Control circuit of display device having program search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to receive program information of tv programs and selecting programs
KR20030085906A (ko) 복수의 튜너를 갖는 텔레웹정보 수신장치 및 채널검색방법
KR20100005333A (ko) 영상표시기기 및 영상표시 방법
KR101377940B1 (ko)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데이터 방송을 시청하는 방법
KR100665058B1 (ko) 텔레비젼의 채널선국방법
KR100687935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805409B1 (ko) 영상표시기기 및 영상표시기기의 주파수 설정방법
KR101426555B1 (ko) 영상표시기기 및 정보 표시 방법
KR20100005276A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채널 리스트 제공 방법
JP2006081106A (ja) マルチ画面制御装置,表示装置
KR100697424B1 (ko) 영상표시기기의 피아이피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696106B1 (ko) Tv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75212A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이전 채널 변경 방법
KR20080027663A (ko) 디지탈 tv의 채널 전환 방법
US20080143879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uned broadcast and previous broadcasts of broadcast channels not tuned on single screen
KR20040037615A (ko) 디지털 티브이 및 그 제어방법
KR20050122801A (ko) 화면 자동 튜닝시 영상디스플레이의 제어 방법
KR20000040880A (ko) Pip 모드의 텔레비전의 운영방법
KR19980029616A (ko) Pip tv에서 부화면 타임 표시장치 및 그 방법
JP2004248163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の表示方法及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00035534A (ko) 방송 수신 장치의 자동 채널 선국 방법
KR20100001329A (ko) 2튜너 시스템의 텔레비전 채널 변경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224

Effective date: 2016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