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260A - 진공 포장백 - Google Patents

진공 포장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260A
KR20100005260A KR1020080065214A KR20080065214A KR20100005260A KR 20100005260 A KR20100005260 A KR 20100005260A KR 1020080065214 A KR1020080065214 A KR 1020080065214A KR 20080065214 A KR20080065214 A KR 20080065214A KR 20100005260 A KR20100005260 A KR 20100005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valve
packaging bag
pumping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5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5585B1 (ko
Inventor
샹춘 리
Original Assignee
연대 상승 폴리머 컴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대 상승 폴리머 컴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연대 상승 폴리머 컴파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080065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5585B1/ko
Publication of KR20100005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25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25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t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각종 식품이나 음식물의 신선도 유지가 가능한 진공 상태로 수납 보관할 수 있는 진공 포장백을 개시한다.
그러한 진공 포장백은, 일측이 개구된 수납 공간을 구비한 포장백 본체와, 상기 수납 공간의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포장백 본체에 설치되는 개폐용 파스너와,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통로를 구비하고 이 통로에 의해 상기 수납 공간 일측이 외부가 연통되도록 상기 포장백 본체에 형성되는 접속구와, 상기 접속구를 통해 상기 포장백 본체의 수납 공간을 진공 분위기로 형성하는 진공펌핑수단와, 상기 진공펌핑수단과 접속구 사이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진공펌핑수단의 펌핑시 동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접속구의 밸브를 누르거나 누름 상태를 해제하면서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밸브용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Figure P1020080065214
포장백 본체, 신선도 유지, 수납 공간, 진공 상태로 보관, 진공펌핑수단, 접속구, 밸브용 제어수단, 밸브의 오작동 방지

Description

진공 포장백{vacuum packing bag}
본 발명은 각종 식품이나 음식물을 간편하게 수납하여 신선도 유지가 가능한 진공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진공 포장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포장백(또는 "zippered bag"이라고도 함.)은 각종 식품이나 음식물을 담아서 진공 상태로 보관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진공 포장백의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일측이 개구된 수납 공간을 구비한 포장백 본체와, 암(female)/수(male) 지퍼로 구성되어 상기 수납 공간의 개구부를 개방 가능하게 차단하는 개폐용 지퍼와, 상기 포장백 본체의 수납 공간을 진공 분위기로 형성하는 진공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한 구성부 중에서 상기 진공장치는 주로 펌핑(pumping)에 의해 상기 포장백 본체 내부를 진공 분위기로 형성하는 것으로서, 체크 밸브(check valve)에 의해 개폐되는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포장백 본체 일측에 제공되는 접속구와, 이 접속구 일단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피스톤의 펌핑(전/후진)에 의해 흡인력을 발생하여 상기 통로를 통해 상기 수납 공간을 진공화시키는 펌핑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체크 밸브는 핀(pin) 타입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접속구 내부에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하는 동작에 의해 상기 통로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체크 밸브는, 예를들어 상기 펌핑구의 핌핑에 의해 흡인력이 발생하면 상기 접속구 내부에 작용하는 흡인력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후진)하여 통로를 개방하고, 흡인력이 해제되면 상기 수납 공간에 작용하는 진공압에 의해 타측으로 이동(전진)하여 상기 통로를 다시 차단하는 방식으로 개폐 동작된다.
이러한, 진공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진공 포장백 내부를 진공 분위기로 형성할 때 진공 압력이 해제되지 않도록 상기 펌핑구와 접속구를 조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상기한 구조의 진공장치는, 상기 펌핑구와 접속구를 이용하여 상기 포장백 본체의 수납 공간을 진공 분위기로 형성할 때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접속구의 체크 밸브가 통로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수납 공간에 작용하는 진공압에 의해 자동으로 통로를 차단할 때 약간의 시간 차이가 발생하여 상기 수납 공간의 진공압이 상기 통로를 통해 쉽게 해제(손실)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현상은 상기 수납 공간을 진공 분위기로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접속구로부터 상기 펌핑구를 분리하는 단계에서 대부분 발생하므로 상기 수납 공간에 대응하여 각종 식품이나 음식물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진공도를 형성하기 어렵다.
상기와 같은 문제들은 예를들어, 상기 펌핑구를 상기 접속구로부터 분리할 때 또는, 펌핑 동작(피스톤의 전/후진)과 연계하여 상기 체크 밸브를 강제로 차단 동작시키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진공장치는 상기 체크 밸브가 차단 동작된 상태에서 통로의 시일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상기 수납 공간의 진공압이 상기 통로를 통해 점차 해제될 수 있으므로 장시간 동안 균일한 진공도를 유지하기 어렵다.
그리고, 상기 진공장치는 예를들어, 수분을 포함하는 육류(생고기)를 상기 포장백 본체 내부에 수납한 상태로 펌핑하면 상기 접속구를 통해 수분이 배출되면서 상기 펌핑기 내부로 유입되거나 외부로 튀어서 비위생적인 상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 포장백 내부를 진공 분위기로 형성할 때 체크 밸브의 오작동을 방지하여 한층 향상된 사용 편의성 및 작동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는 진공 포장백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측이 개구된 수납 공간을 구비한 포장백 본체;
상기 수납 공간의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포장백 본체에 설치되는 개폐용 파스너;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통로를 구비하고 이 통로에 의해 상기 수납 공간 일측이 외부가 연통되도록 상기 포장백 본체에 형성되는 접속구;
상기 접속구를 통해 상기 포장백 본체의 수납 공간을 진공 분위기로 형성하는 진공펌핑수단;
상기 진공펌핑수단과 접속구 사이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진공펌핑수단의 펌핑시 동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접속구의 밸브를 누르거나 누름 상태를 해제하면서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밸브용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진공 포장백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진공펌핑수단을 밸브용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접속구와 연결한 상태로 펌핑하여 흡인력에 의해 상기 포장백 본체 내부의 수납 공간을 진공 분위기로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밸브용 제어수단은, 상기 진공펌핑수단의 펌핑시 동력을 전달받아서 통상의 공이(firing pin) 형태로 작동하면서 상기 접속구의 밸브가 신속하게 통로를 차단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하면, 상기 진공펌핑수단의 펌핑에 의해 상기 접속구의 통로를 통해 상기 포장백 본체의 수납 공간을 진공 분위기로 형성할 때 예를들어, 상기 밸브가 비정상으로 차단 동작되면서 진공압이 해제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 지하여 한층 향상된 사용 편의성 및 작동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포장백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면 부호 2는 포장백 본체를 지칭한다.
상기 포장백 본체(2)는 일측에 개구부(S1)가 형성된 수납 공간(S)을 구비한 합성수지(예: 비닐 또는 폴리에틸렌 필름) 봉투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포장백 본체(2)는 예를들어, 두 개의 합성수지 필름을 덧댄 상태에서 테두리 둘레 일부를 통상의 용융 접합 또는 열 압착 방식으로 접합하여 만들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포장백은, 개폐용 파스너(4, fastener)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용 파스너(4)는 상기 포장백 본체(2)의 개구부(S1)를 개방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에서와 같이 암(female)/수(male) 형태의 지퍼부(Z1, Z2)를 갖는 통상의 합성수지 봉투용 지퍼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일측 지퍼부(Z1)는 상기 수납 공간(S) 내부에서 상기 개구부(S1) 내측의 양면 중에서 일측면에 부착되며, 상기 개구부(S1)의 절개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된 돌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타측 지퍼부(Z2)는 상기 개구부(S1) 내측의 타측면에 부착되며, 상기 개구부(S1)의 절개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된 홈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지퍼부(Z1, Z2)의 돌기부와 홈부를 서로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면서 상기 포장백 본체(2)의 개구부(S1)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한 개폐용 파스너(4)는 상기 두 개의 지퍼부(Z1, Z2)의 끼움 결합에 의해 상기 개구부(S1)를 차단한 상태일 때 시일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만일, 상기 개구부(S1)를 차단한 상태에서 시일이 유지되지 않으면 상기 수납 공간(S)을 진공 분위기로 형성할 때 압력이 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지퍼 타입의 개폐용 파스너(4)는 해당 분야에서 이미 널리 알려지고 사용하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용 파스너(4)는 상기 포장백 본체(2)의 개구부(S1)와 대응하도록 도 1에서와 같이 한 줄을 설치하거나 이외에도 예를들어, 도 3에서와 같이 두 줄 또는 두 줄 이상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포장백은, 접속구(6)를 포함한다.
상기 접속구(6)는 밸브(V)에 의해 개폐되는 통로(L1)룰 구비하고, 이 통 로(L1)에 의해 상기 수납 공간(S)이 외부로 연통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포장백 본체(2) 일측에 형성된다.(도 1참조)
상기 접속구(6)는 용융 접합 또는 액상의 접착재를 도포하는 방식으로 상기 포장백 본체(2) 일측에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밸브(V)는 상기 접속구(6) 내측에서 통상의 체크 밸브(check valve) 타입으로 작동하면서 상기 접속구(6)의 통로(L)를 개방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셋팅된다.
즉, 상기 밸브(V)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접속구(6)의 통로(L)와 대응하는 헤드부(V1)를 일단에 구비한 핀(pin)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밸브(V)는 상기 헤드부(V1)가 상기 통로(L) 내측에 끼워진 상태일 때 반대편 단부는 상기 통로(L) 외측으로 일정 부분 돌출될 수 있는 크기 및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속구(6)의 통로(L) 일측에는 상기 헤드부(V1)와 대응하는 밸브시트(V2)가 형성된다.(도 4참조)
그리고, 상기 접속구(6)의 통로(L) 일측에는 상기 밸브(V)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용 캡(V3)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용 캡(V3)은 상기 접속구(6)의 통로(L)와 대응하는 보조 통로(L1)를 구비하고, 이 보조 통로(L1)는 상기 밸브(V)의 일단(헤드부 반대편) 둘레부 보다 크게 형성되며, 삽입측 단부에는 도 4에서와 같이 통기용 홈부(L2)가 형성된다.
상기 통기용 홈부(L2)는 예를들어, 상기 밸브(V)가 도 5에서와 같이 일측(후진)으로 이동하여 상기 헤드부(V1)가 상기 고정용 캡(V3)의 일단과 접촉할 때 이들 의 사이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틈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밸브(V)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접속구(6) 내부에서 도 4에서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유체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통상의 체크 밸브 타입으로 상기 통로(L)를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V) 일측에는 도 4에서와 같이 밸브용 시일부재(V4)를 더 설치하면 좋다.
상기 밸브용 시일부재(V4)는 연질의 고무나 실리콘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헤드부(V1)의 외부면을 덮을 수 있는 크기 및 형태(예: 캡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헤드부(V1)가 상기 밸브시트(V2) 측으로 이동하여 통로(L)를 차단할 때 이들의 접촉면 사이에 상기 연질의 시일부재(V4)가 위치하므로 시일성을 대폭 높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포장백은, 도 1에서와 같은 진공펌핑수단(8)을 포함한다.
상기 진공펌핑수단(8)은, 상기 접속구(6)를 통해 상기 포장백 본체(2)의 수납 공간(S)을 진공 분위기로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펌핑용 피스톤(P)을 구비하고, 이 펌핑용 피스톤(P)이 방아쇠(trigger) 형태로 작동하는 손잡이(P1)에 의해 펌핑 운동하는 건(gun) 타입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진공펌핑수단(8)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펌핑용 피스톤(P)이 설치되는 원통형의 펌핑 공간(P2)을 구비하고, 이 펌핑 공간(P2)은 상기 진공펌핑수 단(8) 외부 일측에 관통 형성된 펌핑용 통로(L3)와 연통된다.
상기 펌핑용 피스톤(P)은 중앙부에 통기용 홀부(L4)를 구비하고, 이 통기용 홀부(L4) 둘레부에 복수 개의 통기용 돌기부(L5)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P1)의 일측 단부는 상기 펌핑 공간(P2)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도록 끼워져서 상기 펌핑용 피스톤(P)의 통기용 홀부(L4)을 관통하여 접지용 플레이트(P3)와 연결된다.
상기 접지용 플레이트(P3)는 예를들어, 상기 손잡이(P1)를 잡아당길 때 상기 통기용 홀부(L4)를 차단한 상태로 상기 펌핑용 피스톤(P)을 일측으로 밀어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펌핑 공간(P2)에는 탄성부재(P4)가 설치되며, 이 탄성부재(P4)는 탄성 반발력에 의해 도 6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펌핑용 피스톤(P)을 좌측으로 밀 수 있도록 셋팅된다.
상기 탄성부재(P4)는 통상의 압축 코일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단에 푸시용 플레이트(P5)가 배치된다.
상기 푸시용 플레이트(P5)는 상기 탄성부재(P4)의 탄성반발력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통기용 돌기부(L5)와 접촉된 상태로 상기 펌핑용 피스톤(P)을 밀 수 있도록 셋팅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예를들어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손잡이(P1)을 잡아당기면 상기 접지용 플레이트(P3)로 상기 펌핑용 피스톤(P)을 밀어서 상기 펌핑 공간(P2)에서 상기 펌핑용 피스톤(P)을 도면에서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후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지용 플레이트(P3)는 상기 펌핑용 피스톤(P)의 일면과 밀착되어 상기 통기용 홀부(L4)를 차단하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펌핑용 통로(L3)를 통해 흡인력을 발생하여 외부 공기를 빨아들일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손잡이(P1)의 당김 상태를 해제하면 상기 탄성부재(P4)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상기 푸시용 플레이트(P5)로 상기 펌핑용 피스톤(P)을 밀어서 도면에서와 같이 이동(전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펌핑용 피스톤(P)의 일면은 상기 접지용 플레이트(P3)와 밀착 상태가 해제되므로 외부에서 빨아들인 공기는 상기 펌핑 공간(P2)에서 상기 펌핑용 피스톤(P)의 통기용 홀부(L4)를 통해 상기 펌핑 공간(P2) 일측에서 타측으로 옮겨지면서 예를들어, 상기 손잡이(P1)의 끼움 결합부 틈새 또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별도의 벤트홀 등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셋팅된다.
그러므로, 상기 진공펌핑수단(8)의 펌핑용 통로(L3)를 상기 접속구(6)의 통로(L)와 도 9에서와 같이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P1)로 상기 펌핑용 피스톤(P)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펌핑 동작에 의해 흡입력을 발생하여 상기 포장백 본체(2)의 수납 공간(S)을 진공 분위기로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속구(6)의 밸브(V)는 상기 수납 공간(S) 내부에 작용하는 진공압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접속구(6)의 통로(L)를 자동으로 차단하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수납 공간(S)을 진공 분위기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진공 분위기를 해제하려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포장백 본체(2)의 개구부(S1)를 상기 개폐용 파스너(4)로 개방하거나, 상기 밸브(V)를 일측으로 잡아당겨서 상기 접속구(6)의 통로(L)를 개방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진공펌핑수단(8)은, 상기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피스톤을 이용하여 흡인력의 발생이 가능하게 펌핑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포장백은, 밸브용 제어수단(10)을 포함한다.
상기 밸브용 제어수단(10)은, 상기 진공펌핑수단(8)의 펌핑 동작시 통상의 공이(firing pin) 형태로 작동하면서 상기 접속구(6)의 통로(L)를 강제로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밸브(V)의 작동을 제어하는 일종의 안전장치이다.
즉, 상기 밸브용 제어수단(10)은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접속구(6)와 상기 진공펌핑수단(8) 사이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구(C1)와, 이 연결구(C1) 내부에 배치되는 가압핀(C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구(C1)는 내부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연결 통로(L6)를 구비하고, 좌/우로 연장 형성된 원통 또는 다각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구(C1)는 상기 연결 통로(L6)를 이용하여 상기 진공펌핑수단(8)의 펌핑 공간(P2)과 상기 접속구(6)의 통로(L)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가압핀(C1)은 상기 연결구(C1) 내부에서 상기 연결 통로(L6) 일단 또는 타단을 향하여 전/후진 운동이 가능한 크기 및 형태(공이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핀(C2)은 상기 밸브(V)와 접촉하는 가압부(C3)를 일단에 구비하고, 이 가압부(C3)의 외부면에는 배기용 홈부(L7)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C1)의 연결 통로(L6) 일측에는 상기 가압핀(C2)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단차부(C4)가 형성되며, 이 단차부(C4)는 상기 가압부(C3)와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배기용 홈부(L7)들은 상기 가압부(C3)가 상기 연결구(C1)의 단차부(C4)와 접촉되어 이동이 제한된 상태일 때 이들 사이로 공기가 흐를 수 있는 틈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압핀(C2)의 타단 단부는 상기 연결구(C1) 외측으로 더욱 연장되어 이 연결구(C1) 일단과 상기 진공펌핑수단(8)을 연결한 상태일 때 상기 펌핑용 피스톤(P)의 접지용 플레이트(P3) 일면과 접촉 가능하게 셋팅된다.
상기한 가압핀(C2)은 상기 진공펌핑수단(8)을 상기 접속구(6)와 연결한 상태로 펌핑할 때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예를들어,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진공펌핑수단(8)의 손잡이(P1)를 잡아당겨서 상기 펌핑용 피스톤(P)이 후진할 때에는 상기 접지용 플레이트(P3)에 의한 가압력이 해제되면서 상기 밸브(V)의 가압 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펌핑용 피스톤(P)이 전진할 때에는 상기 접지용 플레이트(P3)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밸브(V)를 누르고 있는 가압 상태가 된다.
즉, 상기한 밸브용 제어수단(10)은, 상기 진공펌핑수단(8)의 펌핑에 의해 상기 수납 공간(S)을 진공 분위기로 형성할 때 상기 밸브(V)의 오작동에 의해 상기 접속구(6)의 통로(L)로 진공압이 불규칙하게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P1)의 당김 동작을 해제한 상태에서 상기 진공펌핑수단(8)을 상기 접속구(8)로부터 분리할 때 상기 밸브(V)를 가압하여 상기 접속구(6)의 통로(L)를 차단한 상태로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밸브용 제어수단(10)은, 예를들어, 수분이 포함된 육류나 야채 등을 상기 수납 공간(S)에 수납한 상태로 진공 분위기를 형성할 때 흡인력에 의해 상기 접속구(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수분을 상기 가압핀(C2)의 가압부(C3)로 막아서 상기 연결구(C1)의 연결 통로(L6) 내부에 고이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수납 공간(S)의 펌핑시 외부로 배출되는 수분이 상기 진공펌핑수단(8) 내부로 들어가서 오작동을 유발하거나 비위생적인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포장백은,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포장백 본체(2) 내부에 각종 식품(F, 또는 음식물)을 보관할 때 상기 진공펌핑수단(8)과 접속구(6)를 이용하여 상기 수납 공간(S)을 간편하게 진공 분위기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부패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진공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진공펌핑수단(8)으로 진공 분위기를 형성할 때 상기 밸브용 제어수단(10)에 의해 상기 접속구(6) 내부에 위치된 밸브(V)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한층 향상된 사용 편의성 및 작동 신뢰도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포장백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포장백의 개폐용 파스너의 세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포장백의 개폐용 파스너의 다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포장백의 접속구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접속구의 고정용 캡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포장백의 진공펌핑수단의 세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포장백의 진공펌핑수단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포장백의 바람직한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포장백 본체 4: 개폐용 파스너 6: 접속구
8: 진공펌핑수단 10: 밸브용 제어수단 S: 수납 공간
P: 펌핑용 피스톤 V: 밸브 L: 통로

Claims (7)

  1. 일측이 개구된 수납 공간을 구비한 포장백 본체;
    상기 수납 공간의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포장백 본체에 설치되는 개폐용 파스너;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통로를 구비하고 이 통로에 의해 상기 수납 공간 일측이 외부가 연통되도록 상기 포장백 본체에 형성되는 접속구;
    상기 접속구를 통해 상기 포장백 본체의 수납 공간을 진공 분위기로 형성하는 진공펌핑수단;
    상기 진공펌핑수단과 접속구 사이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진공펌핑수단의 펌핑시 동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접속구의 밸브를 누르거나 누름 상태를 해제하면서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밸브용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진공 포장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핀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통로 내부에 작용하는 유체 압력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유체의 역류 방지가 가능하게 상기 통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셋팅되는 진공 포장백.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공 포장백은, 상기 접속구의 밸브와 대응하는 시일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일부재는,
    연질의 고무나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밸브 일단 외부면을 덮는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포장백.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공펌핑수단은,
    펌핑 공간을 구비하고, 이 펌핑 공간에서 펌핑용 피스톤을 전/후로 이동시키면서 흡인력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포장백.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용 제어수단은,
    상기 접속구와 상기 진공펌핑수단을 연결하는 연결 통로를 구비한 연결구;
    상기 연결 통로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진공펌핑수단의 펌핑시 동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접속구의 밸브를 누르거나 누름 상태를 해제하는 가압핀;
    을 포함하는 진공 포장백.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압핀은,
    일단에 가압부를 구비한 공이(firing pin)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압부가 상기 접속구의 통로 측에 걸림 접촉이 가능하게 끼워지고, 타단은 상기 연결 통로 외부로 돌출되도록 셋팅되는 진공 포장백.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압핀은,
    상기 진공펌핑수단의 펌핑시 길이 방향의 어느 한 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밸브가 차단 동작되도록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포장백.
KR1020080065214A 2008-07-07 2008-07-07 진공 포장백용 진공 발생장치 KR100985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214A KR100985585B1 (ko) 2008-07-07 2008-07-07 진공 포장백용 진공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214A KR100985585B1 (ko) 2008-07-07 2008-07-07 진공 포장백용 진공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260A true KR20100005260A (ko) 2010-01-15
KR100985585B1 KR100985585B1 (ko) 2010-10-07

Family

ID=41814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5214A KR100985585B1 (ko) 2008-07-07 2008-07-07 진공 포장백용 진공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55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58932A (zh) * 2013-04-15 2013-06-19 包头市顺鑫塑业有限公司 抽真空接头及具有抽真空接头的真空包装袋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252A (ko) * 2000-04-06 2001-10-31 김일환 진공 음식물 보관 용기
KR20020000997A (ko) * 2000-06-23 2002-01-09 이구택 패스라인롤의 점검장치
US6604634B2 (en) * 2001-07-18 2003-08-12 Fu-Long Su Receiving bag with enhanced airtight effec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58932A (zh) * 2013-04-15 2013-06-19 包头市顺鑫塑业有限公司 抽真空接头及具有抽真空接头的真空包装袋
CN103158932B (zh) * 2013-04-15 2016-01-20 包头市顺鑫塑业有限公司 抽真空接头及具有抽真空接头的真空包装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5585B1 (ko) 201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8418B1 (en) Food product bag-to-pump connector
US6604634B2 (en) Receiving bag with enhanced airtight effect
US731610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acuum sealing zip lock plastic bags
AU7088291A (en) Wound evacuator
US10775096B2 (en) Refrigerator
US8408425B2 (en) Hydration device
JP6979975B2 (ja) 真空容器、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6726463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KR100985585B1 (ko) 진공 포장백용 진공 발생장치
US20090206295A1 (en) Universal attachable/detachable air extraction valve for re-sealable storage bags
US78189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vacuating re-sealable bags
JP2009196695A (ja) 密封袋
CN108473238B (zh) 扳机式液体喷出器
CN210266048U (zh) 一种负压阀以及具有其的供水系统
US10336488B1 (en) Vacuum seal apparatus and method
US20200346244A1 (en) Caulk gun
EP1970312A1 (en) Vacuum packaging apparatus
US20080223006A1 (en) Vacuum packaging apparatus
CN112206940B (zh) 一种具有补偿结构的高压水枪
CN209995698U (zh) 一种磁感控制的抽屉式真空储物柜
CN106733312B (zh) 一种喷枪及其罐体、罐体连接机构
KR20100106736A (ko) 진공 포장백
US20130031871A1 (en) Bag vacuum apparatus
KR100852635B1 (ko) 진공클립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진공포장지
KR20170118464A (ko) 진공해제유닛이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진공포장기용 진공형성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