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702A - 범용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범용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702A
KR20100004702A KR1020080065020A KR20080065020A KR20100004702A KR 20100004702 A KR20100004702 A KR 20100004702A KR 1020080065020 A KR1020080065020 A KR 1020080065020A KR 20080065020 A KR20080065020 A KR 20080065020A KR 20100004702 A KR20100004702 A KR 20100004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control signal
remote control
control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5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현
Original Assignee
권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현 filed Critical 권영현
Priority to KR1020080065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4702A/ko
Publication of KR20100004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7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범용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에 복수의 기기들 각각의 제어신호를 입력하여 설정하고, 각 기기의 제어신호가 설정된 리모트 컨트롤 장치가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를 사용하여 복수의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범용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 그에 따른 범용 리모트 컨트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범용, 리모트 컨트롤, 제어신호 입력

Description

범용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UNIVERSAL REMOTE CONTROL}
본 발명은 범용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를 사용하여 복수의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범용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모트 컨트롤 장치는 생활을 편리하게 해 주는 대표적인 수단의 하나이다. 리모트 컨트롤 장치는 텔레비전, 에어컨, 비디오 플레이어, 오디오 플레이어, 리시버, 앰프 등의 다양한 생활 가전 기기들에 사용됨은 물론, 방송 장비나 산업 현장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 장치가 적용되는 기기의 범위는 계속 확장되고 있으며, 현재에는 대다수의 전자기기들에 리모트 컨트롤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하나의 기기에 대하여 하나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사용이 일반적으로 적용됨에 따라, 어떤 기기에 대응하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가 분실되는 경우, 해당 기기에 대한 리모트 컨트롤이 불가능하게 된다.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사용이 일반화됨에 따라 기기 본체가 아닌 리모트 컨트롤 장치를 통해서만 제어되는 기 능들을 가지도록 기기가 제작되기도 하는 현 추세에서 더욱 문제가 된다.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분실 시, 해당 기기의 생산 중단 등의 이유로 인해 해당 기기에 대응하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를 재구입할 수 없는 일이 발생한다면, 해당 리모트 컨트롤 장치에 대응하는 기기를 완전히 제어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는, 적외선 등의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뿐 아니라, 포터블 기기 등에 적용되는 유선 리모트 컨트롤 장치들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모든 기기에 대하여 해당 기기의 모든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된다.
한편,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가 보유해야 하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수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보관이나 관리는 점점 불편해지고 있다. 비록 복수의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범용 리모트 컨트롤 장치가 소개되고 있으나, 이들은 각 기기의 기능에 완전히 대응되지 못하고 있다.
즉, 완전한 범용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구현을 위해서는, 복수의 기기들에 대해서 기기들 각각의 기능을 완전히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든 기기에 대하여 해당 기기의 모든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범용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범용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범용 리모트 컨트롤 장치는, 제어 대상 기기를 선택하는 버튼, 제어 대상 기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와,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로부터 해당 기기의 식별 정보 또는 해당 기기의 기능들 각각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군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이후 상기 기기가 선택되면 상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발생되도록 상기 기기의 식별 정보에 대응시킨 상기 제어 신호군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키패드에 포함된 버튼의 선택 시에,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제어 신호군을 참조하여 선택된 버튼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서 출력하는 제어 신호 발생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복수의 기기들에 해당하는 식별 정보와 해당 기기들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일괄 처리가 요구되는 복수의 기능에 대한 제어가 한번의 버튼 선택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나의 버튼에 복수의 기기에 대한 제어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현재 제어되는 기기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가 출력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범용 리모트 컨트 롤 방법은,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로부터 해당 기기의 식별정보 또는 해당 기기의 기능들 각각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군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단계와, 이후 상기 기기가 선택되면 상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발생되도록 상기 기기의 식별 정보에 상기 입력받은 제어 신호군을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임의의 기기 제어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기기 제어 버튼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선택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군 중에서 선택하여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어 신호와 대응되어 저장된 기기의 식별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기기의 식별 정보 선택 시에, 선택된 기기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버튼의 선택 시에 복수의 제어신호가 대응되어 있는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버튼에 대응하는 모든 제어신호를 동시에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범용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 방법은 하나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를 사용하여 여러 기기의 모든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하나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를 사용하여 복수의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사용 및 보관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이후 기술하는 본 발명에 따른 범용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 방법은, 리모트 컨트롤 장치에 해당 리모트 컨트롤 장치를 사용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의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서 해당 기기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범용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 방법은, 리모트 컨트롤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모든 기기들의 제어를 위해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범용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 방법은 무선 리모트 컨트롤 장치 또는 유선 리모트 컨트롤 장치 모두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범용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형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범용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기능에 따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00)는, 키패드(110), 입력부(120), 저장부(130), 제어 신호 발생부(140)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들 중 키패드(110)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 버튼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사 용자의 버튼 선택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다. 키패드(110)에 포함되는 선택 버튼에는, 제어 대상이 되는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 즉 해당 리모트 컨트롤 장치(100)의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과 대상 기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제어 대상이 되는 기기로부터 해당 기기의 해당 기기의 식별 정보 및 해당 기기의 기능들 각각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들의 집합인 제어 신호군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다. 이때, 해당 리모트 컨트롤 장치(100)가 제어 대상이 되는 기기의 모든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해당 기기가 가지는 기능들 각각에 대응하는 제어신호군 모두가 리모트 컨트롤 장치(100)에 입력되어야 한다. 입력부(120)를 통해 리모트 컨트롤 장치(100)에 입력된 제어신호들은, 이후 해당 리모트 컨트롤 장치(100)를 사용한 제어의 수행을 위해 리모트 컨트롤 장치(100)에 저장되어야 한다.
저장부(130)는 입력부(120)를 통해 리모트 컨트롤 장치(100)에 입력된 각 기기의 식별정보와 각 기기의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군을 저장한다. 이때, 각 기기의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군들은, 자신과 대응하는 기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각 기기의 식별 정보와 대응하도록 저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특히 하나의 리모트 컨트롤러(100)를 사용하여 복수의 기기들을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이와 같이 각 기기의 식별 정보와 제어 신호군을 대응시킴으로써, 하나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를 사용하여 복수의 기기들을 제어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혼선을 피할 수 있다. 하나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100)를 사용하여 복수 의 기기들을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저장부(130)에는 해당 리모트 컨트롤 장치(100)를 사용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모든 기기들의 제어 신호군이 저장되어야 한다. 물론, 이들 제어 신호군들 각각은, 자신이 제어할 대상이 되는 기기의 식별 정보와 대응하도록 저장됨이 바람직하며, 제어 신호군들 중의 각각의 제어 신호는 자신이 제어하는 기능과 대응하도록 저장된다.
한편, 저장부(130)는 일괄 처리가 요구되는 하나의 기기에서의 복수의 기능 또는 복수의 기기에 대한 제어가 한번의 버튼 선택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나의 버튼에 복수의 기기에 대한 제어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제어 신호 발생부(140)는 사용자에 의해 키패드의 임의의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버튼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제어 신호 생성 시에, 제어 신호 발생부(14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제어 신호군을 참조한다. 제어 신호 발생부(140)는 키패드(110) 상의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리모트 컨트롤 장치(100)가 현재 어떤 기기를 제어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를 체크하고, 그 체크결과에 따라 제어 설정되어 있는 기기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군으로부터 해당 버튼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선택하여 발생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키패드(110)의 "재생"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제어 신호 발생부(140)는 키패드(110)로부터 재생 버튼이 선택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입력받고, 현재 리모트 컨트롤 장치(100)가 어떤 기기를 제어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를 체크한다. 체크 결과, 리모트 컨트롤 장치(100)가 비디오 플레이어를 제어하도록 설정되어 있다면, 제어 신호 발생부(140)는 저장부(130)를 참조하여, 비 디오 플레이어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군 중 재생 기능을 수행시킬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선택하여 해당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 후 출력시킨다. 이렇게 출력된 제어 신호는 비디오 플레이어에 입력되어 해당 비디오 플레이어의 재생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한편, 제어 신호 발생부(140)는 복수의 제어신호가 대응되어 있는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버튼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어신호를 모두 발생시킴으로써 복수의 기능에 대한 제어가 한번의 버튼 선택만으로 동시에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00)를 사용하여 서로 동일하게 동작하는 복수의 스피커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하나의 버튼에 리모트 컨트롤 장치를 사용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스피커들 각각의 제어장치를 모두 대응시킴으로써 한번의 버튼 선택으로 모든 스피커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00)는, 비록 동일한 사양의 기기 또는 동일한 기능이 아니라 해도, 동시에 작동해야 하는 복수의 기능들을 하나의 선택 버튼에 대응시켜서 일괄 처리함으로써 기기의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일괄 처리 기능은, 다수의 장치들이 연결되어 구성되는 대규모의 시스템에서 특히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00)는 자신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5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150)를 통해 표시되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100)의 동작 상태는, 현재 해당 리모트 컨트롤 장치(100)를 통해 제어되도록 설정된 대상 기기, 키패드(100)의 버튼 선택 시 선택된 버튼의 종류 또는 버튼의 선택 여부 표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50)를 통해 표시되는 내용은, 해당 리모트 컨트롤 장치(100)의 제어 대상이 되는 기기가 변경되는 경우 등, 표시 내용의 변경을 반영하도록 갱신됨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복수의 기기들과 대응하는 본 발명에 따른 범용 리모트 컨트롤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범용 리모트 컨트롤 장치는 복수의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를 통해 어떤 기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해당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리모트 컨트롤 장치에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도 2에는 무선 리모트 컨트롤 장치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무선 리모트 컨트롤 장치만이 아니라 유선 리모트 컨트롤 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에 대응하는 리모트 컨트롤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범용 리모트 컨트롤 방법은, 리모트 컨트롤 장치에 제어 대상이 되는 기기와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입력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이후 제어 신호가 저장되어 있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를 사용한 기기의 제어 단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범용 리모트 컨트롤 방법의 각 단계들을 도시하는 순서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범용 리모트 컨트롤 방법은,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로부터 해당 기기의 식별정보 또는 해당 기기의 기능들 각각에 대 응하는 제어 신호군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단계(300)와, 입력받은 제어 신호군을 해당 제어 신호군을 사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기기의 식별정보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302)와, 기기 제어 버튼이 선택되는 단계(304)와, 선택된 버튼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선택된 기기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군 중에서 선택하여 발생시키는 단계(306)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범용 리모트 컨트롤 방법은, 하나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를 사용하여 복수의 기기들을 제어하는 경우, 제어 대상이 되는 기기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대상이 되는 기기가 변경되는 경우, 해당 기기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가 각각의 제어 버튼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범용 리모트 컨트롤 방법은,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현재 해당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에 의해 제어되도록 선택되어 있는 기기의 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 정보의 표시는, 제어 대상이 되는 기기의 변경과 함께 표시 내용이 변경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표시부에 표시된 내용을 통해 리모트 컨트롤 장치가 현재 어떤 기기를 제어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등의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범용 리모트 컨트롤 방법은, 선택된 버튼에 복수의 제어신호가 대응되어 있는 경우, 해당 버튼에 대응하는 모든 제어신호를 동시에 발생시켜서 출력함으로써 복수의 장치에 대한 동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범용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 방법은, 무선 방식으로 기기를 제어하는 무선 리모트 컨트롤 장치와 기기와 연결된 회선을 통해 기기를 제어하는 유선 리모트 컨트롤 장치 모두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리모트 컨트롤 기능을 채용한 모든 기기들에 대해, 하나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를 사용하여 각 기기의 모든 기능들을 제어하거나, 하나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를 사용하여 복수의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효율적인 사용과 보관이 가능하게 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범용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형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범용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기능에 따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복수의 기기들과 대응하는 본 발명에 따른 범용 리모트 컨트롤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범용 리모트 컨트롤 방법의 각 단계들을 도시하는 순서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리모트 컨트롤 장치 110 : 키패드
120 : 입력부 130 : 저장부
140 : 제어 신호 발생부 150 : 표시부

Claims (9)

  1. 범용 리모트 컨트롤 장치에 있어서,
    제어 대상 기기를 선택하는 버튼, 제어 대상 기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로부터 해당 기기의 식별 정보 또는 해당 기기의 기능들 각각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군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받은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군의 각 제어신호를 상기 키패드의 버튼에 대응시켜서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키패드에 포함된 버튼의 선택 시에,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제어 신호군을 참조하여 상기 선택된 버튼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서 출력하는 제어 신호 발생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리모트 컨트롤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복수의 기기들 각각에 해당하는 식별 정보와 제어 신호군을 각각 구분하여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리모트 컨트롤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일괄 처리가 요구되는 복수의 기능 대한 제어가 한번의 버튼 선택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나의 버튼에 복수의 기능에 대한 제어 신호를 저장함 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리모트 컨트롤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현재 제어되는 기기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가 출력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리모트 컨트롤 장치.
  5. 범용 리모트 컨트롤 방법에 있어서,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로부터 해당 기기의 식별정보 또는 해당 기기의 기능들 각각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군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단계; 와
    상기 기기의 선택 시에 상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발생되도록 상기 기기의 식별 정보와 상기 입력받은 제어 신호군을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리모트 컨트롤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임의의 기기 제어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기기 제어 버튼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선택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군 중에서 선택하여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리모트 컨트롤 방법.
  7. 제 5항 또는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와 대응되어 저장된 기기의 식별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 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리모트 컨트롤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의 식별 정보 선택 시에, 선택된 기기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리모트 컨트롤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선택 시에 복수의 제어신호가 대응되어 있는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버튼에 대응하는 모든 제어신호를 동시에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리모트 컨트롤 방법.
KR1020080065020A 2008-07-04 2008-07-04 범용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 방법 KR201000047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020A KR20100004702A (ko) 2008-07-04 2008-07-04 범용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020A KR20100004702A (ko) 2008-07-04 2008-07-04 범용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702A true KR20100004702A (ko) 2010-01-13

Family

ID=41814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5020A KR20100004702A (ko) 2008-07-04 2008-07-04 범용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470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7573B2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 system
JP2012090240A5 (ko)
JP2007181068A (ja) リモコン装置
US8294831B2 (en) Set-top box receiver soft control system and method
KR20070029408A (ko) 멀티비젼 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20110122317A1 (en) Control method of prompt facility in hdmi-cec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with such control method
US20090290072A1 (en) Remote controller,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230653B1 (en) Remote controller
KR20160006138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98619B1 (ko) 선호 채널을 설정하는 리모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00118000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541451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13279B1 (ko) 영상표시기기의 데이터 멀티 전송장치 및 방법
KR20100004702A (ko) 범용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 방법
JP2008311958A (ja) 携帯電話機
KR20070003099A (ko) 터치 스크린 리모콘
KR101805204B1 (ko) 통합 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
KR101779954B1 (ko) 통합 리모컨 제어 장치 및 방법
EP2293545B1 (en) Controll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0780288B1 (ko) 통합리모컨 제어시스템
JP2006332806A (ja) 制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079596B1 (ko) 원격조정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원격제어방법
JP2008252326A (ja) 電子機器に接続された外部機器の接続情報認識システム及びその認識方法
KR101175364B1 (ko) 텔레비젼의 리모콘 학습 제어방법과 학습 제어장치
KR100803885B1 (ko) 리모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