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473A - 노우즈 패드 및 이를 구비한 안경 - Google Patents

노우즈 패드 및 이를 구비한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473A
KR20100004473A KR1020080064663A KR20080064663A KR20100004473A KR 20100004473 A KR20100004473 A KR 20100004473A KR 1020080064663 A KR1020080064663 A KR 1020080064663A KR 20080064663 A KR20080064663 A KR 20080064663A KR 20100004473 A KR20100004473 A KR 20100004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mber
nose pad
magnetic member
pair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정희
Original Assignee
(주)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선 filed Critical (주)시선
Priority to KR1020080064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4473A/ko
Publication of KR20100004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4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02C5/126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exchangeable or otherwise fitted to the shape of the nos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02C5/12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with adjustable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2Magnet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우즈 패드 및 이를 구비한 안경에 관한 것으로, 바디, 이 바디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부재, 이 가이드부재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이송안내부재, 이 가이드부재의 일측에 형성되고 자성을 갖는 제 1자석부재, 가이드부재의 타측에 형성되고 제 1자석부재와 동일 극성을 띄는 제 2자석부재 및 이송안내부재에 형성되고 제 2자석부재와 동일 극성을 갖음에 따라 외력 제거시 이송안내부재를 인력(引力)에 의해 상대적으로 가까이 있는 제 1자석부재 또는 제 2자석부재 방향으로 이동 유도하는 제 3자석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발명과 달리 자석부재의 인력(引力)을 이용하여 노우즈 패드를 설정 위치로 이동시키며, 이 인력에 의해 설정 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노우즈 패드의 바디를 소정 각도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안경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안경, 다초점 렌즈, 노우즈 패드, 자석

Description

노우즈 패드 및 이를 구비한 안경{NOSE PAD AND A PAIR OF SPECTACLES THEREWITH}
본 발명은 노우즈 패드 및 이를 구비한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석부재의 인력을 이용하여 노우즈 패드를 설정 위치로 이동시키며, 이 인력에 의해 설정 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 인력에 의해 설정 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노우즈 패드의 바디를 소정 각도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안경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노우즈 패드 및 이를 구비한 안경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둘 이상의 상이한 초점 영역의 렌즈를 원하는 사용 위치로 이동되고 벗어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눈앞에서 안경렌즈를 상승시키고 하향시키는 많은 시도가 있었다.
특히,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국 특허 제 5,691,796호에서는 한 쌍의 상부자석(50l,50r) 및 한 쌍의 하부자석(54l,54r)이 노우즈 패드(26l,26r) 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노우즈 패드(26l,26r)는 원형 단면의 실린드리컬 보어(cylindrical bores,46l,46r)를 각각 포함한다.
그리고, 한 쌍의 슬라이딩부재(34l,34r)가 대응하는 동일 형상을 한 한 쌍의 패드 서포팅 암(30l-편의상 하나만 도시)에 고정된다.
이러한 슬라이딩부재(34l,34r)는 원형 단면을 가져, 이들은 실린드리컬 보어(cylindrical bores,46l,46r) 내에서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다.
한 쌍의 이동 가능한 이동자석(44l,44r)이 각각의 슬라이딩부재(34l,34r)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자석(44l,44r)이 해당되는 상부자석(50l,50r) 및 해당되는 하부자석(54l,54r)에 서로 붙게 됨에 따라 노우즈 패드(26l,26r)는 상승된 상태 또는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부재(34l,34r)는 실린드리컬 보어(46l,46r) 가장자리에 형성된 가이드레일(48l,48r)을 따라 이동 안내된다.
한편, 한 쌍의 노우즈 패드(26l,26r)는 브릿지(28)로 연결된다.
특히, 우측 노우즈 패드(26r)의 상단부와 좌측 노우즈 패드(26l)의 상단부 사이의 거리는 우측 노우즈 패드(26r)의 하단부와 좌측 노우즈 패드(26l)의 하단부 사이의 거리와 상이하다.
따라서, 한 쌍의 노우즈 패드(26l,26r)가 하강하게 되면, 노우즈 패드(26l,26r)는 횡방향으로 벌어지고, 이에 따라 브릿지(28)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상 복귀하려는 힘 때문에 노우즈 패드(26l,26r) 자체의 하강 이동이 방해된다.
그리고, 한 쌍의 노우즈 패드(26l,26r)가 상승하게 되면, 노우즈 패드(26l,26r)는 슬라이딩부재(34l,34r)와 가이드레일(48l,48r) 사이의 마찰에 기인하여 서로를 향해 이동하도록 가압된다.
이러한 마찰은 노우즈 패드(26l,26r)의 상방 이동을 야기시킴으로써, 안경 자체의 하방 이동을 방해한다.
그래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내특허등록 제0504260호에서는 둘 이상의 상이한 초점 영역의 렌즈를 원하는 사용 위치로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가 제안되었다.
즉, 안경테(12)는 브리지(16)에 의해 연결된 한 쌍의 타원형 림(14l,14r)으로 이루어진 프레임(14)과, 대응하는 림(14l,14r)의 일단부에서 선회하는 한 쌍의 안경다리(18l,18r)를 포함하고 있다.
한 쌍의 이중초점 렌즈(20l,20r)가 림(14l,14r)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렌즈(20l,20r)는 그 상단부의 원시 영역(22l,22r)과, 그 하단부의 근시 영역(24l,24r)을 갖추고 있다.
또한, 한 쌍의 노우즈 패드(27l,27r)가 림(14l,14r)에 고정된다.
노우즈 패드(27l,27r)는 일반적으로 적절한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대응하는 한 쌍의 몸체(33l,33r)와, 몸체(33l,33r)의 일측부로부터 상승된 대응하는 한 쌍의 직사각형 가이드(36l,36r)와, 가이드(36l,36r)를 통해 몸체(33l,33r)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된 대응하는 한 쌍의 슬라이드(38l,38r)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몸체(33l,33r)(도 4에는 다른 쪽 몸체가 경면 대칭이기 때문에 우측 몸체만이 도시되어 있음)는 일반적으로 그들의 폭을 따라 약간의 아치형이지만 일반적으로 편평하다.
가이드(36l,36r)는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인 가이드 리셋스(40l,40r)를 각각 포함하고 있다.
슬라이드(38l,38r)는 적절한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며, 가이드(36l,36r)의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위치된 각각의 직사각형 슬라이딩판(42l,42r)과, 슬라이딩판(42l,42r)의 일측부에 연결된 통상 원통형인 슬라이딩부(43l,43r)와, 슬라이딩판(42l,42r)의 타측부에 연결되고 각각의 관통구멍(47l,47r)을 갖춘 장착부(45l,45r)를 포함하고 있다.
슬라이딩부(43l,43r)는 각각의 원통형 가이드 리셋스(40l,40r)내로 부드럽게 미끄러질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가진다.
슬라이딩부(43l,43r)는 각각의 자석(52l,52r)을 수용하도록 구멍(51l,51r)을 갖추고 있다.
한 쌍의 상부 자석(54l,54r)은 가이드 리셋스(40l,40r) 내로 고정식으로 장착되며, 몸체(33l,33r)의 상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유사하게, 한 쌍의 하부 자석(56l,56r)은 가이드 리셋스(40l,40r) 내로 고정식으로 장착되며, 몸체(33R,33L)의 하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결국, 가이드(36l,36r) 내의 가이드 리셋스(40l,40r)가 두 개의 평행한 가상의 수직 평면(P,P) 상에 각각 놓임과 아울러 각각의 노우즈 패드(27l,27r)는 종방 향 중앙 축선(C)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노우즈 패드(27l,27r)는 수직 축선(V)에 대해 횡방향으로 대칭이 되며, 그들의 중앙 축선(C, C)은 각각의 가상 수직 평면(P,P)에 대해 5°내지 20°의 각도(θ1)로 경사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이는 우측 가이드 리셋스(40r)의 상단부와 좌측 가이드 리셋스(40l) 상단부 사이의 거리가 우측 가이드 리셋스(40r)의 하단부와 좌측 가이드 리셋스(40l)의 하단부 사이의 거리가 동일하기 때문에, 슬라이드(38l,38r)는 각각의 가이드 리셋스(40l,40r) 내측에서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다.
하지만, 가이드 리셋스를 통해 이동되는 자석이 원통 막대 형상이기 때문에 상호 접촉 면적의 증가로 인해 이동시 마찰이 많이 발생하게 되거나, 노우즈 패드 또는 자석에 걸리는 장기간의 내부 응력으로 인해 부서지기 쉽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내실용신안등록 제0369923호에서는 좌·우 양쪽 렌즈프레임의 내측단면에 스크류로 체결되는 소정 형상의 연결편(31)과, 상기 연결편(31)의 전면으로부터 소정의 두께만큼 일체로 돌출·형성되며, 선단부의 좌·우 양측에는 가이드리브(39)가 형성된 안내부재(37)와, 후면의 상·하방향으로는 상기 안내부재(37)가 끼워지는 소정 길이의 가이드홈(4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41)의 좌·우측 가장자리에는 안내부재(37) 상의 가이드리브(39)가 안쪽에서 걸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탈방지턱(53)이 절곡·형성된 코받침편(35)과, 상기 안내부재(37)의 내부 및 코받침편(35) 상에 형성된 가이드홈(41)의 상단부와 후단부의 내측에 끼워져 설치되어 안내부재(37)가 코받침편(35) 상의 가이드홈(41)의 윗쪽 또는 아랫쪽으로 위치 이동된 후 자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단일 또는 복수의 자석(49,49')로 이루어진 안경의 코받침이 제안되었다.
기존 제안된 바 있는 다초점 렌즈용 노우즈 패드는 바디의 회전이 방지되거나 최소한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되기 때문에 사람의 코의 형상에 따라 착용시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바디의 일측에 형성된 환봉 형상의 가이드부재에 원형 링 형상의 이송안내부재를 이송 안내함으로써 바디의 회전 각도를 최대한 넓힘으로써 노우즈 패드의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노우즈 패드 및 이를 구비한 안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부재의 양단부에 각각 자석부재를 구비하고, 이송안내부재에 동일한 극성의 자석을 구비하여 인력으로써 이송안내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노우즈 패드 및 이를 구비한 안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노우즈 패드는: 바디, 이 바디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부재, 이 가이드부재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 하게 형성되는 이송안내부재, 이 가이드부재의 일측에 형성되고 자성을 갖는 제 1자석부재, 가이드부재의 타측에 형성되고 제 1자석부재와 동일 극성을 띄는 제 2자석부재 및 이송안내부재에 형성되고 제 2자석부재와 동일 극성을 갖음에 따라 외력 제거시 이송안내부재를 인력(引力)에 의해 상대적으로 가까이 있는 제 1자석부재 또는 제 2자석부재 방향으로 이동 유도하는 제 3자석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는 원형 봉 형상이고, 상기 이송안내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원형 링 형상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바디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양측을 각각 삽입하여 고정하도록 삽입구를 갖는 고정돌부를 한 쌍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 1자석부재와 상기 제 2자석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해당되는 각 단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 3자석부재는 상기 이송안내부재의 내측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노우즈 패드를 구비한 안경은: 한 쌍의 렌즈와, 상기 한 쌍의 렌즈를 고정하도록 원형이나 타원 또는 다각 형상인 한 쌍의 림과, 상기 한 쌍의 림 각각에 형성되는 아암과, 상기 아암 각각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노우즈 패드를 구비한 안경에 있어서,상기 노우즈 패드는 바디,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상기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이송안내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측에 형성되고 자성을 갖는 제 1자석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자석부재와 동일 극성을 띄는 제 2자석부재 및 상기 이송안내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제 2자석부재와 동일 극성을 갖음에 따라 외력 제거시 상기 이송안내부재를 인력(引力)에 의해 상대적으로 가까이 있는 상기 제 1자석부재 또는 상기 제 2자석부재 방향으로 이동 유도하는 제 3자석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림 각각은 아암을 분리 가능하게 형성하고, 상기 아암은 제 1결속구를 갖는 제 1결속블록을 형성하며, 상기 이송안내부재는 하측 단부에 제 2결속구를 갖는 제 2결속블록을 형성하여 상기 제 1결속블록과 상기 제 2결속블록은 상기 제 1결속구와 상기 제 2결속구에 결합되는 결속부재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노우즈 패드 및 이를 구비한 안경은 종래 발명과 달리 바디의 일측에 형성된 환봉 형상의 가이드부재에 원형 링 형상의 이송안내부재를 이송 안내함으로써 바디의 회전 각도를 최대한 넓힘으로써 노우즈 패드의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가이드부재의 양단부에 각각 자석부재를 구비하고, 이송안내부재에 동일한 극성의 자석을 구비하여 인력으로써 이송안내부재의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우즈 패드 및 이를 구비한 안경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 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우즈 패드를 장착한 다초점 렌즈용 안경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림과 노우즈 패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우즈 패드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우즈 패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9의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우즈 패드의 상·하 이동 상태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은 브리지(110)에 의해 연결된 한 쌍의 원형 또는 타원형 림(rim,122l,122r)과, 대응하는 림(122l,122r)의 일단부에서 선회하는 한 쌍의 안경다리(124l,124r)를 포함하고 있다. 아울러, 한 쌍의 다초점용 렌즈(126l,126r)가 림(122l,122r)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렌즈(126l,126r)는 다초점용이기 때문에 그 상단부의 원시 영역과, 그 하단부의 근시 영역 등 다양한 영역을 갖추고 있다. 또한, 한 쌍의 아암(arm,128l,128r)은 각각의 림(122l,122r)에 연결된 기단부를 갖추고 있다. 물론, 한 쌍의 아암(128l,128r)이 렌즈(126l,126r)에 직접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노우즈 패드(nose pad,200l,200r)가 아암(128l,128r)의 말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아암(128l,128r)은 림(122l,122r)에 체결부재(130)로써 분리 가능하게 체결된다. 체결부재(130)는 볼트나 스크류 등 체결요소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좌,우측의 노우즈 패드(200l,200r)가 아암(128l,128r)에 착탈되는 구조가 동일하고 좌·우 대칭이기 때문에 좌측 노우즈 패드(200l)의 상세 구조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이에 대해서 설명한다.
아암(128l)은 노우즈 패드(200l)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한다. 더욱 상세히, 아암(128l)은 제 1결속구(143)를 갖는 제 1결속블록(142)을 형성하고, 이송안내부재(230)는 하측에 제 2결속블록(145)을 형성하며, 이 제 2결속블록(145)은 제 2결속구(146)를 통공한다. 또한, 제 1결속구(143)와 제 2결속구(146)는 홀 형상으로 형성하여 결속부재(148)를 동시에 삽입한다. 그래서, 제 1결속블록(142)과 제 2결속블록(145)은 결속부재(148)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속된다. 이때, 결속부재(148)는 볼트나 스크류 또는 핀 등 결합요소로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1결속블록(142)과 제 2결속블록(145)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노우즈 패드(200l)는 바디(210), 가이드부재(220), 이송안내부재(230), 제 1자석부재(242), 제 2자석부재(244) 및 제 3자석부재(246)를 포함한다.
바디(210)는 적절한 합성 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바 디(210)는 타측에 해당되는 외측면이 코에 접하게 된다. 따라서, 바디(210)의 외측면은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바디(2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가이드부재(220)는 바디(2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이동하는 이송안내부재(230)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가이드부재(220)는 바디(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된다.
특히, 가이드부재(220)는 직접적으로 지지되어 이동하는 이송안내부재(230)를 바디(210)에 부딪히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바디(210)와 소정 유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바디(210)는 일측에서 길이방향에 해당되는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고정돌부(222)를 돌출 형성하고, 이 고정돌부(222)에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삽입구(224)를 형성한다. 따라서, 가이드부재(220)는 각 단부를 고정돌부(222)의 삽입구(224)에 삽입 고정한다. 이때, 가이드부재(220)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삽입구(224)는 바디(210)의 상측에 형성된 고정돌부(222)의 양측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바디(210)의 하측에 형성된 고정돌부(222)의 삽입구는 하측을 막아 가이드부재(220)의 하측 이탈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가이드부재(220)는 바디(210) 상측의 고정돌부(222)에 형성된 삽입구(224)를 통해 바디(210) 하측의 고정돌부(222)에 형성된 삽입구(224)까지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바디(210)는 일측을 함몰 형성하여 그 마주하는 내측면에 가이드부재(220)의 양측을 삽입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재(220)는 바디(210)에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도 있다.
아울러, 가이드부재(220)는 플라스틱 재질 등 비금속재질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가이드부재(220)의 양단부에 각각 제 1자석부재(242)와 제 2자석부재(244)를 삽입하는데, 제 1자석부재(242) 또는 제 2자석부재(244)가 이송안내부재(230)에 구비된 제 3자석부재(246)와 인력(引力)을 충분히 작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송안내부재(230)는 가이드부재(220)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특히, 이송안내부재(230)는 가이드부재(220)의 둘레면을 삽입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재(220)가 이송안내부재(230) 내부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이탈되지 않는다.
아울러, 이송안내부재(230)는 플라스틱 재질 등 비금속재질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송안내부재(230)의 내측면에 제 3자석부재(246)를 삽입하는데, 제 3자석부재(246)가 제 1자석부재(242) 또는 제 2자석부재(244)와 인력을 충분히 작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가이드부재(220)는 원형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송안내부재(230)는 가이드부재(22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위치 고정된 이송안내부재(230)를 중심으로 가이드부재(220) 및 바디(210)가 설정각도 만큼 왕복 회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이때, 바디(210)는 이송안내부재(230)의 후측에 형성된 제 2결속블록의 측면에 접할 때까지 회전된다.
또한, 이송안내부재(230)는 자력에 의해 가이드부재(220)의 양측으로 이동되 어 위치 고정된다.
더욱 상세히, 가이드부재(220)는 일측에 제 1자석부재(242)를 형성한다. 제 1자석부재(242)는 'N'극과 'S'극 중 어느 한 극성을 갖는다. 그리고, 제 1자석부재(242)는 가이드부재(220)의 일측 내부에 삽입되고, 이에 따라 가이드부재(220)는 일측 가장자리에 자성을 띄게 된다.
또한, 가이드부재(220)는 타측에 제 2자석부재(244)를 형성한다. 제 2자석부재(244)는 제 1자석부재(242)와 동일 극성을 갖는다. 그리고, 제 2자석부재(244)는 가이드부재(220)의 타측 내부에 삽입되고, 이에 따라 가이드부재(220)는 일측 가장자리에 자성을 띄게 된다.
물론, 제 1자석부재(242)와 제 2자석부재(244)는 가이드부재(220)의 해당되는 가장자리에 삽입되는 링 형상일 수도 있다.
그리고, 이송안내부재(230)는 제 3자석부재(246)를 형성한다. 제 3자석부재(246)는 제 1자석부재(242) 및 제 2자석부재(244)와 동일 극성을 갖는다. 따라서, 제 3자석부재(246)는 상대적으로 가까운 제 1자석부재(242) 또는 제 2자석부재(244)와 인력(引力)을 발생한다. 그래서, 제 1자석부재(242)와 제 3자석부재(246) 또는 제 2자석부재(244)와 제 3자석부재(246) 사이에 발생되는 인력보다 더 큰 힘으로 미는 외력 제거시, 가이드부재(220)는 이송안내부재(230)에 삽입되어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 3자석부재(246)는 이송안내부재(230)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이때, 제 3자석부재(246)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송안내부재(230)의 내측면에 견고하게 안착됨이 바람직하다. 제 3자석부재(246)가 링 형 상임에 따라 모든 방향에서 제 1자석부재(242) 또는 제 2자석부재(244)와 충분히 인력을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가이드부재(220)가 이송안내부재(230)의 중심축 상에서 직선 왕복 이동되는 것을 설명한다.
특히, 바디(210)가 상승됨은 상대적으로 이송안내부재(230)가 하강함과 동일한데, 하기에서는 바디(210)가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이송안내부재(230)의 하측에 형성된 제 2결속블록(145)이위치 고정된 상태로, 사용자는 바디(210)를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리면, 이 미는 외부력에 의해 바디(210)에 고정 연결된 가이드부재(220)는 이송안내부재(230)에 삽입된 채 상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가이드부재(220)는 점차적으로 상승할 때, 이송안내부재(230)의 제 3자석부재(246)는 가이드부재(220)의 하측에 형성된 제 1자석부재(242)와 인력을 발생하기 때문에 바디(210)는 용이하게 상승하게 된다.
이송안내부재(230)가 바디(210)의 하측에 형성된 고정돌부(222)에 접함과 동시에 바디(210)는 상승이 완료되고, 제 1자석부재(242)와 제 3자석부재(246)가 인력을 발생하기 때문에 가이드부재(220)가 제 1자석부재(242)와 제 3자석부재(246) 사이에 발생하는 인력보다 더 큰 힘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미는 힘이 작용하기 전에, 바디(210)는 제 1자석부재(242)와 제 3자석부재(246)의 인력에 의해 위치 고정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바디(210)를 하부방향으로 밀어 내리면, 이 미 는 외부력에 의해 가이드부재(220)는 이송안내부재(230)에 삽입되어 하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가이드부재(220)가 하부 방향으로 밀리는 힘은 제 1자석부재(242)와 제 3자석부재(246) 간의 인력보다 크다.
그리고, 바디(210)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고정돌기가 이송안내부재(230)와 접함과 동시에 바디(210)는 하강이 완료되고, 제 2자석부재(244)가 제 3자석부재(246)와 인력 발생을 유지하기 때문에 가이드부재(220)가 제 2자석부재(244)와 제 3자석부재(246) 사이에 발생하는 인력보다 더 큰 힘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미는 힘이 작용하기 전에, 바디(210)는 제 2자석부재(244)와 제 3자석부재(246)의 인력에 의해 위치 고정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일례에 따른 다초점 렌즈용 노우즈패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종래 다른예에 따른 다초점 렌즈용 노우즈패드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종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초점 렌즈용 노우즈패드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우즈 패드를 장착한 다초점 렌즈용 안경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림과 노우즈 패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우즈 패드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우즈 패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우즈 패드의 상·하 이동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10: 브리지 122l,122r: 림(rim)
124l,124r: 안경다리 126l,126r: 렌즈
128l,128r: 아암 200l,200r: 노우즈 패드(nose pad)
210: 바디 220: 가이드부재
222: 고정돌부 224: 삽입구
230: 이송안내부재
242,244,246: 제 1,2,3자석부재

Claims (6)

  1. 바디;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상기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이송안내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측에 형성되고, 자성을 갖는 제 1자석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자석부재와 동일 극성을 띄는 제 2자석부재; 및
    상기 이송안내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제 2자석부재와 동일 극성을 갖음에 따라 외력 제거시 상기 이송안내부재를 인력(引力)에 의해 상대적으로 가까이 있는 상기 제 1자석부재 또는 상기 제 2자석부재 방향으로 이동 유도하는 제 3자석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우즈 패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원형 봉 형상이고;
    상기 이송안내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원형 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우즈 패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양측을 각각 삽입하여 고정하도록 삽입구를 갖는 고정돌부를 한 쌍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우즈 패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자석부재와 상기 제 2자석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해당되는 각 단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 3자석부재는 상기 이송안내부재의 내측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우즈 패드.
  5. 한 쌍의 렌즈와, 상기 한 쌍의 렌즈를 고정하도록 원형이나 타원 또는 다각 형상인 한 쌍의 림과, 상기 한 쌍의 림 각각에 형성되는 아암과, 상기 아암 각각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노우즈 패드를 구비한 안경에 있어서,
    상기 노우즈 패드는,
    바디;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상기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부 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이송안내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측에 형성되고, 자성을 갖는 제 1자석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자석부재와 동일 극성을 띄는 제 2자석부재; 및
    상기 이송안내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제 2자석부재와 동일 극성을 갖음에 따라 외력 제거시 상기 이송안내부재를 인력(引力)에 의해 상대적으로 가까이 있는 상기 제 1자석부재 또는 상기 제 2자석부재 방향으로 이동 유도하는 제 3자석부재를 포함하는 노우즈 패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림 각각은 아암을 분리 가능하게 형성하고;
    상기 아암은 제 1결속구를 갖는 제 1결속블록을 형성하며;
    상기 이송안내부재는 하측 단부에 제 2결속구를 갖는 제 2결속블록을 형성하여,
    상기 제 1결속블록과 상기 제 2결속블록은 상기 제 1결속구와 상기 제 2결속구에 결합되는 결속부재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우즈 패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KR1020080064663A 2008-07-04 2008-07-04 노우즈 패드 및 이를 구비한 안경 KR201000044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663A KR20100004473A (ko) 2008-07-04 2008-07-04 노우즈 패드 및 이를 구비한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663A KR20100004473A (ko) 2008-07-04 2008-07-04 노우즈 패드 및 이를 구비한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473A true KR20100004473A (ko) 2010-01-13

Family

ID=41814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663A KR20100004473A (ko) 2008-07-04 2008-07-04 노우즈 패드 및 이를 구비한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44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1890A1 (en) * 2022-06-17 2023-12-21 Luxottica S.R.L. Nose pad for eyeglasses and related eyeglass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1890A1 (en) * 2022-06-17 2023-12-21 Luxottica S.R.L. Nose pad for eyeglasses and related eyeglass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71597B2 (en) Removable eyeglasses clasp
CN104871072B (zh) 具有柔性侧部的眼镜
BR9914881B1 (pt) métodos e aparelho para fixação de acessório auxiliar para os olhos.
US11169395B2 (en) Frame for bifocal eyeglasses
KR100504260B1 (ko) 이중초점 렌즈용 안경테 및 이를 위한 노우즈 패드
JP2022551634A (ja) 焦点距離を調整可能なレンズとそれを組み込んだアイウェア
KR20100004473A (ko) 노우즈 패드 및 이를 구비한 안경
US5691796A (en) Ophthalmic mounting for bifocal lenses
CN112074776A (zh) 眼镜
US20180303670A1 (en) Goggles for person not wearing eyeglasses
KR20100004472A (ko) 노우즈 패드 및 이를 구비한 안경
US20160026002A1 (en) Eyeglasses having flip-up lenses
KR20190055911A (ko) 의료용 자석이 구비된 안경
CN217718269U (zh) 一种智能眼镜
CN211348901U (zh) 一种可拆卸磁吸式照明眼镜
CN218567753U (zh) 一种可拆分的眼镜
CN202956547U (zh) 一种3d眼镜
JP6379266B2 (ja)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KR102567069B1 (ko) 클립 안경
CN215678930U (zh) 一种可分离镜框的眼镜
CN208432820U (zh) 一种套镜
CN205404979U (zh) 便携式运动太阳镜
KR20150120186A (ko) 안경의 코기둥
KR20220046801A (ko) 플라스틱 안경다리용 철심 자동 삽입장치
CN203720461U (zh) 一种可拆卸的老花镜镜架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