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095U - 다기능 절단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095U
KR20100004095U KR2020080013554U KR20080013554U KR20100004095U KR 20100004095 U KR20100004095 U KR 20100004095U KR 2020080013554 U KR2020080013554 U KR 2020080013554U KR 20080013554 U KR20080013554 U KR 20080013554U KR 20100004095 U KR20100004095 U KR 2010000409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cutting blade
head
cutter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35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수
Original Assignee
김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수 filed Critical 김태수
Priority to KR20200800135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4095U/ko
Publication of KR201000040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09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04Hand shears; Scissors with detachable bla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못, 와이어, 볼트, 케이블 등을 절단하는 절단기에 있어서, 절단날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절단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절단 작업을 할 수 있는 한편 절단날을 자주 교체하여 새것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절단기의 절단헤드에 절단날을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절단기의 절단헤드에 절단날을 볼트 등의 조임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조임수단을 풀고 절단날을 제거한 후 새로운 절단날을 절단헤드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것이다.
절단기, 절단날, 교체, 고정

Description

다기능 절단기{Multi-function cutter}
본 고안은 못, 와이어, 볼트, 케이블 등을 절단하는 절단기에 있어서, 절단날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절단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절단 작업을 할 수 있는 한편 절단날을 자주 교체하여 새것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공사 현장에서는 못, 와이어, 볼트, 케이블 등을 절단하는 작업을 필요로 하게 되고, 이러한 절단 작업을 위해서는 절단기를 사용하고 있으나, 기존의 절단기는 절단을 위한 대상물 즉 못, 와이어, 볼트, 케이블에 따라 각기 다른 형상을 갖도록 제작되어 있다.
즉 기존의 절단기(1)는 도 1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칼날(40)이 형성된 두 개의 절단헤드(20)에 손잡이(10)를 회동힌지(11)를 이용하여 결합시키되 절단헤드(20)는 중심힌지(12)를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되게 하며, 상기 절단헤드(20)에는 결합판(30)을 힌지(31)로 결합시킴으로써, 손잡이(10)를 좌우로 벌릴 때 칼날(40)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고, 손잡이(10)를 좁힐 때 칼날(4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절단 대상물을 절단시키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절단헤드(20)와 상기 절단헤드(20)의 일측에 형성된 칼날(40)은 절단 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갖게 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절단 대상물이 3개일 경우 3개의 절단기가 필요하여 절단기의 활용에 번거로움이 따르게 되며, 절단 대상물에 따른 절단기를 구비하지 못할 경우 절단 작업을 하기가 대단히 어려운 것이었다.
특히 지붕 슬레이트를 철거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 슬레이트에 박힌 못을 절단해주어야 하나, 슬레이트 못의 헤드가 슬레이트와 밀착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슬레이트와 못의 헤드 사이 틈새가 벌어지지 않아 절단날이 들어가지 않게 되므로, 절단날을 얇게 갈아준 후 슬레이트와 못의 틈새로 밀어 넣은 후 절단 작업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기존의 슬레이트 못을 절단하고자 할 때 슬레이트와 못의 좁은 틈새고 절단날을 밀어넣기 위하여 절단날을 갈아 얇게 한 상태에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이 경우 슬레이트와 못의 틈새로 밀어 넣기는 용이하나, 절단날이 얇아지게 되어 오래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슬레이트 못 절단기를 자주 구입하는 문제와 함께 절단날을 갈아주는 수고를 필요로 하게 되고, 볼트나 와이어 또는 케이블을 절단하는 경우 별도의 전용 절단기를 구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절단기의 절단헤드에서 절단날을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절단 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절단날만 교체하여 절단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러 개의 절단기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한편 슬레이트 못을 절단하는 경우 얇은 절단날을 자주 교체하여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절단기의 절단헤드에 절단날을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절단기의 절단헤드에 절단날을 볼트 등의 조임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조임수단을 풀고 절단날을 제거한 후 새로운 절단날을 절단헤드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하나의 절단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모양의 절단날을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절단날만 구비하면 절단 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개의 절단기를 구비하지 않고도 다양한 종류의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절단 대상물의 종류 별로 다양한 형태를 갖는 절단기를 구비하지 않고, 하나의 절단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절단기의 절단헤드에는 다양한 형태의 절단날이 착탈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하나의 절단기에 여러 종류의 절단날을 구비하면 된다.
따라서 여러 개의 절단기를 사용하지 않아 절단기 구입과 보관 및 운반에 따른 번거로움이 없어지게 되고, 특히 두께가 얇아야 절단을 쉽게 할 수 있는 슬레이트 못 절단날을 자주 교체 사용할 수 있어, 슬레이트 못을 절단하는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고안은 손잡이를 이용하여 절단헤드를 양쪽으로 벌리거나 좁히면서 절단 대상물을 절단헤드 쪽에서 절단이 이루어지게 하는 절단기에 있어서, 절단헤드가 서로 마주 보는 쪽에 결합홈을 형성시키고,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절단날을 형성시킨 후 상기 절단날의 결합돌기를 절단헤드의 결합헤드에 끼워 볼트로 고정시키록 함으로써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은 절단헤드의 일측으로 고정홈을 형성시킨 후 상기 고정홈에 절단날을 끼워 볼트로 고정시키거나, 절단헤드의 일측으로 절단날을 댄 후 볼트로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본 고안에서 절단헤드에 고정되는 절단날의 종류를 교체하는 경우 다양한 종류의 절단 대상물을 절단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서 절단날은 절단헤드에 착탈 되며 고정되는 것으로, 절단 대상물에 따라 적합한 절단날을 선택하여 고정시키면 되고, 절단날이 고정된 상태에서 손잡이를 벌려 절단날 사이가 벌어지게 한 후 절단날 사이에 절단 대상물이 끼워지게 한 상태에서 손잡이를 좁혀 절단날 사이가 좁혀지면서 절단 대상물에 대한 절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고안에서 다른 종류의 절단 대상물을 절단하기 위해서나 절단날이 마모되었을 경우 절단헤드에 고정된 절단날을 분리 제거한 후 새로운 절단날을 고정시킴으로써 절단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절단날(50)을 교체하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기존 절단기(1)와 같은 구조를 갖게 되나, 절단헤드(20)에서 절단칼날(40) 부분을 분리하여 절단날(50)을 형성하되 상기 절단날(50)이 절단헤드(20)에 결합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본 고안의 절단헤드(20)는 결합판(30)에 힌지(31)로 결합되는 한편 손잡이(10)에 회동힌지(11)로 결합되게 되며, 상기 손잡이(10)는 중심힌지(12)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절단헤드(20)에는 길이 방향으로 결합홈(21)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21)에는 절단날(50)에 형성된 결합돌기(51)가 끼워지게 한 후 절단헤드(20)에 끼워진 절단날(50)은 볼트(60)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즉 절단헤드(20)의 일측에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홈(21)에는 절단날(50)에 형성된 결합돌기(51)를 끼운 후 볼트(60)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되는 것으로, 손잡이(10)를 벌리게 되면 절단헤드(20)가 양쪽으로 벌어지게 되어 절단날(50)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고, 상기 절단날(50) 사이에 절단 대상물을 넣은 후 손잡이(10)를 좁히게 되면 절단날(5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절단 대상물을 절단하게 된다.
여기서 절단날(50)을 고정시키는 볼트(60)는 무두볼트를 사용하여 머리 부분 이 절단날(50)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
한편 본 고안에서 도 6과 같이 절단헤드(20)에는 고정홈(22)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홈(20)에 절단날(50)을 끼운 후 볼트(60)로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도 8과 같이 절단헤드(20)의 일측에 직접 절단날(50)을 밀착시킨 후 볼트(60)를 이용하여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볼트(60)를 풀면 얼마든지 절단헤드(20)에서 절단날(50)을 분리한 후 새로운 절단날(50)을 결합 고정시킬 수 있는 것으로, 절단헤드(20)와 절단날(50) 사이의 결합수단을 달리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으나, 단순히 절단헤드(20)에서 절단날(50)을 고정시키는 수단을 변화시켰다하여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난다고 할 수 없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도 9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의 절단날(50a)(50b)(50c)을 교체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절단날(50)(50a)(50b)(50c)은 절단 대상물이 볼트, 와이어, 케이블, 못 등에 따라 최상의 조건을 가진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본 고안에서는 절단헤드(20)에 다양한 종류의 절단날(50)(50a)(50b)(50c)을 교체시켜가며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절단 대상물에 따라 작업자가 절단날(50)(50a)(50b)(50c)을 선택하면 되고, 여러 개의 절단기(1)를 구비하지 않고도 다양한 종류의 절단 대상물을 절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슬레이트에 밀착되어 있는 못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도 9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날(50a)이 얇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상 기 절단날(50a)은 절단헤드(20)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손잡이(10)를 벌렸다 좁히는 동작만으로 슬레이트 못을 절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 절단날(50a)이 선단이 서로 맞닿으면서 좁은 틈새를 파고들 수 있으며, 슬레이트와 못 사이의 틈새를 잘 파고들기 위하여 절단날(50a)을 얇게 제작하는 것이 유리하나, 절단날(50a)이 얇을 경우 몇 번 사용하지 않아도 절단날(50a)이 마모되는 문제가 있는 반면 절단날(50a)을 자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기존의 절단칼날(40)이 고정되어 있는 절단기(1)를 사용하는 경우 슬레이트 못을 절단하기 위하여 절단칼날(40)을 얇게 갈아줄 경우 절단칼날(40)이 쉽게 마모되어 사용 기간을 단축시킬 수밖에 없었으나, 본 고안에서는 절단날(50a)을 얇게 한 후 절단날(50a)이 마모되면 절단날(50a)만 곧바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슬레이트 못의 절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절단기의 절단헤드(20)에 절단날(50)을 착탈 시킬 수 있도록 하되 절단날(50)이 다양한 종류를 갖도록 하여 절단날(50)을 교체시킬 경우 하나의 절단기를 이용하면서도 다양한 종류의 절단 대상물을 절단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슬레이트와 밀착되어 있는 슬레이트 못을 절단하는 경우 절단날(50a)이 얇아야 슬레이트와 못 사이의 틈새를 잘 파고들게 되는 반면, 절단날(50a)을 얇게 하면 절단날(50a)이 슬레이트와 못 사이를 잘 파고들을 수는 있으나, 절단이 진 행되면 얇은 절단날(50a)이 쉽게 마모되는 문제가 있어, 자주 절단날(50a)을 교체하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슬레이트 못을 절단하는 경우 절단날(50a)의 두께가 얇아 슬레이트와 못 사이의 틈새를 잘 파고들 수 있고, 절단날(50a)이 마모될 경우 절단날(50a)만 별도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항상 새로운 절단기를 사용하는 듯한 느낌으로 슬레이트 못을 효과적으로 절단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도시된 다양한 형태의 절단날(50a)(50b)(50c)은 절단 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갖게 되나, 본 고안에서는 절단헤드(20)에 착탈 될 수 있도록 하여 누구나 절단날(50)(50a)(50b)(50c)을 교체하여 다양한 절단 대상물을 절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기존 절단기 평면도
도 2는 기존 절단기의 절단헤드 부위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절단헤드 부위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절단헤드 부위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절단헤드 부위 실시예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절단헤드 부위 실시예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절단헤드 부위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절단헤드 부위 다른 실시예 분해 사시도
도 9내지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절단날 사용상태도
도 12내지 도 1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절단날 사용상태도
도 15내지 도 1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절단날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손잡이 20 : 절단헤드
21 : 결합홈 22 : 고정홈
30 : 결합판 40 : 절단칼날
50 : 절단날 51 : 결합돌기
60 : 볼트

Claims (4)

  1. 절단헤드(20)의 일측에 형성된 절단칼날(40) 사이로 절단 대상물을 위치시켜 절단헤드(20)에 결합된 손잡이(10)를 움직여 절단칼날(40)로 절단 대상물을 절단시키는 절단기에 있어서,
    절단헤드(20)와 일체로 형성된 절단칼날(50)을 분리하여 절단헤드(20)와 절단날(50)로 제작하되 상기 절단날(50)은 절단헤드(20)에 볼트(60)로 결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절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절단헤드(20)에 서로 대향되는 쪽으로 결합홈(21)을 형성하고, 상기 절단날(50)에는 결합돌기(51)를 형성시킨 후 상기 절단날(50)의 결합돌기(51)를 절단헤드(20)의 결합홈(21)에 끼워 볼트(60)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절단기.
  3. 제1항에 있어서, 절단헤드(20)의 일측으로 고정홈(22)을 형성하고, 상기 절단헤드(20)의 고정홈(22)에 절단날(50)이 밀착되게 한 후 볼트(60)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절단기.
  4. 제1항에 있어서, 절단헤드(20)의 일측으로 절단날(50)이 밀착되게 한 후 볼트(60)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절단기.
KR2020080013554U 2008-10-10 2008-10-10 다기능 절단기 KR2010000409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554U KR20100004095U (ko) 2008-10-10 2008-10-10 다기능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554U KR20100004095U (ko) 2008-10-10 2008-10-10 다기능 절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095U true KR20100004095U (ko) 2010-04-20

Family

ID=44450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3554U KR20100004095U (ko) 2008-10-10 2008-10-10 다기능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409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8087A3 (en) * 2010-01-12 2011-11-24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Pliers including removable jaws
KR101600241B1 (ko) * 2015-08-18 2016-03-04 현태근 슬레이트 철거용 못머리 절단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8087A3 (en) * 2010-01-12 2011-11-24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Pliers including removable jaws
US8516931B2 (en) 2010-01-12 2013-08-27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Pliers including removable jaws
US8677866B2 (en) 2010-01-12 2014-03-25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Pliers including removable jaws
KR101600241B1 (ko) * 2015-08-18 2016-03-04 현태근 슬레이트 철거용 못머리 절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6322B1 (en) Tooth-and-holder harvesting head disk saw
JP5174795B2 (ja) 刈払機及びその保護カバー
EP3670100A1 (en) Prep tool
US20100162570A1 (en) Combination Tool
ZA200506186B (en) A cutting head for a brush cutter, edge trimmer or similar
KR20100004095U (ko) 다기능 절단기
US7028584B1 (en) Shingle remover with replacement blade
US6681756B1 (en) Attachment for a percussive tool
US8826544B1 (en) Sealant removal tool
US10058931B2 (en) Nail head removal tool
US7011261B2 (en) Cutting tool of a cutting machine used for cutting plastic materials into granules
JP5330788B2 (ja) 切断工具
RU2687204C2 (ru) Сучкорезное изогнутое лезвие, его применение, соответствующая сучкорезная головка и режущий комплект
KR20140086287A (ko) 육류 손질용 칼
US20140020269A1 (en) Cutting tooth
RU171915U1 (ru) Режущая головка ледобура
US20050144787A1 (en) Multi-blade utility knife handle
US8631550B2 (en) Tool for attaching/removing a mower blade cutting insert
US20070227050A1 (en) Triple edge trenching axe
JP6096478B2 (ja) 整畦体および整畦体を備えた畦塗り機
GB2455152A (en) Drill bit with reinforcement
CN105850531B (zh) 多功能耐磨修枝机刀片组
KR102567637B1 (ko) 틈새 및 바닥 겸용 이물질 제거 도구 및 그에 적용되는 헤드
CN210008254U (zh) 新型果树开甲刀片
FI127254B (fi) Murskausrummun murskausteräjärjeste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