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3599A - Pin for fixing accessories to clothes - Google Patents

Pin for fixing accessories to cloth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3599A
KR20100003599A KR1020080063575A KR20080063575A KR20100003599A KR 20100003599 A KR20100003599 A KR 20100003599A KR 1020080063575 A KR1020080063575 A KR 1020080063575A KR 20080063575 A KR20080063575 A KR 20080063575A KR 20100003599 A KR20100003599 A KR 20100003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spring
needle
fixing
coupled
orna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5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27897B1 (en
Inventor
이승철
Original Assignee
이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철 filed Critical 이승철
Priority to KR1020080063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7897B1/en
Publication of KR20100003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5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7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78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00Hat, scarf, or safety pins or the like
    • A44B9/12Safety-pi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08Portable audio devices, e.g. walkman, discman, radio, MP3 player, headphon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5Thin, flat, rectangular articles, e.g. ID badges or card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PURPOSE: A pin for fixing an accessory is provided, which can be fixed to an object including garment and so on. CONSTITUTION: A pin for fixing an accessory comprises a body combined with the accessory; an elastic spring(130) which is combined with the body, is transformed by power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is restored in the original form due to self-elasticity; and a needle(150) performing the linear reciprocating motion by the deformation of the elastic spring and reconstitution. One end of the needle is separated from the body in deformation of the elastic spring and is combined with the body when the elastic spring is restored.

Description

장신구 고정용 옷핀{Pin for fixing accessories to clothes}Pin for fixing accessories to clothes}

본 발명은 장신구 고정용 옷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휴대 단말기, 필기도구, 기타 휴대 가능한 물품 등의 장신구를 의복 등과 같은 피부착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장신구 고정용 옷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espin for fixing jewel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othespin for fixing jewelry for fixing ornaments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writing implements, and other portable items to skin wear such as clothing.

일반적으로 옷핀은 리본, 명찰, 어깨띠 등과 같은 장신구를 옷에 고정시키거나 또는 옷매무새를 가다듬거나 스카프, 숄 등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여미기 위해 사용되고, 또한 이러한 옷핀은 품질표시, 가격, 주의사항 등이 기재된 택(tag)을 의류,가방 등의 상품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In general, clothespins are used to fasten jewelry such as ribbons, nameplates, and shoulder straps to clothes, to trim the dressings, and to keep the scarf, shawl, etc. from being distracted. It is also used as a means for fixing the tag described to goods, such as a garment and a bag.

한편, 현대인들은 휴대폰, PMP, MP3 플레이어, 전자사전 등과 같은 단말기를 호주머니 또는 가방에 넣고 다니면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단말기가 호주머니나 가방에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단말기의 분실현상이 종종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상기 단말기에 고정된 걸이용 연결끈을 목에 걸어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목에 걸린 단말기가 고정되지 않고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 흔들거림으로서 정신집중을 흐트릴 뿐만 아니라 외부물질에 부딪쳐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를 옷핀을 이용하여 의복 등에 고정한 상태로 휴대하는 현대인들도 등장하고 있다.Modern people, on the other hand, use mobile phones, PMPs, MP3 players, electronic dictionaries, etc. in their pockets or bags. 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terminal is not fixed to the pocket or ba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oss of the terminal often occurs.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n recent years, a hook for a hanger fixed to the terminal is used to hang on the neck, but in this case, the terminal on the neck is not fixed and the mental movement is disturbed by shaking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body. In addition, the problem of damage to the external material is encountered. Therefore, modern people who carry the terminal while being fixed to clothes and the like using clothespins have also appeared.

이와 같이 옷핀은 현재 리본, 명찰, 어깨띠, 휴대폰, PMP, MP3 플레이어, 전자사전, 필기도구 등의 장신구를 의복 등과 같은 피부착물에 고정시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옷핀은 의복 등의 피부착물에 착용하거나 상기 피부착물로부터 분리하기가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As such, clothespins are currently used for fixing ribbons, badges, shoulder straps, mobile phones, PMPs, MP3 players, electronic dictionaries, writing instruments, and the like to skin complexes such as clothing. However, the conventional clothespin has a problem that it is very troublesome to wear or separate from the skin complexes such as clothing.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에 비해 매우 용이하게 의복 등과 같은 피부착물에 착용될 수 있고 상기 피부착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장신구 고정용 옷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thespin for fastening jewelry that can be worn on a skin complex such as clothing and can be separated from the skin complex very easily. .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장신구를 피부착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장신구 고정용 옷핀으로서, 상기 장신구와 결합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변형되고 자체 탄성력으로 인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탄성스프링; 및 상기 탄성스프링의 변형 및 복원에 의해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하는 바늘;을 포함하되, 상기 바늘의 일단은 상기 탄성스프링의 변형 시 상기 몸체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탄성스프링의 복원 시 자신과 상기 몸체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피부착물을 관통하여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고정용 옷핀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s a jewelry fixing clothespin for fixing the ornament to the skin complex, body coupled with the ornament; An elastic spring coupled to the body and deformed by a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due to its elastic force; And a needle performing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by deformation and restoration of the elastic spring, wherein one end of the needle is separated from the body when the elastic spring is deformed, and between itself and the body when restoring the elastic spring. It is provided with a trinket fixing clothespin,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body through the skin complex located in the.

또한, 본 발명은, 장신구를 피부착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장신구 고정용 옷핀으로서, 상기 장신구와 결합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변형되고 자체 탄성력으로 인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탄성스프링; 상기 탄성스프링의 변형 및 복원에 의해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하는 이동부재; 및 상기 몸체에 고정된 바늘;을 포함하되, 상기 바늘의 일단은 상기 탄성스프링의 변형 시 상기 이동부재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탄성스프링의 복원 시 자신과 상기 이동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피부착물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고정용 옷핀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s an ornament fixing clothes pin for fixing the ornament to the skin complex, body coupled with the ornament; An elastic spring coupled to the body and deformed by a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due to its elastic force; Moving member for performing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by the deformation and restoration of the elastic spring; And a needle fixed to the body, wherein one end of the needle is separated from the moving member when the elastic spring is deformed, and penetrates the skin complex positioned between itself and the moving member when the elastic spring is restored. Provides a clothespin for fixing the ornament,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moving member.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부재의 측면부위 중 상기 바늘의 일단과의 결합부위로부터 하단까지의 부위는 유입되는 피부착물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탄성스프링을 변형시키는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Preferably, the portion from the side of the moving member to the end of the coupling portion with the needle is inclined by the incoming skin complex so that the moving member can linearly move in the direction of deforming the elastic spring. .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에는 상기 장신구가 결합되기 위한 걸림고리가 형성된다. Preferably, the body is formed with a hook for coupling the ornament.

바람직하게 상기 장신구 고정용 옷핀은 상기 몸체와 결합한 상기 장신구의 자중에 의해 또는 외부로부터 상기 몸체에 가해질 수 있는 힘에 의해 상기 탄성스프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변형방지수단을 더 포함한다. Preferably, the ornament fixing clothes pin further includes a deformation preventing means for preventing the elastic spring from being deformed by the weight of the ornament combined with the body or by a force that can be applied to the body from the outside.

본 발명에 의하면, 장신구가 종래에 비해 매우 용이하게 의복 등과 같은 피부착물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피부착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that the ornament can be fixed to the skin complexes such as clothing and the like and can be separated from the skin complexes very easily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고정용 옷핀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clothespin for fixing orna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 제1실시예 >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고정용 옷핀의 제1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장신구 고정용 옷핀의 변형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장신구 고정용 옷핀에 결합 고리가 형성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장신구 고정용 옷핀에 장신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도 1의 장신구 고정용 옷핀을 내장하거나, 도 1의 장신구 고정용 옷핀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장신구를 도시한 정면도 및 배면도이고,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장신구 고정용 옷핀에 변형방지수단이 형성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2는 도 4에 도시된 장신구 고정용 옷핀에 변형방지수단이 형성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conceptually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clothes fixing clothes p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to 6 are side views conceptually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clothes fixing clothes pin shown in Figure 1, FIG. 7 is a side view conceptu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upling ring is formed on the clothes fixing clothes pin shown in FIG. 6, and FIGS. 8 and 9 ar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jewelry is coupled to the clothes fixing clothes pin shown in FIG. 7. 10 is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showing the ornaments that are built in the accessory fastening clothespin of FIG. 1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clothespin for fastening of FIG. 1, and FIG. Is a side view conceptu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eformation preventing means is formed, and FIG. 12 is a side view conceptu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eformation preventing means is formed in the clothespin for fixing the ornament shown in FIG. 4.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고정용 옷핀(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와 탄성스프링(130)과 바늘(150)을 포함한다.The clothespin fixing clothe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ody 110, an elastic spring 130, and a needle 150 as shown in FIG. 1.

상기 몸체(110)는 앞면(112)과 뒷면(114)을 포함하고, 상기 앞면(112)에는 접착테이프, 벨크로, 굳어진 접착제 등과 같은 접착수단이 부착된다. 상기 접착수단은 상기 몸체(110)의 앞면(112)과 장신구를 결합시킨다. 여기서, 장신구는 명찰 등과 같이 상기 앞면(112)에 직접 결합될 수 있는 것뿐만 아니라 연결줄 등의 수단을 통해 상기 앞면(112)과 결합할 수 있는 휴대폰, PMP 등의 이동통신 휴대 단말기, 볼펜, 연필 등의 필기도구, 인형, 열쇠 등 기타 휴대 가능한 물품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The body 110 includes a front side 112 and a rear side 114, and the front side 112 is attached to the adhesive means such as adhesive tape, Velcro, hardened adhesive. The bonding means combines the front surface 112 and the ornaments of the body 110. Here, the ornament is not only can be directly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112, such as a nameplate, but also can be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112 through a means such as a mobile phone, mobile communication mobile terminal such as PMP, ball pen, pencil It is a concept that includes all other portable items such as writing instruments, dolls, keys, and the like.

상기 몸체(110)에는 상기 탄성스프링(130)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116)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116)의 개구에는 안착된 상기 탄성스프링(130)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안착홈(116)으로부터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안착홈(116)의 중심방향을 향해 돌출한 돌출부(118)가 형성된다.The body 110 is provided with a mounting groove 116 for mounting the elastic spring 130. An opening of the seating groove 116 protrudes toward the center of the seating groove 116 in order to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the seated elastic spring 130 is separated from the seating groove 116 by an elastic force ( 118 is formed.

상기 탄성스프링(130)은 상기 안착홈(116)에 수용되고, 그 일단에는 상기 안착홈(116)의 개구를 통해 외부로 부분 노출된 버튼(132)이 결합된다. 사용자가 상기 버튼(132)을 가압하면 상기 탄성스프링(130)은 수축 변형되고, 상기 버튼(132)에 가해진 가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스프링(130)은 상기 돌출부(118)에 의해 저지될 때까지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된다.The elastic spring 130 is accommodated in the seating groove 116, and one end of the button 132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n opening of the seating groove 116 is coupled thereto.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132, the elastic spring 130 contracts and deforms, and when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button 132 is released, the elastic spring 130 is blocked by the protrusion 118. It is restored to its original form by the elastic force.

상기 바늘(150)은 상기 몸체(110)를 의복 등과 같은 피부착물에 결합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그 일단은 상기 버튼(132)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몸체(110)의 뒷면(114)에 형성된 결합홈(120)에 삽입된다. 상기 바늘(150)은 상기 버튼(132)으로부터 상기 탄성스프링(130)의 내부를 따라 연장되다가 상기 뒷면(114)을 관통한 후, 반원 형태로 휘어지면서 상기 결합홈(120)까지 연장된다. The needle 150 serves to couple the body 110 to a skin complex such as a garment,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button 132, and the other end of the needle 110 is the back side 114 of the body 110. It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20 formed in. The needle 150 extends along the inside of the elastic spring 130 from the button 132 and penetrates the rear surface 114, and then extends to the coupling groove 120 while being bent in a semicircular shape.

상기 버튼(132)이 가압되어 상기 탄성스프링(130)이 수축 변형하면 상기 바늘(150)은 상기 결합홈(120)으로부터 이탈하게 되므로 상기 바늘(150)과 상기 뒷면(114) 간에는 갭이 형성된다. 상기 갭에는 피부착물이 삽입되고, 피부착물의 삽입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버튼(132)에 가한 힘을 해제한다. 상기 버튼(132)에 가한 힘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스프링(130)은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고, 이로 인해 상기 바늘(150)은 상기 피부착물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홈(120)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바늘(150)이 상기 피부착물을 완전하게 관통하지 못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반원 형태로 형성된 부위를 가압하거나 상기 버튼(132)에 인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바늘(150)의 완전한 관통을 보조할 수 있다.When the button 132 is pressed and the elastic spring 130 shrinks and deforms, the needle 150 is separated from the coupling groove 120, so that a gap is formed between the needle 150 and the rear surface 114. . The complex is inserted into the gap, and when the insertion of the complex is completed, the user releases the force applied to the button 132.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button 132 is released, the elastic spring 13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by the elastic force, whereby the needle 150 penetrates the skin complex and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20. do. In this case, when the needle 150 does not completely penetrate the skin complex, the user assists the complete penetration of the needle 150 by pressing a portion formed in the semicircle shape or by applying an attractive force to the button 132. can do.

한편, 상기 몸체(110) 및 바늘(150)은 앞서 설명한 형태와 상이한 형태로 다 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몸체(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면(114)이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홈(116) 및 상기 버튼(132)의 직경이 더욱 크게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116) 내부에 위치하는 바늘(150)의 부위가 상기 탄성스프링(130)의 외부에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132)이 상기 안착홈(116)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안착홈(116)의 개구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상기 버튼(132)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버튼(132)의 일부, 더욱 구체적으로는 버튼(132)의 손잡이부(134)가 상기 몸체(110)의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상기 바늘(150)의 부위 중 상기 몸체(110) 외부로 노출된 부위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홈(116)의 개구에 돌출부(118)를 형성하지 아니하고 상기 탄성스프링(130)이 상기 안착홈(116)의 외부로 부분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탄성스프링(130)이 상기 안착홈(116)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탄성스프링(130)의 일단은 상기 안착홈(116)의 내면에 부착되고, 상기 바늘(150)에는 상기 바늘(150)의 일단이 상기 결합홈(120)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뒷면(114)과 접하는 돌출부(160)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60)는 상기 탄성스프링(130)의 일정 길이 이상으로 늘어나는 현상을 방지한다.On the other hand, the body 110 and the needle 150 may be formed in a variety of forms different from the previously described form. For example, the body 11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back side 114 is formed in a 'c' shape as shown in FIG. 2.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3 the diameter of the seating groove 116 and the button 132 is formed larger and the portion of the needle 150 located inside the seating groove 116 is the elastic spring 130 It can extend from outsid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button 132 may be located inside the seating groove 116, and an opening of the seating groove 116 may not be formed. In this case, a part of the button 132, more specifically the handle 134 of the button 132,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10 so that a user can press the button 132. In addition, a portion of the needle 15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10 may be formed in a 'b' shape as shown in FIG.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6, the elastic spring 130 may be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ating groove 116 without forming the protrusion 118 in the opening of the seating groove 116. In this case, one end of the elastic spring 130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116 so that the elastic spring 130 is not separated from the seating groove 116, and the needle 150 is attached to the needle 150. When one end of the 15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20, the protrusion 160 is in contact with the back side 114 is formed. The protrusion 160 prevents the phenomenon of stretching beyond a predetermined length of the elastic spring 130.

앞서서는 상기 몸체(110)와 상기 장신구의 결합을 위해 상기 몸체(110)의 앞면에 접착테이프, 벨크로, 굳어진 접착제 등과 같은 접착수단을 부착하였다. 그러나, 이에 대한 대안으로 상기 몸체(110)의 앞면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신구가 결합되기 위한 걸림고리(122)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걸림고리(122)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신구(핸드폰)(202)에 연결된 연결줄이 결합되거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신구(명찰 케이스)(204)가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도 7에는 상기 걸림고리(122)의 일부가 개방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걸림고리(122)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 개방부위를 개폐하기 위한 부재를 구비하는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걸림고리(122)는 도 6에 도시된 장신구 고정용 옷핀뿐만 아니라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장신구 고정용 옷핀에도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Previously, an adhesive means such as adhesive tape, velcro, hardened adhesive, etc. was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110 to couple the ornaments with the body 110. However, as an alternative thereto, as shown in FIG. 7, the hook ring 122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110 to couple the ornaments.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8, the hook ring 122 is connected to the ornament (cell phone) 202 as shown in FIG. 8, or as shown in FIG. 9, the ornament (nameplate case) 204 is directly coupled. Can be. Although a part of the locking ring 122 is shown in FIG. 7, the shape of the locking ring 122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formed, including a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although not shown, the hook ring 122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in the clothes fixing clothes pins shown in FIGS. 1 to 5 as well as the clothes fixing clothes pins shown in FIG.

또한, 앞서서는 상기 몸체(110)와 상기 장신구의 결합을 위해 상기 몸체(110)의 앞면에 상기 접착수단을 부착하거나, 상기 걸림고리(122)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이와 상이하게 상기 장신구 고정용 옷핀(1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신구(명찰)(206)에 내장되거나 상기 장신구(206)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몸체(110)는 상기 장신구(206) 내부에 내장되거나 상기 장신구(206)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버튼(132)은 상기 장신구(206)의 앞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바늘(150)은 상기 장신구(206)의 뒷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In addition, in the above, the adhesive means is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110 or the hook ring 122 is formed to couple the body 110 and the ornament. However, differently, the ornament fixing clothes pin 100 may be embedded in the ornament (nameplate) 206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ornament 206 as shown in FIG. 10. In this case, the body 110 is embedded in the ornament 206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ornament 206, the button 132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ornament 206 The needle 150 penetrates the rear surface of the ornament 206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한편, 상기 장신구 고정용 옷핀(100)에 의해 상기 장신구와 피부착물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장신구의 자중에 의해 상기 바늘(150)에 작용하는 인장력은 상기 탄성스프링(130)의 탄성력과 상쇄된다. 따라서, 상기 장신구의 자중에 의해 상기 장신구 고정용 옷핀(100)이 상기 피부착물로부터 분리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상기 장신구의 자중이 매우 크거나 상기 장신구에 예측하지 못한 외력이 갑작스럽게 작용한다면 상기 탄성스프링(130)의 탄성력이 상기 장신구의 자중 또는 외력을 상쇄하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바늘(150)이 상기 결합홈(120)으로부터 분리하여 갭이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갭을 통해 피부착물이 상기 장신구 고정장치(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바, 상기 장신구 고정용 옷핀(100)은 상기 탄성스프링(13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변형방지수단(17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tensile force acting on the needle 150 by the weight of the ornament in the state in which the jewelry and the skin complex is coupled by the ornament fixing clothes pin 100 is offset with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pring 130. Therefore, the jewelry fixing clothespin 100 is not separated from the skin complex by the weight of the jewelry. However, if the self-weight of the ornament is very large or an unexpected external force acts suddenly on the ornament,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pring 130 does not cancel the self-weight or external force of the ornament so that the needle 150 is coupled to the A gap is created from the groove 120. In such a case, the skin complex can be separated from the ornament fixing device 100 through the gap, the ornament fixing clothes pin 100 is a strain preventing means for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elastic spring 130 ( 170).

상기 변형방지수단(17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172)와 상기 지지바(172)에 형성된 돌기(174)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바(172)는 상기 몸체(110)의 앞면(112) 상부에서 고정되고 상기 탄성스프링(130)의 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돌기(174)는 상기 버튼(132)에 형성된 홈(136)과 결합하여 상기 탄성스프링(130)의 압축 변형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장신구 고정용 옷핀(100)에 상기 변형방지수단(170)을 형성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돌기(174)가 상기 홈(136)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상기 버튼(132)을 하부로 약간 이동시키거나 상기 지지바(172)를 상부로 약간 이동시킨 후 상기 버튼(132)을 가압하여 상기 탄성스프링(130)을 압축 변형시킬 수 있고, 상기 버튼(132)에 가한 힘이 해제될 경우 상기 버튼(132)은 상기 탄성스프링(130)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하다가 상기 돌기(174)와 결합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변형방지수단(170)은 도 6에 도시된 장신구 고정용 옷핀뿐만 아니라 도 1 내지 도 3, 도 5에 도시된 장신구 고정용 옷핀에도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deformation preventing means 170 includes a support bar 172 and a protrusion 174 formed on the support bar 172 as shown in FIG. 11. The support bar 172 is fixed on the front surface 112 of the body 110 and extend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elastic spring 130. The protrusion 174 is coupled to the groove 136 formed in the button 132 to prevent the compression deformation of the elastic spring 130. As such, when the deformation preventing means 170 is formed on the jewelry fixing clothes pin 100, the user slightly lowers the button 132 so that the protrusion 174 can be separated from the groove 136. After moving or slightly moving the support bar 172 to the upper part to press the button 132 to compress and deform the elastic spring 130,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button 132 is released The button 132 moves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pring 130 and is coupled to the protrusion 174. Although not shown, the deformation preventing means 170 may be formed in the same form as described above in the clothes fixing clothes pins shown in FIGS. 1 to 3 and 5 as well as the clothes fixing clothes pins shown in FIG.

한편, 상기 변형방지수단(170)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신구 고정용 옷 핀(100)에 형성될 경우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다. 즉,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변형방지수단(170)은 상기 몸체(110)에 형성된 홈(124)에 삽입되는 바(176)와, 상기 손잡이부(134)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기 바(176)의 일단과 결합하는 스프링(178)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상기 바(176)가 상기 홈(124)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상기 바(124)를 가압한 후 상기 손잡이부(134)를 상기 바(124)의 가압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탄성스프링(130)을 압축 변형시킬 수 있고, 상기 손잡이부(134)에 가한 힘이 해제될 경우 상기 손잡이부(134)는 상기 바(176)가 상기 스프링(178)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홈(124)에 삽입될 때까지 상기 탄성스프링(130)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eformation preventing means 170 is formed on the clothes pin 100 for fixing the ornament as shown in Figure 4 is formed as shown in FIG. That is, in this case, the deformation preventing means 17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24 formed in the groove 124 formed in the body 110, and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in the handle portion 134 and the bar 176. It includes a spring 178 to engage with one end of the. The user presses the bar 124 to allow the bar 176 to be separated from the groove 124, and then presses the handle part 134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essing direction of the bar 124. The elastic spring 130 may be compressively deformed, and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handle part 134 is released, the handle part 134 may have the bar 176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78. It moves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pring 130 until it is inserted into 124.

< 제2실시예 >Second Embodiment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고정용 옷핀의 제2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장신구 고정용 옷핀의 변형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FIG. 13 is a side view conceptually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a clothes fixing clothesp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side view conceptually illustrat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clothes fixing clothespin shown in FIG.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고정용 옷핀(300)은 몸체(310)와 탄성스프링(330)과 바늘(350)과 이동부재(390)를 포함한다.The clothespin 300 for fixing orna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ody 310, an elastic spring 330, a needle 350, and a moving member 390.

상기 몸체(310)의 앞면(312)에는 장신구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접착테이프, 벨크로, 굳어진 접착제 등과 같은 접착수단이 부착되거나 걸림고리(322)가 형성된다. 또한, 이에 대한 대안으로 상기 몸체(310)는 상기 장신구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장신구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몸체(310)의 뒷면(314)에는 상기 탄성스프링(330)이 결합되고, 상기 이동부재(39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316)이 형성된 다.The front surface 312 of the body 310 is attached to the adhesive means, such as adhesive tape, Velcro, hardened adhesive, or the like so that ornaments can be coupled to the hook 322 is formed. In addition, the body 31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ornament or may be embedded in the ornament. The elastic spring 330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314 of the body 310, and an insertion groove 316 is formed to insert the moving member 390.

상기 탄성스프링(330)의 일단은 상기 뒷면(314)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부재(390)에 결합된다. 사용자가 상기 이동부재(390)을 가압하면 상기 탄성스프링(330)은 수축 변형되고, 상기 이동부재(390)에 가해진 가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스프링(330)은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된다. 상기 탄성스프링(33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리컬 형태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거나,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스프링(330)은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이동부재(390)와 상기 바늘(350)과의 결합력이 더욱 견고하여 지기 때문에 상기 장신구 고정장치(300)가 피부착물로부터 이탈하는 현상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One end of the elastic spring 330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314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moving member 390. When the user presses the movable member 390, the elastic spring 330 is deformed and deformed. When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movable member 390 is released, the elastic spring 33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by an elastic force. . The elastic spring 330 may be made of a helical spring as shown in Figure 13, or may be made of a leaf spring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elastic spring 330 is preferably made of a plurality. In this case, sinc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movable member 390 and the needle 350 becomes more firm,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prevent a phenomenon that the jewelry fixing device 300 is separated from the skin deposit.

상기 바늘(350)은 상기 몸체(310)를 의복 등과 같은 피부착물에 결합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그 일단은 상기 몸체(310)의 뒷면(314)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부재(390)에 형성된 결합홈(392)에 삽입된다. 상기 바늘(350)은 상기 뒷면(314)으로부터 상기 탄성스프링(330)의 내부를 따라 연장되다가 상기 이동부재(390)를 관통한 후, 반원 형태로 휘어지면서 상기 결합홈(392)까지 연장된다. The needle 350 performs a function of coupling the body 310 to a skin complex such as a garment,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314 of the body 310, and the other end of the moving member 390. It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392 formed in the). The needle 350 extends along the inside of the elastic spring 330 from the rear surface 314 and penetrates the moving member 390, and then extends to the coupling groove 392 while being bent in a semicircular shape.

상기 이동부재(390)가 가압되어 상기 탄성스프링(330)이 수축 변형하면 상기 바늘(350)은 상기 결합홈(392)으로부터 이탈하게 되므로 상기 바늘(350)과 상기 이동부재(390) 간에는 갭이 형성된다. 상기 갭에는 피부착물이 삽입되고, 피부착물의 삽입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이동부재(390)에 가한 힘을 해제한다. 상기 이동부재(390)에 가한 힘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스프링(330)은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태 로 복원되고, 이로 인해 상기 피부착물은 상기 이동부재(390)와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바늘(350)에 의해 관통된다. 상기 피부착물을 관통한 바늘(350)은 상기 결합홈(392)에 삽입된다. When the moving member 390 is pressed and the elastic spring 330 shrinks and deforms, the needle 350 is separated from the coupling groove 392, so that a gap is formed between the needle 350 and the moving member 390. Is formed. The complex is inserted into the gap, and when the insertion of the complex is completed, the user releases the force applied to the moving member 390.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movable member 390 is released, the elastic spring 33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by the elastic force, whereby the skin complex moves with the movable member 390 while the needle 350 moves. Penetrated by The needle 350 penetrating the skin complex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392.

상기 이동부재(390)의 측면부위 중 상기 결합홈(392)이 형성된 부위로부터 하단까지의 부위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경사는 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이동부재(390)는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로 하부로부터 상부로 이동하는 피부착물에 의해 몸체(31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피부착물이 상기 바늘(350)과 상기 이동부재(390) 사이에 자연스럽게 삽입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a portion from the side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movable member 390 to which the coupling groove 392 is formed is inclined as shown in FIG. 13. In this case, the inclination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or a curve. In this case, the moving member 390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body 310 by the skin complex moving from the bottom to the top in the tensioned state, whereby the skin complex is the needle 350 and the movement It may be naturally inserted between the members 390.

상기 장신구 고정용 옷핀(300)은 변형방지수단(37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형방지수단(37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372)와 상기 지지바(372)에 형성된 돌기(374)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바(372)는 상기 몸체(310)의 뒷면(314) 상부에서 고정되고 상기 탄성스프링(330)의 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돌기(374)는 상기 이동부재(390)에 형성된 홈(336)과 결합하여 상기 탄성스프링(330)의 압축 변형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장신구 고정용 옷핀(300)에 상기 변형방지수단(370)을 형성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돌기(374)가 상기 홈(336)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수단(370)을 하부로 약간 이동시키거나 상기 지지바(372)를 상부로 약간 이동시킨 후 상기 이동부재(390)를 가압하여 상기 탄성스프링(330)을 압축 변형시킬 수 있고, 상기 이동부재(390)에 가한 힘이 해제될 경우 상기 이동부재(390)는 상기 탄성스프링(330)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하다가 상기 돌기(374)와 결합한다. Preferably, the jewelry fixing clothes pin 300 further includes a deformation preventing means 370. The deformation preventing means 370 includes a support bar 372 and a protrusion 374 formed on the support bar 372 as shown in FIG. 13. The support bar 372 is fixed on the rear surface 314 of the body 310 and extend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elastic spring 330. The protrusion 374 is coupled to the groove 336 formed in the movable member 390 to prevent compression deformation of the elastic spring 330. As such, when the deformation preventing means 370 is formed on the jewelry fixing clothes pin 300, the user moves the moving means 370 downward so that the protrusion 374 can be separated from the groove 336. After slightly moving or slightly moving the support bar 372 to the upper part, the elastic spring 330 may be compressed and deformed by pressing the moving member 390, and the force applied to the moving member 390 is released. When the moving member 390 is mov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pring 330 is coupled to the protrusion 374.

한편, 상기 장신구 고정용 옷핀(300)은 상기 이동부재(390)가 상기 탄성스프링(330)의 탄성력에 의해 과도하게 이동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지수단은 상기 바늘(350)의 일단이 상기 결합홈(392)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이동부재(390)와 접하도록 상기 바늘(250)에 형성되는 돌출부(360)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바늘(350)의 일단이 상기 결합홈(392)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몸체(310)와 접하도록 상기 이동부재(390)의 상하단에 형성되는 돌출부(394)로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jewelry fixing clothes pin 300 preferably includes a preventing means for preventing the moving member 390 is excessively mov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pring 330. The preventing means may include a protrusion 360 formed on the needle 250 to contact the moving member 390 when one end of the needle 35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392, or the needle ( When one end of the 35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392, the protrusion 394 may be formed at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ovable member 390 to contact the body 310.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고정용 옷핀의 제1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conceptually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clothespin for fixing orna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장신구 고정용 옷핀의 변형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2 to 6 is a side view conceptually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clothespin for fixing the ornament shown in FIG.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장신구 고정용 옷핀에 결합고리가 형성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7 is a side view conceptu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upling ring is formed on the clothes pin for fixing the ornament shown in FIG. 6.

도 8 및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장신구 고정용 옷핀에 장신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8 and 9 illustrate a state in which ornaments are coupled to the clothes fixing clothespin shown in FIG.

도 10은 도 1의 장신구 고정용 옷핀을 내장하거나, 도 1의 장신구 고정용 옷핀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장신구를 도시한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FIG. 10 is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illustrating the ornaments that are built in the accessory fixing clothespin of FIG. 1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clothes fixing clothespin of FIG. 1.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장신구 고정용 옷핀에 변형방지수단이 형성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FIG. 11 is a side view conceptu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deformation preventing means is formed on the clothespin for fixing the ornament shown in FIG. 6.

도 12는 도 4에 도시된 장신구 고정용 옷핀에 변형방지수단이 형성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FIG. 12 is a side view conceptu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deformation preventing means is formed on the clothespin for fixing the ornament shown in FIG. 4.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고정용 옷핀의 제2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13 is a side view conceptually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clothespin for fixing orna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장신구 고정용 옷핀의 변형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14 is a side view conceptually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clothespin for fixing the ornament shown in FIG.

Claims (5)

장신구를 피부착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장신구 고정용 옷핀으로서,As a fixing pin for fastening jewelry to the skin complex, 상기 장신구와 결합하는 몸체;A body coupled with the ornament;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변형되고 자체 탄성력으로 인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탄성스프링; 및An elastic spring coupled to the body and deformed by a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due to its elastic force; And 상기 탄성스프링의 변형 및 복원에 의해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하는 바늘;을 포함하되,Including; needle for performing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by the deformation and restoration of the elastic spring 상기 바늘의 일단은 상기 탄성스프링의 변형 시 상기 몸체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탄성스프링의 복원 시 자신과 상기 몸체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피부착물을 관통하여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고정용 옷핀.One end of the needle is separated from the body when the elastic spring is deformed, and the clothespin for fixing the ornaments,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body through the skin complex located between itself and the body when restoring the elastic spring . 장신구를 피부착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장신구 고정용 옷핀으로서,As a fixing pin for fastening jewelry to the skin complex, 상기 장신구와 결합하는 몸체;A body coupled with the ornament;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변형되고 자체 탄성력으로 인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탄성스프링; An elastic spring coupled to the body and deformed by a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due to its elastic force; 상기 탄성스프링의 변형 및 복원에 의해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하는 이동부재; 및Moving member for performing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by the deformation and restoration of the elastic spring; And 상기 몸체에 고정된 바늘;을 포함하되,Including; needle fixed to the body; 상기 바늘의 일단은 상기 탄성스프링의 변형 시 상기 이동부재로부터 분리되 고, 상기 탄성스프링의 복원 시 자신과 상기 이동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피부착물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고정용 옷핀.One end of the needle is separated from the movable member when the elastic spring is deformed, and is coupled to the movable member by penetrating the skin complex positioned between itself and the movable member when restoring the elastic spring. Clothespin for fastening jewelry.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이동부재의 측면부위 중 상기 바늘의 일단과의 결합부위로부터 하단까지의 부위는 유입되는 피부착물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탄성스프링을 변형시키는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고정용 옷핀. Part of the side portion of the movable member from the coupling portion to the lower end of the needle is inclined by the incoming skin complex so as to be inclined so that the movable member can linearly move in the direction of deforming the elastic spring. Clothespins for jewelry.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몸체에는 상기 장신구가 결합되기 위한 걸림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고정용 옷핀.The clothes pin for fixing the orname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k is formed for the body is coupled to the ornament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몸체와 결합한 상기 장신구의 자중에 의해 또는 외부로부터 상기 몸체에 가해질 수 있는 힘에 의해 상기 탄성스프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변형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고정용 옷핀. And a strain preventing means for preventing the elastic spring from being deformed by the weight of the ornament combined with the body or by a force that can be applied to the body from the outside.
KR1020080063575A 2008-07-01 2008-07-01 Pin for fixing accessories to clothes KR1010278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575A KR101027897B1 (en) 2008-07-01 2008-07-01 Pin for fixing accessories to cloth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575A KR101027897B1 (en) 2008-07-01 2008-07-01 Pin for fixing accessories to cloth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599A true KR20100003599A (en) 2010-01-11
KR101027897B1 KR101027897B1 (en) 2011-04-07

Family

ID=41813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575A KR101027897B1 (en) 2008-07-01 2008-07-01 Pin for fixing accessories to cloth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789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700B1 (en) * 2012-07-16 2014-04-24 이승철 Pin for fixing accessories to clothes
KR101616686B1 (en) 2014-09-05 2016-04-28 이승철 A apparatus for fixing accessori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3046Y2 (en) 1978-12-20 1983-12-02 征治 鵜飼 engagement pin
JPS608726Y2 (en) 1979-01-11 1985-03-28 信明 川崎 Polymer stab stopper
JPH11305670A (en) 1998-04-20 1999-11-05 Senzo Yamazaki Needle clip
KR200291900Y1 (en) 2002-07-10 2002-10-11 이규삼 clothing pin for orna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7897B1 (en) 201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23508A1 (en) Holder for attaching items to clothing
US20070251268A1 (en) Clip for an ornamental item
US9398793B2 (en) Clutch case with outer mounting plate for holding a smartphone
KR101388700B1 (en) Pin for fixing accessories to clothes
KR101027897B1 (en) Pin for fixing accessories to clothes
US20150250270A1 (en) Stress-Relieving Button Cover
KR100833620B1 (en) Clip for portable telephone
JP5173448B2 (en) Strap with clip
CN106539253A (en) Secretary&#39;s collecting bag
JP4363574B2 (en) Mobile aids such as mobile phones
JP2020180403A (en) Garment belt
CN214283498U (en) Decorative neckline clamp
KR200441310Y1 (en) Portable with a hand strap
CN212036312U (en) Slip hasp and wearable equipment
JP2001340136A (en) Rucksack
CN207285525U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free combined type knapsack
CN201700578U (en) Mobile phone-money-card bag capable of being worn on arm or waist
CN211407754U (en) Pocket structure of clothes
JP3056165U (en) Mobile phone with clip
JP3129238U (en) accessory case
JP3061342U (en) Handbag with pocket for mobile phone
CN105979418A (en) Bluetooth answering device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KR200214729Y1 (en) cellular phone hanger
KR100817725B1 (en) Power handphone clip
JP3045362U (en) Decorative body of locking member for mobile devices and accesso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