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2452A - Booth type dust collector - Google Patents

Booth type dust coll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2452A
KR20100002452A KR1020080062356A KR20080062356A KR20100002452A KR 20100002452 A KR20100002452 A KR 20100002452A KR 1020080062356 A KR1020080062356 A KR 1020080062356A KR 20080062356 A KR20080062356 A KR 20080062356A KR 20100002452 A KR20100002452 A KR 20100002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th
air
dust
filter
dust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23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92841B1 (en
Inventor
김훈태
강신기
Original Assignee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우양이엔지
김훈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우양이엔지, 김훈태 filed Critical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62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2841B1/en
Publication of KR20100002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4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2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28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PURPOSE: A booth type dust collector is provided to extend a lifespan of a filter while maintaining collecting efficiency of each filter, and to adjust the suction force of the air which is flowed to th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generation amount of the dust. CONSTITUTION: A booth type dust collector includes a booth body(100), an exhaust fan(200), a filter(300), and an air injection unit(400). The booth body is divided into an operation booth(110) and a dust collecting booth(120). The exhaust fan and the filter are installed at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ng booth. The air injection unit sprays the air inversely by the filter. An air supply path(130) is formed to transfers the air of the dust collecting booth to the operation booth. A dust collecting chamber and an exhaust chamber(122) are form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booth. A first outlet(123) and second outlet(124) are formed on the top of the exhaust chamber.

Description

부스형 집진기{Booth Type Dust Collector}Booth Type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부스형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부스 내에 설치되는 필터의 형상과 배치구조를 변경하여 분진을 보다 효율적으로 집진시킬 수 있는 부스형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oth type dust coll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oth type dust collector capable of collecting dust more efficiently by changing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a filter installed in a work booth.

일반적으로 집진기(集塵器)는 공기중에 포함된 각종 유해가스, 분진, 잡균, 곰팡이 및 바이러스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사용자의 활동공간을 쾌적하게 유지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한다.In general, the dust collector (集塵 器) removes various pollutants such as harmful gases, dust, bacteria, fungi and viruses contained in the air, and performs a function to maintain a user's active space comfortably.

산업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각종 가공공정과 제조공정을 수행하는 작업현장에서는 인체에 유해한 각종 유해가스나 분진 등이 발생되어 작업자의 작업환경과 신체건강에 대하여 악영향을 끼치는 것은 물론, 정밀한 제품을 생산하는 직종일 경우에는 생산되는 제품의 불량률이 높아짐에 따라 생산성 저하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도 발생되었다.As the industrial economy develops, the workplaces that perform various processing and manufacturing processes generate various harmful gases or dusts that are harmful to the human body, adversely affecting the working environment and physical health of workers and producing precise products. In the case of occupations, as the defective rate of the products produced increased, economic losses resulted from the decrease in productivity.

따라서, 현재는 유해가스나 분진들을 집진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집진기가 개발되어 산업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Therefore, at present, various dust collectors for dust collecting hazardous gases or dust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in industrial sites.

한편, 상기 집진기는 크게 건식과 습식 두 종류로 구분되며, 건식은 다시 전 기 집진식과 필터 여과식 등으로 구분된다.On the other hand, the dust collector is largely divided into two types, dry and wet, dry again is divided into electric dust collection and filter filtration type.

먼저, 상기 습식 집진기는 흡입된 공기를 물 등의 습식 정화제에 접촉시킴으로써, 먼지나 가스 등의 오염물질을 침전 또는 용해시켜 정화시키는 방식이다.First, the wet dust collector is a method of purifying by infiltrating or dissolving contaminants such as dust and gas by bringing inhaled air into a wet purifier such as water.

또한, 상기 전기 집진식은 전기력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장이 집진극으로 이동하는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방식이다.In addition, the electrostatic precipitating method is a method in which an electric field generated by electric force collects contaminants moving to the collecting pole.

그리고, 필터 여과식은 주로 가공공정과 제조공정을 수행하는 작업현장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필터 사이로 공기를 흘려 보내는 과정에서 먼지와 분진 등을 포집하는 방식이다.In addition, the filter filtration type is mainly used in a work site that performs a processing process and a manufacturing process, and collects dust and dust in the process of flowing air between the filters.

상기 필터 여과식의 집진기 주변에는 물품을 가공하는 과정에 발생되는 분진이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집진실이 설치된다.A dust collecting chamber is installed around the filter filtration dust collector to prevent the dust generated during the processing of the article from spreading to the outside.

그런데, 종래의 집진기 주변에 설치되는 집진실은 별도로 마련하여야 하므로 그에 따른 설치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dust collecting chamber installed around the conventional dust collector has to be prepared separate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stallation cost is additionally generat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484266호(이하, '종래기술' 이라 함)를 통해 "부스형 집진기"를 개시한 바 있으며 그 개략적인 구성을 기술하면 이하와 같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applicant has disclosed a "boot-type dust collector" through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484266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and describes the schematic configuration It is as follows.

종래기술의 부스형 집진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진유입구(15)와 에어배출구(18)가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분진유입구(15)와 에어배출구(18) 사이에 연결되는 배기팬(25)과, 이 배기팬(25)의 전단에 구비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중의 분진을 여과하도록 된 필터(30)와, 상기 배기팬(25)과 필터(30) 사이에 구비되어 필터(30) 방향으로 에어를 역분사하여 필터(30)에 달라붙은 분진을 제거하 도록 된 에어분사노즐(35)을 포함하는 집진기에 있어서, 그 전방에 개구부(23)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의 분진유입구(15) 전단에 일체로 형성된 작업부스(20)와, 상기 배기팬(25)의 후단으로부터 작업부스(20)의 개구부(23)로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에어공급로(55)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업부스(20)의 분진이 분진유입구(15)를 통하여 본체(10)로 유입됨과 더불어 상기 에어배출구(18)로 배출되는 에어가 상기 에어공급로(55)를 통해 작업부스(20)의 개구부(23) 둘레로 공급되어 이 개구부(23)에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As shown in FIG. 1, a booth typ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connected between a main body 10 having a dust inlet 15 and an air outlet 18, and between the dust inlet 15 and an air outlet 18. An exhaust fan 25, a filter 30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exhaust fan 25 to filter dust in the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between the exhaust fan 25 and the filter 30. And an air spray nozzle (35) configured to reversely spray air toward the filter (30) to remove dust adhering to the filter (30), wherein an opening (23) is formed in front of the main body. The work booth 20 integrally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dust inlet 15 of the 10 and the air supply passage 55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opening 23 of the work booth 20 from the rear end of the exhaust fan 25. ) And the dust of the work booth 20 is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dust inlet 15 and the air is discharged. The air discharged to the sphere 18 is supplied around the opening 23 of the work booth 20 through the air supply path 55 to form an air curtain in the opening 23.

따라서, 작업자가 용이하게 출입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분진을 수집하기 위한 별도의 집진실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시설비 등의 코스트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worker can easily perform the work while going out and of course, since a separate dust collecting chamber for collecting dust is not required, it is possible to reduce costs such as facility costs.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부스형 집진기는 집진효율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필터를 설치면 전체에 대하여 종방향과 횡방향을 따라 설치하고, 이들 상호간에는 종,횡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는 구조를 가지므로, 포집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데는 한계가 있었다.However, the booth typ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filters are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ntire installation surface in order to increase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and have a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therebetween. Therefore, there was a limit to greatly improving the collection efficiency.

더욱이, 복수개의 필터는 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개방된 유입구의 단부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수직하게 설치되어 분진유입구와 서로 교차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분진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필터의 개방된 단부를 경유하는 유로의 흐름이 상당히 낮은 비율로 진행되어 미세분진에 대한 포집 능력이 낮은 수준을 유지할 수 밖에 없었다.Furthermore, since the plurality of filters have a circular shape and are vertically installed with the ends of the open inlet facing downwards, the plurality of filters have a structure that intersects with the dust inlet, so that the air flowing from the dust inlet receives the open end of the filter. The flow of diesel oil flowed through at a very low rate, and the capturing ability of fine dust was low.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필터 중 분진유입구 쪽에 설치된 필터와 본체의 내벽면 쪽에 설치된 필터는 그 포집 효율이 상이하여 집진기 전체의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1, the filter installed at the dust inlet side and the filter installed at the inner wall side of the main body have a problem in that the efficiency of the entire dust collector is lowered due to different collection efficiency.

즉, 종래기술에 따르면 분진유입구쪽에 설치된 필터는 분진에 대한 포집 작용이 그 외면 둘레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는 반면, 그 반대편에 설치된 필터의 경우에는 상기 분진유입구쪽 필터를 거치지 못한 분진이 본체의 내벽면을 여러번 부딪히는 과정을 거친 후 포집됨에 따라, 동일한 성능을 갖는 필터라 하더라도 그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비효율적으로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filter installed on the dust inlet side is concentra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dust collection, whereas in the case of the filter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the dust that does not pass through the dust inlet side filter is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main body. As it is collected after hitting a number of times, even if the filter having the same performance, there was a problem that is used inefficiently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arrangem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명의 목적은 필터의 형상과 설치구조를 변경하여 포집면적을 증가시키고 유로저항을 감소시켜 분진에 대한 집진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부스형 집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invention is to change the shape and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filter to increase the collection area and reduce the flow resistance to increase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for dust significantly It is to provide a type dust collecto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진의 발생량에 따라 집진기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흡입력을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는 부스형 집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ooth dust collector that can arbitrarily adjust the suction forc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amount of dust generated.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필터의 포집효율을 균일하게 하여 그에 따른 신뢰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부스형 집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oth type dust collector which can make the collection efficiency of each filter uniform and further improve the reliability thereof.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터에 포집되어 있는 분진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시킴으로써, 필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부스형 집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oth type dust collector which can extend the life of the filter by more effectively removing the dust collected in the filter.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부스형 집진기는 작업부스와 집진부스로 구획된 부스본체, 상기 집진부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작업부스 내의 공기를 유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팬, 상기 집진부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배기팬에 의해 유입된 공기중에 포함된 분진을 포집하는 중공의 필터, 상기 필터에 대하여 공기를 역분사하는 공기분사수단 및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의 일부를 작업부스로 유통시키는 공기공급로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의 중공 입구는 집진부스에 형성되는 분진유입구와 대향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ooth typ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oth body divided into a work booth and a dust collecting booth, the exhaust fan is installed in the dust collecting booth, the air inlet to discharge the inside of the work booth, the A hollow filter installed in the dust collecting booth and collecting dust contained in the air introduced by the exhaust fan, an air spraying means for back spraying air to the filter, and a part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to the work booth. It includes a circulation air supply path,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low inlet of the filter is installed to face the dust inlet formed in the dust collecting booth.

여기서, 상기 필터는 중공은 장공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filt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low is made in the form of a long hole.

또한, 상기 필터의 중공 입구는 분진유입구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llow inlet of the filt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with the dust inlet.

아울러, 상기 분진유입구의 형태는 필터의 중공과 동일하며, 그 크기는 상기 필터의 중공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dust inlet is the same as the hollow of the filter, the siz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smaller or equal to the hollow of the filter.

그리고, 상기 집진부스에는 분진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임의로 조절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된 슬라이드 도어가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도어는 집진부스의 전면과 연결되는 레일공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관통공이 분진유입구와 연통되거나 어긋남에 따라 공기의 유입량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ust collecting booth is provided with a slide door having a through hole for arbitrarily adjusting the amount of air flowing into the dust inlet, and the slide door is moved through the rail hole connec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booth.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low of the air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dust inlet or in communication with the deviation.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집진실에 설치되는 필터의 중공을 장방형으로 형성함에 따라, 그 설치면에 대한 종방향 또는 횡방향 중 어느 한 방향에 대해서는 그 길이방향 전체를 필터의 포집면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분진을 포집하기 위한 집진용량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s the hollow of the filter installed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he entir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ter is collected in either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Since it can be utilized as the area, there is an effect that can greatly improve the dust collection capacity for collecting dust.

특히, 상기 필터의 중공 입구는 분진유입구와 대향되는 방향에 배치됨으로써,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분진이 필터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어, 유로의 저항은 저감시키고 필터링 시간은 향상시킴으로써 그에 따른 미세분진에 대한 포집 작용도 원활하게 이루어진다.In particular, the hollow inlet of the filter is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ust inlet, so that the dust flowing in with the air can naturally move along the length of the filter, thereby reducing the resistance of the flow path and improving the filtering time, thereby resulting in fine The collection of dust is also smooth.

또한, 상기 필터는 분진유입구와 동일 선상에 각각 설치됨에 따라, 어느 하나의 필터에만 필터링 작용이 집중되지 않고 전체가 균일하게 필터링 작용을 수행할 수 있음으로 그에 따른 신뢰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lter is installed on the same line as the dust inlet, the filtering action is not concentrated only on any one filter, and the entire filter may be uniformly performed, thereby improving reliability.

아울러, 상기 분진유입구에는 슬라이드 도어를 설치함으로써, 작업부스 내에서 발생되는 분진의 양에 따라 공기의 유입량을 최대에서 최소 사이를 유기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by installing a slide door in the dust inlet, it is possible to organically control the inflow of air from the maximum to the minimum according to the amount of dust generated in the work booth.

그리고, 공기분사수단에는 필터의 내경을 향해 돌출되는 공기분사노즐을 형성함으로써, 필터가 포집한 분진을 완벽하게 털어낼 수 있게 되어 필터의 수명을 한층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nd, by forming an air spray nozzle protruding toward the inner diameter of the filter in the air spraying means,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shake off the dust collected by the filter has an effect that can further extend the life of the filter.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s 2 to 7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스형 집진기(1000)는 작업부스(110)와 집진부스(120)로 구획된 부스본체(100), 상기 집진부스(120) 내에 설치되는 배기팬(200), 상기 집진부스(120) 내에 설치되는 필터(300), 상기 필터(300)에 대하여 공기를 역분사하는 공기분사수단(400)을 포함한다.As illustrated, the booth type dust collector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oth body 100 partitioned into a work booth 110 and a dust collecting booth 120, and an exhaust fan 200 installed in the dust collecting booth 120. And a filter 300 installed in the dust collecting booth 120 and an air spraying means 400 for back spraying air on the filter 300.

먼저, 상기 부스본체(100)는 판상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패널을 연결시켜 일측에는 작업부스(110)를 구획하고 타측에는 집진부스(120)를 구획한 박스 형태로 제작한다.First, the booth body 100 connects a plurality of panels formed in a plate shape to produce a box form in which a work booth 110 is partitioned on one side and a dust booth 120 is partitioned on the other side.

상기 작업부스(110)는 작업자가 들어간 상태에서 분진이 발생되는 작업물품을 가공하는 곳으로, 상기 집진부스(120)의 전면(前面)쪽 양 측면과 상면에 패널을 연결시켜 그 전면과 하부가 개방된 구조로 형성된다.The work booth 110 is a place for processing the work product in which dust is generated while the operator enters, the front and bottom of the dust collector booth 120 by connecting the panel to both sides and the upper side of the front (front side) It is formed into an open structure.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작업부스(110)의 상부에는 상기 집진부스(120) 내의 일부 공기를 작업부스(110)로 유통시키는 공기공급로(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공기공급로(130)에 의해 작업부스(110) 내부의 공기흐름방향을 아래쪽을 향하도록 하여 상부의 분진을 아래쪽에 배치된 필터(300) 쪽을 향하게 함으로써 집진효율을 한층 높일 수 있고, 상기 집진부스(120)가 흡입하는 공기의 흡입력에 의한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an air supply path 130 may b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work booth 110 to distribute some air in the dust collecting booth 120 to the work booth 110. When configured in this way, the dust flow efficiency is further increased by directing the upper dust toward the filter 300 disposed below by directing the air flow direction inside the work booth 110 downward by the air supply path 130. It is possible to increase, it is possible to smooth the flow of air by the suction force of the air sucked by the dust collecting booth 120.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공급로(130)의 바닥면에는 작업부스(110)의 내부와 연통하는 복수의 배출공(131)이 형성되어 있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3,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131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supply passage 130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work booth 110.

도면에서 상기 배출공(131)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연속 형성되어 있으나, 그 크기나 배치형식에 관해서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다.In the drawing, the discharge hole 131 is continuously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but the size or arrangement of the discharge hole 13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아울러,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작업부스(110)의 개방된 전면에는 그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막을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blocking film may be installed on the open front surface of the work booth 110 to block the air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여기서, 상기 차단막은 합성수지인 비닐을 이용하여 커튼식으로 설치할 수 있으나, 재질에 관해서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다.Here, the barrier film may be installed in a curtain type using vinyl, which is a synthetic resin, but the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한편,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집진부스(120)는 작업부스(110) 내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공기와 함께 흡입한 상태에서 분진은 내부에서 포집시키고 공기는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으로, 전체가 사각의 박스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서로 연통된 구조의 집진실(121)과 배기실(122)을 형성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2 and 4, the dust collecting booth 120 collects the dust from the inside and discharges the air to the outside in the state where the dust generated in the work booth 110 is sucked with the air. In this case, the dust collector chamber 121 and the exhaust chamber 122 are formed in a rectangular box shape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먼저, 상기 집진실(121)의 전면에는 작업부스(110)와 연통되는 분진유입 구(140)가 형성된다.First, a dust inlet 140 communicating with the work booth 11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1.

정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분진유입구(140)는 후술할 필터(300)의 중공 형태와 동일하며, 그 크기는 필터(300)의 중공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dust inlet 140 is the same as the hollow shape of the filter 300 to be described later, the size is preferably formed to be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hollow of the filter 300.

또한, 상기 분진유입구(140)가 형성된 집진부스(120)의 전면에는 분진유입구(140)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슬라이드 도어(141)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front of the dust collecting booth 120 is formed with the dust inlet 140 is provided with a slide door 141 that can arbitrarily adjust the amount of air flowing into the dust inlet 140.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도어(141)는 집진부스(120)의 전면에 연결되는 레일공(142)과, 관통공(143)이 각각 형성된 판재로써, 상기 판재는 집진부스(120)의 전면과 연결되는 레일공(142)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관통공(143)이 상기 분진유입구(140)와 연통되거나 어긋남에 따라 상기 집진실(121)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5, the slide door 141 is a plate formed with a rail hole 142 and a through hole 143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booth 120, and the plate has a dust collecting booth. In the process of moving along the rail hole 142 connec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120, the through hole 143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dust inlet 140 or the amount of air flowing into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1 as the displacement is adjusted It becomes possible.

즉, 작업부스(110) 내에 분진이 많을 경우에는 상기 슬라이드 도어(141)를 이동시켜 관통공(143)과 분진유입구(140)를 서로 일치시킴으로써 집진부스(120)의 공기 유입량을 최대화시키고, 상기 작업부스(110) 내의 분진이 적을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상기 슬라이드 도어(141)의 관통공(143)이 분진유입구(140)와 어긋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집진부스(120)의 공기 유입량을 적절히 조절하면 된다.That is, when there is a lot of dust in the work booth 110, the slide door 141 is moved to match the through hole 143 and the dust inlet 140 to maximize the air inflow amount of the dust collecting booth 120, When there is little dust in the work booth 110, the through-hole 143 of the slide door 141 may be moved in a direction that deviates from the dust inlet 140, so that the air inflow amount of the dust collecting booth 120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 도어(141)는 좌,우 방향에 한하여 슬라이딩하는 방식을 채택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 음은 물론이다.Here, the slide door 141 is a sliding metho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ut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of course, can also be moved in the up, down direction.

또한, 상기 배기실(122)의 상부에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1 배기구(123)와, 상기 제1 배기구(123)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일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공급로(130)로 배출되는 제2 배기구(124)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portion of the first exhaust port 123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exhaust chamber 122 and a part of air is discharged to the air supply path 130 in the process of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exhaust port 123. A second exhaust port 124 is formed.

상기 제1 배기구(123)는 배기실(122)의 상면에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배기구(124)는 집진부스(120)의 전면 상부에 형성되되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배치된다(도 4 참조).The first exhaust port 123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iz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xhaust chamber 122, the second exhaust port 124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booth 120, a plurality of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ee FIG. 4).

한편, 상기 배기팬(200)은 배기실(122) 내에 설치되어 상기 작업부스(110) 내의 공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제1 배기구(123) 및 제2 배기구(124)로 배출시키는 송풍역할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exhaust fan 200 is installed in the exhaust chamber 122 to perform the air blowing role to suck the air in the work booth 110 and to discharge the first exhaust port 123 and the second exhaust port 124. do.

또한, 상기 필터(300)는 내경이 관통된 중공의 형상이며, 상기 분진유입구(14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와 분진의 혼합물 중에서 분진은 포집하고 공기는 통과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filter 300 has a hollow shape through which the inner diameter penetrates, and collects dust and passes air from the mixture of air and dust introduced from the dust inlet 140.

특히, 상기 필터(300)의 중공 입구는 집진부스(120)에 형성되는 분진유입구(140)와 대향되게 설치된다.In particular, the hollow inlet of the filter 300 is installed to face the dust inlet 140 formed in the dust collecting booth (120).

이러한 구성에 따라,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분진이 필터(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어, 유로저항의 저감에 따른 집진효율의 향상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dust introduced with the air can naturally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ter 300,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improving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by reducing the flow path resistance.

또한, 필터링 시간이 길게 유지되므로 분진의 포집 효율성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미세분진까지도 포집하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ltering time is maintained for a long time, the collection efficiency of dust is increased, and the effect of collecting even fine dust can be obtained.

아울러, 상기 필터는 집진실(121) 내에 복수개로 설치되되 그 중공의 단면 형상은 세장형(細長型)으로 이루어진다(도 4 참조).In addition, the filter is provided in plurality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1, the hollow cross-sectional shape is made of an elongate shape (see Fig. 4).

즉, 세장형의 형태로 이루어진 필터(300)는 분진을 포집할 수 있는 용량(즉, 여과면적)이 크게 늘어남에 따라 포집 효율성이 배가된다.That is, the filter 300 having an elongate shape has a double collection efficiency as the capacity for collecting dust (that is, the filtration area) is greatly increased.

또한, 이웃하는 필터(300)들 사이의 간격을 한 방향으로만 유지하면 되기 때문에, 정면에서 바라볼 때 종래기술에 비해 현저하게 큰 여과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istance between neighboring filters 300 only needs to be maintained in one direc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a significantly larger filtration area than the prior art when viewed from the front.

상기 필터(300)의 중공의 길이방향은 집진실(121)의 바닥 설치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할 공기분사수단(400)을 통해 필터(300)에 포집된 분진이 떨어지는 과정에서 다른 필터(300)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hollow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ter 300 is preferably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bottom mounting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1. This is to minimize the inflow to the other filter 300 in the process of the dust collected in the filter 300 through the air injection means 400 to be described later.

물론, 상기 필터(30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수평 또는 사선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filter 300 may be installed in a horizontal or oblique direction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또한, 상기 필터(300)의 선단면은 분진유입구(140)와 접하는 상태로 설치하여 분진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filter 300 is preferably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dust inlet 140 to be able to quickly process the dust.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분사수단(400)은 상기 필터(300)에 대하여 공기를 역분사시켜 그 내,외경에 붙어있는 분진을 제거하는 것으로, 압축된 공기를 저장하는 에어탱크(410)와, 상기 에어탱크(410) 내의 공기를 필터(300)로 공급하는 공기공급관(420)과, 상기 공기공급관(420) 내의 압력을 조절하는 공압조절밸브(430)와, 상기 공기공급관(420)으로부터 필터(300)의 중공 내로 돌 출되는 공기분사노즐(440)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6, the air spraying means 400 by spraying the air back to the filter 300 to remove the dust attached to the inner, outer diameter, the air to store the compressed air A tank 410, an air supply pipe 420 for supplying air in the air tank 410 to the filter 300, a pneumatic control valve 430 for adjusting the pressure in the air supply pipe 420, and the air It consists of an air spray nozzle 440 protruding from the supply pipe 420 into the hollow of the filter 300.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분사수단(400)은 배기팬(200)과 필터(300) 사이에 설치하되, 상기 에어탱크(410)는 집진실(121)의 외측 상부에 배치되고, 공기공급관(420)의 일단은 상기 에어탱크(4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필터(300)의 중공을 향하도록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공압조절밸브(430)는 상기 공기공급관(420)의 일단측에 설치되어 공기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상기 공기분사노즐(440)은 공기공급관(420)으로부터 필터(300)의 중공 내부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air injection means 400 is installed between the exhaust fan 200 and the filter 300, the air tank 410 is disposed on the outer upper portion of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21, the air supply pipe 420 One end is connected to the air tank 410 and the other end has a shape bent to the hollow of the filter 300, the pneumatic control valve 430 is installed on one end of the air supply pipe 420 The pressure of the air is kept constant, and the air injection nozzle 440 is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air supply pipe 420 into the hollow interior of the filter 300.

상기 공기분사노즐(440)의 둘레에는 다수개의 분사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공기분사노즐(440)이 필터(300)의 길이방향 전체에 균일한 압력의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필터(300)의 중공 내면이나 외면에 부착된 분진을 보다 효과적으로 털어낼 수 있게 된다.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not shown) are formed around the air injection nozzle 440. In such a configuration, the air spray nozzle 440 sprays air of a uniform pressure throughou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ter 300 to more effectively shake off the dust attached to the hollow inner surface or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300. do.

상기 공기분사수단(400)은 집진기의 작동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필터(300)에 쌓인 분진을 제거하거나, 별도의 타이머수단(미도시)을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집진기가 작동하는 상태에서도 소정의 시간을 두고 반복적으로 필터(300)에 쌓인 분진을 제거하는 등 필요에 따라 적절히 사용될 수 있다.The air spraying unit 400 removes dust accumulated in the filter 300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or is stopped, or installs a separate timer means (not shown) for a predetermined time even when the dust collector is in operation. It may be appropriately used as necessary, such as repeatedly removing the dust accumulated in the filter 300.

한편, 상기 집진부스(120) 내의 바닥면에는 필터(300)로부터 낙하하여 쌓인 분진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는 서랍방식의 받침통(150)이 설치되는 것이 좋다.On the other hand, the bottom surface in the dust collecting booth 120, it is preferable that the drawer type receiving container 150 that can easily collect the dust accumulated by falling from the filter 300 is installed.

또한, 상기 부스본체(120)의 바닥면에는 이동이 용이한 바퀴(160)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wheel 160, which is easy to move,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oth body 120.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스형 집진기(1000)의 작동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booth type dust collector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먼저, 작업할 물품을 가지고 작업부스(110) 내로 들어간 작업자는 전원을 인가하여 배기팬(200)을 작동시킨다.First, the worker who enters into the booth 110 with the article to be operated to apply the power to operate the exhaust fan 200.

상기 배기팬(200)은 작업부스(110) 내의 공기를 집진부스(120)로 유입시키고, 유입된 공기를 다시 제1 배기구(123) 및 제2 배기구(214)로 배출시킨다.The exhaust fan 200 introduces air in the work booth 110 into the dust collecting booth 120 and discharges the introduced air to the first exhaust port 123 and the second exhaust port 214.

따라서, 작업자가 작업물품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분진이 발생되면 이 분진은 공기와 함께 분진유입구(140)로 유입됨과 동시에 필터(300)를 통과하게 된다.Therefore, when dust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the worker processing the workpiece, the dust is introduced into the dust inlet 140 together with air and simultaneously passes through the filter 300.

이 과정에서, 공기는 배기실(122)로 이동하게 되고, 분진은 공기와 함께 이동하는 과정에서 필터(300)에 의해 포집된다.In this process, the air moves to the exhaust chamber 122, and the dust is collected by the filter 300 in the process of moving with the air.

이어서, 상기 필터(300)에 의해 분진으로부터 분리된 공기는 상승하여 배기팬(200)을 지나고, 이 공기는 상기 제1 배기구(123)와 제2 배기구(124)를 통해 배출된다.Subsequently, the air separated from the dust by the filter 300 rises and passes through the exhaust fan 200, which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exhaust port 123 and the second exhaust port 124.

구체적으로, 상기 배기팬(200)을 통과하는 대부분의 공기는 제1 배기구(123)로 배출되고, 나머지 일부의 공기만이 제2 배기구(124)로 배출된다. In detail, most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xhaust fan 200 is discharged to the first exhaust port 123, and only a part of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second exhaust port 124.

상기 제1 배기구(123)로 배출되는 공기는 집진기 후드(H)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제2 배기구(124)로 배출되는 공기는 공기공급로(130)의 관통공(131)을 통해 다시 작업부스(110)로 배출된다.The air discharged to the first exhaust port 123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ust collector hood (H), the air discharged to the second exhaust port 124 through the through hole 131 of the air supply path 130. It is discharged to the work booth 110 again.

또한, 상기 집진기 후드(H)에는 기계식 또는 전동식 댐퍼가 구비되어, 제1 배기구(123)와 제2 배기구(124)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하게 된다.In addition, the dust collector hood (H) is provided with a mechanical or electric damper to control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to the first exhaust port 123 and the second exhaust port (124).

본 발명에 따른 부스형 집진기(1000)는 상기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진행시키면서 분진을 포집하게 된다.The booth type dust collector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dust while repeatedly performing the above process.

더욱이, 상기 분진유입구(140)에는 슬라이드 도어(141)가 설치됨에 따라 집진부스(120)가 유입하는 공기의 유입량을 적절히 조작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the slide door 141 is installed at the dust inlet 140, the dust collecting booth 120 may properly operate the inflow amount of air introduced therein.

한편, 부스형 집진기(1000)의 작동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필터(300)에 포집된 분진을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슬라이드 도어(141)를 이동시켜 상기 분진유입구(140)를 폐쇄시킨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ust collected in the filter 300 is to be removed while the operation of the booth dust collector 1000 is stopped, the slide inlet 141 is first moved to close the dust inlet 140.

그 다음, 공기분사수단(400)을 작동시키는 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면, 에어탱크(410) 내에 충진된 고압의 공기가 공기공급관(420)으로 공급되고 상기 공기공급관(420)으로 공급된 공기는 공기분사노즐(440)을 거쳐 필터(300)로 분사되게 된다.Then, when operating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air injection means 400, the high-pressure air filled in the air tank 410 is supplied to the air supply pipe 420, the air supplied to the air supply pipe 420 is air The injection nozzle 440 is injected into the filter 300.

이렇게 상기 공기분사노즐(440)로부터 분사된 고압의 공기는 필터(300)에 포집된 분진을 털어내게 내고 상기 필터(300)로부터 낙하하는 분진은 집진부스(120)의 바닥면에 설치된 수납통(150)으로 쌓이게 된다.The high-pressure air injected from the air spray nozzle 440 removes dust collected in the filter 300, and the dust falling from the filter 300 is provided in a storage box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booth 120. 150).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부스형 집진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ooth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스형 집진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Figure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ooth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스형 집진기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ooth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2의 집진부스를 정면에서 바라본 종단면도이다.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ust collecting booth of FIG. 2 viewed from the front.

도 5는 도 2의 슬라이드 도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5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lide door of FIG. 2.

도 6은 도 2의 공기분사수단의 구성과 배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arrangement of the air injection means of FIG.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스형 집진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booth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부스본체 110 : 작업부스100: booth body 110: work booth

120 : 집진부스 120 : 공기공급로120: dust collecting booth 120: air supply passage

140 : 분진유입구 141 : 슬라이드 도어140: dust inlet 141: slide door

200 : 배기팬 300 : 필터200: exhaust fan 300: filter

400 : 공기분사수단400: air injection means

Claims (11)

작업부스와 집진부스로 구획된 부스본체,Booth main body divided into work booth and dust collection booth, 상기 집진부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작업부스 내의 공기를 유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팬,An exhaust fan installed in the dust collecting booth and configured to introduce air in the work booth and discharge the air to the outside; 상기 집진부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배기팬에 의해 유입된 공기중에 포함된 분진을 포집하는 중공의 필터,A hollow filter installed in the dust collecting booth and collecting dust contained in the air introduced by the exhaust fan; 상기 필터에 대하여 공기를 역분사하는 공기분사수단 및,Air spraying means for back spraying air to the filter;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의 일부를 작업부스로 유통시키는 공기공급로를 포함하며,It includes an air supply passage for circulating a portion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to the work booth, 상기 필터의 중공 입구는 집진부스에 형성되는 분진유입구와 대향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형 집진기.Booth type dust coll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low inlet of the filter is installed to face the dust inlet formed in the dust collecting booth.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필터는 중공은 세장형(細長型)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형 집진기 The filter is a booth dust coll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low is made of an elongate (細長 型)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필터의 중공 입구는 분진유입구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형 집진기.The hollow inlet of the filter is a booth dust coll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with the dust inlet.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분진유입구의 형태는 필터의 중공과 동일하며, 그 크기는 상기 필터의 중공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형 집진기.The shape of the dust inlet is the same as the hollow of the filter, the size of the booth dust collec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smaller or equal to the hollow of the filter.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집진부스에는 분진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임의로 조절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된 슬라이드 도어가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도어는 집진부스의 전면과 연결되는 레일공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관통공이 분진유입구와 연통되거나 어긋남에 따라 공기의 유입량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형 집진기.The dust collecting booth is provided with a slide door formed with a through hole for arbitrarily adjusting the amount of air flowing into the dust inlet, the slide door is the dust inlet in the process of moving along the rail hole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dust collecting booth Booth type dust coll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low of the air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or shift.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공기공급로의 바닥면에는 그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작업부스로 배출시키는 배출공이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형 집진기.Booth type dust collec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supply passage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for discharg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work booth.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공기분사수단은,The air injection means, 압축된 공기를 저장하는 에어탱크,Air tank to store compressed air, 상기 에어탱크 내의 공기를 필터로 공급하는 공기공급관,An air supply pipe for supplying air in the air tank to a filter, 상기 공기공급관의 압력을 조절하는 공압조절밸브,Pneumatic control valve for adjusting the pressure of the air supply pipe, 상기 공기공급관으로부터 필터의 중공 내로 돌출되는 공기분사노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형 집진기.Booth type dust collecto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n air injection nozzle protruding from the air supply pipe into the hollow of the filter.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공기분사노즐은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형 집진기.The air spray nozzle is a booth type dust collec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plurality.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집진부스 내의 바닥면에는 필터로부터 낙하하여 쌓인 분진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는 서랍방식의 받침통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형 집진기.Booth type dust coll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dust collection booth is provided with a drawer-type receiving tube that can easily collect the dust accumulated by falling from the filter.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부스본체의 바닥면에는 이동이 용이한 바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형 집진기.Booth type dust coll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easy to move the wheel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oth body.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작업부스의 개방된 전면에는 그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막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형 집진기.Booth type dust coll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blocking film is installed on the open front of the work booth to block the air inside thereof is lost to the outside.
KR1020080062356A 2008-06-30 2008-06-30 Booth Type Dust Collector KR1009928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356A KR100992841B1 (en) 2008-06-30 2008-06-30 Booth Type Dust Coll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356A KR100992841B1 (en) 2008-06-30 2008-06-30 Booth Type Dust Coll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452A true KR20100002452A (en) 2010-01-07
KR100992841B1 KR100992841B1 (en) 2010-11-09

Family

ID=41812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2356A KR100992841B1 (en) 2008-06-30 2008-06-30 Booth Type Dust Coll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2841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22640A (en) * 2016-12-14 2017-02-22 温州兴南环保科技有限公司 Coal yard dust removal environment protection equipment
CN111132745A (en) * 2017-09-25 2020-05-08 新东工业株式会社 Pulse jet dust collector
KR20210063019A (en) * 2019-11-22 2021-06-01 정우성 Booth type dusttrap equipped with ceramic filter module
CN113894659A (en) * 2021-10-11 2022-01-07 北京好运达智创科技有限公司 Centre form clearance control system of polish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2880B1 (en) * 2014-09-03 2016-04-18 (주)와이에이치비 Hybrid Collec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266B1 (en) * 2003-05-21 2005-04-20 주식회사 우양이엔지 a booth type dust collector
KR100620071B1 (en) * 2004-07-13 2006-09-08 김경인 Dust collecto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22640A (en) * 2016-12-14 2017-02-22 温州兴南环保科技有限公司 Coal yard dust removal environment protection equipment
CN111132745A (en) * 2017-09-25 2020-05-08 新东工业株式会社 Pulse jet dust collector
CN111132745B (en) * 2017-09-25 2021-12-03 新东工业株式会社 Pulse jet dust collector
KR20210063019A (en) * 2019-11-22 2021-06-01 정우성 Booth type dusttrap equipped with ceramic filter module
CN113894659A (en) * 2021-10-11 2022-01-07 北京好运达智创科技有限公司 Centre form clearance control system of polish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2841B1 (en) 2010-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5115B1 (en) Bagfilter Dust Collector Equiped with Highly Efficient Filter-Cleaning Device and Operation Procedure of the Same
KR100992841B1 (en) Booth Type Dust Collector
CN100512925C (en) Dust filtering worktable
KR101390969B1 (en) Indoor temperature reduction device
CN208132195U (en) A kind of dust cleaning apparatus of laser cutting machine tool
CN104394959A (en) Wet type dust collector for air purifying
KR101609512B1 (en) Wet Scrubber
CN103041945A (en) Paint room with paint production waste gas treatment system, and paint production waste gas treatment method
CN103691612A (en) Water screen type spray room
KR20140114119A (en) Purifier of harmful gases for a laboratory equipment
KR20140142979A (en) Air blow apparatus having nozzle for dust collector
CN203030455U (en) Paint room with painting waste gas treatment system
CN204601893U (en) Welding dust arrester
KR101960890B1 (en) Cool dewing filter apparatus for white smoke and smog eliminating apparatus
KR101867848B1 (en) White smoke and smog eliminating apparatus
KR101918000B1 (en) Dust collecting equipment
KR101862147B1 (en) Dust collecting equipment
CN213912977U (en) Air purification equipment
CN111432852A (en) Air purifier device
CN210994945U (en) Adsorption type environment-friendly paint spraying cabinet
KR101857158B1 (en) White smoke eliminating apparatus
KR101633498B1 (en) Anion generating air purifier
CN206660863U (en) Electric automatization dust arrester
CN203108368U (en) Waste gas treatment device
CN104492217A (en) Dust collec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