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2065U - 휴대폰 충전기용 소켓을 갖는 조명용 프레임 액자 - Google Patents

휴대폰 충전기용 소켓을 갖는 조명용 프레임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2065U
KR20100002065U KR2020080010984U KR20080010984U KR20100002065U KR 20100002065 U KR20100002065 U KR 20100002065U KR 2020080010984 U KR2020080010984 U KR 2020080010984U KR 20080010984 U KR20080010984 U KR 20080010984U KR 20100002065 U KR20100002065 U KR 201000020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ear cover
mobile phone
socket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09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소이
Original Assignee
홍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소이 filed Critical 홍소이
Priority to KR20200800109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2065U/ko
Publication of KR201000020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06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A47G1/0622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with illum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24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F21V33/0028Decorative household equipment, e.g. plant holders or food dummies
    • F21V33/0032Paintings, pictures or photographs; Fram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용 소켓을 갖는 조명용 프레임 액자는 사진(30)이 수용되는 수용부(11)가 중앙에 형성된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에 형성된 수용부(11)에 설치되는 투명 보호판(20); 상기 프레임(10)의 배면에 설치된 후방커버(70); 상기 후방커버(70)의 일측에 설치되고, 기판(61)의 표면에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의 LED(62)가 설치되며, 상기 LED(62)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휴대폰 충전기(90)의 플러그(9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소켓(63)이 마련된 조명부(60); 상기 후방커버(70)에 부착되고 표면에는 조명부(60)에서 발생된 빛을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패턴(41)이 형성된 도광판(40); 상기 도광판(40)의 배면 및 둘레면에 설치된 반사시트(50); 상기 후방커버(70)에 경첩(81)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판(82)과, 상기 지지판(82)과 후방커버(70)의 사이에 결합된 고정끈(83)으로 이루어진 지지수단(80); 상기 조명부(60)의 LED(62)를 선택적으로 점등/소등 시키도록 프레임(10)의 일측에 설치된 스위치(10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액자, 조명, LED, 휴대폰, 충전기, 소켓, 플러그

Description

휴대폰 충전기용 소켓을 갖는 조명용 프레임 액자{frame type picture frame for lighting having the hand phone charging socket}
본 고안은 휴대폰 충전기용 소켓을 갖는 조명용 프레임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 충전기용 소켓을 통하여 액자에 내장된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휴대폰 충전기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 충전기용 소켓을 갖는 조명용 프레임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진을 책상 등에 올려놓고자 할 때에는 소형 프레임 액자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소형 프레임 액자는 중앙부에 사진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된 프레임이 마련되어 있고, 그 프레임의 전면에는 투명 보호판이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는 액자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가 마련된 커버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투명 보호판과 커버의 사이에 사진을 내장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프레임 액자는 주간 또는 별도의 조명이 제공될 경우에는 프레임 액자에 내장된 사진을 확인할 수는 있지만 야간 및 조명이 제공되지 않는 실내에서는 프레임 액자에 보관된 사진을 확인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 었으며, 이와 같이 조명이 제공되지 않는 실내에서 프레임 액자에 보관된 사진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조명을 반드시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정보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휴대폰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휴대폰에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를 구비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휴대폰의 형상과 모양에 무관하게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충전기의 단자(소켓 및 플러그) 형상이 동일하게 제조되고 있으나, 상기 휴대폰용 충전기는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능 이외에는 어떠한 기능도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프레임 액자의 내부에 조명수단을 내장하고 그 조명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에 휴대폰 충전기의 플러그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시선유도효과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휴대폰용 충전기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폰 충전기용 소켓을 갖는 조명용 프레임 액자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용 소켓을 갖는 조명용 프레임 액자는 사진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중앙에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수용부에 설치되 는 투명 보호판;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설치된 후방커버; 상기 후방커버의 일측에 설치되고, 기판의 표면에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의 LED가 설치되며, 상기 LED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휴대폰 충전기의 플러그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소켓이 마련된 조명부; 상기 후방커버에 부착되고 표면에는 조명부에서 발생된 빛을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패턴이 형성된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배면 및 둘레면에 설치된 반사시트; 상기 후방커버에 경첩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과 후방커버의 사이에 결합된 고정끈으로 이루어진 지지수단; 상기 조명부의 LED를 선택적으로 점등/소등 시키도록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된 스위치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프레임 액자에 내장된 조명수단에서 발생되는 빛이 사진의 표면으로 조사되어 사진을 효과적으로 진열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휴대폰 충전기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게 되므로 상기 휴대폰 충전기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을 나타낸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액자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액자를 나타낸 결합 상태 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액자를 나타낸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프레임(10)의 중앙에는 사진(30)이 수용되는 수용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11)에는 투명 보호판(20)이 설치되어 있되, 그 투명 보호판(20)의 재질은 유리 또는 합성수지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는 도광판(40)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투명 보호판(20)과 도광판(40)의 사이에는 사진(30)이 끼워지는 것이다.
한편, 도광판(40)의 배면 및 둘레면에는 이후에 설명할 조명부(60)의 LED(62)에서 발생되는 빛을 전면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시트(50)가 마련되어 있되, 상기 LED(62)에 근접되게 설치되는 도광판(40)의 둘레면에는 반사시트(50)를 설치하지 않는 것이다.
상기 도광판(40)의 표면에는 빛을 균일하게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패턴이 마련되어 있되, 상기 확산패턴은 도광판(40)의 전면 또는 배면 중 어느 일면에 형성하거나 전면과 배면에 동시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의 배면에는 도광판(40)이 부착되는 후방커버(70)가 설치되어 있되, 그 후방커버(70)의 배면에는 본 고안의 프레임 액자를 세워진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수단(8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수단(8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커버(70)에 경첩(81)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판(82)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판(82)과 후방커버(70)의 사이에는 고정끈(83)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커버(70)의 표면 일측에는 도광판(40)의 측면으로 빛을 조 사할 수 있도록 조명부(60)가 설치되어 있되, 그 조명부(60)는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의 LED(62)가 설치되는 기판(6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기판(61)에는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소켓(6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소켓(63)은 휴대폰 충전기(90)에 설치된 플러그(91)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소켓(63)은 후방커버(70)에 형성된 소켓홈(71)에 끼워져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10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는 근접센서(110)를 더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투명 보호판(20)의 배면에 사진(30)을 끼우고 후방커버(70)를 프레임(10)에 설치하면, 상기 프레임(10)에 부착된 도광판(40)은 사진(30)에 긴밀히 접촉되면서 상기 사진(3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후방커버(70)에 설치된 지지수단을 이용하여 프레임 액자를 책상 등의 상부에 소정각도 유지되게 올려놓는 것이다.
또한 사진(30)을 교환하고자 할 때에는 후방커버(70) 및 도광판(40)을 분리한 후 사진을 교환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후방커버(70)의 소켓홈(71)에 끼워진 소켓(63)에 휴대폰 충전기(90)의 플러그(91)를 끼우면 휴대폰 충전기(90)의 플러그(91)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며, 이때 스위치(100)를 온 상태로 절환하면 조명부(60)에 설치된 LED(62)가 점등되어 빛이 발생되고 그 LED(62)에서 발생되는 빛은 도광판(40)의 측 면으로 조사되는 것이며, 그 빛은 도광판(40)의 배면 및 둘레면에 설치된 반사시트(50)에 의해서 반사되므로 도광판(40)의 전면으로 반사된다.
상기와 같이 도광판(40)의 전면으로 반사되는 빛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도광판(40)의 표면(전면과 배면 또는 어느 일면)에 확산패턴(4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산패턴(41)은 실크인쇄방식으로 형성하거나 요입홈 또는 장홈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LED(62)에서 발생된 빛은 확산패턴(41)에 의해서 도광판(40)의 전체면으로 균일하게 조사되므로 도광판(40)의 조도가 균일하게 유지되어 사진(30)의 배면을 조명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조명부(60)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LED(62)는 동일한 색상으로 설치할 수도 있지만, 다양한 색상의 빛을 조명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색상을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에는 상기 조명부(60)에 각 LED(62)의 점등/소등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20)을 더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프레임 액자에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기판(61)에 별도의 출력단자(130)를 설치하고, 그 출력단자(130)는 프레임(10)의 일측으로 노출되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의 프레임 액자를 거울로 사용할 수 있도록 투명 보호판(20)의 표면(전면 또는 배면)에 거울시트(도면 미도시)를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거울시트는 프레임 액자에 내장된 LED(62)가 소등된 상태에서는 투명 보호판(20)이 거울로 사용되고, LED(62)가 점등된 상태에서는 사진(30)을 확인할 수 있도록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거울용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근접센서(110)를 설치한 경우에는 근접센서(100)가 동작되면 LED(62)가 점등되고 일정시간 지연된 후 LED(62)가 소등되게 제어수단(120)에서 제어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액자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액자를 나타낸 결합 상태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액자를 나타낸 사용상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11 : 수용부
20 : 투명 보호판 30 : 사진
40 : 도광판 41 : 확산패턴
50 : 반사시트 60 : 조명부
61 : 기판 62 : LED
63 : 소켓 70 : 후방커버
80 : 지지수단 81 : 경첩
82 : 지지판 83 : 고정끈
90 : 휴대폰 충전기 91 : 플러그
100 : 스위치 110 : 근접센서
130 : 출력단자

Claims (3)

  1. 사진(30)이 수용되는 수용부(11)가 중앙에 형성된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에 형성된 수용부(11)에 설치되는 투명 보호판(20);
    상기 프레임(10)의 배면에 양면테이프(20)를 매개로 부착되는 후방커버(70);
    상기 후방커버(70)의 일측에 설치되고, 기판(61)의 표면에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의 LED(62)가 설치되며, 상기 LED(62)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휴대폰 충전기(90)의 플러그(9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소켓(63)이 마련된 조명부(60);
    상기 후방커버(70)에 부착되고 표면에는 조명부(60)에서 발생된 빛을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패턴(41)이 형성된 도광판(40);
    상기 도광판(40)의 배면 및 둘레면에 설치된 반사시트(50);
    상기 후방커버(70)에 경첩(81)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판(82)과, 상기 지지판(82)과 후방커버(70)의 사이에 결합된 고정끈(83)으로 이루어진 지지수단(80);
    상기 조명부(60)의 LED(62)를 선택적으로 점등/소등 시키도록 프레임(10)의 일측에 설치된 스위치(10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용 소켓을 갖는 조명용 프레임 액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는 근접센서(110)가 내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용 소켓을 갖는 조명용 프레임 액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60)의 기판(61)에는 휴대폰을 충전할 수 있도록 출력단자(130)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용 소켓을 갖는 조명용 프레임 액자.
KR2020080010984U 2008-08-18 2008-08-18 휴대폰 충전기용 소켓을 갖는 조명용 프레임 액자 KR2010000206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984U KR20100002065U (ko) 2008-08-18 2008-08-18 휴대폰 충전기용 소켓을 갖는 조명용 프레임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984U KR20100002065U (ko) 2008-08-18 2008-08-18 휴대폰 충전기용 소켓을 갖는 조명용 프레임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065U true KR20100002065U (ko) 2010-02-26

Family

ID=44197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0984U KR20100002065U (ko) 2008-08-18 2008-08-18 휴대폰 충전기용 소켓을 갖는 조명용 프레임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206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025B1 (ko) * 2013-03-06 2013-07-17 (주)지맥 액자형 광고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025B1 (ko) * 2013-03-06 2013-07-17 (주)지맥 액자형 광고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5946B2 (en) Illumination device
US9593842B2 (en) Illumination device
US9464796B2 (en) Illumination device
US9086610B2 (en) Illumination device
US20130301235A1 (en) Integrated Lighting Accessory and Case for a Tablet Computing Device
AU2016203825B2 (en) Illumination Device
JP2010182660A (ja) Ledスタンド
US20040226209A1 (en) Picture frame with integrated lighting
KR200387303Y1 (ko) 휴대폰 충전용 단자를 갖는 조명액자
US20050174756A1 (en) Illuminating assemblies with mirrors
CN210291721U (zh) 基于玻璃投影片的汽车动态图像投影灯具
CN207635081U (zh) 一种镜面灯具
KR20100002065U (ko) 휴대폰 충전기용 소켓을 갖는 조명용 프레임 액자
KR20100002066U (ko) 휴대폰 충전기용 소켓을 갖는 조명용 와이어 액자
KR20130069057A (ko) 조명등 노브 스위치
JP4796203B1 (ja) 着脱可能な環状照明器具
CN207132273U (zh) 配光元件、光学元件、光源模组和照明装置
CN202033566U (zh) 辅助照明装置和具有辅助照明功能的网络摄像头装置
CN107477519A (zh) 配光元件、光学元件、光源模组和照明装置
KR20170019028A (ko) 거울기능을 갖춘 휴대용 단말기와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CN218483959U (zh) 一种带补光的便携化妆镜
CN220707403U (zh) 电弧打火机
CN217482579U (zh) 一种护眼灯具
TWI413039B (zh) 自身攜帶照明裝置的電子書
CN215722810U (zh) 一种教室面板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