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1753U - Container for keeping ginseng - Google Patents

Container for keeping ginse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1753U
KR20100001753U KR2020080010608U KR20080010608U KR20100001753U KR 20100001753 U KR20100001753 U KR 20100001753U KR 2020080010608 U KR2020080010608 U KR 2020080010608U KR 20080010608 U KR20080010608 U KR 20080010608U KR 20100001753 U KR20100001753 U KR 201000017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ntainer
stopper
fixing
ginse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060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상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to KR20200800106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1753U/en
Publication of KR201000017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753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4Dis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삼 저장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 수용 공간을 가지며 상측에 개구가 구비되는 통 형상의 용기; 용기의 개구 내벽면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끼워져 개구를 막는 제1 마개; 제1 마개 상측을 막도록 개구의 고정홈 상측에 형성되는 경사 측벽면에 끼워지며, 상측에 손잡이 돌기부가 돌출 형성되는 제2 마개: 및 용기의 개구를 덮으며 개구 외벽면에 결합시, 제2 마개의 손잡이 돌기부 상단을 가압하도록 내측에 가압 돌기부가 돌출 형성되는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좀더 효과적으로 내부 분말 또는 농축액 상태의 인삼을 담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for storing ginseng, comprising: a tubular container having an inner receiving space and having an opening at an upper side thereof; A first stopper inserted into a fixing groove formed in the inner wall of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to close the opening; A second stopper fitted to an inclined sidewall surface formed above the fixing groove of the opening to block the top of the first stopper, the second stopper having a handle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side thereof; and a second cover covering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and joined to the outer wall of the opening; Comprising the cap is configured to include a lid protruding the pressing protrusion on the inner side to press the upper end of the handle protrusion, has the effect of storing the ginseng in the powder or concentrate state more effectively.

인삼, 저장 용기, 마개, 뚜껑 Ginseng, Storage Container, Stopper, Lid

Description

인삼 저장용 용기{CONTAINER FOR KEEPING GINSENG}Ginseng Storage Containers {CONTAINER FOR KEEPING GINSENG}

본 고안은 인삼 저장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인삼을 분말 또는 농축액 상태로 담아 보관하기 위한 인삼 저장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inseng storage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ginseng storage container for storing the ginseng in powder or concentrate.

주지된 바와 같이, 인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그 유효성분을 중심으로 약리 효능이 임상학적으로 입증됨에 따라 인삼의 소비가 점차 증가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As is well known, ginseng consumption is gradually increasing as research on ginseng is actively progressed and pharmacological efficacy is clinically proved around the active ingredient.

한편, 인삼을 분말 또는 농축액 상태로 담아 보관하면서 장기간 복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인삼 저장용 용기들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On the other hand, ginseng storage containers that can be taken for a long time while storing the ginseng in powder or concentrate state is required.

특히, 인삼 저장용 용기들은 분말 또는 농축액 상태의 인삼을 담아 보관하기 위해서는 기밀성이 요구되어야 한다. In particular, ginseng storage containers must be airtight in order to store the ginseng in powder or concentrate form.

또한, 분말 또는 농축액 상태의 인삼을 복용하기 위해 인삼 저장용 용기로부터 인출하는 과정에서 고가 분말 또는 농축액 상태의 인삼을 흘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요구되어야 한다. In addition, in order to take ginseng in powdered or concentrated form, it should be required to prevent the flow of expensive powder or concentrated ginseng in the process of withdrawing from the ginseng storage container.

본 고안은 용기 내부의 수용공간을 밀폐시켜 분말 또는 농축액 상태의 인삼을 효과적으로 담아 보관할 수 있고, 용기 외부로 인출시 흘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인삼 저장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inseng storage container capable of effectively storing ginseng in a powder or concentrated state by sealing an accommodating space inside the container and preventing spillage when withdrawing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인삼 저장용 용기는, 내부 수용 공간을 가지며 상측에 개구가 구비되는 통 형상의 용기; 용기의 개구 내벽면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끼워져 개구를 막는 제1 마개; 제1 마개 상측을 막도록 개구의 고정홈 상측에 형성되는 경사 측벽면에 끼워지며, 상측에 손잡이 돌기부가 돌출 형성되는 제2 마개: 및 용기의 개구를 덮으며 개구 외벽면에 결합시, 제2 마개의 손잡이 돌기부 상단을 가압하도록 내측에 가압 돌기부가 돌출 형성되는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Ginseng storag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ontainer having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inner receiving space and an opening on the upper side; A first stopper inserted into a fixing groove formed in the inner wall of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to close the opening; A second stopper fitted to an inclined sidewall surface formed above the fixing groove of the opening to block the top of the first stopper, the second stopper having a handle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side thereof; and a second cover covering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and joined to the outer wall of the opening;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id protruding the pressing projection on the inner side to press the upper end of the handle projection of the stopper.

제1 마개는, 고정홈에 끼워지는 고정 돌기가 상측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테두리부; 테두리부의 하부 바닥면을 막는 고정판부; 및 고정판부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되어, 분리시 고정판부의 일부를 개방시키는 분리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stopper may include an edge portion having a fixing protrusion fitted into the fixing groove along an upper end edge; Fixing plate portion blocking the bottom bottom surface of the rim; And a separation plate part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fixing plate part to open a part of the fixing plate part during separation.

고정판부은 분리판부가 형성되는 부분의 타 일측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fixing plate part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at the other side of the portion where the separating plate part is formed.

분리판부의 상측에는 고정판부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개방 고리가 연장 형 성될 수 있다.  On the upper side of the separation plate portion may be formed an open ring for separating from the fixed plate portion.

제2 마개는, 경사 측벽면에 끼워지는 경사 고정부; 경사 고정부 상측 가장자리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용기의 개구 상측 단부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 돌기부; 및 경사 고정부의 상면 중심부에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stopper may include an inclined fixing part fitted to the inclined side wall surface; A lock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upper edge of the inclined fixing part and to be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And a handle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clined fixing portion.

경사 고정부의 경사면 상에는 경사 측벽면과의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오링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clined fixing portion, an O-ring for sealing between the inclined sidewall surface may be fitted and fixed.

경사 고정부의 바닥면이 제1 마개의 고정돌기 상에 맞닿도록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The bottom surface of the inclined fixing portion may be fitted and fixed to abut on the fixing protrusion of the first stopper.

뚜껑의 하측 단부 내벽면과 용기의 개구 외벽면이 서로 나사 결합되도록 나선이 구비될 수 있다.  The spiral may be provided so that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lid and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are screwed together.

상기한 본 고안의 인삼 저장용 용기에 따르면, 뚜껑을 닫는 과정에서 가압 돌기부가 제2 마개의 손잡이 돌기부 상단을 눌러 용기 내부의 수용공간을 밀폐시킴으로써, 좀더 효과적으로 분말 또는 농축액 상태의 인삼을 담아 기밀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the ginseng storag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essing the upper end of the handle protrusion of the second stopper in the process of closing the lid to seal the receiving space inside the container, more effectively contain the ginseng in the powder or concentrate state to be kept confidential It has the effect of making it possible.

또한, 본 고안의 인삼 저장용 용기는 제1 마개의 분리판부를 뜯어 제거한 후, 숫가락등을 이용해 인출하는 과정에서 경사지게 형성된 고정판부에 바닥을 긁어 흘림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숫가락으로부터 긁혀 고장판부에 상에 남겨진 인삼 분말 또는 농축액이 다시 개구를 통해 용기 내부로 유입될 있도록 하는 효과 를 갖는다. In addition, the ginseng storag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moved by tearing off the bottom of the fixed plate formed inclined in the process of pulling out using a spoon or the like after removing the separation plate portion of the first stopper, and also scratched from the spoon Ginseng powder or concentrate remaining on the fault plate portion has an effect to be introduced again into the container through the openin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ings and description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in nature and not restrictive.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삼 저장용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을 따라 잘라서 본 측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inseng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cut along the II-II of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인삼 저장용 용기(1)는 용기(10), 제1 마개(20), 제2 마개(30), 및 뚜껑(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container 1 for storing ginseng in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ntainer 10, a first stopper 20, a second stopper 30, and a lid 40. do.

먼저, 용기(10)는 내부에 인삼을 분말 및 농축액 상태로 담아 보관하기 위한 수용 공간(11)을 가지며, 상측 단부에는 상기 수용 공간을 개방하기 위한 개구(12)가 형성된다. First, the container 10 has an accommodating space 11 for storing ginseng in powder and concentrate state therein, and an opening 12 for opening the accommodating space is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본 실시예에서 용기(1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용기(10)의 개구(12)를 닫는 제1 마개(20), 제2 마개(30), 및 뚜껑(40) 역시 용기(1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container 10 has a cylindrical shape, and the first stopper 20, the second stopper 30, and the lid 40 which close the opening 12 of the container 10 also have the The thing which consists of a circle corresponding to a cross-sectional shape is illustrated.

그러나 본 고안의 용기(10)가 반드시 중공 원통형인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좀더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중공 통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 하다.However, the contain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 hollow cylindrical shape, it can be made of a hollow cylindrical shape having a more various cross-sectional shape is natural.

도 3은 도 2의 용기를 분리하여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tainer of FIG. 2 separately.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용기(10)의 상단 개구(12) 내벽면에는 돌기부(13)가 형성된다. 이 돌기부(13)는 분말 또는 농축액 상태의 인삼을 저장하기 위한 하부 저장 공간(11)의 단면적보다 개구(12)의 단면적이 더 작아지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3, the protrusion 13 is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upper opening 12 of the container 10. This projection 13 allow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pening 12 to be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lower storage space 11 for storing ginseng in powder or concentrate state.

돌기부(13)에는 후술하는 제1 마개(20)의 테두리부(21)의 고정 돌기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내주면을 따라 요홈지게 고정홈(14)이 형성된다. The protrusion 13 is provided with a fixing groove 14 to be recess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 of the edge portion 21 of the first stopper 20 to be described later is fitted and fixed.

고정홈(14)의 상측에는 개구(12)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개구(12) 단면적이 축소되는 경사 측벽면(15)이 형성된다. On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groove 14 is formed an inclined side wall surface 15,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pening 12 is gradually reduced from the top of the opening 12 toward the lower side.

그리고, 용기(10)의 개구 외벽면에는 뚜껑(40)이 결합되는 뚜껑 결합부(16)가 단턱지게 형성된다. And, the lid engaging portion 16 to which the lid 40 is coupled is formed stepwise on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container 10.

도 4는 도 2의 제1 마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제1 마개의 분리판부의 부착 및 분리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first plug of FIG. 2, and FIG.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ttachment and detachment state of the separator plate of the first plug.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마개(20)는 테두리부(21), 고정판부(23), 및 분리판부(24)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first stopper 20 includes an edge portion 21, a fixing plate portion 23, and a separation plate portion 24.

테두리부(21)는 대략 하부 직경이 상부 직경보다 더 작은 중공형의 원뿔대 형상을 가지며, 상측 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용기(10) 개부(12)의 고정홈(14)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 돌기(22)가 형성된다. The rim 21 has a hollow truncated conical shape having a lower diameter smaller than the upper diameter, and is fixed to the fixing groove 14 of the container 10 opening 12 along the edge of the upper end. 22) is formed.

고정판부(23)는 테두리부(21) 하부 바닥면을 막도록 형성되며, 분리판부(24)는 고정판부(23)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판부(23)의 일측을 관통하며 개구(26)를 형성한다.The fixing plate portion 23 is formed to block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edge portion 21, the separating plate portion 24 is formed integrally detachably on one side of the fixing plate portion 23 to penetrate one side of the fixing plate portion 23 And form an opening 26.

한편, 고정판부(23)은 분리판부(24)가 형성되는 부분의 타 일측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fixing plate 23 is formed to be inclined the other side of the portion where the separator plate 24 is formed.

고정판부(23)는 숫가락 등을 이용해 용기 내부에 저장된 분말 또는 농축액 상태의 인삼을 인출하는 경우 숫가락 바닥면에 묻은 분말 또는 농축액 상태의 인삼을 긁어 흘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숫가락으로부터 긁혀 고정판부 상에 남겨진 인삼 분말 또는 농축액이 다시 개구를 통해 용기 내부로 유입될 있게 한다. The fixed plate part 23 prevents the spillage of the powder or concentrated ginseng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poon when the ginseng is stored in the container using a spoon or the like. The ginseng powder or concentrate left on the fixed plate portion is allowed to flow back into the container through the opening.

그리고, 분리판부(24)의 상측에는 개방 고리(25)가 형성된다. 이 개방 고리(25)는 손으로 잡고 당겨 분리판부(24)를 고정판부(24)로부터 좀더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an open ring 25 is formed above the separator plate 24. The open ring 25 is pulled by the hand to allow the separation plate portion 24 to be more easily separated from the fixed plate portion 24.

더욱이, 개방 고리(25)를 당겨 분리판부(24)가 고정판부(23)로부터 좀더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고정판부(23)와 분리판부(24) 사이에는 두께가 감소된 절단선(26)이 형성된다. Moreover, the cutting line 26 having a reduced thickness between the fixing plate portion 23 and the separating plate portion 24 so as to pull the open ring 25 so that the separating plate portion 24 can be more easily separated from the fixing plate portion 23. Is formed.

한편, 제1 마개(20)는 용기(10)의 개구(12) 경사 측벽면(15)를 통과한 후, 고정돌기(22)가 고정홈(14)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 일례로,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fter the first stopper 20 passes through the inclined side wall surface 15 of the opening 12 of the container 10, the elastic stopper may be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 22 may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ixing groove 14. For example, the material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도 6은 도 2의 제2 마개를 분리하여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FIG.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econd plug of FIG. 2 separated.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 마개(30)는 경사 고정부(31), 걸림 돌기부(32), 및 손잡이 돌기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6, the second stopper 30 includes an inclined fixing part 31, a locking protrusion 32, and a handle protrusion 33.

경사 고정부(31)는 용기(10)의 개구(12) 경사 측벽면(15)에 측벽면이 마주하 며 쐬기 형태로 끼워지는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The inclined fixing part 31 is formed in a truncated conical shape in which the side wall faces the inclined side wall surface 15 of the opening 12 of the container 10.

그리고, 경사 고정부(31)의 측벽면 상에는 경사 측벽면(15)과의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오링(35)이 고정된다. And, on the side wall surface of the inclined fixing part 31, the O-ring 35 for sealing between the inclined side wall surface 15 is fixed.

걸림 돌기부(32)는 경사 고정부(31) 상측 가장자리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용기(10)의 개구(12) 상측 단부에 걸려 제2 마개(30)에 의해 용기(10)의 개구(12)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locking protrusion 32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inclined fixing portion 31 and is hooked to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12 of the container 10 by the second plug 30 to open the opening 12 of the container 10. To keep it closed.

그리고, 손잡이 돌기부(33)는 경사 고정부(31)의 상면 중심부로부터 상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이를 잡고 좀더 쉽게 제2 마개(30)로 용기(10)의 개구(12)를 막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handle protrusion 33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clined fixing portion 31, so as to hold or close the opening 12 of the container 10 with the second stopper 30 more easily. To help.

한편, 제2 마개(30)의 경사 고정부(31)의 바닥면 가장자리가 제1 마개(20)의 고정돌기(22) 상에 맞닿도록 형성되어, 제2 마개(30) 결합시 제1 마개(20)를 눌러 제1 마개(20)의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bottom edge of the inclined fixing part 31 of the second stopper 30 is formed to abut on the fixing protrusion 22 of the first stopper 20, the first stopper when the second stopper 30 is coupled Press 20 to maintain the engagement state of the first stopper (20).

도 7은 도 2의 뚜껑을 분리하여 도시한 측단면도이다.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d of Figure 2 removed.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뚜껑(40)은 제2 마개(30)로 막은 용기(10)의 개구(12) 상측을 덮은 후, 용기(10)의 개구(12) 외벽면에 결합되도록 하측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7, the lid 40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opening 12 of the container 10 closed by the second stopper 30, and then is lowered to engage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opening 12 of the container 10. It is made of an open cylinder.

본 실시예에서 뚜껑(40)의 하측 단부 내벽면(41)과 용기(10)의 개구(12) 외벽면(16)이 서로 나사 결합되도록 나선이 구비되는 것을 예시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lower end inner wall 41 of the lid 40 and the outer wall surface 16 of the opening 12 of the container 10 is illustrated that the spiral is provided so as to screw together.

그리고, 뚜껑(40)의 내부 상측면에는 가압 돌기부(42)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 가압 돌기부(42)는 뚜껑(40)이 용기(10)에 나선 결합되는 과정에서 제2 마개(30)의 손잡이 돌기부(33) 상단을 가압하여 좀더 완전하게 밀봉된 상태로 개구의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pressing protrusion 42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lid 40. The pressurizing protrusion 42 presses the upper end of the handle protrusion 33 of the second stopper 30 while the lid 40 is spirally coupled to the container 10 to close the opening in a more completely sealed state. To maintain.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or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scope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and the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course, this also belong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삼 저장 용기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inseng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Ⅱ-Ⅱ을 따라 잘라서 본 측단면도이다. FIG.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

도 3은 도 2의 용기를 분리하여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tainer of FIG. 2 separately.

도 4는 도 2의 제1 마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first plug of FIG. 2.

도 5는 제1 마개의 분리판부의 부착 및 분리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Fig.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state of the separator plate portion of the first plug.

도 6은 도 2의 제2 마개를 분리하여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FIG.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econd plug of FIG. 2 separated.

도 7은 도 2의 뚜껑을 분리하여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d of Figure 2 removed.

<주요 도면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Main Reference Signs>

1: 인삼 저장용 용기 10: 용기1: ginseng storage container 10: container

12: 개구 13: 돌기부12: opening 13: protrusion

14: 고정홈 15: 측벽면14: fixing groove 15: side wall surface

16: 뚜껑 결합부 20: 제1 마개16: lid coupling portion 20: first stopper

21: 테두리부 22: 고정 돌기21: edge portion 22: fixing projection

23: 고정판부 24: 분리판부23: fixing plate portion 24: separation plate portion

25: 개방 고리 26: 개구25: open ring 26: opening

30: 제2 마개 31: 경사 고정부30: second stopper 31: inclined fixing portion

32: 걸림 돌기부 33: 손잡이 돌기부32: locking projection 33: handle projection

40: 뚜껑 41: 내벽면40: lid 41: inner wall

42: 가압 돌기부42: pressing projection

Claims (8)

내부 수용 공간을 가지며 상측에 개구가 구비되는 통 형상의 용기;A cylindrical container having an inner receiving space and having an opening at an upper side thereof; 상기 용기의 개구 내벽면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끼워져 상기 개구를 막는 제1 마개;A first stopper inserted into a fixing groove formed on an inner wall of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to close the opening; 상기 제1 마개 상측을 막도록 상기 개구의 고정홈 상측에 형성되는 경사 측벽면에 끼워지며, 상측에 손잡이 돌기부가 돌출 형성되는 제2 마개: 및 A second stopper fitted to an inclined sidewall surface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fixing groove of the opening to block an upper side of the first stopper, and having a handle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and 상기 용기의 개구를 덮으며 개구 외벽면에 결합시, 상기 제2 마개의 손잡이 돌기부 상단을 가압하도록 내측에 가압 돌기부가 돌출 형성되는 뚜껑을 포함하는 인삼 저장용 용기. Covering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and when coupled to the opening outer wall surface, the ginseng storage container comprising a lid protruding the pressing projection on the inside to press the upper end of the handle projection of the second stopper. 제1항에서, In claim 1, 상기 제1 마개는, The first stopper is, 상기 고정홈에 끼워지는 고정 돌기가 상측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테두리부;An edge portion formed along a top edge of a fixing protrusion fitted to the fixing groove; 상기 테두리부의 하부 바닥면을 막는 고정판부; 및 A fixed plate portion blocking the lower bottom surface of the edge portion; And 상기 고정판부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되어, 분리시 상기 고정판부의 일부를 개방시키는 분리판부를 포함하는 인삼 저장용 용기.The container for ginseng storage, which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fixing plate part and includes a separating plate part which opens a part of the fixing plate part when separated. 제2항에서, In claim 2, 상기 고정판부은 상기 분리판부가 형성되는 부분의 타 일측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인삼 저장용 용기.The fixed plate portion is a ginseng storage container in which the other side of the portion is formed inclined plate is formed inclined. 제2항에서, In claim 2, 상기 분리판부의 상측에는 상기 고정판부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개방 고리가 연장 형성되는 인삼 저장용 용기. Ginseng storage container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paration plate extending opening ring for separating from the fixed plate. 제1항에서, In claim 1, 제2 마개는, The second plug, 상기 경사 측벽면에 끼워지는 경사 고정부;An inclined fixing part fitted to the inclined sidewall surface; 상기 경사 고정부 상측 가장자리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용기의 개구 상측 단부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 돌기부; 및 A lock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an upper edge of the inclined fixing part and to be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And 상기 경사 고정부의 상면 중심부에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 돌기부를 포함하는 인삼 저장용 용기. A ginseng storage container including a handle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clined fixing portion. 제5항에서, In claim 5, 상기 경사 고정부의 경사면 상에는 상기 경사 측벽면과의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오링이 끼워져 고정되는 인삼 저장용 용기. Ginseng storage container is fixed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clined fixing portion O-ring for sealing between the inclined side wall surface. 제6항에서, In claim 6, 상기 경사 고정부의 바닥면이 상기 제1 마개의 상기 고정돌기 상에 맞닿도록 끼워져 고정되는 인삼 저장용 용기. Ginseng storage container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clined fixing portion is fitted to abut on the fixing projection of the first stopper. 제1항에서, In claim 1, 상기 뚜껑의 하측 단부 내벽면과 상기 용기의 개구 외벽면이 서로 나사 결합되도록 나선이 구비되는 인삼 저장용 용기. Ginseng storage container provided with a spiral so that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lid and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are screwed together.
KR2020080010608U 2008-08-08 2008-08-08 Container for keeping ginseng KR20100001753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608U KR20100001753U (en) 2008-08-08 2008-08-08 Container for keeping ginse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608U KR20100001753U (en) 2008-08-08 2008-08-08 Container for keeping ginse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753U true KR20100001753U (en) 2010-02-18

Family

ID=44449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0608U KR20100001753U (en) 2008-08-08 2008-08-08 Container for keeping ginse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1753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8607B2 (en) Beverage container
US9254929B2 (en) Reusable food container with re-sealable cap
JP5801596B2 (en) Container with cap and lid
JP3130480U (en) Bottle cap
JP6831267B2 (en) Refill container
JP5813580B2 (en) Double container
JP2018034836A (en) Double container
CA2477920A1 (en) Salad shaker
KR200466582Y1 (en) Anti-tip structure of push plate in food keeping box
KR20100001753U (en) Container for keeping ginseng
KR20110007691U (en) A Cover for an airtight container for draining at easy opening and closing
JP4304003B2 (en) PET bottles
KR200459905Y1 (en) A Closure of vessel
KR101894158B1 (en) Inner plug for bottle
JP3894358B2 (en) Pouring cap
KR200474542Y1 (en) Double cap for hygiene
JP4215144B2 (en) Synthetic plastic inner plug with sealed pouring hole
KR200486133Y1 (en) Packing vessel having one-touch type can cover
KR20190000531U (en) Multipurpose container
JP3198096B2 (en) Container lid
KR200445683Y1 (en) A cap of liquid bottle
JP7091051B2 (en) Food container cap
KR102072494B1 (en) Hermetic Container
KR101959298B1 (en) Airtight receptacle with leackage pretention function
KR200481323Y1 (en) A Storaging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