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1536A - Ip 셋탑박스를 이용한 영상 통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Ip 셋탑박스를 이용한 영상 통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1536A
KR20100001536A KR1020080061476A KR20080061476A KR20100001536A KR 20100001536 A KR20100001536 A KR 20100001536A KR 1020080061476 A KR1020080061476 A KR 1020080061476A KR 20080061476 A KR20080061476 A KR 20080061476A KR 20100001536 A KR20100001536 A KR 20100001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video
voip
top box
inter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1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준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61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1536A/ko
Publication of KR20100001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5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P 셋탑박스를 이용한 영상 통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통화 시스템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과; 무선 통화 단말기와; 인터넷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을 처리하여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방송 스트림 처리 모듈을 갖는 IP 셋탑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IP 셋탑박스는, 상기 무선 통화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음성 통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음성 통화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무선 통화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이 시도되는 경우 상기 인터넷을 통해 VoIP 통화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무선 통화 단말기를 통해 영상 통화가 수행되도록 상기 인터넷을 통해 수신된 수신 VoIP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무선 통화 단말기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각각 출력하며, 상기 음성 통화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무선 통화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와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된 영상신호가 포함된 발신 VoIP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는 영상 통화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댁내에 마련된 IP 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IP 셋탑박스를 이용한 영상 통화 시스템{VIDEO TELECOMMUNICATION SYSTEM USING IP SET-TOP BOX}
본 발명은 IP 셋탑박스를 이용한 영상 통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댁내에 마련된 IP 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IP 셋탑박스를 이용한 영상 통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IPTV :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이하 'IPTV'라 함)은 방송과 통신이 융합된 디지털 컨버전스(digital convergence) 형태로 방송 프로그램 공급자 또는 지상파, 케이블, 위상으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스트림 신호와 함께 IP 셋탑박스에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로 초고속 인터넷을 통해 TV 인터넷 콘텐츠, 동영상 콘텐츠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IPTV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장치, IP 셋탑박스, 인터넷 회선을 연결하여야 하는데, 이는 디스플레이장치에 IP 셋탑박스나 전용 모뎀을 연결하고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을 켜는 것만으로 그 이용이 가능하다. 따라 서, 컴퓨터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라 할지라도 리모콘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인터넷 검색은 물론, 영화 감상, 홈 쇼핑, 홈 뱅킹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는 기존의 PSTN 망이 아닌 IP 네트워크인 인터넷 상으로 음성을 전송하는 CTI 기술의 하나로서, 인터넷 전화가 VoIP를 이용한 대표적인 서비스이다. 여기서, IPTV 서비스와 VoIP가 같은 공통점은 둘 다 인터넷 프로토콜(IP : Internet Protocol)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한다는데 있다.
근래에, 음성에 의존한 전화 통화에서 벗어나 인터넷을 이용한 영상 통화나, WCDMA 기술의 보급으로 인해 휴대폰과 같은 무선 통화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통화가 널리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댁내에서도 영상 통화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으나, 영상 통화의 경우 통화를 하는 사용자 자신의 영상이 촬영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카메라가 필수적이며 상대방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야 하므로 디스플레이장치 또한 필수적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영상 통화를 위한 단말기는 카메라와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된다.
이에, 본 발명은 IPTV 서비스와 VoIP가 같은 공통점은 둘 다 인터넷 프로토콜(IP : Internet Protocol)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댁내에 마련된 IP 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IP 셋탑박스를 이용한 영상 통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과; 무선 통화 단말기와; 인터넷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을 처리하여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방송 스트림 처리 모듈을 갖는 IP 셋탑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IP 셋탑박스는, 상기 무선 통화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음성 통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음 성 통화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무선 통화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이 시도되는 경우 상기 인터넷을 통해 VoIP 통화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무선 통화 단말기를 통해 영상 통화가 수행되도록 상기 인터넷을 통해 수신된 수신 VoIP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무선 통화 단말기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각각 출력하며, 상기 음성 통화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무선 통화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와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된 영상신호가 포함된 발신 VoIP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는 영상 통화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셋탑박스를 이용한 영상 통화 시스템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IP 셋탑박스는, 둘 이상의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상에 분할하여 표시하는 멀티 영상 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 통화 처리 모듈은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된 영상신호와 상기 수신 VoIP 데이터의 처리 결과로 생성된 영상신호를 상기 멀티 영상 처리부로 출력하며; 상기 멀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영상 통화 처리 모듈로부터 전달되는 한 쌍의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멀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영상 통화 처리 모듈로부터 전달되는 한 쌍의 영상신호를 PBP(Picture By Picture) 방식, PIP(Picture In Picture) 방식 및 POP(Picture On Picture)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IP 셋탑박스는 상기 멀티 영상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한 쌍의 영상신호와 상기 음성 통화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무선 통화 단말기로 송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녹화하는 영상통화 녹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과, 인터넷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을 처리하여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방송 스트림 처리 모듈을 갖는 IP 셋탑박스와, VoIP 통화가 가능한 VoIP 통화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IP 셋탑 박스는, 상기 VoIP 통화 단말기로부터 VoIP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STB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VoIP 통화 연결 정보가 수신된 상태에서 상기 인터넷을 통해 수신되는 수신 VoIP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수신된 영상신호를 발신 VoIP 영상 데이터로 생성하여 상기 VoIP 통화 연결 정보에 기초한 목적지로 상기 인터넷을 통해 발신 VoIP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영상 통화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VoIP 통화 단말기는, 상기 STB 인터페이스부와 통신하는 단말 인터페이스부와, VoIP 통화 연결에 따라 상기 인터넷을 통해 전송되는 수신 VoIP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발신 VoIP 음성 데이터를 상기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는 VoIP 데이터 송수신부와, 상기 인터넷을 통한 VoIP 통화 연결을 수행하고, VoIP 통화 연결된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VoIP 통화 연결 정보를 상기 단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IP 셋탑박스로 전송하고, 상기 수신 VoIP 음성 데이터 및 상기 발신 VoIP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여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VoIP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셋탑박스를 이용한 영상 통화 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IP 셋탑박스는, 둘 이상의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상에 분할하여 표시하는 멀티 영상 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 통화 처리 모듈은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된 영상신호와 상기 수신 VoIP 영상 데이터의 처리 결과로 생성된 영상신호를 상기 멀티 영상 처리부로 출력하며; 상기 멀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영상 통화 처리부로부터 전달되는 한 쌍의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멀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영상 통화 처리 모듈로부터 전달되는 한 쌍의 영상신호를 PBP(Picture By Picture) 방식, PIP(Picture In Picture) 방식 및 POP(Picture On Picture)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댁내에 마련된 IP 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거실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장치 및 IP 셋탑박스가 설치된 영역에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방송을 시청하는 중에 통화를 걸거나 걸려오는 통화를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하여 화상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화상 통화를 위한 무선 통화 단말기나 VoIP 통화 단말기에 리모콘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 및 IP 셋탑박스의 조작을 위해 디스플레이장치 근처에 항상 배치되는 리모콘을 음성 통화를 위한 단말기로 사용 가능하게 되어 보 다 편리해진다.
또한, IP 셋탑박스를 이용한 영상 통화가 구현됨으로써, 영상 통화 중에 생성된 상대방 및/또는 자신의 영상 통화 영상을 IP 셋탑박스에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IP 셋탑박스(10)를 이용한 영상 통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시스템은 카메라 모듈(30), 무선 통화 단말기(20) 및 IP 셋탑박스(10)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30)은 영상을 촬영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IP 셋탑박스(10)에 내장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장치(40)의 전방, 예를 들어 거실의 의자나 소파 부분을 촬영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 모듈(30)은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나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카메라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무선 통화 단말기(20)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통화 시스템에서 음성 통화를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무선 통화 단말기(20)는 IP 셋탑박스(10)와 통신하며, IP 셋탑박스(10)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전송하고 IP 셋탑박스(10)를 거쳐 상대방으로부터 전달되는 음성신호를 IP 셋탑박스(10)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여기서, 무선 통화 단말기(20)와 IP 셋탑박스(10)는 RF 통신을 통해 음성신호를 상호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음성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무선 통신이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무선 통화 단말기(20)에는 디스플레이장치(40) 및 IP 셋탑박스(10)의 제어를 위한 리모콘 기능이 부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무선 통화 단말기(20)를 이용하여 통화와 디스플레이장치(40) 및 IP 셋탑박스(10)를 제어를 동시에 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장치(40) 및 IP 셋탑박스(10)의 조작을 위해 디스플레이장치(40) 및 IP 셋탑박스(10) 근처에 항상 배치되는 리모콘을 음성 통화를 위한 단말기로 사용 가능하게 되어 보다 편리해진다.
한편, IP 셋탑박스(10)는 인터넷 모뎀(50)이나 IP 공유기(이하, '인터넷 모뎀(50)'이라 함)를 통해 인터넷(70)에 연결되어 IPTV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IP 셋탑박스(10)는 방송 스트림 처리 모듈(12), 영상 통화 처리 모듈(15) 및 음성 통화 인터페이스부(17)를 포함한다. 또한, IP 셋탑박스(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 오디오 출력부(13) 및 비디오 출력부(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는 인터넷 모뎀(50)과 연결되어 인터넷(70)에 접속된다. 여기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는 인터넷 모뎀(50)을 거쳐 인터넷(70)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 스트림을 수신한다.
방송 스트림 처리 모듈(12)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을 처리하여 오디오 출력부(13) 및 비디오 출력부(15)를 통해 출력한 다. 여기서, 오디오 출력부(13)는 스피커 시스템이나 디스플레이장치(40)에 연결될 수 있으며, 비디오 출력부(15)는 디스플레이장치(40)에 연결된다.
음성 통화 인터페이스부(17)는 무선 통화 단말기(20)와 무선 통신을 통해 통화를 위한 음성신호를 상호 송수신한다. 여기서, 음성 통화 인터페이스부(17)는 전술한 바와 같이, RF 통신을 통해 무선 통화 단말기(20)와 음성신호를 상호 간에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무선 통화 단말기(20)를 통해 특정 상대방과의 영상 통화를 위한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 무선 통화 단말기(20)로부터 통화 연결을 위한 영상 통화 정보가 RF 통신을 통해 IP 셋탑박스(10)로 전송되어 음성 통화 인터페이스부(17)를 통해 IP 셋탑박스(10)로 수신된다.
영상 통화 처리 모듈(15)은 음성 통화 인터페이스부(17)를 통해 무선 통화 단말기(20)로부터 영상 통화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인터넷(70)을 통해 VoIP 통화 연결을 수행한다. 즉, 영상 통화 처리 모듈(15)은 음성 통화 인터페이스부(17)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 통화 정보에 기초하여 호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 및 인터넷 모뎀(50)을 통해 인터넷(70)으로 전송함으로써, VoIP 통화 연결을 수행한다. 이 때, 도 1에 도시된 VoIP 교환기(60)는 인터넷(70)을 통해 IP 셋탑박스(10)로부터 전송되는 호 연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IP 주소로 통화를 개방해 줌으로써 VoIP 통화가 가능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VoIP 통화가 연결되면, 영상 통화 처리 모듈(15)은 인터넷(70)을 통해 수신되는 수신 VoIP 데이터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장치(40) 및 무선 통화 단말기(20)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각각 출력하여, 디스플레이장치(40) 및 무선 통화 단말기(20)를 통해 영상 통화가 수행되도록 한다.
즉, 영상 통화 처리 모듈(15)은 수신 VoIP 데이터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장치(40)에서 출력 가능한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출력부(13)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40)로 출력한다. 그리고, 영상 통화 처리 모듈(15)은 수신 VoIP 데이터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여 음성 통화 인터페이스부(17)를 통해 무선 통화 단말기(20)로 전송한다.
또한, 영상 통화 처리 모듈(15)은 음성 통화 인터페이스부(17)를 통해 무선 통화 단말기(2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와, 카메라 모듈(30)을 통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이용하여 발신 VoIP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영상 통화 처리 모듈(15)은 생성된 발신 VoIP 데이터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를 통해 인터넷(70)으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통화 시스템은 IP 셋탑박스(10), 디스플레이장치(40) 및 무선 통화 단말기(20)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통화 시스템이 댁내의 거실에 PDP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40), IP 셋탑박스(10) 및 무선 통화 단말기(20)가 설치된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의자나 소파 등에 앉은 상태에서 PDP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40)를 이용하여 상대방과 영상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시스템의 IP 셋탑박스(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 이상의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40)의 화면 상에 분할하여 표시하는 멀티 영상 처리부(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통화 처리 모듈(15)은 카메라 모듈(30)을 통해 촬영된 영상신호와 수신 VoIP 데이터의 처리 결과로 생성된 영상신호를 멀티 영상 처리부(16)로 출력한다. 그리고, 멀티 영상 처리부(16)는 영상 통화 처리 모듈(15)로부터 전달되는 한 쌍의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40)에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40)의 화면에는 카메라 모듈(30)을 통해 촬영된 자신의 영상과, 영상 통화 대상인 상대방의 영상이 분할되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에서는 화면의 분할이 PBP(Picture By Picture) 방식으로 표시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으나, PIP(Picture In Picture) 방식이나 POP(Picture On Picture)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통화 녹화부(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통화 녹화부(18)는 멀티 영상 처리부(16)로부터 출력되는 한 쌍의 영상신호, 즉 카메라 모듈(30)을 통해 촬영된 자신의 영상과 영상 통화 대상인 상대방의 영상에 해당하는 한 쌍의 영상신호와, 음성 통화 인터페이스부(17)를 통해 무선 통화 단말기(20)로 송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녹화한다. 이를 통해, 영상 통화 중에 생성된 상대방 및/또는 자신의 영상 통화 영상을 IP 셋탑박스(10)에 녹화하여 저장해 둠으로써, 추후에 이를 다시 재생하여 볼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IP 셋탑박스(10a)를 이용한 영상 통화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시스템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30), IP 셋탑박스(10a) 및 VoIP 통화 단말기(20a)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30)은 영상을 촬영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IP 셋탑박스(10a)에 내장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장치(40)의 전방, 예를 들어 거실의 의자나 소파 부분을 촬영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 모듈(30)은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나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카메라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VoIP 통화 단말기(20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인터페이스부(22a), VoIP 데이터 송수신부(23a) 및 VoIP 프로세서(21a)를 포함한다.
단말 인터페이스부(22a)는 IP 셋탑박스(10a)의 후술할 STB 인터페이스부(17a)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교환한다. 여기서, 단말 인터페이스부(22a)와 STB 인터페이스부(17a)는 RF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을 일 예로 하며, 데이터의 교환이 가능한 다른 무선 통신 방식이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VoIP 데이터 송수신부(23a)는 인터넷 모뎀(50)과 연결되어 인터넷(70)에 접속한다. 그리고, VoIP 데이터 송수신부(23a)는 인터넷(70)으로부터 인터넷 모뎀(50)을 거쳐 전송되는 수신 VoIP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VoIP 프로세서(21a)로 부터 전달되는 발신 VoIP 음성 데이터를 인터넷 모뎀(50)을 통해 인터넷(70)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VoIP 데이터 송수신에 의해 송수신되는 수신 VoIP 음성 데이터 및 발신 VoIP 음성 데이터는 TCP/IP 규약을 따르게 된다.
VoIP 프로세서(21a)는 인터넷(70)을 통한 VoIP 통화 연결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시스템에서는 VoIP 통화 단말기(20a)가 VoIP 통화 연결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VoIP 프로세서(21a)는 VoIP 데이터 송수신부(23a)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 VoIP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여 음성신호를 스피커(24a)를 통해 출력한다. 그리고, 마이크(25a)를 통해 수신된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발신 VoIP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발신 VoIP 데이터를 VoIP 송수신부(23a)를 통해 인터넷(70)으로 전송한다. 즉, VoIP 프로세서(21a)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통화 시스템에서 음성 통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VoIP 프로세서(21a)는 인터넷(70)을 통한 VoIP 통화 연결을 수행할 때, VoIP 통화 연결된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VoIP 통화 연결 정보를 단말 인터페이스부(22a)를 통해 IP 셋탑박스(10a)로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IP 셋탑박스(10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스트림 처리 모듈(12), STB 인터페이스부(17a) 및 영상 통화 처리 모듈(15a)을 포함한다. 방송 스트림 처리 모듈(12)은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을 처리하여 디스플레이장치(40) 및/또는 오디오 시스템으로 출력한다.
STB 인터페이스부(17a)는 VoIP 통화 단말기(20a)와 통신한다. 여기서, STB 인터페이스부(17a)는 VoIP 통화 단말기(20a)로부터 전송되는 VoIP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하여 영상 통화 처리 모듈(15a)로 전달한다.
영상 통화 처리 모듈(15a)은 STB 인터페이스부(17a)를 통해 VoIP 통화 연결 정보가 수신된 상태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 VoIP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비디오 출력부(15a)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40)로 출력한다.
그리고, 영상 통화 처리 모듈(15a)은 카메라 모듈(30)을 통해 수신된 영상신호를 이용하여 발신 VoIP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영상 통화 처리 모듈(15a)은 VoIP 영상 통화 단말기기로부터 전달된 VoIP 통화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영상 통화 대상인 상대방 단말기의 목적지를 분석하고, 분석된 목적지로 발신 VoIP 영상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시스템은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은 동일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시스템의 IP 셋탑박스(10a)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멀티 영상 처리부(16)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멀티 영상 처리부(16)는 PBP(Picture By Picture) 방식, PIP(Picture In Picture) 방식 및 POP(Picture On Picture)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한 쌍의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40)의 화면 상에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시스템의 IP 셋탑박스(10a) 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통화 녹화부(1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영상신호의 녹화는 제1 실시예에 대응하지만, 음성신호의 녹화는 VoIP 통화 단말기(20a)로부터 전달받아 녹화될 수 있다. 예컨대, VoIP 통화 단말기(20a)의 VoIP 프로세서(21a)가 단말 인터페이스부(22a)를 통해 음성 통화에 대응하는 음성신호를 IP 셋탑박스(10a)로 전송하고, IP 셋탑박스(10a)의 영상통화 녹화부(18)는 STB 인터페이스부(17a)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상술한 영상신호와 함께 녹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IP 셋탑박스를 이용한 영상 통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IP 셋탑박스를 이용한 영상 통화 시스템이 댁내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IP 셋탑박스를 이용한 영상 통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Claims (7)

  1.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과;
    무선 통화 단말기와;
    인터넷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을 처리하여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방송 스트림 처리 모듈을 갖는 IP 셋탑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IP 셋탑박스는,
    상기 무선 통화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음성 통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음성 통화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무선 통화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이 시도되는 경우 상기 인터넷을 통해 VoIP 통화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무선 통화 단말기를 통해 영상 통화가 수행되도록 상기 인터넷을 통해 수신된 수신 VoIP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무선 통화 단말기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각각 출력하며, 상기 음성 통화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무선 통화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와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된 영상신호가 포함된 발신 VoIP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는 영상 통화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셋탑박스를 이용한 영상 통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P 셋탑박스는,
    둘 이상의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상에 분할하여 표시하는 멀티 영상 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 통화 처리 모듈은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된 영상신호와 상기 수신 VoIP 데이터의 처리 결과로 생성된 영상신호를 상기 멀티 영상 처리부로 출력하며;
    상기 멀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영상 통화 처리 모듈로부터 전달되는 한 쌍의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분할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셋탑박스를 이용한 영상 통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영상 통화 처리 모듈로부터 전달되는 한 쌍의 영상신호를 PBP(Picture By Picture) 방식, PIP(Picture In Picture) 방식 및 POP(Picture On Picture)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셋탑박스를 이용한 영상 통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IP 셋탑박스는 상기 멀티 영상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한 쌍의 영상신호와 상기 음성 통화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무선 통화 단말기로 송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녹화하는 영상통화 녹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셋탑박스를 이용한 영상 통화 시스템.
  5.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과, 인터넷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을 처리하여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방송 스트림 처리 모듈을 갖는 IP 셋탑박스와, VoIP 통화가 가능한 VoIP 통화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IP 셋탑 박스는,
    상기 VoIP 통화 단말기로부터 VoIP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STB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VoIP 통화 연결 정보가 수신된 상태에서 상기 인터넷을 통해 수신되는 수신 VoIP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수신된 영상신호를 발신 VoIP 영상 데이터로 생성하여 상기 VoIP 통화 연결 정보에 기초한 목적지로 상기 인터넷을 통해 발신 VoIP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영상 통화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VoIP 통화 단말기는,
    상기 STB 인터페이스부와 통신하는 단말 인터페이스부와,
    VoIP 통화 연결에 따라 상기 인터넷을 통해 전송되는 수신 VoIP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발신 VoIP 음성 데이터를 상기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는 VoIP 데이터 송수신부와,
    상기 인터넷을 통한 VoIP 통화 연결을 수행하고, VoIP 통화 연결된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VoIP 통화 연결 정보를 상기 단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IP 셋탑박스로 전송하고, 상기 수신 VoIP 음성 데이터 및 상기 발신 VoIP 음 성 데이터를 처리하여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VoIP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셋탑박스를 이용한 영상 통화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IP 셋탑박스는,
    둘 이상의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상에 분할하여 표시하는 멀티 영상 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 통화 처리 모듈은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된 영상신호와 상기 수신 VoIP 영상 데이터의 처리 결과로 생성된 영상신호를 상기 멀티 영상 처리부로 출력하며;
    상기 멀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영상 통화 처리부로부터 전달되는 한 쌍의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분할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셋탑박스를 이용한 영상 통화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영상 통화 처리 모듈로부터 전달되는 한 쌍의 영상신호를 PBP(Picture By Picture) 방식, PIP(Picture In Picture) 방식 및 POP(Picture On Picture)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셋탑박스를 이용한 영상 통화 시스템.
KR1020080061476A 2008-06-27 2008-06-27 Ip 셋탑박스를 이용한 영상 통화 시스템 KR201000015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476A KR20100001536A (ko) 2008-06-27 2008-06-27 Ip 셋탑박스를 이용한 영상 통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476A KR20100001536A (ko) 2008-06-27 2008-06-27 Ip 셋탑박스를 이용한 영상 통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536A true KR20100001536A (ko) 2010-01-06

Family

ID=41811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1476A KR20100001536A (ko) 2008-06-27 2008-06-27 Ip 셋탑박스를 이용한 영상 통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15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3853A (ko) 2015-03-23 2016-10-0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고화질 영상 통화 시스템 및 그의 영상 처리 방법, 그리고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70039629A (ko) 2017-03-29 2017-04-1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고화질 영상 통화 시스템 및 그의 영상 처리 방법, 그리고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3853A (ko) 2015-03-23 2016-10-0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고화질 영상 통화 시스템 및 그의 영상 처리 방법, 그리고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70039629A (ko) 2017-03-29 2017-04-1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고화질 영상 통화 시스템 및 그의 영상 처리 방법, 그리고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48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viewing multimedia content and accepting an incoming video call communication
US8144182B2 (en) Real time video communications system
US8749611B2 (en) Video conference system
CN103096019B (zh) 视频会议系统和终端装置及用于视频会议的图像撷取方法
US93197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viewing video
US20080010362A1 (en)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treaming service
US20110194488A1 (en) Telephone System
US119432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viewing video
KR20090046313A (ko) 통화대상자들이 시청중인 채널을 표시하기 위한 시청정보제공방법
US100449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viewing video
US994899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haring of content betwe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and home based devices
KR20120126595A (ko) Usb 카메라 장치
KR20100001536A (ko) Ip 셋탑박스를 이용한 영상 통화 시스템
JP2012175192A (ja) テレビ電話機能付きコンテンツ再生装置及びテレビ電話音声処理方法
KR100625376B1 (ko) Tv 전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상 전화 서비스 방법
KR100729628B1 (ko) 통합 홈게이트웨이 장치
EP1892961A1 (en) Method of audio-visual communication using a television and television using the same
WO2004077829A1 (en) Video conference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JP4988022B2 (ja) 映像表示装置及び音声出力制御方法
JP2006332968A (ja) テレビ電話装置
WO2022139768A1 (en) A system for enabling televisions to perform video communication
JP2006093883A (ja) テレビ通話装置
KR20090117344A (ko) Ip 기반의 방송 및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90028404A (ko) 화상 통화 장치
JP2012235331A (ja) 電話システム、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