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1355U - 천정 마감 부재 - Google Patents

천정 마감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1355U
KR20100001355U KR2020080010115U KR20080010115U KR20100001355U KR 20100001355 U KR20100001355 U KR 20100001355U KR 2020080010115 U KR2020080010115 U KR 2020080010115U KR 20080010115 U KR20080010115 U KR 20080010115U KR 20100001355 U KR20100001355 U KR 2010000135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eiling
present
finishing memb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01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염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염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염광
Priority to KR20200800101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1355U/ko
Publication of KR201000013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35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6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irregularities on the faces, e.g. holes, groo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28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a closed frame around the peripher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8Built-in cupboards; Masks of niches; Covers of holes enabling access to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정 마감 부재에 관한 것으로, 중력에 의해 아래로 휘어지지 않고, 천청 내측 점검이 용이하도록, 중앙에 개방홀이 형성된 판 형상을 갖되, 상부를 향하여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프레임; 및 상기 개방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커버;를 포함한다.
욕실, 천정, 마감, 조명, 커버

Description

천정 마감 부재{A ceiling board}
본 고안은 천정 마감 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력에 의해 아래로 휘어지지 않고, 천청 내측 점검이 용이한 마감 부재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욕실 천정에는 윗층의 각종 난방관 및 하수관이 설치되므로 미관상 좋지 않아 마감 부재를 사용하여 천정을 마감한다.
이때, 각종 배관의 용이한 점검을 위해, 마감 부재의 일측에 소형의 점검구를 형성한다. 또한 조명등이 마감 부재의 하부나 벽에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마감 부재는 점검구가 미관을 해치게 되고, 너무 작아 활동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점검구의 크기가 커서 보수 및 관리 작업이 용이한 마감 부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중력에 의해 하부로 휘어지지 않는 마감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천정 마감 부재는, 중앙에 개방홀이 형성된 판 형상을 갖되, 상부를 향하여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프레임; 및 상기 개방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커버;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돌기는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돌기 사이의 홈을 따라 결합된 보강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 표면에 부착된 보강 시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프레임의 하부 표면에 부착된 데코씨트나 인쇄된 아픔다운 장식 시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개방홀은 내주연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걸림턱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커버는 외주연에 상기 걸림턱에 안착되는 걸림대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점검구의 역할을 하는 개방홀을 통해 보수 및 관리 작업이 용이한 마감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보강재와 보강 시트를 통해 프레임의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이 우수한 마감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가 기술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
먼저 첨부된 도면 도1 내지 도4를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마감 부재를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마감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서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3은 도1에서 보강 시트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4는 도3에서 장식 시트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천정 마감 부재(100: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천정 마감 부재'는 간략히 '마감 부재'라 한다)는 크게 프레임(110)과 커버(120)를 포함한다.
프레임(110)은 중앙에 개방홀(115)이 형성된 판 형상을 갖되, 상부를 향하여 다수의 돌기(112)가 형성된다. 돌기(112)는 사각 기둥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특별히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돌기(112)의 형상은 원기둥, 다각형 기둥 등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개방홀(115)의 내주연에는 상방으로 돌출되게 걸림턱이 추가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프레임(110)은 경질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프레임(110)은 천정의 면적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기 때문에, 중력에 의해 아래로 쳐지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쳐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보강재(130)와 보강 시트(140)가 추가로 사용된다. 보강재(130)는 돌기(112) 사이의 홈을 따라 결합된다. 보강 시트(140)는 ABS 수지(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재질로 형성되며, 열접착 및/또는 실리콘 접착제를 사용하여 프레임(110)의 상부 표면에 부착된다.
더불어, 프레임(110)의 하부 표면은 외부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시각적 만족감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장식 시트(142)가 추가로 결합된다. 장식 시트(142)는 ABS 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프레임(110)의 하부 표면에 열접착 및 화공약품접착 또는 실리콘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된다.
커버(120)는 개방홀(115)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커버(120)의 외주연에는 프레임의 개방홀(115)에 형성된 걸림턱에 안착되는 걸림대(12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작업시에 커버(120)를 위로 들어 올린 뒤 한쪽으로 밀어두는 것에 의해 넓은 작업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커버(120)는 장식성을 고려하여 위로 수평이나 볼록한 렌즈 형상과 엠보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표면에 인쇄하거나 데코씨트를 붙여 아름다운 형상을 만들고 상부에 조명등(20)이 설치될 경우에는 아름답게 인쇄된 투명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5를 참조로 본 고안의 적용예를 설명한다.
도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마감 부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전술된 구성을 갖는 마감 부재(100)는 제1단계, 프레임(110)의 돌기(112) 사이에 다수의 보강재(130)를 결합한다.
제2단계, 프레임(110)의 상부 표면에 보강 시트(140)를 부착시킨다.
제3단계, 프레임(110)의 하부 표면에 장식 시트(142)를 부착시킨다.
제4단계, 천정(10)의 조명등(20)을 설치하고, 측벽에 타일(30)을 시공한다.
제5단계, 마감 부재(100)를 타일(30)의 상단에 안착시킨다. 이때 마감 부재(100)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못과 타카 같은 체결 수단이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제6단계, 개방홀(115)에 커버(120)를 안착시킨다. 이때의 상태가 도5에 도시된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전술된 실시예에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첨부된 청구범위의 정신과 사상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마감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서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3은 도1에서 보강 시트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4는 도3에서 장식 시트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마감 부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마감 부재 110: 프레임
120: 커버 130: 보강재
140: 보강 시트

Claims (7)

  1. 중앙에 개방홀이 형성된 판 형상을 갖되, 상부를 향하여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프레임; 및
    상기 개방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커버;
    를 포함하는 천정 마감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기둥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마감 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사이의 홈을 따라 결합된 보강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마감 부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 표면에 부착된 보강 시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마감 부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부 표면에 부착된 장식 시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천정 마감 부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홀은 내주연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걸림턱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마감 부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외주연에 상기 걸림턱에 안착되는 걸림대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마감 부재.
KR2020080010115U 2008-07-29 2008-07-29 천정 마감 부재 KR2010000135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115U KR20100001355U (ko) 2008-07-29 2008-07-29 천정 마감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115U KR20100001355U (ko) 2008-07-29 2008-07-29 천정 마감 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355U true KR20100001355U (ko) 2010-02-08

Family

ID=44196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0115U KR20100001355U (ko) 2008-07-29 2008-07-29 천정 마감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135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69250A (zh) * 2016-02-02 2016-05-11 浙江嘉和装饰有限公司 一种grg天棚吊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69250A (zh) * 2016-02-02 2016-05-11 浙江嘉和装饰有限公司 一种grg天棚吊顶
CN105569250B (zh) * 2016-02-02 2017-09-12 浙江嘉和装饰有限公司 一种grg天棚吊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19617S1 (en) Faucet spout
USD575115S1 (en) Bowl with sealing lid
USD540924S1 (en) Shower panel
USD553440S1 (en) Drinking glass
USD556061S1 (en) Thermostat with touch screen
USD548528S1 (en) Drinking glass
USD545419S1 (en) Brackets for showers
USD551542S1 (en) Wall hanger
USD571183S1 (en) Door handleset and escutcheon
USD589129S1 (en) One door fabritec vanity
USD556856S1 (en) Faucet fitting
USD556560S1 (en) Fixture for installing a siding panel
USD583084S1 (en) Decorative panel
USD564863S1 (en) Solenoid actuated lock bracket
USD626904S1 (en) Door panel for an automobile
KR20100001355U (ko) 천정 마감 부재
USD592282S1 (en) Wall sconce faucet with plate
USD595475S1 (en) Flower holder and integrated crypt cover fastening rosette
USD557113S1 (en) Roof tile attachment bracket
USD559422S1 (en) Lantern
USD519797S1 (en) Siding installation tool
USD549845S1 (en) Sill screed
CA110152S (en) Outlet arm and faucet
USD537976S1 (en) Translucent glass cover sleeve for lighting fixtures
USD574151S1 (en)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