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1119A - 진공청소기용 집진용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용 집진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01119A KR20100001119A KR1020080060916A KR20080060916A KR20100001119A KR 20100001119 A KR20100001119 A KR 20100001119A KR 1020080060916 A KR1020080060916 A KR 1020080060916A KR 20080060916 A KR20080060916 A KR 20080060916A KR 20100001119 A KR20100001119 A KR 2010000111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st collecting
- collecting container
- dust collector
- dust
- collecting barr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91—Mounting or coupling means for cyclonic chamber or dust receptac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구가 형성된 하부집진통과 배출구가 형성된 상부집진통의 결합을 패킹에 의해 행함으로써 먼지나 물기의 샘을 방지하면서 부드럽게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진공청소기용 집진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흡입구가 형성된 하부집진통과 배출구가 형성된 상부집진통의 결합을 패킹에 의해 행함으로써 먼지나 물기의 샘을 방지하면서 부드럽게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진공청소기용 집진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진공청소기용 집진용기로서, 예컨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제813537호, 제813538호, 제813539호, 제813540호, 제813541호 및 제813542호)받은 스팀진공청소기의 집진용기는 통유입구와 통배기구를 갖는 집진통과, 상기 집진통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와, 상기 덮개에 설치되는 걸림턱과, 상기 집진통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집진용기는 걸림턱과 걸림편으로 록킹 또는 해제하는 기계적인 방식이기 때문에 조립 분해하는데 다소 시간이 걸린다.
또한, 종래의 스팀진공청소기의 집진용기는 회전브러쉬가 없는 타입의 본체에 적용한 것이기 때문에, 집진통과 덮개로 구성하여도 괜찮지만, 회전브러쉬가 있 는 경우 회전브러쉬의 점유공간과 집진통의 점유공간으로 본체의 사이즈(특히 전후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부집진통에 쌓인 먼지나 물기 등의 누수를 확실히 차단하면서 부드럽게 하부집진통과 결합 및 분리되는 구조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집진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1에 기재된 진공청소기용 집진용기는,
본체에 장착되며, 흡입구가 형성된 하부집진통; 상기 하부집진통의 상부에 배치되며, 배출구가 형성된 상부집진통; 상기 상부집진통의 내에 설치되는 필터부; 상기 하부집진통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패킹을 포함하여,
상기 상부집진통과 상기 하부집진통이 결합시 상기 패킹에 의해 상기 상부집진통의 내주면을 밀폐시키면서 가압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부집진통에 쌓인 먼지나 물기 등의 누수를 확실히 차단하면서 부드럽게 하부집진통과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2에 기재된 진공청소기용 집진용기는,
상기 하부집진통은 상기 상부집진통을 개폐함으로써, 상부집진통이 메인집진통, 하부집진통이 덮개 겸용 보조집진통의 기능을 하여 회전브러쉬의 장착에도 불구하고 본체 사이즈의 크기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3에 기재된 진공청소기용 집진용기는,
상기 상부집진통의 외주면에는 리프트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집진통의 내주면에는 상기 하부집진통의 상단이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집진통에는 상기 걸림턱에 록킹되는 록킹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리프트홈을 이용하여 집진용기를 꺼낼 때 패킹 간의 결합을 보강한 록킹부로 인해 상부집진통과 하부집진통의 임의적 분리가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집진용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부집진통과 하부집진통은 패킹에 의해 밀폐 및 가압 결합되기 때문에, 상부집진통에 쌓인 먼지나 물기 등의 누수를 확실히 차단하면서 부드럽게 하부집진통과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집진통은 상부집진통을 개폐함으로써, 상부집진통이 메인집진통, 하부집진통이 덮개 겸용 보조집진통의 기능을 하여 회전브러쉬의 장착에도 불구하고 본체 사이즈의 크기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리프트홈을 이용하여 집진용기를 꺼낼 때 패킹 간의 결합을 보강한 록킹부로 인해 상부집진통과 하부집진통의 임의적 분리가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다.
또한, 상부집진통의 내주면에 하부집진통의 상단이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됨으로써, 하부집진통의 스토퍼 기능과 록킹 기능을 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본 실시예의 청소기는 진공청소기 또는 스팀진공청소기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구성의 추가에 따라 진공청소기 또는 스팀진공청소기의 용어를 혼용하여 사용한다.
즉 진공청소기는 베이스 어셈블리(진공청소부)와 밀대 어셈블리로 구성되고, 스팀진공청소기인 경우에는 베이스 어셈블리(진공청소부), 메인 어셈블리(스팀발생부 및 밀대부), 넥 어셈블리로 구성되는 것으로 정의하며, 메인 어셈블리 및 넥 어셈블리 또는 밀대 어셈블리는 종래의 공보를 참조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진공청소기의 베이스 어셈블리를 분리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서 커버 트레이를 제거한 베이스 어셈블리를 결합 도시한 정면 및 배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 및 도 3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팀진공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100)는 하부케이스(130)와 상부케이스(150)로 구성되는 본체(110)와, 이 본체(110)에 장착되는 진공청소부와, 하부케이스(130)의 밑면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패드부착트레이(120)로 구성하여 있다.
하부케이스(130)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에 흡입노즐(131)이, 후 방에 스팀분사공(133)이 형성되어 있다. 스팀분사공(133)에서 나온 스팀은 스팀분배덮개(134)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135)을 통해 패드(미도시)에 분사한다. 스팀분사공(133)은 종래 공보와 같이 스팀발생부에 접속되는 메인 어셈블리를 사용하는 경우에 필요한 구성이며, 메인 어셈블리가 순수하게 밀대 기능을 하는 경우에는 생략할 수 있다.
하부케이스(130)의 전방 테두리에는 고무나 플라스틱과 같은 탄성재질의 범퍼가 설치되는 것이, 청소할 때 본체(110)가 벽 등에 부딪쳐 깨지거나 균열 등의 손상을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부케이스(150)의 상면 전방측에는 집진용기(200)가 장착되는 용기장착홈(153)이 형성되고(도 10 참조), 상부케이스(150)의 하면 후방측에는 흡인모터어셈블리(800)가 장착되는 흡인모터장착홈(157)이 형성되어 있다(도 19 참조).
용기장착홈(153)의 전면측 벽에는 흡입관통공(154)이 형성되어 있다. 이 흡입관통공(154)은 흡입노즐(131)과 후술된 하부집진통(210)의 흡입구(211) 사이를 서로 통하게 한다.
이 흡입관통공(154)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덕트(173)가 연결되어 있다. 흡입덕트(173)의 일단은 회전브러쉬(17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브러쉬지지브라켓(171)에 접속되고, 타단은 흡입관통공(154)에 끼워져 접속되어 연결된다.
회전브러쉬지지브라켓(171)은 상부케이스(150)의 최전방측 밑면(하면)에 형성된 회전브러쉬장착홈(151)에 체결 지지되어 있다.
상부케이스(150)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회전브러쉬장착홈(151), 용기장착홈(153), 흡인모터장착홈(157)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회전브러쉬(170)가 회전하면 바닥의 먼지를 긁어내면서 흡입노즐(131)을 통해 흡입되어, 회전브러쉬지지브라켓(17)과 흡입덕트(173)와 흡입관통공(154)을 거쳐 흡입구(211)로 들어가 집진용기(200)에 집진된다.
또한, 용기장착홈(153)의 후면측 벽 또는 흡인모터장착홈(157)의 전면측 벽에는 관통공(154)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154)은 집진용기(200)의 배출구(213)와 흡인모터(810)의 임펠러케이싱(830)의 흡기구(833)를 서로 통하게 접속시킨다.
흡인모터장착홈(157)의 배면측 벽에는 후술된 냉각공기유입관(853) 및 가열공기방출관(855)이 배치되는 제1벤트홀(158) 및 제2벤트홀(15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용기장착홈(153)에는 리브(15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리브(155)는 하부집진통(210)이 어느 정도 꽉 끼게 해주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부케이스(150)의 후방 양쪽에는 중공의 힌지부(310)(320)가 형성되어 있다.
힌지부(310)(320)는 모터장착홈(157)과 서로 통하여 있다. 또한, 힌지부(310)(320)에는 종래와 같은 넥 어셈블리(미도시)가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모터 어셈블리(800)에서 나오는 흡인공기는 터빈날개(710)를 돌린 후 종래와 마찬가지로 모터장착홈(157) 내에서 힌지부(310)(320)와 넥 어셈블리의 넥케이스를 거쳐 메인 어셈블리의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패드부착트레이(120)는 승강지지부재(190)를 통해 하부케이스(130)의 밑면에 배치 설치되어 있다. 물론, 하부케이스(130)의 밑면에는 승강 가능한 승강오목부(13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승강오목부(139)의 깊이는 스팀분배덮개(134)의 돌출 높이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패드부착트레이(120)가 승강지지부재(190)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패드의 두께만큼 바닥과 회전브러쉬(170)의 사이가 너무 떨어져 바닥에 붙은 먼지를 긁어내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여 스팀 및 진공 모두의 청소효율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패드부착트레이(120)는 패드부착판(121)과 이 패드부착판(121)에 형성된 인출공(123)과 이 인출공(123)의 전후방 밑면에 형성된 돌기물(125)로 구성하여 있다. 인출공(123)은 스팀분배덕트(134)가 인출되고, 돌기물(125)은 벨크로가 붙어있는 패드가 부착된다.
승강지지부재(190)는 도 6 및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130)의 밑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191)과, 가이드홈(191)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가이드(193)과, 가이드홈(191)과 승강가이드(193)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195)과, 승강가이드(193)가 승강하면서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부케이스(130)에 고정하는 고정편(197)과, 패드부착트레이(120)가 승강하면서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부케이스(130)에 결합되는 결합부재(160)로 구성하여 있다. 도면부호 192는 스프링(195)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탄설돌기(192)이다. 물론 이 탄설돌기가 승강가이드(193)의 상단 내측에 형성되어도 좋다.
승강가이드(193)는 상단이 막힌 관으로서, 이 상단이 끼워지는 끼움홈(127)이 패드부착판(121)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이 미끄러짐 등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결합부재(160)는 도 1, 도 5 및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돌기(161)와, 이 결합돌기(161)가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는 승강수용홈(163)과, 결합돌기(16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165)으로 구성하여 있다.
즉, 승강수용홈(163)은 결합돌기(161)가 삽입되는 삽입홈(163a)과, 이탈방지턱(165)이 있는 승강홈(163b)으로 나뉘어진다.
결합돌기(16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드부착판(121)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승강수용홈(163)과 이탈방지턱(165)은 하부케이스(130)의 밑면 즉 승강오목부(139)가 있는 밑면에 형성되어 있다(도 6에서 볼 때 밑면이며, 바로 세웠을 땐 상면임).
따라서, 패드부착트레이(120)는 결합돌기(161)를 삽입홈(163a)에 밀어 넣은 후 옆으로 밀면 이탈방지턱(165)에 걸려 이탈이 방지된 채 하부케이스(130)의 밑면에 조립된다.
또한, 한쪽으로 밀어 조립되기 때문에 반대쪽으로 밀려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패드부착트레이록킹부(167)(169)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드부착트레이록킹부(167)(169)는 동전 등으로 나사홈을 돌리면 핀(167)에 형성된 돌기(미도시)가 승강오목부(139)에 형성된 걸림편(169)에 걸려 록킹되거나 해제된다. 이 록킹/ 해제작용은 후술된 하부집진통(210)과 상부집진통(230)의 결합작용과 같다(단지 레버로 돌리는 것과 드라이버 또는 동전 등으로 돌리는 것을 제외하고 같다).
하부케이스(130)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브러쉬(170)의 양단을 지지커버하는 지지커버부재(180)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커버부재(180)는 지지커버부(181)와 지지커버록킹부(183)로 구성하여 있다.
지지커버부(181)는 회전브러쉬(170)의 브라켓(170) 양단 밑면에 결합 지지되며, 손가락을 끼워 들어올릴 수 있는 홈(182)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커버록킹부(183)는 전술한 패드부착트레이록킹부(167)(169)와 마찬가지로 핀(185)에 형성된 돌기(미도시)가 걸림편(187)에 걸려 록킹되거나 해제된다.
이 지지커버부재(180)에 의해서, 회전브러쉬(170)의 탈착이 쉬워 교체나 청소하기가 대단히 편리하다.
한편, 패드부착트레이(120)의 하면에 커버트레이(140)가 착탈 가능하게 배치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커버트레이(140)는 패드부착트레이(120)의 돌기물(125)을 커버한다.
따라서, 카펫과 같은 털이 있는 제품을 진공 또는 스팀 청소할 때 패드부착트레이(120)의 돌기물(125)이 털에 걸려 움직이지 않거나 털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펫은 종류에 따라 털의 높이가 다른데, 털의 높이가 높은 경우 회전브러쉬(170)가 있는 흡입노즐(131)을 카펫에 대해 더 올려주지 않으면 회전브러 쉬(170)가 털에 파묻혀 회전하지 않을 우려가 매우 크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커버트레이(140)의 전방측에는 카펫전용바퀴(145)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브러쉬(170)와 바퀴(145) 사이의 높이가 가장 멀리 떨어져 있고, 다음으로 하부케이스(130)에 설치된 뒷바퀴(138)가, 그 다음으로 하부케이스(130)에 설치된 앞바퀴(139) 순으로 회전브러쉬(170)에 가까이 있다.
커버트레이(140)는 돌기물(125)을 가리는 커버판(141)과, 이 커버판(141)이 본체(110)에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탈착부(142)와, 커버판(141)의 전방 양측에 설치된 바퀴(145)로 구성하여 있다.
커버판(141)의 중심에는 스팀분배덕트(134)가 배치되는 장공(14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판(141)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물(125)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돌기(148)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삽입돌기(148)로 인해 커버판(141)의 전후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판(141)의 선단과 승강수용홈(139)의 선단 사이에 틈새가 있는 경우, 커버판(141)의 선단에 돌출편(49)을 두어서, 승강수용홈(139)의 선단에 닿게 하여 틈새로 인한 전후 움직임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탈착부(142)는 커버판(141)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선회걸림편(143)과 상부케이스(150)에 형성된 고정걸림편(144)으로 구성하여 있다. 고정걸림편(144)는 도 1 과 같이 상부케이스(150)의 오목한 부분에 형성하거나, 도 7과 같이 상부케이스(150)의 외관 자체에 돌출되게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바퀴(145)는 중간부재(146)에 의해 커버판(14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부재(146)는 수직부(146a)와 이 수직부(146a)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된 'ㄷ'자 형태의 끼움부(146b)로 구성하여 있다.
수직부(146a)는 바퀴(145)에 나사 체결되고, 끼움부(146b)는 커버판(141)의 일측에 끼워 나사 체결된다.
특히 커버판(141)과 끼움부(146a)에는 요철(146c)을 형성 결합시켜 움직일 때 바퀴(145)가 빠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한다.
바퀴(145)의 착탈로 인해, 카펫의 털 높이에 맞는 바퀴로 교체 가능하다.
집진용기(200)는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장착홈(153)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부집진통(210)과 상부집진통(230), 하부집진통(21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패킹(240)으로 구성하여 있다.
하부집진통(210)의 전면에는 흡입덕트(173)와 접속되는 흡입구(211)가 형성되고, 상부집진통(230)의 배면에는 필터부(250)가 장착되는 배출구(213)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211)에는 도어(21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도어(212)는 흡인되는 공기의 힘에 의해 열리고, 그 힘이 소거되면 중력에 의해 닫히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도어(212)에 의해서, 청소 등을 하지 않을 때 흡입구(211)로부터 먼지 등이 빠져나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필터부(250)는 크게 제1필터부(251)와 제2필터부(256)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필터부(251)는 상부집진통(230)의 내부에 설치된 스크린 타입의 필터로서 1차적으로 어느 정도 큰 먼지를 필터링하고, 제2필터부(256)는 제1필터부(251)에서 필터링 되지 않은 미세먼지를 필터링한다.
제1필터부(251)는 전면부(251a) 및 하면부(251b)에 스크린이 형성된 박스 형태로서, 뒷면부(251c)에 제2필터부(256)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25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필터부(251)는 관통공(252)을 통해 제1필터부(251)의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점유공간을 현저히 줄여 집진공간을 늘릴 수 있다.
또한 하면부(251b)는 전면부(251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후술된 차단판(260)의 윗면에는 하면부(251b)를 받쳐주는 받침돌기(262)가 3각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하부집진통(210)과 상부집진통(230)이 서로 결합되면, 받침돌기(262)가 하면부(251b)를 받쳐주기 때문에, 하면부(251b)의 이탈을 확실히 방지한다.
제2필터부(256)는 원통 형상으로서, 배출구(213)에 장착된 채 제1필터부(25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배출구(213)는 제2필터부(256)의 필터장착공(213)으로 기능하여 제2필터부(256)를 통과한 공기가 흡인모터(800)의 흡기구(833)로 유동한다.
패킹(240)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집진통(230)과 하부집진통(210)이 결합시 상부집진통(230)의 내주면을 밀폐시키면서 가압한다.
따라서, 상부집진통(230)에 쌓인 먼지나 물기가 새는 것을 방지하면서 부드럽게 결합 분리시킬 수 있어, 취급이 대단히 편리하다.
특히, 상부집진통(230)은 메인집진통이면서 하부집진통(210)의 상부에 있기 때문에 청소 중엔 덮개 기능을 하고, 하부집진통(210)은 보조집진통이면서 상부집진통(230)의 하부에 있기 때문에 청소 중엔 보조집진통의 바닥 역할을 한다.
반대로, 집진용기(200)의 내부 먼지를 털어낼 땐, 뒤집어서 하부집진통(210)을 위쪽에 올려놓고 열어야 하는 덮개 역할을 하고, 상부집진통(230)은 메인 집진통의 역할을 한다. 메인 집진통의 기능을 하는 상부집진통(230)에는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투시창(23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부집진통(230)과 하부집진통(210)은 그 사용상태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패킹(240)에 의해 부드럽게 결합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킹(240)은 하부집진통(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패킹(240)에 의해 상부집진통(230)이 하부집진통(210)에 지지되어 있고, 하부집진통(210)은 용기장착홈(153) 내에 장착되기 때문에 외부에선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집진용기(200)의 청소 등을 위해 빼낼 때 상부집진통(230)의 좌우 양측에는 리프트홈(237)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리프트홈(237)은 손가락 하나가 들어갈 정도의 홈을 두고 그 홈의 상단에 막은 '역ㄱ'자 형상이다.
또한, 상부집진통(230)과 하부집진통(210)를 록킹하는 록킹부재(22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록킹부재(220)는, 패킹(240)에 의해서만 서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리프트홈(237)을 통해 꺼낼 때 하부집진통(210)이 빠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한다.
록킹부재(220)는 상부집진통(23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하부집진통(210)의 상단이 걸리는 걸림턱(221)과, 하부집진통(210)에 형성되어 걸림턱(221)에 록킹되는 록킹부(223)로 구성하여 있다.
록킹부(223)는 도 16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집진통(210)에 설치되는 회전축(226), 이 회전축(226)의 하단 및 상단에 설치되는 레버(225) 및 록킹편(228)으로 구성하여 있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킹편(228)이 도면 부호 228(a)인 경우 걸림턱(221)에서 해제된 상태이고, 도면 부호 228(b)인 경우 걸림턱(221)에 걸려 록킹 상태이다.
특히 걸림턱(221)은 상부집진통(230)과 하부집진통(210)을 결합할 때 더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결합위치를 결정하는 스토퍼 기능도 겸한다.
또한, 하부집진통(210)에는 하부집진실의 상면 일부를 차단하는 차단판(26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집진실의 일측에는 흡입구(211)와 서로 통하는 제1하부집진실(210A)이 형성되고, 하부집진실의 타측에는 제2하부집진실(210B)로 구성되어 있다.
제1하부집진실(210A)은 제2하부집진실(210B)보다 그 깊이가 매우 깊다.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제1하부집진실(210A)은 실질적으로 공기유동통로(261)와 약간의 먼지 쌓이는 집진실로서만 기능하고, 제2하부집진실(210B)은 상대적으로 메인집진통의 기능을 하는 상부집진통(230)의 바닥판 기능을 한다.
따라서, 차단판(260)은 제1하부집진실(210A)로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먼지흡입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차단판(260)은 양쪽 공기유동통로(261)가 형성되도록 중심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역학적으로 바람직하다. 흡입구(211)에서 흡입되는 공기는 양쪽 공기유동통로(261)에서 1/2씩 압력으로 상부집진통(230)으로 밀어올리기 때문에 가능한 한 차단판(260)과 제2하부집진실(260B) 위에 쌓이게 된다.
한편 제1하부집진실(260A)에는 칸막이(27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칸막이(270)는 공기유동통로(261)에 쌓인 먼지가 제1하부집진실(260A)로 다시 들어오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칸막이(270)는 제1하부집진실(260A)의 바닥에 형성된 제1칸막이(270a)와, 차단판(260)의 밑면에 형성된 제2칸막이(270b)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칸막이(270a)는 흡입구(211)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형성되고, 제2칸막이(270b)는 차단판(260)의 양단 밑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칸막이(270a)와 제2칸막이(270b)는 지그재그 형태로 하여 역류를 최대한 방지하면서 흡입공기유동통로를 최대한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단판(260)의 양단 윗면에는 차단날개(263)가 더 형성되는 것이, 차단판(260)에 쌓인 먼지가 공기유동통로(261) 쪽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단날개(263)과 공기유동통로(261)의 경계부분에도 'L'자 형태의 차단벽(265)을 두어, 제2하부집진실(260B)에 쌓인 먼지가 공기유동통로(261) 쪽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차단판(260)은 힌지축(267)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힌지축(267)은 차단벽(265)에 형성된 힌지공(268)에 설치되어 있다.
차단판(260)은 록킹부(269)에 의해 하부집진통(210)에 록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쌓인 먼지를 버리기 위해 분해할 때 차단판(260)이 임의로 선회되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록킹부(269)는 제1하부집진실(260A)의 내벽에 형성된 록킹턱(269b)과 차단판(260)에 형성되어 록킹턱(269b)에 걸리는 록킹돌기(269a)로 구성하여 있다.
록킹돌기(269a)는 차단판(260)에서 외팔보 형태로 구현하여 록킹이나 해제시 전체적으로 록킹턱(269b)에 걸리게 하거나 해제하는 것보다 더 많은 탄성을 줄 수 있어 손쉽게 록킹 해제하여 차단판(26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부집진통(210)은 깊이가 깊은 제1하부집진실(210A)과 상대적으로 깊이가 얕은 제2하부집진실(210B)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브러쉬(170)가 장착되는 길이만큼 본체(110)의 전후방 길이를 종래와 같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제1하부집진실(210A)이 용기장착홈(153)에 깊게 장착되고 제2하부집진실(210B)은 용기장착홈(153)에 걸치게 장착되면 되기 때문에, 회전브러쉬를 사용하지 않는 기존 집진용기의 용기장착홈 보다 1/2만큼 줄어들게 차지하면 된다.
따라서, 회전브러쉬(170)의 공간만큼 용기장착홈(153)이 세이브하기 때문에, 본체(110)의 전체 길이는 늘어날 필요가 없다. 또한 세이브된 공간을 상부집진통(230)이 대체하여 먼지를 쌓을 수 있어, 동일한 본체(110) 크기를 유지하면서 회전브러쉬(170)의 장점인 카펫 청소와 먼지흡입력을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체(110)에 장착된 상태(바닥 청소 준비 중인 상태)에서는 상부집진통(230)은 메인집진통, 하부집진통(210)은 보조집진통으로 사용되어, 차단판(260)은 하부집진통(210)에 먼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본체(110)에서 벗어난 상태(쌓인 먼지를 제거할 상태)에서는 뒤집어서 하부집진통(210)을 열 때 하부집진통(210)의 제1하부집진실(210A)에 쌓인 먼지가 갑자기 쏟아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800)는 도 6,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인모터(810)와, 임펠러케이싱(830)과, 모터냉각케이싱(850)으로 구성하여 있다.
흡인모터(810)는 냉각팬을 갖는 모터구동부(811)와, 이 모터구동부(811)의 동력을 전달받는 임펠러부(813)로 구성하여 있다. 이 모터(810)는 모터장착홈(157)에 장착되어 있다.
임펠러부(813)는 회전중심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인하여 원주방향으로 배기하는 구조로서, 모터구동부(811)의 습기 등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한다.
임펠러케이싱(830)은 임펠러부(813)를 감싸는 원주케이스(831)와, 제1관통공(154)에 접속되는 흡인케이스(833)와, 원주케이스(831)에 형성된 배기구(835)로 구성하여 있다.
배기구(835)에는 터빈날개(71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흡입케이스(833)의 배기구(835)는 터빈날개(710)의 회전축 기능을 하면서 터빈날개(710)에 배기바람을 바로 분사해서 돌려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좁은 공간에서의 터빈날개(710)의 지지가 가능하여 콤팩트하면서 배기바람의 손실을 확실히 없앨 수 있다.
이 터빈날개(710)의 회전력은 회전동력전달부재(400)에 의해 회전브러쉬(170)을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카펫 청소와 흡인력 향상을 위해 사용하는 회전브러쉬(170)는 종래와는 달리 흡인모터(800)에서 배기되는 바람을 직접 이용하여 회전시키기 때문에 배기바람의 손실이 없어 소형모터로서 흡입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컨대 700W의 모터로 1000W의 효과(회전브러쉬의 회전에 따른 흡입력 향상)를 낼 수 있다.
회전동력전달부재(400)는 도 21 내지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빈날개(710)의 타단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동축(410)과, 구동축(410)의 회전력을 회전브러쉬(170)에 전달하는 벨트(430)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축(410)의 일단(411)에는 세레이션(또는 스플라인축)이 형성되어 터빈날개(710)의 보스(또는 스플라인)(711)에 삽입 끼워져 고정되고, 구동축(410)의 타단(413)에는 반달키 형태의 면취면이 형성되어 구동풀리(431)가 삽입 고정된다.
벨트(430)는 구동풀리(431)와 회전브러쉬(170)의 피동풀리(433)에 걸쳐져 있다. 벨트(430)는 벨트 중에서 회전전달력이 우수한 타이밍벨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타이밍벨트인 경우 구동풀리(431)와 피동풀리(433)는 치형을 갖는 풀리이다.
이러한 구동축(410)의 일단(411)측은 터빈날개(710)의 타단을 지지하고, 구동축(410)의 타단측은 마운팅부(44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마운팅부(440)는 구동축(410)의 타단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마운팅부(450)와 축지지마운팅부(450)를 상부케이스(150)에 고정하는 고정마운팅부(470)로 구성되어 있다.
축지지마운팅부(450)는 구동축(410)의 타단측을 지지하는 제1베어링(451)과 제2베어링(453), 제1베어링(451)과 제2베어링(453)을 지지하면서 고정마운팅부(470)에 고정되는 베어링 지지브라켓(460)으로 구성되어 있다.
베어링 지지브라켓(460)은 제1베어링(451) 및 제2베어링(453)의 외륜을 지지하는 제1외륜지지공(461) 및 제2외륜지지공(463)이 형성된 제1다리판(462) 및 제2다리판(464), 제1다리판(462) 및 제2다리판(464) 사이에 개구(465)가 형성되게 연결하는 연결판(466)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베어링 지지브라켓(460)은 프레스가공으로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연결판(466)의 전후방에는 체결공(467)이 형성되고, 피스 등에 의해 고정마운팅부(470)에 고정된다.
또한 연결판(466)에는 제1베어링(451)과 제2베어링(453)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468)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스페이서(468)는 제1베어링(451)과 제2베어링(453)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스페이서(468)는 연결판(466)의 'ㄷ'자 형태로 펀칭하면서 절곡한 절곡판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스페이서(468)를 간단히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스페이서(468)가 펀칭 절곡된 부분에는 관통공(46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베어링(451)과 제2베어링(453)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C형 링(452)(453)이 구동축(410)의 체결홈(415)(416)에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베어링 지지브라켓(460)의 구조는, 구동축(410)의 양쪽이 아닌 한쪽인 타측에 2개의 베어링으로 2점 지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공간을 확보하는 동시에 견고하고 확실한 회전을 행하는데 유리한 구조이다.
고정마운팅부(470)는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 지지브라켓(460)의 바깥부분을 둘러싸는 마운팅벽프레임(471)과, 이 마운팅벽프레임(471)의 전후방에 형성되어 연결판(466)이 놓이는 체결프레임(473)과, 마운팅벽프레임(471)의 좌우측에 형성되어 구동축(410)이 수용되는 수용홈(477)(478)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용홈(477)(478)의 전후에는 다리판(462)(464)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바(475)(476)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베어링 지지브라켓(460)의 다리판(462)(464)를 가이드바(475)(476)에 끼워 밑으로 삽입하면, 연결판(466)이 체결프레임(473)에 걸려 정지하면, 체결공(467)(473a)에 피스 등으로 체결하여 고정하면 된다.
한편, 상부케이스(150)의 하면에는 회전동력전달부재(400)가 설치되는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모터장착홈(157)과 회전브러쉬케이스(171) 사이는 서로 통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 공간을 통해 모터구동소음이나 배기바람이 흡입노즐(131)로 나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격벽(490)이 고정마운팅부(47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마운팅부(470)의 마운팅벽프레임(471)의 바깥 전후방에는 격벽(490)이 삽입 고정되는 격벽고정리브(499)(496)가 형성되어 있다.
격벽고정리브(499)(496)의 상면에는 삽입홈(491b)(494b)이 성형되어 있다.
격벽(490)의 하면에는 삽입홈(491b)(494b)에 삽입되는 삽입돌기(491a)(494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격벽(490)의 하면 전방에는 격벽고정리브(499)의 좌우에 끼워지는 끼움돌기(492)(493)가 형성되고, 하면 후방에는 격벽고정리브(496)가 끼워지는 끼움돌기(495)(49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격벽(470)의 하면 중앙에는 연결판(466)의 관통공(469)을 막는 마개(498)가 형성되어 있다.
모터구동부(810)에는 모터냉각케이싱(850)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냉각케이싱(850)의 원주면에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벤트홀(158)에 접속되는 냉각공기흡입구(853)와, 제2벤트홀(159)에 접속되는 냉각공기배기구(85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모터구동부(810)의 냉각팬(815)이 회전하면, 제1벤트홀(158)과 냉각공기흡입구(853)로 외부 공기를 흡입한다. 이 외부 흡입 공기는 냉각팬(815) 쪽으로 유동하면서 발생열을 빼앗는다. 이 가열된 공기는 냉각공기배기구(855)와 제2벤트홀(159)을 통해 외부로 방출한다.
이러한 모터구동부(810)의 냉각 유동에 의하여, 모터(810)의 크기를 줄이더라도 효율이 높아 필요한 용량으로 흡인 가능하다.
한편, 모터구동부(810)와 모터냉각케이싱(850) 사이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동분리패킹(860)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모터냉각케이싱(850) 내로 유입되면, 이 유입된 공기가 모터구동부(810)의 내부로 유동하고, 이 내부를 유동한 따뜻한 공기는 모터구동부(810)의 외주면으로 나와 냉각공기배기구(855)로 배출하여, 유입공기와 유출공기가 서로 만나지 않도록 하여 냉각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모터냉각케이싱(850)은 투명한 재질로 제작하여, 유동분리패킹(860)의 조립 여부를 육안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터빈날개(710)는 배기구(835)에 직결되어 바로 분사되고 있다.
따라서, 배기구(835)에서 나가는 배기바람을 배기바람제어부(870)로 제어함으로써, 회전브러쉬(170)의 회전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카펫의 종류에 따라 회전브러쉬(170)가 딱딱한 경우 2000rpm 정도, 소트프한 경우 300~500rpm 정도로 조절이 가능하다.
배기바람제어부(870)는 도 29 및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주케이 스(831)에 형성된 관통공(871)과, 이 관통공(871)을 개폐하는 개폐판(873)과, 이 개폐판(873)을 조작하는 조작버튼(875)으로 구성하여 하여 있다.
개폐판(873)은 상부케이스(15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개폐판(873)으로 관통공(871)을 완전히 막으면, 배기바람은 배기구(835)로만 나가고, 관통공(871)의 개방량에 따라 배기구(835)로의 바람세기는 점점 약해지기 때문에 회전도 그에 따라 천천히 돌게 된다.
메인 어셈블리(미도시)는 종래와 같이 외형을 이루는 전면장착케이스(미도시)와 배면장착케이스(미도시)로 분할한 하우징(미도시)과, 이 하우징(미도시)에 탑재되는 스팀발생부(미도시)로 구성하여 있다. 스팀발생부에서 발생한 스팀은 스팀분사공(133)을 통해 분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집진용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 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회전브러쉬를 사용하는 청소기라면 모터의 배기바람을 이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진공청소기의 베이스 어셈블리를 분리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서 커버 트레이를 제거한 베이스 어셈블리를 결합 도시한 정면 및 배면 사시도.
도 4는 도 2 및 도 3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패드부착트레이를 제거한 저면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승강부재를 분리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6a는 도 6의 승강부재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1의 결합 배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저면 사시도.
도 9는 도 7의 종단면도.
도 10은 도 2에서 집진용기를 제거한 정면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집진용기의 정면 및 저면 사시도.
도 13 및 도 14는 집진용기를 분해 도시한 정면 및 배면 사시도.
도 15는 필터부가 결합된 상부집진통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16 및 도 17은 하부집진통의 차단판 사용 상태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횡단면도.
도 19 내지 도 21은 하부케이스를 제거하여 주요 부분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22 및 도 23은 회전브러쉬의 회전동력전달부재를 도시한 분리 및 결합 사시도.
도 24는 베어링 지지브라켓의 저면 사시도.
도 25는 도 20의 횡단면도.
도 26 및 도 27은 회전동력전달부재와 터빈날개 사이를 차단하는 차단벽을 도시한 상면 및 저면 사시도.
도 28은 고정마운팅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베이스 어셈블리 110 : 본체
120 : 패드부착트레이 121 : 패드부착판
130 : 하부케이스 131 : 흡입노즐
133 : 스팀분사공 134 : 스팀분배덮개
140 : 커버트레이 145 : 카펫전용바퀴
150 : 상부케이스 151 : 회전브러쉬장착홈
153 : 용기장착홈 154 : 흡입관통공
155 : 리브 157 : 모터장착홈
158 : 제1벤트홀 159 : 제2벤트홀
160 : 결합부재 161 : 결합돌기
163 : 승강수용홈 165 : 이탈방지턱
170 : 회전브러쉬 171 : 회전브러쉬지지브라켓
190 : 승강지지부재 191 : 가이드홈
193 : 승강가이드 195 : 스프링
197 : 고정편 200 : 집진용기
210 : 하부집진통 211 : 흡입구
212 : 흡입구도어 213 : 필터장착공(배출구)
230 : 상부집진통 235 : 투시창
237 : 리프트홈 240 : 패킹
250 : 필터부 251 : 제1필터부
256 : 제2필터부 260 : 차단판
260A : 제1하부집진실 260B : 제2하부집진실
261 : 공기유도통로 262 : 받침돌기
263 : 차단날개 270 : 칸막이
300 : 넥 어셈블리 310,320 : 힌지부
400 : 회전동력전달부재 410 : 구동축
430 : 벨트 440 : 마운팅부
450 : 축지지마운팅부 451,453 : 베어링
460 : 베어링 지지브라켓 468 : 스페이서(절곡판)
470 : 고정마운팅부 490 : 격벽
710 : 터빈날개 800 : 모터 어셈블리
810 : 모터 811 : 모터구동부
813 : 임펠러부 815 : 냉각팬
830 : 임펠러케이싱 831 : 원주케이스
833 : 흡인케이스 835 : 배기구
850 : 모터냉각케이싱 853 : 냉각공기흡입구
855 : 냉각공기배기구 860 : 유동분리패킹
870 : 배기바람제어부
Claims (3)
- 본체에 장착되며, 흡입구가 형성된 하부집진통;상기 하부집진통의 상부에 배치되며, 배출구가 형성된 상부집진통;상기 상부집진통의 내에 설치되는 필터부;상기 하부집진통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패킹을 포함하여,상기 상부집진통과 상기 하부집진통이 결합시 상기 패킹에 의해 상기 상부집진통의 내주면을 밀폐시키면서 가압하는 진공청소기용 집진용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하부집진통은 상기 상부집진통을 개폐하는 진공청소기용 집진용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상부집진통의 외주면에는 리프트홈이 형성되고,상기 상부집진통의 내주면에는 상기 하부집진통의 상단이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고,상기 하부집진통에는 상기 걸림턱에 록킹되는 록킹부가 설치되는 진공청소기용 집진용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60916A KR20100001119A (ko) | 2008-06-26 | 2008-06-26 | 진공청소기용 집진용기 |
CN2008101868552A CN101612021B (zh) | 2008-06-26 | 2008-12-29 | 真空吸尘器用集尘容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60916A KR20100001119A (ko) | 2008-06-26 | 2008-06-26 | 진공청소기용 집진용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1119A true KR20100001119A (ko) | 2010-01-06 |
Family
ID=41492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60916A KR20100001119A (ko) | 2008-06-26 | 2008-06-26 | 진공청소기용 집진용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01119A (ko) |
CN (1) | CN101612021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25941A (ko) * | 2010-05-14 | 2011-11-22 | 주식회사 한경희생활과학 | 바닥 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 |
CN109124461B (zh) * | 2017-06-28 | 2024-03-15 |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 手持吸尘器及吸尘器组合件 |
-
2008
- 2008-06-26 KR KR1020080060916A patent/KR2010000111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8-12-29 CN CN2008101868552A patent/CN101612021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612021A (zh) | 2009-12-30 |
CN101612021B (zh) | 2012-02-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23202B1 (ko) | 진공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 | |
KR101023204B1 (ko) | 스팀진공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 | |
KR100837360B1 (ko) | 배기환류를 이용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 |
KR101340423B1 (ko) | 스틱형 진공청소기 | |
KR100361876B1 (ko) |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및 이것을 구비한 진공 청소기 | |
KR100654393B1 (ko) | 진공 청소기 | |
CA2689483C (en) | Vacuum bypass vent and vacuums incorporating such bypass vents | |
KR101071616B1 (ko) | 스팀진공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 | |
WO2018094776A1 (zh) | 用于油烟机的集烟罩和具有其的油烟机 | |
KR100889325B1 (ko) | 스팀진공청소기 | |
CN102878115A (zh) | 碎屑吹扫和/或抽吸装置 | |
JP2003204904A (ja) | 電気掃除機 | |
KR101012036B1 (ko) | 진공청소기용 집진용기 | |
KR20100001119A (ko) | 진공청소기용 집진용기 | |
KR101023203B1 (ko) | 진공청소기용 회전브러쉬 동력전달장치 | |
JP4748453B2 (ja) | 電気掃除機 | |
KR100813541B1 (ko) | 모터 어셈블리 및 이를 사용한 스팀진공청소기 | |
JP2013027447A (ja) | 電気掃除機 | |
KR101256102B1 (ko) | 진공청소기 | |
KR100813538B1 (ko) | 스팀진공청소기의 본체 | |
JP2001078938A5 (ko) | ||
KR200144971Y1 (ko) | 청소기 | |
KR200148060Y1 (ko) | 청소기 | |
KR200229266Y1 (ko) | 진공 청소기 | |
KR20210012401A (ko) | 진공청소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