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1105U - A breast-tie implements for easy tie and untie - Google Patents

A breast-tie implements for easy tie and unti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1105U
KR20100001105U KR2020080009815U KR20080009815U KR20100001105U KR 20100001105 U KR20100001105 U KR 20100001105U KR 2020080009815 U KR2020080009815 U KR 2020080009815U KR 20080009815 U KR20080009815 U KR 20080009815U KR 20100001105 U KR20100001105 U KR 201000011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
knot
string
knotted
t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981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덕순
Original Assignee
이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덕순 filed Critical 이덕순
Priority to KR20200800098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1105U/en
Publication of KR201000011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105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1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 A44B1/185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with quick, thread-like, anchoring means avoiding the use of a separate needle and thread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1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 A44B1/20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attached by thread visible to the front

Landscapes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Abstract

(1) 기술분야 : 한복에서 고름, 서양복에서 끈으로 칭하는 매듭 끈에 관한 것이다.(1) 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knot-strings referred to as pus in hanbok and strings in western clothes.

(2)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 기존 매듭 끈이 여밈과 장식의 역할을 하는 특징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분리할 수 있도록 제작하여 누구나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2) Problems to be solved: The existing knotted strings are designed to be separated while maint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stening and decoration, so that anyone can easily replace them.

(3) 과제의 해결수단 : 기존 고름의 끝 부분에 바이어스 끈을 구비하고 저고리에는 매듭 끈 연결기구를 추가하여 바이어스 끈을 매듭 끈 연결기구의 고리에 연결하여 매듭지도록 함으로써 저고리에 쉽게 연결하고 분리 가능하도록 제작하였다.(3) Solution to the problem: Equipped with a bias string at the end of the existing pus and a knot string connecting mechanism is added to the low ring so that the bias string can be knotted by connecting to the loop of the knot string connecting device so that it can be easily connected and detached from the low ring. It was made to.

(4) 효과 : 누구나 쉽게 새로운 고름으로 교체할 수 있고 분리하여 세탁 및 보관시 일어나는 불편함을 해소하였다.(4) Effect: Anyone can easily replace with new pus and separate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washing and storage.

고름, 옷고름, 매듭, 매듭끈, 끈 Pus, cloth, knot, knot, strings

Description

쉽게 연결 분리가 가능한 매듭 끈 연결기구와 바이어스 끈이 구비된 매듭 끈 {A breast-tie implements for easy tie and untie}Knot straps with easy-to-detach knot straps and bias straps {A breast-tie implements for easy tie and untie}

본 고안은 한복분야에서 고름, 서양복 분야에서 끈으로 칭하는 의복 및 장신구에 잠금과 여밈, 형체의 유지, 장식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매듭 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ot string used for locking and fastening, maintenance of shape, decoration, etc. in clothing and ornaments called pus in the field of Hanbok and Western clothing.

본 고안의 매듭 끈과 매듭 끈 연결기구를 적용하게 되는 제품으로는 한복 저고리를 포함하며 마고자, 두루막, 한복 치마 등의 한복과 코트, 조끼, 바지, 가운, 셔츠 등의 서양복(양장), 가방, 지갑 등 의복과 함께 실용적인 목적 또는 패션의 완성을 목적으로 함께 드는 제품을 포함한다. 또한 매듭 끈의 소재로는 원단을 소재로 하는 제품과 가죽 등 원단을 소재로 하지 않는 제품을 포함하고 매듭끈 연결기구의 재질로는 일반적인 플라스틱과 목재, 석재, 금속 등을 포함한다.Products to which the knot strap and knot strap conn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include a hanbok jeogori, western clothes (hair dress) such as coats, vests, pants, gowns, shirts, etc. It includes garments such as bags and purses, along with products brought together for practical or fashion completion. 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knot string includes products made of fabric and products not made of fabric, such as leather, and the material of the knot string connector includes general plastic, wood, stone, metal, and the like.

한복분야에서 고름, 서양복 분야에서 끈으로 통칭되는 의복 및 장신구에 잠금과 여밈, 형체의 유지, 장식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매듭 끈은 착용의 편리성 향상과 기능 개선을 위하여 매듭 단추의 활용, 고름이 형성된 옷고름의 개발, 단추의 사용, 지퍼의 사용 등 다양한 시도가 있어왔다.Knot straps are used for locking and fastening, retaining shape, and decoration of clothing and accessories commonly referred to as straps in the field of pus and western clothing in the field of hanbok.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develop pus-shaped pus, to use buttons, and to use zippers.

현대에는 일반인의 한복을 착용하는 횟수가 줄어들고 한복에 관심이 있는 사람만 즐겨 착용하고 있는데 여러벌의 한복을 보유한 경우 세트가 아닌 저고리와 치마에서는 일반적으로 치마와 어울리는 색상의 고름을 사용하는 한복의 특징으로 치마를 바꿔입을 때마다 한복 전문점에 방문하여 수선을 하거나 어울리지 않는 색상의 고름이 달린 저고리를 그대로 착용하고 있다.In modern times, the number of people wearing hanbok decreases, and only people interested in hanbok enjoy wearing it.If you have multiple sets of hanbok, it is characteristic of hanbok that uses pus of the same color as the skirt. Every time she changes her skirt, she visits a hanbok shop and wears jeogori with colored pus.

그리고 세탁시에는 세탁조의 회전에 의한 고름의 꼬임으로 저고리와 봉제된 부위가 가장 먼저 손상이 일어나는데 일반적으로 고름이 아니라 저고리의 몸체 부분에서 손상이 일어나 더 이상 저고리를 입지 못하고 버려야 하는 문제점이 일어나고 있다.And when washing, the first hook and the sewing part is damaged by twisting of the pus by the rotation of the washing tank. In general, damage occurs in the body part of the lower hook, not the pus, and thus no longer needs to wear the hook.

본 고안은 기존 고름이 여밈과 장식의 역할을 하는 특징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쉽게 연결하고 분리할 수 있도록 제작하여 누구나 쉽게 교환할 수 있고 분리세탁함으로써 세탁시에 회전에 의한 손상과 세제의 잘못된 사용으로 옅은 색상의 저고리에 짙은 고름의 색상이 배어나오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그리고 보관시에도 저고리와 분리하여 보관함으로써 고름의 탈색이 일어나는 문제를 해결하여 착용과 관리의 편리성을 도모하는데 있다. 더불어 한 벌의 저고리에 다양한 색상의 치마를 구비할 경우 각 치마 어울리는 고름을 쉽게 교체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be easily connected and disconnected while maint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pus as a fastening and decoration, so that anyone can easily exchange it and wash it lightly due to damage caused by rotation during washing and wrong use of detergent. It solves the problem of the color of dark pus being soaked in the low ring of color. In addition, by storing separately from the low ring during storage, the problem of discoloration of pus is solved to facilitate the wearing and management. In addition, if a pair of skirts of various colors are provided in a suit, each skirt can be easily replaced with the pus.

고름의 한쪽 끝 부분에 바이어스 끈을 구비하고 저고리에는 매듭 끈 연결기구를 구비하여 바이어스 끈을 매듭 끈 연결기구의 고리에 연결하여 매듭지도록 함으로써 저고리에 쉽게 연결하고 분리 가능하도록 제작하였다.A bias string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pus and a knot string connecting mechanism is provided at the low ring so that the bias string is knotted by being connected to the loop of the knot string connecting mechanism so that it can be easily connected and detached from the low ring.

종래 의복 및 장신구에 사용되던 고름의 단점인 바느질 공정을 통해서만 교환 가능한 점을 해결하고 바느질이 익숙하지 않은 남성이나 어린아이라도 누구나 쉽게 새로운 고름으로 교체할 수 있으며 의복 또는 장신구를 고름과 분리하여 세탁함으로써 연결부위에 일어나는 손상을 제거하였다. 또한 세제의 잘못된 사용으로 인하여 짙은 고름의 색이 옅은 저고리에 배어나오는 문제점을 해결하였고 보관시에도 고름은 별도로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였다.It solves the exchangeable point only through the sewing process, which is a disadvantage of pus used in traditional clothes and trinkets, and anyone who is not used to sewing can easily replace it with a new pus and wash clothes or jewelry separately from pus. Damage to the joints was eliminated. It also solved the problem that the color of dark pus was soaked in pale low ring due to the incorrect use of detergent, and the pus could be stored separate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매듭 끈 연결기구(10)의 사시도와 평면도로써 매듭 끈 연결기구(10)는 바이어스 끈과 연결하기 위한 고리(11), 고리를 지지하고 저고리와 연결되었을 때 힘을 받는 받침(12), 저고리와 봉제공정으로 연결하기 위한 바느질 구멍(13)으로 구성된다.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of the knotted string connect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knotted string connecting device 10 supports the ring 11 for connecting the bias string, and the ring is connected to the hook It consists of a receiving base 12, a sewing hole 13 for connecting the low ring and the sewing process.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매듭 끈 연결기구(10)의 측면도와 고름(14)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매듭 끈 연결기구(10)의 측면도로써 매듭 끈(14)에 구비된 바이어스 끈(15) 매기 위한 고리(11)는 아래쪽이 비어 있는 구조이다. 도 4의 고름(14)은 기존 한복 저고리 고름의 끝 부분에 바이어스 끈(15)을 추가한 것이다.3 and 4 is a side view of the knot-tie connection mechanis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llustration of the pus (14). 3 is a side view of the knot string connecting mechanism 10, the hook 11 for tying the bias string 15 provided in the knot string 14 has a hollow structure at the bottom thereof. The pus 14 of FIG. 4 is a bias string 15 is added to the end of the existing hanbok jeogori pus.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매듭 끈 연결기구(10)를 한복 저고리(20)에 부착하여 봉제공정으로 고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로써 매듭 끈 연결기구(10)의 받침에 뚫린 4개의 바느질 구멍(13)을 통하여 봉제기법으로 견고히 저고리에 고정한다. 도 5에서 저고리 왼쪽의 힘받이(21)는 저고리와 같은 재질의 원단으로 봉제기법으로 연결하였는데 일반적으로 얇은 천을 사용하는 한복 저고리에서 매듭 끈 연결기구(10)을 부착하고 매듭지었을 때 저고리(20)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ethod of attaching the knotted string connect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hanbok jeori ring 20 and fixing it in a sewing process (4 sewing holes drilled in the base of the knotted string connecting device 10 ( 13) It is fixed firmly to the hook by sewing. In Fig. 5, the left side of the support 21 is connected to the sewing method of the fabric of the same material as the low ring, but when the knot string connector (10) is attached and knotted in a hanbok low ring using a thin cloth, the low ring (20) This is to prevent damage to the product.

도 6a 내지 도 6c는 매듭 끈 연결기구(10)와 고름(11)을 연결하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고 있으며 분리는 연결의 역순이다.6A to 6C illustrate a series of processes for connecting the knotted tie linkage 10 and the pus 11 and the separation is in the reverse order of the connection.

도 6a는 고름(14)과 매듭 끈 연결기구(10)의 고리(11)를 연결하기 위한 과정으로 고름(14)의 끝 부분에 구비된 바이어스 끈(13)이 매듭 끈 연결기구(10)에 구비된 고리(11)의 아래쪽으로 통과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6A illustrates a process for connecting the hooks 11 of the pus 14 and the knot string connecting device 10 to the knot string connecting device 10 having a bias string 13 provided at the end of the pus 14. The figure which shows the state which passes below the provided ring 11.

도 6b는 고름(14)과 매듭 끈 연결기구(10)의 고리(11)를 연결하기 위한 과정으로 고름(14)의 나머지 한쪽이 매듭 끈 연결기구(10)의 고리(11) 아래쪽을 통과한 바이어스 끈(15)의 안쪽을 통과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6B is a process for connecting the hooks 11 of the pus 14 and the knotted string connecting device 10 in which the other side of the pus 14 passes under the hook 11 of the knotted string connecting device 10. The figure which shows the state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biasing string 15. FIG.

도 6C는 고름(14)의 바이어스 끈(15)이 매듭 끈 연결기구(10) 고리(11)에 매듭되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다.6C shows a state in which the bias string 15 of the pus 14 is knotted and fixed to the loop 11 of the knot string connecting mechanism 10.

이와 같이 부착이 완료된 고름은 결합 상태가 견고하여 매듭이 쉬 풀리지 않으나 착용자가 의도할 시에는 반대의 과정을 거쳐 쉽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한복전문점이나 의류 수선 전문점을 방문하지 않아도 착용자가 원하는 색상의 고름을 의복에 적용함으로써 치마의 색상 변화와 함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의복에서 간단한 수선만으로 본 고안에서 제시한 매듭 끈 연결기구와 고름을 사용할 수 있다.The pus that has been attached as such is hardly knotted because it is firmly bonded, but it can be easily separated through the reverse process when the wearer intends, so the pus of the color desired by the wearer can be removed without visiting a hanbok shop or clothing repair shop. Applied to clothing, various colors can be produced with changing the color of the skir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use the knotted string connecting device and pus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by simple repair in existing clothes.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매듭 끈 연결기구(10)의 사시도와 평면도이다.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of the knotted string connecting mechanis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매듭 끈 연결기구(10)의 측면도와 고름(14)의 예시도이다.3 and 4 is a side view of the knot-tie connection mechanis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llustration of the pus (14).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매듭 끈 연결기구(10)를 한복 저고리(20)에 부착하여 봉제공정으로 고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ethod of attaching the knotted string connecting mechanis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hanbok jeori ring 20 to fix in a sewing process.

도 6a 내지 도 6c는 매듭 끈 연결기구(10)와 고름(11)을 연결하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6A to 6C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 series of processes for connecting the knotted string connecting device 10 and the pus 11.

------------------------------------------------------------------------------------------------------------------------------- ---------------------------

10 ----- 매듭 끈 연결기구 11 ----- 고리10 ----- Knotted Straps Fittings 11 ----- Collar

13 ----- 바느질 구멍 14 ----- 고름13 ----- sewing hole 14 ----- pus

15 ----- 바이어스 끈15 ----- bias strap

Claims (1)

고름의 한쪽 끝 부분에 바이어스 끈을 구비하여 저고리에 부착된 매듭 끈 연결기구와 바이어스 끈이 매듭지도록 구성함으로써 고름을 쉽게 연결하고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매듭끈 연결기구 및 바이어스 끈이 구비된 고름One end of the pus is provided with a bias strap, a knot strap connector attached to the low hook, and a knot strap connector and a bias strap for easy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f the pus by configuring the bias strap to be knotted.
KR2020080009815U 2008-07-23 2008-07-23 A breast-tie implements for easy tie and untie KR20100001105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815U KR20100001105U (en) 2008-07-23 2008-07-23 A breast-tie implements for easy tie and unti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815U KR20100001105U (en) 2008-07-23 2008-07-23 A breast-tie implements for easy tie and unti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105U true KR20100001105U (en) 2010-02-02

Family

ID=44196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9815U KR20100001105U (en) 2008-07-23 2008-07-23 A breast-tie implements for easy tie and unti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1105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8058B2 (en) Clothing system having pants and interchangeable cuffs
US5699557A (en) Embroidered applique fastening system clothing articles
US20080092265A1 (en) Garment for selectively receiving interchangeable and reusable user customizable attachments
US9009866B2 (en) Convertible garment cuff
US20140196188A1 (en) Multifunctional garment system and method of use
US9700078B2 (en) Garment with removable and interchangeable components
WO2007087532A9 (en) Interchangeable garment
CN107920606A (en) Clothes with decoration back band
US20040154075A1 (en) Garment pairing device
US11089822B2 (en) Wearable elastic pairing device for clothing
KR20100001105U (en) A breast-tie implements for easy tie and untie
US20060049221A1 (en) Padded clothes hanger cover
JP2002536560A (en) Fiber products
KR200419537Y1 (en) Combination clothing
JP3205203U (en) Multipurpose yukata
KR20150004505U (en) Korean clothes with length adjustable extension member
Srivastava et al. Documentation of traditional costumes, textiles and accessories of Bhotia tribe of Uttarakhand
CN220756613U (en) Male soft-surface jacket convenient to detach
CN114711479B (en) Western-style clothes based on anti-stain antibacterial fabric
KR200435411Y1 (en) The structure of skirt provided by Jeans
JP5276051B2 (en) tie
Baby et al. An Application of Toda Embroidery on the Apparels and Accessories
US20070028366A1 (en) Novel articles and associated methods
US20170099894A1 (en) Body Wear Accessories
KR200440045Y1 (en) Accessory used in a ring of p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