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684A - Remote control system using laser and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Remote control system using laser and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0684A
KR20100000684A KR1020080060274A KR20080060274A KR20100000684A KR 20100000684 A KR20100000684 A KR 20100000684A KR 1020080060274 A KR1020080060274 A KR 1020080060274A KR 20080060274 A KR20080060274 A KR 20080060274A KR 20100000684 A KR20100000684 A KR 20100000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light
light receiving
light
laser
contro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02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98638B1 (en
Inventor
이재명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60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8638B1/en
Publication of KR20100000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6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6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80Arrangements in the sub-station, i.e. sens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PURPOSE: A remote control system using laser and a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for controlling a controlled apparatus by using a laser light are provided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a user by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movement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CONSTITUTION: A light receiving unit(30) has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sensors. The light receiving sensors receive the laser light. A controller(40) decides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The controller controls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The user establishes the kind of the control signal. An input unit(50) inputs the set up information of the user.

Description

레이저를 이용한 원격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REMOTE CONTROL SYSTEM USING LASER AND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Remote control system using laser and control method using sam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LASER AND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피제어기기를 제어하는 원격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 controlled device using a laser light.

일반적으로 전자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제어시스템은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코딩하여 전자신호를 출력하는 발신부와, 전자기기에 장착되어 발신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부에서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하여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In general, a remote control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transmitter for coding an input signal of a user and outputting an electronic signal, a receiver mounted on the electronic device to receive a signal output from the transmitter, and received from the receive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by decoding the signal.

이러한, 종래의 원격제어시스템은 코딩부와 디코딩부를 반드시 구비하여야 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하며,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Since the conventional remote control system must include a coding unit and a decoding unit, the structure thereof is complicated, and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레이저를 이용한 원격제어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원격제어시스템은 단순히 레이저광을 특정의 광센서에 맞추어 조사하여 피제어기기를 제어하는 방식이어서, 비교적 작은 크기의 광센서에 레이저광을 맞추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다수의 광센서를 이용하여 피제어기기를 제어하는 경우에는 원하지 않은 광센서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의도하지 않은 동작이 활성화되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laser has been developed. However, such a remote control system is a method of controlling a controlled device by simply irradiating a laser light to a specific optical sensor, so that a relatively small size of light Not only is it difficult to match the laser light to the sens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nintended operation is activated by irradiating the laser light to the unwanted optical sensor when controlling the controlled device using a plurality of optical sensors.

한편,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광센서의 크기를 크게 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으나, 수광부가 상대적으로 큰 광센서의 경우에는 가격이 상대적으로 고가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광부가 상대적으로 큰 광센서는 레이저광에 대한 민감도가 낮아 비교적 큰 광량을 갖는 광원을 요구하기 때문에 레이저포인터에서 출력되는 적은 광량을 갖는 레이저광으로는 피제어기기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method of increasing the size of the optical sensor may be considered, but in the case of the optical sensor having a large light receiving uni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ice is relatively expensive. In addition, since a light sensor having a large light receiving unit has a low sensitivity to laser light, it requires a light source having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light, so that a laser light having a small amount of light output from a laser pointer cannot precisely control the controlled device. There is a problem.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감지된 레이저광의 이동방향에 따라 전자기기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원격제어신호의 코딩 또는 디코딩을 요구하지 아니하므로 그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는 원격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y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detected laser light, coding of the remote control signal Or it does not require decoding, and to provide a remote control system and a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that can simplify the configura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시스템은, 레이저광을 수광하는 복수의 수광센서를 갖는 수광부와, 수광부의 레이저광의 감지정보로부터 레이저광의 이동방향을 판단하고, 레이저광의 이동방향에 따라 피제어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light receiving unit having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sensors for receiving the laser light, and the detection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from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laser light of the light receiving unit to determine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여기에서, 레이저광의 이동방향에 따라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피제어기기의 제어신호의 종류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설정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for inputting the user's setting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set the type of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d device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또한, 수광센서의 전면에 레이저광을 필터링하는 광필터가 구비되는 것이 외부환경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를 사전에 차단하는 데에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n optical filter for filtering the laser light on the front of the light receiving sensor to block in advance the noise that may be caus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그리고, 복수의 수광센서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sensors are preferably arranged in a square or rectangular shape.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시스템을 이용 한 피제어기기의 제어방법은 (a) 복수의 수광센서에 레이저광이 순차적으로 조사되는 단계와, (b) 수광센서의 감지정보로부터 레이저광의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단계와, (c) 레이저광의 이동방향에 따라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피제어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controlled device using a remo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the steps of (a) sequentially irradiating a laser light to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sensors, and (b) Determin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aser beam from the detected information, and (c) controlling the controlled device by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aser beam.

여기에서, (c)단계는 (b)단계에서 판단한 레이저광의 이동방향이 제1방향인 경우에는 피제어기기의 기능의 메뉴가 선택되도록 제어하고, (b)단계에서 판단한 레이저광의 이동방향이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인 경우에는 레이저광의 제1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선택된 메뉴에서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in step (c), i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determined in step (b) is the first direction, the menu of the function of the controlled device is selected so tha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determined in step (b) In the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he laser beam may be controlled to adjust a function in the selected menu by moving the laser light in the first direction.

또한, (c)단계는 레이저광의 제2방향으로의 적어도 1회 이상의 반복적인 이동에 의하여 선택된 메뉴에서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step (c)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adjust the function in the selected menu by at least one or more repetitive movement of the laser light in the second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시스템은 레이저광을 수광하는 수광부가 복수의 수광센서로 구성되고 레이저광의 이동방향을 감지하여 피제어기기를 제어하므로, 레이저광에 대한 민감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어 피제어기기의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The remo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sensors that receive the laser light and detects a moving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to control the controlled device, thereby maintaining a high sensitivity to the laser light. The effect is that precise control is possi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시스템은 피제어기기의 제어를 위하여 제어기기에서 송출되는 신호의 코딩부가 필요 없으며, 피제어기기의 수신부에서의 디코딩부를 요구하지 아니하므로, 그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제어기기 및 피제어기 기의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coding unit o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device for controlling the controlled device, and does not require a decoding unit at the receiving unit of the controlled device, thereby simplifying its configuration. Therefore, the number of parts of the controller and the controlled device can be reduc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a remo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시스템은 레이저광을 주사하는 레이저포인터(10)와, 레이저광을 수광하는 복수의 수광센서(20)를 갖는 수광부(30)와, 수광부(30)의 레이저광의 감지정보로부터 레이저광의 이동방향을 판단하고, 판단된 레이저광의 이동방향에 따라 피제어기기(100)를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and 2, the remo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aser pointer 10 for scanning laser light, and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sensors 20 for receiving the laser light. And a control unit 40 for determin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aser beam from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laser beam of the light receiving unit 30 and controlling the controlled device 100 according to the determined moving direction of the laser beam. Can be.

피제어기기(100)로는 텔레비전수상기, 에어컨, 컴퓨터, 오디오 등의 일반적인 전자기기를 포함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모든 전자기기 될 수 있다.The controlled device 100 may be any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remote control including a general electronic device such as a television receiver, an air conditioner, a computer, and an audio.

수광부(30) 및 제어부(40)는 피제어기기(10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수광센서(20)의 개수는 피제어기기(100)를 제어하고자 하는 기능에 따라 적절하게 정해질 수 있다.The light receiving unit 30 and the control unit 40 may be installed in the controlled device 100, and the number of the light receiving sensors 20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according to a function to control the controlled device 100.

한편, 수광센서(20)의 수광측에는 레이저광의 파장대만을 통과시키는 광필터(미도시)를 설치하는 것이 레이저광 이외의 빛 등의 외부환경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를 사전에 차단하는 데에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n optical filter (not shown) that passes only the wavelength band of the laser light on the light receiving side of the light receiving sensor 20 in order to block in advance the noise which may be caused by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light other than the laser light. Do.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광부(30)는, 레이저광의 이동방향을 정 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수광센서(20)가 대략 사각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광부(30)는 정사각형의 형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레이저광이 대각선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즉 도면 부호 71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감지된 경우) 에는 레이저광이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였는지의 구별이 모호해질 수 있으므로, 이를 더욱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수광센서(20)가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S. 3 and 4, in the light receiving unit 30, the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sensors 20 may be arrang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so as to accurately detect a moving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3, the light receiving unit 30 may be arranged in a square shape. In this case, when the laser light moves in a diagonal direction (that is, when it is detected to move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71), Since the distinction of whether the laser light ha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blurred,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sensors 20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More preferred.

즉,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광부(30)가 좌우로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 레이저광이 소정의 경사를 갖고 좌우로 길게 이동하더라도, 가장 왼쪽에 배치된 수광센서로부터 가장 오른쪽에 배치된 수광센서로 이동한 경우(도면 부호 72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감지된 경우)는 제어부(40)는 레이저광이 좌우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며, 가장 왼쪽 및/또는 가장 오른쪽 수광센서에는 레이저광이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한 경우(도면 부호 73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감지된 경우)에는 제어부(40)는 레이저광이 상하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수광센서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정밀하게 조작하지 아니하더라도 레이저의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으므로 조작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That is, for example, when the light receiving unit 3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long left and right as shown in Fig. 4, even if the laser light ha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d moves long left and right, from the light receiving sensor disposed on the left side In the case of moving to the rightmost light receiving sensor (when it is detected to move in the direction of reference numeral 72), the controller 40 determines that the laser light has moved left and right, and receives the leftmost and / or rightmost light. If the sensor moves to the left or right in a state in which the laser light is not detected (when it is sensed to move in the direction of reference numeral 73), the controller 40 may determine that the laser light has moved up and down. . Accordingly, when the light receiving sensor is arranged in a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4,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laser can be determined even if the user does not operate it precisely, thereby facilitating convenience of operation.

다만, 본 발명은 복수의 수광센서(20)가 사각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복수의 수광센서(20)는 원형, 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각 형상에 따른 이동 방향의 감지 또한 각 형상에 맞게 판단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sensors 20 arranged in a quadrangular shape, and the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sensors 20 may be arrang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and a triangl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sensing can also be determined for each shape.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시스템의 동작에 관하여, 피제어기기(100)로 일반적인 음향기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by taking a general sound device as the controlled device 100 as an example.

먼저, 사용자가 레이저포인터(10)의 조사방향을 수광부(30)쪽으로 위치시킨 후 레이저포인터(10)를 조작하여 레이저광을 조사하면서 레이저광을 수광부(30)의 상측에서 하측방향, 하측에서 상측방향, 좌측에서 우측방향 또는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수광부(30)의 복수의 수광센서(20)에는 레이저광이 순차적으로 조사된다. (S10)First, the user positions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laser pointer 10 toward the light-receiving unit 30, and then manipulates the laser pointer 10 to irradiate the laser light, while emitting the laser light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light-receiving unit 30, and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Direction, the left to right direction or the right to left direction, the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sensors 20 of the light receiving unit 30 is irradiated with laser light sequentially. (S10)

이때, 제어부(40)는 수광센서(20)의 감지정보로부터 레이저광의 이동방향을 판단하고(S20), 판단된 레이저광의 이동방향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제어신호를 송출하여(S30), 피제어기기(100)를 제어한다(S40).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40 determine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from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light receiving sensor 20 (S20), and transmits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determined moving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S30), the controlled device ( 100) (S40).

따라서, 피제어기기(100)는 레이저광의 이동방향에 따라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아래의 표 1과 같다.Accordingly, the controlled device 100 performs an operation set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for example, as shown in Table 1 below.

레이저광의 이동방향Movement direction of laser light 피제어기기의 동작Operation of Controlled Equipment 좌측에서 우측방향From left to right 채널의 탐색(FORWARD)Channel Search (FORWARD) 우측에서 좌측방향From right to left 채널의 탐색(BACKWARD)BACKWARD of Channel 상측에서 하측방향From top to bottom 소리 줄이기Reduce sound 하측에서 상측방향From bottom to top 소리 키우기Sound up

즉, 사용자는 레이저광을 수광부(30)의 좌측에서 우측방향 또는 우측에서 좌방향으로 스캔하면서 채널을 탐색할 수 있으며, 레이저광을 수광부(30)의 상측에서 하측방향 또는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스캔하면서 음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may scan the channel while scanning the laser light from the left side to the right side or the right side to the left side of the light receiving unit 30, and scan the laser light from the upper side of the light receiving unit 30 to the lower side or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You can adjust the sound volume.

한편, 표 1은 레이저광의 이동방향에 따른 피제어기기(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레이저광의 이동방향에 따른 피제어기기(100)의 동작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달라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able 1 is only one example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d device 100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d device 100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may be different from that described above. hav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시스템은 수광부(30)에서 감지된 레이저광의 이동방향에 따라 피제어기기(100)를 제어하게 되므로, 종래의 리모컨과 같이 사용자가 피제어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각 기능에 맞는 버튼을 누르는 등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기에 신호를 코딩하거나 디코딩하는 장치가 요구되지 아니하므로, 부품의 수를 줄여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emo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controlled device 100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detect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30, the user can control the same as a conventional remote control. In order to control the controlled devic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pressing a button corresponding to each function, and the device for coding or decoding the signal is not required for the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The effect is to simplify the configuration.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시스템은 수광부(30)가 복수의 광센서(20)로 구성되므로, 하나의 광센서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피제어기기를 제어하는 종래의 제어장치에서 발생되는 문제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remo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ight receiving unit 30 includes a plurality of optical sensors 20, the conventional control for controlling a controlled device by irradiating a laser light to one optical senso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liminate the problems caused by the device.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시스템의 구성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Hereinafter, a remo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The configuration of the remo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시스템을 이용하여 피제어기기(100)를 제어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레이저광의 상측에서 하측방향, 하측에서 상측방향, 좌측에서 우측방향 및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의 이동만으로 피제어기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6 shows an example of controlling the controlled device 100 by using a remo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aser beam is controll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the left side to the right side, and the right side to the left side. It shows that the various functions of the controlled device 100 can be controlled only by moving.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제어기기(100)의 모드메뉴 선택은 레이저광의 좌우방향의 스캔으로 결정되며, 선택된 메뉴에서의 기능설정은 레이저광의 상하방향의 스캔으로 결정된다.As shown in FIG. 6, the mode menu selection of the controlled device 100 is determined by scann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laser light, and the function setting in the selected menu is determined by scann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즉,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레이저광을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스캔하면 전원이 온상태가 되는 것과 동시에 채널모드로 메뉴가 변경되고, 채널모드에서 레이저광의 상하방향으로의 스캔에 의하여 채널탐색을 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user scans the laser light from the left to the right while the power is off, the power is turned on and the menu is changed to the channel mode, and the channel search is performed by scanning the laser light up and down in the channel mode. can do.

그리고, 채널모드에서 레이저광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의 스캔에 의하여 볼륨모드로 메뉴를 변경할 수 있으며, 볼륨모드에서 레이저광의 상하방향으로의 스캔에 의하여 음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In the channel mode, the menu may be changed to the volume mode by scanning from the left to the right of the laser light, and the volume of the sound may be adjusted by scanning the laser l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volume mode.

또한, 선택된 각 메뉴에서의 기능조절은 일회의 레이저광의 상하방향 스캔으로만 동작이 되는 것이 아니라,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의 반복적인 스캔에 의하여 저장된 파일을 지우는 도 6의 메모리모드 메뉴에서의 조작과 같이, 상측에서 하측방향 또는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의 적어도 1회 이상의 반복적인 스캔에 의하여 선택된 메뉴에서의 기능조절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function adjustment in each selected menu is not operated only by a single scan of the laser beam but also by the operation of the memory mode menu of FIG. 6 in which the stored file is erased by repetitive scan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direction. Likewise, it is also possible to adjust the function in the selected menu by at least one or more repetitive scan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r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이에 따라, 레이저광의 상하좌우의 방향으로의 스캔만으로 전원의 온/오프 기능, 채널탐색기능, 음향크기조절 및 메모리저장 및 소거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와, 선택된 각 메뉴에서 피제어기기(100)의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로 나누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경우, 도 6에서 도시한 것과 같은 단 네 단계의 제어뿐만 아니라 그 이상의 단계의 제어도 가능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ower on / off function, channel search function, sound size control, and memory storage and erasing are possible only by scanning the laser light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addition, when configuring the system divided into the step of selecting a menu as described above, and the step of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controlled device 100 in each selected menu, as well as the control of only four steps as shown in FIG. Further steps of control may also be possible.

이와 같이, 제어부는 레이저광의 좌우측방향으로의 스캔으로 피제어기기의 메뉴를 선택할 수 있으며, 레이저광의 상하측방향으로의 스캔으로 선택된 메뉴에서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메뉴선택 및 선택된 메뉴에서의 기능제어를 위한 레이저광의 이동방향은 상기한 바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레이저광의 상하측방향으로의 스캔으로 피제어기기의 모드메뉴가 선택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레이저광의 좌우측방향으로의 스캔으로 선택된 메뉴에서의 기능제어를 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As such, the controller may select a menu of the controlled device by scanning the laser light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control a function in the selected menu by scanning the laser light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Her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for menu selection and function control in the selected menu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may be set such that the mode menu of the controlled device is selected by scanning the laser l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Scann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light can be set to enable the function control in the selected menu.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시스템은 네 개의 방향의 이동에 의하여 피제어기기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remo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various functions of the controlled device by moving in four directions, and has an effect of further improving user convenience.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remo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시스템은 레이저광이 발산되는 레이저포인터(10)와, 레이저광을 수광하는 복수의 수광센서(20)를 갖고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수광부(30)와, 수광부(30)의 레이저광의 감지정보로부터 레이저광의 이동방향을 감지하고, 감지된 레이저광의 이동방향에 따라 피제어기기(100)를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and FIG. 8, the remo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aser pointer 10 through which laser light is emitted and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sensors 20 for receiving the laser light.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units 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is detected from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laser light of the light receiving unit 30, and the controlled device 100 is moved according to the detected moving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40 for controlling.

제어부(40)는 각 수광부(30)에서 감지되는 레이저광의 이동방향에 관한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피제어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40 may control the controlled device 100 by transmitting different control signals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n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detected by each light receiving unit 30.

또한, 레이저광이 하나의 수광부(30)과 그와 인접된 수광부(30)로 이동되는 경우, 제어부(40)는 이를 하나의 입력신호로 감지하여,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aser light is moved to one light receiving unit 30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30 adjacent thereto, the controller 40 may detect this as one input signal and transmit a control signal accordingly.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 세부적으로 설명한 제어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As a control method of the remo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ethod described in detail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may be applied.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시스템은 각각 복수의 수광센서(20)를 갖는 복수의 수광부(30)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제어부(40)는 각 수광부(30)로부터의 레이저광의 감지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신호를 송출하거나 조합하여 피제어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such that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units 30 each having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sensors 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controller 4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laser light from each of the light receiving units 30. The controlled device 100 may be controlled by transmitting or combining different control signals according to the detected information.

따라서, 피제어기기(100)가 갖는 기능들을 각 수광부(30)에 분산하여 할당할 수 있으므로, 피제어기기(100)가 다수의 기능을 갖는 경우에도 이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functions of the controlled device 100 can be distributed to each of the light receiving units 30, the functions of the controlled device 100 can be sufficiently coped even when the controlled device 100 has a plurality of functions.

<제4실시예>Fourth Embodiment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remo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시스템은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레이저포인터(10)와, 레이저광을 수광하는 복수의 수광센서(20)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수광부(30)와, 수광부(30)의 레이저광의 감지정보로부터 레이저광의 이동을 감지하고, 감지된 레이저광의 이동에 따라 피제어기기(100)를 제어하는 제어부(40)와, 레이저광의 이동정보에 따른 제어신호의 종류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설정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a remo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laser pointer 10 for irradiating laser light and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sensors 20 for receiving laser light. The control unit 40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laser light from the light receiving unit 30 and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laser light of the light receiving unit 30 and controlling the controlled device 100 according to the detected movement of the laser light, and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laser ligh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input unit 50 for inputting the setting information of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set the type of th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입력부(50)는 사용자가 레이저광의 이동방향에 따른 제어신호를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수광부를 구성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레이저광의 좌에서 우, 우에서 좌, 아래에서 위 또는 위에서 아래로의 주사가 각각 특정 동작을 실행시키도록 시스템의 프로그램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input unit 50 serves to allow a user to directly select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That is, in the case of constructing the light receiving portion as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user can program the system so that scanning from the left to the right, the right to the left, the bottom to the top or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laser light respectively executes a specific operation. It is possible to set.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레이저광의 각 이동방향에 따른 제어신호를 직접 설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ser can directly set th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each movement direction of the laser beam,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further improved.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시스템은 수광부(30)가 다수의 수광센서(20)로 구성되므로 광의 민감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으며, 레이저광의 이동방향을 감지하여 피제어기기(100)를 제어하므로, 하나의 광센서가 시스템의 동작과 연결되는 종래의 제어장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remo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ight receiving unit 3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sensors 20, the sensitivity of the light can be maintained high, and the control unit 100 is controlled by detecting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liminate the problems that can occur in the conventional control device that one optical sensor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광을 이용한 원격제어시스템은 영상기기, 음향기기 등 원격조정이 가능한 모든 전자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the laser l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y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remote control such as an image device, an audio device.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drawing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 Therefore,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시스템이 도시된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remo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원격제어시스템의 블럭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the remote control system of FIG.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원격제어시스템의 수광부가 도시된 개략도이다.3 and 4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a light receiving unit of the remote control system of FIG. 1.

도 5는 도 1의 원격제어시스템을 이용한 피제어기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controlled device using the remote control system of FIG. 1.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시스템의 제어기능이 도시된 블럭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function of a remo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시스템이 도시된 개략도이다.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remo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원격제어시스템의 블럭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of the remote control system of FIG.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시스템의 블럭도이다.9 is a block diagram of a remo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

10: 레이저포인터 20: 수광센서10: laser pointer 20: light receiving sensor

30: 수광부 40: 제어부30: light receiver 40: controller

50: 입력부:50: input unit:

Claims (7)

레이저광을 수광하는 복수의 수광센서를 갖는 수광부; 및A light receiving unit having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sensors for receiving laser light; And 상기 수광부에 감지되는 레이저광의 이동방향을 판단하고, 레이저광의 이동방향에 따라 피제어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시스템.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a moving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detect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and to control the controlled device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레이저광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의 종류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설정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가 더 포함되는 원격제어시스템.The remote control system further comprises an input unit for inputting the user's setting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set the type of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복수의 수광센서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시스템.And the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sensors are arranged in a square or rectangular shap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수광센서의 수광측에는 레이저광을 필터링하는 광필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시스템.And a light filter for filtering the laser light on the light receiving side of the light receiving sensor. (a) 복수의 수광센서에 레이저광이 순차적으로 조사되는 단계;(a) sequentially irradiating laser light to the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sensors; (b) 상기 수광센서의 감지정보로부터 레이저광의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단계; 및(b) determining a moving direction of a laser beam from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light receiving sensor; And (c) 상기 레이저광의 이동방향에 따라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피제어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시스템을 이용한 피제어기기의 제어방법.(c) controlling the controlled device by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c)단계는,Step (c) is, 상기 (b)단계에서 판단한 레이저광의 이동방향이 제1방향인 경우에는 피제어기기의 기능의 메뉴가 선택되도록 제어하고,I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determined in the step (b) is the first direction, the menu of the function of the controlled device is selected so as to be selected. 상기 (b)단계에서 판단한 레이저광의 이동방향이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인 경우에는 레이저광의 제1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선택된 메뉴에서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시스템을 이용한 피제어기기의 제어방법.When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determined in the step (b) is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it is controlled to control the function in the selected menu by the movement of the laser light in the first direction. Control method of controlled equipment using control system.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c)단계는 레이저광의 제2방향으로의 적어도 1회 이상의 반복적인 이동에 의하여 선택된 메뉴에서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시스템을 이용한 피제어기기의 제어방법.Step (c) is a control method of a controlled device using a remote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control the function in the selected menu by at least one or more repetitive movement of the laser light in the second direction.
KR1020080060274A 2008-06-25 2008-06-25 Remote control system using laser and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1009986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274A KR100998638B1 (en) 2008-06-25 2008-06-25 Remote control system using laser and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274A KR100998638B1 (en) 2008-06-25 2008-06-25 Remote control system using laser and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684A true KR20100000684A (en) 2010-01-06
KR100998638B1 KR100998638B1 (en) 2010-12-07

Family

ID=41811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0274A KR100998638B1 (en) 2008-06-25 2008-06-25 Remote control system using laser and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863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1812A (en) * 2014-10-07 2016-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electing and controlling a home network device
KR20210042463A (en) * 2019-10-10 2021-04-20 주식회사 오성전자 Motion Detection Remote Control with Sens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205B1 (en) * 2018-06-28 2020-03-30 양성환 Lamp for leading emergency exi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1812A (en) * 2014-10-07 2016-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electing and controlling a home network device
KR20210042463A (en) * 2019-10-10 2021-04-20 주식회사 오성전자 Motion Detection Remote Control with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8638B1 (en) 2010-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2000B2 (en) Display device and user interface
US8243287B2 (en) Projector
US20120169667A1 (en) Electronic device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JP4009862B2 (en) Multi-axis photoelectric sensor
JP2001228974A (en) Light receiver for coordinate detection, coordinate input/ detecting device, electronic blackboard, loading position detect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1484229B1 (en) Touch display device for vehicl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262095B1 (en) Display apparatus with motion sensing switch
KR100998638B1 (en) Remote control system using laser and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JP2012053840A (en) Optical touch device
JP2010541033A (en) Remote adjustment transmitter / receiver
US20140047895A1 (en) Light calibration device, biological detection calibration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044908B1 (en) Remote control system using laser
JP2007158641A (en) Photoelectric sensor
JP2008059123A (en) Touch panel device
US20080186412A1 (en) Remote Control with Integrated Optical Mouse Functionality
JP4637927B2 (en) Input device scan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JPS6033004A (en) Height measuring device
EP3483854B1 (en) Mechanical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JP4627741B2 (en) Display device
KR100751151B1 (en) User interface method and apparatus
KR101081754B1 (en) Apparatus for touch recognition and method for driving touch recognition using optical signal
KR20120035842A (en) Multi-touch on touch screen apparatus
KR200311058Y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laser reception member
JP2009205245A (en) Image reproduction system
KR20230006576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mart devices with a remote con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