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212A - Electronic toll collection device mounted to a room mirror - Google Patents

Electronic toll collection device mounted to a room mirr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0212A
KR20100000212A KR1020080059623A KR20080059623A KR20100000212A KR 20100000212 A KR20100000212 A KR 20100000212A KR 1020080059623 A KR1020080059623 A KR 1020080059623A KR 20080059623 A KR20080059623 A KR 20080059623A KR 20100000212 A KR20100000212 A KR 20100000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mirror
main body
connector
toll collection
high p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96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대승
Original Assignee
최대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대승 filed Critical 최대승
Priority to KR1020080059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0212A/en
Publication of KR20100000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21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07B15/063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using wireless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and a fixed st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 H01Q1/3266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using the mirror of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PURPOSE: An electronic toll collection apparatus mounted to a room mirror is provided to perform convenience of hi-pass system by supplying statistical information about toll payment amount to a driver. CONSTITUTION: An electronic toll collection apparatus(30) is mounted to a room mirror(10) of a vehicle. A display part(32) like an LCD panel is mounted to a bottom end of a front surface of the electronic toll collection apparatus. A driver confirms amount information including a residual amount and an amount processed by toll calculation through the display part. The display part is included in a top end of a main body of the electronic toll collection apparatus, and is formed in a right side or a left side of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toll collection apparatus. The electronic toll collection apparatus includes the main body including the display part and a connector mounted to the room mirror.

Description

룸미러에 장착되는 자동통행료징수 장치{Electronic toll collection device mounted to a room mirror}Electronic toll collection device mounted to a room mirror}

본 발명은 자동통행료징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차량의 룸미러에 장착되는 자동통행료징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toll collec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toll collection device mounted on a room mirror of a vehicle.

현재, 고속도로의 톨게이트에는 자동통행료징수(이하 "하이패스" 라함)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하이패스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톨게이트 입구에 하이패스 단말기(30)와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 등이 설치되고, 하이패스 단말기(30)가 설치된 차량이 상기 톨게이트를 통과할 때 통행료에 대한 결제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이다.Currently, toll gates on highways are equipped with automatic toll coll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high pass") systems. Briefly, the high pass will be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toll gate, the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th the high pass terminal 30, and the payment of the toll is automatically made when the vehicle having the high pass terminal 30 passes through the toll gate. It consists of a system.

이러한 하이패스 시스템은 요금소에서 차량이 주행 중에 무인으로 요금을 징수하므로 차량지체 해소는 물론 징수비용(인력) 절감 및 요금소 차선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많은 이점이 있어, 현재 하이패스가 적용된 톨게이트 구간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This high-pass system collects unattended fees while the vehicle is driving at the toll booth, which has many advantages in reducing vehicle delays, reducing collection costs (manpower), and reducing toll lane installation costs. This is an increasing trend.

이러한 하이패스 시스템의 이용을 위해, 사용자는 소정 금액이 충전된 하이패스 카드와 함께 하이패스 카드가 삽입되어 하이패스 시스템과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별도의 하이패스 단말기를 구입해야 한다. In order to use such a high pass system, a user must purchase a separate high pass terminal in which a high pass card is inserted together with a high pass card charged with a predetermined amount to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high pass system.

종래의 하이패스 단말기는 차량 실내의 대쉬보드(dash board) 상측에 테이프 등에 의해 부착되거나 앞 유리에 압착 방식 등으로 부착됨에 따라 차량의 실내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을뿐더러 차량의 충돌 등과 같은 사고 발생시 하이패스 단말기에 의해 운전자 등이 상해를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high pass terminal is attached to the upper side of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dash board) by a tape or the like by a crimping method on the windshield occupies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not only aesthetically good, but also collision of the vehicle When the same accident occur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river, etc. may be injured by the high-pass terminal.

특히, 차량 앞 유리에 압착 방식으로 하이패스 단말기를 부착하게 되면,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게 되어 사고의 위험성이 높아지게 된다. 현재에는 거의 모든 차량에 네비게이션 단말기 등의 전자장치가 구비되어 차량의 앞 유리에 부착되고 있어, 하이패스 단말기까지 앞 유리에 부착될 경우 운전자의 시각은 더욱 줄어들게 되는 문제가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high-pass terminal is attached to the vehicle windshield in a crimping manner, the driver's field of vision is obscured, which increases the risk of an accident. Currently, almost all vehicles are equipped with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navigation terminal, and are attached to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Therefore, when the high pass terminal is attached to the windshield, the driver's vision is further reduc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차의 공간을 최대로 활용하고 사고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는 룸미러에 장착되는 자동통행료징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o provide an automatic toll collection device mounted on a room mirror that can maximize the space of the vehicle and reduce the risk of an accident.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룸미러에 장착되는 자동통행료징수 장치는 통행료 정산을 처리하는 하이패스 모듈이 탑재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 또는 결합되어 차량의 룸미러에 장착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한다.Automatic toll collection device mounted on the room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mounted with a high-pass module for processing the toll settlement; And a connector provided or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be mounted to the room mirror of the vehicle.

여기서, 상기 커넥터는 공기 압축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룸미러의 후면에 부착되거나, 접착력을 갖는 상기 커넥터의 일부가 상기 룸미러의 후면에 접착되거나, 집게 형식으로 구현되어 상기 룸미러의 상단 및 하단을 집어 상기 본체를 상기 룸미러에 고정시킬 수 있다.Here, the connector is attached to the rear of the room mirror using an air compression method, or a portion of the connector having an adhesive force is bonded to the rear of the room mirror, or implemented in the form of tongs so that the top and bottom of the room mirror The main body can be fixed to the room mirror.

또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본체에 슬라이등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or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in a slit lamp.

그리고, 상기 하이패스 모듈의 통행료 정산에 다른 금액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룸미러의 후방에서 상기 자동통행료징수 장치가 장착된 경우 정면에서 보이도록 상기 본체의 정면 하단 또는 상단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display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display panel that displays different amount of money information in the toll settlement of the high pass module, wherein the display panel is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main body when the automatic toll collection device is mounted from the rear of the room mirror. It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bottom or top.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룸미러에 장착되는 자동통행료징수 장치는 통행료 정산을 처리하는 하이패스 모듈이 탑재된 본체; 및 상기 본체가 차량 룸미러의 후방에서 장착되는 경우, 정면에서 보이도록 상기 본체의 정면 하단 또는 상단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Automatic toll collection device mounted on the room mirr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mounted with a high-pass module for processing the toll settlement; And a display panel formed at the bottom or top of the front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viewed from the front when the main body is mount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room mirror.

여기서, 접착 방식, 공기 압축 방식 및 집게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룸미러에 상기 본체를 장착하기 위한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or for mounting the main body to the room mirror using any one of an adhesive method, an air compression method, and a forceps method.

본 발명에 따른 자동통행료징수 장치는 차량에 구비되는 룸미러에 장착됨으로써, 자동통행료징수 장치가 단독으로 구비될 경우에 비해 자동차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사고 발생시 위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automatic toll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on a room mirror provided in a vehicle, so that the automatic toll collection device can be used more efficiently than when the automatic toll collection device is provided alone, and reduce the risk in case of an accident. There is an advantage.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The term and / 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or any item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s thereof.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통행료징수 장치가 룸미러에 장착된 경우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패스 단말기 본체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1 and 2 are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when the automatic toll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room mirror, and FIGS. 3 and 4 are front views of a high pass terminal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And side view.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통행료징수 장치(30, 이하 "하이패스 단말기" 라 칭함)는 차량의 룸미러(room mirror, 10)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하이패스 단말기(30)가 단독으로 구비되어 차량의 대쉬보드 또는 앞 유리에 부착될 경우에 비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차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사고 발생시 위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1 to 4, the automatic toll collection device 3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high pa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mounted on a room mirror 10 of a vehicle.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high-pass terminal 30 is provided alone, so that the high-pass terminal 30 is attached to the dashboard or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There is an advantage.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패스 단말기(30)는 정면 하단 일측에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과 같은 디스플레이부(32)를 구비하여, 룸미러(10)의 후방에 장착되더라도 운전자가 디스플레이부(32)를 통해 통행료 정산에 따른 정산 처리된 금액, 잔여 금액 등의 금액 정보를 확인할 수 있 다. 물론, 디스플레이부(32)는 반드시 하이패스 단말기(30) 본체(34)의 정면 하단에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룸미러(10)의 상단에 나타나도록 본체(34)의 정면 상단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룸미러(10)의 측면에 나타나도록 본체(34) 정면의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1, the high pass terminal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unit 32, such as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ocated at one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front, and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room mirror 10. Even if the driver is mounted on the display unit 32, the driver can check the amount information, such as the settlement amount, the remaining amount according to the toll settlement. Of course, the display unit 32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formed at the front lower end of the main body 34 of the high-pass terminal 30, and unlike the illustrated figure, the main body 34 is shown at the top of the room mirror 10. It may be provided at the top of the front, or may be formed on the left or right of the front of the main body 34 to appear on the side of the room mirror 10 as well.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패스 단말기(30)는 디스플레이부(32)를 포함하는 본체(34) 및 룸미러(10)에 장착되기 위한 커넥터(200)를 포함한다.The high pass terminal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34 including the display unit 32 and a connector 200 to be mounted on the room mirror 10.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체(34)에는 톨게이트 등에 설치된 하이패스 시스템과 통신하여 통행료 정산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하이패스 모듈이 구비된다. 하이패스 모듈은 통행료 정산에 따른 정산 금액, 잔여 금액 등의 금액 정보를 디스플레이부(32)를 통해 출력하도록 기능한다. 하이패스 기능에 대해서는 하이패스 단말기(30)에 대한 기능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main body 34 is provided with a high pass module that communicates with a high pass system installed in a toll gate or the like to perform a function such as toll settlement. The high pass module functions to output the amount information such as the settlement amount, the remaining amount, etc. according to the toll settlement through the display unit 32. The high pass func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9, which shows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high pass terminal 30.

커넥터(200)는 룸미러(10)와 연결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패스 단말기(30)는 커넥터(200)를 통해 룸미러(10)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이패스 단말기(30)가 룸미러(10)의 후단에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룸미러의 전면 또는 측면 등에 장착될 수도 있다.The connector 200 is to be connected to the room mirror 10, and the high pass terminal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ounted to the room mirror 10 through the connector 20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igh pass terminal 30 is described as being mounted on the rear end of the room mirror 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ounted on the front or side of the room mirror.

커넥터(200)가 룸미러(10)에 장착되는 방법으로는, 접착력을 갖는 물질을 이용하여 접착될 수 있으며, 또는 공기를 압축하여 그 압력을 이용한 공기 압축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으며, 집게 형식으로 구현되어 룸미러(10)를 집어서 룸미러(1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한 커넥터(200)의 구현 방법에 대해서는 관련 도 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As the method of mounting the connector 200 to the room mirror 10, it may be bonded using a material having an adhesive force, or an air compression method using the pressure by compressing air may be used, in the form of tongs It may be implemented to pinch the room mirror 10 to be fixed to the room mirror (10).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connector 20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related drawings.

일실예에 따르면 커넥터(200)는 본체(34)에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착탈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룸미러(10)에서 커넥터(200)를 제외하고 하이패스 단말기(30)의 본체(34)만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체(34)와 커넥터(200)는 착탈 가능하도록 구현됨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nector 200 may be integrally implemented on the main body 34, 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to be detachable. Since the user may want to separate only the main body 34 of the high pass terminal 30 except the connector 200 from the room mirror 10, the main body 34 and the connector 200 may be detachable. It may be more desirable.

따라서, 본체(34)는 커넥터(200)와 결합하기 위한 연결부(3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2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36)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결합 방법은 커넥터(200)가 본체(34)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한 자석을 이용하는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Thus, the main body 34 may include a connection portion 36 for coupling with the connecto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200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ion 36 in a sliding manner as shown in FIGS. 3 and 4. Of course, this coupling method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such as using a magnet as long as the connector 200 can be s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34.

이하, 커넥터(200)가 룸미러(10)에 연결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in which the connector 200 is connected to the room mirror 10 will be described.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 방식을 이용한 커넥터를 도시한 측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게 방식을 이용한 커넥터 및 그 커넥터를 이용하여 하이패스 단말기가 룸미러에 장착된 예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5 and 6 are a side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a connector using an air compres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7 and 8 are a connector and a connector using the forcep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high-pass terminal is mounted on a room mirror.

우선 공기 압축 방식을 이용한 커넥터(200-1)를 도시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커넥터(200-1)는 본체 연결부(204-1) 및 룸미러 연결부(202-1)를 포함한다. First, referring to FIGS. 5 and 6, which show a connector 200-1 using an air compression method, the connector 200-1 includes a main body connector 204-1 and a room mirror connector 202-1. .

룸미러 연결부(202-1)는 룸미러(10)의 후면에 공기 압축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구현되며, 현재에도 차량의 앞 유리 등에 네비게이션 장치 등의 전자장치를 장착하기 위해 공기 압축 방식을 이용한 장착 수단들이 제공되고 있으므로, 룸미러 연결부(202-1)의 구현에 있어서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The room mirror connection unit 202-1 is implemented to be mounted on the rear of the room mirror 10 by an air compression method, and still uses the air compression method to mount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navigation device on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Since mounting means are provid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room mirror connection 202-1.

커넥터(200-1)는 본체 연결부(204-1)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34)의 연결부(36)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connector 200-1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36 of the main body 34 by the main body connecting portion 204-1 in a sliding manner.

상기한 공기 압축 방식과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커넥터(200-2)는 본체 연결부(204-2) 및 집게부(202-2)를 포함한다. 7 and 8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above-described air compression method, the connector 200-2 includes a main body connecting portion 204-2 and a tongs portion 202-2.

커넥터(200-2)의 집게부(202-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룸미러(10)의 상단과 하단을 집어 고정된다. 집게부(202-2)의 내부에는 스프링이 구비되어 이동부(700)가 위로 당겨지면 아래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며, 그로 인해 도 8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200-2)가 룸미러(10)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8, the forceps 202-2 of the connector 200-2 are fixed by pinch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room mirror 10. A spring is provided inside the tongs 202-2 so that a force is applied downward when the moving part 700 is pulled upward. Therefore, as shown in FIG. 8, the connector 200-2 has a room mirror ( 10) can be fixed tightly.

상기한 집게 방식 및 공기 압축 방식 외에도, 접착력을 갖는 커넥터(200)에 의해 하이패스 단말기(30)의 본체(34)가 룸미러(10)에 장착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커넥터(200)가 룸미러(10)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고 하이패스 단말기(30)의 본체(34)와는 자석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forceps and air compression methods, the main body 34 of the high pass terminal 30 may be mounted to the room mirror 10 by the connector 200 having an adhesive force, or the connector 200 may be It may be implemented to be adhered to the room mirror 10 by an adhesive and to be connected to the body 34 of the high pass terminal 30 by a magnet.

이하, 하이패스 단말기(30)의 기능에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function of the high-pass terminal 30 will be described.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패스 단말기의 기능블록도이다.9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high pa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패스 단말기(30)는 카드 인터페이 스부(500), 통신부(502), 저장부(504), 표시 처리부(506), 오디오 출력부(508) 및 제어부(51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9, the high pass terminal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ard interface unit 500, a communication unit 502, a storage unit 504, a display processing unit 506, an audio output unit 508, and a control unit. 510.

카드 인터페이스부(500)는 하이패스 단말기(30)에 삽입된 하이패스 카드의 금액 저장 모듈(4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510)와 하이패스 카드 사이의 인터페이싱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제어부(510)는 카드 인터페이스부(500)를 통해 하이패스 카드에 기록된 금액 정보를 독출하거나, 하이패스 시스템과의 통행료 처리 등에 따른 금액 정보를 갱신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The card interface unit 5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ney storage module 410 of the high pass card inserted into the high pass terminal 30 to perform an interfacing function between the control unit 510 and the high pass card. Accordingly, the controller 510 reads the amount of money information recorded in the high pass card through the card interface unit 500, or updates the amount of mone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oll processing with the high pass system.

통신부(502)는 차량이 하이패스 시스템을 통과하는 경우 하이패스 시스템과 무선으로 통신(적외선 통신 또는 RF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502)는 하이패스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한 주파수대역에 상응하는 안테나를 구비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502 performs a function of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high pass system (infrared communication or RF communication) when the vehicle passes through the high pass system. 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unit 502 may include an antenna corresponding to a frequency band for communicating with the high pass system.

통신부(502)와 하이패스 시스템 사이의 통신을 통해 하이패스 카드의 금액 저장 모듈(410)에 저장된 금액 정보가 갱신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금액 정보를 갱신하고 관리하는 기능은 제어부(5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제어부(510)에 의해 금액 저장 모듈(410)이 갱신되는 경우, 차감된 금액 또는 현재 잔액 등의 금액 정보가 구비된 디스플레이부(32) 및/또는 구비된 오디오 출력부(508)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510)는 표시 처리부(506)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32)가 금액 정보 등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The amount information stored in the amount storage module 410 of the high pass card may be updated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unit 502 and the high pass system. As described above, the function of updating and managing the amount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ler 510. When the amount storage module 410 is updated by the controller 510, the amount of money, such as a deducted amount or a current balance Information may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32 provided with the information and / or the audio output unit 508 provided therein. The controller 510 may control the display processor 506 to cause the display 32 to display price information.

제어부(510)는 금액 저장 모듈(204)에 저장된 현재 금액 정보 등을 독출하며, 하이패스 시스템을 통과하기 전에 현재 잔여 금액 정보가 통행료 결제가 가능 한 금액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통행료 결제가 가능하지 않을 경우 제어부(510)는 표시 처리부(506)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32) 또는 오디오 출력부(508)를 통해 잔액 부족을 알리는 텍스트 또는 음성과 같은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510)는 통신부(502)를 통해 하이패스 시스템과 통신하여 곧 하이패스 시스템을 통과할 것을 미리 예고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잔액에 의해 통행료를 결제할 수 있을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510 may read out the current amount information stored in the amount storage module 204 and may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remaining amount information is the amount to which the toll payment is possible before passing through the high pass system. If the toll payment is not possible, the controller 510 may control the display processor 506 to output a message such as text or voice informing of insufficient balance through the display 32 or the audio output unit 508. have. Here, the control unit 510 may communicate with the high pass system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502 in advance to advance the high pass system, thereby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pay the toll by the balance.

또한, 제어부(510)는 결제 처리가 완료되는 경우 결제 처리 결과 정보, 차감된 금액 정보, 차감 후 잔여 금액 정보를 연산 처리하여 표시 처리부(506)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32)를 통해 텍스트 형식 등으로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ayment processing is completed, the controller 510 operates the payment processing result information, the deducted amount information, and the remaining amount information after the deduction to control the display processing unit 506 to control the display processing unit 506 to form a text format. You can output

본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처리부(506)는 반드시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될 필요는 없으며, 프로그램과 같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어 제어부(5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display processing unit 506 is not necessarily implemented in hardware, but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such as a program and executed by the controller 510.

또한, 카드 인터페이스부(500), 통신부(502), 표시 처리부(506), 제어부(510) 등은 하나의 하이패스 모듈로써 하나의 장치로 구현되어 하이패스 단말기(30) 내부에 내장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ard interface unit 500, the communication unit 502, the display processing unit 506, and the control unit 510 may be implemented as one device as one high pass module and may be embedded in the high pass terminal 30. .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이패스 단말기(30)는 저장부(504)를 구비하면서 사용자 요청에 따라 통행료 결제와 관련된 통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 pass terminal 30 may include a storage unit 504 and provide statistical information related to toll payment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본 실시예에 따르면, 통행료 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 제어부(5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부(504)에는 결제된 금액 정보, 결제 시간 정보, 결제 장소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toll payment is made, the amount of payment information, payment time information, payment place information, etc.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504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510.

일반적으로, 선불식으로 운영되는 하이패스 카드에 있어서, 사용자가 너무 적은 금액을 충전하는 경우에는 차량 운행 중 잔액 부족으로 하이패스 시스템을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In general, in the prepaid high pass card, when the user charges too little money, the high pass system may not be available due to insufficient balance while driving the vehicle.

반면, 사용자의 차량 운행이 많지 않음에도 너무 많은 금액을 충전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선불식으로 불필요하게 많은 금액을 지불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손해가 발생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user does not have a lot of driving, if the user charges too much money, a prepaid unnecessarily large amount of money may cause damage to the user.

이를 위해, 소정 기간 주기로 사용자의 통행료 결제 금액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To this end, it may be desirable to calculate the toll payment amount of the user in a predetermined period.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제어부(510)는 저장부(504)에 저장된 정보를 독출하여 소정 기간 별로 통행료 결제 금액 정보를 산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Upon request of the user, the controller 510 reads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504 and calculates toll payment amount information for each predetermined period.

바람직하게, 월 단위로 통행료 결제 금액 정보를 산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됨이 없이 주 단위 또는 분기 단위와 다양한 기간 단위로 결제 금액 정보를 산출할 수도 있을 것이다. Preferably, the toll payment amount information may be calculated on a monthly basis, but the payment amount information may be calculated on a weekly or quarterly basis and various period units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또한, 제어부(510)는 전월 결제 금액 정보와 당월 결제 금액 정보를 동시에 산출할 수도 있으며, 이를 디스플레이부(32)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510 may simultaneously calculate the previous month's payment amount information and the current month's payment amount information, and may output the same through the display unit 32.

이처럼 통행료 결제 금액에 대한 통계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는 소정 기간 주기로 얼마의 금액을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하이패스 시스템 이용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When providing statistical information on the toll payment amount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check how much it is desirable to charge a predetermined period period can provide the user with convenience in using the high pass system.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many vari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통행료징수 장치가 룸미러에 장착된 경우의 정면도 및 평면도.1 and 2 are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when the automatic toll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room mirror.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패스 단말기 본체의 정면도 및 측면도.3 and 4 are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of the high-pass terminal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 방식을 이용한 커넥터를 도시한 측면도 및 정면도.5 and 6 are a side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a connector using an air compres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게 방식을 이용한 커넥터 및 그 커넥터를 이용하여 하이패스 단말기가 룸미러에 장착된 예시를 도시한 정면도.7 and 8 are front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high pass terminal is mounted on a room mirror using a connector using the forceps method and a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패스 단말기의 기능블록도.9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high pa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통행료 정산을 처리하는 하이패스 모듈이 탑재된 본체; 및A main body equipped with a high pass module for processing tolls; And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 또는 결합되어 차량의 룸미러에 장착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룸미러에 장착되는 자동통행료징수 장치.Automatic toll collection device that is provided or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is mounted to the room mirror including a connector for mounting on the room mirror of the vehicl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커넥터는 공기 압축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룸미러의 후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미러에 장착되는 자동통행료징수 장치.And the connector is attached to the rear of the room mirror using an air compression method.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접착력을 갖는 상기 커넥터의 일부가 상기 룸미러의 후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미러에 장착되는 자동통행료징수 장치.And a portion of the connector having an adhesive force is adher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room mirror.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커넥터는 집게 형식으로 구현되어, 상기 룸미러의 상단 및 하단을 집어 상기 본체를 상기 룸미러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미러에 장착되는 자동통행료징수 장치.The connector is implemented in a tong type, the toll collection device mounted to the room mirror, characterized in that to pick up the top and bottom of the room mirror to fix the main body to the room mirror.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커넥터는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미러에 장착되는 자동통행료징수 장치.And the connector is coupled to the main body in a sliding manner.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이패스 모듈의 통행료 정산에 따른 금액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더 포함하는 룸미러에 장착되는 자동통행료징수 장치.Automatic toll collection device mounted to the room mirror further comprises a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the amount of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oll settlement of the high-pass module.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룸미러의 후방에서 상기 자동통행료징수 장치가 장착된 경우 정면에서 보이도록 상기 본체의 정면 하단 또는 상단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미러에 장착되는 자동통행료징수 장치.The display panel is mounted on the rearview mirror of the room mirr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lower side or the upper side of the front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visible from the front when the automatic toll collection device is mounted from the rear of the room mirror. 통행료 정산을 처리하는 하이패스 모듈이 탑재된 본체; 및A main body equipped with a high pass module for processing tolls; And 상기 본체가 차량 룸미러의 후방에서 장착되는 경우, 정면에서 보이도록 상기 본체의 정면 하단 또는 상단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룸미러에 장착되는 자동통행료징수 장치.When the main body is mounted from the rear of the vehicle room mirror, the automatic toll collection device is mounted to the room mirror including a display panel formed on the lower front or the front of the main body to be seen from the front.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접착 방식, 공기 압축 방식 및 집게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룸미러에 상기 본체를 장착하기 위한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룸미러에 장착되 는 자동통행료징수 장치.And a connector for attaching the main body to the room mirror using any one of an adhesive method, an air compression method, and a forceps method.
KR1020080059623A 2008-06-24 2008-06-24 Electronic toll collection device mounted to a room mirror KR2010000021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623A KR20100000212A (en) 2008-06-24 2008-06-24 Electronic toll collection device mounted to a room mirr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623A KR20100000212A (en) 2008-06-24 2008-06-24 Electronic toll collection device mounted to a room mirr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212A true KR20100000212A (en) 2010-01-06

Family

ID=41810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9623A KR20100000212A (en) 2008-06-24 2008-06-24 Electronic toll collection device mounted to a room mirr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021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930B1 (en) * 2011-01-10 2012-05-31 동선산업전자주식회사 Sub mirror with high-pass tenminal fun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930B1 (en) * 2011-01-10 2012-05-31 동선산업전자주식회사 Sub mirror with high-pass tenminal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515385U (en) Use ETC device and operating vehicle on operating vehicle
KR20100000212A (en) Electronic toll collection device mounted to a room mirror
CN206067634U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rear-view mirror for automobile with ETC equipment
CN109727324A (en) On board unit
KR100887835B1 (en) Inside Room Mirror for Use in a Motor Vehicle
KR100815502B1 (en) Information apparatus for a vehicle
CN102446371B (en) There is E-payment system and the antenna assembly thereof of separate antennas device
KR20100123434A (en) Inside mirror providing with etc module and rear view image display
CN205706439U (en) A kind of inside rear-view mirror with ETC function
JP2001052218A (en) On-vehicle equipment for automatic toll collection system
KR100996409B1 (en) Cradle having hi-pass terminal function
CN100363204C (en) Automobile rear-vision mirror type GPS guiding system
CN210166831U (en) Electronic payment device
KR20130055810A (en)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a toll using cell phone
KR20090106672A (en) OBU System available communication with outer apparatus
KR20130010779A (en) Hi-pass system set up within room mirror of vehicle
KR20100000211A (en) Navigation-hipass system and navigation device and hipass terminal employed in the same
KR20160115268A (en) Highpass terminal ann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0452512Y1 (en) Attachable hipass terminal for inside mirror
CN214846833U (en) Electronic charging device
US20230080585A1 (en) On-board unit able to work in concert with in-vehicle head unit, vehicle system including same, and method of updating same
KR101984686B1 (en) Vehicle license plate charging system with high pass function
CN211577952U (en) Integrated terminal of taxi
KR20090132417A (en) Apparatus with electric toll collection function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CN211844267U (en) Vehicle-mounted electronic tag equipment install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