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077A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식별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식별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0077A
KR20100000077A KR1020080059431A KR20080059431A KR20100000077A KR 20100000077 A KR20100000077 A KR 20100000077A KR 1020080059431 A KR1020080059431 A KR 1020080059431A KR 20080059431 A KR20080059431 A KR 20080059431A KR 20100000077 A KR20100000077 A KR 20100000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femto
macro
serving
cs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9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1369B1 (ko
Inventor
권성오
이능형
정경인
권종형
김종인
이옥선
차화진
염호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9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1369B1/ko
Priority to US12/491,022 priority patent/US8085684B2/en
Publication of KR20100000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식별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인접 셀 리스트(NCL: Neighbor Cell List)를 저장하는 과정과, 주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서 해당 기지국의 물리 계층 식별자(PCID: Physical Cell IDentification)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된 인접 셀 리스트에 상기 확인된 물리 계층 식별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해당 기지국을 식별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상기 단말의 인접 셀 리스트(NCL)와 각 기지국의 물리 계층 셀 식별자(PCID)를 이용하여 매크로 기지국과 펨토 기지국을 식별하고 자신이 접속 가능한 펨토 기지국인지 여부를 식별함으로써, 표준 규격의 변화 없이 물리 계층에서 기지국을 식별하여 처리 시간과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펨토 셀(Femto cell), 펨토 기지국(Femto BS), 물리 계층 셀 식별자(PCID: Physical Cell IDentity), 매크로 셀(Macro cell), 매크로 기지국(Macro BS)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식별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BASE STATION IDENTIFY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식별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의 인접 셀 리스트(Neighbor Cell List)와 각 기지국의 물리 계층 셀 식별자(Physical Cell IDentification)를 이용하여 매크로 기지국과 펨토 기지국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cellular) 방식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는 셀 내의 지리적 요건, 단말과 기지국 간의 거리 혹은 단말의 이동으로 인하여 채널 상태가 열악해짐으로써, 상기 단말과 기지국 간의 통신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특히, 단말이 사무실 및 가옥과 같은 밀폐된 건물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기지국과 단말 간의 채널이 매우 열악해짐으로써 전파 음영 지역이 형성되며, 상기 전파 음영 지역에 위치한 단말은 기지국과 원활한 통신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상기 옥내 전파 음영지역의 서비스 문제를 해결하면서 높은 수준의 데이터 서비스를 더 많은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펨토 셀(Femto-cell) 개념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 펨토 셀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옥내에 설치된 광대역 망을 통해 이동 통신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펨토 기지국에 의해 형성되는 작은 셀 영역으로, 매크로 셀(macro-cell)에 비해 매우 작은 셀 영역을 가지기 때문에 하나의 매크로 셀 영역 내에 다수의 펨토 셀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펨토 기지국은 가입자가 직접 설치비용을 지불하고 직접 설치 및 제거 가능하며, 등록된 가입자만이 사용할 수 있는 제한을 가진다.
이에 따라, 종래의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시에 해당 기지국이 매크로 기지국인지 혹은 펨토 기지국인지 여부와 펨토 기지국일 경우 자신이 사용 가능한 펨토 기지국인지 여부를 식별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기지국 식별은 시스템 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자를 통해 가능하나, 상기 시스템 정보 메시지를 이용하는 식별 방법은 그 처리 시간이 길며, 처리를 위한 자원을 필요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 매크로 셀을 관장하는 매크로 기지국은 자신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각각의 펨토 셀을 관장하는 펨토 기지국에 하나의 물리 계층 셀 식별자(Physical Cell IDentification; 이하 'PCID'라 칭함)를 할당한다. 이때, 상기 매크로 기지국에서 펨토 기지국으로 할당할 수 있는 PCID의 개수는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매크로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에 펨토 기지국으로 할당할 수 있는 PCID보다 많은 수의 펨토 기지국들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상기 펨토 기지국들로 중복된 PCID를 할당하게 되고, 이 경우 단말은 동일한 PCID를 갖 는 펨토 기지국들을 구별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물리계층에서 상기와 같은 기지국 식별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기법이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어, PCID를 펨토용과 매크로용으로 구분하는 식별자를 이용하는 방법, 펨토 기지국의 PCID와 매크로 기지국의 PCID의 범위를 구분하는 방법, 그리고 펨토 기지국과 매크로 기지국의 주파수 대역을 다르게 사용하는 방법, 인접 셀 리스트(Neighbor Cell List; 이하 'NCL'이라 칭함)에 식별자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PCID를 펨토용과 매크로용으로 구분하는 식별자를 이용하는 방법과 NCL에 식별자를 이용하는 방법은 표준의 변경이 불가피하게 되어 기존 단말기는 지원할 수 없게 되고, 상기 PCID의 범위를 구분하는 방법은 사업자별, 지역별로 펨토 기지국과 매크로 기지국의 비율이 상이하여 PCID를 다르게 운용해야할 경우에 제약을 받게 된다. 또한, 상기 주파수 대역을 다르게 할 경우 사업자의 자원에 따라 지원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식별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표준 규격의 변화 없이 단말이 물리 계층에서 기지국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인접 셀 리스트(Neighbor Cell List)와 각 기지국의 물리 계층 셀 식별자(Physical Cell IDentification)를 이용하여 매크로 기지국과 펨토 기지국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인접 셀 리스트(Neighbor Cell List)와 각 기지국의 물리 계층 셀 식별자(Physical Cell IDentification)를 이용하여 단말이 접속 가능한 기지국인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식별 방법은,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인접 셀 리스트(NCL: Neighbor Cell List)를 저장하는 과정과, 주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서 해당 기지국의 물리 계층 식별자(PCID: Physical Cell IDentification)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된 인접 셀 리스트에 상기 확인된 물리 계층 식별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해당 기지국을 식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의 인접 셀 리스트(Neighbor Cell List) 생성 방법은, 상기 펨토 기지국 자신이 속한 매크로 기지국들의 물리 계층 셀 식별자(Physical Cell IDentification)를 포함하는 인접 셀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식별 장치는,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인접 셀 리스트(NCL: Neighbor Cell List)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서빙 기지국 및 주변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주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서 해당 기지국의 물리 계층 식별자(Physical Cell IDentification)를 확인하고, 상기 저장된 인접 셀 리스트에 상기 확인된 물리 계층 식별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해당 기지국을 식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의 인접 셀 리스트(Neighbor Cell List) 생성 장치는, 상기 펨토 기지국 자신이 속한 매크로 기지국들의 물리 계층 셀 식별자(Physical Cell IDentification)를 포함하는 인접 셀 리스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인접 셀 리스트(NCL)와 각 기지국의 물리 계층 셀 식별자(PCID)를 이용하여 매크로 기지국과 펨토 기지국을 식별하고 자신이 접속 가능한 펨토 기지국인지 여부를 식별함으로써, 표준 규격의 변화 없이 물리 계층에서 기지국을 식별하여 처리 시간과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인접 셀 리스트(Neighbor Cell List; 이하 'NCL'이라 칭함)와 각 기지국의 물리 계층 셀 식별자(Physical Cell IDentification; 이하 'PCID'라 칭함)를 이용하여 매크로 기지국과 펨토 기지국을 식별하고 자신이 접속 가능한 펨토 기지국인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해 설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표준 규격의 변화 없이 물리 계층에서 매크로 기지국과 펨토 기지국을 식별하기 위한 방안으로, 각 기지국에서 방송되는 NCL을 이용한다. 상기 NCL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셀 각각의 주파수 정보와 셀 ID 정보를 포 함한다. 이때, 상기 셀 ID 정보는 WCDMA, LTE, CDMA2000시스템의 경우 스크램블링 코드로 사용함으로써, 물리 계층에서의 인접 기지국 탐지를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라 매크로 기지국은 인접한 매크로 기지국들을 포함하는 NCL을 단말로 전송하고, 펨토 기지국은 자신이 속한 매크로 기지국들을 포함하는 NCL을 단말로 전송하며,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NCL을 저장 및 관리한다. 상기 단말은 새로운 NCL이 수신될 경우, 기존에 저장된 NCL 대신 새로운 NCL을 저장한다. 또한, 펨토 셀을 지원하는 단말은 자신이 접속할 수 있는 펨토 기지국들의 집합, 즉, 폐쇄 가입자 그룹(Closed Subscriber Group; 이하 'CSG'라 칭함)을 포함하는 매크로 셀의 정보를 핑거 프린트(finger print) 혹은 풋 프린트(foot print)로 저장한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단말이 F1과 F2를 자신의 CSG로 가질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CSG를 포함하는 매크로 셀 M1과 M2를 핑거 프린트로 저장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핑거 프린트는 각 펨토 셀별로 관리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펨토 기지국은 상기 NCL에 자신의 CSG를 포함하는 매크로 기지국 및 동일한 CSG에 속한 펨토 기지국들을 포함시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펨토 셀 F1의 기지국은 동일한 CSG에 속한 F2의 PCID와 상기 CSG를 포함하는 M1과 M2의 PCID를 포함하는 NCL을 생성하여 단말로 방송한다.
여기서, 상기 펨토 기지국이 NCL에 자신이 속한 매크로 기지국의 정보만을 포함할 경우, 모든 NCL은 매크로 기지국들의 정보만을 포함하게 됨으로써, 단말은 신호가 수신되는 기지국의 PCID가 NCL에 포함되어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기지국이 매크로 기지국인지 펨토 기지국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펨토 기지국이 NCL에 자신이 속한 매크로 기지국의 정보를 포함함과 동시에 자신의 CSG에 속한 펨토 기지국들의 정보를 포함시켜 방송할 경우, 단말은 신호가 수신되는 기지국의 PCID가 상기 NCL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기지국이 자신이 접속할 수 있는 기지국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NCL과 PCID를 이용하여 해당 기지국을 식별하는 단말의 구성과 절차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은 듀플렉서(400), 수신부(410), 송신부(420), 제어부(430), 저장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430)는 PCID 확인부(432)와 셀 식별부(43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저장부(440)는 NCL저장부(4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듀플렉서(400)는 듀플렉싱 방식에 따라 상기 송신부(420)로부터 제공받은 송신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로부터의 수신신호를 수신부(410)로 제공한다.
상기 수신부(410)는 상기 듀플렉서(400)로부터 제공받은 수신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430)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수신부(410)는 RF처리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OFDM 복조기, 복호화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RF처리기는 상기 듀플렉서(400)로부터 제공받은 고주파 신호를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는 상기 RF처리기로부터 제공받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샘플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OFDM복조기는 고속 푸리에 변환을 통해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로부터 제공받은 시간 영역의 샘플데이터를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복호화기는 상기 OFDM 복조기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미리 정해진 변조수준(MCS레벨)에 따라 복조 및 복호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단말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본 발명에 따라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NCL을 상기 저장부(440)로 제공하여 상기 NCL 저장부(442)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수신 신호의 PCID를 획득하여 상기 NCL에 포함된 PCID와 비교함으로써, 해당 기지국을 식별하기 위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즉, 상기 제어부(430)는 PCID확인부(432)를 통해 상기 수신부(410)로부터 제공받은 신호에서 매크로 기지국 및 펨토 기지국의 PCID를 확인하고, 상기 셀 식별부(434)를 통해 상기 확인된 PCID가 상기 NCL 저장부(442)에 저장된 NCL에 포함되어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기지국이 매크로 기지국인지 펨토 기지국인지 여부 및 상기 기지국이 접속 가능한 기지국인지 여부를 식별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기지국이 펨토 기지국일 경우 상기 셀 식별부(434)를 통해 자신이 현재 CSG 셀에 존재하는지 혹은 핑거프린트에 포함된 기지국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펨토 기지국이 자신이 접속 가능한 펨토 기지국인지 여부를 식별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430)는 유휴(idle) 상태에서 상기 기지국이 매크로 기지 국이거나 매크로 기지국 안에 있는 핑거 프린트에 속한 펨토 기지국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여 셀 정보를 획득하고, 자신이 접속 가능한 매크로 기지국 혹은 펨토 기지국인지 여부를 식별하여 트랙킹 영역(Tracking Area; 이하 'TA'라 칭함)을 갱신하기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반면, 상기 제어부(430)는 활성(active) 상태에서 상기 기지국이 매크로 기지국이거나 매크로 기지국 안에 있는 핑거 프린트에 속한 펨토 기지국으로 판단될 경우, 핸드오버를 위한 측정을 수행하여 측정된 결과를 서빙 기지국으로 보고하기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송신부(420)는 상기 제어부(430)의 제어에 따라 전송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듀플렉서(400)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송신부(420)는 부호화기, OFDM 변조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및 RF처리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부호화기는 상기 제어부(430)의 제어에 따라 전송 신호를 해당 변조수준(MCS레벨)에 따라 부호 및 변조하여 출력한다. 상기 OFDM변조기는 역 고속 푸리에 변환을 통해 상기 부호화기로부터 제공받은 주파수 영역 데이터를 시간 영역의 샘플데이터(OFDM심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는 상기 OFDM 변조기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샘플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RF처리기는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로부터 제공받은 기저대역의 아날로그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저장부(440)는 상기 단말의 전체적인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NCL 저장부(442)를 포함하여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NCL을 저장 및 갱신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440)는 상기 단말이 펨토 기지국을 지원하는 단말일 경우, 상기 단말이 접속할 수 있는 펨토 기지국들의 집합, 즉, CSG를 포함하는 매크로 셀의 정보를 핑거 프린트(finger print) 혹은 풋 프린트(foot print)로 저장한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상기 도 3의 구성을 바탕으로 단말이 기지국을 식별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도 3의 구성을 살펴보면, 매크로 기지국 M1, M2, M3와 펨토 기지국 F1, F2, F3, F4로 구성되며, 단말은 펨토 기지국 F1과 F2를 접속 가능한 기지국인 CSG로 갖고, 상기 CSG의 핑거 프린트로 M1과 M2를 저장한다.
상기 M1은 NCL에 인접 기지국 M2과 M3의 PCID를 포함하고, M2는 NCL에 M1과 M3의 PCID를 포함하며, M3는 NCL에 M1과 M2의 PCID를 포함하여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 F1과 F2는 상기 단말이 접속 가능한 펨토 기지국으로, NCL에 자신이 속한 매크로 기지국 M1과 M2의 PCID만을 포함하여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고, 상기 NCL에 CSG를 포함하는 매크로 기지국 M1과 M2 그리고 동일한 CSG에 포함된 펨토 기지국을 포함하여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즉, F1은 NCL에 M1과 M2 그리고 동일한 CSG 그룹에 속한 펨토 기지국인 F2의 PCID를 포함시켜 단말로 전송할 수 있고, F2는 NCL에 M1과 M2 그리고 동일한 CSG 그룹에 속한 펨토 기지국인 F1의 PCID를 포함시켜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F3과 F4는 상기 단말의 접속이 허용되지 않은 펨토 기지국으로, F3은 F1과 중복되는 지역을 가지며, F4는 상기 단말의 핑거프린트에 속하지 않는 매크로 기지국의 셀 내에 존재한다.
그리고,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a)~(g)는 단말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a)는 매크로 기지국 M1에서 단말이 이동하여 펨토 기지국 F1의 신호를 수신하게 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e)는 펨토 기지국 F1에서 단말이 이동하여 펨토 기지국 F2의 신호를 수신하게 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상술한 도 3의 구성을 근거하여 하기 도 5 및 도 6에서 단말의 기지국 식별 방법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유휴 상태인 단말에서 기지국을 식별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유휴 상태에서의 단말은 501단계에서 서빙 매크로 기지국 혹은 서빙 펨토 기지국으로부터 NCL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서빙기지국이 매크로 기지국일 경우 수신된 NCL은 인접한 매크로 기지국 정보만을 포함하고, 상기 서빙 기지국이 펨토 기지국일 경우 수신된 NCL은 상기 펨토 기지국이 속한 매크로 기지국 정보만을 포함하거나 상기 단말의 CSG를 포함하는 매크로 기지국과 상기 CSG에 속한 펨토 기지국들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은 503단계에서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수신 전력을 갖는 신호들로부터 해당 기지국들의 PCID를 확인하고, 5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확인된 각 기지국들의 PCID가 상기 저장된 NCL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여기 서, 상기 펨토 기지국이 NCL에 매크로 기지국의 정보만을 포함할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505단계만을 통해 해당 기지국이 매크로 기지국인지 펨토 기지국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으며, 상기 펨토 기지국이 상기 NCL에 동일한 CSG에 속한 펨토 기지국의 정보를 포함할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505단계를 통해 해당 기지국이 접속 가능한 기지국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만일, 상기 확인된 PCID가 상기 저장된 NCL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하기 507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확인된 PCID가 상기 저장된 NCL에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 하기 515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펨토 기지국이 NCL에 매크로 기지국의 정보만을 포함함을 가정하여 살펴보면, (c),(d)의 경우는 확인된 PCID가 NCL에 있게 되고, (a),(b),(e),(f),(g)의 경우는 확인된 PCID가 NCL에 존재하지 않게 된다. 반면, 상기 펨토 기지국이 NCL에 동일한 CSG에 속한 펨토 기지국의 정보를 포함함을 가정하여 살펴보면, (c),(d) 및 (e)의 경우에는 확인된 PCID가 NCL에 있게 되고, (a),(b),(f),(g)의 경우는 확인된 PCID가 NCL에 존재하지 않게 된다.
상기 단말은 515단계에서 상기 단말이 CSG 비지원 단말인지 여부를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CSG 비지원 단말은 서비스를 받을 CSG 셀이 없는 단말을 의미한다. 만일, 상기 단말이 CSG 비지원 단말일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503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반면, 상기 단말이 CSG 비지원 단말이 아닐 경우, 상기 단말은 517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빙 기지국이 상기 단말의 CSG에 속한 펨토 기지 국인지 혹은 매크로 기지국인지 여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서빙 기지국이 CSG에 속한 펨토 기지국인지 여부는 서빙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로 알 수 있다.
만일, 상기 단말의 서빙 기지국이 CSG에 속한 펨토 기지국일 시, 상기 단말은 상기 503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f)와 같이 수신된 신호의 기지국 F3이 서빙 기지국 F1의 NCL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서 상기 서빙 기지국 F1이 CSG에 속한 펨토 기지국인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F3에 접속할 수 없음을 판단한다. 여기서, 만일 상기 펨토 기지국의 NCL에 매크로 기지국들의 정보만을 포함함을 가정하면, 상기 도 3에서 (e)의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505와 517단계에 의해 상기 F2에 바로 접속하지 못하고, 상기 503단계로 되돌아가 M1 혹은 M2에 접속한 후 상기 F2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상기 단말의 서빙 기지국이 매크로 기지국일 시, 상기 단말은 51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서빙 매크로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 저장된 핑거 프린트에 속한 기지국인지 여부를 검사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a), (b), (g)와 같이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으며, 수신된 기지국의 신호가 NCL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매크로 기지국이 자신의 CSG를 포함하는 매크로 기지국인지 여부를 검사한다. 여기서, 만일 상기 단말이 핑거 프린트를 지원하지 않을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519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상기 517단계에서 하기 507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서빙 매크로 기지국이 핑거 프린트에 속하지 않을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503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매크로 기지국 M3를 서빙 기지국으로 하는 단말이 상기 (g)와 같이 이동하여 펨토 기지국 F4의 신호를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F4가 M3의 NCL에 포함되어 있지 않고 상기 매크로 기지국 M3가 핑거 프린트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상기 단말은 상기 F4에 접속할 수 없음을 판단한다.
반면, 상기 서빙 매크로 기지국이 핑거 프린트에 속할 경우, 상기 단말은 하기 507단계로 진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매크로 기지국 M1을 서빙 기지국으로 하는 단말이 상기 (a) 혹은 (b)와 같이 이동하여 펨토 기지국 F1 혹은 F3의 신호를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F1 혹은 F3이 M1의 NCL에 포함되어 있지 않고, 상기 매크로 기지국 M1이 핑거 프린트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기 단말은 상기 F1 혹은 F3가 접속 가능한 펨토 기지국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하기 507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면, 상기 단말은 507단계에서 상기 확인된 PCID에 해당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를 수신하여 해당 기지국의 정보를 확인한 후, 509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지국이 매크로 기지국 혹은 상기 단말의 CSG에 속한 펨토 기지국인지 여부를 검사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매크로 기지국 M1을 서빙 기지국으로 하는 단말의 경우, 상기 단말이 (c)와 같이 이동하여 인접 매크로 기지국 M2의 신호를 수신하거나 (a)와 같이 이동하여 자신의 CSG 셀에 속한 펨토 기지국 F1의 신호를 수신한 것인지 혹은 (b)와 같이 이동하여 자신이 CSG 셀에 속하지 않은 펨토 기지국 F3의 신호를 수신한 것인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해당 기지국이 매크로 기지국 혹은 상기 단말의 CSG에 속한 펨토 기지국이 아닐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해당 기지국으로 접속할 수 없음을 판단하고 상기 503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매크로 기지국 M1을 서빙 기지국으로 하는 단말의 경우, 상기 단말이 (b) 혹은 (g)와 같이 이동하여 자신이 CSG 셀에 속하지 않은 펨토 기지국 F3 혹은 F4의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펨토 기지국에 접속이 불가능하므로, 상기 503단계로 되돌아가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g)의 경우는 상기 핑거 프린트를 지원하지 않는 단말에 한하여, 상기 519단계를 수행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상기 509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반면, 상기 해당 기지국이 매크로 기지국 혹은 상기 단말의 CSG에 속한 펨토 기지국일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해당 기지국으로 접속할 수 있음을 판단하고 5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한 시스템 정보로부터 트랙킹 영역(TA)을 확인하여 기 저장된 트랙킹 영역과 비교한다. 상기 비교 결과 트랙킹 영역이 동일할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503단계로 진행하여 이하 단계를 재수행하고 상기 비교 결과 트랙킹 영역이 다를 경우, 상기 단말은 513단계로 진행하여 기지국으로 트랙킹 영역 갱신(TAU: Tracking Area Update)메시지를 전송하여 트랙킹 영역을 갱신하고 상기 503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활성 상태인 단말에서 기지국을 식별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유휴 상태에서의 단말은 601단계에서 서빙 매크로 기 지국 혹은 서빙 펨토 기지국으로부터 NCL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서빙기지국이 매크로 기지국일 경우 수신된 NCL은 인접한 매크로 기지국 정보만을 포함하고, 상기 서빙 기지국이 펨토 기지국일 경우 수신된 NCL은 상기 펨토 기지국이 속한 매크로 기지국 정보만을 포함하거나 상기 단말의 CSG를 포함하는 매크로 기지국과 상기 CSG에 속한 펨토 기지국들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은 603단계에서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수신 전력을 갖는 신호들로부터 해당 기지국들의 PCID를 확인하고, 6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확인된 각 기지국들의 PCID가 상기 저장된 NCL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펨토 기지국이 NCL에 매크로 기지국의 정보만을 포함할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605단계만을 통해 해당 기지국이 매크로 기지국인지 펨토 기지국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으며, 상기 펨토 기지국이 상기 NCL에 동일한 CSG에 속한 펨토 기지국의 정보를 포함할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605단계를 통해 해당 기지국이 접속 가능한 기지국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만일, 상기 확인된 PCID가 상기 저장된 NCL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하기 609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확인된 PCID가 상기 저장된 NCL에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 하기 613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펨토 기지국이 NCL에 매크로 기지국의 정보만을 포함함을 가정하여 살펴보면, (c),(d)의 경우는 확인된 PCID가 NCL에 있게 되고, (a),(b),(e),(f),(g)의 경우는 확인된 PCID가 NCL에 존재하지 않게 된다. 반면, 상기 펨토 기지국이 NCL에 동일한 CSG에 속한 펨토 기지국의 정보를 포함함을 가정하여 살펴보면, (c),(d) 및 (e)의 경우에는 확인된 PCID가 NCL에 있게 되고, (a),(b),(f),(g)의 경우는 확인된 PCID가 NCL에 존재하지 않게 된다.
상기 단말은 613단계에서 상기 단말이 CSG 비지원 단말인지 여부를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CSG 비지원 단말은 서비스를 받을 CSG 셀이 없는 단말을 의미한다. 만일, 상기 단말이 CSG 비지원 단말일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603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반면, 상기 단말이 CSG 비지원 단말이 아닐 경우, 상기 단말은 615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빙 기지국이 상기 단말의 CSG에 속한 펨토 기지국인지 혹은 매크로 기지국인지 여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서빙 기지국이 CSG에 속한 펨토 기지국인지 여부는 서빙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와 상기 단말이 저장하고 있는 화이트 리스트를 비교하여 알 수 있을 것이다.
만일, 상기 단말의 서빙 기지국이 CSG에 속한 펨토 기지국일 시, 상기 단말은 상기 603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f)와 같이 수신된 신호의 기지국 F3이 서빙 기지국 F1의 NCL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서 상기 서빙 기지국 F1이 CSG에 속한 펨토 기지국인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F3에 접속할 수 없음을 판단한다. 여기서, 만일 상기 펨토 기지국의 NCL에 매크로 기지국들의 정보만을 포함함을 가정하면, 상기 도 3에서 (e)의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605와 615단계에 의해 상기 F2에 바로 접속하지 못하고, 상기 603단계로 되돌아가 M1 혹은 M2에 접속한 후 상기 F2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상기 단말의 서빙 기지국이 매크로 기지국일 시, 상기 단말은 617단계 로 진행하여 상기 서빙 매크로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 저장된 핑거 프린트에 속한 기지국인지 여부를 검사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a), (b), (g)와 같이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으며, 수신된 기지국의 신호가 NCL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매크로 기지국이 자신의 CSG를 포함하는 매크로 기지국인지 여부를 검사한다. 여기서, 만일 상기 단말이 핑거 프린트를 지원하지 않을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617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상기 615단계에서 하기 609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서빙 매크로 기지국이 핑거 프린트에 속하지 않을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603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매크로 기지국 M3를 서빙 기지국으로 하는 단말이 상기 (g)와 같이 이동하여 펨토 기지국 F4의 신호를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F4가 M3의 NCL에 포함되어 있지 않고 상기 매크로 기지국 M3가 핑거 프린트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상기 단말은 상기 F4에 접속할 수 없음을 판단한다.
반면, 상기 서빙 매크로 기지국이 핑거 프린트에 속할 경우, 상기 단말은 하기 609단계로 진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매크로 기지국 M1을 서빙 기지국으로 하는 단말이 상기 (a) 혹은 (b)와 같이 이동하여 펨토 기지국 F1 혹은 F3의 신호를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F1 혹은 F3이 M1의 NCL에 포함되어 있지 않고, 상기 매크로 기지국 M1이 핑거 프린트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기 단말은 상기 F1 혹은 F3가 접속 가능한 펨토 기지국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하기 609단계로 진행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609단계에서 해당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여 핸드오버를 위한 신호 측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은 상기 해당 기지국이 펨토 기지국인 경우에 CSG에 속한 접속 가능한 펨토 기지국 즉, 화이트 리스트에 있는 펨토 기지국에 대해서만 신호 측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시스템의 요청에 따라 모든 CSG에 속한 펨토 기지국들에 대해서 신호 측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단말은 6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신호 측정 결과를 서빙 기지국으로 보고한 후, 상기 603단계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단말은 상기 수신된 시스템 정보를 통해 해당 기지국이 접속 불가능한 펨토 기지국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신호 측정 결과를 서빙 기지국으로 보고하는 상기 611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상기 603단계로 되돌아간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펨토 기지국은 듀플렉서(700), 수신부(710), 송신부(720), 제어부(7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730)는 NCL 생성부(7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듀플렉서(700)는 듀플렉싱 방식에 따라 상기 송신부(720)로부터 제공받은 송신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로부터의 수신신호를 수신부(710)로 제공한다.
상기 수신부(710)는 상기 듀플렉서(700)로부터 제공받은 수신신호를 기저대 역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730)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수신부(710)는 RF처리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OFDM 복조기, 복호화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RF처리기는 상기 듀플렉서(400)로부터 제공받은 고주파 신호를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는 상기 RF처리기로부터 제공받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샘플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OFDM복조기는 고속 푸리에 변환을 통해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로부터 제공받은 시간 영역의 샘플데이터를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복호화기는 상기 OFDM 복조기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미리 정해진 변조수준(MCS레벨)에 따라 복조 및 복호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730)는 상기 펨토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본 발명에 따라 NCL 생성부(732)를 포함하여 인접 셀 리스트(Neighbor Cell List)를 생성하여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이때, 상기 NCL 생성부(732)는 상기 펨토 기지국 자신이 속한 매크로 기지국들의 정보만을 포함하는 NCL을 생성할 수도 있고, 자신의 CSG 셀을 포함하는 매크로 기지국 및 동일한 CSG에 속한 펨토 기지국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NCL을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펨토 기지국 F1은 자신이 속한 매크로 기지국 M1과 M2의 정보만을 포함하는 NCL을 생성할 수도 있고, 동일한 CSG에 속한 펨토 기지국 F2와 상기 CSG를 포함하는 매크로 기지국 M1과 M2의 정보를 포함하는 NCL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NCL은 리스트 내에 포함된 각 기지국들의 PCID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부(720)는 상기 제어부(730)의 제어에 따라 전송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듀플렉서(700)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송신부(720)는 부호화기, OFDM 변조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및 RF처리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부호화기는 상기 제어부(730)의 제어에 따라 전송 신호를 해당 변조수준(MCS레벨)에 따라 부호 및 변조하여 출력한다. 상기 OFDM변조기는 역 고속 푸리에 변환을 통해 상기 부호화기로부터 제공받은 주파수 영역 데이터를 시간 영역의 샘플데이터(OFDM심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는 상기 OFDM 변조기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샘플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RF처리기는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로부터 제공받은 기저대역의 아날로그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의 펨토 기지국에서 인접 셀 리스트를 생성 및 방송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펨토 기지국은 자신이 속한 매크로 기지국들을 확인하고, 803단계로 진행하여 자신이 속한 폐쇄 가입자 그룹(CSG)에 속한 다른 펨토 기지국들과 상기 폐쇄 가입자 그룹을 포함하는 매크로 기지국들을 확인한다.
이후, 상기 펨토 기지국은 805단계에서 상기 확인된 매크로 기지국들과 펨토 기지국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NCL을 생성하고, 8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생성된 NCL 을 단말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NCL은 상기 확인된 매크로 기지국들과 펨토 기지국들의 정보로 각 기지국의 물리 계층 셀 식별자(PCID)를 포함한다.
이후, 상기 펨토 기지국은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기 도 8에서는, 상기 펨토 기지국이 CSG에 속한 펨토 기지국들과 상기 CSG를 포함하는 매크로 기지국들의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NCL을 생성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상기 펨토 기지국은 자신이 속한 매크로 기지국들의 정보만을 포함하는 NCL을 생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펨토 셀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각 기지국이 방송하는 인접 셀 정보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이동 가능한 시나리오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유휴 상태인 단말에서 기지국을 식별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활성 상태인 단말에서 기지국을 식별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의 펨토 기지국에서 인접 셀 리스트를 생성 및 방송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Claims (26)

  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식별 방법에 있어서,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인접 셀 리스트(NCL: Neighbor Cell List)를 저장하는 과정과,
    주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서 해당 기지국의 물리 계층 식별자(PCID: Physical Cell IDentification)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된 인접 셀 리스트에 상기 확인된 물리 계층 식별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해당 기지국을 식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셀 리스트는,
    상기 서빙 기지국이 매크로(Macro) 기지국인 경우 인접한 매크로 기지국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빙 기지국이 펨토(Femto) 기지국인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이 속한 매크로 기지국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기지국을 식별하는 과정은,
    상기 저장된 인접 셀 리스트에 상기 확인된 물리 계층 식별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해당 기지국을 매크로 기지국으로 식별하는 과정과,
    상기 해당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기지국을 식별하는 과정은,
    상기 저장된 인접 셀 리스트에 상기 확인된 물리 계층 식별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해당 기지국을 펨토 기지국으로 식별하는 과정과,
    상기 서빙 기지국이 자신의 폐쇄 가입자 그룹(CSG: Closed Subscriber Group)에 포함된 펨토 기지국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서빙 기지국이 자신의 CSG에 포함된 펨토 기지국이 아닐 경우, 상기 서빙 기지국이 핑거 프린트에 포함된 매크로 기지국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핑거 프린트에 포함되지 않은 매크로 기지국인 경우, 상기 해당 기지국이 접속 불가능한 펨토 기지국임을 식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기지국이 자신의 CSG에 포함된 펨토 기지국인 경우, 상기 해당 기지국을 접속 불가능한 기지국으로 식별하고 신호가 수신되는 다른 기지국을 식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기지국이 핑거 프린트에 포함된 매크로 기지국인 경우, 상기 해당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시스템 정보로부터 해당 기지국 정보를 확인하여 CSG에 속한 접속 가능한 기지국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기지국이 매크로(Macro) 기지국인 경우 인접한 매크로 기지국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빙 기지국이 펨토(Femto) 기지국인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이 속한 매크로 기지국의 정보와 동일한 CSG에 속한 펨토 기지국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기지국을 식별하는 과정은,
    상기 저장된 인접 셀 리스트에 상기 확인된 물리 계층 식별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해당 기지국이 접속 가능한 기지국임을 식별하는 과정과,
    상기 해당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기지국을 식별하는 과정은,
    상기 저장된 인접 셀 리스트에 상기 확인된 물리 계층 식별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빙 기지국이 자신의 CSG에 포함된 펨토 기지국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서빙 기지국이 자신의 CSG에 포함된 펨토 기지국이 아닐 경우, 상기 서빙 기지국이 핑거 프린트에 포함된 매크로 기지국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핑거 프린트에 포함되지 않은 매크로 기지국인 경우, 상기 해당 기지국이 접속 불가능한 펨토 기지국임을 식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기지국이 자신의 CSG에 포함된 펨토 기지국인 경우, 상기 해당 기지국을 접속 불가능한 기지국으로 식별하고 신호가 수신되는 다른 기지국을 식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기지국이 핑거 프린트에 포함된 매크로 기지국인 경우, 상기 해당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시스템 정보로부터 해당 기지국 정보를 확인하여 CSG에 속한 접속 가능한 기지국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의 인접 셀 리스트(Neighbor Cell List) 생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펨토 기지국 자신이 속한 매크로 기지국들의 물리 계층 셀 식별자(Physical Cell IDentification)를 포함하는 인접 셀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인접 셀 리스트에 자신의 폐쇄 가입자 그룹에 속한 펨토 기지국들과 상기 폐쇄 가입자 그룹을 포함하는 매크로 기지국들의 물리 계층 셀 식별자를 포함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식별 장치에 있어서,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인접 셀 리스트(NCL: Neighbor Cell List)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서빙 기지국 및 주변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주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서 해당 기지국의 물리 계층 식별자(Physical Cell IDentification)를 확인하고, 상기 저장된 인접 셀 리스트에 상기 확인된 물리 계층 식별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해당 기지국을 식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셀 리스트는, 상기 서빙 기지국이 매크로(Macro) 기지국인 경우 인접한 매크로 기지국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빙 기지국이 펨토(Femto) 기지국인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이 속한 매크로 기지국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인접 셀 리스트에 상기 확인된 물리 계층 식별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해당 기지국을 매크로 기지국으로 식별하고, 상기 수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해당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인접 셀 리스트에 상기 확인된 물리 계층 식별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해당 기지국을 펨토 기지국으로 식별하고, 상기 서빙 기지국이 자신의 폐쇄 가입자 그룹(CSG:Closed Subscriber Group)에 포함된 펨토 기지국이 아닐 경우, 상기 서빙 기지국이 핑거 프린트에 포함된 매크로 기지국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핑거 프린트에 포함되지 않은 매크로 기지국인 경우, 상기 해당 기지국이 접속 불가능한 펨토 기지국임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빙 기지국이 자신의 CSG에 포함된 펨토 기지국인 경우, 상기 해당 기지국을 접속 불가능한 기지국으로 식별하고 상기 수신부를 통해 신호가 수신된 다른 주변 기지국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빙 기지국이 핑거 프린트에 포함된 매크로 기지국인 경우, 상기 해당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해당 기지국이 CSG에 속한 접속 가능한 기지국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기지국이 매크로(Macro) 기지국인 경우 인접한 매크로 기지국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빙 기지국이 펨토(Femto) 기지국인 경우, 상기 펨토 기지국이 속한 매크로 기지국의 정보와 동일한 CSG에 속한 펨토 기지국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인접 셀 리스트에 상기 확인된 물리 계층 식별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해당 기지국이 접속 가능한 기지국임을 식별하고, 상기 수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해당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인접 셀 리스트에 상기 확인된 물리 계층 식별자가 존재하지 않고, 상기 서빙 기지국이 자신의 CSG에 포함된 펨토 기지국이 아닐 경우, 상기 서빙 기지국이 핑거 프린트에 포함된 매크로 기지국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핑거 프린트에 포함되지 않은 매크로 기지국인 경우, 상기 해당 기지국이 접속 불가능한 펨토 기지국임을 식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빙 기지국이 자신의 CSG에 포함된 펨토 기지국인 경우, 상기 해당 기지국을 접속 불가능한 기지국으로 식별하고 상기 수신부를 통해 신호가 수신된 다른 주변 기지국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빙 기지국이 핑거 프린트에 포함된 매크로 기지국인 경우, 상기 해당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기지국이 CSG에 속한 접속 가능한 기지국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의 인접 셀 리스트(Neighbor Cell List)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펨토 기지국 자신이 속한 매크로 기지국들의 물리 계층 셀 식별자(Physical Cell IDentification)를 포함하는 인접 셀 리스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인접 셀 리스트에 자신의 폐쇄 가입자 그룹에 속한 펨토 기지국들과 상기 폐쇄 가입자 그룹을 포함하는 매크로 기지국들의 물리 계층 셀 식별자를 더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80059431A 2008-06-24 2008-06-24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식별 방법 및 장치 KR101191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431A KR101191369B1 (ko) 2008-06-24 2008-06-24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식별 방법 및 장치
US12/491,022 US8085684B2 (en) 2008-06-24 2009-06-24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431A KR101191369B1 (ko) 2008-06-24 2008-06-24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식별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077A true KR20100000077A (ko) 2010-01-06
KR101191369B1 KR101191369B1 (ko) 2012-10-15

Family

ID=41431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9431A KR101191369B1 (ko) 2008-06-24 2008-06-24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식별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085684B2 (ko)
KR (1) KR1011913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172B1 (ko) * 2008-11-19 2015-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펨토셀 환경에서의 인접 셀의 종류와 액세스 모드 식별 방법 및 시스템
GB2465664B (en) * 2008-11-27 2011-02-09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determining an access mode of cel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573940B1 (ko) * 2009-11-06 2015-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매크로 셀들과 소형 셀들을 포함하는 오버레이 네트워크에서 셀 운영 방법 및 시스템.
EP2852209B1 (en) * 2010-01-08 2017-03-2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transmit/receive unit for providing CSG cell identity information to an eNodeB
US8400949B2 (en) * 2011-01-07 2013-03-19 Renesas Mobile Corporation Limited system information decoding for automatic neighbor relations in mobile networks
US8831619B2 (en) * 2011-07-21 2014-09-09 Alcatel Lucent Method of sharing information between base stations associated with different network technologies and the base stations
CN102917392B (zh) * 2011-08-05 2016-03-09 华为技术有限公司 小区测量和测量控制的方法及设备
US8838031B2 (en) * 2011-10-03 2014-09-16 Qualcomm Incorporated Alternative path configuration for peer-to-peer networking
SG11201604510RA (en) * 2013-12-05 2016-07-28 Huawei Tech Co Ltd Redirec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KR102500592B1 (ko) * 2016-10-20 2023-02-1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 내 선택적 망 접속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78580B (zh) 2005-10-04 2012-10-17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Ip连接的无线电基站的无线电网络控制器选择
US8265033B2 (en) * 2007-08-13 2012-09-11 Telefonakatiebolaget Lm Ericsson (Publ) Closed subscriber group cell hando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316595A1 (en) 2009-12-24
KR101191369B1 (ko) 2012-10-15
US8085684B2 (en) 2011-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1369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식별 방법 및 장치
US8095156B2 (en) User equipment and method use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48596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웃목록을 갱신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US10306543B2 (en) Base station discovery and association in cellular networks
KR101607130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허용된 펨토 셀을 검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70870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에 등록된 단말의 펨토 기지국 측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524283B1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절차와 그에 따른펨토 기지국의 송신기 파워 제어 방법 및 장치
US8140081B2 (e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US2011011174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ell search in multi-tier communication systems
KR101613845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이 효율적으로 비코닝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80101301A1 (en) Handover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KR101671264B1 (ko)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을 식별하기 위한 기술
US8630649B2 (en) Terminal, method for handover thereof and supporting method for handover of base station
KR20120070297A (ko) 펨토셀 기지국 탐색 시스템 및 방법
KR20090115030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 구별 장치 및 방법
KR101592537B1 (ko) 단말,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및 기지국의 핸드오버 지원 방법
US10645632B2 (en) Physical cell ID allocation
KR101574640B1 (ko) 계층적 셀 구조를 갖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작은 셀 구별 방법 및 장치
KR20080103658A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방송메시지 생성 방법 및 장치
KR20100131304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인접 기지국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20068245A (ko) 기지국의 송신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과 그를 위한 무선통신 시스템
KR20100133283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인접 기지국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