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074U - The sole of a shoe - Google Patents
The sole of a sho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00074U KR20100000074U KR2020080008500U KR20080008500U KR20100000074U KR 20100000074 U KR20100000074 U KR 20100000074U KR 2020080008500 U KR2020080008500 U KR 2020080008500U KR 20080008500 U KR20080008500 U KR 20080008500U KR 20100000074 U KR20100000074 U KR 20100000074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le
- midsole
- shoe
- heel
- shan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6—Pieced sole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의 뒤축에서 발생되는 하중과 충격이 분산되도록 하면서, 신발 밑창의 아치 부위에 대한 지지 및 뒤틀림 방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발의 피로와 스트레스가 최소화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기능성 신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w type of functional shoes that can minimize the fatigue and stress of the foot by allowing the load and impact generated from the heel of the foot to be distributed, and to prevent the support and warp of the arch portion of the shoe sole.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발바닥이 얹히는 부위를 이루는 중창; 지면과 맞닿는 앞 발바닥 부위로써, 상기 중창의 바닥면 중 전방측에 고정되는 전방 바닥창; 지면과 맞닿는 뒷굽 부위로써, 상기 중창의 바닥면 중 후방측에 고정되는 후방 바닥창; 그리고, 전방측 부위는 전방측 끝단으로 갈수록 서로 이격되면서 힐 센터 라인을 기준으로 볼 때 좌측 및 우측으로 각각 갈라지게 형성된 상태로 상기 중창과 상기 전방 바닥창 사이에 고정되고, 후방측 부위는 중심 부위가 상기 힐 센터 라인을 따라 위치되면서 상기 중창과 상기 후방 바닥창 사이에 고정되는 생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이 제공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dsole constituting the site of the sole; A front sole which is fixed to the front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idsole as a front sole portion contacting the ground; A rear sole which is fixed to a rear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idsole as a heel portion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the front portion is fixed between the midsole and the front outsole in a state that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toward the front end toward each other toward the left and the right when viewed from the heel center line, the rear portion is the center portion Is provided along the heel center line is provided with a shoe so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hank: fixed between the midsole and the rear sole.
신발 밑창, 후방 바닥창, 생크, 하중 분산, 만곡부, 튀틀림 해소 Shoe soles, rear soles, shanks, load distribution, flexures and traction
Description
본 고안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발의 뒤축에서 발생되는 하중과 충격이 분산되도록 하면서, 신발 밑창의 아치 부위에 대한 지지 및 뒤틀림 방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발의 피로와 스트레스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기능성 신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more specifically, to distribute the load and impact generated from the heel of the foot, while supporting the arch portion of the sole of the shoe can be prevented and to prevent distortion of the foot can be minimized To one new type of functional shoes.
일반적으로 신발은 발등 부위를 이루는 갑피와, 바닥 부위를 이루는 밑창으로 구성된다.In general, shoes are composed of an upper that forms the instep and a sole that forms the bottom.
상기 밑창은 해당 신발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재질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통상 신발의 바닥 부위를 이루는 중창(mid-sole)과, 상기 중창의 저면 중 전방측에 형성되는 전방 바닥창(out-sole) 및 상기 중창의 저면 중 후방측에 형성되면서 뒷굽을 이루는 후방 바닥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ole is formed of various materials and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use of the shoe, the midsole (sole) forming the bottom portion of the shoe, and the front outsole (out-sole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bottom of the midsole) And a rear sole formed at the rear side of the bottom of the midsole and forming a heel.
특히, 상기 후방 바닥창과 상기 중창 사이에는 신발이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뒤틀리는 등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생크(shank)가 설치되며, 이는,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01799호 및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74380호에 개시된 바와 같다.In particular, a shank is installed between the rear sole and the midsole so as to minimize the deformation of the shoe, such as twisted by the user's weight, which is registered in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01799 As disclosed in 20-0374380.
이때, 상기한 생크는 일자형의 금속 판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후방 바닥창과 상기 중창 사이에 부착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shank is formed between the rear sole and the midsole while being formed of a straight metal plate.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생크의 구조는 다양한 신발의 뒤틀림 형태에 따른 대응은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structure of the shank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that can not be made according to the twisting form of the various shoes.
즉, 전술한 일자형의 생크는 통상 라스트 센터 라인(발뒤꿈치와 앞꿈치의 중심 간을 연결한 선)을 기준으로 설치됨에 따라 보행시 체중의 변동에 따른 적절한 대응은 이루어지지 못하였던 것이다.In other words, the above-described straight shank is generally installed based on the last center line (a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heel and the heel), so that the proper response due to the change in weight during walking was not achieved.
뿐만 아니라 전술한 종래의 일자형 생크는 단순히 평면으로만 형성되기 때문에 인체의 발로부터 제공되는 수직 하중을 단순히 받쳐주는 역할만 수행할 뿐 분산시키지는 못하였던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해 발의 피로와 스트레스를 해소하기에는 미흡하여 장기적인 달리기를 위한 신발에는 그 적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straight shank is simply formed in a flat surface, so it only serves to support the vertical load provided from the human foot, but has not been distributed, thereby eliminating foot fatigue and stres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shoe for long term running.
또한, 전술한 종래의 생크는 바닥창과 중창 사이에 설치됨에 있어서 상기 바닥창의 형상에 따라 끝부분의 일부만이 고정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고정 설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던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shank has a problem that the fixed installation is not made as a whole because only a part of the end is fix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outsole in the installation between the sole and the midsole.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발의 뒷축에서 발생되는 수직 하중 및 충격을 원활히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밑창의 전 부위로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의 피로와 스트레스가 해소될 수 있도록 하고, 안정적인 장착 상태의 유지가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생크가 설치된 신발용 밑창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moothly absorb the vertical load and the impact generated from the rear axle of the foot and to distribute it evenly to all parts of the sole. It is possible to relieve foot fatigue and stress, and to provide a shoe sole with a new shank structure that can maintain a stable mounting stat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신발 밑창은 발바닥이 얹히는 부위를 이루는 중창; 지면과 맞닿는 앞 발바닥 부위로써, 상기 중창의 바닥면 중 전방측에 고정되는 전방 바닥창; 지면과 맞닿는 뒷굽 부위로써, 상기 중창의 바닥면 중 후방측에 고정되는 후방 바닥창; 그리고, 전방측 부위는 전방측 끝단으로 갈수록 서로 이격되면서 힐 센터 라인을 기준으로 볼 때 좌측 및 우측으로 각각 갈라지게 형성된 상태로 상기 중창과 상기 전방 바닥창 사이에 고정되고, 후방측 부위는 중심 부위가 상기 힐 센터 라인을 따라 위치되면서 상기 중창과 상기 후방 바닥창 사이에 고정되는 생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Shoe 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idsole constituting the sole portion; A front sole which is fixed to the front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idsole as a front sole portion contacting the ground; A rear sole which is fixed to a rear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idsole as a heel portion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the front portion is fixed between the midsole and the front outsole in a state that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toward the front end toward each other toward the left and the right when viewed from the heel center line, the rear portion is the center portion The shank is positioned along the heel center line and is fixed between the midsole and the rear sole.
여기서, 상기 생크의 후방측 중앙 부위인 뒷굽의 중심 부위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상기 부위를 기준으로 양측 및 후방측을 향해 각각 돌출되면서 수직 및 충격 하중을 분산시키는 하중 분산날개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a load distribution wing for dispersing vertical and impact loads is further formed at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heels, which are the central portions of the rear side of the shank, while projecting toward both sides and the rear side based on the portions. .
이때, 상기 하중 분산 날개에는 상기 하중 분산 날개의 돌출 방향과는 수직 한 방향을 향해 돌출된 보조 날개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상기 보조 날개는 라운드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load distribution blade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wing protruding towar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load distribution wing is further formed, in particular, the auxiliary wing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round.
이와 함께, 상기 후방 바닥창은 상기 뒷굽의 중앙 부위로부터 전방측 끝단에 이르기까지의 부위가 개구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ar so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heel to the front end is formed.
또한, 상기 생크의 후방측 부위 중 뒷굽의 중심 부위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여타 부위에 비해 상향 돌출되도록 만곡진 만곡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urved portion is further formed to protrude upward compared to the other portions of the rear portion of the shank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heel.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신발 밑창은 도보나 달리기를 할 때 제공되는 수직 하중을 생크에 의해 후방 바닥창의 전 부위로 고르게 전달되기 때문에 상기한 수직 하중에 의한 피로감 및 스트레스가 최소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shoe 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ly transmits the vertical load provided when walking or running to the entire area of the rear sole by the shank, so that the fatigue and stress caused by the vertical load can be minimized. Has
특히, 본 고안의 신발 밑창은 만곡부의 구조로 인해 생크의 전 부위로 하중의 분산이 더욱 고르게 전달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In particular, the shoe 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distribution of load can be more evenly transmitted to the entire area of the shank due to the structure of the curved portion.
또한, 본 고안의 신발 밑창은 전방으로 갈수록 힐 센터 라인을 기준으로 서로 갈라진 형태의 생크 구조 및 각 하중 분산날개의 추가적인 구조로 인해 신발의 좌우 방향을 향해 뒤틀림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상기 뒤틀림이 안정적으로 해소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shoe 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ably resolved even if the warp occur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shoe due to the shank structure and the additional structure of each load-distribution wing divided into each other based on the heel center line toward the front Has the effect of becoming possible.
이하, 본 고안의 기능성 신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unctional sho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먼저, 첨부된 도 1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은 크게 중창(100)과, 전방 바닥창(200)과, 후방 바닥창(300) 및 생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rst, the shoe so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is largely comprises a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or each component as follows.
상기 중창(mid-sole)(100)은 신발 밑창 중 발바닥이 얹히는 부위이다.The
이때, 상기 중창(100)의 상면 둘레에는 신발의 외피를 이루는 갑피(도시는 생략됨)의 둘레측 부위가 접착 고정되고, 상기 중창(100)의 상면으로는 깔창(도시는 생략됨)이 얹힌다.At this time, a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다음으로, 상기 전방 바닥창(front out-sole)(200)은 지면과 맞닿는 앞 발바닥 부위이다.Next, the front out-sole 200 is the front sole portion that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이때, 상기 전방 바닥창(200)은 상기 중창(100)의 바닥면 중 전방측에 부착 고정되며, 상기 전방 바닥창(200)의 저면은 미끄럼 방지나 충격 완화를 위한 다양한 무늬가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front sole 200 is fixed to the front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다음으로, 상기 후방 바닥창(rear out-sole)(300)은 지면과 맞닿는 뒷굽(heel) 부위이다.Next, the rear out-sole 300 is a heel portion in contact with the ground.
이때, 상기 후방 바닥창(300)은 상기 중창(100)의 바닥면 중 후방측에 부착 고정되며, 상기 후방 바닥창(300)의 저면 역시 미끄럼 방지나 충격 완화를 위한 다양한 무늬가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특히,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후방 바닥창(300)이 중앙부위로부터 전방측 끝단에 이르기까지 개구되게 형성되어, 상기 중창(100)의 바닥면 중 후방측 중앙 부위(발뒤꿈치가 안착되는 부위와 대응되는 부위)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구성됨을 제시한다.In particula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즉, 상기 후방 바닥창(300)을 저면에서 봤을 때 “U”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중앙측 부위를 통해 제공받는 수직 하중이 곧장 지면으로 전달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by forming the
다음으로, 상기 생크(400)는 보행 중 혹은, 달리기 중 좌우로의 뒤틀림을 해소하여 신발의 좌우 균형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Next, the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생크(400)가 전방측 부위를 이루는 갈래부(410)와, 후방측 부위를 이루는 분산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갈래부(410)의 전방측 끝단은 상기 중창(100)과 상기 전방 바닥창(200)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분산부(420)의 둘레 부위는 상기 중창(100)과 상기 후방 바닥창(300) 사이에 개재됨을 제시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특히, 상기 갈래부(410)는 전방측 끝단으로 갈수록 서로 이격되면서 힐 센터 라인을 기준으로 볼 때 좌측 및 우측으로 각각 갈라지게 형성되고, 상기 분산부(420)는 상기 힐 센터 라인(heel center line)(HCL)을 따라 위치되도록 형성된다.In particular, the forked
이때, 상기 힐 센터 라인(HCL)이라 함은 후방 바닥창(300)의 각 부위 중 뒤꿈치의 끝단 중앙으로부터 상기 후방 바닥창(300)의 중심 부위 간을 이은 선을 의미하여, 상기 뒤꿈치의 끝단 중앙으로부터 전방 바닥창(100)의 앞꿈치 끝단 중앙을 이은 선인 라스트 센터 라인(last center line)(LCL)와는 달리 신발 밑창의 실질적 인 후방측 중심선이 된다.In this case, the heel center line (HCL) means a line connecting the center portion of the
전술한 바와 같은 생크(400)의 갈래부(410)에 대한 형상은 힐 센터 라인(HCL)을 기준으로 좌 혹은, 우측으로의 뒤틀림을 방지함으로써 발목을 보호하는 구조이다.The shape of the forked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생크(400)의 각 부위 중 상기 분산부(420)의 양측 및 후방측에는 하중 분산날개(421)가 각각 외향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각 하중 분산날개(421)에는 상기 하중 분산날개(421)의 돌출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을 향해 재차적으로 돌출된 보조 날개(422)가 더 형성됨을 제시한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전술한 바와 같은 각 하중 분산날개(421) 및 보조 날개(422)는 상기 후방 바닥창(300)과 상기 중창(100) 사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힐 센터 라인(HCL)을 기준으로 한 좌우 뒤틀림을 방지하는 역할 역시 수행할 뿐 아니라 상기 생크(400)를 통해 전달받은 수직 하중을 후방 바닥창(300)의 전 부위로 고르게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Each
특히, 상기 보조 날개(422)는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각 하중 분산날개(421)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이 상기 보조 날개(422)의 라운드가 이루는 모든 방사 방향을 향해 분산되도록 한다.In particular, the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생크(400)를 이루는 분산부(420)의 중앙 부위인 상기 후방 바닥창의 개구된 중심 부위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여타 부위에 비해 상향 돌출되도록 만곡진 만곡부(430)가 더 형성됨을 제시한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ved
이때, 상기 만곡부(430)는 중창(100)의 발 뒤꿈치 부위를 통해 전달되는 수 직 하중(상하 방향의 하중)이 그의 수직한 방향 즉, 중창의 수평 방향으로 분산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At this time, the
하기에서는, 전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의 작용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the operation of the shoe so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우선,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 혹은, 달리기를 할 경우 인체의 하중은 대부분 발 뒤꿈치를 통해 신발 밑창을 이루는 중창(100)의 후방측 부위로 제공되고, 계속해서 상기 중창(100)의 후방측 부위를 통해 그 바닥면에 위치된 생크(400)의 만곡부(430)로 전달된다.First, when walking or running while wearing shoes, most of the load of the human body is provided to the rear side portion of the
이때, 상기 만곡부(430)로 전달되는 하중은 상기 만곡부(430)를 지면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만곡부(430)는 상기 가압력에 의해 펴지게 된다.At this time, the load transmitted to the
따라서, 상기 만곡부(430)를 가압하는 하중은 상기 만곡부(430)의 중심을 기준으로 볼 때 방사 방향을 향해 분산된 상태로 각 하중 분산날개(421)에 전달되며, 계속해서 각 보조 날개(422)를 통한 추가적인 하중 분산이 이루어진 다음 후방 바닥창(300)을 통해 지면으로 전달된다.Therefore, the load for pressing the
특히, 후방 바닥창(300)의 중앙측 부위는 개구되게 형성됨을 고려할 때 상기 만곡부(430)를 가압하는 하중이 상기 후방 바닥창(300)으로 직접 전달되지 못하고, 상기 생크의 각 하중 분산날개(421) 및 각 보조 날개(422)를 통해 고르게 분산된 후 제공된다.In particular, considering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결국, 전술한 과정에 의해 사용자는 수직 하중 및 충격 하중에 의한 피로감 및 스트레스가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user can minimize the fatigue and stress due to the vertical load and the impact load by the above-described process.
한편, 보행이나 달리기 도중 헛딛음 등의 이유로 인해 신발의 좌우 방향으로 뒤틀림이 발생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arp may occu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shoes for reasons such as walking or running.
상기한 뒤틀림은 통상 발목 부위를 기준으로 좌 혹은, 우측 방향을 향해 발생되지만, 상기 뒤틀림에 의한 하중은 힐 센터 라인(HCL)의 좌측 및 후측 방향으로 각각 갈라지게 형성된 생크(400)의 전방측 부위와, 상기 생크(400)의 후방측 부위에 형성된 각 하중 분산날개(421)를 통해 분산되면서 해소된다.The warp is generally generated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nkle part, but the load due to the warp is a part of the front side of the
따라서, 사용자의 발목은 뒤틀림으로부터 최대한 안전히 보호된다.Thus, the user's ankle is most safely protected from warping.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shoe so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의 바닥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저면도Figure 2 is a bottom view shown to explain the bottom structure of the shoe so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Figure 3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shoe so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Figure 4 is a rear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shoe so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중창 200. 전방 바닥창100.
300. 후방 바닥창 400. 생크300.
410. 갈래부 420. 분산부410. Forked 420. Dispersed
421. 하중 분산날개 422. 보조 날개421.
430. 만곡부430. Bends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8500U KR200455785Y1 (en) | 2008-06-25 | 2008-06-25 | the sole of a sho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8500U KR200455785Y1 (en) | 2008-06-25 | 2008-06-25 | the sole of a sho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0074U true KR20100000074U (en) | 2010-01-06 |
KR200455785Y1 KR200455785Y1 (en) | 2011-09-27 |
Family
ID=44194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08500U KR200455785Y1 (en) | 2008-06-25 | 2008-06-25 | the sole of a sho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5785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769715A (en) * | 2017-10-09 | 2020-02-07 | 株式会社爱世克私 | Structure of a sole comprising stiffening mean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26729B1 (en) * | 2016-07-08 | 2017-04-13 | (주)케이엠상사 | Outsole with posture correction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242104A (en) * | 1990-02-20 | 1991-10-29 | Takahiro Saito | Shoes suspension |
JP2002262903A (en) | 2001-03-13 | 2002-09-17 | Dynagait Kk | Shoe with shank part |
US6968637B1 (en) * | 2002-03-06 | 2005-11-29 | Nike, Inc. | Sole-mounted footwear stability system |
JP5007873B2 (en) | 2005-11-23 | 2012-08-22 | 広島化成株式会社 | Cushioned shank and shoes with the shank inserted |
-
2008
- 2008-06-25 KR KR2020080008500U patent/KR200455785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769715A (en) * | 2017-10-09 | 2020-02-07 | 株式会社爱世克私 | Structure of a sole comprising stiffening means |
CN110769715B (en) * | 2017-10-09 | 2021-06-15 | 株式会社爱世克私 | Structure of a sole comprising stiffening mean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55785Y1 (en) | 2011-09-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56261B2 (en) | Footwear sole construction | |
EP2395868B1 (en) | Stability and comfort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 |
US8341856B2 (en) | Footwear with orthotic midsole | |
WO2013095709A3 (en) | Footwear | |
WO2006125182A3 (en) | Footwear with a shank system | |
WO2011127083A8 (en) | Flapped heel shoe | |
EP2883469B1 (en) | Structure of high-heeled shoe | |
KR200455785Y1 (en) | the sole of a shoe | |
WO2007083898A1 (en) | Footwear | |
NO314385B1 (en) | Shells for telemark ski boots | |
EP0934008A1 (en) | Foot-engaging liner for boot or shoe | |
US7360326B1 (en) | Flexible footwear sole | |
EP2906065B1 (en) | Sole structure for biomechanical control | |
EP2883470B1 (en) | Structure of platform shoe | |
EP2319344A1 (en) | Footwear articles with a shock-prevention system for the footheel | |
US20150157085A1 (en) | Structure of platform shoe | |
KR101038052B1 (en) | Structure of shoe sole | |
KR200495970Y1 (en) | Slippers for correcting the human body | |
KR20100133329A (en) | Shoe midsole with impact dispersion and cloud walking | |
KR20140003454U (en) | Reinforcement for shoes middle layer of a shoe sole | |
KR101078394B1 (en) | Reinforcement piece for women shoes midsole | |
CN219835255U (en) | Outsole with massage effect | |
KR101874539B1 (en) | Shoe base | |
EP2883468B1 (en) | Structure of athletic shoe | |
KR20130123091A (en) | Outsole and sole of sho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7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