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073U - Sectional packing case - Google Patents
Sectional packing cas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00073U KR20100000073U KR2020080008499U KR20080008499U KR20100000073U KR 20100000073 U KR20100000073 U KR 20100000073U KR 2020080008499 U KR2020080008499 U KR 2020080008499U KR 20080008499 U KR20080008499 U KR 20080008499U KR 20100000073 U KR20100000073 U KR 20100000073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de plates
- bottom plate
- box
- present
- packaging box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 B65D5/3607—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 B65D5/361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at least one of the ends of the body remaining connected
- B65D5/36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at least one of the ends of the body remaining connected collapsed along median lines of two opposite sides of the rectangular tubular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포장상자의 조립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운반 및 보관 시 등에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조립식 포장상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box, in particular, to provide a prefabricated packaging box that can simplify the assembly process of the packaging box and minimize the volume during transportation and storage.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접거나 다각통 형상으로 펼 수 있도록 서로 연결 형성하되, 그 연결부의 하부에 끈구멍이 형성된 다수의 측면판과, 상기 측면판들과 동일한 수의 둘레면이 형성되어 상기 측면판들에 의해 마련되는 수납공간의 하부에 끼움 결합되는 바닥판과, 상기 측면판들의 끈구멍을 통해 서로 연결 형성하되, 상기 측면판들과 동시에 접히거나 펴지면서 상기 바닥판을 받쳐주는 다수의 받침끈을 포함하는 조립식 포장상자가 개시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folding or polygonal shape to form a connection, a plurality of side plates formed with a string hol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the same number of peripheral surfaces as the side plates are formed is the side plate A plurality of support straps supporting the bottom plate while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bottom plate to be fit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provided by the field, and through the string holes of the side plates, and simultaneously folded or unfolded with the side plates. Disclosed is a prefabricated packing box comprising a.
포장상자, 측면판, 바닥판, 받침끈 Packing box, side panel, bottom plate, backrest
Description
본 고안은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상자의 조립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운반 및 보관 시 등에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조립식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packaging box that can simplify the assembly process of the packaging box and minimize the volume during transportation and storage.
기업의 이른바 데이마케팅(DayMarketing)에 의해 하나의 문화로 정착된 발렌타인데이, 화이트데이 등과 같은 특정 기념일 또는 취업시즌이나 입시철에는 연인에게 애정의 표현으로 또는 합격을 기원하는 의미로 초콜릿, 사탕, 찹쌀떡, 엿 등의 제품을 선물하는 것이 성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제품을 제조 및 판매하는 제과점 등에서는 판매촉진 및 매출의 증대를 위해 해당 제품을 개별 포장한 상태로 진열 및 전시하여 소비자가 별도의 포장상자 또는 바구니에 직접 골라 담은 후 각자의 취향대로 정성껏 포장해서 한번에 다양한 제품을 선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During certain days, such as Valentine's Day, White Day, etc., which are settled as a culture by the company's so-called DayMarketing, or during the employment season or entrance exam, they express their affection to their lover or wish to accept chocolate, candy, glutinous rice cake, Presenting products such as candy is popular, and bakeries that manufacture and sell such products display and display the products individually packed to promote sales and increase sales. After picking them directly, they are carefully packaged according to their preferences so that they can present various products at once.
그런데 종래의 포장상자는 판지를 접어서 일정한 부피를 갖는 박스 형태 또는 대나 싸리 따위를 쪼개어 둥글게 결어 속이 깊숙하게 그릇 형상으로 만들거나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성형한 바구니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운반 및 보관 시 에 사용공간을 불필요하게 많이 차지하는 한계가 있게 마련이다.By the way, the conventional packaging box is folded into a box or a box having a certain volume, or divided into a round or sack to form a deep bowl shape or injection molded basket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used for transport and storage There is a limit to occupying a lot of unnecessarily.
또한, 박스 형태의 포장상자는 전개된 상태로 공급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제품 판매자 또는 소비자가 상자 형태로 일일이 접어서 사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랐다.In addition, the box-shaped packaging box may be supplied in an unfolded state, but in this case, a product seller or a consumer has to use the box to fold one by one.
더욱이, 포장상자는 사용 및 소비가 완료되면 대부분 재활용되지 못하고 폐기되는 특성을 감안할 때에, 기존의 바구니 형태의 상자들은 제조원가 등 경제성도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packaging box is used and consumed, most of the boxes are not recycled an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disposal, the conventional box-shaped boxes had a problem that the economical cost, such as manufacturing costs significantly decreased.
이에 본 고안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고려하여 조립공정이 간편하고, 유통과정에서 불필요한 부피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조립식 포장상자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하여 왔으며, 그 결과로서 본 고안을 창안하였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s have studied intensively in order to develop a prefabricated packaging box which is easy to assembl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mentioned matters and can reduce unnecessary volume as much as possible in the distribution process, and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운반 및 보관 시 등에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포장상자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packaging box to minimize the volume during transportation and storag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립이 용이하고 조립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포장상자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packing box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to maintain the assembled state stabl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접거나 다각통 형상으로 펼 수 있도록 서로 연결 형성하되, 그 연결부의 하부에 끈구멍이 형성된 다수의 측면판과, 상기 측면판들과 동일한 수의 둘레면이 형성되어 상기 측면판들에 의해 마련되는 수납공간의 하부에 끼움 결합되는 바닥판과, 상기 측면판들의 끈구멍을 통해 서로 연결 형성하되, 상기 측면판들과 동시에 접히거나 펴지면서 상기 바닥판을 받쳐주는 다수의 받침끈을 포함하는 조립식 포장상자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be folded or unfolded in the shape of a polygonal cylinder, a plurality of side plates formed with a string hol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the same number of circumferential surface The bottom plate is formed and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provided by the side plates and are form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tring holes of the side plates, and the bottom plate is folded or unfolded simultaneously with the side plates It provides a prefabricated packing box containing a plurality of backing straps.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갖는 본 고안은 다수의 측면판들이 밀착되게 접거나 다각통 형상으로 펼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자의 운반 및 보관 시 등에 기본적인 형태는 유지한 채로 납작하게 접어서 그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킴은 물론 물류비용을 절감 및 공간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리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mentioned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is because a plurality of side plat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or to be unfolded in a polygonal shape, so that the basic form, such as when transporting and storing the box, is folded flat. The volume can be minimized,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use and reducing the logistics cost and greatly improving the space efficiency.
또한, 본 고안은 별도의 접착공정이나 테이핑 작업 없이 측면판들을 다각통 형상으로 편 다음 바닥판을 끼움 결합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손쉽게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상자의 제조비용을 절감 및 조립 작업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각판 형상의 바닥판이 이와 대응하는 측면판들과 서로 밀착되면서 측면판들이 자유로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므로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ssembled with a simple operation of folding the side plate into a polygonal cylinder shape and then fitting the bottom plate without a separate bonding process or taping operation,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box and ensuring convenience of assembly work. In addition, the bottom plate of the polygonal plate shap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side plates to prevent the side plates to move freely, thereby maintaining a firmly coupled state.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 및 통용되는 고유의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Prior to this,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y should be interpreted as concepts and commonly used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포장상자를 편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의 저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포장상자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포장상자(100)는 다수의 측면판(10)들과, 바닥판(20) 및 다수의 받침끈(3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1 is a state showing the prefabricated packag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ottom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ne II-II of Figure 1, Figure 4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fabricated packaging box according to the example shows a folded state, the
측면판(10)은 제품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일정한 두께를 갖는 마분지나 골판지 등의 종이 또는 판재 형태의 유연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경계를 짓는 연결부(11)에 의해 복수개가 일체로 연결되어 납작하게 접거나 다각통 형상으로 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그리고 연결부(11)의 하부에는 받침끈(30)을 고정하기 위한 끈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And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ing
여기서, 연결부(11)는 측면판(10)들을 서로 밀착되도록 둥글게 배열한 상태에서 그 내측 둘레면에 종이 등의 유연하게 휘어지는 재질을 부착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측면판(10)들을 접거나 펴는 동작이 안정적이면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Here, the connecting
이러한 측면판(10)은 4개 내지 12개 중 어느 하나의 개수로 구비할 수 있으나, 사각통, 육각통, 팔각통, 십이각통 등의 형상으로 신속하게 펼 수 있음과 더불어 더욱 용이하게 접을 수 있도록 짝수개로 구비하여 서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바닥판(20)은 측면판(10)들을 펼 때 마련되는 내부 수납공간의 하부에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측면판(10)과 마찬가지로 일정한 두께를 갖는 마분지나 골판지 등의 종이 또는 판재 형태의 유연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측면판(10)의 개수와 동일한 수의 둘레면을 갖는 다각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이러한 바닥판(20)의 외경은 측면판(10)들에 의해 형성되는 내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함으로써 상자를 조립 시에는 측면판(10)들의 내측 둘레면과 서로 밀착되면서 측면판(10)들이 자유로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상자가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 outer diameter of the
또한, 바닥판(20)의 외측 둘레면은 측면판(10)들과 대응하는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자의 운반 및 보관 시 등에는 상향으로 누르는 가압력에 의해 측면판(10)들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받침끈(30)은 측면판(10)들과 동시에 접히거나 펴지면서 바닥판(20)을 안정으로 받쳐주는 것으로, 측면판들의 끈구멍(12)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측면판(10)들을 다각통 형상으로 펼 경우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Supporting
이러한 받침끈(30)은 바닥판(20)의 중심으로부터 여러 방향으로 서로 교호되게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예를 들면, 측면판(10)들이 육각통 형상을 갖는 경우 그 중심축으로부터 120°방향의 세 곳에 형성된 끈구멍(12)에 받침끈(30)을 각각 통과시킨 후, 그 단부에 매듭을 형성함으로써 서로 연결되는 부분이 교호된 상태에서 측면판(10)들과 동시에 자연스럽게 접히거나 펴질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이는 받침끈(30)들이 서로 견고하게 엮인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여 조립된 상자에 제품을 담아 운반하는 과정에서 제품이 자중에 의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is allows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포장상자(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판(10)들 사이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연결부(11)를 따라 측면판(10)을 내측으로 눌러 대향하는 다른 측면판과 완전히 포개지도록 접으면 상자의 기본적인 형태는 유지되면서 부피는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받침끈(30)은 측면판(10)들과 동시에 자연스럽게 접히게 되고, 바닥판(10)은 별도로 분리 보관하거나 측면판(10)들이 포개진 사이에 끼워 함께 유통시킬 수 있다.The
따라서 상자의 운반 및 보관시 공간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부분조립된 상태로 판매장 등에 공급할 수 있어 제품을 포장 시 상자의 조립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pace efficiency during transport and storage of the box, and can be supplied to the sales floor in a partially assembled state,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assembly time of the box when the product is packaged.
또한, 제품의 포장을 위해 상자 형태를 완성하고자 할 경우에는 측면판(10)들을 다각통 형상으로 편 상태에서 그 내부로 다각통 형상과 동일한 외측 둘레면을 갖는 바닥판(20)을 측면판(10)들과 동시에 펴진 받침끈(30)의 상부에 완전히 얹혀지도록 삽입 결합하면 상호 간의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면서 제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는 것이다.In addition, in order to complete the box shape for the packaging of the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포장상자(100)는 그 자체만으로도 사용 가능한 것이나, 내/외측 둘레면을 따라 다양한 형태의 포장지를 부착하여 2차 포장하거나 혹은 그림이나 문양 등을 인쇄하여 심미감 및 장식성을 배가시킴과 아울러 사용자 만의 독특한 개성을 창출할 수 있는 것이며, 이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 라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the
아울러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can be changed to other embodiments equivalent to substitution and equivalent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mon in the ar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포장상자를 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state of the prefabricated packag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저면도,2 is a bottom view of FIG. 1;
도 3은 도 1의 Ⅱ-Ⅱ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포장상자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the prefabricated packag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측면판 11: 연결부10: Side plate 11: Connection
12: 끈구멍 20: 바닥판12: string hole 20: bottom plate
30: 받침끈 100: 포장상자30: support strap 100: packing box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80008499U KR200449013Y1 (en) | 2008-06-25 | 2008-06-25 | Sectional packing cas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80008499U KR200449013Y1 (en) | 2008-06-25 | 2008-06-25 | Sectional packing cas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0073U true KR20100000073U (en) | 2010-01-06 |
KR200449013Y1 KR200449013Y1 (en) | 2010-06-09 |
Family
ID=44194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080008499U KR200449013Y1 (en) | 2008-06-25 | 2008-06-25 | Sectional packing cas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9013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318552A (en) * | 2013-07-08 | 2013-09-25 | 广东工业大学 | Wine box structur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30056A (en) | 1997-10-29 | 1999-05-18 | Komo:Kk | Cardboard packaging box |
KR200295223Y1 (en) * | 2002-08-02 | 2002-11-18 | 우영택 | An assembly packing box |
-
2008
- 2008-06-25 KR KR20080008499U patent/KR200449013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318552A (en) * | 2013-07-08 | 2013-09-25 | 广东工业大学 | Wine box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49013Y1 (en) | 2010-06-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80068B2 (en) | Disposable carry-out food container | |
US8025209B2 (en) | Stacking strength carton with an easy opening feature | |
CN101022997A (en) | Base for post in post product packaging and display system | |
AU2009246428B2 (en) | Packaging and display tray formed from interlocked blanks | |
US20200148408A1 (en) | Presentation container apparatus | |
KR200449013Y1 (en) | Sectional packing case | |
KR20100003634U (en) | Packing case for cookie | |
US20160101896A1 (en) | Knockdown crate and method of display packaging | |
EA022101B1 (en) | Containers particularly for agricultural products | |
US10364064B2 (en) | Pallet with skirt | |
KR101018133B1 (en) | Confectionery three-dimensional packaging container and confectionery bundle products using same | |
AU2012258335B2 (en) | Packaging and display tray formed from interlocked blanks | |
US20080164181A1 (en) | Hoop container dispenser | |
KR101367692B1 (en) | Accessory Packing Box | |
KR20200014665A (en) | Packaging for food containers | |
KR200473371Y1 (en) | Box for packaging goods | |
KR200459316Y1 (en) | Packing case for cookie | |
KR20110127781A (en) | Canned food packaging boxes and their supporting packages | |
JP2004217270A (en) | Packaging container for confectionery | |
KR20160000032U (en) | packaging bag for chicken delivery | |
KR100586933B1 (en) | Column Packing Container | |
ITMO20100365A1 (en) | CONTAINER FOR FOOD PRODUCTS | |
KR20080004312U (en) | Packing box containg bottle container | |
CN220221530U (en) | Packing box | |
JP3195346U (en) | Tray for ca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9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