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3021A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3021A
KR20090133021A KR1020080059259A KR20080059259A KR20090133021A KR 20090133021 A KR20090133021 A KR 20090133021A KR 1020080059259 A KR1020080059259 A KR 1020080059259A KR 20080059259 A KR20080059259 A KR 20080059259A KR 20090133021 A KR20090133021 A KR 20090133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mchi
dust
water
refrigerator
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92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80460B1 (en
Inventor
지선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59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460B1/en
Publication of KR20090133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30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4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46Ice-crusher mach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2Distributing ice particularly adapted for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Abstract

PURPOSE: A refrigerator is provided to minimize that Kimchi is spoiled by controlling cool air as a refrigerator door is not opened. CONSTITUTION: A refrigerator comprises a refrigerator body, and a Kimchi dispenser(20). A refrigerating room is formed in the refrigerator body to store Kimchi. The Kimchi dispenser is composed in order to take out Kimchi at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body. The Kimchi dispenser comprises a bank(50), a mounting groove part, and a discharge part(62,75). The low temperature of the bank is maintained cool air provided to the refrigerating room. The mounting groove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of the refrigerator body. The discharge part discharges Kimchi to the outer container.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Refrigerat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물김치 등을 도어를 열지 않고도 외부에서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in which water kimchi and the like can be easily taken out from the outside without opening a door.

냉장고는 식품 등의 저온 보관 또는 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로서, 식품 등의 보관 방법에 따라 저온의 범위를 구분하여 냉동 또는 냉장하여 보관한다. The refrigerator is a device for low temperature storage or storage of food, etc., and stores the refrigerator by dividing the range of low temperature according to a storage method such as food.

일반 냉장고는 도어의 개폐 등에 의하여 냉기 유출이 쉽고 이에 따라 온도 편차가 심하다. 따라서, 발효와 숙성에 의하여 맛이 구현되는 전통음식인 김치 등이 쉽게 변질될 수 있으므로, 고내의 냉기를 단속할 수 있도록 구성된 김치 냉장고가 개발되었다. 초기의 김치 냉장고는 김치를 전용으로 보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나, 과일·야채·육류 등도 얼지 않은 신선한 상태로 오랫동안 보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In general refrigerators, it is easy to leak cold air due to opening and closing of doors, and thus temperature fluctuations are severe. Therefore, since kimchi, which is a traditional food that realizes taste by fermentation and aging, can be easily changed, a kimchi refrigerator configured to control cold air in a high-pitched container has been developed. Early kimchi refrigerators were used for the purpose of storing kimchi exclusively, but fruit, vegetables, meat, etc. are also used for the purpose of storing them for a long time without being frozen.

외형적인 면에서, 김치 냉장고는 도어를 상면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위에서 도어를 열고 내부에 수용된 김치통을 꺼내는 방식이 많이 이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수려한 디자인 등을 고려하여 도어를 측면에 설치하는 스탠드형 김치 냉장고도 개발되었다.In terms of appearance, the kimchi refrigerator has been widely used in that the user opens the door from the top to take out the kimchi container housed inside, but recently, the stand type kimchi is installed on the side in consideration of the beautiful design. Refrigerators have also been developed.

다양한 김치를 맛이 있는 상태로 오랫동안 보관하기 위해서는 김치의 특성에 맞는 용기들이 필요하며, 이러한 용기들은 사용시기 등에 따라 냉장고 내부에 각각 배치된다. 그런데, 원하는 김치가 든 용기를 찾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김치통을 꺼내야 하므로 불편할 뿐만 아니라 냉기의 단속을 어렵게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불편함은 용기로부터 적정한 양을 덜어내기 위해 많은 동작이 소요되는 물김치 등의 경우에 가중되기도 한다.In order to store various kimchi for a long time in a delicious state, container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kimchi are required, and these containers are arranged inside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usage time. However, in order to find a container containing the desired kimchi, it is necessary to take out several kimchi containers, which is not only inconvenient, but also makes it difficult to control the cold air. This inconvenience may be aggravated in the case of water kimchi or the like, which takes many operations to remove the proper amount from the contain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물김치 등을 도어를 열지 않고도 외부에서 용이하게 취출하도록 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s object is to allow water kimchi and the like to be easily taken out from the outside without opening a door.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물김치 등을 저장할 수 있게 냉각실이 형성된 냉장고 본체; 및 물김치 등을 냉장고 본체의 외부에서 취출할 수 있게 구성되는 물김치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개시된다. 물김치 디스펜서는 물김치 등이 저장되며 냉각실에 공급되는 냉기에 의하여 저온 유지되는 뱅크와, 냉장고 본체의 외부에 물김치 등을 담을 외부 용기를 거치할 수 있게 형성되는 거치홈부 및, 뱅크로부터 연결되며 물김치 등을 외부 용기로 배출하는 배출부가 포함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refrigerator body is formed with a cooling chamber to store water kimchi and the like; And a water kimchi dispenser configured to extract water kimchi and the like from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body. The water kimchi dispenser is connected to a bank in which water kimchi and the like are stored and kept at a low temperature by cold air supplied to the cooling chamber, and a mounting groove formed to mount an external container for water kimchi on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main body, and the bank. And it includes a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water, such as kimchi to an external container.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뱅크는 물김치의 물과 건더기가 따로 배출될 수 있도록 물 배출구와 건더기 배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물 배출구에는 건더기가 걸러질 수 있게 거름망을 구비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k may include a water outlet and a dust outlet so that the water and the dust of the water kimchi can be discharged separately. In this case, the water outlet may be provided with a strainer to filter the dust.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배출부는 물을 배출 또는 차단하는 밸브와, 건더기를 배출할 수 있게 구성되는 건더기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건더기배출부는, 건더기의 유입공과 유출공이 각각 형성되는 하우징와; 하우징의 내부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게 구성되고, 외주면에는 건더기를 일정 양으로 담을 수 있게 적어도 하나의 수용홈이 형성되어 회전각에 의하여 수용홈에 수용된 건더기를 유출구로 배출시키는 로테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part may include a valve for discharging or blocking water, and a dust discharge part configured to discharge the dust. And, the waste discharge portion, the housing in which the inlet and outlet holes of the dust is formed; It is configured to be rota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hous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with at least one receiving groove so as to contain a certain amount of dust to include a rotator for discharging the dust contained in the receiving groove by the rotation angle to the outlet can do.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로테이터에는 수용홈의 깊이 이상의 크기를 갖는 건더기가 로테이터의 회전에 따라 잘려질 수 있도록 커터(cutter)가 더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cutter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rotator so that the dust having a siz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depth of the receiving groove may be cu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or.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외부 용기에 얼음을 배출시키는 얼음배출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얼음배출부는 얼음을 보관하는 아이스뱅크와, 아이스뱅크에서 취출되는 얼음을 부수어 외부 용기에 공급하는 크러셔(crusher)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ice to the outer container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is case, the ice discharge unit may include an ice bank for storing the ice, and a crusher for crushing the ice taken out of the ice bank to supply to the outer container.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물김치의 배출 후 배출부를 살균소독시키는 자외선 램프가 배출부 주위에 더 구비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 ultraviolet lamp for disinfecting the discharge unit after discharge of the water kimchi may be further provided around the discharge unit.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물김치 디스펜서는 냉장고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에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kimchi dispenser may be formed in a door connected to the refrigerator main body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eable.

상기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냉장고에 의하면, 냉장고 도어를 열고 물김치 등이 담기 용기를 꺼내어 열고 그릇에 담는 등의 복잡한 동작을 일 회의 동작으로 간소화시키므로 편의가 증진된다. 또한, 냉장고 도어를 열지 않게 되므로 냉기를 단속할 수 있게 되어 김치 등의 맛이 변질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onvenience is enhanced by simplifying a complicated operation such as opening the refrigerator door, taking out a container containing water kimchi, opening the container, and putting it in a bowl. In addition, since the refrigerator door is not opened, it is possible to control cold air, thereby minimizing the deterioration of taste such as kimchi.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냉장고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냉장고의 전면 모습을 보인 전면 사시도이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view of a refrigerator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같이, 냉장고(1)는 외관을 형성하는 냉장고 본체(10)를 구비하고 있 으며, 냉장고 본체(10)의 전면에는 복수의 도어(11,12)가 설치되어 있다. 다만, 개시된 냉장고(1)는 도어(11,12)가 전방에 설치되는 스탠딩(standing) 형태를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면에 도어가 설치되는 형태에도 적용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 1, the refrigerator 1 includes a refrigerator main body 10 forming an appearance, and a plurality of doors 11 and 12 ar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main body 10. However, the disclosed refrigerator 1 exemplifies a standing form in which the doors 11 and 12 are installed in the fron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refrigerator 1 may be applied to a form in which the door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도어(11,12)는 크게 상부 도어(11)와 하부 도어(12)로 나뉠 수 있다. 상부 도어(11)는 일측에 힌지가 구비되어 힌지(13)로부터 먼 쪽에 설치되는 손잡이(13)를 통하여 열고 닫을 수 있게 구성된다. 하부 도어(12)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부 도어(11)와 하부 도어(12)는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doors 11 and 12 may be largely divided into an upper door 11 and a lower door 12. The upper door 11 is provided with a hinge on one side and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rough a handle 13 installed on the side away from the hinge 13. The lower door 12 may be configured to slide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upper door 11 and the lower door 12 may be configured in plural numbers.

상부 도어(11)의 전면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물김치 디스펜서(20)의 구성이 되는 외부 용기의 거치홈(21)이 형성되어 있다. 거치홈(21)에는 물김치의 물, 건더기 또는 얼음 등이 취출될 수 있는 노즐이나 배출구(62,75)가 구비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물김치의 취출양이나 건더기 또는 얼음의 추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입력부(41,42)가 설치된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41,42)는 외부 용기의 접촉 또는 누름에 의하여 동작되는 스위치(42)를 포함한다.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door 11 is formed with a groove 21 of the outer container which is a configuration of the water kimchi dispense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groove 21 is provided with nozzles or outlets 62 and 75 through which water, dry matter, or ice of water kimchi can be taken out, and the amount of water kimchi or the addition of dry water or ice can be determined by the user's choice. User inputs (41, 42) are installed to allow. These user inputs 41 and 42 include a switch 42 which is operated by contact or push of the outer container.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냉장고의 상부 도어가 열려진 모습을 보인 전면 사시도이다. 도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물김치 디스펜서(20)는 물김치 등의 보관을 위한 공간과 배출을 위한 장치의 부피에 의하여 상부 도어(11)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Figure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upper door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water kimchi dispenser 20 has a shape protrudin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door 11 by a space for storing water kimchi and the like and a volume of a device for discharging.

냉장고 본체(10)의 내부에는 김치 등을 저온 보관할 수 있는 냉각실(15)이 형성된다. 냉각실(15)은 선반(16)에 의하여 복수의 칸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선반(16)은 높이가 높은 용기의 수용을 위하여 절첩 또는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Inside the refrigerator body 10, a cooling chamber 15 capable of storing kimchi at low temperature is formed. The cooling chamber 15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mpartments by the shelf 16, and the shelf 16 may be configured to be folded or slided to accommodate a high height container.

냉각실(15)의 내부 및 물김치 디스펜서(20)에는 냉기가 공급됨으로써 선반(16)에 얹혀진 용기나 물김치 디스펜서(20)에 보관중인 물김치 등이 저온 상태로 유지된다.By supplying cold air to the interior of the cooling chamber 15 and the water kimchi dispenser 20, the container placed on the shelf 16, the water kimchi stored in the water kimchi dispenser 20, and the like are kept at a low temperature.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물김치 디스펜서의 장치 구성도이다. 3 is a device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water kimchi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물김치 디스펜서(20)는 물김치 등이 저장되며 냉각실(15)에 공급되는 냉기에 의하여 저온 유지되는 뱅크(50)와, 뱅크(50)로부터 연결되며 물김치 등을 외부 용기(80)로 배출하는 배출부(25)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3, the water kimchi dispenser 20 is connected to the bank 50, which is stored at a low temperature by cold air supplied to the cooling chamber 15, in which the water kimchi is stored, and is connected to the water kimchi. The discharge part 25 which discharges a back etc. to the outer container 80 is provided.

여기서 '물김치 등'은 물김치, 동치미, 싱건 김치 또는 나박 김치 등과 같이 건더기에 물이 상대적으로 많이 함유된 것을 의미하며, 나아가 과실 음료, 식혜, 또는 술 등도 본 발명의 냉장고(1)에 의하여 보관되어 취출될 수 있다.Here, 'water kimchi,' etc. means that the water contains relatively much water, such as water kimchi, Dongchimi, Singan Kimchi or Nabak Kimchi, and furthermore, fruit drinks, Sikhye, or alcohol by the refrigerator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tored and taken out.

뱅크(50)는 물김치의 물(L)과 건더기(P)가 따로 배출될 수 있도록 물 배출구(51)와 건더기 배출구(53)를 구비할 수 있다. 뱅크(50)의 하부는 건더기(P)의 자연 낙하에 의하여 건더기 배출구(53)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건더기 배출구(53)가 물 배출구(51)보다 낮은 위치에 모여질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뱅크(50)에는 추가적으로 물김치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센서 또는 물김치의 양을 감지할 수 있는 수위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The bank 50 may include a water outlet 51 and a dust outlet 53 so that the water (L) and the dust (P) of the water kimchi can be discharged separately. The lower portion of the bank 50 may be formed so that the dust outlet 53 may be collect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water outlet 51 so that the dust outlet 53 may be easily discharged to the dust outlet 53 by the natural fall of the dust P. FIG. have. In addition, the bank 5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temperature sensor that can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kimchi or a water level sensor that can detect the amount of water kimchi.

물 배출구(51)에는 물 배출구(51)에 연결되는 호스(61)가 막히지 않도록 건 더기(P)를 거르는 거름망(52)이 설치될 수 있다. 거름망(52)과 건더기 배출구(53)의 사이는 자중에 의하여 건더기(P)가 자연적으로 건더기 배출구(53)로 떨어지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water outlet 51 may be provided with a strainer 52 for filtering the dust (P) so that the hose 61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51 is not blocked. Between the sieve 52 and the dust outlet 53 may be formed in an inclined form so that the dust (P) naturally falls to the dust outlet 53 by its own weight.

배출부(25)는 물(L)을 배출 또는 차단하는 밸브(63)와, 건더기(P)를 배출할 수 있게 구성되는 건더기배출부(70)를 포함할 수 있다.Discharge unit 25 may include a valve 63 for discharging or blocking the water (L), and the dust discharge unit 70 configured to discharge the dust (P).

밸브(63)는 사용자 입력부(41,42)의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물김치의 물(L)을 배출하거나 차단한다. The valve 63 discharges or blocks the water L of the water kimchi by the electrical signals of the user inputs 41 and 42.

건더기배출부(70)는 건더기(P)의 유입공(73)과 유출공(74)이 각각 형성되는 하우징(71)와, 하우징(71)의 내부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게 구성되는 로테이터(72)를 포함하고 있다. The dust discharge part 70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in a state in which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ousing 71 in which the inlet hole 73 and the outlet hole 74 of the dust P are formed, respectively. The rotator 72 is included.

하우징(71)의 내벽은 로테이터(72)가 정지 또는 회전하고 있는 동안 물김치의 물이 새지 않도록 로테이터(72)의 외면과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71 is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or 72 so that water of the water kimchi does not leak while the rotator 72 is stopped or rotated.

로테이터(72)의 외주면에는 건더기(P)를 일정 양으로 담을 수 있게 수용홈(76)이 형성되어 로테이터(72)의 회전각에 의하여 수용홈(76)에 수용된 건더기를 유출구로 배출시킨다. 즉, 수용홈(76)이 유입공(73)의 위치에 있을 때 건더기(P)가 낙하되어 수용홈(76)에 수용되면 로테이터(72)가 회전하게 되고, 수용홈(76)이 유출공(74)의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건더기(P)가 자중에 의하여 떨어지게 된다.Receiving groove 76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or 72 to contain a certain amount of dust (P) to discharge the dust contained in the receiving groove 76 by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or 72 to the outlet. That is, when the receiving groove 76 is in the position of the inlet hole 73, if the dust P falls and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76, the rotator 72 rotates, and the receiving groove 76 is the outlet hole. When the position of 74 is reached, the dust P falls by its own weight.

이러한 수용홈(76)은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건더기(P)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수용홈(76)의 크기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The receiving groove 76 may be configured in plural, the size of the receiving groove 76 may be formed differently to adjust the amount of the dust (P).

로테이터(72)은 수용홈(76)의 깊이 이상의 크기를 갖는 건더기(P)가 로테이 터(72)의 회전에 따라 자동적으로 잘려질 수 있도록 커터(77)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홈(76)의 깊이 이상의 크기인 건더기(P)에 의하여 로테이터(72)가 회전되지 못하고 고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더기(P)는 사용자가 먹기 용이한 크기로 조절된다.The rotator 72 may be formed with a cutter 77 so that the dust P having a siz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depth of the receiving groove 76 may be automatically cu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or 72. Accordingly, the rotator 72 may not be prevented from being rotated and broken by the dust P having a siz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depth of the receiving groove 76, and the dust P may be adjusted to a size that is easy for the user to eat. .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예를 보인 물김치 디스펜서의 구성도이다. 도 4에서는 도 3에서 설명된 구성 외에 얼음을 외부용기에 배출시키는 얼음배출부(26)가 포함된 것을 보이고 있다.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a water kimchi dispenser showing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4,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n ice discharge part 26 for discharging ice to an external container is illustrated.

얼음배출부(26)는 얼음(I)을 보관하는 아이스뱅크(91)와, 아이스뱅크(91)에서 취출되는 얼음을 부수어 외부 용기에 공급하는 크러셔(crusher; 92)로 구성된다. The ice discharge unit 26 is composed of an ice bank 91 for storing the ice I, and a crusher 92 for crushing the ice taken out from the ice bank 91 and supplying it to an external container.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외부 용기(80)에 잘게 부수어진 얼음(I)이 추가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Therefore, the crushed ice I may be additionally supplied to the outer container 80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또다른 예를 보인 물김치 디스펜서의 구성도이다. 5 is a block diagram of a water kimchi dispenser showing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는 도 3에서 설명된 구성 외에 배출부(25) 주위에 자외선 램프(100)가 구비된 것을 보이고 있다. 자외선 램프(100)는 물김치의 배출 후 배출부(25)를 살균소독시키는 역할을 한다. 물김치가 배출된 후 배출부(25)는 외기에 노출되므로 배출부(25)의 호스 또는 관에 남아 있는 물김치에 해로운 세균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자외선 램프(100)가 구비된다. 자외선 램프(100) 또는 배출부(25)는 자외선 램프(100)에 의하여 발생되는 자외선이 구석구석에 조사될 수 있도록 이동 또는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In FIG. 5, the ultraviolet lamp 100 is provided around the discharge part 25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The ultraviolet lamp 100 serves to sterilize the discharging part 25 after discharging the water kimchi. Since the water kimchi is discharged and the discharge portion 25 is exposed to the outside air, harmful bacteria may be generated in the water kimchi remaining in the hose or tube of the discharge portion 25, and thus, an ultraviolet lamp 100 is provided to prevent this. . The ultraviolet lamp 100 or the discharge part 25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or rotatable so that ultraviolet rays generated by the ultraviolet lamp 100 can be irradiated to every corner.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냉장고의 블록 구성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냉장고(1)는 사용자 입력부(41,42)와, 밸브(63), 건더기배출부(70), 얼음배출부(26), 자외선 램프(100), 센서(121), 디스플레이부(30), 제어부(1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refrigerator 1 includes a user input unit 41 and 42, a valve 63, a dust discharge unit 70, an ice discharge unit 26, an ultraviolet lamp 100, and a sensor 121. ), The display unit 30, the controller 120, and the like.

제어부(120)는 사용자 입력부(41,42)의 입력신호 또는 센서(121)의 감지 결과 등에 의하여 밸브(63), 건더기배출부(70) 및 얼음배출부(26)에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도 3에서 설명된 뱅크(50)의 온도를 감지하여 냉기를 공급하거나 차단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20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valve 63, the dust discharge unit 70, and the ice discharge unit 26 based on an input signal of the user input units 41 and 42 or a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121. In addition, the controller 120 may detect a temperature of the bank 50 described in FIG. 3 and generate a control signal to supply or block cold air.

사용자 입력부(41,42)는 도 3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거치홈(21) 또는 거치홈(21)의 주위에 배치되어 사용자 또는 외부 용기의 동작에 의하여 명령을 입력받는다. 사용자 입력부(41,42)는 푸시방식으로 동작하는 키 또는 버튼의 형태로 구성되거나 터치에 의하여 동작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the user inputs 41 and 42 are disposed around the mounting groove 21 or the mounting groove 21 to receive a command by an operation of a user or an external container. The user inputs 41 and 42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key or a button operating in a push method or in a form operating in a touch.

센서(121)는 뱅크(50) 또는 건더기배출부(70)의 각종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121)는 온도 감지센서, 수위감지 센서, 배출부(25)의 오동작 여부 등을 감지할 수있는 센서 등일 수 있다. The sensor 121 may detect various states of the bank 50 or the dust discharge unit 70. The sensor 121 may be a temperature sensor, a water level sensor,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malfunction of the discharge unit 25, or the like.

밸브(63)는 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그 동작 여부, 개폐 시간 등이 제어된다. 이러한 밸브(63)는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동작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 밸브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valve 63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120 whether the operation, opening and closing time and the like. The valve 63 may be configured as a solenoid valve or the like to be operated by an electrical signal.

건더기배출부(70)는 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도 3에서 도시된 것과 같은 로테이터(72)의 회전각 등을 제어한다. 즉, 건더기의 취출이 사용자 입력 부(41,42)에 의하여 입력되거나 설정된 경우, 제어부(120)는 로테이터(72)가 설정된 회전각만큼 회전되도록 로테이터(72)를 회전시키는 모터 등에 제어신호를 전달한다.The dust discharge unit 70 controls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or 72 as shown in FIG. 3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20. That is, when the extraction of the dust is input or set by the user input units 41 and 42, the control unit 120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a motor or the like that rotates the rotator 72 so that the rotator 72 is rotated by the set rotation angle. do.

얼음 배출부(26)는 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도 4에서 도시된 것과 같은 크러셔(92)의 동작에 필요한 신호를 제공한다.The ice discharge part 26 provides a signal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crusher 92 as shown in FIG. 4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20.

디스플레이부(30)는 사용자 입력부(41,42)의 입력이나 명령 상황 또는 냉장고(1)의 각종 상태 정보를 시각정보의 형태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30)는 LED, LCD, OLED, 또는 CRT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30 outputs input or command status of the user input units 41 and 42 or various state information of the refrigerator 1 in the form of visual information. The display unit 3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LED, LCD, OLED, or CRT.

상기와 같이 설명된 냉장고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개시된 것과 달리, 물만을 배출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뱅크(50)는 물김치가 보관되거나 건더기를 제외한 물만이 보관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The refrigerator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have. For example, unlike the one disclosed in FIG. 3, it is also possible to be configured to discharge only water. In this case, the bank 50 may be formed such that water kimchi is stored or only water except dry matter is stored.

본 발명과 관련된 냉장고에 의하면, 물김치를 냉장고 도어를 열지 않고도 외부에서 취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가 증진되어 그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높다.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ater kimchi can be taken out from the outside without opening the refrigerator door, user convenience is enhanced, and thus the industrial use is high.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냉장고의 전면 모습을 보인 전면 사시도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view of a refrigerator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냉장고의 상부 도어가 열려진 모습을 보인 전면 사시도Figure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upper door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물김치 디스펜서의 장치 구성도Figure 3 is a device configuration of the water kimchi dispenser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예를 보인 물김치 디스펜서의 구성도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a water kimchi dispenser showing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또다른 예를 보인 물김치 디스펜서의 구성도5 is a block diagram of a water kimchi dispenser showing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냉장고의 블록 구성도Figure 6 is a block diagram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물김치 디스펜서 25: 배출부20: water kimchi dispenser 25: discharge portion

26: 얼음배출부 30: 디스플레이부26: ice discharge unit 30: display unit

50: 뱅크 52: 거름망50: bank 52: sieve

61: 밸브 70: 건더기 배출부61: valve 70: dust discharge portion

71: 하우징 72: 로테이터71: housing 72: rotator

L : 물 P: 건더기L: Water P: Pile

Claims (9)

물김치 등을 저장할 수 있게 냉각실이 형성된 냉장고 본체; 및A refrigerator body in which a cooling chamber is formed to store water kimchi and the like; And 상기 물김치 등을 상기 냉장고 본체의 외부에서 취출할 수 있게 구성되는 물김치 디스펜서를 포함하고, 상기 물김치 디스펜서는,And a water kimchi dispenser configured to extract the water kimchi and the like from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body, and the water kimchi dispenser includes: 상기 물김치 등이 저장되며, 상기 냉각실에 공급되는 냉기에 의하여 저온 유지되는 뱅크;A bank in which the water kimchi and the like are stored and kept at a low temperature by cold air supplied to the cooling chamber; 상기 냉장고 본체의 외부에 상기 물김치 등을 담을 외부 용기를 거치할 수 있게 형성되는 거치홈부; 및Mounting groove portion formed to mount the outer container for holding the water kimchi, etc. on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body; And 상기 뱅크로부터 연결되며, 상기 물김치 등을 상기 외부 용기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냉장고.And a discharge unit connected to the bank and discharging the water kimchi to the outer container.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뱅크는 상기 물김치의 물과 건더기가 따로 배출될 수 있도록 물 배출구와 건더기 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물 배출구는 상기 건더기가 걸러질 수 있게 거름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bank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discharge port and the dust discharge port so that the water and the dust of the kimchi can be discharged separately, the water discharge 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net is installed so that the dust can be filter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ischarge unit, 상기 물을 배출 또는 차단하는 밸브; 및A valve for discharging or blocking the water; And 상기 건더기를 배출할 수 있게 구성되는 건더기배출부를 포함하는 냉장고.A refrigerator comprising a dust discharge part configured to discharge the dus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건더기배출부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ust discharge portion, 상기 건더기의 유입공과 유출공이 각각 형성되는 하우징; 및A housing in which inflow and outflow holes of the dust are formed, respectively; And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게 구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건더기를 일정 양으로 담을 수 있게 적어도 하나의 수용홈이 형성되어, 회전각에 의하여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건더기를 상기 유출구로 배출시키는 로테이터를 포함하는 냉장고.Is configured to be rota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hous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with at least one receiving groove so as to contain a certain amount of the dust, by the rotation angle of the dust contained in the receiving groove to the outlet A refrigerator comprising a rotator for discharging.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로테이터에는 상기 수용홈의 깊이 이상의 크기를 갖는 건더기가 상기 로테이터의 회전에 따라 잘려질 수 있도록 커터(cutter)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rotator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utter (cutter) is further formed so that the dust having a size greater than the depth of the receiving groove can be cu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o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외부 용기에 얼음을 배출시키는 얼음배출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ice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ice to the outer container furth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배출부는,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ice discharge portion, 얼음을 보관하는 아이스뱅크; 및Ice banks for storing ice; And 상기 아이스뱅크에서 취출되는 얼음을 부수어 상기 외부 용기에 공급하는 크 러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And a crusher for crushing the ice taken out of the ice bank and supplying the ice to the outer contain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배출부 주위에 배치되며, 상기 물김치의 배출 후 상기 배출부를 살균소독시키는 자외선 램프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And a UV lamp disposed around the discharge unit and further disinfecting the discharge unit after discharge of the water kimchi.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물김치 디스펜서는 상기 냉장고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water kimchi dispenser is formed in the door which is connected to the refrigerator body to be opened and closed.
KR20080059259A 2008-06-23 2008-06-23 Refrigerator KR1014804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59259A KR101480460B1 (en) 2008-06-23 2008-06-23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59259A KR101480460B1 (en) 2008-06-23 2008-06-23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3021A true KR20090133021A (en) 2009-12-31
KR101480460B1 KR101480460B1 (en) 2015-01-09

Family

ID=41691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59259A KR101480460B1 (en) 2008-06-23 2008-06-23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460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46899A (en) * 2016-01-29 2016-05-04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Ice selection bucket for automatic ice making machine of refrigerator and ice making machine
CN109312972A (en) * 2016-06-02 2019-02-05 豪威株式会社 Ice storage appts.
CN111288178A (en) * 2018-12-06 2020-06-16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Ice discharging device and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3859Y1 (en) * 1994-04-26 1997-04-24 주식회사 한울농산 Automatic fixed quantity supply machine for kimchi
KR20060027146A (en) * 2004-09-22 2006-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A refrigerator equipped with powdery ice supplying apparatus
JP4195473B2 (en) 2005-05-03 2008-12-10 三星電子株式会社 refrigerator
KR20080020126A (en) * 2006-08-30 2008-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46899A (en) * 2016-01-29 2016-05-04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Ice selection bucket for automatic ice making machine of refrigerator and ice making machine
CN109312972A (en) * 2016-06-02 2019-02-05 豪威株式会社 Ice storage appts.
US10982894B2 (en) 2016-06-02 2021-04-20 Coway Co., Ltd Ice storage
CN109312972B (en) * 2016-06-02 2021-09-10 豪威株式会社 Ice storage device
CN111288178A (en) * 2018-12-06 2020-06-16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Ice discharging device and refrigerator
CN111288178B (en) * 2018-12-06 2022-04-29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Ice discharging device and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0460B1 (en) 2015-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534B1 (en) Refrigerator
KR100737956B1 (en) Refrigerator
KR20110112377A (en) Refrigerator
JP2005090943A (en) Dispenser of ice 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KR101697114B1 (en) Refrigerator
KR20070113870A (en)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120097454A (en) Refrigerator having attachable and removeable purifying filter portion
KR20110088937A (en) Refrigerator
KR20090133021A (en) Refrigerator
KR101489296B1 (en) Multiple purpose Ultra Violet Sterilizing refrigerator
CN113330261B (en) Refrigerator with door-mounted fluid dispenser
KR20000010537U (en) Refrigerator with rice feeder
US10591198B2 (en) Refrigerator appliance and methods of operation
KR100709407B1 (en) A dispenser of refrigerator
KR100848918B1 (en) A Refrigerator
KR101111905B1 (en) Refrigerator
JPH0413072A (en) Refrigerator
KR200319637Y1 (en) Refrigerator for dished served to go with rice
KR100756886B1 (en) Refrigerator with custody case of food dregs
KR200461420Y1 (en) Refrigerator
JP4353000B2 (en) Freezer refrigerator
KR101331190B1 (en) A refrigerator
KR100690201B1 (en) A refrigerator
KR102225692B1 (en) Dish dryer with rice case
KR20090003921A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