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0965A - 회전형 서류걸이 - Google Patents

회전형 서류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0965A
KR20090130965A KR1020080056706A KR20080056706A KR20090130965A KR 20090130965 A KR20090130965 A KR 20090130965A KR 1020080056706 A KR1020080056706 A KR 1020080056706A KR 20080056706 A KR20080056706 A KR 20080056706A KR 20090130965 A KR20090130965 A KR 20090130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haft
horizontal
fixed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6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호
Original Assignee
박원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원호 filed Critical 박원호
Priority to KR1020080056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30965A/ko
Publication of KR20090130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09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5/00Suspended filing appliances
    • B42F15/0011Suspended filing appliances for sheets, stacks of temporarily bound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6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line indicators, leaf turners, lampholders, book or pag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7/00Hanging or securing devices for books, newspapers or the like
    • B42D17/005Hand-held holders for facilitating the reading of newspap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02Paper-clips or like fasteners

Landscapes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회전형 서류걸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정길이의 수직한 회전 지지부; 상기 회전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링부재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복수개의 수평대; 상기 수평대의 자유단에 구비되어 적어도 하나의 종이를 고정하는 서류고정부; 및 상기 회전 지지부를 고정 대상물에 위치 고정하도록 상기 회전 지지부에 구비되는 축지지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한된 사무공간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점유공간을 차지하면서 다양한 종류의 서류를 걸어 동시에 보관할 수 있고, 사용 시 한 번에 여러 개의 서류를 철하여 봄으로써 정리 정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처리 중인 관련 서류를 간편하게 색인하면서 신속하게 찾아 볼 수 있고, 여러 종류의 서류를 한꺼번에 통합관리할 수 있어 문서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서류걸이, 회전 지지부, 수평대, 축지지대, 다단 연장관

Description

회전형 서류걸이{A ROTATIONAL PAPER HANGER}
본 발명은 회전이 가능한 서류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류걸이를 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하여 보관 시에 적은 공간을 차지하면서 사용 시에는 한 번에 여러 개의 서류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후정리 정돈이 용이하고, 처리 중인 관련 서류를 한눈에 볼 수 있어 쉽게 찾을 수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서류를 한꺼번에 관리 가능하므로 문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사무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회전형 서류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장인, 학생 등 대부분의 업무를 책상 위에서 처리하는 사람들이 문서를 관리함에 있어 주요서류(공문이나 각종 자료)의 경우에는 책상 위나 독서대 등에 쌓아놓고 작업을 하거나, 일상적으로 자주 쓰는 문서(전화번호목록, 일정표 등)의 경우에는 파티션의 벽면이나 책상의 벽면에 자석, 스카치테이프, 압정 등으로 문서를 붙여놓고 작업을 하는 일이 많았다.
또한, 책상 위 또는 독서대 등에 각종 문서를 쌓아놓고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책상 위, 독서대 등이 정리가 되지 않고 각종 서류가 섞이게 되는 등 어지럽게 되어 정작 필요한 문서를 쉽게 찾을 수 없이 서류를 계속 뒤적거려야 한다는 단점 이 있으며, 칸막이 벽, 책상 벽 등에 문서를 붙여놓고 보는 경우에는 문서 1장을 보기 위해서는 동일한 크기의 벽면 공간이 필요하므로 여러 장의 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벽면의 공간적인 제약 때문에 공간활용도가 낮다는 단점이 있으며, 문서를 수시로 교체하는 작업도 번거롭게 된다.
그리고, 현대 사회에서는 대부분의 문서 작업이 컴퓨터를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여러 종류의 서류를 타이핑하기 위하여 책상 위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방치하면 서류의 순서가 흐트러지게 되고, 서로 다른 서류끼리 섞여 분실할 염려도 생기게 되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컴퓨터나 벽면 주변에 문서 지지대나 서류걸이 등을 두고, 이를 이용하여 문서 작업을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서류걸이(혹은 문서 홀더)는 일반적으로 고정물, 예컨대 컴퓨터나 가변 칸막이(칸막이) 등의 측면에 고정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주로 일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대 연장 형태를 사용하여 고정물의 한쪽에만 부착되어 사용되었다. 따라서 그 길이의 연장에 한계가 있으며 한꺼번에 두 장 이상의 문서를 걸 수 없어 불편함이 많았다.
따라서 여러 장의 문서를 함께 보면서 동시 다발적인 문서 작업이 요구되는 경우를 위한 새로운 형태의 서류걸이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 및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제한된 사무공간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점유공간을 차지하면서 다양한 종류의 서류를 걸어 동시에 보관할 수 있고, 사용 시 한 번에 여러 개의 서류를 철하여 봄으로써 정리 정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처리 중인 관련 서류를 간편하게 색인하면서 신속하게 찾아 볼 수 있으며, 여러 종류의 서류를 한꺼번에 통합관리할 수 있어 문서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회전형 서류걸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퇴근에 따른 미사용시 회전형으로 되어 있는 여러 개의 걸이대를 책상 벽이나 칸막이 벽면 쪽으로 밀어붙여 놓아 사무공간을 절약하고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형 서류걸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일정길이를 갖는 회전 지지부; 상기 회전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링부재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복수개의 수평대; 상기 수평대의 자유단에 구비되어 적어도 하나의 종이를 고정하는 서류고정부; 및 상기 회전 지지부를 고정 대상물에 위치고정하도록 상기 회전 지지부에 구비되는 축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서류걸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 지지부는, 상기 링부재의 하부단이 걸리는 하부 스 토퍼, 및 상기 링부재의 상부단이 걸리는 상부 스토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 지지부는, 수직방향으로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 연장관으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대는, 길이 중간에 문자 또는 기호를 표시하거나 라벨을 붙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대는, 수평방향으로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 연장관으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류고정부는, 상기 수평대의 자유단에 외측으로 개구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종이가 끼워져 고정되는 일정길이의 슬릿, 및 상기 수평대의 자유단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적어도 하나의 종이가 물려져 고정되는 집게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지지대는, 상기 회전 지지부의 하부단에 구비되어 고정 대상물의 수평한 바닥면에 올려지거나 부착되는 받침대, 및 상기 회전 지지부의 하부단에 구비되어 고정 대상물의 모서리부 또는 테두리부에 물려지는 C형 클램프 중 하나로 구비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받침대는, 상기 회전 지지부 또는 수평대의 소재보다는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지지대는, 상기 회전 지지부의 상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타단에 구비되어 고정 대상물에 고정되는 지지 고정구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대는, 수평방향으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 연장관으로 구비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고정구는, 상기 연결대의 타단에 구비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가 상부면에 구비되어 고정 대상물에 삽입고정되는 끼움 고정편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면에 복수 개의 조립공을 갖추어 하부고정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상부회전축을 갖는 회전 지지부; 상기 조립공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조립핀이 일단부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조립핀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복수 개의 수평대; 상기 수평대의 자유단에 구비되어 적어도 하나의 종이를 고정하는 서류고정부 및 상기 회전 지지부를 고정 대상물에 위치고정하도록 상기 회전 지지부에 구비되는 축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서류걸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고정축은, 바닥면이 밀폐된 외부관의 중심에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내부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회전축은 상기 외부관과 내부축사이에 삽입되는 내부공을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공과 내부축 사이 또는 상기 외관과 상부회전축 사이에는 베어링 부재를 추가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고정축과 상부 회전축 사이에는 하부단이 상기 하부 고정축에 형성된 체결공에 고정되고, 머리부는 상기 상부 회전축의 중심부에 관통형성된 체결공에 걸리도록 조립되는 결합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대는, 길이 중간에 문자 또는 기호를 표시하거나 라벨을 붙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지지대는, 상기 회전 지지부의 외부면에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타단에 구비되어 고정 대상물에 고정되는 지지 고정구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대는, 수평방향으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 연장관으로 구비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고정구는, 상기 연결대의 타단에 구비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가 상부면에 구비되어 고정 대상물에 삽입고정되는 끼움 고정편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지지대는, 상기 회전 지지부의 하부에 상단이 연결되는 일정길이의 수직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대의 하부에 구비되어 고정 대상물의 수평한 바닥면에 올려지거나 부착되는 받침대, 및 상기 수직대의 하부에 구비되어 고정 대상물의 모서리부 또는 테두리부에 물려지는 C형 클램프 중 하나로 구비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받침대는, 상기 회전 지지부 또는 수평대의 소재보다는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대는, 수직방향으로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 연장관으로 구비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종이를 포함하는 서류를 고정하는 서류 고정부를 갖는 복수 개의 수평대를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조립하고, 회전 지지부를 수평한 고정 대상물아니 수직한 고정 대상물에 위치고정하는 축지지대를 포함함으로써, 제한된 사무공간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점유공간을 차지하는 서류걸이를 구비할 수 있기 때문에 사무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조건 및 사무환경에 따라 위치조절이 용이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서류를 걸어 동시에 보관할 수 있고, 사용 시 한 번에 여러 개의 서류를 철하여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한 서류작업시 정리 정돈이 용이해지고, 처리 중이거나 처리 완료된 서류를 간편하게 색인하면서 신속하게 찾아 볼 수 있고 여러 종류의 서류를 한꺼번에 통합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문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업무종료에 따른 퇴근시 서류걸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회전형으로 되어 있는 여러 개의 걸이대를 책상 벽이나 칸막이 벽면 쪽으로 하여 일측으로 밀어붙여 놓아 사무공간을 절약하고 정리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서류걸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서류걸이의 사용상태를 사 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서류걸이(100)는 도 1과 도 2(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서화된 복수의 종이를 서로 다른 높이에서 고정하면서 그 위치를 자유롭게 회전이동시킬 수 있도록 회전 지지부(110), 수평대(120), 서류 고정부(130) 및 축지지대(14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 지지부(110)는 도 1과 도 2(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길이를 갖는 수직한 축구조물로 구비된다.
상기 수평대(120)는 상기 회전 지지부(11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링부재(122)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복수 개의 바 부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수평대(120)는 상기 회전 지지부(110)에 6개가 조립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조립 갯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요구 및 설계변경에 따라 조립갯수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수평대(120)의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 지지부(110)에는 상기 수평대(120)가 하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수평대(120) 중 최하부에 위치하는 링부재(122)와 간섭되는 하부 스토퍼(112)를 포함한다.
이러한 하부 스토퍼(112)는 상기 링부재(122)가 조립되는 회전 지지부(110)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외경을 갖도록 돌출되는 단차부로 구비되거나 별도의 체결부재가 체결되어 상기 링부재(122)와 간섭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지지부(110)는 상단에 상기 링부재(122)가 상부로 이탈되 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수평대(120)중 최상부의 링부재(122)와 간섭되는 상부 스토퍼(116)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부 스토퍼(116)는 상기 회전 지지부(11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조립공(114)에 체결되거나 삽입고정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회전 지지부(110)는 상기 하부 스토퍼(112)로부터 직하부로 일정길이 연속되는 하나의 축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대(120)의 상하높이위치를 근무환경 및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상하 수직방향으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스토퍼(112)를 구비하는 일정길이의 상부관(113)과, 상기 상부관(113)이 삽입되는 일정길이의 하부관(114)을 포함하여 상하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단 연장관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대(120)는 길이 중간에 문자 또는 기호를 표시하거나 라벨을 붙일 수 있는 표시부(125)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표시부(125)는 상기 수평대(120)의 상하높이보다 상대적으로 큰 높이를 갖도록 구비되어 서류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이를 분류할 수 있도록 "결재", "미결" 및 "보류" 등과 같은 식별가능한 표시를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대(12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서류 고정부(130)의 좌우위치를 근무환경 및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좌우 수평방향으로 적절히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링부재(122)가 일단부에 구비되는 내관(123)과, 상기 내 관(123)이 삽입되는 외관(124)을 갖추어 길이조절이 가능한 다단 연장관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 지지부(110)의 상부관(113)과 하부관(114)은 원형관으로 구비되고, 상기 수평대(120)의 내관(123)과 외관(124)은 사각관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 다각 및 타원형 중공관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류 고정부(130)는 도 1과 도 2(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대(120)의 자유단에 구비되어 적어도 하나의 종이(P)를 포함하는 서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충분한 고정력을 제공하는 고정수단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서류 고정부(130)는 상기 수평부재(120)의 자유단에 외측으로 개구형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종이(P)를 포함하는 서류가 끼워져 고정되는 파지력을 제공하는 일정길이의 슬릿(131)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슬릿(131)의 내부면에는 이에 끼워지는 문서에 파지력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돌기부를 돌출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슬릿(131)은 끼움 대상물인 종이(P)의 두께크기에 따라 폭크기(W)를 다양하게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종이(P)의 폭크기에 따라 형성길이를 다양하게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류 고정부(130)는 상기 수평부재(120)의 자유단에 일체로 고정되거나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적어도 하나의 종이(P)가 물려져 고정되는 파지력을 제공하는 집게부재(13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축지지대(140)는 도 1과 도 2(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지지부(110)를 고정 대상물(T1)에 흔들림없이 확고히 위치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지지부(110)에 구비되는 지지 구조물이다.
이러한 축지지대(140)는 상기 회전 지지부(110)의 하부단에 상단부가 일체 또는 조립식으로 구비되어 고정 대상물(T1)의 수평한 바닥면에 올려지거나 부착되도록 바닥면이 평평한 받침대(141)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받침대(141)는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류걸이의 전체적인 무게중심을 전체 높이의 중앙위치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회전 지지부(110) 또는 수평대(120)의 소재보다는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수평한 바닥면에 흡착력을 제공하는 흡착판형태를 갖는 고무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상기 축지지대(140)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지지부(110)의 하부단에 조립되어 고정 대상물(T2)의 모서리부 또는 테두리에 물려져 고정될 수 있는 C형 클램프(143)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C형 클램프(143)에는 고정 대상물(T2)의 모서리부 또는 테두리에 끼워진 C형 클램프(143)의 위치를 확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체결부재(143a)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서류걸이를 도시한 사시도로서써, (a)는 연결대가 다단 연장관 형태인 경우이고, (b)는 연결대가 힌지 형태인 경우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류걸이(100a)는 도 3(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서화된 복수의 종이를 서로 다른 높이에서 고정하면서 그 위치를 자유롭게 회전이동시킬 수 있도록 회전 지지부(110a), 수평대(120), 서류 고정부(130) 및 축지지대(140a)를 포함한다.
이러한 서류걸이(100a)는 제1 실시예에 개시된 회전 지지부(110)의 하부단에 수직한 축지지대(140)를 구비하는 것과는 다르게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회전 지지부(110a)의 상부단에서 수평한 축지지대(140a)를 구비하는 것으로, 제1실시예와 대응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축지지대(140a)는 연결대(144)와 지지고정구(145)를 포함하는바, 상기 연결대(144)는 상기 하부스토퍼(112)를 최하부단 근방에 형성한 회전 지지부(110a)의 상단에 일단이 일체 또는 조립식으로 연결되는 일정길이의 수평부재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연결대(144)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지지부(110)와 일단이 연결되는 내관(144a)과, 상기 내관(144a)이 삽입되는 외관(144b)으로 구비되어 수평방향으로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다단 연장관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 지지부(110)와 지지고정구(145)간의 거리는 상기 내관과 외관간의 삽입위치에 따라 사용자의 의도대로 적절히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연결대(144)의 일단 또는 내관(144a)의 일단은 상기 회전 지지 부(110)의 상단에 조립되는 상부스토퍼(116)와 일체로 구비되거나 상기 상부스토퍼(116)에 조립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대(144)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지지부(110)와 일단이 연결되는 내관(144a)과, 상기 지지고정구(145)와 일단이 연결되는 외관(144b)을 힌지축(144c)을 매개로 하여 회전가능한 힌지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힌지축(144c)을 매개로 하여 상기 내관과 더불어 회전 지지부(11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회전 지지부(110)의 위치를 사용자의 의도대로 적절히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힌지축(144c)을 갖는 연결대(144)는 내관(144a)과 외관(144b)이 관형태로 구비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 고정구(145)는 상기 연결대(144) 또는 외관(144b)의 타단에 일체 또는 조립식으로 고정 대상물(T3)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지지구조물이다.
이러한 지지 고정구(145)는 상기 연결대(144) 또는 외관(144b)의 타단에 구비되는 축부(145a)와, 상기 축부(145a)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지지부(145b) 및 상기 지지부(145b)를 상부면에 일체로 갖추어 상기 고정 대상물(T3)에 상부로부터 하부로 수직하게 삽입되어 고정되는 끼움고정편(145c)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끼움 고정편(145c)은 상기 고정 대상물(T3)의 수직면에 수직하게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접착제를 매개로 하여 접착방식으로 조립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 지지부(110), 수평대(120), 서류 고정부(130) 및 축지지대(140a)를 포함하는 구조물은 상기 지지부(145b)를 매개로 하여 근무환경 및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자유롭게 회전됨으로써, 상기 수평대(120)의 자유단에 구비된 서류 고정부(130)에 파지된 종이(P)의 위치를 적절히 위치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서류걸이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서류걸이(2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서화된 복수의 종이(P)를 동일한 높이에서 고정하면서 그 위치를 자유롭게 회전이동시킬 수 있도록 회전 지지부(210), 수평대(220), 서류 고정부(230) 및 축지지대(24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 지지부(210)는 하부 고정축(213)과 이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상부회전축(217)을 포함하는바, 상기 하부고정축(213)은 바닥면이 밀폐된 외부관(211)의 중심에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내부축(212)을 포함하여 상기 축지지대(240)에 연결되는 고정물이다.
여기서, 상기 외부관(211)의 내경은 상기 내부축(212)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갖추어 외부관(211)과 내부축(212)사이에는 상기 상부회전축(217)의 하부단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상부회전축(216)은 하부로 개방되어 상기 외부관(211)과 내부축(212)사 이로 삽입되는 내부공(214a)을 갖는 몸체(214)의 상부면에 복수개의 조립공(215)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내부공(214a)의 내부면과 내부축(212)의 외부면사이에는 상기 하부고정축(213)에 대한 상부회전축(216)의 회전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베어링부재(217)를 추가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외관(211)의 내부면과 상기 상부 회전축(216)의 외부면 사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베어링부재(217)에 의해서 상기 상부 회전축(216)이 하부 고정축(213)으로부터 분리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고정축(213)과 상부 회전축(216)사이에는 하부단이 상기 하부 고정축(213)의 내부축(212)에 형성된 체결공(218a)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반면에 머리부는 상기 상부 회전축(216)의 중심부에 관통형성된 체결공(218b)에 걸리도록 조립되는 결합부재(218)를 구비함으로써 이러한 결합부재(218)에 의해서 상기 하부 고정축(213)과 상부 회전축(216)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회전축(216)의 회전을 지지하면서 상기 하부 고정축(213)에 대하여 상기 상부 회전축(216)이 분리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수평대(220)의 각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상부 회전축(216)은 상기 하부 회전축(213)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원주방향으로 상기 수평대(220)와 더불어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평대(220)는 상기 상부 회전축(216)의 상부면에 형성된 조립공(215) 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조립핀(222)이 일단부에 하부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조립핀(222)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복수개의 바부재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수평대(220)는 상기 조립핀(222)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개별적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서류 고정부(230)의 위치를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개별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고, 상기 상부회전축(216)에 조립핀(222)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된 복수개의 수평대(220)는 상기 하부 회전축(213)의 중심을 회전축으로 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한꺼번에 가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되는 수평대(220)의 일단은 인접하는 다른 수평대(220)와의 간섭이 없도록 설계되어야한 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개시된 수평대(220)는 상기 회전 지지부(210)에 6개가 조립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조립갯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요구 및 설계변경에 따라 조립갯수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수평대(220)는 길이중간에 문자 또는 기호를 표시하거나 라벨을 붙일 수 있는 표시부(225)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표시부(225)는 상기 수평대(220)의 상하높이보다 상대적으로 큰 높이를 갖도록 구비되어 서류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이를 분류할 수 있도록 "결재", "미결" 및 "보류" 등과 같은 식별가능한 표시를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수평대(220)에 구비되는 표시부(225)는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류 고정부(23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대(220)의 자유단에 구비되어 적어도 하나의 종이(P)를 고정하는 고정력을 제공하는 고정수단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서류 고정부(230)는 상기한 제1,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수평부재(220)의 자유단에 외측으로 일정길이 개구형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종이(P)가 끼워져 고정되는 파지력을 제공하는 슬릿(231)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서류 고정부(230)는 상기 수평부재(220)의 자유단에 외측으로 개구형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종이(P)를 포함하는 서류가 끼워져 고정되는 파지력을 제공하는 일정길이의 슬릿(231)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슬릿(231)의 내부면에는 이에 끼워지는 문서에 파지력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돌기부를 돌출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슬릿(231)은 끼움 대상물인 종이(P)의 두께크기에 따라 폭크기(W)를 다양하게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종이(P)의 폭크기에 따라 형성길이를 다양하게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류 고정부(230)는 상기 수평부재(220)의 자유단에 일체로 고정되거나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적어도 하나의 종이(P)가 물려져 고정되는 파지력을 제공하는 집게부재(23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축지지대(24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지지부(210)를 고정 대상물(T3)에 위치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지지부(210)에 구비되는 지지 구조물이다.
이러한 상기 축지지대(240a)는 연결대(244)와 지지고정구(245)를 포함하는바, 상기 연결대(244)는 상기 회전 지지부(210)의 하부 고정축(213)에 구비되는 외관(211)에 일단이 일체 또는 조립식으로 연결되는 일정길이의 수평부재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연결대(244)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관(211)과 일단이 연결되는 내관(244a)과, 상기 내관(244a)이 삽입되는 외관(244b)으로 구비되어 수평방향으로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다단 연장관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 고정구(245)는 상기 연결대(244) 또는 외관(244b)의 타단에 일체 또는 조립식으로 구비되어 고정 대상물(T3)에 끼워져 고정되는 지지구조물이다.
이러한 지지 고정구(245)는 상기 연결대(244) 또는 외관(244b)의 타단에 구비되는 축부(245a)와, 상기 축부(245a)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지지부(245b) 및 상기 지지부(245b)를 상부면에 일체로 갖추어 상기 고정 대상물(T3)에 상부로부터 하부로 수직하게 삽입되어 고정되는 끼움고정편(245c)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끼움 고정편(245c)은 상기 고정 대상물(T3)의 수직면에 수직하게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접착제를 매개로 하여 접착방식으로 조립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 지지부(210), 수평대(220), 서류 고정부(230) 및 축지지대(240)를 포함하는 구조물은 상기 지지부(245b)를 매개로 하여 근무환경 및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자유롭게 회전됨으로써, 상기 수평대(220)의 자유단에 구비된 서류 고정부(230)에 파지된 종이(P)의 위치를 적절히 위치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 다.
도 6(a)(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서류걸이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서류걸이(200a)는 도 6(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서화된 복수의 종이를 동일한 높이에서 고정하면서 그 위치를 자유롭게 회전이동시킬 수 있도록 회전 지지부(210), 수평대(220), 서류 고정부(230) 및 축지지대(240a)를 포함한다.
이러한 서류걸이(200a)는 제3 실시예에 개시된 회전 지지부(210)의 외부면에 연결대(244)와 지지고정구(244)로 이루어진 축지지대(240)를 수평하게 구비하는 것과는 다르게 상기 회전 지지부(210)의 하부단에 수직한 축지지대(240a)를 구비하는 것으로, 제3실시예와 대응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축지지대(240a)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지지부(210)의 하부에 상단이 일체 또는 조립식으로 연결되는 일정길이의 수직대(242)와, 상기 수직대(242)의 하부단에 구비되고, 고정 대상물(T1)의 수평한 바닥면에 올려지거나 부착되도록 바닥면이 평평한 받침대(241)로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직대(242)는 상기 회전 지지부(210)의 상하높이위치를 사용자의 근무환경이나 신체조건에 따라 상하수직방향으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지지부(210)의 하부면에 상단이 연결되는 상부관(242a)과, 상기 상부관(242a)이 삽입되는 삽입되는 하부관(242b)을 길이조절이 가능한 다단 연장관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수직대(242)의 하부단에는 고정 대상물(T1)의 수평한 바닥면에 올려지거나 부착되도록 바닥면이 평평한 받침대(241)를 일체 또는 조립식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받침대(241)는 서류걸이의 전체적인 무게중심을 전체 높이의 중앙위치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회전 지지부(210) 또는 수평대(220)의 소재보다는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수평한 바닥면에 흡착력을 제공하는 흡착판형태를 갖는 고무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상기 축지지대(240a)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대(242)의 하부단에 조립되어 고정 대상물(T2)의 모서리부 또는 테두리에 물려져 고정될 수 있는 C형 클램프(243)로 구비되고, 상기 C형 클램프(243)에는 고정 대상물(T2)의 모서리부 또는 테두리에 끼워진 C형 클램프(243)의 위치를 확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체결부재(243a)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와 같은 단순한 실시예의 수정 또는 설계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서류걸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서류걸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a)는 받침대를 갖는 경우이고,
(b)는 C형 클램프를 갖는 경우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서류걸이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a)는 연결대가 다단 연장관 형태인 경우이고,
(b)는 연결대가 힌지 형태인 경우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 따른 회전형 서류걸이에 채용되는 수평대를 다단 연장관으로 구비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서류걸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서류걸이를 도시한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a)는 받침대를 갖는 경우이고,
(b)는 C형 클램프를 갖는 경우이다.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210 : 회전 지지부 112 : 하부 스토퍼
116 : 상부 스토퍼 120,220 : 수평대
122 : 링부재 222 : 조립핀
125,225 : 표시부 130,230 : 서류 고정부
131,231 : 슬릿 133,233 : 집게부재
140,140a,240,240a : 축지지대 141,241 : 받침대
143,243 : C형 클램프 144,244 : 연결대
T1,T2,T3 : 고정 대상물

Claims (22)

  1. 일정길이를 갖는 회전 지지부;
    상기 회전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링부재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복수 개의 수평대;
    상기 수평대의 자유단에 구비되어 적어도 하나의 종이를 고정하는 서류고정부; 및
    상기 회전 지지부를 고정 대상물에 위치고정하도록 상기 회전 지지부에 구비되는 축지지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서류걸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부는,
    상기 링부재의 하부단이 걸리는 하부 스토퍼, 및 상기 링부재의 상부단이 걸리는 상부 스토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서류걸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부는, 수직방향으로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 연장관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서류걸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대는, 길이 중간에 문자 또는 기호를 표시하거나 라벨을 붙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서류걸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대는, 수평방향으로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 연장관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서류걸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류고정부는, 상기 수평대의 자유단에 외측으로 개구가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종이가 끼워져 고정되는 일정길이의 슬릿, 및 상기 수평대의 자유단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적어도 하나의 종이가 물려져 고정되는 집게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서류걸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지지대는, 상기 회전 지지부의 하부단에 구비되어 고정 대상물의 수평한 바닥면에 올려지거나 부착되는 받침대, 및 상기 회전 지지부의 하부단에 구비되어 고정 대상물의 모서리부 또는 테두리부에 물려지는 C형 클램프 중 하나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서류걸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회전 지지부 또는 수평대의 소재보다는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서류걸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지지대는, 상기 회전 지지부의 상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타단에 구비되어 고정 대상물에 고정되는 지지 고정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서류걸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수평방향으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 연장관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서류걸이.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고정구는, 상기 연결대의 타단에 구비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회전 지지부 및 상기 회전 지지부가 상부면에 구비되어 고정 대상물에 삽입고정되는 끼움고정편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서류걸이.
  12. 상부면에 복수 개의 조립공을 갖추어 하부고정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상부회전축을 갖는 회전 지지부;
    상기 조립공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조립핀이 일단부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조립핀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복수 개의 수평대;
    상기 수평대의 자유단에 구비되어 적어도 하나의 종이를 고정하는 서류고정부; 및
    상기 회전 지지부를 고정 대상물에 위치고정하도록 상기 회전 지지부에 구비되는 축지지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서류걸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축은, 바닥면이 밀폐된 외부관의 중심에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내부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회전축은 상기 외부관과 내부축 사이에 삽입되는 내부공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서류걸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과 내부축 사이 또는 상기 외관과 상부 회전축 사이에는 베어링 부재를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서류걸이.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축과 상부 회전축 사이에는 하부단이 상기 하부 고정축에 형성된 체결공에 고정되고, 머리부는 상기 상부 회전축의 중심부에 관통형성된 체결공에 걸리도록 조립되는 결합부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서류걸이.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대는, 길이 중간에 문자 또는 기호를 표시하거나 라벨을 붙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서류걸이.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축지지대는, 상기 회전 지지부의 외부면에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타단에 구비되어 고정 대상물에 고정되는 지지 고 정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서류걸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수평방향으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 연장관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서류걸이.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고정구는, 상기 연결대의 타단에 구비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가 상부면에 구비되어 고정 대상물에 삽입고정되는 끼움 고정편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서류걸이.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축지지대는,
    상기 회전 지지부의 하부에 상단이 연결되는 일정길이의 수직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대의 하부에 구비되어 고정 대상물의 수평한 바닥면에 올려지거나 부착되는 받침대, 및 상기 수직대의 하부에 구비되어 고정 대상물의 모서리부 또는 테두리부에 물려지는 C형 클램프 중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서류걸이.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회전 지지부 또는 수평대의 소재보다는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서류걸이.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대는 수직방향으로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 연장관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서류걸이.
KR1020080056706A 2008-06-17 2008-06-17 회전형 서류걸이 KR200901309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706A KR20090130965A (ko) 2008-06-17 2008-06-17 회전형 서류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706A KR20090130965A (ko) 2008-06-17 2008-06-17 회전형 서류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0965A true KR20090130965A (ko) 2009-12-28

Family

ID=41690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6706A KR20090130965A (ko) 2008-06-17 2008-06-17 회전형 서류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3096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781B1 (ko) * 2008-04-08 2010-10-04 이용우 전동식 클립 자동 사출기
CN102991186A (zh) * 2012-12-12 2013-03-27 苏州原点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新型杂志存放架
CN104691148A (zh) * 2013-12-09 2015-06-10 成都锦汇科技有限公司 一种可移动的旋转报刊架
CN111231542A (zh) * 2020-03-20 2020-06-05 枣庄学院 图书馆用旋转报架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781B1 (ko) * 2008-04-08 2010-10-04 이용우 전동식 클립 자동 사출기
CN102991186A (zh) * 2012-12-12 2013-03-27 苏州原点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新型杂志存放架
CN104691148A (zh) * 2013-12-09 2015-06-10 成都锦汇科技有限公司 一种可移动的旋转报刊架
CN111231542A (zh) * 2020-03-20 2020-06-05 枣庄学院 图书馆用旋转报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7659B2 (en) File folder
US9661959B2 (en) Toilet paper holding device
KR20090130965A (ko) 회전형 서류걸이
US9538861B2 (en) Storage system
US20160009121A1 (en) File folder
US9849715B2 (en) Case for document storage assembly
US20130168275A1 (en) Electronic tablet transport and retaining apparatus
CN211673154U (zh) 一种方便放置与整理书本的放置架
KR100819057B1 (ko) 독서대가 구비된 에너지절약형 침대
US20210291576A1 (en) Self-supporting book
CN207247760U (zh) 一种晾晒架
KR101687161B1 (ko) 접이식 우산 거치대
US10682876B2 (en) Self-supporting book
CN209489713U (zh) 档案放置架
KR200460599Y1 (ko) 파티션 선반장치
KR200397769Y1 (ko) 작업용 다단 회전식 부품 적치대
US11779110B2 (en) Accessory organizer device
CN215125729U (zh) 一种工程造价材料用新型放置柜
US10010196B2 (en) Apparatus for holding jewelry and other articles
US20050253491A1 (en) Stationary accessory tower
US11498800B1 (en) Tape roll holder
KR102153227B1 (ko) 포터블 스탠드형 행거
CN220494888U (zh) 一种带伸缩管挂件的磁吸性刀架
CN213882202U (zh) 一种多组合式办公桌
CN209587745U (zh) 方便收纳的台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