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0689A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party communication service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party communication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0689A
KR20090130689A KR1020080056422A KR20080056422A KR20090130689A KR 20090130689 A KR20090130689 A KR 20090130689A KR 1020080056422 A KR1020080056422 A KR 1020080056422A KR 20080056422 A KR20080056422 A KR 20080056422A KR 20090130689 A KR20090130689 A KR 20090130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mage
terminal
wireles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64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Priority to KR1020080056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30689A/en
Publication of KR20090130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068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5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with management of multicast group membersh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9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in combination with wirel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6Arrangements for connecting several subscribers to a common circuit, i.e. affording conference fac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0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video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multi user communic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 system thereof capable of supplying a multilateral voice or video call service are provided to use the voice or the video call service through the mobile radio communications network. CONSTITUTION: A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110) is connected to a mobile radio communications network. A second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112) sets up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peech path through the mobile radio communications network. A wireless terminal(120) forms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first local group. Wireless terminals transmit packet data including the voice and video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scription

다자간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party communication service}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party communication service

본 발명은 다자간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지 않은 단말들도 이동통신망을 통해 음성 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system for providing a multi-party communication ser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 system for allowing terminals not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use a voice or video call service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이동통신 시스템은 2세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에서, 3세대 이동통신 방식인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시스템은 음성, 영상 및 데이터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As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the second generation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a UMTS system, which is a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is applied. 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n simultaneously provide voice, video and data services.

현재 UMTS는 유럽식 이동통신 시스템인 GSM과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s)을 기반으로 하는 광대역(Wideband) 부호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WCDMA라 칭함)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나 컴퓨터 사용자들이 전 세계 어디에 있든지 간에 패킷 기반의 텍스트, 디지털화된 음성이나 비디오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2 Mbps 이상의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는 일관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Currently, UMTS is using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based on the Europea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GSM and General Packet Radio Services (GPRS). It provides a consistent service that enables users to transmit packet-based text, digitized voice or video and multimedia data at speeds of more than 2 Mbps wherever they are in the world.

UMTS 시스템에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는 UTRAN(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이라 칭하며, UTRAN은 회선 서비스(Circuit Service or Circuit Switched) 도메인(Domain) 혹은 패킷 서비스(Packet Service or Packet Switched) 도메인으로 구성되는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이하 CN이라 칭함)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User Equipment: UE)를 다른 네트워크로 연결한다.In the UMTS system, a radio access network is called a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UTRAN), and the UTRAN is a circuit service or circuit switched domain or a packet service or packet switched domain. A user equipment (UE) is connected to another network through a configured core network (hereinafter referred to as CN).

이러한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인증, 사용자의 편리한 이동성 보장 및 다양한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해 USIM(Universal Subscribe Identity Module) 카드를 탑재하고 있다. The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equipped with a Universal Subscribe Identity Module (USIM) card for user authentication, guaranteeing user's convenient mobility, and providing various additional services.

USIM은 가입자 정보를 탑재한 SIM(Subscribe Identity Module) 카드와 UICC(Universal IC card)가 결합된 형태로서, CPU 및 메모리로 구성되며, CPU는 암복호화를 통해 사용자를 식별하고, 메모리는 신용카드나 교통카드, 멤버쉽 카드 등의 기능 모듈과 같이 부가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USIM is a combination of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card with subscriber information and Universal IC card (UICC). It consists of CPU and memory, and the CPU identifies the user through encryption and decryption. It stores information for additional services, such as function modules such as transportation cards and membership cards.

USIM 카드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USIM 카드만 소지하면 편리하게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통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using the USIM card, the user can conveniently op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nly by holding the USIM card.

이처럼 USIM 카드의 개방으로 인해 사용자는 여러 단말을 소지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사용자가 여러 단말을 소지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USIM 카드가 탑재한 단말만이 이동통신망에 연결되어 통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USIM 카드가 탑재되지 않은 다른 단말은 무용지물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As such, the opening of the USIM card allows a user to carry multiple terminals. However, even if the user has multiple terminals, only the terminal equipped with the USIM card can be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receive a call and data service. Accordingly, other terminals without the USIM card become useless. .

또한, 근래에는 전자수첩,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기능이 통합됨에 따라 하나의 단말에서 자료 검색, 음악 청취, 영상 촬영과 같은 복합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근거리의 다른 단말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까지 가능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In addition, recently integrated functions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an electronic organizer, an MP3 player,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nd a digital camera are used to provide a complex function such as data searching, music listening, and video recording from a single terminal.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ven transmit data wirelessly to other terminals in the near field through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그러나 이처럼 다양한 기능에도 불구하고, 이동통신망의 특성상 상기한 휴대용 단말들은 원격지에 위치한 사용자와의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까지는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However, in spite of various functions 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terminals do not provide voice calls or video call services with remotely located users.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단말에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다자간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다자간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o propose a multi-party communic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ystem that can provide a multi-party communication ser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terminal capable of short-range communic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영상 촬영이 가능한 단말의 경우, 원격지에 위치한 사용자와 다자간 영상 통화를 지원할 수 있는 다자간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multi-party communication service capable of supporting a multi-party video call with a user located in a remote location, when a terminal capable of video recording.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자간 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 통신망에 접속된 제1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화로가 설정된 제2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와 제1 로컬 그룹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로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다자간 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ulti-party communic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 communication path is established with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wireless terminal that forms a first local group with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s packet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audio and video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roviding at least one of an audio and a video receiv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통신망을 통해 제2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되는 제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자간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로컬 그룹에 속하는 무선 단말기로부터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 는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된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와 카메라부 및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음성 및 영상을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자간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a multi-party communication service in a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a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 at least one of audio and video from a wireless terminal belonging to a local group; Receiving packet data comprising one; (b)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received voice and video, the voice and video received through a camera unit and a microphone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a voice and an image received from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above method.

본 발명에 따르면, 로컬 그룹에 속하며, 이동통신망 접속이 불가능한 단말에까지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belongs to a local group and has an advantage of providing a communication service to a terminal that cannot acces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로컬 그룹에 속한 사용자에게 다자간 음성 및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ovide a multi-party voice and video call service to a user belonging to a local group.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element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 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overall understand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for the same means regardless of the drawing number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자간 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ulti-party communic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제1 로컬 그룹(100) 및 제2 로컬 그룹(102)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로컬 그룹(100, 102)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된다. As shown in FIG. 1, the system for providing a multi-party communic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ocal group 100 and a second local group 102, and the first and second local groups 100 and 102 are provided. It is connect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제1 로컬 그룹(100)은 이동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제1 이동통신 단말기(110) 및 제1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미리 설정된 프로토콜을 통해 근거리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local group 100 may include a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at can acces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one or more wireless terminals 120 that perform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rough a preset protocol. Can be.

또한, 제2 로컬 그룹(102)은 이동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제2 이동통신 단말기(112) 및 제2 이동통신 단말기(112)와 미리 설정된 프로토콜을 통해 근거리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122)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local group 102 may connect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2 and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2 that can access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ith one or more wireless terminals 122 to perform short-range communication through a preset protocol. It may include.

제1 및 제2 로컬 그룹(100,102)은 제1 이동통신 단말기(110) 및 제2 이동통신 단말기(112)의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근거리 통신 방식은 지그비, 블루투스, 바이너리 CDMA 방식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local groups 100 and 102 may be set to areas in which short-range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nd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2 is possible, an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scheme may be Zigbee, Bluetooth, or Binary. CDMA system and the like can be included.

제1 및 제2 로컬 그룹(100,102)에 속하는 무선 단말기(120,122)는 이동통신망에는 직접 접속할 수 없으나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120,122)는 USIM 카드가 탑재되지 않으나,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일 수 있으며, 그밖에 마이크 및 카메라와 같은 음성/영상 수신 수단을 구비하는 MP3 플레이어, PMP, 전자수첩,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전자 기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less terminals 120 and 122 belonging to the first and second local groups 100 and 102 may not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ut may be short-range communication devices. Wireless terminal 120,12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equipped with a USIM card, but may b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hort-range communication, in addition to an MP3 player, PMP, electronic notebook, It may include all electronic devices such as laptops and computers.

한편, 이동통신망은 음성 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드 B(130), 무선망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이하, 'RNC' 라 칭함, 132),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MSC 134), GMSC(Gateway MSC, 136), 패킷 교환 지원 노드(Serving GPRS Support: 이하, 'SGSN' 라 칭함, 138) 및 패킷 관문 지원 노드(Gateway GPRS Support Node: 이하, 'GGSN' 라 칭함, 140)를 포함하는 WCDMA망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a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voice or video call service, preferably, as shown in Figure 1, Node B (130), Radio Network Controll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RNC') 132), Mobile Switching Center (MSC 134), GMSC (Gateway MSC, 136), Packet Switching Support Node (Serving GPRS Support: hereinafter referred to as 'SGSN', 138) and Packet Gateway Support Node (Gateway GPRS Support) N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GGSN', may be a WCDMA network including 140).

노드 B(130)는 RNC(132)에서 전달된 제어 정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10,112)과의 데이터 교환에 필요한 물리 채널을 설정하고, 상위 프로토콜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들을 무선 환경에 맞게 변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112)로 전송한다. The node B 130 sets up a physical channel necessary for data exchange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10 and 112 according to the contro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NC 132, converts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higher level protocol to the wireless environment, and performs mobile communication. Transmit to the terminal (110,112).

또한, 노드 B(13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112)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RNC(132)의 상위 계층 프로토콜로 전달한다. In addition, the Node B 130 transmits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10 and 112 to an upper layer protocol of the RNC 132.

RNC(132)는 UTRAN의 무선 자원을 동적으로 할당하기 위해 RNC 내의 구성 요소를 제어하며, UTRAN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들을 적절한 노드로 전달하는 스위칭을 수행한다. RNC(132)는 교환기(134)와 SGSN(138)을 포함하는 코어 네트워크(핵심망)을 통해 제공되는 모든 서비스에 대한 접속점 역할을 수행한다. The RNC 132 controls components in the RNC to dynamically allocate radio resources of the UTRAN, and performs switching to deliver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UTRAN to an appropriate node. The RNC 132 serves as an access point for all services provided through the core network (core network) including the exchange 134 and the SGSN 138.

교환기(134) 내지 GGSN(130)을 포함하는 코어 네트워크는 호 처리(Call Control), 세션 관리(Session Management), 이동성 제어(Mobility Management) 등 의 기능을 수행하며, 회선교환 영역과 패킷교환 영역을 포함한다. The core network including the switch 134 to the GGSN 130 performs functions such as call control, session management, mobility management, and the like. Include.

회선교환 영역에 포함되는 교환기(134)는 회선교환 접속을 관리하며, 위치 정보 갱신(LAU), 위치 정보 등록(Location Registration), 호출(페이징) 등의 이동성 관리와 더불어 데이터의 보안(Security)과 관련된 기능을 담당하며, GMSC(136)는 회선교환 영역이 외부망과 연결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The switch 134 included in the circuit switched area manages the circuit switched connection, and manages the security of data along with mobility management such as location information update (LAU), location registration (Location Registration), and call (paging). Responsible for the relevant function, the GMSC 136 serves as a path through which the circuit switched area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network.

패킷교환 영역에 포함되는 SGSN(138)은 UTRAN을 향하는 패킷교환 서비스를 관리하고 지원한다. 또한 패킷교환 서비스를 제공 받는 이동통신 단말기(110,112)의 이동성 관리를 위해 라우팅 영역 갱신(RAU), 호출(페이지)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SGSN 138 included in the packet switched area manages and supports packet switched services destined for the UTRAN. In addition, to perform the mobility manage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112) receiving the packet-switched service performs a function such as routing area update (RAU), call (page).

GGSN(140)은 패킷교환 영역을 인터넷과 같은 다른 패킷교환망으로 연결시키는 통로 역할을 한다.The GGSN 140 serves as a path connecting the packet switched area to another packet switched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이동통신망을 통해 제1 이동통신 단말기(110) 및 제2 이동통신 단말기(112) 사이에 통화로가 설정된 경우, 제1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제1 로컬 그룹(100)에 속하는 무선 단말기(120)가 제2 이동통신 단말기(112) 및 제2 로컬 그룹(102)에 속하는 무선 단말기(122)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all path is established between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nd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2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e wireless terminal 120 belonging to the first local group 100 supports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2 and the wireless terminal 122 belonging to the second local group 102.

또한, 제2 이동통신 단말기(112)도 제2 로컬 그룹(102)에 속하는 무선 단말기(122)가 제1 이동통신 단말기(110) 및 제1 로컬 그룹(100)에 속하는 무선 단말기(120)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2 also includes a wireless terminal 122 belonging to the second local group 102 and a wireless terminal 120 belonging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nd the first local group 100. Support communication.

우선 제1 로컬 그룹(100)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제1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제1 로컬 그룹(100)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단말기(120)와 연결이 설정되고, 무선 단말기(120)로부터 음성 또는 영상을 포함하는 패킷 데이터를 수신되는 경우, 제1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수신된 패킷 데이터에 포함된 음성 또는 영상을 제1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또는 영상과 함께 제2 이동통신 단말기(112)로 전송한다.First, with reference to the first local group 100,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wireless terminal 120 belonging to the first local group 100, the wireless terminal 120 When packet data including audio or video is received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nputs audio or video included in the received packet data by the user of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e image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2 together with the image.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단말기(120)로부터 패킷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제1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미리 설정된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제2 이동통신 단말기(112)에 제3자와의 다자간 통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제2 이동통신 단말기(112)로부터 승낙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무선 단말기(120)로부터 수신된 패킷 데이터에 포함된 음성 또는 영상을 제1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또는 영상과 함께 제2 이동통신 단말기(112)로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packet data is receiv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120,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requests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2 to communicate with a third party through a preset data channel. When the message is transmitted and the acceptance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2, the user of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nputs an audio or video included in the packet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120.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2 together with one voice or video.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통신이 이루어지는 경우, 제2 이동통신 단말기(112)는 수신된 음성 또는 영상을 출력한다. 제2 이동통신 단말기(112)와 제2 로컬 그룹(102)에 속하는 다른 무선 단말기(122) 사이에 연결이 설정된 경우, 수신된 음성 또는 영상을 제2 로컬 그룹(102)에 속하는 무선 단말기(122)로 전송할 수 있다. When the communication is made in the above manner,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2 outputs the received voice or video. When a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2 and another wireless terminal 122 belonging to the second local group 102, the wireless terminal 122 belonging to the second local group 102 receives the received voice or video. ) Can be sent.

본 발명에 따르면, 각 로컬 그룹에 속하는 무선 단말기가 USIM 카드의 미탑재 또는 이동통신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 경우에도, 이동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을 이용하여 다자간 통신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wireless terminal belonging to each local group does not support the unloading or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USIM car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ulti-party communication service using a terminal that can access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can provide convenience.

하기에서는 도 2 내지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무 선 단말기의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3.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어부(200), RF부(202), 근거리 통신부(204), 카메라부(206), 영상 처리부(208), 데이터 처리부(210), 오디오 처리부(212), 표시부(214) 및 키입력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200, an RF unit 202, a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204, a camera unit 206, an image processing unit 208, and a data processing unit 210. , An audio processor 212, a display unit 214, and a key input unit 216.

하기에서는 도 2가 제1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구성인 것으로 설명하나, 제2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도 동일한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Hereinafter, although FIG. 2 is described as a configuration for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ame configuration can be employed in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어부(20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망 접속을 위한 전반적인 제어 과정을 수행하며, 본 발명에서는 로컬 그룹에 속하는 무선 단말기가 다자간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어 과정을 수행한다. The controller 200 performs an overall control process for network acces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process for enabling a wireless terminal belonging to a local group to use a multi-party communication service.

RF부(202)는 이동통신망과 음성,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채널을 형성하며, 인코딩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증폭하여 송신하는 송신부 및 수신된 RF 신호를 변환하여 베이스밴드 신호를 출력하는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F unit 202 forms a channe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video, and data wit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transmitter for amplifying and transmitting an encoded baseband signal, and a receiver for converting a received RF signal and outputting a baseband signal. It may include.

근거리 통신부(204)는 로컬 그룹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와 통신하는 것으로서, 다자간 통신을 원하는 무선 단말기로부터 음성 또는 영상을 포함하는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며, 원격지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음성 또는 영상 정보를 무선 단말기로 전송한다.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204 communicates with one or more wireless terminals belonging to a local group, and receives packet data including voice or video from a wireless terminal for multi-party communication, and receives voice or video received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Send information to the wireless terminal.

영상 통화 서비스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카메라부(206)가 제공된다. 카메라부(206)는 이미지 센서 및 이미지 프로세서를 구비하면 서 피사체(영상 통화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영상 처리부(208)로 출력한다. The camera unit 206 is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video call service. The camera unit 206 includes an image sensor and an image processor, and outputs an image of a subject (video call user) to the image processor 208.

한편, 로컬 그룹에 속하는 무선 단말기로부터 압축된 영상을 포함하는 패킷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데이터 처리부(210)는 패킷 데이터에서 압축된 영상만을 추출 및 복원하여 영상 처리부(208)로 출력한다. Meanwhile, when packet data including a compressed image is received from a wireless terminal belonging to a local group, the data processor 210 extracts and restores only the compressed image from the packet data and outputs the compressed image to the image processor 208.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부(208)는 다자간 영상 통화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 카메라부(206)를 통해 촬상된 영상(A)과 상기와 같이 무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영상(B)을 결합한다. When the multi-party video call service is provided, the image processing unit 208 combines the image A captured through the camera unit 206 with the image B receiv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as described above.

여기서,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은 각각 정지영상뿐만 아니라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영상 결합은 이미 당업자에게 공지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 each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may include not only a still image but also a moving image. Since image combining is alread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처리부(208)는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병렬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3, the image processor 208 may combine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in parallel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또한, 영상 처리부(208)는 결합된 영상 관련 정보를 생성한다. 영상 관련 정보는 결합된 영상에 대한 경계선의 위치, 영상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영상 관련 정보 및 결합된 영상을 포함하는 패킷 데이터는 RF부(202)를 통해 제2 이동통신 단말기(112)로 전송된다.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or 208 generates combined image related information. The image related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position of a boundary line with respect to the combined image and an image type. Packet data including the image related information and the combined image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2 through the RF unit 202.

제1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영상뿐만 아니라 무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음성 및 마이크, 오디오 처리부(212)를 통해 입력된 음성을 제2 이동통신 단말기(112)로 전송한다.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ransmits not only an image but also a voice, a microphone, and an audio input through the audio processor 212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2.

바람직하게, 제1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무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음성을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음성과 믹싱하여 미리 설정된 음성 채널을 통해 제2 이동통신 단말기(112)로 전송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may mix the voice receiv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with the voice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 and transmit the voice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2 through a preset voice channel.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제2 이동통신 단말기(112) 사이에 통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중에, 제1 로컬 그룹에 속하는 제1 무선 단말기(120)로부터 다자간 통신 요청 또는 음성/영상을 포함하는 패킷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제1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제어부(200)는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제2 이동통신 단말기(112)로 다자간 통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a call is being made between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nd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2, a multi-party communica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first wireless terminal 120 belonging to the first local group. Alternatively, when packet data including voice / video is received, the controller 200 of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may transmit a multi-party communication request message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2 through a data channel.

제2 이동통신 단말기(112)는 다자간 통신 요청 메시지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승낙 입력이 있는 경우, 제1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승낙 메시지를 전송한다.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2 outputs a multi-party communication request message, and transmits an approval message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when a user's consent is input.

이처럼 승낙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 제1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제어부(200)는 영상 결합, 음성 믹싱을 수행하여 제2 이동통신 단말기(112)로 서로 다른 사용자의 영상 및 음성을 포함하는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When the acceptance message is receiv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200 of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performs video combining and voice mixing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2 to include a video and audio of different users. It will transmit data.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자신의 로컬 그룹에 속하는 무선 단말기와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다자간 통신을 원하는지 여부를 문의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iodically inquire with the wireless terminal belonging to its local group to inquire whether or not multi-party communication is desired.

즉, 제2 이동통신 단말기(112)는 제1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통신하는 중에, 주기적으로 제2 로컬 그룹에 속한 제2 무선 단말기(122)로 폴링(polling) 메시지를 전송하며, 이에 대한 응답이 있는 제2 무선 단말기(122)로부터 음성 및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한 제1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That is,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2 periodically transmits a polling message to the second wireless terminal 122 belonging to the second local group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e same process as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may be performed by receiving a voice and a video from the second wireless terminal 122 having a response.

이러한 폴링 과정은 제1 이동통신 단말기(110)에서도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 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such a polling process may be performed in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n the same manner.

표시부(214)는 제2 이동통신 단말기(112)에서 전송된 영상을 출력하며, 만일 제2 이동통신 단말기(112)로부터 서로 다른 영상을 결합한 영상이 수신되는 경우, 결합된 영상을 출력한다. The display unit 214 outputs an imag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2 and, if an image combining different images is received from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2, outputs the combined image.

키입력부(216)는 메뉴 버튼, 통화 버튼, 통화 종료 버튼과 같은 커맨드 키패드 및 번호를 포함하는 넘버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key input unit 216 may include a command keypad such as a menu button, a call button, a call end button, and a number keypad including a number.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로서, 무선 단말기는 제어부(400), 근거리 통신부(402), 카메라부(404), 오디오 처리부(406), 키입력부(408) 및 표시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4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wireless terminal includes a control unit 400, a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402, a camera unit 404, an audio processing unit 406, a key input unit 408, and a display unit 410. ) May be included.

제어부(40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112)와의 근거리 통신, 음성 및 영상을 포함하는 패킷 데이터 생성을 위한 전반적인 제어 과정을 수행한다. The controller 400 performs an overall control process for generating packet data inclu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voice, and video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10 and 112.

또한, 제어부(400)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폴링 메시지 수신, 근거리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탐색 등을 위한 제어 과정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400 performs a control process for receiving a polling message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arching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cated at a short distance, and the like.

근거리 통신부(402) 내지 표시부(410)에 대한 내용은 상기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ince the details of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402 to the display unit 410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하기에서는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통신 서비스 제공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multi-party communication service provid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6.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통신 서비스 제공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ulti-party communication service provid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제1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제2 이동통신 단말기(112) 사이에 통화로가 설정되어 영상 통화가 개시된다(단계 500). Referring to FIG. 5, a call path is established between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nd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2 to start a video call (step 500).

영상 통화 도중 제1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제1 로컬 그룹에 속하는 제1 무선 단말기(120)로부터 음성 및 영상을 포함하는 패킷 데이터를 수신한다(단계 502).During the video call,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receives packet data including voice and video from the first wireless terminal 120 belonging to the first local group (step 502).

패킷 데이터 수신 시, 제1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미리 설정된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제2 이동통신 단말기(112)로 다자간 통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504).Upon receiving the packet data,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ransmits a multilateral communication request message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2 through a preset data channel (step 504).

제2 이동통신 단말기(112)로부터 다자간 통신 요청에 대한 승낙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단계 506), 제1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제1 무선 단말기(122)로부터 수신된 패킷 데이터에서 영상을 추출 및 복원하며(단계 508), 복원된 영상과 카메라부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결합하는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510). When the acceptance message for the multilateral communica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2 (step 506),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extracts an image from the packet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wireless terminal 122. And restoring (step 508) and combining the restored image with the image received from the camera unit (step 510).

이후, 제1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결합된 영상 및 결합된 영상 관련 정보를 제2 이동통신 단말기(112)로 전송한다(단계 512). Thereafter,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ransmits the combined image and the combined image related information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2 (step 512).

이와 함께, 제1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제1 무선 단말기(120)로부터 수신된 음성을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과 믹싱하여 제2 이동통신 단말기(112)로 전송한다(단계 514). In addition,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mixes the voice received from the first wireless terminal 120 with the voice input from the microphone and transmits it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2 (step 514).

제2 이동통신 단말기(112)는 영상 및 음성을 처리하여 표시부에 출력한다(단계 516).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2 processes and outputs the video and audio to the display unit (step 516).

상기한 과정을 통해 이동통신망에 접속할 수 없는 무선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도 원격지에 위치한 사용자와 영상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Through the above process, a user having a wireless terminal that cannot acces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an also make a video call with a user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자간 통신 서비스 제공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ulti-party communication service providing process in a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제1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통화로가 설정된 상태에서(단계 600), 제1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제1 무선 단말기의 음성 및 영상과 제1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카메라부 및 마이크로부터 수신된 음성 및 영상을 수신하여 함께 출력한다(단계 602). Referring to FIG. 6, in a state in which a communication path is established with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step 600),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and the audio and video of the first wireless terminal received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re performed. The voice and video received from the camera unit and the microphone of the terminal 110 are received and output together (step 602).

이처럼 원격지에 위치한 적어도 둘 이상의 단말과 영상 통화를 하는 중에, 제2 이동통신 단말기(112)는 제2 로컬 그룹(102)에 속하는 복수의 무선 단말기로 폴링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604).As such, during the video call with at least two remotely located terminals,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2 transmits a polling message to the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belonging to the second local group 102 (step 604).

상기한 폴링 메시지는 무선 단말기에 다자간 통신을 원하는지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이며, 상기한 폴링 메시지에 대해 무선 단말기가 응답하는 경우, 또는 무선 단말기로부터 음성 및 영상을 포함하는 패킷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단계 606), 제2 이동통신 단말기(112)는 영상 결합 및 음성 믹싱을 수행하고(단계 608), 결합된 영상 및 음성을 포함하는 패킷 데이터를 제1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단계 610).The polling message is a message for inquiring whether the wireless terminal wants multi-party communication, and when the wireless terminal responds to the polling message, or when packet data including voice and video is receiv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step 606,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2 performs image combining and voice mixing (step 608), and transmits packet data including the combined video and audio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step 610). ).

또한, 제2 이동통신 단말기(112)는 제1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음성 및 영상을 포함하는 패킷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단계 612), 이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과 동시에 제2 로컬 그룹에 속하는 무선 단말기(122)로 전송한다(단계 614).In addition, when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2 receives packet data including audio and video from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step 612),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2 outputs it to the display and belongs to the second local group. Transmit to wireless terminal 122 (step 614).

본 발명에 따르면, 각 로컬 그룹에 속하며 이동통신망 접속이 불가능한 무선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 또는 USIM 카드를 탑재하지 않은 단말에 대해서도 이동통신망을 통한 음성 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oice or video call service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provided for a user belonging to each local group and a user who does not have a USIM card.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isclo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자간 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ulti-party communic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 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된 영상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mbined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 4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통신 서비스 제공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ulti-party communication service provid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자간 통신 서비스 제공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ulti-party communication service providing process in a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3)

다자간 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In the multi-party communic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이동 통신망에 접속된 제1 이동통신 단말기;A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화로가 설정된 제2 이동통신 단말기; 및A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 communication path is established with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와 제1 로컬 그룹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로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단말기를 포함하되, And a wireless terminal that forms a first local group with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s packet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audio and video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다자간 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And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at least one of an audio and a video receiv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영상과 카메라부를 통해 촬상된 영상을 결합하여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다자간 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And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bines the image receiv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and transmits the combined image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무선 단말기는 압축된 영상을 포함하는 패킷 데이터를 상기 제1 이동통 신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패킷 데이터에서 압축된 영상의 추출 및 복원을 수행하는 다자간 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wireless terminal transmits packet data including the compressed image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tracts and restores the compressed image from the packet data. .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복원된 영상 및 상기 촬상된 영상을 결합하고, 상기 결합된 영상 관련 정보를 생성하되,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bines the restored image and the captured image, and generates the combined image related information, 상기 결합된 영상 관련 정보는 결합된 영상의 사이즈, 결합된 영상에 대한 경계선의 위치, 영상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자간 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combined image related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size of a combined image, a position of a boundary for the combined image, and an image typ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음성을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음성과 믹싱하여 믹싱된 음성을 미리 설정된 음성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다자간 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And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ixes the voice receiv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with the voice received through a microphone and transmits the mixed voice through a preset voice channel.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무선 단말기와 연결이 설정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데이터 채널을 통해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 다자간 통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다자간 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And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a multi-party communication request message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preset data channel when a connection with the wireless terminal is established.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2 로컬 그룹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에 폴링(polling)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폴링 메시지에 대해 응답한 무선 단말기가 존재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데이터 채널을 통해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에 다자간 통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다자간 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a polling message to one or more wireless terminals belonging to a second local group, and if there is a wireless terminal responding to the polling message, the first mobile terminal through the preset data channel. Multi-party communic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transmitting a multi-party communication request mess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2 무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영상과 카메라부를 통해 촬상된 영상을 결합하여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다자간 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And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bines the image received from the second wireless terminal and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and transmits the combined image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동통신망을 통해 제2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되는 제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자간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method of providing a multi-party communication service in a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a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로컬 그룹에 속하는 무선 단말기로부터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a) receiving packet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audio and video from a wireless terminal belonging to a local group; (b) 상기 수신된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와 카메라부 및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음성 및 영상을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b)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received voice and video, the voice and video received through a camera unit and a microphone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자간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c)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an audio and a video received from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wireless terminal. 제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b) 단계에 선행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와 연결이 설정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데이터 채널을 통해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 다자간 통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다자간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Prior to the step (b), when the connection is established with the wireless terminal, a multi-party communic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transmitting a multi-party communication request message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preset data channel. 제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a) 단계는, In step (a),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압축된 영상을 포함하는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Receiving packet data including a compressed image from the wireless terminal; 상기 패킷 데이터에서 압축된 영상의 추출 및 복원하는 단계;Extracting and restoring a compressed image from the packet data; 상기 복원된 영상 및 촬상된 영상을 결합하는 단계; 및 Combining the reconstructed image and the captured image; And 결합된 영상의 사이즈, 결합된 영상에 대한 경계선의 위치, 영상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상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자간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And generating image 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size of the combined image, a position of a boundary of the combined image, and an image type. 제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a) 단계에 선행하여, 상기 로컬 그룹에 속하는 무선 단말기로 폴링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Prior to the step (a),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a polling message to a wireless terminal belonging to the local group, 상기 폴링 메시지에 대해 응답한 무선 단말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a) 내지 (c) 단계가 수행되는 다자간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If there is a wireless terminal responsive to the polling message, steps (a) to (c) are performed.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2.
KR1020080056422A 2008-06-16 2008-06-16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party communication service KR2009013068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422A KR20090130689A (en) 2008-06-16 2008-06-16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party communication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422A KR20090130689A (en) 2008-06-16 2008-06-16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party communication ser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0689A true KR20090130689A (en) 2009-12-24

Family

ID=41690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6422A KR20090130689A (en) 2008-06-16 2008-06-16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party communication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3068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1584B2 (en) Methods for handling conference communication and the communication apparatuses utilizing the same
TWI280809B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channel selection by a mobile device
EP3285472B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cellular networks for call routing
CN112788783B (en) Relay connection establishment method and device
KR20060087162A (en) Method for providing 1:1 call during conference call in mobile terminal
US7657254B2 (en) User identification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st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refor
JP2006121334A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EP2461641A1 (en) System, method and terminal for communication between wapi terminals
JP2006121336A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and communication system
CN111557102B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devic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2006121335A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and communication system
CA2625126C (en) Classmark change message system and method
CN101515966A (en) Smart card, terminal unit and method for realizing the business of network telephone
KR100677704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push-to talk service
KR20090130689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party communication service
KR101901717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text message in multi sim mobile terminal
US20080233887A1 (en) Classmark Change Message System and Method
US8233930B1 (en) Dual-channel conferencing with connection-based floor control
KR101041314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porting Emergency Circumstances with Short Message Service
CN114731211B (en) Data transmission method, devic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4375598B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207200994U (en) Flow management device and terminal based on double-terminal
KR100993321B1 (en) Method and device for setting of FA
KR100687580B1 (en) Method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for capable of confirming arrival information during absence
KR20110081403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erver and system capable of servicing matchmaking service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