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9920A - 지레와 자력 및 부력을 응용한 중력양수기. - Google Patents

지레와 자력 및 부력을 응용한 중력양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9920A
KR20090129920A KR1020080056596A KR20080056596A KR20090129920A KR 20090129920 A KR20090129920 A KR 20090129920A KR 1020080056596 A KR1020080056596 A KR 1020080056596A KR 20080056596 A KR20080056596 A KR 20080056596A KR 20090129920 A KR20090129920 A KR 20090129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r
packing
water tank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6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순옥
Original Assignee
함순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순옥 filed Critical 함순옥
Priority to KR1020080056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9920A/ko
Publication of KR20090129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99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2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hydrostatic thr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1/00Parts or 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preceding groups, e.g. wear-protection couplings, between turbine and generator
    • F03B11/004Valv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06Stations or aggregates of water-storage type, e.g. comprising a turbine and a pum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3/00Alleged dynamo-electric perpetua mobil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B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water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6Mechanical energy storage, e.g. flywheels or pressurised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loat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받침대(24)(24') 상단에 고정시킨 큰 물탱크(32)(32')에 공급된 물이나, 양수된 물에서 생기는 위치에너지와 양수하는 과정에서 생기 운동에너지를 다양하게 응용하기 위하여 발명한 『지레와 자력 및 부력을 응용한 중력양수기』로서 그 주요 구성은 "
Figure 112008503114163-PAT00009
자형 중심 축받이(1)에 축(2)으로 축설한 좌측지레(3)와 우측지레(3')의 힘점(5)(5')에 각각 축(8)(8')으로 축설한 손잡이(7)(7') 하단의 물통(6)(6')이 매달리는 축(8)(8')을 좌우로 이동시키며, 이 물통(6)(6') 내벽에 여러 유도봉(14)(14')이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환형턱(15)(15') 위에 얹힌 패킹(16)(16')과 환형턱(15)(15') 내벽에 고착시킨 영구자석(59)(59')의 상단에 접하는 뚜껑(13)(13')이 배수구(63)(63')를 개폐하며, 이 뚜껑(13)(13') 상면의 고리(58)(58')와 물통(6)(6') 상단의 유도관(46)(46') 내부(57)(57')에서 오르내리는 막대(47)(47')의 하단 구멍에 끈(48)(48')을 연결한 이 막대(47)(47')의 상단 좌우측면에 갈고리(53)(53')를 형성시키고, 막대(47)(47')의 상단 구멍에 연결한 끈(52)(52')이 물통(6)(6') 상단의 축받이(39)(39')에 축(40)(40')으로 축설한 수평레버(42)(42')의 구멍(45)(45')을 관통한 끈(52)(52')의 최상단을 받침대(24)(24')의 밑면에 고착시킨 스프링지지대(49)(49')의 환형턱(61)(61') 위에 장착한 스프링(50)(50') 상단의 가로막대(51)(51')에 끈(52)(52')의 상단을 연결하며, 물통(6)(6')의 하방에는 물받이 통(33)(33')이 있고, 좌측지레(3)와 우측지레(3')의 작용점(9)(9')에 축(12)(12')으로 축설한 손잡이(11)(11') 하단에 있는 피스톤 (10)(10')의 원주 요홈에 V패킹(17)(17')을 끼운 이 피스톤(10)(10')과 V패킹(17)(17')이 실린더(18)(18') 내부에서 오르내리며, 물받이 통(33)(33')과 실린더(18)(18') 사이에 있는 칸막이(38)(38')의 환형턱(34)(34') 우측면과 좌측면에 각각 패킹(35)(35')을 끼우고, 이 패킹(35)(35')의 우측면과 좌측면에 밀착되는 뚜껑(36)(36') 상단의 구멍을 관통하는 볼트(37)(37')를 칸막이(38)(38')의 우측면과 좌측면의 암나사에 결합한 이 볼트(37)(37')에 걸리는 뚜껑(36)(36')이 패킹(35)(35')의 우측면과 좌측면에 밀착되면 칸막이(38)(38')의 구멍(62)(62')이 밀폐되며, 뚜껑(36)(36')이 패킹(35)(35')에서 분리되면 구멍(62)(62')이 열리고, 실린더(18)(18')의 측면에 형성된 상향 관(20)(20') 내벽의 환형턱(21)(21')위에 패킹(22)(22')과 개폐용 볼(23)(23')을 올려놓은 다음 이 상향 관(20)(20')의 상단에 양수 관(19)(19')의 하단을 결합하여 실린더(18)(18') 내부에서 압력을 받는 물이 상향 관(20)(20')과 양수 관(19)(19')을 통해 양수되는 물이 받침대(24)(24') 상단에 고정시킨 큰 물탱크(32)(32')에 고이도록 하고, 큰 물탱크(32)(32')의 바닥(25)(25') 좌우측에 있는 배수관(26)(26') 상단의 환형턱(27)(27') 위에 있는 패킹(28)(28') 위에 올려놓은 밸브(29)(29')의 자루(30)(30')가 배수관(26)(26')을 관통하며, 이 밸브(29) (29')의 이탈을 막기 위해 밸브(29)(29') 위에 씌운 보호망(31)(31')의 하단을 큰 물탱크(32)(32')의 바닥(25)(25')에 고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지레와 자력 및 부력을 응용한 중력양수기』"로서 큰 물탱크(32)(32')에 고이는 물에서 생기는 위치에너지와 양수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운동에너지를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레와 자력 및 부력을 응용한 중력양수기.{omitted}
[도 1a] 는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
[도 2a] 는 본 발명의 전체 종단면도 및 그 작용원리도
[도 2b] 는 본 발명의 물통(6')이 하강할 때의 작용원리도.
[도 2c] 는 본 발명의 밸브(80)(80')가 작동하는 작용원리도.
[도 2d] 는 본 발명의 좌측 요부를 상세히 도시한 작용원리도.
[도 2e] 는 본 발명의 우측 요부를 상세히 도시한 작용원리도.
[도 2f] 는 본 발명이 다수 설치되어 있는 평면도.
[주요기호]
중심축받이(1),축(2),좌측지레(3),우측지레(3'),힘점(5)(5'),물통(6)(6'),손잡이(7)(7'),축(8)(8'),작용점(9)(9'),피스톤(10)(10'),손잡이(11)(11'),축(12)(12'),뚜껑(13)(13'),유도봉(14)(14'),환형턱(15)(15'),패킹(16)(16'),V패킹(17)(17'),실린더(18)(18'),양수관(19)(19'),상향관(20)(20'),환형턱(21)(21'),패킹(22)(22'),볼(23)(23'),받침대(24)(24'),바닥(25)(25'),배수관(26)(26'),환형턱(27)(27'),패킹(28)(28'),밸브(29)(29'),자루(30)(30'),보호망(31)(31'),큰물탱크(32)(32'),물받이통(33)(33'),환형턱(34)(34'),패킹(35)(35'),뚜껑(36)(36'),볼트(37)(37'),칸막이(38)(38'),축받이(39)(39'),축(40)(40'),수직레버(41)(41'),수평레버(42)(42 '),갈고리(43)(43'),상당(44)(44'),구멍(45)(45'),유도관(46)(46'),막대(47)(47'),끈(48)(48'),스프링지지대(49)(49'),스프링(50)(50'),가로막대(51)(51'),끈(52)(52'),갈고리(53)(53'),힘점(54)(54'),물통(55)(55'),손잡이(56)(56'),내부(57)(57'),고리(58)(58'),영구자석(59)(59'),스프링(60)(60'),환형턱(61)(61'),구멍(62)(62'),배수구(63)(63'),급수관(64)(64'),환형턱(65)(65'),패킹(66)(66'),밸브(67)(67'),자루(68)(68'),뜸통(69)(69'),배수구(70)(70'),영구자석(71)(71'),영구자석(72)(72'),축(73)(73'),레버(74)(74'),부력마개(75)(75'),보호망(76)(76'),수평관(77)(77'),환형턱(78)(78'),패킹(79)(79'),밸브(80)(80'),급수구(81)(81'),보호망(82)(82'),
본 발명은 받침대 상단에 고정시킨 큰 물탱크에 물이 공급되는 급수관을 수원지에서부터 연결한 다음 이 급수관의 환형턱에 끼운 패킹에 접하는 밸브의 자루가 패킹과 환형턱의 구멍을 관통하도록 하고, 이 자루 끝에 장착한 뜸통이 큰 물탱크에 고여 있는 물의 부력에 의하여 부상하면 밸브가 닫히면서 수원지에서부터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던 물이 멈추고, 큰 물탱크에 고여 있는 물이 적어지면 이 물의 부력이 약화되며 뜸통이 하강하면서 밸브가 열리면 수원지에서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큰 물탱크에 공급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큰 물탱크에 물이 고이는 정도에 따라 그 수위가 높아지면 뜸통이 부상하면서 밸브가 닫히고, 큰 물탱크에 고이는 물이 적어지면 부력의 약화로 뜸통이 하강하면서 밸브가 열리기 때문에 큰 물탱크에는 거의 같은 양의 물이 고이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받침대 상단에 고정시킨 큰 물탱크에 고인 물이 이 물탱크 좌측 바닥의 배수관을 개폐하는 밸브가 열릴 때 이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면서 이 물이 중심축받이에 축으로 축설한 시이소 형 좌측지레의 힘점의 축에 매달린 물통에 고이면 이 물의 중량에 의하여 이 물통과 좌측지레가 중심축받이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10
)으로 회전하며 물통이 물받이 통 쪽으로 내려가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중심축받이에 축으로 축설한 시이소 형 좌측지레의 위에는 강력한 영구자석을 분리되지 않도록 부착시키고. 중심축받이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시이소 형 좌측지레가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11
)으로 회전하며 받침대 쪽으로 올라가면서 강력한 영구자석이 받침대 밑에 접하는 자리에 또 다른 강력한 영구자석을 고정시켜서 두 영구자석이 그 자력에 의하여 밀착되었을 때는 중심축받이에 축으로 축설한 좌측지레의 힘점에 축설한 축에 매달린 물통에 고이는 물의 중량이 강력한 두 영구자석의 인력보다 클 때 이 물통과 좌측지레가 중심축받이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12
)으로 회전하며 물통이 물받이 통 쪽으로 내려가도록 구성한다.
중심축받이에 축으로 축설한 좌측지레의 힘점에 축설된 축에 매달린 물통에 고인 물의 중량에 의하여 이 물통과 좌측지레가 중심축받이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13
)으로 회전하며 이 물통이 물받이 통 쪽으로 내려가도록 구성한다.
그렇기 때문에 좌측지레의 작용점에 축으로 축설한 피스톤과 이 피스톤의 원 주 요홈에 장착한 V패킹이 실린더 내부로 들어가면서 이 실린더 안에 고여 있는 물에 압력을 가하는 까닭에 이 물이 실린더 측면에 형성된 상향 관에 연결한 양수 관을 통해 양수되면서 이 물이 받침대 상단에 고정시킨 큰 물탱크에 고이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물을 양수하며 하한선에 도달한 좌측지레의 힘점에 축설한 축에 매달린 물통의 바닥에 있는 배수구를 개폐하는 뚜껑이 여러 부품에 의하여 열릴 때 물통에 고여 있었던 물이 실린더 옆에 있는 물받이 통에 고이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좌측지레의 힘점의 축에 매달린 물통이 중심축받이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사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14
)으로 회전하면서 아래로 내려가는 동안 중심축받이에 축으로 축설한 시이소 형 우측지레의 힘점의 축에 매달린 물통 및 우측지레의 작용점에 축으로 축설한 피스톤과 V패킹이 중심축받이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15
)으로 회전하면서 위로 올라가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우측지레의 힘점의 축에 매달린 물통 및 우측지레의 작용점에 축으로 축설한 피스톤과 V패킹이 중심축받이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16
)으로 회전하면서 위로 올라갈 때 이 물통 상단의 축받이에 축으로 축설한 수평레버의 좌측상단이 받침대의 상단에 고정시킨 큰 물탱크 바닥의 우측 배수관을 개폐하는 밸브의 자루 좌측 밑면을 밀어 올리기 때문에 이 밸브는 그 우측 밑면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17
)을 회전하면서 밸브의 밑면이 패킹의 상면에서 분리되면서 우측 배수관이 열리면 큰 물탱크에 고여 있던 물이 우측지레의 축에 매달려 있는 물통에 고이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우측지레의 축에 매달려 있는 물통에 고여 있는 물의 중량에 의하여 이 물통과 우측지레가 중심축받이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18
)으로 회전하면서 내려갈 때 우측지레의 작용점에 축으로 축설한 피스톤과 V패킹이 실린더 내부로 들어가면서 그 안에 고여 있는 물에 압력을 가하기 때문에 압력을 받는 이 물이 실린더 측면에 형성된 상향 관에 연결한 양수 관을 통해 양수되면서 받침대 상단에 고정시킨 큰 물탱크에 고이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은 작용의 반복으로 큰 물탱크에 고이는 물에는 위치에너지가 생기고, 큰 물탱크에 물을 양수하는 과정에서 작동하는 모든 부품에서는 운동에너지가 생기게 하면서 이들 에너지를 다양하게 응용할 목적으로 발명한 『지레와 자력 및 부력을 응용한 중력 양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받침대 상단에 고정시킨 큰 물탱크에 물이 공급되는 급수관을 수원지에서부터 연결한 다음 이 급수관의 환형턱에 끼운 패킹에 접하는 밸브의 자루가 패킹과 환형턱의 구멍을 관통하도록 하고, 이 자루 끝에 장착한 뜸통이 큰 물탱크에 고여 있는 물의 부력에 의하여 부상하면 밸브가 닫히면서 수원지에서부터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던 물이 멈추고, 큰 물탱크에 고여 있는 물이 적어지면 이 물의 부력이 약화되며 뜸통이 하강하면서 밸브가 열리면 수원지에서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큰 물탱크에 공급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큰 물탱크에 물이 고이는 정도에 따라 그 수위가 높아지면 뜸통이 부상하면서 밸브가 닫히고, 큰 물탱크에 고이는 물이 적어지면 부력의 약화로 뜸통이 하강하면서 밸브가 열리기 때문에 큰 물탱크에는 거의 같은 양의 물이 고이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받침대 상단에 고정시킨 큰 물탱크에 고인 물이 이 물탱크 좌측 바닥의 배수관을 개폐하는 밸브가 열릴 때 이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면서 이 물이 중심축받이에 축으로 축설한 시이소 형 좌측지레의 힘점의 축에 매달린 물통에 고이면 이 물의 중량에 의하여 이 물통과 좌측지레가 중심축받이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19
)으로 회전하며 물통이 물받이 통 쪽으로 내려가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중심축받이에 축으로 축설한 시이소 형 좌측지레의 위에는 강력한 영구자석을 분리되지 않도록 부착시키고. 중심축받이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시이소 형 좌측지레가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20
)으로 회전하며 받침대 쪽으로 올라가면서 강력한 영구자석이 받침대 밑에 접하는 자리에 또 다른 강력한 영구자석을 고정시켜서 두 영구자석이 그 자력에 의하여 밀착되었을 때는 중심축받이에 축으로 축설한 좌측지레의 힘점에 축설한 축에 매달린 물통에 고이는 물의 중량이 강력한 두 영구자석의 인력보다 클 때 이 물통과 좌측지레가 중심축받이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21
)으로 회전하며 물통이 물받이 통 쪽으로 내려가도록 구성한다.
중심축받이에 축으로 축설한 좌측지레의 힘점에 축설된 축에 매달린 물통에 고인 물의 중량에 의하여 이 물통과 좌측지레가 중심축받이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22
)으로 회전하며 이 물통이 물받이 통 쪽으로 내려가도록 구성한다.
그렇기 때문에 좌측지레의 작용점에 축으로 축설한 피스톤과 이 피스톤의 원주 요홈에 장착한 V패킹이 실린더 내부로 들어가면서 이 실린더 안에 고여 있는 물에 압력을 가하는 까닭에 이 물이 실린더 측면에 형성된 상향 관에 연결한 양수 관 을 통해 양수되면서 이 물이 받침대 상단에 고정시킨 큰 물탱크에 고이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물을 양수하며 하한선에 도달한 좌측지레의 힘점에 축설한 축에 매달린 물통의 바닥에 있는 배수구를 개폐하는 뚜껑이 여러 부품에 의하여 열릴 때 물통에 고여 있었던 물이 실린더 옆에 있는 물받이 통에 고이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좌측지레의 힘점의 축에 매달린 물통이 중심축받이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사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23
)으로 회전하면서 아래로 내려가는 동안 중심축받이에 축으로 축설한 시이소 형 우측지레의 힘점의 축에 매달린 물통 및 우측지레의 작용점에 축으로 축설한 피스톤과 V패킹이 중심축받이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24
)으로 회전하면서 위로 올라가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우측지레의 힘점의 축에 매달린 물통 및 우측지레의 작용점에 축으로 축설한 피스톤과 V패킹이 중심축받이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25
)으로 회전하면서 위로 올라갈 때 이 물통 상단의 축받이에 축으로 축설한 수평레버의 좌측상단이 받침대의 상단에 고정시킨 큰 물탱크 바닥의 우측 배수관을 개폐하는 밸브의 자루 좌측 밑면을 밀어 올리기 때문에 이 밸브는 그 우측 밑면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26
)을 회전하면서 밸브의 밑면이 패킹의 상면에서 분리되면서 우측 배수관이 열리면 큰 물탱크에 고여 있던 물이 우측지레의 축에 매달려 있는 물통에 고이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우측지레의 축에 매달려 있는 물통에 고여 있는 물의 중량에 의하여 이 물통과 우측지레가 중심축받이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27
)으로 회전 하면서 내려갈 때 우측지레의 작용점에 축으로 축설한 피스톤과 V패킹이 실린더 내부로 들어가면서 그 안에 고여 있는 물에 압력을 가하기 때문에 압력을 받는 이 물이 실린더 측면에 형성된 상향 관에 연결한 양수 관을 통해 양수되면서 받침대 상단에 고정시킨 큰 물탱크에 고이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은 작용의 반복으로 큰 물탱크에 고이는 물에는 위치에너지가 생기고, 큰 물탱크에 물을 양수하는 과정에서 작동하는 모든 부품에서는 운동에너지가 생기게 하면서 이들 에너지를 다양하게 응용할 목적으로 발명한 『지레와 자력 및 부력을 응용한 중력 양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양수기는 전력이나 유류 등의 기존 에너지를 사용하면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부품에 의하여 물을 양수하기 때문에 전력이나 유류 등의 기존 에너지를 소모시킬 뿐만 아니라 그 소모로 인하여 환경을 오염시키며, 소음과 함께 고속으로 회전하는 부품으로 인한 위험이 수반되는 등의 많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많은 문제를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받침대 상단에 고정시킨 큰 물탱크에 물이 공급되는 급수관을 수원지에서부터 연결한 이 급수관을 통해 수원지에서 물이 공급되도록 구성한다.
이 급수관의 환형턱에 끼운 패킹에 접하는 밸브의 자루가 패킹과 환형턱의 구멍을 관통하도록 한 다음 이 자루 끝에 장착한 뜸통이 큰 물탱크에 고여 있는 물의 부력에 의하여 부상하면 밸브가 닫히면서 수원지에서부터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던 물이 멈추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큰 물탱크에 고여 있는 물이 적어지면서 이 물의 부력이 약화되면 뜸통이 하강하면서 밸브가 열리기 때문에 수원지에서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던 물이 환형턱과 패킹의 구멍을 통과한 다음 이 물이 큰 물탱크의 바닥을 향하고 있는 급수관의 배수구로 배출되면서 큰 물탱크에 물이 고이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큰 물탱크에 물이 고이는 정도에 따라 그 수위가 높아지면 뜸통이 부상하면서 밸브가 닫히기 때문에 수원지에서 공급되던 물이 멈추도록 하고, 큰 물탱크에 물이 적어지면서 그 수위가 낮아지면 부력의 약화로 인해 뜸통이 하강하면서 밸브가 열리기 때문에 수원지에서 공급되는 물이 큰 물탱크에 고이면서 큰 물탱크에는 언제나 거의 일정한 양의 물이 고이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받침대 상단에 고정시킨 큰 물탱크에 고인 물이 이 물탱크 좌측 바닥의 배수관을 개폐하는 밸브가 열릴 때 이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면서 이 물이 중심축받이에 축으로 축설한 시이소 형 좌측지레의 힘점에 축설한 축에 매달린 물통에 고이면 이 물의 중량에 의하여 이 물통과 좌측지레가 중심축받이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28
)으로 회전하면서 이 물통이 물받이 통 쪽으로 내려가도록 구성한다.
그렇기 때문에 좌측지레의 작용점에 축으로 축설한 피스톤과 이 피스톤의 원주 요홈에 장착한 V패킹이 실린더 내부로 들어가면서 그 안에 고여 있는 물에 압력을 가하기 때문에 압력을 받는 이 물이 실린더 측면에 형성된 상향 관과 양수 관을 통해 양수되면서 이 물이 받침대 상단에 고정시킨 큰 물탱크에 고이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물을 양수하며 하한선에 도달한 좌측지레의 힘점에 축설한 축에 매달린 물통의 바닥에 있는 배수구를 개폐하는 뚜껑이 여러 부품에 의하여 이 뚜껑이 열릴 때 이 물통에 고여 있었던 물이 실린더 옆에 있는 물받이 통에 고이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물통이 하한선에 도달하면서 실린더 옆의 물받이 통에 고이는 이 물은 그 수압에 의하여 물받이 통과 실린더 사이에 있는 칸막이의 구멍을 개폐하는 뚜껑을 밀어낼 수 있을 때는 물받이 통에 고인 이 물이 칸막이의 구멍을 개폐하는 뚜껑을 밀어내며 이 물이 구멍을 통해 실린더 하단 내부로 들어가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좌측지레의 힘점에 축설한 축에 매달린 물통이 중심축받이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사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29
)으로 회전하면서 아래로 내려가는 동안 중심축받이에 축으로 축설한 시이소 형 우측지레의 힘점에 축설한 축에 매달린 물통 및 우측지레의 작용점에 축으로 축설한 피스톤과 V패킹이 중심축받이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30
)으로 회전하면서 위로 올라가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우측지레의 힘점에 축설한 축에 매달린 물통 및 우측지레의 작용점에 축으로 축설한 피스톤과 V패킹이 중심축받이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31
)으로 회전하면서 위로 올라갈 때 이 물통 상단의 축받이에 축으로 축설한 수평레버의 좌측상단이 받침대의 상단에 고정시킨 큰 물탱크 바닥의 우측 배수관을 개폐하는 밸브의 자루 좌측 밑면을 밀어 올리기 때문에 이 밸브는 그 우측 밑면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32
)을 회전하면서 밸브의 밑면이 패킹의 상면에서 분리되며 우측 배수관이 열리므로 큰 물탱크에 고여 있던 물이 우측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면서 우측지레의 힘점에 축설한 축에 매달려 있는 물통에 고이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물통에 고이는 물의 중량에 의하여 이 물통과 우측지레가 중심축받이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33
)으로 회전하면서 내려갈 때 우측지레의 작용점에 축으로 축설한 피스톤과 V패킹이 실린더 내부로 들어가면서 그 안에 고여 있는 물에 압력을 가하기 때문에 압력을 받는 물이 실린더 측면에 있는 상향 관과 양수 관을 통해 양수되면서 이 물이 받침대 상단에 고정시킨 큰 물탱크에 고이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물을 양수 하면서 하한선에 도달한 우측지레의 힘점에 축설한 축에 매달린 물통의 바닥에 있는 배수구를 개폐하는 뚜껑이 받침대 우측 밑면의 중앙과 막대의 상단 구멍을 연결한 끈과 이 막대의 하단 구멍에 연결한 끈에 의하여 이 뚜껑이 그 좌측 밑면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34
)으로 회전하면서 열리면 물통에 고여 있던 물이 열려있는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면서 실린더 옆의 물받이 통에 고이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우측지레의 힘점에 축설한 축에 매달린 물통이 중심축받이(1)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35
)으로 회전하면서 하한선에 도달하는 동안 중심축받이에 축으로 축설한 시이소 형 좌측지레의 힘점에 축설된 축에 매달린 물통이 위로 올라갈 때 좌측지레의 작용점에 축으로 축설한 피스톤과 V패킹이 중심축받이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36
)으로 회전하면서 실린더 내부에서 위로 올라가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우측지레의 작용점에 축으로 축설된 피스톤과 V패킹이 실린던 내부로 내려가는 동안 좌측지레의 힘점에 축설한 축에 매달린 물통 상단의 축받이에 축으로 축설한 수평레버의 우측상단이 받침대 상단에 고정시킨 큰 물탱크 바닥의 좌측 배수관을 개폐하는 밸브의 자루 우측 밑면을 밀어 올리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수평레버의 우측상단이 받침대 상단에 고정시킨 큰 물탱크 바닥의 좌측 배수관을 개폐하는 밸브의 자루 우측 밑면을 밀어 올리기 때문에 이 밸브가 그 좌측 밑면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37
)으로 회전하면서 이 밸브의 밑면이 패킹 위에서 분리되면 좌측 배수관이 열리며 큰 물탱크에 고여 있던 물이 좌측지레의 힘점에 축설한 축에 매달린 물통에 고이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은 작용의 반복으로 전력이나 유류 등의 기존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받침대 상단에 고정시킨 큰 물탱크에 물을 반복하여 양수하면서 양수된 물에서 생기는 위치에너지와 중심축받이에 축으로 축설한 시이소 형 좌측지레와 우측지레의 힘점에 축설한 축에 각각 매달린 두 물통 및 좌측지레와 우측지레의 작용점에 각각 축으로 축설한 두 피스톤과 V패킹이 물을 양수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운동에너지를 다양한 동력원으로 응용하기 위하여 발명한 『지레와 자력 및 부력을 응용한 중력양수기』에 관한 것인데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도 2a]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받침대(24)(24') 상단에 고정시킨 큰 물탱크(32)(32')에 물이 공급되는 급수관(64)을 장착하고 이 급수관(64)을 수원지에 연결한 다음 이 급수관(64)의 환형턱(65)에 끼운 패킹(66)에 접하는 밸브(67)의 자루(68)가 패킹(66)과 환형턱(65)의 구멍을 관통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패킹(66)과 환형턱(65)의 구멍을 관통한 자루(68)의 끝에 장착한 뜸통(69)이 큰 물탱크(32)(32')에 고여 있는 물의 부력에 의하여 부상하면 밸브(67)가 닫히면서 수원지에서부터 급수관(64)을 통해 공급되던 물이 멈추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큰 물탱크(32)(32')에 고이는 물이 적어질 때는 그 부력의 약화로 인하여 뜸통(68)이 하강하면서 밸브(67)가 열리면 수원지에서 급수관(64)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환형턱(65)과 패킹(66)의 구멍을 통과한 다음 큰 물탱크(32)(32')의 바닥(25) 쪽을 향하고 있는 급수관(64)의 배수구(70)로 배출되면서 이 물이 큰 물탱크(32)(32')에 고이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큰 물탱크(32)(32')에 물이 고이면서 그 수위가 높아지면 그 부력에 의하여 뜸통(69)이 부상하며 밸브(67)가 닫히기 때문에 수원지에서 공급되던 물이 멈춘다.
이와 같은 작용의 반복으로 큰 물탱크(32)(32')에는 어제나 거의 같은 양의 물이 고이도록 구성한다.
큰 물탱크(32)(32')가 있는 본 발명의 바닥 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Figure 112008503114163-PAT00038
자형 중심축받이(1)의
Figure 112008503114163-PAT00039
자형 사이에 축(2)으로 축설한 시이소 형 좌측지레(3)의 힘점(5)에 축(8)으로 축설한 손잡이(7) 하단의 물통(6)이 축(8)에 매달려 있도록 하되 이 축(8)의 위치를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좌측지레(3)가 중심축받이(1)에 축설한 축(2)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40
)으로 회전할 때 가장 잘 회전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좌측지레(3)의 상면에 강력한 영구자석(71)을 분리되지 않도록 고착 시킨 다음 이 좌측지레(3)가 중심축받이(1)의 축(2)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41
)으로 회전하면서 상한선에 도달하였을 때 영구자석(71)이 받침대(24) 밑면에 장착된 강력한 영구자석(72)의 자력에 의하여 두 영구자석(71)(72)이 서로 밀착되도록 구성하되, 좌측지레(3)가 자성체로 구성되었을 때는 이 좌측지레(3)의 상면에 강력한 영구자석(71)을 고착시키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이 좌측지레(3)가 자성체로 구성되었을 때는 좌측지레(3)가 받침대(24) 밑면에 장착된 강력한 영구자석(72)의 자력에 의하여 영구자석(72)에 밀착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받침대(24) 밑면에 장착된 강력한 영구자석(72)은 일정한 곳에 고착시키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이 영구자석(72)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영구자석(72)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물통(6)에 고인 물의 중량이 두 영구자석(71)(72) 사이에서 작용하는 인력보다 클 때 이두 영구자석(71)(72)이 분리되며, 영구자석(72)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물통(6)에 고인 물의 중량이 두 영구자석(71)(72) 사이에서 작용하는 이력보다 클 때 이 물의 중량에 의하여 두 영구자석(71)(72)이 분리되도록 구성한다.
그렇기 때문에 영구자석(72)을 좌측으로 이동시켰을 때 물통(6)에 고이는 물의 중량이 더 크고, 영구자석(72)을 우측으로 이동시켰을 때 물통(6)에 고이는 물의 중량은 더 작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좌측지레(3)의 작용점(9)에 축(12)으로 축설한 손잡이(11) 하단에 있는 피스톤(10)의 원주 요홈에 끼운 V패킹(17)의 하단외벽이 밑으로 향하면서 피스톤(10)과 함께 이 V패킹(17)이 실린더(18) 내부에서 내려갈 때는 V패킹(17)의 하단 외벽이 실린더(18)의 내벽에 밀착되면서 V패킹(17)의 하단 외벽과 실린더(18)의 내벽 사이에서 물이 새지 않도록 구성한다.
물통(6)의 내벽에는 물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며, 자성체로 만든 뚜껑(13)이 전후좌우로 밀리지 않고 개폐되도록 유도하는 다수의 유도 봉(14)이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물통(6) 하단의 환형턱(15) 위에 올려놓은 패킹(16)의 상면과 환형턱(15)의 내벽에 고착시킨 영구자석(59)의 상단 자극에 자성체로 만든 뚜껑(13)의 밑면이 접하면 이 뚜껑(13) 위에 있는 물과 뚜껑(13)에 작용하는 중력 및 영구자석(59)의 자력에 의하여 이 뚜껑(13)의 밑면이 패킹(16)의 상면과 영구자석(59)의 상단 자극에 강력하게 밀착되면서 배수구(63)가 밀폐되므로 물이 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 뚜껑(13)이 쉽게 열리지 않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실린더(18)의 측면에 형성된 상향 관(20)의 내벽에 형성된 환형턱(21) 위에 패킹(22)을 올려놓고 그 위에 올려놓은 개폐용 볼(23)이 패킹(22)의 상면에 밀착되면 볼(23)위에 고여 있는 물이 환형턱(21)과 패킹(22)의 구멍을 통해 흘러내리지 않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향 관(20)의 상단에 양수 관(19) 하단을 결합하여 실린더(18) 내부에서 피스톤(10)과 V패킹(17)이 하강할 때 압력을 받고 있는 물이 이 상향 관(20)과 양수 관(19)을 통해 양수되면서 이 물이 받침대(24)(24') 상단에 고 정시킨 큰 물탱크(32)(32')에 고이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큰 물탱크(32)의 바닥(25) 좌측에 있는 배수관(26)의 상단 둘레에 형성된 환형턱(27) 위에 패킹(28)을 올려놓고, 그 위에 올려놓은 밸브(29)의 자루(30)가 배수관(26)을 관통하도록 한 다음 이 밸브(29)의 이탈을 막기 위하여 밸브(29) 위에 씌운 보호망(31)의 하단을 큰 물탱크(32)의 바닥(25)에 고착시키도록 구성한다.
물받이 통(33)과 실린더(18) 사이에 있는 칸막이(38)의 환형턱(34) 우측면에 패킹(35)을 끼우고, 이 패킹(35)의 우측면에 밀착되는 뚜껑(36)의 상단에 천공된 구멍을 관통하는 볼트(37)를 칸막이(38)의 우측면에 있는 암나사에 결합하였을 때 이 볼트(37)에 걸려있는 뚜껑(36)이 중력에 의하여 패킹(35)의 우측면에 밀착되면 칸막이(38)의 구멍(62)이 밀폐되며, 뚜껑(36)이 물받이 통(33)에 고여 있는 물의 수압에 의하여 패킹(35)에서 분리되면서 구멍(62)이 열리도록 구성한다.
뚜껑(36)이나 볼트(37)를 사용하지 않고 패킹(35)의 우측면에 큰 볼이 밀착되면 칸막이(38)의 구멍(62)이 밀폐되고, 패킹(35)의 우측면에서 큰 볼이 분리되면 구멍(62)이 열리도록 구성해도 된다.
물통(6) 상단의 축받이(39)에 축(40)으로 축설한 수직레버(41)와 수평레버(42) 중 수직레버(41) 하단의 우측면에는 갈고리(43)를 형성시키고, 수평레버(42)와 좌측지레(3) 사이에 < 자형 스프링(60)을 장착하여 수평레버(42)의 우측상단(44)이 이 < 자형 스프링(60)의 탄력에 의하여 위로 들리도록 구성한다.
< 자형의 스프링(60) 대신 코일 형 스프링을 사용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평레버(42)의 우측상단(44)이 위로 굽어져 있기 때문에 좌측지레(3)가 중심축받이(1)의 축(2)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42
)으로 회전하면서 좌측지레(3)의 힘점(5)에 축(8)으로 축설한 손잡이(7) 하단의 물통(6)이 축(8)에 매달린 상태에서 이 물통(6)이 위로 올라가도록 하면 이 물통(6) 상단의 축받이(39)에 축(40)으로 축설한 수평레버(42)의 우측상단(44)이 받침대(24)(24') 위에 고정시킨 큰 물탱크(32)의 바닥 밑에 형성된 배수관(26)을 개폐하는 밸브(29)의 자루(30) 우측 밑면을 밀어 올리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평레버(42)에 천공된 구멍(45)을 관통하는 끈(52)의 하단을 물통(6)의 상단에 형성된 유도관(46) 내부(57)에서 상하로 오르내리는 막대(47)의 상단 구멍에 연결하고, 이 막대(47)의 상단 좌측면에 갈고리(53)가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막대(47)의 하단 구멍과 뚜껑(13)의 좌측 상면에 형성된 고리(58)를 끈(48)으로 연결한 다음 상기 끈(52)의 최상단을 [도 2d]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받침대(24)의 좌측 밑면 중앙에 고착시킨 스프링지지대(49)의 환형턱(61) 위에 장착한 코일 형 스프링(50)의 상단에 고정시킨 가로막대(51)에 상기 끈(52)의 최상단을 연결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막대(47)는 물통(6)이 하강하면서 이 물통(6)이 하한선에 근접할 무렵 늘어졌던 끈(52)이 팽팽해지며 이 막대(47)가 더 하강할 수 없게 될 때부터 영구자석(59)의 상단 자극에 밀착되어 있는 뚜껑(13)이 그 좌측 상면에 형성된 고리(58)에 연결한 끈(48)과 막대(47) 상단의 구멍에 연결한 끈(52)의 최상단 이 코일 형 스프링(50)의 상단에 고정시킨 가로막대(51)를 끌어 내리기 때문에 이 스프링(50)이 수축하는 정도에 비례하여 물통(6)이 계속하여 하강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뚜껑(13)이 닫힌 상태에서 물통(6)이 계속 하강하다가 스프링(50)이 완전히 수축되면서 물통(6)이 더 하강할 수 없게 되었을 때부터 스프링지지대(49), 가로막대(51), 스프링(50), 끈(52), 막대(47), 끈(48)에 의하여 뚜껑(13)이 그 우측 밑면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43
)으로 회전하면서 열리도록 구성한다.
그러나 자성체로 만든 뚜껑(13)의 밑면이 영구자석(59)의 자력에 의하여 이 영구자석(59)의 상단 자극에 강력히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물통(6)이 하강하더라도 뚜껑(13)의 밑면이 영구자석(59)의 상단 자극에서 분리되지 않고 있다가 스프링(50)이 더 수축될 수 없을 만치 완전히 수축된 상태에서도 물통(6)이 하강할 때는 뚜껑(13)의 밑면이 영구자석(59)의 상단 자극에서 분리되면서 이 뚜껑(13)이 그 우측 밑면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44
)으로 회전하면서 패킹(16)의 상면에서 분리되면 배수구(63)가 열리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뚜껑(13)의 밑면이 영구자석(59)의 상단 자극에서 분리되면서 뚜껑(13)이 그 우측 밑면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45
)으로 회전할 때 배수구(63)의 중간 전후벽면에 축(73)으로 축설된 레버(74)의 좌측 상단이 뚜껑(13)의 밑면에 고로 연결된 상태에서 위로 끌려올라가기 때문에 레버(74)가 축(73)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46
)으로 회전하면서 이 레버(74)의 하단이 배수구(63)의 밑에서 부력에 의하여 이 배수구(63)를 개폐하는 부력마개(75)를 밀어 내는 까닭에 이 부력마개(75)가 열리므로 배수구(63)가 상하양면에서 열리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부력마개(75)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환형턱(15)의 밑면에 장착한 보호망(76)이 부력마개(75)를 그 밑에서 받혀주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뚜껑(13)의 밑면이 패킹(16)의 상면에서 분리됨과 동시에 부력마개(75)도 열리기 때문에 물통(6) 하단의 배수구(63)는 상하 양면에서 뚜껑(13)과 부력마개(75)가 열리면서 물통(6)에 고여있던 물이 열려있는 이 배수구(63)를 통해 빨리 배출되며 물받이 통(33)에 고이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뚜껑(13)이 열릴 때 완전히 수축되었던 스프링(50)의 탄력에 의하여 뚜껑(13)이 위로 들리면서 열리기 때문에 이 뚜껑(13)과 부력마개(75)는 가장 많이 열린 상태에서 막대(47) 상단의 좌측면에 형성된 갈고리(53)의 비탈면이 수직레버(41) 하단의 우측면에 형성된 갈고리(43)의 비탈면을 딸아 올라가면서 이 막대(47) 상단의 갈고리(53)가 수직레버(41) 하단의 갈고리(43)에 걸리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막대(47) 상단의 갈고리(53)가 수직레버(41) 하단의 갈고리(43)에 걸리기 때문에 뚜껑(13)과 부력마개(75)가 가장 많이 열린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되므로 물통(6)에 고여 있던 물이 쉽게 배출되면서 이 물이 물받이 통(33)에 고이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물통(6)에서 배출된 물이 물받이 통(33)에 고이면서 이 물이 뚜껑(36)을 밀어내며 실린더(18) 내부로 들어가려고 하지만 실린더(18) 내부에는 피스톤(10)과 V패킹(17)의 압력을 받고 있는 물이 있기 때문에 물받이 통(33)에 고인 물은 실린더(18)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고 물받이 통(33)에 그대로 고여 있도록 구성한다.
큰 물탱크(32)(32')가 있는 본 발명의 바닥 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Figure 112008503114163-PAT00047
자형 중심축받이(1)의
Figure 112008503114163-PAT00048
자형 사이에 축(2)으로 축설한 시이소형 우측지레(3')의 힘점(5')에 축(8')으로 축설한 손잡이(7') 하단의 물통(6')이 축(8')에 매달리도록 하되 이 축(8')의 위치를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우측지레(3')가 중심축받이(1)에 축설한 축(2)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49
)으로 회전할 때 잘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우측지레(3')의 상면에 강력한 영구자석(71')이 분리되지 않도록 고착시킨 다음 이 우측지레(3')가 중심축받이(1)의 축(2)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50
)으로 회전하면서 상한선에 도달하였을 때 이 영구자석(71')과 받침대(24') 밑면에 장착된 강력한 영구자석(72')의 자력에 의하여 두 영구자석(71')(72')이 서로 밀착되도록 구성하되 우측지레(3')가 자성체로 구성되었을 때는 이 우측지레(3')의 상면에 강력한 영구자석(71')을 고착시키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받침대(24') 밑면에 장착된 강력한 영구자석(72')은 일정한 곳에 고착시키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이 영구자석(72')을 좌우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장착한 영구자석(72')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물통(6')에 고이는 물의 중량이 두 영구자석(71')(72') 사이에서 작용하는 인력보도 클 때만 이 물의 중량에 의하여 두 영구자석(71')(72')이 분리되며, 영구자석(72')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물통(6')에 고이는 물의 중량이 두 영구자석(71')(72') 사이에서 작용하는 인력보도 클 때만 이 물의 중량에 의하여 두 영구자석(71')(72')이 분리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우측지레(3')의 작용점(9')에 축(12')으로 축설한 손잡이(11') 하단에 있는 피스톤(10')의 원주 요홈에 끼운 V패킹(17')의 하단외벽이 밑으로 향하면서 피스톤(10')과 함께 이 V패킹(17')이 실린더(18') 내부에서 내려갈 때 이 V패킹(17')의 하단 외벽이 실린더(18')의 내벽에 밀착되면서 V패킹(17')의 하단 외벽과 실린더(18')의 내벽 사이에서 물이 새지 않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은 물통(6')의 내벽에는 물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며, 자성체로 만든 뚜껑(13')이 전후좌우로 밀리지 않고 개폐되도록 유도하는 다수의 유도 봉(14')이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물통(6') 하단의 환형턱(15') 위에 올려놓은 패킹(16')의 상면과 환형턱(15')의 내벽에 고착시킨 영구자석(59')의 상단 자극에 자성체로 만든 뚜껑(13')의 밑면이 접하면서 이 뚜껑(13') 위에 있는 물의 수압과 뚜껑(13')에 작용하는 중력 및 영구자석(59')의 자력에 의하여 뚜껑(13')의 밑면이 패킹(16')의 상면과 영구자석(59')의 상단 자극에 강력하게 밀착되며 배수구(63')가 밀폐되기 때문에 물이 새지 않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뚜껑(13')은 그 위에 있는 물의 수압과 그 자체에 작용하는 중력 및 환형턱(15')의 내벽에 고착시킨 영구자석(59')의 자력에 의하여 자성체로 만든 이 뚜껑(13')의 밑면이 패킹(16')의 상면과 영구자석(59')의 상단 자극에 밀착되면서 배수구(63')를 밀폐시킬 뿐만 아니라 이 뚜껑(13')이 쉽게 열리지 않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실린더(18')의 측면에 형성된 상향 관(20')의 내벽에 형성된 환형턱 (21') 위에 패킹(22')을 올려놓은 다음 그 위에 올려놓은 개폐용 볼(23')이 패킹(22')의 상면에 밀착되면서 볼(23') 위에 고여 있는 물이 환형턱(21')과 패킹(22')의 구멍을 통해 흘러내리지 않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향 관(20')의 상단에 양수 관(19') 하단을 결합하여 실린더(18') 내부에서 피스톤(10')과 V패킹(17')이 하강할 때 압력을 받는 물이 상향 관(20')과 양수 관(19')을 통해 양수되면서 이 물이 받침대(24)(24') 상단에 고정시킨 큰 물탱크(32)(32')에 고이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큰 물탱크(32)(32')의 바닥(25') 우측에 있는 배수관(26')의 상단 둘레에 형성된 환형턱(27') 위에 패킹(28')을 올려놓고, 그 위에 올려놓은 밸브(29')의 자루(30')가 배수관(26')을 관통하도록 한 다음 이 밸브(29')의 이탈을 막기 위하여 밸브(29') 위에 씌운 보호망(31')의 하단을 큰 물탱크(32')의 바닥(25')에 고착시키도록 구성한다.
물받이 통(33')과 실린더(18') 사이에 있는 칸막이(38')의 환형턱(34') 좌측면에 패킹(35')을 끼우고, 이 패킹(35')의 좌측면에 밀착되는 뚜껑(36')의 상단에 천공된 구멍을 관통하는 볼트(37')를 칸막이(38')의 좌측면에 있는 암나사에 결합하였을 때 이 볼트(37')에 걸려 있는 뚜껑(36')이 중력에 의하여 패킹(35')의 좌측면에 밀착되면 칸막이(38')의 구멍(62')이 밀폐되며, 뚜껑(36')이 물받이 통(33')에 고여 있는 물의 수압에 의하여 패킹(35')에서 분리되면 구멍(62')이 열리도록 구성한다.
뚜껑(36')이나 볼트(37')를 사용하지 않고 패킹(35')의 좌측면에 큰 볼이 밀 착되면 칸막이(38')의 구멍(62')이 밀폐되고, 패킹(35')의 좌측면에서 큰 볼이 분리되면 구멍(62')이 열리도록 구성해도 된다.
물통(6') 상단의 축받이(39')에 축(40')으로 축설한 수직레버(41')와 수평레버(42') 중 수직레버(41') 하단의 우측면에는 갈고리(43')를 형성시키고, 수평레버(42')와 우측지레(3') 사이에 < 자형 스프링(60')을 장착하여 수평레버(42')의 우측상단(44')이 이 < 자형 스프링(60')의 탄력에 의하여 위로 들리도록 구성한다.
< 자형의 스프링(60') 대신 코일 형 스프링을 사용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평레버(42')의 우측상단(44')이 위로 굽어져 있기 때문에 우측지레(3')가 중심축받이(1)의 축(2)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51
)으로 회전하면서 우측지레(3')의 힘점(5')에 축(8')으로 축설한 손잡이(7') 하단의 물통(6')이 축(8')에 매달린 상태에서 이 물통(6')이 위로 올라가도록 하면 이 물통(6') 상단의 축받이(39')에 축(40')으로 축설한 수평레버(42')의 좌측상단(44')이 받침대(24)(24') 위에 고정시킨 큰 물탱크(32)(32')의 배수관(26')을 개폐하는 밸브(29')의 자루(30') 좌측 밑면을 밀어 올리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평레버(42')에 천공된 구멍(45')을 관통하는 끈(52')의 하단을 물통(6')의 상단에 형성된 유도관(46') 내부(57')에서 상하로 오르내리는 막대(47')의 상단 구멍에 연결하고, 이 막대(47')의 상단 우측면에는 갈고리(53')가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막대(47')의 하단 구멍과 뚜껑(13')의 우측 상면에 형성된 고리(58')를 끈(48')으로 연결한 다음 상기 끈(52')의 최상단을 [도 2e]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받침대(24')의 우측 밑면 중앙에 고착시킨 스프링지지대(49')의 환형턱(61') 위에 장착한 코일 형 스프링(50')의 상단에 고정시킨 가로막대(51')에 상기 끈(52')의 최상단을 연결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막대(47')는 물통(6')이 하강하면서 이 물통(6')이 하한선에 근접할 무렵 늘어졌던 끈(52')이 팽팽해지며 이 막대(47')가 더 하강할 수 없게 될 때부터 영구자석(59')의 상단 자극에 밀착되어 있는 뚜껑(13')이 그 우측 상면에 형성된 고리(58')에 연결한 끈(48')과 막대(47') 상단의 구멍에 연결한 끈(52')의 최상단이 상기 코일 형 스프링(50')의 상단에 고정시킨 가로막대(51')를 끌어 내리기 때문에 이 스프링(50')이 수축하는 정도에 비례하여 물통(6')이 계속 하강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뚜껑(13')이 닫힌 상태에서 물통(6')이 계속 하강하다가 스프링(50')이 완전히 수축되면서 물통(6')이 더 하강할 수 없게 되었을 때 스프링지지대(49'), 가로막대(51'), 스프링(50'), 끈(52'), 막대(47'), 끈(48')에 의하여 뚜껑(13')이 그 좌측 밑면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52
)으로 회전하면서 열리도록 구성한다.
그러나 자성체로 만든 뚜껑(13')의 밑면이 영구자석(59')의 자력에 의하여 이 영구자석(59')의 상단 자극에 강력히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물통(6')이 하강하더라도 뚜껑(13')의 밑면이 영구자석(59')의 상단 자극에서 분리되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스프링(50')이 더 수축될 수 없을 만치 수축된 다음 물통(6')이 하강할 때부터는 뚜껑(13')의 밑면이 영구자석(59')의 상단 자극에서 분 리되면서 이 뚜껑(13')이 그 좌측 밑면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53
)으로 회전하면 뚜껑(13')이 패킹(16')의 상면에서 분리되며 배수구(63')가 열리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뚜껑(13')의 밑면이 영구자석(59')의 상단 자극에서 분리되면서 뚜껑(13')이 그 좌측 밑면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54
)으로 회전할 때 배수구(63')의 중간 전후벽면에 축(73')으로 축설된 레버(74')의 좌측 상단이 뚜껑(13')의 밑면에 고로 연결된 상태에서 위로 끌려올라가기 때문에 레버(74')가 축(73')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55
)으로 회전하면서 이 레버(74')의 하단이 배수구(63')의 밑에서 부력에 의하여 배수구(63')를 개폐하는 부력마개(75')를 밀어 내는 까닭에 이 부력마개(75')가 열리며, 배수구(63')의 상하 양면에서 뚜껑(13')과 부력마개(75')가 동시에 열리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부력마개(75')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이 부력마개(75')의 밑에 있는 보호망(76')의 상단을 환형턱(15') 밑에 장착하여 부력마개(75')가 이 보호망(76')에 의하여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뚜껑(13')의 밑면이 패킹(16')의 상면에서 분리될 때 이와 동시에 부력마개(75')도 열리기 때문에 물통(6') 하단의 배수구(63')가 그 상하 양면에서 열리므로 물통(6')에 고여 있던 물이 열려있는 이 배수구(63')를 통해 빨리 배출되면서 물받이 통(33)에 고이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뚜껑(13')이 열릴 때 완전히 수축되었던 스프링(50')의 탄력에 의하여 뚜껑(13')이 열리기 때문에 이 뚜껑(13')과 부력마개(75')가 가장 많이 열린 상태에서 막대(47') 상단의 우측면에 형성된 갈고리(53')의 비탈면이 수직레버(41') 하단의 우측면에 형성된 갈고리(43')의 비탈면을 딸아 올라가면서 이 막대(47') 상단의 갈고리(53')가 수직레버(41') 하단의 갈고리(43')에 걸리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막대(47') 상단의 갈고리(53')가 수직레버(41') 하단의 갈고리(43')에 걸리기 때문에 뚜껑(13')과 부력마개(75')가 가장 많이 열린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되므로 물통(6')에 고여 있던 물이 빨리 배출되면서 이 물이 물받이 통(33')에 고이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물통(6')에서 배출된 물이 물받이 통(33')에 고이면 이 물이 뚜껑(36')을 밀어내면서 실린더(18') 내부로 들어가려고 하지만 실린더(18') 내부에는 피스톤(10')과 V패킹(17')의 압력을 받고 있는 물이 있기 때문에 물받이 통(33')에 고인 물은 실린더(18')의 하단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고 물받이 통(33')에 그대로 고여 있도록 구성한다.
[도 2b]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는 [도 2a] 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다만 [도 2a] 도면과 [도 2b] 도면이 상이하게 보이는 것은 [도 2a] 도면에서는 좌측지레(3)와 이 좌측지레(3)의 축(8) 축설된 손잡이(7) 하단의 물통(6)에 물이 고여 있기 때문에 그 중량에 의하여 좌측지레(3)가 중심축받이(1)의 축(2)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56
)으로 회전하면서 물통(6)이 물받이 통(33)쪽으로 기울어진 도면이고, [도 2b] 도면에서는 우측지레(3')와 이 우측지레(3')의 축(8')에 축설된 손잡이(7') 하단의 물통(6')에 물이 고여 있기 때문에 그 중량에 의하여 우측지레 (3')가 중심축받이(1)의 축(2)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57
)으로 회전하면서 우측지레(3')와 물통(6')이 물받이 통(33')쪽으로 기울어진 도면일 뿐 [도 2a] 도면과 [도 2b] 도면은 완전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2b] 도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c]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는 [도 2a] 와 대부분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도 2a] 의 구성과 상이한 것은 실린더(18) 하단에 있는 수평관(77)의 환형턱(78) 위에 패킹(79)을 올려놓고 이 패킹(79) 위에 올려놓은 밸브(80)의 밑면이 패킹(79) 위에 밀착되면 물이 공급되는 급수구(81)가 밀폐되며, 밸브(80)의 밑면이 패킹(79) 위에서 분리되면 급수구(81)가 열리면서 물받이 통(33)에 고여 있던 물이 이 급수구(81)를 통해 실린더(18)의 하단 내부로 들어가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밸브(80)가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밸브(80) 위에 씌운 보호망(82)의 하단을 수평관(77)의 상면에 고착시켜서 밸브(80)가 이 보호망(82)의 내부에서 보호를 받으며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도 2c] 의 중심축받이(1) 우측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는 [도 2a] 와 대부분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도 2a] 의 구성과 상이한 것은 실린더(18') 하단에 있는 수평관(77')의 환형턱(78') 위에 패킹(79')을 올려놓고, 이 패킹(79') 위에 올려놓은 밸브(80')의 밑면이 패킹(79') 위에 밀착되면 물을 공급하는 급수구(81')가 밀폐되며, 밸브(80')의 밑면이 패킹(79') 위에서 분리되면 급수구(81')가 열리면서 물받이 통(33')에 고여 있던 물이 급수구(81')를 통해 실린더(18') 내부로 들어가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밸브(80')가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밸브(80') 위에 씌운 보호망(82')의 하단을 수평관(77')의 상면에 고착시켜서 밸브(80')가 이 보호망(82')의 내부에서 보호를 받으며,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구성한다.
[도 2d]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는 [도 2a] 와 동일한 도면에서 그 좌측의 일부도면을 더 구체적으로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2e]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는 [도 2b] 와 동일한 도면에서 그 우측의 일부도면을 더 구체적으로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2f]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는 [도 2a] 와 동일한 다수의 본 발명을 큰 물탱크(32)(32')가 서로 평행하며 이 큰 물탱크(32)(32') 높이를 같게 배열한 것으로서 이는 [도 2a] 와 같은 다수의 본 발명이 각각 급수관(64)을 통해 수원지에서부터 공급되면서 큰 물탱크(32)(32')에 고이는 물과 [도 2a] 와 같은 다수의 본 발명이 각각 반복하여 양수되면서 큰 물탱크(32)(32')에 고이는 물에서 생기는 위치에너지와 이 물이 양수되는 과정에서 생기는 좌측지레(3)와 우측지레(3') 및 이 좌측지레(3)와 우측지레(3')에 장착된 모든 부품이 중심축받이(1)의 축(2)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58
)과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59
)으로 회전하며 작동할 때의 생기는 운동에너지가 반복하여 발생됨으로써 많은 에너지를 얻게 되는데 이와 같은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의 총량은 [도 2a] 와 같은 본 발명의 수에 비례하여 발생하도록 구성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작용원리는 [도 2a]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받침대(24)(24') 상단에 고정시킨 큰 물탱크(32)(32')에 물이 공급되게 하는 급수관(64) 을 통해 수원지에서부터 물이 공급될 때 큰 물탱크(32)(32')에 고여 있는 물이 적을 때는 이 물의 부력이 약화되므로 물에 떠 있던 뜸통(69)이 하강하면서 밸브(67)가 열리기 때문에 급수관(64)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패킹(66)과 환형턱(65)의 구멍을 통과한 다음 큰 물탱크(32)(32')의 바닥(25)을 향하고 있는 급수관(64)의 배수구(70)로 배출되면서 이 물이 큰 물탱크(32)(32')에 고인다.
이와 같이 급수관(64)의 배수구(70)에서 배출되는 물이 큰 물탱크(32)(32')에 고이면 그 수위가 높아지면서 이 물의 부력에 의하여 뜸통(69)이 부상하며 밸브(67)가 패킹(66)에 밀착되므로 패킹(66)과 환형턱(65)의 구멍이 밀폐되면서 급수관(64)을 통해 공급되던 물이 멈추어지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큰 물탱크(32)(32')에 고여 있는 물이 적을 때는 부력의 약화로 인해 뜸통(69)이 하강하면서 밸브(67)가 열리며 큰 물탱크(32)(32')에 물이 공급되고, 큰 물탱크(32)(32')에 물이 많이 고이면 이 물의 부력에 의하여 뜸통(69)이 부상하면서 밸브(67)가 닫히는 까닭에 급수관(64)을 통해 공급되던 물이 멈추기 때문에 큰 물탱크(32)(32')에는 언제나 거의 같은 양의 물이 고이게 된다.
중심축받이(1)에 축(2)으로 축설된 좌측지레(3)의 힘점(5)에 축(8)으로 축설한 손잡이(7) 하단의 물통(6)이 축(8)에 매달린 상태에서 이 물통(6)이 위로 올라가도록 하면 이 물통(6) 상단의 축받이(39)에 축(40)으로 축설한 수평레버(42)의 우측상단(44)이 받침대(24)(24') 위에 고정시킨 큰 물탱크(32)(32')의 배수관(26)을 개폐하는 밸브(29)의 자루(30) 우측 밑면을 밀어 올리며, 강력한 영구자석(71)의 상단이 자력에 의하여 강력한 영구자석(72)의 하단에 밀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물통(6) 상단의 축받이(39)에 축(40)으로 축설한 수평레버(42)의 우측상단(44)이 받침대(24)(24') 위에 고정시킨 큰 물탱크(32)(32')의 배수관(26)을 개폐하는 밸브(29)의 자루(30) 우측 밑면을 밀어 올릴 때 수평레버(42)의 우측상단(44)이 밸브(29)의 자루(30) 우측 밑면에 접하면서 수평레버(42)의 우측 상단(44)이 축(40)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60
)으로 회전하므로 수직레버(41)의 하단 우측면에 형성된 갈고리(43)가 막대(47) 상단의 좌측면에 형성된 갈고리(53)에서 분리된다.
이와 같이 수직레버(41) 하단 우측면에 형성된 갈고리(43)가 막대(47) 상단의 좌측면에 형성된 갈고리(53)에서 분리되면 자성체로 만든 뚜껑(13)은 그 위에 있는 물과 이 뚜껑(13)에 작용하는 중력 및 영구자석(59)의 자력에 의하여 이 뚜껑(13)의 밑면이 패킹(16)의 상면과 영구자석(59) 상단의 자극에 밀착되면서 물통(6) 하단의 배수구(63)가 밀폐된다.
이와 같이 물통(6) 하단의 배수구(63)가 밀폐되는 동안에 큰 물탱크(32)(32')의 배수관(26)을 개폐하는 밸브(29)의 자루(30) 우측 밑면이 수평레버(42)의 우측상단(44)에 의해 위로 밀려올라 가면서 이 밸브(29)가 그 좌측 밑면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61
)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이 밸브(29)의 밑면이 패킹(28)의 상면에서 분리되며 배수관(26)이 열리므로 큰 물탱크(32)(32')에 고였던 물이 이 배수관(26)을 통해 그 수직하방에 있는 물통(6)에 고인다.
이와 같이 물통(6)에 물이 고이면 이 물의 중량에 의하여 좌측지레(3)와 함께 이 좌측지레(3)의 힘점(5)에 축(8)으로 축설한 손잡이(7) 하단의 물통(6)이 축 (8)에 매달린 상태에서 중심축받이(1)의 축(2)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62
)으로 회전하면서 이 물통(6)이 물받이 통(33) 쪽으로 내려가려고 한다.
그러나 이 물통(6)에 고이는 물의 중량에 의하여 좌측지레(3)가 중심축받이(1)의 축(2)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63
)으로 회전하면서 이 물통(6)이 물받이 통(33) 쪽으로 내려갈 수 있는 물이 고이기 전까지는 영구자석(71)의 상단이 영구자석(72)의 하단에서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배수관(26)에서 배출되는 물이 물통(6)에 계속하여 고인다.
이와 같이 물통(6)이 물받이 통(33) 쪽으로 내려갈 때 좌측지레(3)의 작용점(9)에 축(12)으로 축설한 손잡이(11) 하단의 피스톤(10)과 V패킹(17)이 실린더(18) 내부로 들어가면서 실린더(18) 안에 고여 있는 물에 압력을 가한다.
그러므로 실린더(18) 내부에서 압력을 받는 물은 사방으로 퍼져 나가려고 하지만 칸막이(38)의 환형턱(34)에 있는 구멍(62)을 개폐하는 뚜껑(36)이 패킹(35)에 밀착되면서 구멍(62)이 밀폐되는 까닭에 압력을 받고 있는 이 물은 구멍(62)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상향 관(20) 내벽의 환형턱(21) 위쪽 패킹(22) 위에 올려놓은 볼(23)을 밀어 올리며 상향 관(20)과 양수 관(19)을 통해 양수되면서 이 물이 큰 물탱크(32)(32')에 고인다.
이 때 실린더(18) 내부에 고여 있는 물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는 좌측지레(3)의 작용점(9)인 축(12)에서부터 좌측지레(3)의 받침점인 축(2)까지의 거리보다 좌측지레(3)의 힘점(5)인 축(8)에서부터 좌측지레(3)의 받침점인 축(2)까지의 거리가 클 수 록 실린더(18)의 내부에 고여 있는 물에 가해지는 압력이 더 커진다.
그렇기 때문에 실린더(18)의 내부에 고여 있는 물에 가해지는 압력이 더 커지게 하려면 축(8)을 좌측지레(3)의 좌측으로 이동시켜서 축(8)에서부터 축(2)까지의 거리가 축(12)에서부터 축(2)까지의 거리보다 크게 할수록 피스톤(10)과 V패킹(17)이 실린더(18)의 내부에 고여 있는 물에 가하는 압력이 더 커지진다.
그리고 축(8)을 좌측지레(3)의 좌측으로 이동시켜서 축(8)에서부터 축(2)까지의 거리가 축(12)에서부터 축(2)까지의 거리보다 크게 할수록 피스톤(10)과 V패킹(17)이 실린더(18)의 내부에 고여 있는 물에 가하는 압력이 더 커지게 한 상태에서 물통(6)에 고이는 물이 많을 수 록 실린더(18) 내부에 고여 있는 물에 가해지는 압력이 더 커진다.
이와 반대로 실린더(18)의 내부에 고여 있는 물에 가해지는 압력을 더 작게 하려면 축(8)을 좌측지레(3)의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피스톤(10)과 V패킹(17)이 실린더(18)의 내부에 고여 있는 물에 가하는 압력이 더 작아진다.
이와 같이 축(8)을 좌측지레(3)의 우측으로 많이 이동시킬수록 피스톤(10)과 V패킹(17)이 실린더(18)의 내부에 고여 있는 물에 가하는 압력이 더 작아진 상태에서 시이소 형 좌측지레(3)의 힘점(5)에 축(8)으로 축설한 손잡이(7) 하단의 물통(6)에 고이는 물의 총량이 같더라도 실린더(18)의 내부에 고여 있는 물에 가해지는 압력이 더 작아진다.
그리고 축(8)을 좌측지레(3)의 우측으로 이동시킬수록 피스톤(10)과 V패킹(17)이 실린더(18)의 내부에 고여 있는 물에 가하는 압력이 더 작아진 상태에서 물통(6)에 고이는 물이 적을 수 록 실린더(18) 내부에 고여 있는 물에 가해지는 압력 은 더 작아진다.
그러나 강력한 두 영구자석(71)(72)이 강력하게 인착되어 있기 때문에 물통(6)에 고이는 물의 중량이 두 영구자석(71)(72) 사이에서 작요하는 인력보다 더 커지기 전까지는 두 영구자석(71)(72)이 분리되지 않는 까닭에 배수관(26)을 통해 배출되는 물이 물통(6)에 계속하여 고인다.
이와 같이 물통(6)에 고이는 물의 중량이 영구자석(71)과 영구자석(72) 사이에서 작용하는 인력보다 더 커질 때부터 영구자석(71)이 영구자석(72)에서 분리되면서 물통(6)이 좌측지레(3)의 축(8)에 매달린 상태에서 중심축받이(1)의 축(2)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64
)으로 회전하며 이 물통(6)이 물받이 통(33) 쪽으로 내려간다.
이와 같이 영구자석(71)이 영구자석(72)에서 분리될 때는 물통(6)이 좌측지레(3)와 함께 중심축받이(1)의 축(2)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65
)으로 회전하면서 물받이 통(33) 쪽으로 내려갈 때 수평레버(42)의 우측상단(44)이 밸브(29)의 자루(30) 우측 밑면에서 분리된다.
이와 같이 수평레버(42)의 우측상단(44)이 밸브(29)의 자루(30) 우측 밑면에서 분리되면 열려있던 밸브(29)는 중력과 큰 물탱크(32)(32')에 고여 있는 물의 수압에 의하여 그 좌측 밑면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66
)으로 회전하면서 이 밸브(29)의 밑면이 패킹(28)의 상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배수관(26)이 밀폐되며 큰 물탱크(32)(32')에서 배수관(26)을 통해 배출되던 물이 멈춘다.
그렇기 때문에 물통(6)에는 물이 더 들어갈 수 없지만 이미 이 물통(6)에 고 여 있는 물의 중량에 의하여 이 물통(6)이 좌측지레(3)와 함께 중심축받이(1)의 축(2)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67
)으로 회전하면서 물받이 통(33) 쪽으로 내려간다.
이 때 좌측지레(3)의 작용점(9)에 축(12)으로 축설한 손잡이(11) 하단의 피스톤(10)과 V패킹(17)이 실린더(18) 내부로 들어가면서 실린더(18) 내부에 고여 있는 물에 압력을 가한다.
이와 같이 영구자석(71)이 영구자석(72)에서 분리될 때는 물통(6)이 물받이 통(33) 쪽으로 내려가면서 좌측지레(3)의 작용점(9)에 축(12)으로 축설한 손잡이(11) 하단의 피스톤(10)과 V패킹(17)이 실린더(18) 내부로 들어가면서 실린더(18) 안에 고여 있는 물에 가하는 압력이 갑자기 커지기 때문에 V패킹(17)의 하단 외벽이 실린더(18) 내벽에 더욱 강력하게 밀착된다.
이와 동시에 실린더(18) 내부에서 압력을 받는 물이 갑자기 더 큰 압력을 받기 때문에 뚜껑(36)이 패킹(35)에 더 강력히 밀착되면서 구멍(62)이 밀폐되는 까닭에 고압의 압력을 받는 이 물은 구멍(62)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상향 관(20) 내벽의 환형턱(21) 위쪽 패킹(22) 위에 올려놓은 볼(23)을 밀어 올리며 상향 관(20)과 양수관(19)을 통해 양수되면서 큰 물탱크(32)(32')에 고인다.
그리고 영구자석(71)이 영구자석(72)에서 분리될 때는 물통(6)이 좌측지레(3)와 함께 중심축받이(1)의 축(2)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68
)으로 회전하면서 물받이 통(33) 쪽으로 내려가는 물통(6)에 고여 있는 물이 뚜껑(13)에 더 강력한 압력을 가하기 때문에 뚜껑(13)의 밑면이 패킹(16)의 상면과 영구자석(59)의 상 단 자극에 더 강력히 밀착되므로 물통(6)에 고여 있는 물이 새면서 배수구(63)로 배추되지 않는다.
따라서 영구자석(71)이 영구자석(72)에서 분리될 때는 좌측지레(3)의 작용점(9)에 축(12)으로 축설한 손잡이(11) 하단의 피스톤(10)과 V패킹(17)의 역할이 더욱 강화되며, 패킹(35)과 뚜껑(36) 및 패킹(16)과 뚜껑(13)의 역할도 동시에 더 강화된다.
위와 같은 작동이 계속 반복되면서 물통(6)이 하한선에 도달할 무렵부터 늘어져 있던 끈(52)이 팽팽해지면 이 끈(52)에 의하여 막대(47)가 더 내려갈 수 없는 상태에서도 물통(6)은 그 안에 고여 있는 물의 중량에 의하여 계속 내려가면서 [도 2d]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팽팽해진 끈(52)이 환형턱(61) 위에 장착된 스프링(50) 상단의 가로막대(51)를 끌어 내리기 때문에 스프링(50)이 수축하며, 뚜껑(13)이 닫힌 상태에서 이 스프링(50)이 수축하는 정도에 비례하여 물통(6)이 계속 내려간다.
이와 같이 물통(6)이 계속 내려가다가 스프링(50)이 완전히 수축되면서 이 스프링(50)이 더 수축될 수 없게 되었을 때부터 뚜껑(13)은 그 우측 밑면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69
)으로 회전하면서 이 뚜껑(13)의 밑면이 패킹(16)의 상면과 영구자석(59)의 상단 자극에서 분리되기 때문에 물통(6) 하단의 배수구(63)가 열린다.
이와 같이 뚜껑(13)의 밑면이 패킹(16)의 상면과 영구자석(59)의 상단 자극에서 분리되면서 뚜껑(13)이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70
)으로 회전하며 열릴 때 배수구(63)의 중간 전후벽면에 축(73)으로 축설된 레버(74)의 좌측 상단이 뚜껑(13)의 밑면에 고로 연결된 상태에서 위로 끌려올라가기 때문에 레버(74)가 축(73)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이 레버(74)의 하단이 배수구(63)의 밑에서 부력에 의하여 이 배수구(63)를 개폐하는 부력마개(75)를 밀어 내는 까닭에 이 부력마개(75)가 열린다.
그렇기 때문에 배수구(63)의 상하 양면에서 뚜껑(13)과 부력마개(75)가 각각 많이 열리면서 물통(6)에 고여 있던 물이 배수구(63)를 통해 더 빨리 배출된다.
이와 같이 물통(6) 하단의 배수구(63)가 열리면 물통(6)에 고여 있던 물은 이 배수구(63)로 배출되면서 물받이 통(33)에 고이며, 이 물받이 통(33)에 고이는 물은 볼트(37)에 걸려있는 뚜껑(36)을 밀어내면서 실린더(18)의 하단 내부로 들어가려고 하지만 실린더(18)의 하단 내부에는 피스톤(10)과 V패킹(17)에 의하여 압력을 받고 있는 물이 있기 때문에 뚜껑(36)이 열리지 않는다.
그러므로 물받이 통(33)에 고여 있는 물은 실린더(18)의 하단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고 물받이 통(33)에 그대로 고여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좌측지레(3)와 이 좌측지레(3)에 장착된 모든 부품이 중심축받이(1)의 축(2)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71
)으로 회전하는 동안 우측지레(3')와 이 우측지레(3')에 장착된 모든 부품도 중심축받이(1)의 축(2)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72
)으로 회전하면서 우측지레(3')의 힘점(5')에 축(8')으로 축설한 손잡이(7') 하단의 물통(6')이 받침대(24)(24') 상단에 고정시킨 큰 물탱크(32)(32')의 배수관(26') 쪽으로 올라간다.
이와 동시에 우측지레(3')의 작용점(9')에 축(12')으로 축설한 손잡이(11') 하단의 피스톤(10')과 V패킹(17')은 실린더(18') 내부에서 위로 올라가면서 실린더(18')의 하단 내부에 고여 있는 물을 흡입하기 때문에 볼(23')은 패킹(22') 위에 밀착되고, 뚜껑(36')은 볼트(37')를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73
)으로 회전하면서 패킹(35')에서 분리되며 구멍(62')이 열리는 까닭에 물받이 통(33')에 고여 있던 물이 실린더(18') 하단 내부로 흡입된다.
우측지레(3')의 힘점(5')에 축(8')으로 축설한 손잡이(7') 하단의 물통(6')이 받침대(24)(24') 상단에 고정시킨 큰 물탱크(32)(32')의 배수관(26') 쪽으로 올라가면서 우측지레(3')의 상면에 고착시킨 강력한 영구자석(71')이 상한선에 도달하였을 때 이 영구자석(71')과 받침대(24') 밑면에 장착된 강력한 영구자석(72')의 자력에 의하여 이 두 영구자석(71')(72')이 서로 밀착된다.
이와 같이 두 영구자석(71')(72')이 서로 밀착되면 물통(6') 상단의 축받이(39')에 축(40')으로 축설한 수평레버(42')의 좌측상단(44')이 받침대(24)(24') 위에 고정시킨 큰 물탱크(32)(32')의 배수관(26')을 개폐하는 밸브(29')의 자루(30') 좌측 밑면을 밀어 올린다.
이와 같이 물통(6') 상단의 축받이(39')에 축(40')으로 축설한 수평레버(42')의 좌측상단(44')이 받침대(24)(24') 위에 고정시킨 큰 물탱크(32)(32')의 배수관(26')을 개폐하는 밸브(29')의 자루(30') 좌측 밑면을 밀어 올릴 때 수평레버(42')의 좌측상단(44')이 밸브(29')의 자루(30')좌측 밑면에 접하면서 이 수평레버(42')의 좌측상단(44')은 축(40')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74
)으로 회전하면서 수직레버(41') 하단 좌측면에 형성된 갈고리(43')가 막대(47') 상단의 우측면에 형 성된 갈고리(53')에서 분리된다.
이와 같이 수직레버(41') 하단 좌측면에 형성된 갈고리(43')가 막대(47') 상단의 우측면에 형성된 갈고리(53')에서 분리되면 자성체로 만든 뚜껑(13')은 이 뚜껑(13')에 작용하는 중력과 영구자석(59')의 자력에 의하여 이 뚜껑(13')의 밑면이 패킹(16')의 상면과 영구자석(59') 상단의 자극에 밀착되면서 물통(6') 하단의 배수구(63')가 밀폐된다.
이와 같이 뚜껑(13')의 밑면이 패킹(16')의 상면과 영구자석(59')의 상단 자극에 밀착되면서 물통(6') 하단의 배수구(63')가 밀폐되는 동안에 큰 물탱크(32)(32')의 배수관(26')을 개폐하는 밸브(29')의 자루(30') 좌측 밑면이 수평레버(42')의 좌측상단(44')에 의해 밀려올라 가면서 이 밸브(29')가 그 우측 밑면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75
)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이 밸브(29')의 밑면이 패킹(28')의 상면에서 분리되며 배수관(26')이 열리므로 큰 물탱크(32)(32')에 고여 있던 물이 이 배수관(26')을 통해 그 수직하방에 있는 물통(6')에 고인다.
이와 같이 물통(6')에 물이 고이면 이 물의 중량에 의하여 우측지레(3')와 함께 이 우측지레(3')의 힘점(5')에 축(8')으로 축설한 손잡이(7') 하단의 물통(6')이 축(8')에 매달린 상태에서 중심축받이(1)의 축(2)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76
)으로 회전하면서 이 물통(6')이 물받이 통(33') 쪽으로 내려고 한다.
그러나 두 영구자석(71')(72')이 서로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물통(6')은 우측지레(3')와 함께 중심축받이(1)의 축(2)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77
)으로 회전하면서 물받이 통(33') 쪽으로 내려가지 못하고 그대로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물통(6')이 물받이 통(33') 쪽으로 내려가지 못하고 그대로 있을 때 큰 물탱크(32)(32')에 고여 있던 물이 이 배수관(26')을 통해 이 물통(6')에 계속하여 고이면서 물통(6')에 고이는 물의 중량이 두 영구자석(71')(72') 사이에서 작용하는 인력보다 커지면 영구자석(71')이 영구자석(72')에서 분리되며 물통(6')이 물받이 통(33') 쪽으로 내려간다.
이와 같이 영구자석(71')이 영구자석(72')에서 분리될 때 물통(6')이 우측지레(3')와 함께 중심축받이(1)의 축(2)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78
)으로 회전하면서 물받이 통(33') 쪽으로 내려가는 과정에서 수평레버(42')의 우측상단(44')이 밸브(29')의 자루(30') 좌측 밑면에서 분리된다.
그러므로 열려있던 밸브(29')가 큰 물탱크(32)(32')에 고여 있는 물의 수압과 중력에 의하여 그 우측 밑면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79
)으로 회전하면서 이 밸브(29')의 밑면이 패킹(28')의 상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배수관(26')이 밀폐되며 큰 물탱크(32)(32')에서 배수관(26')을 통해 배출되던 물이 멈춘다.
그렇기 때문에 물통(6')에는 물이 더 들어갈 수 없지만 이미 이 물통(6')에 고여 있는 물의 중량에 의하여 이 물통(6')이 우측지레(3')와 함께 중심축받이(1)의 축(2)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80
)으로 회전하면서 물받이 통(33') 쪽으로 내려간다.
이 때 우측지레(3')의 작용점(9')에 축(12')으로 축설한 손잡이(11') 하단의 피스톤(10')과 V패킹(17')이 실린더(18') 내부로 들어가면서 실린더(18') 내부에 고여 있는 물에 압력을 가한다.
이와 같이 영구자석(71')이 영구자석(72')에서 분리되면서 물통(6')이 물받이 통(33') 쪽으로 내려갈 때 우측지레(3')의 작용점(9')에 축(12')으로 축설한 손잡이(11') 하단의 피스톤(10')과 V패킹(17')이 실린더(18') 내부로 들어가면 실린더(18') 안에 고여 있는 물에 가하는 압력이 갑자기 커지기 때문에 V패킹(17')의 하단 외벽이 실린더(18') 내벽에 더욱 강력하게 밀착된다.
그러므로 실린더(18') 내부에서 갑자기 큰 압력을 받는 물이 뚜껑(36')을 패킹(35')에 더 강력히 밀착시키므로 구멍(62')이 밀폐되는 까닭에 고압의 압력을 받는 물은 구멍(62')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상향 관(20') 내벽의 환형턱(21') 위쪽 패킹(22') 위에 올려놓은 볼(23')을 밀어 올리며 상향 관(20')과 양수 관(19')을 통해 양수되면서 이 물이 큰 물탱크(32)(32')에 고인다.
그리고 물통(6')이 우측지레(3')와 함께 중심축받이(1)의 축(2)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81
)으로 회전하면서 물받이 통(33') 쪽으로 내려갈 때 물통(6')에 고인 물이 뚜껑(13')에 더 큰 압력을 가하기 때문에 뚜껑(13')의 밑면이 패킹(16')의 상면과 영구자석(59')의 상단 자극에 더 강하게 밀착되므로 물통(6')에 고여 있던 물이 새면서 배수구(63')로 배추되지 않는다.
따라서 영구자석(71')이 영구자석(72')에서 분리될 때 우측지레(3')의 작용점(9')에 축(12')으로 축설한 손잡이(11') 하단의 피스톤(10')과 V패킹(17') 중 V패킹(17')의 하단외벽이 실린더(18') 내벽에 더욱 강하게 밀착되며, 패킹(35')에는 뚜껑(36')이 더욱 강력히 밀착되고, 패킹(16')과 영구자석(59')의 상면에는 뚜껑(13')이 더 강하게 밀착되기 때문에 이들의 역할이 더욱 강화된다.
이와 같은 작동이 계속 되면서 물통(6')이 하한선에 도달할 무렵부터 늘어져 있던 끈(52')이 팽팽해지면서 이 끈(52')에 의하여 막대(47')가 더 내려갈 수 없는 상태에서도 물통(6')은 그 안에 고여 있는 물의 중량에 의하여 계속 내려가면서 [도 2e]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팽팽해진 끈(52')이 가로막대(51')를 끌어 내리기 때문에 스프링(50')이 수축되며, 뚜껑(13')이 닫힌 상태에서 이 스프링(50')이 수축하는 정도에 비례하여 물통(6')이 계속 내려간다.
이와 같이 물통(6')이 계속 내려가다가 스프링(50')이 더 수축될 수 없게 되었을 때부터 뚜껑(13')은 그 좌측 밑면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82
)으로 회전하면서 이 뚜껑(13')의 밑면이 패킹(16')의 상면과 영구자석(59')의 상단 자극에서 분리되기 때문에 물통(6') 하단의 배수구(63')가 열린다.
이와 같이 뚜껑(13')의 밑면이 패킹(16')의 상면과 영구자석(59')의 상단 자극에서 분리되며 열릴 때 수축되었던 스프링(50')이 원상 복귀되면서 뚜껑(13')을 위로 많이 끌어올리기 때문에 이 뚜껑(13')이 많이 열린다.
이와 같이 뚜껑(13')의 밑면이 패킹(16')의 상면과 영구자석(59')의 상단 자극에서 분리되면서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83
)으로 회전하며 많이 열릴 때 배수구(63')의 중간 전후벽면에 축(73')으로 축설된 레버(74')의 우측 상단이 뚜껑(13')의 밑면에 고리로 연결된 상태에서 위로 끌려올라가기 때문에 레버(74')가 축(73')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84
)으로 회전하면서 이 레버(74')의 하단이 배수구(63')의 밑에서 부력에 의하여 이 배수구(63')를 개폐시키는 부력마개(75')를 밑으로 많이 밀어 내는 까닭에 부력마개(75')가 많이 열린다.
그러므로 배수구(63')의 상하 양면에서 개폐되는 뚜껑(13')과 부력마개(75')가 각각 많이 열리면서 물통(6')에 고여 있던 물이 이 배수구(63')를 통해 빨리 배출된다.
이와 같이 물통(6') 하단의 배수구(63')가 열리면 물통(6')에 고여 있던 물은 이 배수구(63')로 배출되면서 물받이 통(33')에 고이며, 이 물받이 통(33')에 고이는 물은 볼트(37')에 걸려있는 뚜껑(36')을 밀어내면서 실린더(18')의 하단 내부로 들어가려고 하지만 실린더(18')의 하단 내부에는 피스톤(10')과 V패킹(17')에 의하여 압력을 받고 있는 물이 있기 때문에 뚜껑(36')이 열리지 않는 까닭에 이 물은 실린더(18')의 하단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고 물받이 통(33')에 그대로 고여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물통(6')이 우측지레(3')와 함께 중심축받이(1)의 축(2)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85
)으로 회전하면서 물받이 통(33') 쪽으로 내려갈 때 수평레버(42')의 좌측상단(44')이 밸브(29')의 자루(30') 좌측 밑면에서 분리되므로 밸브(29)'는 그 우측 밑면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86
)으로 회전하면서 이 밸브(29')의 밑면이 패킹(28')의 상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배수관(26')이 밀폐되며 큰 물탱크(32)(32')에서 배출되던 물이 멈추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물통(6')에는 물이 더 들어갈 수 없지만 이미 이 물통(6')에 고여 있는 물의 중량에 의하여 물통(6')이 우측지레(3')와 함께 중심축받이(1)의 축(2)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87
)으로 회전하면서 물받이 통(33') 쪽으로 내려갈 때 우측지레(3')의 작용점(9')에 축(12')으로 축설한 손잡이(11') 하단의 피스 톤(10')과 V패킹(17')이 실린더(18') 내부로 들어가면서 그 안에 고여 있는 물에 압력을 가한다.
그러므로 실린더(18') 내부에서 압력을 받는 물은 사방으로 퍼져 나가려고 하지만 뚜껑(36')에 작용하는 중력과 실린더(18') 내부에서 압력을 받는 물이 있기 때문에 이 뚜껑(36')이 패킹(35')에 밀착되면서 구멍(62')이 밀폐되는 까닭에 압력을 받는 이 물은 구멍(62')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상향 관(20') 내벽의 환형턱(21') 위쪽의 패킹(22') 위에 올려놓은 볼(23')을 밀어 올리며 상향 관(20')과 양수 관(19')을 통해 양수되면서 큰 물탱크(32) (32')에 고인다.
이 때 실린더(18') 내부에 고여 있는 물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는 우측지레(3')의 작용점(9')인 축(12')에서부터 우측지레(3')의 받침점인 축(2)까지의 거리보다 우측지레(3')의 힘점(5')인 축(8')에서부터 우측지레(3')의 받침점인 축(2)까지의 거리가 클 수 록 실린더(18')의 내부에 고여 있는 물에 가해지는 압력이 더 커진다.
그렇기 때문에 실린더(18')의 내부에 고여 있는 물에 가해지는 압력이 더 커지게 하려면 축(8')을 우측지레(3')의 우측으로 이동시켜서 축(8')에서부터 축(2)까지의 거리가 축(12')에서부터 축(2)까지의 거리보다 더 크게 할수록 피스톤(10')과 V패킹(17')이 실린더(18')의 내부에 고여 있는 물에 가하는 압력이 더 커진다.
이와 같이 축(8')을 우측지레(3')의 우측으로 이동시켜서 축(8')에서부터 축(2)까지의 거리가 축(12')에서부터 축(2)까지의 거리보다 크게 할수록 피스톤(10')과 V패킹(17')이 실린더(18')의 내부에 고여 있는 물에 가하는 압력이 더 커진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시이소 형 우측지레(3')의 힘점(5')에 축(8')으로 축설한 손잡이(7') 하단의 물통(6')에 고이는 물의 총량이 같더라도 실린더(18')의 내부에 고여 있는 물에 가해지는 압력이 더 커진다.
그리고 축(8')을 우측지레(3')의 우측으로 이동시켜서 축(8')에서부터 축(2)까지의 거리가 축(12')에서부터 축(2)까지의 거리보다 크게 할수록 피스톤(10')과 V패킹(17')이 실린더(18')의 내부에 고여 있는 물에 가하는 압력이 더 커지게 한 상태에서 물통(6')에 고이는 물이 많을 수 록 피스톤(10')과 V패킹(17')이 실린더(18') 내부에 고여 있는 물에 가해지는 압력이 더 커진다.
이와 같은 작동이 계속 되면서 물통(6')이 하한선에 도달할 무렵 늘어져 있던 끈(52')이 팽팽해진 다음 이 끈(52')에 의하여 막대(47')가 더 내려갈 수 없는 상태에서도 물통(6')이 그 안에 고여 있는 물의 중량에 의하여 계속 내려가면서 팽팽해지는 끈(52')의 상단이 [도 2e]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로막대(51')를 끌어 내리기 때문에 스프링(50')이 수축되면 뚜껑(13')이 패킹(16')의 상면과 영구자석(59')의 상단 자극에 밀착되며 배수구(63')가 밀폐된 상태에서 스프링(50')이 수축되는 정도에 비례하여 이 물통(6')이 계속하여 내려간다.
이와 같이 물통(6')이 계속 내려가다가 스프링(50')이 더 수축될 수 없게 되었을 때부터 뚜껑(13')은 그 좌측 밑면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88
)으로 회전하면서 이 뚜껑(13')의 밑면이 패킹(16')의 상면과 영구자석(59')의 상단 자극에서 분리되므로 물통(6') 하단의 배수구(63')가 열린다.
이와 같이 물통(6') 하단의 배수구(63')가 열리면 물통(6')에 고여 있던 물 은 이 배수구(63')로 배출되면서 물받이 통(33')에 고이며, 이 물받이 통(33')에 고이는 물은 볼트(37')에 걸려있는 뚜껑(36')을 밀어내면서 실린더(18')의 하단 내부로 들어가려고 하지만 실린더(18')의 하단 내부에는 피스톤(10')과 V패킹(17')에 의하여 압력을 받고 있는 물이 있기 때문에 뚜껑(36')이 열리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물받이 통(33')에 고여 있는 물은 실린더(18')의 하단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고 물받이 통(33')에 그대로 고여 있게 된다.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은 작용이 반복되면서 받침대(24)(24') 상단에 고정시킨 큰 물탱크(32)(32')에 양수된 물에서 생기는 위치에너지와 중심축받이(1) 사이에 축(2)으로 축설한 시이소 형 좌측지레(3)와 우측지레(3')의 힘점(5)(5')에 각각 축(8)(8')으로 축설한 손잡이(7)(7') 하단의 물통(6)(6') 및 작용점(9)(9')에 각각 축(12)(12')으로 축설한 손잡이(11)(11') 하단의 피스톤(10)(10')과 V패킹(17)(17')이 실린더(18)(18') 내부에서 오르내릴 때 생기는 운동에너지를 다양한 동력원으로 응용할 수 있다.
[도 2b] 의 작용원리는 [도 2a] 의 작용원리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c] 의 작용원리는 [도 2a] 의 작용원리와 대부분 동일하며, [도 2c] 의 작용원리가 [도 2a] 의 작용원리와 상이한 것은 중심축받이(1)에 축(2)으로 축설된 좌측지레(3)의 힘점(5)에 축(8)으로 축설한 손잡이(7) 하단의 물통(6)이 축(8)에 매달린 상태에서 이 물통(6)이 위로 올라가도록 하면 이 물통(6) 상단의 축받이(39)에 축(40)으로 축설한 수평레버(42)의 우측상단(44)이 받침대(24)(24') 위에 고정시킨 큰 물탱크(32)(32')의 배수관(26)을 개폐하는 밸브(29)의 자루(30) 우측 밑면을 밀어 올리며, 강력한 영구자석(71)의 상단이 자력에 의하여 강력한 영구자석(72)의 하단에 밀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물통(6) 상단의 축받이(39)에 축(40)으로 축설한 수평레버(42)의 우측상단(44)이 받침대(24)(24') 위에 고정시킨 큰 물탱크(32)(32')의 배수관(26)을 개폐하는 밸브(29)의 자루(30) 우측 밑면을 밀어 올릴 때 수평레버(42)의 우측상단(44)이 밸브(29)의 자루(30) 우측 밑면에 접하면 수평레버(42)의 우측상단(44)이 축(40)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89
)으로 회전하므로 수직레버(41)의 하단 우측면에 형성된 갈고리(43)가 막대(47) 상단의 좌측면에 형성된 갈고리(53)에서 분리된다.
이와 같이 수직레버(41) 하단 우측면에 형성된 갈고리(43)가 막대(47) 상단의 좌측면에 형성된 갈고리(53)에서 분리되면 자성체로 만든 뚜껑(13)은 그 위에 있는 물과 이 뚜껑(13)에 작용하는 중력 및 영구자석(59)의 자력에 의하여 이 뚜껑(13)의 밑면이 패킹(16)의 상면과 영구자석(59) 상단의 자극에 밀착되면서 물통(6) 하단의 배수구(63)가 밀폐된다.
이와 같이 물통(6) 하단의 배수구(63)가 밀폐되는 동안에 큰 물탱크(32)(32')의 배수관(26)을 개폐하는 밸브(29)의 자루(30) 우측 밑면이 수평레버(42)의 우측상단(44)에 의해 위로 밀려올라 가면서 이 밸브(29)가 그 좌측 밑면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90
)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이 밸브(29)의 밑면이 패킹(28)의 상면에서 분리되며 배수관(26)이 열리므로 큰 물탱크(32)(32')에 고였던 물 이 이 배수관(26)을 통해 그 수직하방에 있는 물통(6)에 고인다.
이와 같이 물통(6)에 물이 고이면 이 물의 중량에 의하여 좌측지레(3)와 함께 이 좌측지레(3)의 힘점(5)에 축(8)으로 축설한 손잡이(7) 하단의 물통(6)이 축(8)에 매달린 상태에서 중심축받이(1)의 축(2)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91
)으로 회전하면서 이 물통(6)이 물받이 통(33) 쪽으로 내려가려고 한다.
그러나 이 물통(6)에 고이는 물의 중량에 의하여 좌측지레(3)가 중심축받이(1)의 축(2)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92
)으로 회전하면서 이 물통(6)이 물받이 통(33) 쪽으로 내려갈 수 있는 중량의 물이 고이기 전까지는 영구자석(71)의 상단이 영구자석(72)의 하단에서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배수관(26)에서 배출되는 물이 물통(6)에 계속하여 고인다.
이와 같이 물통(6)이 물받이 통(33) 쪽으로 내려갈 때 좌측지레(3)의 작용점(9)에 축(12)으로 축설한 손잡이(11) 하단의 피스톤(10)과 V패킹(17)이 실린더(18) 내부로 들어가면서 실린더(18) 안에 고여 있는 물에 압력을 가한다.
그러므로 실린더(18) 내부에서 압력을 받는 물은 사방으로 퍼져 나가려고 하지만 밸브(80)와 패킹(79)에 의하여 급수구(81)가 밀폐되기 때문에 압력을 받는 물은 상향 관(20) 내벽의 환형턱(21) 위쪽 패킹(22) 위에 올려놓은 볼(23)을 밀어 올리며 상향 관(20)과 양수관(19)을 통해 양수되는 물이 큰 물탱크(32)(32')에 고인다.
이와 같이 좌측지레(3)와 이 좌측지레(3)에 장착된 모든 부품이 중심축받이(1)의 축(2)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93
)으로 회전하는 동안 우측지레(3')와 이 우측지레(3')에 장착된 모든 부품도 중심축받이(1)의 축(2)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94
)으로 회전하면서 우측지레(3')의 힘점(5')에 축(8')으로 축설한 손잡이(7') 하단의 물통(6')이 받침대(24)(24') 상단에 고정시킨 큰 물탱크(32)(32')의 배수관(26') 쪽으로 올라간다.
이와 동시에 우측지레(3')의 작용점(9')에 축(12')으로 축설한 손잡이(11') 하단의 피스톤(10')과 V패킹(17')은 실린더(18') 내부에서 위로 올라가면서 실린더(18')의 하단 내부에 고여 있는 물을 흡입하기 때문에 볼(23')은 패킹(22') 위에 밀착되고, 밸브(80')는 패킹(79')에서 분리되며 급수구(81')가 열리는 까닭에 물받이 통(33')에 고여 있던 물이 실린더(18') 하단 내부로 흡입된다.
우측지레(3')의 힘점(5')에 축(8')으로 축설한 손잡이(7') 하단의 물통(6')이 받침대(24)(24') 상단에 고정시킨 큰 물탱크(32)(32')의 배수관(26') 쪽으로 올라가면서 우측지레(3')의 상면에 고착시킨 강력한 영구자석(71')이 상한선에 도달하였을 때 이 영구자석(71')과 받침대(24') 밑면에 장착된 강력한 영구자석(72')의 자력에 의하여 이 두 영구자석(71')(72')이 서로 밀착된다.
이와 같이 두 영구자석(71')(72')이 서로 밀착되면 물통(6') 상단의 축받이(39')에 축(40')으로 축설한 수평레버(42')의 좌측상단(44')이 받침대(24)(24') 위에 고정시킨 큰 물탱크(32)(32')의 배수관(26')을 개폐하는 밸브(29')의 자루(30') 좌측 밑면을 밀어 올린다.
이와 같이 물통(6') 상단의 축받이(39')에 축(40')으로 축설한 수평레버(42')의 좌측상단(44')이 받침대(24)(24') 위에 고정시킨 큰 물탱크(32)(32')의 배 수관(26')을 개폐하는 밸브(29')의 자루(30') 좌측 밑면을 밀어 올릴 때 수평레버(42')의 좌측상단(44')이 밸브(29')의 자루(30') 좌측 밑면에 접하면서 이 수평레버(42')의 좌측상단(44')이 축(40')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95
)으로 회전하면서 수직레버(41') 하단 좌측면에 형성된 갈고리(43')가 막대(47') 상단의 우측면에 형성된 갈고리(53')에서 분리된다.
이와 같이 수직레버(41') 하단 좌측면에 형성된 갈고리(43')가 막대(47') 상단의 우측면에 형성된 갈고리(53')에서 분리되면 자성체로 만든 뚜껑(13')은 이 뚜껑(13')에 작용하는 중력과 영구자석(59')의 자력에 의하여 이 뚜껑(13')의 밑면이 패킹(16')의 상면과 영구자석(59') 상단의 자극에 밀착되면서 물통(6') 하단의 배수구(63')가 밀폐된다.
이와 같이 뚜껑(13')의 밑면이 패킹(16')의 상면과 영구자석(59')의 상단 자극에 밀착되면서 물통(6') 하단의 배수구(63')가 밀폐되는 동안에 큰 물탱크(32)(32')의 배수관(26')을 개폐하는 밸브(29')의 자루(30') 좌측 밑면이 수평레버(42')의 좌측상단(44')에 의해 위로 밀려올라 가면서 이 밸브(29')가 그 우측 밑면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96
)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이 밸브(29')의 밑면이 패킹(28')의 상면에서 분리되며 배수관(26')이 열리므로 큰 물탱크(32)(32')에 고여 있던 물이 이 배수관(26')을 통해 그 수직 하방에 있는 물통(6')에 고인다.
이와 같이 물통(6')에 물이 고이면 이 물의 중량에 의하여 우측지레(3')와 함께 이 우측지레(3')의 힘점(5')에 축(8')으로 축설한 손잡이(7') 하단의 물통(6')이 축(8')에 매달린 상태에서 중심축받이(1)의 축(2)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 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97
)으로 회전하면서 이 물통(6')이 물받이 통(33') 쪽으로 내려고 한다.
그러나 두 영구자석(71')(72')이 서로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물통(6')은 우측지레(3')와 함께 중심축받이(1)의 축(2)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98
)으로 회전하면서 물받이 통(33') 쪽으로 내려가지 못하고 그대로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큰 물탱크(32)(32')에 고여 있던 물이 이 배수관(26')을 통해 이 물통(6')에 계속하여 고인다.
이와 같이 물통(6')에 물이 고이면 이 물의 중량에 의하여 우측지레(3')와 함께 이 우측지레(3')의 힘점(5')에 축(8')으로 축설한 손잡이(7') 하단의 이 물통(6')이 축(8')에 매달린 상태에서 중심축받이(1)의 축(2)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099
)으로 회전하면서 이 물통(6')이 물받이 통(33') 쪽으로 내려간다.
이와 같이 물통(6')이 물받이 통(33') 쪽으로 내려가지 못하고 그대로 있을 때 큰 물탱크(32)(32')에 고여 있던 물이 이 배수관(26')을 통해 이 물통(6')에 계속하여 고이면 이 물통(6')에 고이는 물의 중량이 두 영구자석(71')(72') 사이에서 작용하는 인력보다 커질 때 영구자석(71')이 영구자석(72')에서 분리되며 물통(6')이 물받이 통(33') 쪽으로 내려간다.
이와 같이 영구자석(71')이 영구자석(72')에서 분리될 때 물통(6')이 우측지레(3')와 함께 중심축받이(1)의 축(2)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100
)으로 회전하면서 물받이 통(33') 쪽으로 내려가는 과정에서 수평레버(42')의 우측상단(44')이 밸브(29')의 자루(30') 좌측 밑면에서 분리되므로 열려있던 밸브(29')가 중력과 큰 물탱크(32)(32')에 고여 있는 물의 수압에 의하여 그 우측 밑면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101
)으로 회전하면서 이 밸브(29')의 밑면이 패킹(28')의 상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배수관(26')이 밀폐되며 큰 물탱크(32)(32')에서 배수관(26')을 통해 배출되던 물이 멈춘다.
그렇기 때문에 물통(6')에는 물이 더 들어갈 수 없지만 이미 이 물통(6')에 고여 있는 물의 중량에 의하여 이 물통(6')이 우측지레(3')와 함께 중심축받이(1)의 축(2)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102
)으로 회전하면서 물받이 통(33') 쪽으로 내려간다.
이 때 우측지레(3')의 작용점(9')에 축(12')으로 축설한 손잡이(11') 하단의 피스톤(10')과 V패킹(17')이 실린더(18') 내부로 들어가면서 실린더(18') 내부에 고여 있는 물에 압력을 가한다.
이와 같이 영구자석(71')이 영구자석(72')에서 분리되면서 물통(6')이 물받이 통(33') 쪽으로 내려갈 때 우측지레(3')의 작용점(9')에 축(12')으로 축설한 손잡이(11') 하단의 피스톤(10')과 V패킹(17')이 실린더(18') 내부로 들어가면 실린더(18') 안에 고여 있는 물에 가하는 압력이 갑자기 커지기 때문에 V패킹(17')의 하단 외벽이 실린더(18') 내벽에 더욱 강하게 밀착된다.
그러므로 실린더(18') 내부에서 갑자기 큰 압력을 받는 물이 밸브(80')를 패킹(79')에 더 강하게 밀착시키는 까닭에 급수구(81')가 밀폐되면서 큰 압력을 받는 물은 급수구(81')로 배출되지 못하고 상향 관(20') 내벽의 환형턱(21') 위쪽 패킹(22') 위에 올려놓은 볼(23')을 밀어 올리며 상향 관(20')과 양수 관(19')을 통해 양수되는 물이 큰 물탱크(32)(32')에 고인다.
그리고 물통(6')이 우측지레(3')와 함께 중심축받이(1)의 축(2)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103
)으로 회전하면서 물받이 통(33') 쪽으로 내려갈 때 물통(6')에 고인 물이 뚜껑(13')에 더 큰 압력을 가하기 때문에 뚜껑(13')의 밑면이 패킹(16')의 상면과 영구자석(59')의 상단 자극에 더 강력히 밀착되므로 물통(6')에 고여 있던 물이 새면서 배수구(63')로 배추되지 않는다.
따라서 영구자석(71')이 영구자석(72')에서 분리될 때 우측지레(3')의 작용점(9')에 축(12')으로 축설한 손잡이(11') 하단의 피스톤(10')과 V패킹(17') 중 V패킹(17')의 하단외벽이 실린더(18') 내벽에 더 강하게 밀착되며, 패킹(79)에는 밸브(80)가 더 강하게 밀착되고, 패킹(16')과 영구자석(59')의 상면에는 뚜껑(13')이 더 강력히 밀착되기 때문에 이들의 역할이 더욱 강화된다.
이와 같은 작동이 계속 되면서 물통(6')이 하한선에 도달할 무렵부터 늘어져 있던 끈(52')이 팽팽해지면서 이 끈(52')에 의하여 막대(47')가 더 내려갈 수 없는 상태에서도 물통(6')은 그 안에 고여 있는 물의 중량에 의하여 계속 내려가면 [도 2e]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팽팽해진 끈(52')이 가로막대(51')를 끌어 내리기 때문에 스프링(50')이 수축되며, 뚜껑(13')이 닫힌 상태에서 이 스프링(50')이 수축하는 정도에 비례하여 물통(6')이 계속 내려간다.
이와 같이 물통(6')이 계속 내려가다가 스프링(50')이 더 수축될 수 없게 되었을 때부터 뚜껑(13')은 그 좌측 밑면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104
)으로 회전하면서 이 뚜껑(13')의 밑면이 패킹(16')의 상면과 영구자석(59')의 상단 자극에서 분리되기 때문에 물통(6') 하단의 배수구(63')가 열린다.
이와 같이 뚜껑(13')의 밑면이 패킹(16')의 상면과 영구자석(59')의 상단 자극에서 분리되며 열릴 때 수축되었던 스프링(50')이 원상 복귀되면서 뚜껑(13')을 위로 많이 끌어올리기 때문에 이 뚜껑(13')이 많이 열린다.
이와 같이 뚜껑(13')의 밑면이 패킹(16')의 상면과 영구자석(59')의 상단 자극에서 분리되면서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105
)으로 회전하며 많이 열릴 때 배수구(63')의 중간 전후벽면에 축(73')으로 축설된 레버(74')의 우측 상단이 뚜껑(13')의 밑면에 고리로 연결된 상태에서 위로 끌려올라가기 때문에 레버(74')가 축(73')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106
)으로 회전하면서 이 레버(74')의 하단이 배수구(63')의 밑에서 부력에 의하여 이 배수구(63')를 개폐시키는 부력마개(75')를 밑으로 많이 밀어 내는 까닭에 부력마개(75')가 많이 열린다.
그러므로 배수구(63')의 상하 양면에서 개폐되는 뚜껑(13')과 부력마개(75')가 각각 많이 열리면서 물통(6')에 고여 있던 물이 이 배수구(63')를 통해 빨리 배출된다.
이와 같이 물통(6') 하단의 배수구(63')가 열리면 물통(6')에 고여 있던 물은 이 배수구(63')로 배출되면서 물받이 통(33')에 고이며, 이 물받이 통(33')에 고이는 물은 패킹(79)위에 밀착되어 있는 밸브(80)를 밀어 올리면서 실린더(18')의 하단 내부로 들어가려고 하지만 실린더(18')의 하단 내부에는 피스톤(10')과 V패킹(17')에 의하여 압력을 받고 있는 물이 있기 때문에 밸브(80)가 열리지 않는 까닭에 이 물은 실린더(18')의 하단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고 물받이 통(33')에 그대로 고여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물통(6')이 우측지레(3')와 함께 중심축받이(1)의 축(2)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107
)으로 회전하면서 물받이 통(33') 쪽으로 내려갈 때 수평레버(42')의 좌측상단(44')이 밸브(29')의 자루(30') 좌측 밑면에서 분리되므로 밸브(29)'는 그 우측 밑면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108
)으로 회전하면서 이 밸브(29')의 밑면이 패킹(28')의 상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배수관(26')이 밀폐되며 큰 물탱크(32)(32')에서 배출되던 물이 멈추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물통(6')에는 물이 더 들어갈 수 없지만 이미 이 물통(6')에 고여 있는 물의 중량에 의하여 물통(6')이 우측지레(3')와 함께 중심축받이(1)의 축(2)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109
)으로 회전하면서 물받이 통(33') 쪽으로 내려갈 때 우측지레(3')의 작용점(9')에 축(12')으로 축설한 손잡이(11') 하단의 피스톤(10')과 V패킹(17')이 실린더(18') 내부로 들어가면서 그 안에 고여 있는 물에 압력을 가한다.
그러므로 실린더(18') 내부에서 압력을 받는 물은 사방으로 퍼져 나가려고 하지만 밸브(80')에 작용하는 중력과 실린더(18') 내부에서 압력을 받는 물이 있기 때문에 이 밸브(80')가 패킹(79')에 밀착되면서 급수구(81')가 밀폐되는 까닭에 압력을 받는 이 물은 급수구(81')로 배출되지 못하고 상향 관(20') 내벽의 환형턱(21') 위쪽의 패킹(22') 위에 올려놓은 볼(23')을 밀어 올리며 상향 관(20')과 양수 관(19')을 통해 양수되면서 큰 물탱크(32) (32')에 고인다.
이 때 실린더(18') 내부에 고여 있는 물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는 우측지레(3')의 작용점(9')인 축(12')에서부터 우측지레(3')의 받침점인 축(2)까지의 거리 보다 우측지레(3')의 힘점(5')인 축(8')에서부터 우측지레(3')의 받침점인 축(2)까지의 거리가 클 수 록 실린더(18')의 내부에 고여 있는 물에 가해지는 압력이 더 커진다.
그렇기 때문에 실린더(18')의 내부에 고여 있는 물에 가해지는 압력이 더 커지게 하려면 축(8')을 우측지레(3')의 우측으로 이동시켜서 축(8')에서부터 축(2)까지의 거리가 축(12')에서부터 축(2)까지의 거리보다 더 크게 할수록 피스톤(10')과 V패킹(17')이 실린더(18')의 내부에 고여 있는 물에 가하는 압력이 더 커진다.
이와 같이 축(8')을 우측지레(3')의 우측으로 이동시켜서 축(8')에서부터 축(2)까지의 거리가 축(12')에서부터 축(2)까지의 거리보다 크게 할수록 피스톤(10')과 V패킹(17')이 실린더(18') 내부에 고여 있는 물에 가하는 압력이 더 커진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시이소 형 우측지레(3')의 힘점(5')에 축(8')으로 축설한 손잡이(7') 하단의 물통(6')에 고이는 물의 총량이 같더라도 실린더(18') 내부에 고여 있는 물에 가해지는 압력이 더 커진다.
그리고 축(8')을 우측지레(3')의 우측으로 이동시켜서 축(8')에서부터 축(2)까지의 거리가 축(12')에서부터 축(2)까지의 거리보다 크게 할수록 피스톤(10')과 V패킹(17')이 실린더(18')의 내부에 고여 있는 물에 가하는 압력이 더 커지게 한 상태에서 물통(6')에 고이는 물이 많을 수 록 피스톤(10')과 V패킹(17')이 실린더(18') 내부에 고여 있는 물에 가해지는 압력이 더 커진다.
이와 같은 작동이 계속 되면서 물통(6')이 하한선에 도달할 무렵 늘어져 있던 끈(52')이 팽팽해진 다음 이 끈(52')에 의하여 막대(47')가 더 내려갈 수 없는 상태에서도 물통(6')이 그 안에 고여 있는 물의 중량에 의하여 계속 내려가면서 팽팽해지는 끈(52')의 상단이 [도 2e]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로막대(51')를 끌어 내리기 때문에 스프링(50')이 수축되면서 뚜껑(13')이 패킹(16')의 상면과 영구자석(59')의 상단 자극에 밀착되며 배수구(63')가 밀폐된 상태에서 스프링(50')이 수축되는 정도에 비례하여 이 물통(6')이 계속하여 내려간다.
이와 같이 물통(6')이 계속 내려가다가 스프링(50')이 더 수축될 수 없게 되었을 때부터 뚜껑(13')은 그 좌측 밑면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110
)으로 회전하면서 이 뚜껑(13')의 밑면이 패킹(16')의 상면과 영구자석(59')의 상단 자극에서 분리되므로 물통(6') 하단의 배수구(63')가 열린다.
이와 같이 물통(6') 하단의 배수구(63')가 열리면 물통(6')에 고여 있던 물은 이 배수구(63')로 배출되면서 물받이 통(33')에 고이며, 이 물받이 통(33')에 고이는 물은 패킹(79) 위에 얹혀있는 밸브(80)를 밀어 올리면서 실린더(18')의 하단 내부로 들어가려고 하지만 실린더(18')의 하단 내부에는 피스톤(10')과 V패킹(17')에 의하여 압력을 받고 있는 물이 있기 때문에 밸브(80)가 열리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물받이 통(33')에 고여 있는 물은 실린더(18')의 하단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고 물받이 통(33')에 그대로 고여 있게 된다.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은 작용이 반복되면서 받침대(24)(24') 상단에 고정시킨 큰 물탱크(32)(32')에 양수된 물에서 생기는 위치에너지와 중심축받이(1) 사이에 축(2)으로 축설한 시이소 형 좌측지레(3)와 우측지레(3')의 힘점(5)(5')에 각각 축(8)(8')으로 축설한 손잡이(7)(7') 하단의 물통(6)(6') 및 작용점(9)(9')에 각각 축(12)(12')으로 축설한 손잡이(11)(11') 하단의 피스톤(10)(10')과 V패킹(17)(17')이 실린더(18)(18') 내부에서 오르내릴 때 생기는 운동에너지를 다양한 동력원으로 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위에서 본 바와 같이 받침대(24)(24') 상단에 고정시킨 큰 물탱크(32)(32')에 물이 공급되는 급수관(64)을 통해 수원지에서부터 물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큰 물탱크(32)(32')에 고여 있는 물이 적어지면 이 물의 부력이 약화되는 까닭에 뜸통(69)이 하강하면서 밸브(67)가 열리기 때문에 급수관(64)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패킹(66)과 환형턱(65)의 구멍 및 배수구(70)로 배출되면서 큰 물탱크(32)(32')에 고인다.
이와 같이 급수관(64)의 배수구(70)에서 배출되는 물이 큰 물탱크(32)(32')에 고이며 그 수위가 높아지면 이 물의 부력에 의하여 뜸통(69)이 부상하며 밸브(67)가 패킹(66)에 밀착되면서 패킹(66)과 환형턱(65)의 구멍이 밀폐되기 때문에 급수관(64)을 통해 공급되던 물이 멈춘다.
그렇기 때문에 큰 물탱크(32)(32')에 물이 고여 있는 물의 양에 따라 물이 적어질 때는 부력의 약화로 뜸통(69)이 하강하면서 밸브(67)가 열리며 큰 물탱크(32)(32')에 물이 공급된다.
그리고 큰 물탱크(32)(32')에 고여 있는 물이 많아지면 그 부력에 의하여 뜸통(69)이 부상하면서 밸브(67)가 닫히는 까닭에 급수관(64)을 통해 공급되던 물이 멈추면서 큰 물탱크(32)(32')에는 언제나 거의 일정한 양의 물이 고이게 된다.
그리고 중심축받이(1)에 축(2)으로 축설한 시이소 형 좌측지레(3)의 힘점(5)에 축설한 손잡이(7) 하단의 물통(6)이 축(8)에 매달린 상태에서 이 물통(6)에 고인 물의 중량에 의하여 좌측지레(3)가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111
)으로 회전할 때 좌측지레(3)의 작용점(9)에 축(12)으로 축설한 손잡이(11) 하단의 피스톤(10)과 V패킹(17)이 실린더(18) 내부로 들어간다.
이와 같이 피스톤(10)과 V패킹(17)이 실린더(18) 내부로 들어갈 때 실린더(18) 안에 고여 있는 물에 가하는 압력 때문에 뚜껑(36)이 패킹(35)에 밀착되면 구멍(62)이 밀폐되며 압력을 받는 이 물은 실린더(18)의 측면에 형성된 상향 관(20) 내벽의 환형턱(21) 위쪽의 패킹(22) 위에 올려놓은 볼(23)을 밀어 올리며 양수되면서 이 물이 받침대(24)(24') 상단에 고정시킨 큰 물탱크(32)(32')에 고인다.
좌측지레(3)가 이와 같이 작동하는 동안 중심축받이(1)에 축(2)으로 축설한 시이소 형 우측지레(3')의 힘점(5')에 축설한 손잡이(7') 하단의 물통(6')이 축(8')에 매달린 상태에서 우측지레(3')가 중심축받이(1)의 축(2)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112
)으로 회전하면서 이 우측지레(3')의 작용점(9')에 축(12')으로 축설한 손잡이(11') 하단의 피스톤(10')과 V패킹(17')이 실린더(18') 내부에서 위로 올라가며 피스톤(10')과 V패킹(17')이 실린더(18')의 하단부에 고여 있는 물을 흡입한다.
그렇기 때문에 실린더(18') 측면에 형성된 물받이 통(33')에 고여 있던 물이 뚜껑(36')을 밀어내며 실린더(18') 내부로 흡입되면서 우측지레(3')의 힘점(5')에 축(8')으로 축설한 손잡이(7') 하단의 물통(6')이 축(8')에 매달린 상태에서 우측 지레(3')와 함께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113
)으로 회전하며 위로 올라간다.
이와 같이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114
)으로 회전하며 위로 올라가는 물통(6') 상단의 축받이(39')에 축(40')으로 축설한 수평레버(42')의 좌측상단(44')이 받침대(24)(24') 위에 고정시킨 큰 물탱크(32)(32')의 배수관(26')을 개폐하는 밸브(29')의 자루(30') 좌측 밑면을 밀어 올린다.
이 과정에서 수평레버(42')의 좌측상단(44')이 밸브(29')의 자루(30') 좌측 밑면에 접하면 이 수평레버(42')의 좌측상단(44')이 축(40')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115
)으로 회전하면서 수직레버(41') 하단의 좌측면에 형성된 갈고리(43')가 막대(47') 상단의 우측면에 형성된 갈고리(53')에서 분리된다.
이와 같이 수직레버(41') 하단의 좌측면에 형성된 갈고리(43')가 막대(47') 상단의 우측면에 형성된 갈고리(53')에서 분리되면 자성체로 만든 뚜껑(13')은 이 뚜껑(13')에 작용하는 중력과 영구자석(59')의 자력에 의하여 이 뚜껑(13')의 밑면이 패킹(16')의 상면과 영구자석(59') 상단의 지극에 밀착되면서 물통(6') 하단의 배수구(63')가 밀폐된다.
이와 같이 뚜껑(13')의 밑면이 패킹(16')의 상면과 영구자석(59')의 상단 자극에 밀착되면서 물통(6') 하단의 배수구(63')가 밀폐되는 동안에 큰 물탱크(32)(32')의 배수관(26')을 개폐하는 밸브(29')의 자루(30') 좌측 밑면이 수평레버(42')의 좌측상단(44')에 의하여 위로 밀려올라 간다.
이와 같이 밸브(29')의 자루(30') 좌측 밑면이 수평레버(42')의 좌측상단(44')에 의하여 위로 밀려올라갈 때 이 밸브(29')가 그 우측 밑면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116
)으로 회전하면서 이 밸브(29')의 밑면이 패킹(28')의 상면에서 분리되면 배수관(26')이 열리면서 큰 물탱크(32)(32')에 고여 있던 물이 이 배수관(26')을 통해 배출되며 배수관(26')의 수직하방에 있는 물통(6')에 고인다.
이와 같이 물통(6')에 물이 고이면 이 물의 중량에 의하여 우측지레(3')와 함께 이 우측지레(3')의 힘점(5')에 축(8')으로 축설한 손잡이(7') 하단의 물통(6')이 축(8')에 매달린 상태에서 중심축받이(1)의 축(2)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117
)으로 회전하면서 이 물통(6')이 물받이 통(33') 쪽으로 내려가려고 한다.
그러나 강력한 영구자석(71')이 강력한 영구자석(72')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물통(6')이 물받이 통(33') 쪽으로 내려가지 못하고 있는 상태에서 큰 물탱크(32)(32')에 고여 있던 물이 이 배수관(26')을 통해 배출되면서 물통(6')에 계속하여 고이다가 이 물통(6')에 고이는 물의 중량이 두 영구자석(71')(72') 사이에서 작용하는 인력보다 커지면 두 영구자석(72')(71')이 분리되며 물통(6')이 물받이 통(33') 쪽으로 내려간다.
이와 같이 물통(6')이 우측지레(3')와 함께 중심축받이(1)의 축(2)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118
)으로 회전하며 물받이 통(33') 쪽으로 내려갈 때 수평레버(42')의 좌측상단(44')이 밸브(29')의 자루(30') 좌측 밑면에서 분리되므로 밸브(29)'는 그 우측 밑면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119
)으로 회전하면서 이 밸브(29')의 밑면이 패킹(28') 위에 밀착되기 때문에 배수관(26')이 밀폐되며 큰 물탱크(32)(32')에서 배수관(26')을 통해 배출되던 물이 멈춘다.
그렇기 때문에 물통(6')에는 물이 더 들어갈 수 없지만 이미 이 물통(6')에 고여 있는 물의 중량에 의하여 이 물통(6')이 우측지레(3')와 함께 중심축받이(1)의 축(2)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120
)으로 회전하면서 물받이 통(33') 쪽으로 내려갈 때 우측지레(3')의 작용점(9')에 축(12')으로 축설한 손잡이(11') 하단의 피스톤(10')과 V패킹(17')이 실린더(18') 내부로 들어가면서 그 안에 고여 있는 물에 압력을 가한다.
그러므로 실린더(18') 내부에서 압력을 받는 물은 사방으로 퍼져 나가려고 하지만 뚜껑(36')에 작용하는 중력과 실린더(18') 내부에서 압력을 받는 물의 수압에 의하여 이 뚜껑(36')이 패킹(35')에 밀착되면서 구멍(62')이 밀폐된다.
그렇기 때문에 압력을 받는 이 물은 구멍(62')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상향 관(20') 내벽의 환형턱(21') 위쪽 패킹(22') 위에 올려놓은 볼(23')을 밀어 올리면서 상향 관(20')과 양수 관(19')을 통해 양수되는 물이 큰 물탱크(32)(32')에 고인다.
이와 같이 중심축받이(1)의 축(2)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121
)으로 회전하면서 우측지레(3')의 힘점에 축설한 축(8')에 매달린 물통(6')이 물받이 통(33') 쪽으로 하강할 때 좌측지레(3)의 힘점(5)에 축(8)으로 축설한 손잡이(7) 하단의 물통(6)이 위로 올라가면서 상한선에 근접할 무렵 물통(6) 상단의 축받이(39)에 축(40)으로 축설한 수평레버(42)의 우측상단(44)이 받침대(24)(24') 상단에 고정시킨 큰 물탱크(32)(32')의 배수관(26) 상단의 환형턱(27) 위쪽의 패킹(28) 위에 올려놓은 밸브(29)의 자루(30) 우측 밑면을 밀어 올린다.
그러므로 밸브(29)가 그 좌측 밑면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122
)으로 회전하면서 밸브(29)의 밑면이 패킹(28)의 상면에서 분리되면 배수관(26)이 열리기 때문에 큰 물탱크(32)(32')에 고여 있던 물이 이 배수관(26)을 통해 배출되면서 이 배수관(26)의 수직하방에 있는 물통(6)에 고인다.
이와 같이 물통(6)에 물이 고이면 이 물의 중량에 의하여 중심축받이(1)에 축(2)으로 축설한 좌측지레(3)가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123
)으로 회전하면서 작용점(9)에 축(12)으로 축설한 손잡이(11) 하단의 피스톤(10)과 V패킹(17)이 실린더(18) 내부에 고여 있는 물에 압력을 가한다.
그렇기 때문에 뚜껑(36)이 패킹(35)에 밀착되면 구멍(62)이 밀폐되면서 상향 관(20) 내벽의 환형턱(21) 위쪽의 패킹(22) 위에 올려놓은 볼(23)을 밀어 올리며 상향 관(20)과 양수 관(19)을 통해 양수되는 물이 큰 물탱크(32)(32')에 고인다.
이와 같이 양수되면서 큰 물탱크(32)(32')에 고이는 물에서 생기는 위치에너지와 이 물을 양수하는 과정에서 중심축받이(1)의 축(2)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124
)이나 반시계방향(
Figure 112008503114163-PAT00125
)으로 회전하는 좌측지레(3)와 우측지레(3')의 힘점(5)(5')에 각각 축(8)(8')으로 축설한 손잡이(7)(7') 하단의 물통(6)(6')과 좌측지레(3)와 우측지레(3')의 작용점(9)(9')에 각각 축(12)(12')으로 축설한 손잡이(11)(11') 하단의 피스톤(10)(10') 및 V패킹(17)(17')이 상하운동을 할 때 생기는 운동에너지를 계속하여 얻을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그리고 [도 2c]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통(6)이 물받이 통(33) 쪽으로 내려갈 때 좌측지레(3)의 작용점(9)에 축(12)으로 축설한 손잡이(11) 하단의 피스톤(10)과 V패킹(17)이 실린더(18) 내부로 들어가면서 실린더(18) 안에 고여 있는 물에 압력을 가한다.
그러므로 실린더(18) 내부에서 압력을 받는 물은 사방으로 퍼져 나가려고 하지만 밸브(80)와 패킹(79)에 의하여 급수구(81)가 밀폐되기 때문에 압력을 받는 물은 상향 관(20) 내벽의 환형턱(21) 위쪽 패킹(22) 위에 올려놓은 볼(23)을 밀어 올리며 상향 관(20)과 양수 관(19)을 통해 양수되면서 이 물이 큰 물탱크(32)(32')에 고인다.
물통(6')이 물받이 통(33') 쪽으로 내려갈 때 우측지레(3')의 작용점(9')에 축(12')으로 축설한 손잡이(11') 하단의 피스톤(10')과 V패킹(17')이 실린더(18') 내부로 들어가면서 실린더(18') 안에 고여 있는 물에 압력을 가한다.
그러므로 실린더(18') 내부에서 압력을 받는 물은 사방으로 퍼져 나가려고 하지만 밸브(80')와 패킹(79')에 의하여 급수구(81')가 밀폐되기 때문에 압력을 받는 물은 상향 관(20') 내벽의 환형턱(21') 위쪽 패킹(22') 위에 올려놓은 볼(23')을 밀어 올리며 상향 관(20')과 양수 관(19')을 통해 양수되는 물이 큰 물탱크(32)(32')에 고인다.
이와 같이 양수된 물이 큰 물탱크(32)(32')에 고이면서 생기는 위치에너지와 이 물이 양수되는 과정에서 물통(6)(6')이 물받이 통(33)(33') 쪽으로 내려갈 때 좌측지레(3) 및 우측지레(3')의 작용점(9)(9')에 축(12)(12')으로 축설한 손잡이(11)(11') 하단의 피스톤(10)(10')과 V패킹(17)(17')이 각각 실린더(18)(18') 내부에서 내려가거나 이들 부품이 올라가는 과정에서 생시는 운동에너지를 반복하여 얻을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4)

  1. Figure 112008503114163-PAT00126
    자형 중심축받이(1)에 축(2)으로 축설한 좌측지레(3)와 우측지레(3')의 힘점(5)(5')에 각각 축(8)(8')으로 축설한 손잡이(7)(7') 하단의 물통(6)(6')이 매달리는 축(8)(8')을 좌우로 이동시키며, 이 물통(6)(6') 내벽에 여러 유도봉(14)(14')이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환형턱(15)(15') 위에 얹힌 패킹(16)(16')과 환형턱(15)(15') 내벽에 고착시킨 영구자석(59)(59')의 상단에 접하는 뚜껑(13)(13')이 배수구(63)(63')를 개폐하며, 이 뚜껑(13)(13') 상면의 고리(58)(58')와 물통(6)(6') 상단의 유도관(46)(46') 내부(57)(57')에서 오르내리는 막대(47)(47')의 하단 구멍에 끈(48)(48')을 연결한 이 막대(47)(47')의 상단 좌우측면에 갈고리(53)(53')를 형성시키고, 막대(47)(47')의 상단 구멍에 연결한 끈(52)(52')이 물통(6)(6') 상단의 축받이(39)(39')에 축(40)(40')으로 축설한 수평레버(42)(42')의 구멍(45)(45')을 관통한 끈(52)(52')의 최상단을 받침대(24)(24')의 밑면에 고착시킨 스프링지지대(49)(49')의 환형턱(61)(61') 위에 장착한 스프링(50)(50') 상단의 가로막대(51)(51')에 끈(52)(52')의 상단을 연결하며, 물통(6)(6')의 하방에는 물받이 통(33)(33')이 있고, 좌측지레(3)와 우측지레(3')의 작용점(9)(9')에 축(12)(12')으로 축설한 손잡이(11)(11') 하단에 있는 피스톤(10)(10')의 원주 요홈에 V패킹(17)(17')을 끼운 이 피스톤(10)(10')과 V패킹(17)(17')이 실린더(18)(18') 내부에서 오르내리며, 물받이 통(33)(33')과 실린더(18)(18') 사이에 있는 칸막이(38)(38')의 환형턱(34)(34') 우측면과 좌측면에 각 각 패킹(35)(35')을 끼우고, 이 패킹(35)(35')의 우측면과 좌측면에 밀착되는 뚜껑(36)(36') 상단의 구멍을 관통하는 볼트(37)(37')를 칸막이(38)(38')의 우측면과 좌측면의 암나사에 결합한 이 볼트(37)(37')에 걸리는 뚜껑(36)(36')이 패킹(35)(35')의 우측면과 좌측면에 밀착되면 칸막이(38)(38')의 구멍(62)(62')이 밀폐되며, 뚜껑(36)(36')이 패킹(35)(35')에서 분리되면 구멍(62)(62')이 열리고, 실린더(18)(18')의 측면에 형성된 상향 관(20)(20') 내벽의 환형턱(21)(21')위에 패킹(22)(22')과 개폐용 볼(23)(23')을 올려놓은 다음 이 상향 관(20)(20')의 상단에 양수 관(19)(19')의 하단을 결합하여 실린더(18)(18') 내부에서 압력을 받는 물이 상향 관(20)(20')과 양수 관(19)(19')을 통해 양수되는 물이 받침대(24)(24') 상단에 고정시킨 큰 물탱크(32)(32')에 고이도록 하고, 큰 물탱크(32)(32')의 바닥(25)(25') 좌우측에 있는 배수관(26)(26') 상단의 환형턱(27)(27') 위에 있는 패킹(28)(28') 위에 올려놓은 밸브(29)(29')의 자루(30)(30')가 배수관(26)(26')을 관통하며, 이 밸브(29) (29')의 이탈을 막기 위해 밸브(29)(29') 위에 씌운 보호망(31)(31')의 하단을 큰 물탱크(32)(32')의 바닥(25)(25')에 고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지레와 자력 및 부력을 응용한 중력양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실린더(18)(18') 하단에 있는 수평관(77)(77')의 환형턱(78)(78') 위에 올려놓은 패킹(79)(79')과 밸브(80)에 의하여 급수구(81)(81')가 개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레와 자력 및 부력을 응용한 중력양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큰 물탱크(32)(32')에 장착한 급수관(64)의 환형턱(65)에 밀착시킨 패킹(66)에 접하는 밸브(67)의 자루(68)가 패킹(66)과 환형턱(65)의 구멍을 관통한 자루(68) 끝에 뜸통(69)을 장착하며, 이 급수관(64)의 배수구(70)가 큰 물탱크(32)(32')의 바닥(25)을 향하도록 한 급수관(64)이 수원지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레와 자력 및 부력을 응용한 중력양수기』.
  4. 제1항 및 제2항과 동일한 다수개의 본 발명에 장착된 큰 물탱크(32)(32')가 서로 평행하며, 그 높이를 같게 배열한 것으로서 제1항 및 제2항과 동일한 다수개의 본 발명이 각각 반복하여 큰 물탱크(32)(32')에 물이 양수하면서 양수한 물에서 생기는 위치에너지와 양수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운동에너지가 계속하여 다량으로 발생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레와 자력 및 부력을 응용한 중력양수기』.
KR1020080056596A 2008-06-14 2008-06-14 지레와 자력 및 부력을 응용한 중력양수기. KR200901299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596A KR20090129920A (ko) 2008-06-14 2008-06-14 지레와 자력 및 부력을 응용한 중력양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596A KR20090129920A (ko) 2008-06-14 2008-06-14 지레와 자력 및 부력을 응용한 중력양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920A true KR20090129920A (ko) 2009-12-17

Family

ID=41689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6596A KR20090129920A (ko) 2008-06-14 2008-06-14 지레와 자력 및 부력을 응용한 중력양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99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0954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energy
US2011012007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arvesting algae from photobioreactors
JPS6397877A (ja) 波エネルギ取出装置および方法
CN105926735B (zh) 一种利用压力差排水的水箱排水装置
CN202998986U (zh) 无人自动浇花装置
KR20120063509A (ko) 펌핑 장치
KR20090129920A (ko) 지레와 자력 및 부력을 응용한 중력양수기.
KR20040066701A (ko) 중력으로 유체를 양수하는 중력양수기.
KR20090078291A (ko) 지레를 응용한 중력 양수기
KR20100117483A (ko) 지레와 자력 및 부력을 응용한 중력양수기.
KR101125951B1 (ko) 개폐기능이 향상된 후드밸브
KR20030043527A (ko) 물의 중량과 부력을 응용한 양수방법 및 그 장치
RU2447326C2 (ru) Способ подъема вод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4410327B2 (ja) 水の重量を利用した揚水装置
KR20030044728A (ko) 물의 중량으로 양수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N207591344U (zh) 一种工业管路油气分离装置
US2613608A (en) Gravity buoyancy pump
IT201900014634A1 (it) Airlift azionato da una pompa ad aspirazione mossa dall’energia del vento ovvero da quella delle onde marine
US1589403A (en) Water-power transferable hydroelectric plant
CN220101656U (zh) 一种虹吸装置
RU2610127C1 (ru) Дренажный колодец
KR20030064218A (ko) 중력 양수 방법 및 그 장치
JP5782589B1 (ja) 圧縮空気発生システム
RO128940A2 (ro) Instalaţie pentru pomparea apei din mare la diferite înălţimi
RU2463486C1 (ru) Способ подъема вод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