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9834A - Management system of mobile repeater - Google Patents

Management system of mobile repe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9834A
KR20090129834A KR1020080055944A KR20080055944A KR20090129834A KR 20090129834 A KR20090129834 A KR 20090129834A KR 1020080055944 A KR1020080055944 A KR 1020080055944A KR 20080055944 A KR20080055944 A KR 20080055944A KR 20090129834 A KR20090129834 A KR 20090129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device
relay
information
location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59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창희
김영진
양진석
박능출
정장훈
천주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인스트루먼트
정장훈
박능출
양진석
천주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인스트루먼트, 정장훈, 박능출, 양진석, 천주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인스트루먼트
Priority to KR1020080055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9834A/en
Publication of KR20090129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983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40Monitoring; Testing of relay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PURPOSE: A relay equipment management system in mobile radio communications network for easily recognizing the location of a repeater is provided to accurately recognize the location of the repeater by displaying an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repeater as visual data. CONSTITUTION: A relay device(50) comprises as follows. A GPS module(54) gets the location information in which the relay device is installed. The GSP module controls the whole relay device. A controller(55) transmits default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to a management device if the failure is generated in the replay device. The management device visually indicates the location of the relay device.

Description

이동통신망을 위한 중계장치 관리시스템{Management system of mobile repeater}Relay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system of mobile repeater}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 있어서 다수의 중계장치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이동통신망을 위한 중계장치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lay device management system f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or efficiently managing a plurality of relay devices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통신 서비스 지역을 셀단위로 나누고, 각 셀에 기지국을 설치하여 셀내에 위치하는 사용자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기지국으로부터 송출되는 주파수 신호가 잘 전달되지 않는 음영지역 등에는 별도의 중계장치를 설치하여 셀내의 모든 이용자에게 양질의 통신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gener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communication service area is divided into cell units, and a base station is installed in each cell to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to a user located in the cell. In addition, a separate relay device is installed in a shaded area in which frequency signals transmitted from a base station are hardly transmitted to provide high quality communication service to all users in a cell.

한편, 다수의 중계장치를 운용하는 사업자의 경우에는 각각의 중계장치에 이상이 발생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중계장치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게 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사업자의 경우에는 중계장치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중계장치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에 바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operators operating a plurality of relay devices,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or no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each of the relay devices to efficiently manage the relay devices. Accordingly, in the case of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the relay devices are connected to a network so that the terminal device can immediately cope with a failure in the relay device.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중계장치의 경우에는 통상 음영지역에 설치되고, 그 수효 또한 매우 많기 때문에 특정한 중계장치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해당 중계 장치가 설치된 위치를 바로 인식할 수 없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이상이 발생된 중계장치에 대하여 바로 고장수리가 이루어지지 못함으로 인하여 고객의 불만이 초래되는 경우가 많이 있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relay device, it is usually installed in the shaded area, and the number of the relay device is also very large. Therefore,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a specific relay device, it is often impossible to immediately recognize the location where the relay device is installed. have. In addition,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customer complaints are caused because failures are not immediately repaired with respect to the relay device in which an abnormality occurs.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다수의 중계장치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함은 물론 이상이 발생된 중계장치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고장수리를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이동통신망을 위한 중계장치 관리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manage a plurality of relay devices, as well as to easily grasp the position of the relay device in which the fault occurs to facilitate the quick and easy troubleshooting Its purpose is to provide a relay management system for a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이동통신망을 위한 중계장치 관리시스템은 다수의 중계장치와 이들 중계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망을 위한 중계장치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장치는 제1 지도정보 저장수단과 제1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중계장치는 해당 중계장치가 설치되는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GPS 모듈과, 중계장치 전체를 제어함과 더불어 중계장치에 장애가 발생된 경우에는 장애정보와 더불어 상기 GPS 모듈로부터 얻어진 위치정보를 함께 관리장치로 전송하는 제1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관리장치는 중계장치로부터 장애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장애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중계장치의 위치정보를 근거로 제1 디스플레이 수단에 중계장치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elay device management system f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plurality of relay devices and a management device for managing these relay devices, wherein the management device is a first map. It comprises an information storage means and a first display means, the relay device is a GPS module for acqui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which the relay device is installed, and in the case of a failure in the relay device in addition to controlling the entire relay device And a first control means for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GPS module together with the failure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device. When the failur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relay device, the management device is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failure information. Visually displaying the position of the relay on the first display means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It characterized.

또한, 상기 관리장치는 장애가 발생된 중계장치의 위치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제1 모뎀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고, 안테나와 상기 관리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제2 모뎀, 지도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제2 지도정보 저장수단, 중계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제2 디스플레이 수단 및, 상기 제2 모뎀을 통해서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출력제어하는 제2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휴대장치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device further comprises a first modem for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aulty relay device, the second modem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antenna and the management device, the second information is stored 2 map information storage means, second display means for visually displaying the position where the relay device is installed, and second control means for output-controlling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second modem to the display pa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further comprises a portable device having a.

또한, 중계장치의 위치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수단과, 지도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제2 지도정보 저장수단, 중계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제2 디스플레이 수단 및, 상기 키입력수단을 통해서 입력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출력제어하는 제2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휴대장치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key input means for inputt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lay device, second map information storage means for storing map information, second display means for visually displaying the position where the relay device is installed, and the key. And a portable device having second control means for output-controlling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to the display panel.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중계장치에 장애가 발생된 경우 해당 중계장치의 설치위치가 시각적인 데이터로서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되므로 장애가 발생된 중계장치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relay device, sinc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relay devic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s visual data, the position of the relay device in which the failure occurs can be accurately recognized and appropriate measures can be take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단,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예의 예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show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xamples of such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in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위한 중계장치 관리시스템의 전체적인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system configuration of a relay device management system f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중계장치 관리시스템은 관리장치(10)와 다수의 도너(30: 30-1~30- n) 및 다수의 중계장치(50: 50-1~50-n)를 구비하여 구성된다.In FIG. 1, the relay device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management device 10, a plurality of donors 30: 30-1 to 30-n, and a plurality of relay devices 50: 50-1 to 50-n.

상기 관리장치(10)는 중계장치를 전체적으로 관리하게 된다. 이 관리장치(10)는 통신망(20), 예컨대 이더넷망을 통해서 다수의 도너와 결합되고, 특히 지도정보 저장부(11)를 구비한다. 이 지도정보 저장부(11)는 예컨대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장치(도시되지 않음)에 각 중계장치(50)의 위치를 시각적인 데이터로서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The management device 10 is to manage the relay device as a whole. The management device 10 is coupled with a plurality of donor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20, for example an Ethernet network, and in particular has a map information storage unit 11. This map information storage section 11 is for displaying the position of each relay device 50 as visual data on a display device (not shown) such as a monitor.

도너(30)는 관리장치(10)와 이더넷망(20)을 통해서 결합됨과 더불어 다수의 중계장치(50)와 통신망(40), 예컨대 광케이블을 통해서 결합된다. 이 도너(30)는 관리장치(10)로부터의 제어데이터를 중계장치(50)로 전송하고. 중계장치(50)로부터 관리장치(10)로 제공되는 상태보고 데이터를 관리장치(10)로 전송한다.The donor 30 is coupled through the management device 10 and the Ethernet network 20, and is coupled to the plurality of relay devices 50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40, such as an optical cable. The donor 30 transmits control data from the management device 10 to the relay device 50. The status report data provided from the relay device 50 to the management device 10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device 10.

중계장치(50)는 기지국과 통신 단말기간의 송수신 신호를 증폭하여 중계함과 더불어 중계장치(50)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에는 이를 도너(30)를 통해서 관리장치(10)에 보고하게 된다.The relay device 50 amplifies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lays the signal to the management device 10 through the donor 30 when an error occurs in the relay device 50.

도 2는 상기 중계장치(50)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lay device 50.

중계장치(50)는 통상의 것과 마찬가지로 기지국과의 전파 송수신을 위한 도너 안테나(51)와, 사용자가 휴대하는 단말기와의 전파 송수신을 위한 서비스 안테나(52)를 구비함과 더불어,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기로 송출되는 다운링크 신호와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5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The relay device 50 is provided with a donor antenna 51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io waves with a base station and a service antenna 52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io waves with a terminal carried by a user as usual, an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And an amplifier 53 for amplifying the downlink signal transmitted and the uplink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to the base station.

상기한 도너 안테나(51)와 서비스 안테나(52) 및 증폭부(53)는 통상적인 중 계장치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즉, 상기 중계장치(50)는 도너 안테나(51)를 통해 수신되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출신호, 즉 다운링크 신호를 증폭부(53)에서 증폭한 후 서비스 안테나(52)를 통해 단말기로 송출하고, 서비스 안테나(52)를 통해 수신되는 단말기로부터의 송출신호, 즉 업링크 신호를 증폭부(53)에서 증폭한 후 도너 안테나(51)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출하게 된다.The donor antenna 51, the service antenna 52, and the amplifier 53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of the conventional relay apparatus. That is, the relay device 50 amplifies the transmission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received through the donor antenna 51, that is, the downlink signal in the amplifier 53, and then transmits it to the terminal through the service antenna 52, The amplified signal 53, that is, the uplink signal received from the terminal received through the service antenna 52, is amplified by the amplifier 53 and then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donor antenna 51.

한편, 본 중계장치(50)는 GPS 모듈(Global Positioning System Module)(54)을 구비한다. 이 GPS 모듈(54)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해당 모듈이 설치된 위치의 위도 및 경도 데이터를 산출하고, 그 산출된 결과 데이터를 제어부(55)로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relay device 50 is provided with a GPS module (Global Positioning System Module) (54). The GPS module 54 calculates the latitude and longitude data of the position where the module is installed in a conventional manner, and provides the calculated result data to the controller 55.

제어부(55)는 통상적인 것과 마찬가지로 중계장치(50)를 전체적으로 제어하고, 중계장치(50)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이를 도너(30)를 통해서 관리장치(10)로 보고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55)는 중계장치(50)의 이상 상태를 관리장치(10)로 보고할 때 해당 중계장치(50)의 위치데이터, 즉 GPS 모듈(54)로부터 얻어진 위도 및 경도 데이터를 함께 전송하게 된다.As usual, the controller 55 controls the relay apparatus 50 as a whole, and reports an abnormality to the relay apparatus 50 to the management apparatus 10 through the donor 30.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controller 55 reports the abnormal state of the relay device 50 to the management device 10, the position data of the relay device 50, that is, latitude and longitude data obtained from the GPS module 54. Will be sent together.

제어부(55)로부터 관리장치(10)측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모뎀(56)으로 인가되어 예컨대 FSK 변조되고, 이후 광전변환부(57)에 의해 광신호로 변환되어 광케이블(40)을 통해 도너(30)로 전송된다. 이와 같이 도너(30)측으로 송신되는 상태보고 신호는 이후 도너(30)에 의해 관리장치(10)로 전송될 것이다.Data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55 to the management device 10 side is applied to the modem 56, for example, FSK-modulated, and then converted into an optical signal by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57, and then the donor 30 through the optical cable 40. Is sent). As such, the status report signal transmitted to the donor 30 side will be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device 10 by the donor 30.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상적인 중계장치 관리시스템과 마찬가지로 관리장치(10)로부터의 제어데이터는 도너(30)를 통해 중계장치(50)로 전송되고, 중계장치(50)로부터의 상태보고 정보는 도너(30)를 통해 관리장치(10)로 전송된다.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control data from the management device 10 is transmitted to the relay device 50 through the donor 30, and the status report information from the relay device 50 is transmitted as in the conventional relay device management system. It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device 10 through the donor 30.

한편, 상기한 통상적인 동작중에 중계장치(50)에 고장수리가 요구되는 장애가 발생된 경우에, 중계장치(50)는 이를 도너(30)를 통해 관리장치(10)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중계장치(50)로부터 관리장치(10)로 전송되는 데이터에는 에러정보와 더불어 해당 중계장치의 위치정보, 즉 위도 및 경도 정보가 포함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a failure that requires troubleshooting in the relay device 50 during the above-described normal operation occurs, the relay device 50 transmits it to the management device 10 through the donor 30. In this case,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relay device 50 to the management device 10 includes error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lay device, that is,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관리장치(10)는 중계장치(50)로부터 장애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위도 및 경도 정보를 근거로 해당 중계장치(50)의 위치를 표시하게 된다. 즉, 관리장치(10)는 중계장치(50)로부터 수신된 위도 및 경도 정보를 근거로 지도정보 저장부(11)를 탐색하여 중계장치(10)가 위치하는 주변의 지도와 더불어 중계장치의 설치위치를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서 표시하게 된다.When the failur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relay device 50, the management device 10 displays the location of the relay device 50 based on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nformation. That is, the management device 10 searches the map information storage unit 11 based on the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elay device 50 and installs the relay device together with a map of the surroundings where the relay device 10 is located. The position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중계장치(50)에 장애가 발생된 경우 해당 중계장치(50)의 설치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relay device 50,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recogniz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relay device 50 and take appropriate measures.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장애가 발생된 중계장치(50)의 위치가 관리장치(10)의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므로, 관리자가 해당 출력화면을 보면서 수리요원에게 중계장치의 설치위치를 적절하게 설명할 필요가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ince the position of the failure relay device 5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of the management device 10, the administrator properly explains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relay device to the repairman while watching the output screen. You need to do it.

도 3은 상기한 사정을 고려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circumstances.

도 3에서 도 1의 관리장치(10)에는 통신모뎀(101)이 결합된다. 이 통신모뎀(101)은 예컨대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CDMA 모뎀이다. 이 통신모뎀(101)은 고유한 호접속 번호를 가짐과 더불어 안테나(102)를 통해서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을 실행하게 된다.In FIG. 3, a communication modem 101 is coupled to the management device 10 of FIG. 1. This communication modem 101 is, for example, a CDMA modem for executing communication via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communication modem 101 has a unique call connection number and communicates with 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hrough the antenna 102.

한편, 도면에서 참조번호 100은 중계장치의 수리요원이 휴대하게 되는 휴대장치이다. 이 휴대장치(100)는 상측에 안테나(110)를 구비함과 더불어 전면에 디스플레이 패널(120)이 설치된다.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100 denotes a portable device carried by a repairman of the relay device. The portable apparatus 100 includes an antenna 110 on the upper side and a display panel 120 on the front side.

도 4는 상기 휴대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apparatus 100.

상기 휴대장치(100)는 상술한 안테나(110) 및 디스플레이 패널(120)과 더불어 모뎀(130)과 지도정보 저장부(140) 및 제어부(15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휴대장치(100)는 장치 전체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밧데리를 구비한다.The portable device 100 includes the modem 110, the display panel 120, and the modem 130, the map information storage unit 140, and the controller 150. Although not specifically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portable apparatus 100 includes a battery for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the entire apparatus.

상기 모뎀(130)은 예컨대 CDMA 모뎀으로서, 이는 고유한 호접속번호를 구비한다. 상기 지도정보 저장부(140)는 상기 관리장치(10)에 구비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서, 위도 및 경도에 따른 지도정보가 저장된다.The modem 130 is, for example, a CDMA modem, which has a unique call access number. The map information storage unit 14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provided in the management apparatus 10 and stores map information according to latitude and longitude.

그리고, 제어부(150)는 장치 전체를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50)는 모뎀(130)을 통해 위도 및 경도 데이터가 수신되면 해당 지점에 대응하는 인접 지도 정보를 지도정보 저장부(140)로부터 독출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표시함과 더불어 수신된 위도 및 경도 데이터에 해당되는 지점을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표시하게 된다.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entire apparatus. In particular, when the latitude and longitude data are received through the modem 130, the controller 150 reads adjacent map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oint from the map information storage unit 140 and displays the displayed map information on the display panel 120. Points corresponding to latitude and longitude data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120.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관리장치(10)는 중계장치(50)로부터 장애정보와 그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모뎀(101)을 통해 휴대장치(100)로 호접속을 실행하여 수신된 위치정보를 휴대장치(100)로 전송하게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management device 10, when the failure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relay device 50, performs a call connection to the portable device 100 via the modem 101 to receive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The mobile device 100 transmits the data.

그리고, 휴대장치(100)는 모뎀(130)을 통해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제어 부(150)가 이를 근거로 장애가 발생된 중계장치(50)를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그 주변 지도정보와 함께 표시해 주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through the modem 130, the portable apparatus 100 transmits the relay device 50 having the failure to the display panel 120 along with the surrounding map information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Will be displayed.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중계장치 수리요원이 장애가 발생된 중계장치의 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하여 바로 해당 중계장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relay repair service personnel can easily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faulty relay device and immediately move to the relay device.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장치(100)에 키입력부를 구비하여 수리요원이 관리자로부터 획득한 위치정보를 휴대장치(100)에 수동으로 입력하고, 제어부(150)가 수리요원이 입력한 위치정보를 근거로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장애가 발생한 중계장치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modifications.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s of FIGS. 3 and 4, the portable apparatus 100 includes a key input unit, and the repair agent manually inputs the posi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manager to the portable apparatus 100, and the controller 150.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display panel 120 to display the location of the relay device is a failur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repair personne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위한 중계장치 관리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relay management system f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서 중계장치(5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relay device 50 in FIG.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위한 중계장치 관리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lay device management system f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서 휴대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device 100 in FIG.

Claims (3)

다수의 중계장치와 이들 중계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망을 위한 중계장치 관리시스템에 있어서,In the relay device management system f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aving a plurality of relay devices and a management device for managing these relay devices, 상기 관리장치는 제1 지도정보 저장수단과 제1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고,The management device comprises a first map information storage means and a first display means, 상기 중계장치는 해당 중계장치가 설치되는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GPS 모듈과, 중계장치 전체를 제어함과 더불어 중계장치에 장애가 발생된 경우에는 장애정보와 더불어 상기 GPS 모듈로부터 얻어진 위치정보를 함께 관리장치로 전송하는 제1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며,The relay device controls a GPS module for acqui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n which the corresponding relay device is installed, and controls the entire relay device, and manages the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GPS module together with the failure information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relay device. A first control means for transmitting to the device, 상기 관리장치는 중계장치로부터 장애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장애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중계장치의 위치정보를 근거로 제1 디스플레이 수단에 중계장치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위한 중계장치 관리시스템.When the management device receives the failure information from the relay device, the management device visually displays the location of the relay device on the first display means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lay device included in the failure information. Repeater manageme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관리장치는 장애가 발생된 중계장치의 위치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제1 모뎀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고,The management device further comprises a first modem for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ailure relay device, 안테나와 상기 관리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제2 모뎀, 지도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제2 지도정보 저장수단, 중계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제2 디스플레이 수단 및, 상기 제2 모뎀을 통해서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출력제어하는 제2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휴대장치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위한 중계장치 관리시스템.A second modem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antenna and the management device, a second map information storage means storing map information, second display means for visually displaying a location where the relay device is installed, and the second modem And a portable device having a second control means for output-controlling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display pane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중계장치의 위치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수단과, 지도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제2 지도정보 저장수단, 중계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제2 디스플레이 수단 및, 상기 키입력수단을 통해서 입력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출력제어하는 제2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휴대장치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위한 중계장치 관리시스템.Key input means for inputt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lay device, second map information storage means for storing map information, second display means for visually displaying the position where the relay device is installed, and the key input means. And a portable device having a second control means for output-controlling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display panel.
KR1020080055944A 2008-06-13 2008-06-13 Management system of mobile repeater KR2009012983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944A KR20090129834A (en) 2008-06-13 2008-06-13 Management system of mobile repe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944A KR20090129834A (en) 2008-06-13 2008-06-13 Management system of mobile repea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834A true KR20090129834A (en) 2009-12-17

Family

ID=41689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5944A KR20090129834A (en) 2008-06-13 2008-06-13 Management system of mobile repe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983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9722A1 (en) * 2015-02-13 2016-08-18 박진영 Antenna monitoring device and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9722A1 (en) * 2015-02-13 2016-08-18 박진영 Antenna monitoring device and system
KR20160105997A (en) * 2015-02-13 2016-09-09 박진영 Antenna monitoring device and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0833B2 (en) Plant operat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90129834A (en) Management system of mobile repeater
KR101499863B1 (en) Line check system for centralized main distribution frame
KR20050090329A (en) Spectrum measurement method and module for time division duplex(tdd) bts and repeater
KR100221288B1 (en) Repeater error warning device in trs
KR100305289B1 (en) Base Station and Repeater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Phone
CN103227676B (en) Repeater realization method capable of realizing self detection
JP5425826B2 (en) Satellite communication line control system and satellite communication line control method
JP4367150B2 (en) Mobile phone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acquisition and state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71748A (en) Video transmission network for repair
KR100534564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radio net quality using the terminal
KR100600498B1 (en) Apparatus for real-time monitoring radio frequency repeater
JP3048935B2 (en) Wireless base station maintenance system
KR101566308B1 (en) System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state of low power rf repeater and method therefor
KR100731380B1 (en) Repeater control device using GPS signal
KR101208024B1 (en) Rf performance analysis device of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JP6275419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60263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led power fail transfer of repeater
KR200372388Y1 (en) remote alarm system and display device for remote switching system
JP2011014974A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of monitoring communication area forming device and monitoring control device
KR20090102978A (en) Settop Apparatus Having Repeater
KR101588603B1 (en) Security features provided with a mobile two-way text sending and receiving system
KR101442993B1 (en) Smart debugging system and debugg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03008910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repeater
KR200315539Y1 (en) Monitoring system of transrator for wireless instal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