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7911A - 플로어 드레인 - Google Patents

플로어 드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7911A
KR20090127911A KR1020097020799A KR20097020799A KR20090127911A KR 20090127911 A KR20090127911 A KR 20090127911A KR 1020097020799 A KR1020097020799 A KR 1020097020799A KR 20097020799 A KR20097020799 A KR 20097020799A KR 20090127911 A KR20090127911 A KR 20090127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drain
tube
outlet
water
ins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0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르트 윌헬름 소더스트롬
Original Assignee
게르트 윌헬름 소더스트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르트 윌헬름 소더스트롬 filed Critical 게르트 윌헬름 소더스트롬
Publication of KR20090127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79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02Shut-off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Abstract

문턱(threshold, 32) 또는 하부 스크린 및 립(lip) 또는 상부 스크린(19)을 포함한 워터 트랩(water trap)을 갖는 플로어 드레인(floor drain)은 상부 스크린의 하부 변부보다 높은 레벨(29)로 전개되고, 워터는 1차로 상부 스크린 이하에 흐르며 이후 하부 스크린 넘어 흐른다. 상부 스크린 이전 유입구 부분은 경량의 오염 물질을 효율적으로 이격되어 플러싱(flushing)을 보장하는 상부 스크린과 하부 스크린 사이에서 워터 볼륨(water volume)에 대하여 작은 횡단면 또는 체적을 가진다.

Description

플로어 드레인{floor drain}
본 발명은 밀페된 플로어 배출구 또는 플로어 드레인(floor outlet) 및, 욕실, 화장실, 부엌 등에서 사용되는 종류의 플로어 드레인 또는 플로어 아웃렛(floor outlet)에 관한 것이다.
플로어 드레인에서 지금까지 고려될 수 있는 불만족스러운 정도의 문제점은 플로어 드레인 자체 내 청결 부문이다. 플로어 드레인이 청결하지 않다면, 플로어 드레인 내 유기 물질(organic material)이 부패되어 축적되고 악취가 발생한다 점이다. 플로어 드레인 내부에서 상기 플로어 드레인을 막는 퇴적 및 침전(sedimentation)이 발생할 수 있다. 화학적 수단으로 세척 및 청결이 자주 수행될 필요가 있다. 세척에 대한 가능성은 워터 트랩(water trap)에 의해 어렵게 형성되고 유기 오염물질의 축적은 이로 인하여 촉진된다.
워터 트랩이 하수 시스템으로부터 나오는 공기와 냄새를 존재되는 공간으로 도달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해 플로어 드레인 내에서 사용된다. 워터 트랩(악취 밀봉)에서 외부 흐름 워터(outflowing water)는 제 1 스크린 아래에서 우선 흐르도 록 하고 이후 제 2 스크린 너머로 흐르도록 하며, 제 2 스크린의 상부 변부는 제 1 스크린의 하부 변부보다 높이가 높게 위치되어 잔존 워터가 공기 경로를 방지한다.
또한, 워터 트랩의 셔터 또는 2개의 스크린은 가령 플로어 드레인으로부터 출발하여 보다 용이하지 않게 하수 도관의 세척하기 위해 함께 작동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구부가 제공된 밀봉으로 배열되어 왔으며 이를 통하여 세척 나사선(cleaning helix)이 밀봉 제거 이후에 가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개구부들은 크기가 작고 세척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으며 종종 밀봉 제거를 매우 어렵게 하는 단점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느 한 목적은 개선된 플로어 드레인을 제공하는 것이고, 상기 플로어 드레인은 화학 물질을 감소시키고 플로어 드레인 내 부동 문제점(floating matter)의 보유를 감소시키며 이에 따라 보다 용이한 세척과 보다 나은 위생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 1 항에 따라 해결된다. 유입구 흐름 횡단면이 작기 때문에 상기 워터는 문제가 되는 가벼운 유기 오염 물질을 상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돌출하는 스크린 또는 립(lip) 이하에서 인접되도록 하며 흐를 경우 규칙적인 속도(fair speed)를 가지고, 이후 워터 트랩의 부분 위로 댐이 형성되는 표면으로 상승한다. 이 댐 형태 구조물에서, 바람직하게, 상측부분은 상대적으로 큰 부피를 차지하고 턱(pace)은 유입부에서 상대적으로 낮게 위치될 것이며, 경량의 유기 물질은 표면으로 상승할 수 있고, 그 뒤, 하부의 돌출부로부터, 두 번째 배리어 또는 트레시홀드(threshold) 위로 흘러 배출부 내로 들어가는 물을 수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유입구 및 유출구가 없는, 스쿠퍼(scupper) 또는 플로어 드레인의 전체 내측부는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서 워터 저장소의 상부로 형성된 댐 구조물로써 사용된다.
워터가 증발되지 않고 하수 공기의 상부 방향 흐름을 허용하도록 플로어 드레인 내 물의 대용량 저장소를 바람직하게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워터 트랩을 위해 이용 가능한 공간의 완전한 사용을 형성하고 종래 알려진 플로어 드레인 보다 덜 막힐 수 있으며 위생적인 플로어 드레인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 있어 추가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워터는 가령 분리된 튜브를 통하여 욕조통(bathtub) 또는 세면대(washstand)로부터 제공되며, 상기 욕조통 또는 세면대 등의 하부 단부는 하부 방향으로 워터를 전개시킨다. 튜브로부터 나오는 워터의 속도와 많은 체적량은 워터 트랩을 효율적으로 인접시켜 세척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플로어 드레인에서 제거하는 유출구 튜브를 상당하게 촉진한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 5 항에 따라 해결된다. 삽입의 형태로 유출구 워터 베리어를 장착함으로써, 유출구 튜브를 세척하는 것이 보다 더 용이하다. 또한, 실용적인 방법으로 플로어 드레인을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플로어 드레인의 내측부에서 깔대기와 같은 부분으로써 상기 유출구를 장착시킴으로써 상기 유출구 베리어를 구성하는 유출구 베리어(outlet barrier)는 유출구 튜브의 레벨 이상의 수준에 조차, 유용한 흐름 횡단면을 감소시키지 않고 끌어당겨 질 수 있으며, 플로어 드레인의 전체 영역으로부터 떠오른 경량의 물질(유입구에 대한 것이 아님)은 상기 유출구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베리어(barrier)가 존재하지 않는다.
보다 높은 유출구 베리어와 보다 낮은 유입구 베리어 사이의 최소한의 레벨은 보다 높거나 보다 낮은 베리어를 허용하여 감소된 플로어 두께와 플로어 드레인 최저부의 보다 높은 레벨을 허용한다. 이는 새로운 플로어 드레인의 실시예가 보다 얇은 루프(roof)(플로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유출구 깔대기 부분의 폭을 넒힘으로써 삽입물이 유출구로 가압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율적인 스톱(stop)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삽입물이 세척 목적을 위해 제거되어야 할 경우 양호한 그립(grip)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장점 및 특징은 종속항과 수반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자명화된다. 도면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알려진 플로어 드레인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플로어 드레인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플로어 내 복합되는 캐스트(cast) 또는 장착되는, 플로어 드레인의 주요 부분 또는 고정된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을 각각 상세하게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워터 트램 내 유출구 베리어 설치를 위한 삽입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플로어 드레인 내 적당한 장소에서 도 6의 삽입부가 삽입된 도면.
도 8은 클램프 고정 링을 일치시켜 삽입한 상부 워터 트랩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삽입이 형성된 워터 트랩 부분을 갖는 플로어 드레인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제 1 워터 트랩 베리어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르는 워터 트랩을 위한 유출구 베리어의 서로 다른 버전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플로어 드레인 주요 몸체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상부로부터 보여지는 동일한 주요 몸체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 및 도 18은 상기 주요 몸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도면.
도면으로부터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플로어 드레인의 고정된 주요 부분(1)은 상부 개구부(2)를 포함하고 이로부터 방사상으로 외부로 전개되는 원형 플랜지(circular flange, 3)를 포함한다. 개구부 이하에서 짧게 내부 방향으로 전개되는 스텝(step) 또는 숄더(shoulder, 4)는 숄더와 개구부 사이에서 짧은 원통형 벽(cylindric wall, 5)이 제공된다. 플로어 드레인의 고정된 부분(1)은 다소 하부 인 편평한 최저부(7)를 향하여 보다 낮은 부분(6)과 테이퍼 가공된다. 횡방향으로 수평 튜브(8)는 하수구 시스템(sewer system)으로 연결되기 위해 전개된다. 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숄더 상부, 원통형 벽(5)에서, 상호 연동되는 요홈(9) 및 릿지(ridge, 10)가 장착된다.
도 5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플로어링의 형태 또는 다소의 그 외 다른 밀봉 층의 형태로 플로어링 재료(flooring material, 11)가 플로어 드레인(floor drain) 상에 배열되는 지를 도시하며, 상기 밀봉 층이 릿지(9)와 최저부 측부가 접촉하도록 하기 위해 플로어 드레인으로 하부에서 형성되거나 또는 접혀지는 것을 도시한다. 플라스틱 플로어링 재료는 고무의 클램프 고정 링(12)에 의해 릿지(9)에 대해 가압되며, 상기 클램프 고정 링는 플로어 드레인으로 하부에서 가압되고 플라스틱 또는 금속의 링(13)에 의해 내측부에서 지지되며, L-형 횡단면을 가진다. 상기 클램프 고정 링(12)은 숄더(shoulder)에서 배열된 O-링에 대해 차례대로 가압되며 플로어 드레인 삽입물(15)에 대해 하부 방향으로 가압되는, 하부 방향으로 전개된 모두 둘러싸여 있는 비즈(bead, 14)가 제공된다. 플로어 드레인의 그리드(grid)는 클램프 고정 링 또는 이의 지지 링에 지지된다.
플로어링 재료(11)로 전술된 연결은 매우 양호한 밀봉이 안내된다. 클램프 고정 링의 외부 고무 링으로 플로어링 재료의 표면 및 상기 숄더(4)에 장착되는 플로어 드레인 삽입물(15)에 대해 밀봉되고 이에 따라 워터가 플로어 드레인 내측부와 플로어링 재료 사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둘러싸는 릿지(9)에 대해 플로어링 재료의 가압 형성과 비즈(bead, 14)는 플로어 드레인 및 플로어링 재 료와 플로어 사이에 워터가 유입됨을 방지하는 밀봉을 고정한다. 다른 말로, 2단계 밀봉이 구현된다. 원하는 경우, 원통형 부분(5)은 장착될 때 클램프 고정 링이 언제나 하부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안내됨을 보장하며 다소 내부 및 상부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고무 링(12)은 상부 변부로 형태될 수 있으며, 이는 외부 및 하부 방향으로 영향되는 사전장력(pretension)과 안정된 시팅(seating)을 보장하며 상부 방향을 무브먼트(movement)에서 보다 폭이 넓게 하기 위하여 외측부에서 보다 높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 링은 지지 링 상부 측부상에서 외부 방향으로 안내되는 수평의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는 클램프 고정 링(12)이 하부로 가압될 때 접촉 부분으로써 제공된다. 상기 클램프 고정 링은 장착된 이후 양호한 상태로 고정되어 이를 제거하기 위해 우선 지지 링(13)을 위로 끌어당기도록 한다. 상기 지지 링과 클램프 고정 링이 함께 가황 처리되면, 느슨하게 하도록 클램프 고정 링을 파괴(destroy)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고무 클램프 고정 링과 지지 링은 바람직하게 분리되지 않지만, 함께 가황처리되거나 또는 아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 고정 링 및 밀봉 고무 링이 장착될 때 이는 내측부 상에 지지 링과 함께 바람직하게 작동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클램프 고정 링은 하부 방향으로 운동 중에 플로어 드레인 하우징에 대하여 견고하게 이를 아래로 당겨 커버하는 플로어에 대하여 견고하게 가압될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클램프 고정 링이 제거될 때 상기 지지 링은 우선 제거되고, 그립을 형성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고, 클램프 고정 링보다 큰 당기는 힘(pulling force)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링이 제거될 때 클램프 고정 링에 가압된 방사상의 압력이 제거되고 유연한 클램프 고정 링은 플로어 드레인 삽입물의 제거를 허용하여 제거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 고정 링의 제거는 이와 같이 플로어 드레인 유입구 내 플로어링의 바람직하지 못한 상부 방향으로의 당기는 결과를 가지지 않는다.
마찰력이 지지 링과 클램프 고정 링 사이 충분한 보유력(retention)을 부여하지 않는다면, 이들은 서로 상호작동하는 요홈 및 릿지가 제공될 수 있다.
지지 링과 함께 클램프 고정 링 상부 방향의 스러스트(thrust)에 대하여 고정 하중 또는 클램프 고정 효율성은 상당하며 그레이팅(grating)에 대해 지지하는 사용자의 하중을 초과한다. 도 18은 플로어 드레인 주요 몸체의 상부 부분을 위한 대안적인 횡단면을 도시한다.
도 10에 있어서, 플로어 드레인을 위한 유입구 삽입물(inlet insert, 15)은 상부 깔대기형 부분(16)을 포함하고, 이의 상부 단부에서 숄더(4)와 삽입물(15)의 플랜지(17) 사이에서 밀봉 링(18)과 함께 전술된 클램프 고정 링(12) 이하에서 가령 배치되도록 의도된, 편평한 원형 플랜지(17)로 넘어선다(transcend)(도 5참조).
삽입물의 깔대기와 같은 부분(16)은 단부에서 수직 튜브(19)로 전개되고 상기 수직 튜브에서 내부 튜브(20)는 교체 가능하게 배열되며 상부 단부에서 밀봉부(21)가 제공되고 상기 시트(seat) 이하에서 배치된 볼(22)이 제공된다. 볼과 시트(seat)는 공기가 충진된 볼 및 워터 트랩에서 상기 시트에 대해 이를 위로 가압하는 물에 의해 비복귀 밸브(non return valve)를 구성한다. 튜브가 제공된 볼 시 트는 조절하기 위한 하이트-와이즈(height- wise)를 교체 가능하게 하여, 상기 볼이 플로어 드레인의 변부에 걸쳐 지지되어야 하는 워터 없이 깔대기와 같은 부분 내 워터의 중량 무게에 의해 플로어 드레인으로 하부로 가압될 수 있도록 하며, 이와 달리 플로어 드레인 내 워터에 의해 들어 올려지도록 유지된다. 상기 내부 튜브(20)는 튜브의 하부 단부에서 플랜지가 제공되고, 상기 플랜지는 외부 방향으로 접촉하고 워터 트랩 또는 하수관 시스템 내 과도 압력으로 외부 튜브(19) 외부로 상부 방향으로 내부 튜브가 밀려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 내부 튜브는 플로어 드레인의 상단을 들어올리기 위하여 보조 링(supplementary ring)이 사용되는 경우 워터 상에서 볼의 플로팅 현상(floating)을 보장하기 위하여 하부로 끌어 당겨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튜브 피스(tube piece, 24)의 형태로 있는 거리 요소(distance element)는 내부 튜브가 상부로 들어 올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 튜브(19)의 하부 단부와 상기 내부 튜브(20)의 외부 방향의 플랜지(23) 사이에서 배치된다. 유리하게, 상기 튜브 피스는 플로어 드레인에 대하여 보조 링과 동일한 높이를 가진다. 밀봉 링은 내부 튜브(20)가 제공된 시트와 수직 튜브(19) 사이에서 배열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트(seat)는 가령 고무와 같은 탄성 재료가 될 수 있으며 또한 실제로 수직 튜브(19)와 시트 사이 밀봉을 구현한다.
깔대기와 같은 부분 내 대응되는 오목부를 갖는 플랜지(17)의 내부 방향의 폭 형성(widening, 25)에 있어서, 원형 요홈(26)이 배열되고 이러한 부분의 외측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접촉하는 파이프 소켓(27)이 배열된다. 상기 요홈의 내측부에 대한 재료는 깨질 수 있으며(broken away) 상기 재료는 개구부에 제공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중간 밀봉과 함께 세면대, 샤워, 침수(sink) 또는 욕조로부터 튜브(28)는 하부로 가압될 수 있다. 상기 튜브는 워터 레벨(29) 이하에서 튜브의 단부가 끝이 나도록 하부로 밀려지고 또한 이러한 연결(튜브, 28)은 상부 워터 트랩 스크린 또는 립(lip)를 구성하도록 한다. 상기 워터는 시트(seat)와 볼에 의해 구성된 비복귀 밸브(non return valve)의 유출구 측부 상에서 상기 플로어 드레인으로 직접 하부로 흐른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욕조로부터 워터가 흐를 경우 상기 플로어가 넘치는 위험을 가지지 않는다. 더욱이, 빠르게 흐르는 워터의 이러한 공급은 직접 플로어 드레인을 세척한다. 물론, 욕조 또는 세면기로부터 여분의 유입구 내 비복귀 밸브(non return valve)를 일체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에 있어서, 워터 트랩 내 유출구 문턱(threshold)을 구성하는 어느 한 부분(30)이 도시된다. 이러한 문턱 부분(30)은 플로어 드레인의 유출구 튜브(8)로 가압되도록 의도된다. 상기 문턱 부분(30)은 고무 또는 그 외 다른 탄성 재료로 제조되는 경우 한 쌍의 외부 밀봉 링(31) 또는 비즈(bead)가 사용되어 본질적으로 튜브 형태가 된다. 플로어 드레인 접촉 단부의 내부를 향하여 상기 튜브 형태는 개구부(33)까지 전개되는 단부가 형성되는 둥근 벽(32)으로 전개된다. 이와 같이, 워터는 개구부(33)의 변부 넘어 흐를 수 있으며 유출구를 향하여 외부로 흐를 수 있고 이러한 부분은 플로어 드레인 내 워터를 보유하는 워터 트랩을 깔대기와 같은 부분의 하부 방향으로 전개되는 튜브 부분과 함께 구성된다.
도 12 및 도 13에 있어서, 문턱 부분(threshold)에 대해 대안적인 형태가 도 시된다. 도 13의 설명은 밀봉 플랜지가 제공된 고무 튜브(35)를 포함하고 이의 전방으로 상기 플로어 드레인 접촉 단부는 상기 워터에 대한 유출구 문턱을 형성하는 단부(36)에 의해 반 밀폐된다.
적합한 치수와 밀봉 또는 고무로 문턱 부분(30 또는 35)을 형성함으로써 플로어 드레인으로부터 유출구가 세척되어야 하고 상기 세척(cleaning up)이 접촉가능하게 되는 유출구 튜브의 전체 횡단면에 의해 특히 촉진될 때 용이하게 이는 제거될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g에 있어서 또 다른 유출구 삽입물 버전(version)은 밀봉이 제공된 튜브 부분과 플로어 드레인 내측부에 위치된, 깔대기 부분이 다소 편평하게 된 브로드(broad)가 도시된다. 상기 깔대기형 부분은 유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삽입물이 가압되지 않도록 하는 유출구 튜브의 횡단면보다 넓게 형성되고 또한 세척하기 위해 상기 삽입물을 제거하기 위한 양호한 그립을 제공한다.
이의 회전축 주위에서 아웃고잉 워터 트랩 삽입물을 회전(turning)함으로써, 플로어 드레인 내 워터 레벨은 비 복귀 밸브의 적절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조절될 수 있다. 특히, 도 12 및 도 13에서 도시된 버전(version)은 높이 조절의 큰 각도(degree)를 제공한다. 플로어 드레인 내 페어 볼룸(fair volume)은 워터 트랩이 마르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의도되며, 워터 트랩으로 볼 및 시트의 형태인 상기 비 복귀 밸브는 상기 플로어 드레인 위에 상기 둘러싸임(surrounding)으로부터 워터가 증발되는 개방 워터 표면(open water surface)이 없기 때문에 구성된다.
클램프 고정 링 이하 비 복귀 밸브와 워터 트랩 스크린을 갖는 유입구 형태 부분의 외부 플랜지를 배치하는 대신, 클램프 고정 링의 상단에 이를 배치하고 제 2 클램프 고정 링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고려된다. 이는 밀봉 또는 플로어링 재료의 클램프 고정을 방해하기 위한 것 없이 세척이 발생된다는 장점이 있다.
클램프 고정 링을 분리하지 않고 세척하기 위하여 문턱 부분(threshold part, 30) 내 개구부(33) 위에 상부 워터 트랩 부분(15) 내에서 제거 가능한 고무 밀폐를 갖는 개구부가 배열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전술된 워터 트랩 부분의 장점은 오늘 날 존재하는 플로어 드레인 및 스쿠퍼(scupper)에서 많이 장착될 수 있다는 점이며 이에 따라 이러한 장치의 기능을 개선하는 것은 워터 데미지(water damage)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에서 주요 플로어 드레인 부분(53) 내 댐이 위로 형성된 볼륨(dammed up volume, 52), 하부 문턱(51), 상부 립(50)을 갖는 종래 플로어 드레인이 도시된다. 워터는 그리드(grid, 54)를 통하여 상기 플로어로부터 플로어 드레인(floor drain)까지 흐를 수 있으며 또는 튜브(55)를 통하여 욕조(bathtub)로부터 플로어 드레인까지 흐를 수 있다. 팻(fat) 또는 스킨 침전물(skin deposit)과 같은 경량의 오염물질은 상단 층으로써 존재하고 댐이 위로 형성된 볼륨(dammed up volume, 52) 내 표면으로 발생되며, 반면 이러한 층을 방해하지 않고 상기 워터는 상부 립(50) 이하에서 외부로 흐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문턱(51) 넘어로 흐를 수 있다.
그러나, 플로어 드레인에서 경량의 오염 물질은 워터 속도로 인하여 댐이 위로 형성된 영역으로 제 1 립을 지나 이동되며 상기 흐름은 느리게 흐르기 때문에 경량의 오염물질은 표면으로 오를 시간일 있을 것이며 이후 유기 물질이 없는 내부에 플로어 드레인을 유지하는 유출구로 유출구 베리어 넘어 청소될 것이며(swept away), 그렇지 않으면 악취가 발생하고 청결하지 않은 상태가 될 것이다.
플로어 드레인의 최저부(60)에서(도 15 및 도 16 참조) 3개의 짧은 튜브(보다 많을 수 있음)는 수직 하부 방향으로 배열되어 안내되거나 또는 서로로부터 다소 이격되어 분기 될 수 있다. 이러한 튜브는 탄성 리드(electric lead)를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형태의 탄성 튜브(62)가 삽입될 수 있거나 또는 구체적인 핀이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튜브의 끼워 맞춤은 플로어 드레인의 높이와 각도가 커팅(cutting) 뿐만 아니라 튜브 또는 핀의 삽입 깊이 조절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최저부와 일체로 형성하는 짧은 튜브는 몇몇의 내부 종 방향 립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인 튜브가 지지 다리의 삽입을 하기 위한 플로어 드레인의 측부 상에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조절 스팬(span)은 증가될 수 있고 하부에 이용 가능한 공간이 없을 경우 플로어 드레인의 최저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짧은 튜브와 이격하여 잘릴 필요가 없다.
오늘날 플로어 드레인은 종종 콘크리트의 캐스팅 이전에 플로어 드레인 이하에서 배치되는 나무 조각에 의해 고정된다. 콘크리트의 흐름은 세기가 강할 수 잇으며 보다 용이하게 이러한 나무 조각 또는 그 외 다른 느슨한 거리 요소(loose distance element)를 쓸어 버릴 수 있다(sweep away).
언급된 장소에 플로어 드레인이 실행되어야 하는 수많은 목적에 있어, 어느 한 오더(order)로 이러한 특징을 추가해야 하는 필요성뿐만 아니라 서로에 대해 최적의 수행을 제공하는 것과 관련이 되는 기능을 위한 것이다.
물론, 플로어 드레인의 주요 목적은 반복적으로 악취 또는 박테리아를 허용하지 않고 워터를 배출하는 것이고, 바람직하게 상기 배출은 오랜 시간 동안에 사용되지 않는다. 이에 추가하여 플로어 드레인이 가능한 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시 가능한 한 문제점 및 파괴하지 않고 세척될 수 있다. 워터가 빌딩으로 누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근에, 플로어 드레인이 하수 시스템에 대하여 가스 사보타지(gas sabotage)의 경우 강한 역방향 압력(high back pressure)을 저항할 수 있다. 또한, 효율적인 래트 스톱(rat stop)은 양호한 것들이다. 매우 효율적인 클램프 고정 링과 함께 비복귀 밸브는 플로어 드레인 위 플로어뿐만 아니라 플로어 드레인을 오염시키는, 플로어 드레인을 향하여 역방향 흐름으로부터 하수 워터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것이다.
플로어 드레인의 실시예가 이러한 필요 사항에 따라 수행될 것이다.

Claims (35)

  1. 상부 스크린 이하에서 워터가 흐르고 이후 상기 하부 스크린 상부로 워터가 흐르며, 상부 스크린의 낮은 변부보다 높은 수준의 레벨의 변부까지 전개되는 낮은 스크린 또는 스레스홀드(threshold, 3) 및 상부 스크린 또는 립(lip, 20, 28)을 포함한 워터 트랩을 가지는 플로어 드레인에 있어서,
    상부 스크린의 낮은 변부에 대한 낮은 유입구 부분은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 빠른 속도가 형성되도록 작은 횡단면 또는 체적 용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드레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 스크린과 하부 스크린 사이 댐핑 업 공간(damming up space)은 경량의 오염 물질이 표면에 발생하고 돌출하는 스크린 아래로부터 제 2 의 변부를 넘어 인접하도록 하기 위하여 하부 방향으로 돌출하는 스크린 상부로부터 제 1 의 유입되는 흐름을 위한 공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드레인.
  3. 제 2 항에 있어서, 댐핑 업 공간은 비교적 좁은 유입구 및 유출구이지만, 플로어 드레인 내측부의 전체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드레인.
  4.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로어 드레인 내 워터에 대 해 떠오르는 볼(ball)을 포함하고 워터 트랩으로부터 워터 증발뿐만 아니라 역류(backflow)를 방지하며 시트(seat)에 대하여 이로 인해 상부로 가압되는 볼을 포함한 유입구 밸브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드레인.
  5. 상부 스크린 이하에서 흘러 이후 유출구에 대한 낮은 베리어(barrier) 넘어로 흐르는 유입구로부터 워터가 흐르며, 상부 스크린의 낮은 변부보다 높은 레벨의 변부까지 전개되는 낮은 스크린 또는 스레스홀드(threshold, 3) 및 상부 스크린 또는 립(lip, 20, 28) 포함한, 특히 플로어 드레인 또는 스쿠퍼에 대한 워터 트랩에 있어서,
    유출구 내부로 유출구 튜브에 대해 밀봉된 튜브(30, 35)가 삽입되고, 상기 삽입된 튜브는 워터 트랩의 유출구 베리어를 구성하며 상부 방향으로 향하여 아래로부터 전개되는 베리어(33)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트랩.
  6. 제 5 항에 있어서, 유입구 단부 내 상기 삽입된 튜브(30)는 둥근 벽(32)과 상부 방향을 향하는 개구부(33)로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트랩.
  7. 제 5 항에 있어서, 튜브와 같은 삽입물은 상부 방향으로 향하는 개구부를 가지는 깔대기 형태 유입구를 가지고 이는 크기가 큰 횡단면을 갖는 큰 레벨의 유출구를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트랩.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삽입물(35)은 내부 파티션을 가지고, 상기 내부 파티션은 상기 튜브 횡단면의 부분, 가령 절반 부분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트랩.
  9. 제 7 항에 있어서, 깔대기와 같은 부분은 상기 삽입물을 제거하기 위한 양호한 그립 형성(grip)을 제공하고 유출구로 상기 삽입물이 가압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출구의 횡단면보다 폭이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트랩.
  10. 플로어 드레인 또는 스쿠퍼로부터 유충구 내 삽입을 위한 삽입물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유출구 튜브의 삽입물에 대하여 밀봉하기 위한 외부 밀봉을 갖는 튜브 부분(30, 35)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 부분은 워터 트랩의 유출구 베리어를 구성하기 위해 의도되고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전개되는 베리어(barrier, 33)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어느 한 단부에 있어 상기 튜브(30)는 둥근 벽(32)과 상부 방향으로 접촉하는 개구부(33)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물.
  12. 제 10 항에 있어서, 튜브와 같은 삽입물은 크기가 큰 횡단면으로 높은 레벨의 유출구를 가능하게 하며, 상부 방향으로 접촉하는 개구부를 갖는 깔대기형 유입 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물.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35)는 상기 튜브의 횡단면의 가령 절반 부분을 덮는 내부 파티션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물.
  14. 워터 트랩을 물 배출부, 배수구 또는 플로어 드레인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배출부 입구(outlet threshold) 또는 배리어를 제공하기 위해 배출 튜브 내부로 청구항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인서트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워터 트랩을 물 배출부, 배수구 또는 플로어 드레인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배출부 입구(outlet threshold) 또는 배리어를 제공하기 위해 배출 튜브 내부로 청구항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인서트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물 배출부, 배수구 또는 플로어 드레인 내에서 워터 트랩으로부터 배출관을 세척하고 및/또는 검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청구항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배출 인서트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플로어 드레인, 배수구 또는 물 배출부용 유입 인서트에 있어서, 상기 유입 인서트는 하부를 향하여 연장된 튜브(19)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를 향하여 연장된 튜브(19) 내에 내측의 이동가능한 튜브(20)가 밀봉 상태로 배열되며, 상기 튜브의 상단부에는 볼(22)용 시트(21)가 제공되고, 상기 내측 튜브는 시트를 위한 다양한 조절가능한 수준으로부터 상부로 가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물(23, 24)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입 인서트.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튜브는 이의 하단부에 외측을 향하는 플랜지(23)가 제공되며, 상기 플랜지는 상기 하측을 항햐여 연장된 튜브의 하단부와 상기 플랜지 사이에 디스턴스 피스(distance piece)로 제공되고 상기 하측을 향하여 연장된 튜브와 동일한 직경을 가진 관의 하나 또는 몇몇의 짧은 피스(24) 또는 상기 하측을 향하여 연장된 튜브(19)의 하측 단부에 대해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입 인서트.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턴스 피스는 플로어 드레인 또는 배수구용 신장 링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입 인서트.
  20. 플로어 드레인 또는 배수구에 있어서, 청구항 제 17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유입 인서트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드레인 또는 배수구.
  21. 워터 트랩에 있어서, 청구항 제 17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유입 인서트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트랩.
  22. 플로어 드레인, 배수구 또는 물 배출부의 내측면에 대해 플로어링 또는 밀봉 멤브레인을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구조물은 플로어 드레인의 내측 변부를 향하여 밀봉 멤브레인의 내측 변부 또는 플로어링 변부를 압축시키도록 배열된 고무의 탄성 클램핑 링(12)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링(12)은 이의 내측에 예를 들어 금속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필수적으로 단단한 재료의 지지 링(37)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구조물.
  23. 제 22 항에 있어서, 지지 링은 예를 들어 L-형태의 횡단면을 제공하는 상부의 외측을 향하는 플랜지(38)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구조물.
  24.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클램핑 링은 플로어 드레인, 배수구 또는 플로어 배출부의 내측면 상에서 숄더에 대해 또는 상측 또는 유입 워터 트랩 부분을 구성하는 인서트 상에서 측면 플랜지의 상측부에 대해 밀봉을 하기 위하여 하측을 향하여 연장된 비드(1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구조물.
  25. 제 22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링과 클램핑 링 은 우선적으로 지지 링을 제거함으로써 클램핑 링을 구속해제할 수 있는 개별 부분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구조물.
  26. 플로어 드레인에 있어서, 청구항 제 22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클램핑 링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드레인.
  27. 플로어 드레인, 배수구 또는 그 외의 다른 물 배출부에 있어서, 지지 신장부(62)들을 리시버로 삽입하기 위해 또는 플로어/지붕용 캐스팅 패널 상에 직접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바닥(60)에 또는 측면에 수직 튜브형 리시버(61)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드레인, 배수구 또는 그 외의 다른 물 배출부.
  28. 플로어 드레인, 배수구 또는 그 외의 다른 물 배출부에 있어서, 지지 신장부들은 예를 들어 지붕 또는 벽 내에서 전선용으로 이용되는 타입의 튜브와 같은 플라스틱 튜브(62) 또는 대안으로 콘크리트 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드레인, 배수구 또는 그 외의 다른 물 배출부.
  29. 주변 콘크리트를 캐스팅하기 전 청구항 제 27 항 또는 제 28 항에 따르는 플로어 드레인, 배수구 또는 그 외의 다른 물 배출부의 기울기와 수준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튜브형 리시버는 충분한 수치로 자체적으로 짧아지거나 또는 리 시버로 삽입되는 튜브 또는 핀은 리시버 내부로의 삽입 깊이 및/또는 길이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플로어 드레인에 있어서, 청구항 제 17 항 또는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유입부 및 청구항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배출 인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드레인.
  31.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고 및 청구항 제 30 항에 따르는 플로어 드레인.
  32. 플로팅 볼 및 이 위의 시트를 포함하는 유입부 내에 비 회수 밸브(non return valve)를 포함하고, 청구항 제 30 항 또는 제 31 항에 따르는 플로어 드레인.
  33. 플로어 드레인에 있어서, 플로팅 볼(22) 및 이 위에 시트(21)를 포함하는 유입부 내에 비 회수 밸브를 포함하며, 청구항 제 22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클램핑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드레인.
  34. 플로어 드레인에 있어서, 예를 들어 워터 트랩 기능의 제 1 상측 스트린으로 구성되도록 하부를 향해 충분히 가압될 수 있는, 욕조, 샤워 또는 세면대로부터 추 가 연결부(28)의 삽입을 허용하는 구조물(26, 27)이 제공된 워터 트랩 유입부 부분(16)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드레인.
  35. 플로어 드레인에 있어서, 워터 트랩의 유입부 부분(16) 상에서 원형 플랜지(17)와 플로어 드레인 내의 숄더(4) 또는 이와 유사한 것 사이에 밀봉부(seal)가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드레인.
KR1020097020799A 2007-03-04 2008-03-03 플로어 드레인 KR200901279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SE2007/000207 WO2008108692A1 (en) 2007-03-04 2007-03-04 Closed floor outlet and water seal for floor outlet
SESE2007/000207 2007-03-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7911A true KR20090127911A (ko) 2009-12-14

Family

ID=39738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0799A KR20090127911A (ko) 2007-03-04 2008-03-03 플로어 드레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089838A1 (ko)
EP (1) EP2132384A4 (ko)
KR (1) KR20090127911A (ko)
CN (1) CN101668906A (ko)
TW (1) TW200902805A (ko)
WO (2) WO200810869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06825A (ja) * 2016-05-16 2017-11-24 中国電力株式会社 排水升用の蓋部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98491B1 (it) * 2010-02-24 2013-03-01 Bonomini Srl Sifone da pavimento.
DE102010060160B4 (de) * 2010-10-26 2016-03-24 Aco Severin Ahlmann Gmbh & Co. Kg Oberflächen-Entwässerungsrinne
US8857481B2 (en) * 2011-02-03 2014-10-14 Franklin Machine Products Removable drain funnel
GB2488773B (en) * 2011-03-07 2015-08-05 Impey Showers Ltd A drain adapter
USD800277S1 (en) * 2015-10-30 2017-10-17 Linercom Oy Floor drain
CN107761850A (zh) * 2016-08-22 2018-03-06 长葛市英达麻纺织厂 一种组合式黄麻阻隔贴片
CN109252334A (zh) * 2017-07-14 2019-01-2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排水管及应用其的洗衣机
US10472816B2 (en) 2017-07-26 2019-11-12 Justin Griebel Backflow valve assembly
CN109577459A (zh) * 2018-10-30 2019-04-05 南昌大学 一种多功能水封地漏
CN112064759B (zh) * 2020-09-12 2021-08-20 玉环辰芯科技有限公司 一种快排式防反水地漏
CN113737920A (zh) * 2020-09-12 2021-12-03 徐影影 一种采用快排式防反水地漏的建筑物排水系统
US11203861B1 (en) * 2021-04-24 2021-12-21 Warren Bregman Through-floor combination tub and surface drain
CN114541559B (zh) * 2022-04-07 2023-07-07 常州纺织服装职业技术学院 方便清理的储水池用排水管道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7975A (en) * 1904-06-25 1905-04-25 Frederick C Edelen Combined house-trap and cellar-drain.
DE1658198B1 (de) * 1967-01-31 1970-07-30 Arno Hoernemann Sinkkasten
US3973407A (en) * 1975-05-02 1976-08-10 Vecchio Fiore M Drainage system
SE451745C (sv) * 1984-11-30 1992-07-27 Ido Ab Anordning vid golvbrunn med stroemningsytor av huvudsakligen s-form vid en bakre vattenlaastunga
SE9100015A0 (sv) * 1991-01-03 1992-07-04 Gert W Söderström Luktlås som släpper igenom vatten men förhindrar översvämning
SE9702718D0 (sv) * 1997-07-13 1997-07-13 Soederstroem G W Anslutning -detalj till golvbrunnar för inkoppling av tvättställ, diskbänkar, badkar och likvärdigt, för maximalt flöde samt med avdunstningskompensation.
IT1310280B1 (it) * 1999-07-29 2002-02-11 Saniland S R L Sistema per impedire la risalita ad insetti ed animali vari nellecondutture di scarico degli impianti idraulici dell'edilizia 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06825A (ja) * 2016-05-16 2017-11-24 中国電力株式会社 排水升用の蓋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68906A (zh) 2010-03-10
WO2008108706A1 (en) 2008-09-12
US20100089838A1 (en) 2010-04-15
TW200902805A (en) 2009-01-16
WO2008108692A1 (en) 2008-09-12
EP2132384A4 (en) 2011-10-12
EP2132384A1 (en) 200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27911A (ko) 플로어 드레인
US20090307837A1 (en) Odorless drain assembly
KR200448852Y1 (ko) 욕실바닥용 배수트랩의 봉수트랩
JP3915069B2 (ja) 排水配管
KR100454465B1 (ko) 배수트랩
JP3721469B2 (ja) 排水配管
KR20120095119A (ko) 세면대 배수관용 거름장치
KR100742723B1 (ko) 다기능 소형맨홀
KR101006352B1 (ko) 배수관용 악취 차단구
KR200489327Y1 (ko) 냄새차단 트랩
KR100952989B1 (ko) 배수 트랩 구조물
KR100654309B1 (ko) 하수관로의 물받이 배수트랩
KR20160003178U (ko) 싱크대 배수호스 연결장치
JP4099574B2 (ja) 排水装置
WO2019013649A1 (en) WATER PURGING COMPRISING AN ODOR TRAP AND METHOD OF INSTALLING SAID PURGE OF WATER
KR20180122109A (ko) 노출형 세면기 배수트랩
KR100737270B1 (ko) 침전물의 제거가 용이한 오수받이
CN2191241Y (zh) 防臭地漏
JP6615633B2 (ja) 仮設トイレ
KR200173535Y1 (ko) 배수 장치
KR200342697Y1 (ko) 하수관로의 물받이 배수트랩
KR100360456B1 (ko) 욕실바닥용 배수트랩의 봉수트랩
KR200218248Y1 (ko) 집수정
KR20200002141U (ko) 개량형 다용도 배수트랩
KR200356294Y1 (ko) 하수관 냄새제거 및 오물 걸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