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7078A - Reinforcing bar structure of concrete girder - Google Patents

Reinforcing bar structure of concrete gir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7078A
KR20090127078A KR1020090048961A KR20090048961A KR20090127078A KR 20090127078 A KR20090127078 A KR 20090127078A KR 1020090048961 A KR1020090048961 A KR 1020090048961A KR 20090048961 A KR20090048961 A KR 20090048961A KR 20090127078 A KR20090127078 A KR 20090127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hollow
concrete girder
reinforcement
reinforc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9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76197B1 (en
Inventor
한만엽
백승덕
진경석
전용식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090127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70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1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Abstract

PURPOSE: A reinforcement structure of a concrete girder is provided to increase rigidity of the concrete girder by reinforcing rigidity around a hollow in the concrete girder in which the hollow is formed. CONSTITUTION: A reinforcement structure of a concrete girder comprises a concrete girder member(10), and a reinforcement member. A flange part(12) is formed on at least more than one end a web(11) of the concrete girder member. A hollow penetrated through the web is formed on the concrete girder member. The reinforcement member inserted in the concrete girder member comprises hollow reinforcing bars(21). The hollow reinforcing bar is arranged for covering the hollow.

Description

콘크리트 거더의 철근 구조체{Reinforcing bar Structure of Concrete Girder}Reinforcing bar Structure of Concrete Girder}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거더의 철근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복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경우 중공부 주위의 인장 응력과 압축 응력에 대한 강성을 증가시키도록 발명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ing structure of a concrete girder, and more particularly, to increase the stiffness against tensile and compressive stresses around the hollow part when the hollow part is formed in the abdomen.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거더는 간격을 두고 지면에 쌍으로 세워진 기둥의 상부에 양 단이 올려져 설치되는 보로, 교량의 슬라브 또는 건축물 바닥 또는 천장을 지지하는 지지 보로 주로 사용된다.In general, concrete girders are beams installed at both ends of a pair of pillars erected on the ground at intervals, and are mainly used as supporting beams for supporting slabs of bridges or building floors or ceilings.

상기 콘크리트 거더는 통상 복부의 상, 하부에 플랜지부가 구비된 I형 또는 H형, 벌브 T형으로 형성되는데, 주로 상부 측에서 하중을 받아 지지하는 구조로, 하중을 받는 상부 플랜지 측으로 압축력이 발생하고, 하부 플랜지 측으로 상기 압축력에 대응되는 인장력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The concrete girder is usually formed of I-type or H-type, bulb T-shape with a flange on the upper and lower abdomen, and is mainly structured to support the load from the upper side, the compressive force is generated to the load side of the upper flange To the lower flange side, a tensile force corresponding to the compressive force is generated.

콘크리트 거더는 교량 또는 건축, 토목 구조물에서 사용될 경우 하부 플랜지 측에 발생하는 인장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Concrete girder is a problem that is easily broken by the tension generated in the lower flange side when used in bridges, construction,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상기 콘크리트 거더의 내부에는 압축력이 강한 대신 인장력에 취약한 콘크리 트에서 인장력을 보강하기 위해 철근이 삽입되는데, 통상 균열되는 방향에 대응되게 경사진 경사 철근을 복부에 간격을 두고 복수로 삽입하여 보강하고 있다.Reinforcement is inserted in the concrete girder to reinforce the tensile force in the concrete which is weak in tensile force instead of strong compressive force, and is inclined to reinforce a plurality of inclined rebars at intervals in the abdomen to correspond to the crack direction. .

그러나 근래에 들어 구조물의 다양한 설계 변경으로 복부에 중공부가 뚫려 형성된 콘크리트 거더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이렇게 복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경우 상기 경사 철근만으로는 중공부를 보강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However, in recent years, the use of a concrete girder formed by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in the abdomen due to various design changes of the structure, it was difficult to reinforce the hollow part only by the inclined reinforcement when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in the abdomen.

이는 중공부의 경우 중공부의 내주면에서 어느 방향으로 균열이 발생할지 예측할 수가 없고 내주면에서 방사상으로 균열이 발생하게 되므로, 인장력이 취약한 부분을 어느 한 방향으로 특정할 수 없기 때문인 것이다. This is because in the hollow part, it is impossible to predict in which direction the crack will occur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part and radial cracks will occur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weak part of the tensile force cannot be specified in either direction.

본 발명의 목적은 복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콘크리트 거더에서 중공부의 주위의 강성을 효율적으로 보강하여 콘크리트 거더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콘크리트 거더의 철근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inforcing structure of a concrete girder to increase the stiffness of the concrete girder by efficiently reinforcing the stiffness around the hollow in the concrete girder formed hollow portion in the abdomen.

이러한 본 발명의 과제는 복부의 양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단부에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복부에 관통된 중공부가 형성된 콘크리트 거더부재와;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crete girder member having a flange portion formed on at least one of both ends of the abdomen, the hollow portion penetrated through the abdomen;

상기 콘크리트 거더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철근부재를 포함하며, Reinforc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concrete girder member,

상기 철근 부재는 콘크리트 거더부재의 복부 내에서 중공부의 둘레를 감싸게 배치되는 중공 보강 철근부를 포함한 콘크리트 거더의 철근 구조체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되는 것이다.The reinforcing member is solved by providing a reinforcing structure of the concrete girder including a hollow reinforcing reinforcement disposed to wrap around the hollow part in the abdomen of the concrete girder member.

본 발명은 철근을 복부 내에서 중공부를 감싸 보강함으로써 중공부의 주위에서 발생하는 인장 응력과 압축 응력에 효율적으로 대응하여 인장 응력과 압축 응력에 의해 중공부에서 방사상으로 발생하는 균열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bar reinforces the hollow part in the abdomen to effectively cope with the tensile stress and the compressive stress generated around the hollow part, thereby preventing the radial cracking caused by the tensile stress and the compressive stress. There is.

또한 본 발명은 철근의 소모량을 증대시키기 않고 중공부를 보강하여 비용 증대없이 효율적인 보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abling the efficient reinforcement without increasing the cost by reinforcing the hollow portion without increasing the consumption of the reinforcing ba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복수의 수평 철근 및 수직 철근 및 중공 보강 철근부를 포함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1 is a side view showing the basic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horizontal and vertical reinforcing bars and hollow reinforcing bars.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복수의 수평 철근 및 수직 철근 및 복수의 철근으로 분할된 중공 보강 철근부를 포함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2 to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horizontal and vertical reinforcing bars and hollow reinforcing bar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콘크리트 거더부재의 측면도로서, 중공부가 형성된 콘크리트 거더부재의 복부 및 플랜지부로 본 발명의 중공 보강 철근부와, 경사 철근부, 반원 철근부를 조합하여 배열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5 is a side view of the concrete girder member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low reinforc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abdomen and the flange portion of the concrete girder member with a hollow portion arranged in combination with the inclined reinforcement, semi-circular reinforcement An example is shown.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철근부재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도 6은 중공 보강 철근부를 나타내고 있고, 도 7은 경사 철근부를 나타내고 있고, 도 8은 반원 철근부를 나타내고 있다.6 to 8 are front views showing the reinforc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shows a hollow reinforcing bar portion, FIG. 7 shows an inclined bar portion, and FIG. 8 shows a semi-circular bar portion.

도 9는 도 5의 A-A'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5의 B-B'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5, an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 of FIG. 5.

이하,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콘크리트 거더부재(10)는 복부(11)의 양 단부에 플랜지부(12)가 구비되는 I형 또는 H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이외에 복부(11)의 어느 한 단부에만 플랜지부(12)가 형성된 벌브 T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복부(11)를 가지는 공지의 어떠한 거더 형상도 본 발명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Hereinafter, as shown in FIG. 1, the concrete girder member 10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formed based on an I-type or H-type having flange portions 12 at both ends of the abdomen 11. In addition, it may be formed in the bulb T-shape in which the flange portion 12 is formed at only one end of the abdomen 11, and any known girder shape having the abdomen 11 i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 거더부재(10)의 복부(11)에는 양 측면을 관통하는 중 공부(13)가 형성되는데, 원형의 중공부(13)가 형성되는 것을 예로 설명함을 밝혀둔다.And the abdomen 11 of the concrete girder member 10, the study 13 is formed to penetrate both sides,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circular hollow portion 13 is formed as an example.

또 상기 콘크리트 거더부재(10)는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내부에 프리스트레스 강선이 통과되는 쉬스관(2)이 매립되고, 양 단부에 쉬스관(2)을 통과한 프리스트레스 강선이 정착되는 정착구(1)가 장착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concrete girder member 10 is not shown in detail, the sheath pipe 2 through which the prestressed steel wire passes is buried inside, and the anchorage 1 through which the prestressed steel wire passed through the sheath pipe 2 is fixed at both ends. May be mounted.

복부(11)에 중공부(13)가 형성된 콘크리트 거더부재(10)는 콘크리트의 강성을 보강하는 철근부재(20)가 매설되며, 상기 철근부재(20)는 중공부(13)의 내주면 둘레를 이격되게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중공 보강 철근부(21)를 포함한다.The concrete girder member 10 having the hollow portion 13 formed on the abdomen 11 is embedded with a reinforcing member 20 for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concrete, and the reinforcing member 20 is formed arou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portion 13. It includes a hollow reinforcing reinforcing bar portion 21 formed in a form that is spaced apart.

중공 보강 철근부(21)는 중공부(13)의 주위를 감싸 중공부(13) 주위의 인장 응력 및 압축 응력에 대한 강성을 보강하는 것이다.The hollow reinforcing bars 21 wrap around the hollow 13 to reinforce the rigidity against the tensile stress and the compressive stress around the hollow 13.

한편, 상기 철근부재(20)는 콘크리트 거더부재(10)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 철근(20a) 및 상기 수평 철근(20a)에 수직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수직 철근(20b), 중공 보강 철근부(21)를 포함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reinforcing member 20 is a plurality of horizontal rebars 20a disposed in parall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crete girder member 10 and a plurality of vertical rebars 20b disposed to b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the horizontal rebar 20a ), And the hollow reinforcing reinforcing bar 21 is based on.

상기 중공 보강 철근부(21)는 양 단부가 이격된 일체의 링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이격된 양 단부를 고리 형상으로 굴곡 형성할 수도 있다.The hollow reinforcing reinforcing bar 21 is formed to have an integral ring shape in which both ends are spaced apart, and both ends spaced apart may be bent in a ring shape.

양 단부에 굴곡 형성된 고리는 중공 보강 철근부(21)와 콘크리트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중공 보강 철근부(21)의 양 단부 사이에서의 강성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다.Rings bent at both ends increase the bonding force of the hollow reinforcing bar 21 and the concrete to prevent a decrease in rigidity between both ends of the hollow reinforcing bar 21.

상기 중공 보강 철근부(21)는 이격된 양 단부 사이가 상기 수평 철근(20a) 또는 수직 철근(20b)에 의해 커버되도록 배치되어 콘크리트 거더부재(10)의 중공부(13) 둘레를 이어진 형태로 감싸 보강하는 것이다. The hollow reinforcing reinforcing bar 21 is disposed so as to be covered by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20a) or vertical reinforcing bar (20b) between the two ends spaced apart in the form of continuing around the hollow 13 of the concrete girder member (10) It is wrapped and reinforced.

또 상기 중공 보강 철근부(21)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굴곡된 복수의 철근을 조합하여 중공부(13)를 감싸도록 배열한 것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hollow reinforcing reinforcing bar 21 includes a plurality of bent reinforcing bar as shown in Figures 2 to 4 arranged to surround the hollow portion (13).

상기 복수의 철근은 각 단부가 고리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어 중공 보강 철근부(21)와 콘크리트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고, 복수의 철근이 이격되게 배열되면서 형성된 각 단부 사이의 강성을 보강한다.Each of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is formed to be bent in an annular shape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hollow reinforcing reinforcing bar 21 and concrete, and reinforces the rigidity between each end formed while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are arranged apart.

특히, 상기 복수의 철근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중공부(13) 사이에 설치되며 양 측이 서로 대향되게 경사져 어느 한 측이 한 중공부(13)의 상부 일측을 감싸고 다른 한 측이 다른 한 중공부(13)의 상부 일측을 감싸는 제 1 철근(21a)과;In particular,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bar is installed between the two hollow portions 13 as shown in Figure 2 and both sides are inclined to face each other so that one side surrounds the upper one side of one hollow portion 13 and the other side A first reinforcing bar 21a surrounding the upper one side of the other hollow part 13;

양 측이 서로 대향되게 경사져 경사진 양 측이 상기 제 1 철근(21a)의 양 측에 엇갈리면서 어느 한 중공부(13)의 하부 둘레를 감싸는 제 2 철근(21b)을 포함한다.Both sides are inclined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both sides inclined include a second reinforcing bar (21b) surrounding the lower circumference of any one hollow portion 13 while staggering on both sides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21a).

상기 제 1 철근(21a) 및 제 2 철근(21b)은 복수의 중공부(13)가 간격을 두고 형성된 콘크리트 거더부재(10)에서 중공부(13) 주위를 감싸는 중공 보강 철근부(21)의 조립 단계를 최소화하는 형태이며, 제 1 철근(21a)이 두개의 중공부(13) 사이를 가로 질러 설치므로 중공부(13) 사이의 강성도 일부 보강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The first reinforcing bar (21a)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21b) of the hollow reinforcing reinforcing bar (21) surrounding the hollow part 13 in the concrete girder member (10)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low parts 13 at intervals It is a form that minimizes the assembly step, since the first reinforcing bar (21a) is installed across the two hollow portion 13, there is an effect of reinforcing some of the rigidity between the hollow portion (13).

또한 상기 중공 보강 철근부(21)는 중공부(13)에 프리스트레스 강선이 정착 되는 정착구(1)가 장착되는 경우 정착구(1) 및 정착구(1)에 연결되는 쉬스관(2)이 통과될 수 있는 간격을 형성하도록 도 3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복수의 철근을 사용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 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hollow reinforcing bar 21 may pass through the sheath tube 2 connected to the fixing unit 1 and the fixing unit 1 when the fixing unit 1 in which the prestressed steel wire is fixed to the hollow portion 13 may be passed. 3 to 4 can be variously modified us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to form a gap.

상기 쉬스관(2)은 프리스트레스 강선이 통과되도록 콘크리트 거더부재(10) 내에 매설되는 것으로 공지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The sheath pipe (2) is buried in the concrete girder member (10) so that the prestressed steel wire passes through it is known that mor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의 철근으로 분할된 중공 보강 철근부(21)는 이격되게 배치되는 각 철근 단부 사이가 상기 수평 철근(20a) 또는 수직 철근(20b)에 의해 커버되도록 배치되어 콘크리트 거더부재(10)의 중공부(13) 둘레를 이어진 형태로 감싸 보강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hollow reinforcing steel bars 21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are disposed so as to be covered by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s 20a or the vertical reinforcing bars 20b between each of the reinforcing bar ends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hollow portion 13 of the periphery is to wrap and reinforce in a continuous form.

상기 중공 보강 철근부(21)는 도 5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철근으로 이어진 일체의 링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이때 상기 링형태는 정육각형으로 형성되어 장착을 용이하게 하고 원형 중공부(13)의 외측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감싸 균일하게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hollow reinforcing reinforcing bar 21 is basically formed to have an integral ring shape leading to one reinforcing bar as shown in FIGS. 5 to 8, wherein the ring shape is formed in a regular hexagon to facilitate mounting. And it is preferable to be able to reinforce the uniformly wrapped around the outside of the circular hollow 13 at regular intervals.

또 상기 철근부재(20)는 상기 중공부(13) 사이에 매설되어 콘크리트 거더부재(10)의 본체 강성을 보강하는 제 1 본체 보강 철근부(22)와, 상기 중공부(13)와 콘크리트 거더부재(10)의 단부 사이에 매설되어 콘크리트 거더부재(10)의 강성을 보강하는 제 2 본체 보강 철근부(23)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reinforcing member 20 is embedded between the hollow portion 13, the first body reinforcing reinforcing portion 22 to reinforce the body rigidity of the concrete girder member 10, and the hollow portion 13 and the concrete girder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body reinforcing reinforcing bar 23 is embedded between the ends of the member 10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concrete girder member 10.

상기 제 1 본체 보강 철근부(22)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평행한 양 단부 사이에 기울어지게 경사진 경사 철근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 철근을 중공부(13)의 사이에서 서로 엇갈리게 복수로 배열한 것이다.As shown in FIG. 7, the first body reinforcing bar portion 22 includes inclined rebars that are inclined to be inclined between two parallel ends, and the plurality of inclined rebars are alternately disposed between the hollow portions 13. It is arranged.

상기 경사 철근은 서로 엇갈려 X자 형태로 배열됨으로써 중공부(13)의 주변을 강성, 즉, 압축 응력이나, 인장 응력을 균일하게 증대시키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중공부(13) 사이에서의 콘크리트 거더부재(10)의 강성을 균일하게 보강하는 것이다.The inclined rebars are alternately arranged in an X-shape so that the periphery of the hollow part 13 is uniformly increased, that is, a role of uniformly increasing compressive stress or tensile stress, and at the same time, concrete girder between the hollow parts 13. The rigidity of the member 10 is uniformly reinforced.

또한 상기 제 2 본체 보강 철근부(23)는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측이 개방되게 양 단부가 이격되어 중공 보강 철근부(21)의 일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된 단부 보강 철근을 포함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second body reinforcing reinforcement part 23 includes end reinforcing bars formed to surround one portion of the hollow reinforcing reinforcement part 21 so that both ends thereof are spaced apart so that one side is opened.

상기 단부 보강 철근은 상기 중공부(13)와 콘크리트 거더부재(10)의 단부 사이에 매설되어 콘크리트 거더부재(10)의 단부 측에서 상기 경사 철근에 의해 감싸지지 않는 중공부(13)의 주변을 감싸 중공부(13) 주변의 강성, 즉, 압축 응력이나, 인장 응력을 균일하게 증대시키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중공부(13)와 콘크리트 거더부재(10)의 단부 사이에서의 콘크리트 거더부재(10)의 강성을 균일하게 보강하는 것이다.The end reinforcing bar is embedded between the hollow part 13 and the end of the concrete girder member 10 so as to surround the hollow part 13 that is not wrapped by the inclined rebar at the end side of the concrete girder member 10. The concrete girder member 10 between the hollow portion 13 and the end of the concrete girder member 10 while serving to uniformly increase the rigidity around the hollow portion 13, that is, compressive stress or tensile stress. It is to reinforce uniformity of stiffness uniformly.

한편, 도 9 내지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거더부재(10)의 내부에는 철근부재(20)를 배열하기 위한 스터럽(30)이 구비되며, 스터럽(30)은 콘크리트 거더부재(10)의 강성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철근량 계산에서는 제외되는 구조물로 공지의 것으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9 to 10 inside the concrete girder member 10 is provided with a stub 30 for arranging the reinforcing member 20, the stirrup 30 of the concrete girder member 10 Since it does not affect the stiffness, it is known that the structure is excluded from the calculation of the reinforcing bar,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일단 스터럽(30)에는 콘크리트 거더부재(10)의 상, 하부에 구비된 플랜지부(12)의 위치로 배열되는 직선형 철근부 및 중공부(13) 사이에 서로 엇갈리게 배열되는 복수의 경사 철근, 콘크리트 거더부재(10)의 양 단부 측에 배열되는 단부 보강 철근이 고정되어 지지되는 것이다.Once in the stub 30, a plurality of inclined rebar, concrete arranged between the straight reinforcing bar portion and the hollow portion 13 arranged in the position of the flange portion 12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concrete girder member 10, concrete End reinforcing bars arranged on both end sides of the girder member 10 are fixedly supported.

또 중공 보강 철근부(21)는 스터럽(30)에 고정되어 지지된 경사 철근에 고정시킴으로써 중공부(13)의 둘레를 감싸도록 위치되어 배열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hollow reinforcing reinforcing bar 21 is positioned and arranged to surround the hollow part 13 by fixing to the inclined rebar fixed to and supported by the stub 30.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understood to be included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1 is a side view showing the basic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개략도2 to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콘크리트 거더부재의 측면도Figure 5 is a side view of a concrete girder member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철근부재를 도시한 정면도6 to 8 is a front view showing a reinforc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5의 A-A'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5 의 B-B'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5, an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 of FIG. 5.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jor symbols in the drawings *

10 : 콘크리트 거더부재 11 : 복부10 concrete girder member 11 abdomen

12 : 플랜지부 13 : 중공부12 flange portion 13 hollow portion

20 : 철근부재 21 : 중공 철근 보강부20: rebar member 21: hollow reinforcing bars

22 : 제 1 본체 보강 철근부 23 : 제 2 본체 보강 철근부22: first body rebar portion 23: second body rebar portion

Claims (9)

복부의 양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단부에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복부에 관통된 중공부가 형성된 콘크리트 거더부재와;A concrete girder member having a flange portion formed at at least one end of both ends of the abdomen and a hollow portion penetrating the abdomen; 상기 콘크리트 거더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철근부재를 포함하며, Reinforc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concrete girder member, 상기 철근 부재는 콘크리트 거더부재의 복부 내에서 중공부의 둘레를 감싸게 배치되는 중공 보강 철근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더의 철근 구조체.The rebar member is a reinforcing structure of a concrete gird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ollow reinforcing reinforcement portion disposed to wrap around the hollow portion in the abdomen of the concrete girder member.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중공 보강 철근부는 하나의 철근으로 이어진 일체의 링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더의 철근 구조체.The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concrete gir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low reinforcing reinforcement portion is formed to have an integral ring shape leading to one reinforcing bar.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중공 보강 철근부는 굴곡된 복수의 철근을 조합하여 중공부를 감싸도록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더의 철근 구조체.The reinforcing steel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concrete girder,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to surround the hollow by combining a plurality of bent reinforcing bars. 청구항 3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복수의 철근은 두 개의 중공부 사이에 설치되며 양 측이 서로 대향되게 경사져 어느 한 측이 한 중공부의 상부 일측을 감싸고 다른 한 측이 다른 한 중공 부의 상부 일측을 감싸는 제 1 철근과;The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are installed between the two hollow parts and both sides are inclined to face each other so that one side wraps the upper one side of one hollow portion and the other side wraps the upper one side of the other hollow portion; 양 측이 서로 대향되게 경사져 경사진 양 측이 상기 제 1 철근의 양 측에 엇갈리면서 어느 한 중공부의 하부 둘레를 감싸는 제 2 철근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더의 철근 구조체.Reinforcing structure of a concrete girder, characterized in that both sides are inclined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the second side is inclin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to surround the lower periphery of any one hollow part.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상기 중공 보강 철근부의 철근은 양 단부가 굴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더의 철근 구조체.Reinforcing bar of the concrete reinforcement of the reinforcement of the reinforcing reinforcing steel reinforcement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are curved.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상기 중공 보강 철근부의 철근은 양 단부가 고리 형상으로 굴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더의 철근 구조체.Reinforcing bar of the hollow reinforcing reinforcing steel reinforcement of the concrete girder,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are curved in a ring shape.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철근부재는 상기 중공부 사이에 매설되어 상기 콘크리트 거더부재의 강성을 보강하는 제 1 본체 보강 철근부와, The reinforcing member is buried between the hollow portion and the first body reinforcing reinforcing bars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concrete girder member; 상기 중공부와 콘크리트 거더부재의 단부 사이에 매설되어 콘크리트 거더부재의 강성을 보강하는 제 2 본체 보강 철근부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더의 철근 구조체.Reinforcing structure of the concrete girder further comprising a second body reinforcing reinforcement portion embedded between the hollow portion and the end of the concrete girder member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concrete girder member. 청구항 7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상기 제 1 본체 보강 철근부는 평행한 양 단부 사이에 기울어지게 경사진 경사 철근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 철근을 중공부의 사이에서 서로 엇갈리게 복수로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더의 철근 구조체.The first body reinforcing bar portion includes a reinforcing bar inclined to be inclined between both parallel ends, the reinforcing bar structure of the concrete gir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the inclined rebars arranged alternately between the hollow portion. 청구항 7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상기 제 2 본체 보강 철근부는 일 측이 개방되게 양 단부가 이격되어 중공 보강 철근부의 일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된 단부 보강 철근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더의 철근 구조체.Reinforcing structure of the concrete gir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body reinforcing reinforcement portion includes an end reinforcement reinforcement formed to surround one portion of the hollow reinforcement reinforcement spaced apart from both ends so that one side is open.
KR1020090048961A 2008-06-04 2009-06-03 concrete girder structure KR10117619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600 2008-06-04
KR20080052600 2008-06-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7078A true KR20090127078A (en) 2009-12-09
KR101176197B1 KR101176197B1 (en) 2012-08-22

Family

ID=41688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961A KR101176197B1 (en) 2008-06-04 2009-06-03 concrete girder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619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55877A (en) * 2020-04-03 2020-07-28 商丘市豫东公路勘察设计有限公司 Clamping and reinforcing method for assembled concrete hole hollow slab bridge
WO2021083299A1 (en) * 2019-10-30 2021-05-06 长安大学 Method for shear-resistant reinforcement of oblique section of wide hollowcore slab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043B1 (en) 2021-12-08 2022-05-19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Mold system for hollow gieder and concrete girder moulded by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222Y1 (en) 2000-01-12 2000-06-15 명화물산주식회사 Deck plat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3299A1 (en) * 2019-10-30 2021-05-06 长安大学 Method for shear-resistant reinforcement of oblique section of wide hollowcore slab
CN111455877A (en) * 2020-04-03 2020-07-28 商丘市豫东公路勘察设计有限公司 Clamping and reinforcing method for assembled concrete hole hollow slab bridge
CN111455877B (en) * 2020-04-03 2021-02-05 商丘市豫东公路勘察设计有限公司 Clamping and reinforcing method for assembled concrete hole hollow slab brid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6197B1 (en) 201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7326B1 (en) Fire-proofing method for composite slab using the same
KR100943823B1 (en) Girder compounded with the concrete and steel
KR101112195B1 (en) Steel-concrete composite crossbeam having wire mesh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198812B1 (en) composite rahmen bridge using a preflex girder
JP5607892B2 (en) Reinforcement method for reinforced concrete column beam joints
KR101176197B1 (en) concrete girder structure
KR100952931B1 (en) Shear force reinforcing apparatus of concrete filled steel tube column-reinforced concrete flat slab joint
KR20090126493A (en) Precast concrete girder
KR101340625B1 (en) Reinforcing device of steel pole
KR100952930B1 (en) Shear force reinforcing apparatus of concrete filled steel tube column-reinforced concrete flat slab joint
KR101044730B1 (en) Beam having steel bar structure for reinforcing shearing force and upper tensile force, and providing space for passing through of plumbing, electric wire or communication wire etc
KR101067717B1 (en) Process for producing prestressed concrete girder and concrete girder structure
KR101807234B1 (en) Apparatus for introducing compressive force in slab of a bridg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bridge having the same
KR101067845B1 (en) Beam having the weight reduction unit for reducing weight
KR20170043687A (en) Apparatus for introducing compressive force in slab of a bridg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bridge having the same
KR101100694B1 (en) Cantilever for construction of bridge deck integrated with outer girder
KR101725734B1 (en) Steel-Concrete Composite Gird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190424B1 (en) Pile head modular reinforcement apparatus and the reinforcement method of pile cap and footing using the same
KR101540729B1 (en) Composite slab using wire-rope
KR20130140336A (en) Prestress concrete bridge and building method thereof
JP2003003603A (en) Precast concrete beam
KR101177316B1 (en) Shear reinforcement device for junctional region of column-slab
KR20150033221A (en) Prestressed Concrete Girder
JP6180775B2 (en) Steel pipe / concrete composite structure pier
KR101044469B1 (en) Combined projection beam and prestressed concrete gir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