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7049A - 영상 전화 시스템에서의 초기 영상 화질 개선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전화 시스템에서의 초기 영상 화질 개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7049A
KR20090127049A KR1020090032625A KR20090032625A KR20090127049A KR 20090127049 A KR20090127049 A KR 20090127049A KR 1020090032625 A KR1020090032625 A KR 1020090032625A KR 20090032625 A KR20090032625 A KR 20090032625A KR 20090127049 A KR20090127049 A KR 20090127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eriod
intra frame
video
calle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US12/477,556 priority Critical patent/US20090303309A1/en
Publication of KR20090127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70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04N19/159Prediction type, e.g. intra-frame, inter-frame or bidirectional frame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전화 시스템에서의 초기 영상 화질 개선 방법은 발신 단말에서, 인트라 프레임을 제1 주기로 생성하여 착신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발신 단말에서, 상기 착신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경우, 상기 인트라 프레임을 제2 주기로 생성하여 상기 착신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영상 전화, 화질 개선, 인트라 프레임, 인터 프레임, 주기

Description

영상 전화 시스템에서의 초기 영상 화질 개선 방법{METHOD FOR IMPROVING VIDEO QUALITY OF EARLY STAGE IN VEDIO TELEPHONY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영상 전화 시스템에서 초기 영상 화질을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전자,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무선 통신망(Wireless Network)을 이용한 다양한 무선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가장 기본적인 무선 통신 서비스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들 사이에서 무선으로 음성 통화를 제공하는 무선 음성 통화 서비스이다.
나아가, 최근에는 장소의 제약 없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이동하는 중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대두되었다. 따라서, 이동 통신 서비스의 가입자들은 무선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든지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통하여 생활에 필요한 정보, 예컨대, 뉴스, 날씨, 스포츠, 증권, 환율, 교통 정보 등을 문자, 음성, 이미지(Image) 등의 각종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다.
영상 전화 시스템은 이러한 무선 음성 통화 서비스 기능 및 무선 인터넷 서비스 기능 등을 탑재한 시스템을 가리키며, 이동 통신 단말기 내에 설치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영상 전화 시스템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영상 전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1번 화살표는 인트라 프레임(Intra Frame)을 가리키고, 2번 화살표는 인터 프레임(Inter Frame)을 가리킨다. 참고로, 상기 인트라 프레임은 프레임 내 부호화 영상 프레임을 의미하고, 상기 인터 프레임은 프레임 간 예측 부호화 영상을 의미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영상 전화 시스템은 서로 다른 영상 전화 접속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단말 A(310)와 단말 B(330) 간에 영상 전화를 시도하는 경우, 단말 A(310)와 단말 B(330) 사이에 위치하는 프로토콜 게이트웨이(320)를 경유하여 영상호 접속을 하게 된다.
그런데, 이 경우 발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기(단말 A(310))는 게이트웨이(320)를 상대방 단말(단말 B(330))로 인식하고,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기(단말 B(330))도 중간에 있는 게이트웨이(320)를 상대방 단말(단말 A(310))로 인식하게 되며, 이에 따라 단말 A(310) 및 단말 B(330)는 각각 별개로 두 개의 서로 다른 영상 전화 프로토콜을 통하여 두 개의 영상호를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영상 전화 시스템에서는, 두 개의 영상호의 접속 시점이 달라 서로 동시에 영상 데이터 전송 채널이 열리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영상 전화 초기에 단말 A(310)로부터 전송되는 인트라 프레임(Intra Frame: 프레임 내 부호화 영상) 영상 압축 데이터가 게이트웨이(320)를 거치면서 단말 B(330)에 도착하지 못하여 중간에 유실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인트라 프레임 영상 압축 데이터가 게이트웨이(320)를 거치면서 유실되는 경우, 상대 측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는 다음 인트라 프레임을 받을 때까지 인터 프레임(Inter Frame: 프레임 간 예측 부호화 영상)만으로 영상 복원을 시도하게 되며, 이렇게 복원된 영상은 영상 열화가 심하게 된다. 또한, 이를 방지하고자 지속적으로 인트라 프레임을 보내게 되는 경우, 제한된 전송 채널에서 데이터 량이 증가하거나 과도한 인트라 프레임 생성으로 인한 영상 열화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인트라 프레임의 전송 주기를 적절한 시점에 조절함으로써, 영상 전화 연결 초기에 착신 단말에서의 영상 열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영상 화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전화 시스템에서의 초기 영상 화질 개선 방법은 발신 단말에서, 인트라 프레임을 제1 주기로 생성하여 착신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발신 단말에서, 상기 착신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경우, 상기 인트라 프레임을 제2 주기로 생성하여 상기 착신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 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인트라 프레임의 전송 주기를 적절한 시점에 조절함으로써, 단말 간의 데이터 전송 가능 시점이 상이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인트라 프레임의 유실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영상 전화 연결 초기에 인트라 프레임의 유실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영상 열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영상 전화 연결 초기의 영상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에 앞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을 정리한다.
인트라 프레임(intra frame)은 다른 이미지를 참조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해독이 가능한 독립형 프레임이다. 따라서, 상기 인트라 프레임은 상당히 많은 비트를 소모할 수 있다. 비디오 순서열에 있는 첫 번째 프레임은 항상 상기 인트라 프레임이다. 상기 인트라 프레임은 새로운 뷰어를 위해 혹은 전송된 비트 스트림이 손상된 경우 재동기화 지점의 시작점으로서 필요하다. 상기 인트라 프레임은 빨리 감기, 되감기 및 기타 무작위 재생 기능을 구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인터 프레임(inter frame)은 프레임 사이의 예측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전의 I-프레임 및/또는 P-프레임을 참조하여 프레임을 부호화한다. 즉, 인터 프레임 은 하나의 키(key)가 되는 프레임(인터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먼저 저장하고, 나머지 뒤에 나오는 프레임은 상기 키가 되는 프레임과 다른 점만을 저장하는 방식으로 정보를 압축한다. 따라서, 상기 인터 프레임은 상기 인트라 프레임보다 높은 압축률을 가진다.
단말 A는 상기 인트라 프레임 및 상기 인터 프레임 등을 전송하는 발신 단말로서, H.323,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등과 같은 패킷 스위칭(packet switching) 기반의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단말 B는 상기 발신 단말이 전송하는 상기 인트라 프레임 및 상기 인터 프레임 등을 수신하는 착신 단말로서, 상기 발신 단말과 다른 영상 전화 통신 프로토콜, 즉 H.324, H.324M, 3G-324M 등과 같은 서킷 스위칭(circuit switching) 기반의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게이트웨이는 서로 다른 통신망, 예를 들어 서킷 스위칭 망(circuit switching network)과 패킷 스위칭 망(packet switching network)을 사용하는 단말들(단말 A와 단말 B)의 연결을 지원하기 위해, 프로토콜을 변환하거나, 필요한 경우 영상 코덱을 트랜스코딩(Transcoding) 하는 장비를 가리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전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이다. 여기서, 1번 화살표는 인트라 프레임(Intra Frame)을 가리키고, 2번 화살표는 인터 프레임(Inter Frame)을 가리킨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 A(110)는 단말 B(130)와 영상 전화를 시도하기 위하 여, 먼저 단말 A(110)와 단말 B(130)의 중간에 위치하는 게이트웨이(120)에 영상호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단말 A(110)는 단말 B(130)와의 영상 접속이 이루어지면, 게이트웨이(120)와의 전송 채널 설정을 시도한다. 그리고, 단말 A(110)는 게이트웨이(120)와의 전송 채널 설정이 이루어져 게이트웨이(120)와 영상 전송이 가능해지면, 인트라 프레임을 전송한다.
이때, 상기 인트라 프레임은 단말 B(130)에서 디코딩(decoding) 시, 압축 영상 데이터의 초기 화질 열화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단말 A(100)는 상기 인트라 프레임을 짧은 주기(제1 주기, 예: 2 프레임마다 1번씩)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게이트웨이(120)는 단말 A(110)와 게이트웨이(120) 간의 전송 채널 설정에 연동하여, 단말 B(130)에 영상호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단말 B(130)는 게이트웨이(120)와의 영상호 접속이 이루어지면, 게이트웨이(120)와의 전송 채널 설정을 시도할 수 있다.
이때, 단말 B(130)와 게이트웨이(120) 간의 전송 채널 설정이 이루어져 영상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지면, 단말 A(110)는 상기 인트라 프레임의 생성 주기를 적절한 값(제2 주기, 예: 20 프레임마다 1번씩)으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값으로 상기 인트라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즉, 단말 A(110)는 단말 B(130)와 영상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전송 가능 시점 전에는 짧은 주기로 상기 인트라 프레임을 전송하는 반 면, 상기 전송 가능 시점 후에는 보다 빠른 주기로 상기 인트라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 B(130)는 상기 전송 가능 시점 이후에 단말 A(110)로부터 수신한 인트라 프레임을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영상 전화 연결 초기에 발생하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열화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전화 시스템은 단말 A(110)와 단말 B(130) 간의 영상 데이터 전송 가능 시점 전후에, 상기 인트라 프레임의 생성 주기를 달리 조절할 수 있다(예컨대, 영상 전송 가능 시점 전: 2 프레임마다 1번씩, 영상 전송 가능 시점 후: 20 프레임마다 1번씩).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영상 전화 연결 시 초기 영상 데이터의 손실로 인해, 단말 B(130)의 영상 디코더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제대로 복원하지 못하여 일어나는, 심각한 영상 열화 현상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전화 시스템에서의 초기 영상 화질 개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단계(S210)에서 단말 A(110)는 게이트웨이(120)를 통해 단말 B(130)와의 영상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 A(110)는 호 설정(call setup) 과정을 통해 게이트웨이(120)와 데이터 전송 채널이 확립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데이터 전송 채널이 확립된 경우, 단말 A(110)는 게이트웨이(120)와의 영상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확인 결과 상 기 데이터 전송 채널이 확립되지 않은 경우, 단말 A(110)는 게이트웨이(120)와의 영상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영상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경우(S210의 "예" 방향), 단계(S220)에서 단말 A(110)는 인트라 프레임을 제1 주기로 생성하여 단말 B(13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주기는 상기 인트라 프레임의 생성 주기로서, 후술하는 제2 주기보다 더 짧을 수 있으며, 또 달리 일반적인 인트라 프레임의 생성 주기보다 더 짧을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단말 A(110)는 상기 제1 주기를 상기 제2 주기보다 더 짧게 생성하여 단말 B(130)에 전송할 수 있으며, 또 달리 상기 제1 주기를 일반적인 인프라 프레임의 생성 주기보다 더 짧게 생성하여 단말 B(13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 A(110)는 상기 인트라 프레임의 생성 주기를 '2 프레임마다 1번씩'으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생성 주기에 따라 상기 인트라 프레임을 '2 프레임마다 1번씩' 생성하여 단말 B(13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단말 A(110)는 상기 인트라 프레임과 인터 프레임을 번갈아서 단말 B(1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 A(110)는 게이트웨이(120)와의 영상 데이터 전송 가능 시점 이후에, 상기 인트라 프레임의 생성 주기를 짧게 설정함으로써, 보다 자주 상기 인트라 프레임을 단말 B(130)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영상 전화 통화 시 초기 단계에서 영상 데이터를 원래대로 잘 복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인트라 프레임의 손실로 인해 많이 발생하는, 착신 단말에서의 심각한 영상 열화를 개선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영상 데이터 전송이 불가능한 경우(S210의 "아니오" 방향), 단말 A(110)는 상기 영상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상태가 될 때가지 대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230)에서 단말 A(110)는 단말 B(130)와의 영상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단말 A(110)는 상기 인트라 프레임이 단말 B(130)에 의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 A(110)는 단말 A(110)와 단말 B(130) 간에 데이터 전송 채널이 확립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 A(110)는 단말 B(130)와의 데이터 전송 채널 설정과 관련한 메시지를, 게이트웨이(120)로부터 수신했는지 여부에 따라, 단말 A(110)와 단말 B(130) 간에 데이터 전송 채널이 확립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게이트웨이(gateway)가 존재하는 상황에서는 데이터 전송 채널의 확립 여부를 확실히 보장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말 A(110)는 상대방 단말인 단말 B(130)가 전송한 첫 번째 프레임을 수신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을 통해 데이터 전송 채널의 확립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단말 A(110)와 단말 B(130) 사이의 영상 전송 시점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즉, 단말 A(110)는 단말 B(130)로부터 첫 번째 프레임(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단말 B(130)와 영상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단말 A(110)는 단말 B(130)로부터 첫 번째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단 말 B(130)와 영상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지 않은 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전송 채널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 단말 A(110)는 상기 인트라 프레임이 단말 B(130)에 의해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전송 채널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단말 A(110)는 상기 인트라 프레임이 단말 B(130)에 의해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단말 A(110)와 단말 B(130) 간에 영상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경우(S230의 "예" 방향), 단계(S240)에서 단말 A(110)는 상기 인트라 프레임의 생성 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 즉, 단말 A(110)는 상기 인트라 프레임의 생성 주기를 상기 제1 주기에서 상기 제2 주기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주기는 상기 제1 주기보다 더 길 수 있으며, 또 달리 일반적인 인트라 프레임의 생성 주기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단말 A(110)는 상기 제2 주기를 상기 제1 주기보다 더 길게 생성하여 단말 B(130)에 전송할 수 있으며, 또 달리 상기 제2 주기를 일반적인 인프라 프레임의 생성 주기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생성하여 단말 B(130)에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 A(110)는 상기 인트라 프레임의 생성 주기를 '2프레임당 1회'에서 '20프레임당 1회'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 A(110)는 상기 변경된 생성 주기인 '20프레임당 1회'를, 상기 인트라 프레임의 새로운 생성 주기로서 설정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판단 결과, 단말 A(110)와 단말 B(130) 간에 영상 데이터 전송이 불가능한 경우(S230의 "아니오" 방향), 단말 A(110)는 단말 B(130)와의 영상 데이 터 전송이 가능할 때까지 단계(S220)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250)에서 단말 A(110)는 상기 변경된 생성 주기, 즉 상기 제2 주기로 상기 인트라 프레임을 단말 B(13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위의 예에서와 같은 경우, 단말 A(110)는 상기 인트라 프레임을 '20프레임당 1회'의 주기로 단말 B(13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 A(110)는 상기 인트라 프레임을 1프레임 전송한 후 상기 인터 프레임을 연이어 19회 전송하는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 A(110)는 단말 B(130)와의 영상 데이터 전송 가능 시, 상기 인트라 프레임의 생성 주기를 적절하게 변경시킴으로써, 영상 전화의 초기 단계(단말 B(130)와의 영상 데이터 전송 가능 시점 전)에서의 상기 인트라 프레임의 잦은 전송으로 인한 네트워크의 부하를, 상기 영상 데이터 전송 가능 시점 이후부터는 감소시킬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 A(110)는 영상 전화의 초기 단계에서 단말 B(130)에서 발생하는 영상 열화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 A(110)와 단말 B(130)의 영상 전화 프로토콜은 H.324 또는 이와 유사한 H.324M, 3G H.324M, 또는 H.323, SIP 등의 패킷망에서, 영상 전화를 포함하여 이후 새로이 개발되는 어떠한 프로토콜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게이트웨이를 사용하는 시스템뿐만 아니라 동일 프로토콜로 접속되는 경우에서도, 동일한 메커니즘을 적용하여 전송 계층에서의 데이터 유실로 인한 영상 열화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 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전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전화 시스템에서의 초기 영상 화질 개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영상 전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단말 A
120: 게이트웨이
130: 단말 B

Claims (8)

  1. 발신 단말에서, 인트라 프레임을 제1 주기로 생성하여 착신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 단말에서, 상기 착신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경우, 상기 인트라 프레임을 제2 주기로 생성하여 상기 착신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전화 시스템에서의 초기 영상 화질 개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트라 프레임을 제2 주기로 생성하여 상기 착신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인트라 프레임의 생성 주기를 상기 제1 주기에서, 상기 제1 주기와 상이한 상기 제2 주기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제2 주기로 상기 인트라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전화 시스템에서의 초기 영상 화질 개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기는,
    상기 제2 주기보다 짧은 영상 전화 시스템에서의 초기 영상 화질 개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트라 프레임을 제1 주기로 생성하여 착신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게이트웨이 간에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시점 이후에, 상기 인트라 프레임을 상기 제1 주기로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전화 시스템에서의 초기 영상 화질 개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에서, 상기 착신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 전화 시스템에서의 초기 영상 화질 개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첫 번째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착신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시점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전화 시스템에서의 초기 영상 화질 개선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은,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단말로 서,
    상기 발신 단말은,
    패킷 스위칭 기반의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상기 착신 단말은,
    서킷 스위칭 기반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영상 전화 시스템에서의 초기 영상 화질 개선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090032625A 2008-06-04 2009-04-15 영상 전화 시스템에서의 초기 영상 화질 개선 방법 KR200901270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477,556 US20090303309A1 (en) 2008-06-04 2009-06-03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video data in video telephon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632 2008-06-04
KR20080052632 2008-06-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7049A true KR20090127049A (ko) 2009-12-09

Family

ID=41688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625A KR20090127049A (ko) 2008-06-04 2009-04-15 영상 전화 시스템에서의 초기 영상 화질 개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704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9502B2 (en) Adaptive video telephone system
US7653251B2 (en) Method, apparatus, system, and program for switching image coded data
KR100844224B1 (ko) 영상 통신 에러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878391B1 (ko) 무선 ip 전화기
JP5528811B2 (ja) 効率的なメディアの扱いのための受信機の動作及び実装
TW201143445A (en) Controlling video encoding using audio information
JP2007533212A (ja) 時間スケーラビリティを可能にするハイブリッド映像圧縮におけるフレーム予測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WO2006111087A1 (en) H.264-based error eliminating method for compressed video transmission
JP2004507178A (ja) ビデオ信号符号化方法
JP3881157B2 (ja) 音声処理方法及び音声処理装置
WO2003067894A1 (en) Image co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image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KR20060111036A (ko) 약전계 상황을 고려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화상 통화서비스 제공 방법
WO2012000263A1 (zh) 一种片段头信息中量化参数的编解码方法和装置
US8339439B2 (en) Method of speeding up video recovery of videotelephony after an interruption and mobile terminal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0937060B1 (ko) 쌍방향 통신 방법과 장치,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
Schierl et al. 3GPP compliant adaptive wireless video streaming using H. 264/AVC
US20100027618A1 (en) Media transmitting/receiving method, media transmitting method, media receiving method, media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media transmitting apparatus, media receiving apparatus, gateway apparatus, and media server
US9313508B1 (en) Feeding intra-coded video frame after port reconfiguration in video telephony
KR20180031673A (ko) 영상 통화에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스위칭
US20060015799A1 (en) Proxy-based error tracking for real-time video transmission in mobile environments
EP2308215A1 (en) Thinning of packet-switched video data
US20090303309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video data in video telephony system
KR20090127049A (ko) 영상 전화 시스템에서의 초기 영상 화질 개선 방법
Liang et al. Low-latency streaming of pre-encoded video using channel-adaptive bitstream assembly
Lewcio et al. A method for seamless codec changeover during active video ca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