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6867A - Safety water cock valve for a water purifier - Google Patents
Safety water cock valve for a water purifi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126867A KR20090126867A KR1020080053201A KR20080053201A KR20090126867A KR 20090126867 A KR20090126867 A KR 20090126867A KR 1020080053201 A KR1020080053201 A KR 1020080053201A KR 20080053201 A KR20080053201 A KR 20080053201A KR 20090126867 A KR20090126867 A KR 200901268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safety
- rod
- water purifier
- lift b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5—Safety means, e.g. over-pressure val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17C2205/0332—Safety valves or pressure relief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정수기용 안전 코크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취수 레버와 취수 버튼(110)을 동시에 작동시켜야만 온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정수기용 안전 코크밸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coke valve for a water pur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fety coke valve for a water purifier to implement hot water can be taken only when the water intake lever and the
일반적으로 냉온 정수기에는 정수된 물을 냉수와 온수로 나누어 공급할 수 있는 코크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In general, a cold valve is installed in the cold water purifier to supply purified water divided into cold water and hot water.
이러한 정수기용 코크밸브는 사용자가 취수 레버를 전후 방향으로 당기거나 밀어 냉수 및 온수 통로를 개방함으로써 냉수 또는 온수를 취수하게 되는데, 온수의 경우 온도가 90도 이상의 고온이므로 별도의 안전장치가 없다면 사용자, 즉 주의력이 부족한 어린이나 노약자는 사용상의 부주의로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다. Coke valves for water purifiers can be taken cold water or hot water by the user pulls or pushes the water intake leve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o open the cold water and hot water passages. In other words, children or elderly people who have insufficient attention are in danger of accident due to careless use.
따라서, 정수기에서 온수를 취수할 경우, 코크밸브의 개방 동작을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안전장치를 구비한 다양한 형태의 코크밸브가 개발되고 있다. Therefore, when taking hot water from the water purifier, various types of cock valves having safety devices have been developed to safely open the cock valve.
이에 종래에 개시되어 있는 냉온 정수기용 코크밸브의 경우, 취수 레버의 전 방에 위치한 취수 버튼(110)을 가압한 상태에서만 취수 레버가 작동될 수 있는 구조이다. In the case of the coke valve for a cold water purifier disclosed in the related art, the intake lever can be operated only when the
따라서, 취수 버튼(110)을 가압하여 취수 버튼(110)이 작동 가능하게 된 상태에서 용기로 취수 레버를 가압해야 온수를 취수할 수 있다. Therefore, the hot water can be withdrawn when the
이와 같이, 온수를 취수한 후 취수 레버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면 취수 레버를 가압하더라도 토출구가 개방되지 않아 취수가 불가능한 구조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water intake lever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the hot water is collected, the discharge port is not opened even when the water intake lever is pressed, so that the water intake is impossible.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코크밸브는 취수 버튼(110)과 취수 레버가 한 몸체에 구성되어 있어 제품의 디자인을 자유롭게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냉수와 온수용 코크밸브는 안전장치의 유무에 따라 그 내부 구조가 달라지게 되므로 생산성 저하 및 관리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coke valve has a limitation in expressing the design of the product because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온수 취수에 필요한 별도의 취수 버튼(110)을 코크밸브와 근접한 위치에 장착하여 취수 레버와 동시에 작동할 경우에만 온수가 취수될 수 있도록 하고, 안전장치가 불필요한 냉수용 코크밸브는 리프트바를 취수 레버의 레버 작동면에 밀착되도록 연장시켜 취수 레버의 동작만으로도 냉수가 취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온수 토출에 따른 화상 등의 안전 사고로부터 사용자를 보호 가능한 정수기용 안전 코크밸브를 제공하고자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hot water can be withdrawn only when th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온수 코크밸브의 구분없이 내부 구성이 동일한 냉,온수 코크밸브를 정수기에 균일하게 배치함으로써, 그 구성 부품의 공용화가 가능하므로 공정수를 줄여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정수기용 안전 코크밸브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niformly arrange the cold and hot water coke valves having the same internal configuration without the distinction between cold and hot water coke valves in the water purifier, so that the components can be used in common,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processes to improve productivity. To provide a safety cock valve for water purifi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수기의 전면에 장착되어 냉,온수를 취수하기 위하여 누름 작동되는 취수 버튼(110)과; 상기 누름쇠(130)에 대응하는 접촉면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돌기부(102)가 끼워져 슬라이드 안내되는 가이드홀부(141)가 상기 접촉면의 상,하단부에 구비되며, 그 최하단부에 회전로드(160)가 장착되는 로드 고정홈부(143)가 구비된 안전로드(140)와; 상기 로드 고 정홈부(143)에 회전로드핀(170)을 매개로 핀 고정되는 회전로드(160)를 포함하는 연결작동수단과; 상기 정수기 전면에 장착되어 냉,온수를 취수하기 위하여 회동 작동하는 취수 레버(200)와; 상기 취수 레버(200)의 레버 작동면(201) 및 회전로드(160)의 작동력이 전달되어 전후진 작동하는 리프트바(210)와; 상기 리프트바(210)에 형성된 관통홀부(212)에 수직 결합되어 있으며, 그 리프트바(210)의 작동면(213)을 타고 상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그 작동면(213)에 대응하는 경사면(251)이 상단부에 구비된 수직축(250)과; 상기 수직축(250)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수직축(250)과 함께 승하강하면서 코크바디(230)의 출수구(23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코크개폐밸브(270)를 포함하는 개폐작동수단으로 이루어진 온수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front of the water purifier and the
또한, 정수기 전면에 장착되어 냉,온수를 취수하기 위하여 회동 작동하는 취수 레버(200)와; 상기 취수 레버(200)의 레버 작동면(201)의 작동력이 전달되어 전후진 작동하는 리프트바(210')와; 상기 리프트바(210')에 형성된 관통홀부(212')에 수직 결합되어 있으며, 그 리프트바(210')의 작동면(213')을 타고 상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그 작동면(213')에 대응하는 경사면(251)이 상단부에 구비된 수직축(250)과; 상기 수직축(250)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수직축(250)과 함께 승하강하면서 코크바디(230)의 출수구(23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코크개폐밸브(270)를 포함하는 개폐작동수단으로 이루어진 냉수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취수 버튼(110)은 그 취수 버튼(110)에 의해 회전 작동하며, 그 단부에 회전축(131)을 구비한 누름쇠(130)가 장착되는 장착홈 부(101)와, 상기 결합돌기부(102)를 구비하는 전면 패널(100)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상기 회전로드(160)는 그 단부의 후방에 취수 버튼(110)이 원위치로 복귀할 경우, 안전로드(140)가 상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돌기부(162)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또한, 상기 코크바디(230)는 그 외부에 취수 레버(200)가 레버핀(202)에 의해 핀고정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핀고정부(233)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상기 코크바디(230)는 그 상부에 수직축(250)이 안내되는 안내홀부(291)와, 라이너(240)와 대응되는 리프트바(210)의 작동면(213)과 상기 리프트바 스프링(220)이 안착되는 스프링고정 안착부(292)가 구비되는 코크바디 캡(290)이 후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그리고, 상기 안전로드(140)의 중앙홈부(145)에 누름쇠(130)와 취수 버튼(110)과의 충격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충격음방지구(300)가 부착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mpact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안전 코크밸브에 의하면,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온수 토출에 따른 화상 등의 안전 사고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afety coke valve for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tect the user from safety accidents such as burns caused by hot water discharge due to carelessness of the user.
또한, 냉,온수 코크밸브의 구분없이 내부 구성이 동일한 냉,온수 코크밸브를 정수기에 구성하여, 그 구성 부품의 공용화가 가능하므로 공정수를 줄여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cold and hot water coke valves having the same internal configuration without the distinction between cold and hot water coke valves in the water purifier, the components can be shar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number of processes to improve productivity.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tail.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안전 코크밸브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안전 코크밸브의 작동 전,후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안전 코크밸브의 작동 전,후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afety coke valve for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and 3 are combined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state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of the safety coke valve for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of the safety cock valve for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안전 코크밸브에 있어서, 정수기의 전면에 장착되어 코크밸브의 주요 구성이 장착되는 전면 패널(100)은 냉,온수를 취수하기 위하여 누름 작동되는 취수 버튼(110)과, 상기 취수 버튼(110)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버튼 스프링(120), 그리고 상기 취수 버튼(110)에 의해 회전 작동하며, 그 단부에 회전축(131)을 구비한 'ㄱ'자 형상의 누름쇠(130)가 장착되는 장착홈부(10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홈부(101)의 상,하단부에 후술하는 안전로드(140)의 가이드홀부(141)가 결합되어 상하로 가이드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부(102)가 구비되어 있다.In the safety coke valve for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결합돌기부(102)의 단부에는 상기 안전로드(140)가 이탈되지 않고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하기 위해 그 가이드홀부(141)에 결합되는 후크부(103)가 구비되어 있다. An end portion of the
상기 안전로드(140)는 상기 누름쇠(130)에 대응하는 접촉면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돌기부(102)의 후크부(103)가 끼워져 슬라이드 안내되는 가이드홀부(141)가 상기 접촉면의 상,하단부에 구비되며, 그 최상단부에는 안전로드(140)가 하강 작동 한 후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안전로드 스프링(150)이 고정되는 스프링 고정부(142)가 구비되고, 그 최하단부에는 후술하는 회전로드(160)가 장착되는 로드 고정홈부(143)가 구비되어 있다.The
상기 회전로드(160)와 로드 고정홈부(143)의 결합은 회전로드(160)의 단부에 형성된 제1핀고정홀(161) 및 로드 고정홈부(143)에 수직으로 관통 형성된 제2핀고정홀(144)이 서로 일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로드(160)가 그 단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로드핀(170)이 상기 제1 및 제2핀고정홀(161,144)에 삽입되어 서로 결합된다.The combination of the
이때, 상기 회전로드핀(170)에 탄성력을 가지면서 회전로드(160)가 후방으로 회동하도록, 즉 첨부한 도 2에서 회전로드(160)의 단부 후면이 취수 레버(200)의 레버 작동면(201)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회전로드 스프링(180)이 구비되어 있다. At this time, the rotating
즉, 상기 회전로드(160)는 회전로드 스프링(180)에 의해 탄성력을 가지면서 취수 레버(200)의 레버 작동면(201)에 밀착되므로 상기 취수 레버(200)의 흔들림을 억제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이때, 상기 회전로드(160)는 상기 취수 레버(200)를 동작시킬 만큼의 작동력은 갖고 있지 않으며, 취수 레버(200)의 흔들림만을 억제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회전로드(160)는 그 단부의 후방에 이탈방지돌기부(162)가 구비되어 취수 버튼(110)이 원위치로 복귀할 경우, 안전로드(140)가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그 단부의 전방에 경사면을 갖는 제1접촉 경사부(163)가 구비되는 바, 취수 버튼(110)의 작동 후, 상기 제1접촉 경사부(163)와 수직으로 밀착되어 취수 레버(200)의 동작에 따라 전,후진 슬라이드 동작하는 리프트바(210)가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리프트바(210)의 후방 단부에 상기 회전로드(160)의 제1접촉 경사부(163)와 밀착되어 그 하강 동작에 대응되는 제2접촉 경사부(211)가 구비될 경우, 리프트바(210)의 원활한 전,후진 동작을 한층 더 도모할 수 있음이 자명하다.At this time, when the second contact
상기 리프트바(210)는 후술하는 코크바디(230)에 삽입 고정되는 라이너(240)의 안내면에 리프트바 스프링(220)과 함께 고정되므로 전후진 동작시 리프트바 스프링(220)의 탄성력에 의해 전진 후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Since the
이와 같이, 상기 취수 버튼(110)의 누름 동작에 의해, 연결작동수단인 누름쇠(130) -> 안전로드(140) -> 회전로드(160)의 순서대로 전,후진 또는 상,하방향으로 동작하되, 각각의 구성에 결합된 탄성부재인 스프링을 통해 탄력적으로 작동하게 된다.As such, by pressing the
그러나, 상기 라이너(240)에 전,후진 동작하는 리프트바(210)는 회전로드(160)의 하강 동작에 의해 작동하지 않고, 회전로드(160)를 매개체로 하여 상기 취수 레버(200)의 회동에 의해 전진 작동하게 된다.However, the
즉, 상기 회전로드(160)는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취수 레버(200)의 레버 작동 면(201)과 리프트바(210) 사이의 빈 공간을 마감하는 동시에 상기 레버 작동면(201)에 밀착하게 되는 기능만을 수행하며, 취수 레버(200)가 그 회동에 의한 레버 작동면(201)이 전진할 경우, 회전로드핀(170)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리프트바(210)가 라이너(240)의 수평면을 따라 전진 동작하도록 그 리프트바(210)에 작동력을 부여하게 된다.That is, the
다시 말해서, 상기 연결작동수단의 최종부재인 회전로드(160)는 상기 개폐작동수단인 취수 레버(200) 및 리프트바(210) 사이에서 상기 취수 레버(200)의 회동력을 상기 리프트바(210)에 전달하는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첨부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용 코크밸브의 리프트바 및 수직축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용 코크밸브의 리프트바 및 수직축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첨부한 도면은 리프트바(210)가 전진 작동되어 코크개폐밸브(270)가 상승한 상태로서, 코크바디(230)의 출수구(232)를 통해 온수가 토출된다.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of a lift bar and a vertical shaft of a hot water coke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of a lift bar and a vertical axis of a coke valve for cold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상기 라이너(240)에 수직으로 축고정되어 코크개폐밸브(270)와 함께 승하강 동작하면서 코크바디(230)의 출수구(23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수직축(250)이 구비되어 있다.A
이때, 상기 수직축(25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트바(210)에 형성된 관통홀부(212)에 수직 결합되어 있으며, 그 리프트바(210)의 작동면(213)을 타고 상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그 작동면(213)에 대응하는 경사면(251)이 상단부에 구비되어 있다. In this case, as illustrated in FIG. 6, the
따라서, 상기 리프트바(210)가 전진 작동하면서 그 관통홀부(212)에 형성된 작동면(213)이 상기 수직축(250)의 경사면(251)을 밀 경우, 상기 작동면(213)이 그 경사면(251)에 밀착 이동하면서 상기 수직축(250)을 상승시키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축(250)의 하단부에는 실린더형상의 코크개폐밸브(270)가 설치되어 코크바디(230)의 출수구(23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되며, 상기 수직축(250)에 탄력적으로 장착되는 수직축 스프링(260)은 수직축(250)을 따라 작동하는 코크개폐밸브(270)가 상기 수직축(250)과 함께 탄력적으로 출수구(232)를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6, at the lower end of the
상기 코크바디(230)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의 유입구(231) 및 출수구(232)가 일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라이너(240), 리프트바(210), 수직축(250), 코크개폐밸브(270)를 포함하는 내부 구성품을 조립하는 공간이 상기 출수구(232)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또한, 상기 코크바디(230)의 외부에는 취수 레버(200)가 레버핀(202)에 의해 핀고정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핀고정부(233)가 구비되어 상기 취수 레버(200)의 원활한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코크바디(230)의 전면에는 외부 장식구성품인 데코(280)가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front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수직축(250)이 안내되는 안내홀부(291)와, 라이너(240)와 대응되는 리프트바(210)의 작동면(213)과, 상기 리프트바 스프링(220)이 안착되는 스프링고정 안착부(292)가 구비되어 상기 코크바디(230)의 상부에 후크 결합되는 코크바 디 캡(290)이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안전로드(140)의 중앙홈부(145)에는 상기 안전로드(140)가 하방에서 상방으로 복귀 시, 누름쇠(130)와 취수 버튼(110)과의 충격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충격음방지구(300)가 부착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정수기의 온수용 코크밸브는 취수 버튼(110) 및 취수 레버(200)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2중 작동구조로 구성된 안전장치가 구성되어 있는 반면, 안전장치가 불필요한 냉수용 코크밸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바(210')를 취수 레버(200)의 레버 작동면(201)에 밀착되도록 연장시켜 취수 레버(200)의 동작만으로 냉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작동수단을 배제하고 대신에 개폐작동수단만을 구성함으로써, 냉,온수 코크밸브의 구분없이 내부 구성이 동일한 냉,온수 코크밸브를 정수기에 균일하게 배치하게 되므로 그 구성 부품의 공용화가 가능하게 된다.The hot water coke valve of the water purifi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safety device composed of a double operation structure for operating the
이로 인해, 궁극적으로 본 발명은 정수기용 안전 코크밸브를 생산함에 있어 공정수를 줄여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can ultimately reduce the number of processes in producing a safety coke valve for water purifiers,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안전 코크밸브의 작동 상태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perating state of the safety coke valve for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취수 버튼(110)을 누르게 되면 버튼(110) 스프링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회전 동작하는 누름쇠(130)를 밀게 되고, 상기 누름쇠(130)의 회전 동작으로 인해 수직 동작하는 안전로드(140)가 전면 패널(100)의 결합돌기부(102)를 매개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First, when the
상기 안전로드(140)에 회전로드핀(170)에 의해 핀 고정된 회전로드(160)는 동시에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취수 레버(200)의 레버 작동면(201)과 리프트바(210)의 작동면(213)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 안착되면서 상기 취수 레버(200)의 레버 작동면(201)에 밀착된다. The
이는 상기 취수 버튼(110)의 누름 동작이 상기 회전로드(160)의 회전 동작으로 연계되며, 취수 레버(200)의 작동 시, 리프트바(210)에 상기 취수 레버(200)의 작동력을 전달하는 가교 역할을 하게 되므로 취수 버튼(110)만을 누를 경우에는 온수가 취수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This is the push operation of the
다음으로, 상기 취수 레버(200)를 누르게 되면 회전로드(160)의 제1접촉 경사부(163)가 라이너(140)의 수평면을 따라 리프트바(210)의 제2접촉 경사부(211)를 수평 이동시키게 되고, 리프트바(210)의 작동면(213)과 대응하는 경사면(251)을 갖는 수직축(250)은 상기 작동면(213)을 타고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Next, when the
이때, 코크바디(230)의 출수구(232)를 폐쇄하고 있는 수직축(250)에 결합된 코크개폐밸브(270)는 상방으로 동시에 탄력적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출수구(232)를 개방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온수가 토출된다. At this time, the cock opening /
다른 한편, 취수 레버(200)를 누르게 되면, 그 취수 레버(200)의 레버 작동면(201)은 리프트바(210)를 동작시킬 만큼의 작동력이 부족하여 출수구(232)를 개방시킬 수 없게 되는 바, 상기 취수 버튼(110)을 눌러 안전로드(140)를 하방으로 이동시킬 경우, 이를 통해 회전로드(160)의 제1접촉 경사부(163)가 리프트바(210)를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리프트바(210)의 작동면(213)과 대응하는 경사면(251)을 갖는 수직축(250)은 상기 작동면(213)을 타고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결국, 상기 코크바디(230)의 출수구(232)를 폐쇄하고 있는 수직축(250)에 결합된 코크개폐밸브(270)를 상방으로 동시에 이동시킬 경우, 출수구(232)가 개방되어 온수가 토출되는 것이다. As a result, when the coke opening and closing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change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set forth.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안전 코크밸브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afety coke valve for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안전 코크밸브의 작동 전,후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2 and 3 are combined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before and after operation of the safety coke valve for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안전 코크밸브의 작동 전,후상태를 도시한 단면도,4 and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of the safety cock valve for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용 코크밸브의 리프트바 및 수직축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the lift bar and the vertical axis of the hot water coke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용 코크밸브의 리프트바 및 수직축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lift bar and the vertical shaft of the coke valve for cold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 전면 패널 110 : 취수 버튼100: front panel 110: water intake button
120 : 버튼 스프링 130 : 누름쇠120: button spring 130: push
140 : 안전로드 150 : 안전로드 스프링140: safety rod 150: safety load spring
160 : 회전로드 170 : 회전로드핀160: rotating rod 170: rotating rod pin
180 : 회전로드 스프링 200 : 취수 레버180: rotating rod spring 200: water intake lever
210 : 리프트바 220 : 리프트바 스프링210: lift bar 220: lift bar spring
230 : 코크바디 240 : 라이너230: cock body 240: liner
250 : 수직축 260 : 수직축 스프링250: vertical axis 260: vertical axis spring
270 : 코크개폐밸브 280 : 데코270: cock opening and closing valve 280: deco
290 : 코크바디 캡 300 : 충격음방지구290: cock body cap 300: impact sound prevention
Claims (1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53201A KR100991564B1 (en) | 2008-06-05 | 2008-06-05 | Safety water cock valve for a water purifi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53201A KR100991564B1 (en) | 2008-06-05 | 2008-06-05 | Safety water cock valve for a water purifi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26867A true KR20090126867A (en) | 2009-12-09 |
KR100991564B1 KR100991564B1 (en) | 2010-11-04 |
Family
ID=41687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53201A KR100991564B1 (en) | 2008-06-05 | 2008-06-05 | Safety water cock valve for a water purifi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9156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81451A (en) * | 2016-01-04 | 2017-07-12 |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 Water tap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2491B1 (en) | 2011-07-08 | 2013-02-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Water purifier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95334B1 (en) | 2002-06-24 | 2005-06-16 | 정황은 | A Safety Valve for Hot-Water Supplying Water Purifier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200390713Y1 (en) | 2005-04-26 | 2005-07-22 | 김영돈 | hot water valve of cooling and heating water dispenser |
KR100702675B1 (en) | 2005-05-03 | 2007-04-06 | 이성주 | Hot water cock for water purifier |
-
2008
- 2008-06-05 KR KR1020080053201A patent/KR100991564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81451A (en) * | 2016-01-04 | 2017-07-12 |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 Water tap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91564B1 (en) | 2010-1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129824A (en) | Beverage container closure with venting | |
JP3205180U (en) | Container lid structure | |
US20200128996A1 (en) | Cooking appliance | |
CN102401181A (en) | Anti-scalding faucet and water dispenser | |
US20140102306A1 (en) | Coffee Maker with Single Serve Setting | |
KR100991564B1 (en) | Safety water cock valve for a water purifier | |
CN104747781B (en) | Safety valve | |
EP1232357A1 (en) | Tap | |
KR101828430B1 (en) | Hot water safety coke valve | |
KR100702675B1 (en) | Hot water cock for water purifier | |
CN205322097U (en) | Water outlet device with safety lock and water dispenser | |
KR100735913B1 (en) | A valve for a hot and cold water dispenser | |
KR101692527B1 (en) | Cock safety device | |
KR101024484B1 (en) | Safety water cock valve for a water purifier | |
KR200311251Y1 (en) | Safety Valve for Water Filtering Apparatus or Hot and Cold Water Supplier | |
CN105534305A (en) | Water outlet device with safety lock and water dispenser | |
KR200278993Y1 (en) | outlet of a warm water supplier having a safety apparatus | |
KR20090062972A (en) | Safety hot water cock valve for a water purifier | |
CN204306641U (en) | A kind of open-and-close mechanism of pressure cooker | |
CN207707767U (en) | A kind of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ot lid and bottle body of kettle | |
CN209750833U (en) | Oil-water separation soup ladle with valve hole | |
CN208598175U (en) | A kind of discharging device with anti-scald function | |
CN207492628U (en) | Water outlet assembly and water dispenser | |
CN218598878U (en) | Linkage valve core group | |
CN206844863U (en) | Storage tank unlocking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1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10 |